KR100222232B1 - 사람 리포단백질과 반응하는 모노클로날 항체 ferm bp-3755 - Google Patents

사람 리포단백질과 반응하는 모노클로날 항체 ferm bp-3755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2232B1
KR100222232B1 KR1019920004388A KR920004388A KR100222232B1 KR 100222232 B1 KR100222232 B1 KR 100222232B1 KR 1019920004388 A KR1019920004388 A KR 1019920004388A KR 920004388 A KR920004388 A KR 920004388A KR 100222232 B1 KR100222232 B1 KR 100222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poprotein
human
monoclonal antibody
antibody
apoprote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4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7670A (ko
Inventor
미쯔히사 마나베
가쯔히고 이모또
Original Assignee
구니요시 이에지
다이이치 가가쿠 야쿠힝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니요시 이에지, 다이이치 가가쿠 야쿠힝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구니요시 이에지
Publication of KR920017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7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2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22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람 리포단백질(a)와 반응하여 사람 플라스미노겐 및 아포단백질 B에 면역교차반응을 갖지 않는 모노클로날 항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람 리포단백질과 반응하는 모노클로날 항체 FERM BP-3755
제1도는 No. 28205 모노클로날 항체의 웨스턴블로팅법에 의한 아포단백질 (a), 아포단백질 B 및 사람 플라스미노겐에 대한 반응성을 나타낸다.
제2도는 No. 28205 모노클로날 항체를 사용하여 사람 단백질(a)를 측정할 때의 검량선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면역비탁법(免疫比濁法)에 의한 단백질(a)의 정량에 유용한 모노클로날 항체에 관한 것이다.
근년 심근경색을 비롯한 동백경화성 질환의 위험 인자로서 혈청중의 콜레스테롤을 고밀도로 함유하고 특이적인 아포단백질과 결합한 리포단백질을 들고 있으나 그 중에서도 영장류에만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리포단백질(a)는 극히 중요한 동맥경화성 질환의 위험 인자로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이 리포단백질(a)는 특이적인 아포단백질로서 아포단백질(a)를 함유하나, 이를 구조내에 혈액응고 용선계 단백질에 특이적인 단백구조를 갖고 있으며, 혈전발생시에는 그의 용선 방해작용을 발휘할 뿐만 아니라, 혈전 증폭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밝혀져 있다. 따라서, 리포단백질(a)의 혈중 농도를 측정하는 것은 동맥경화성 질환을 예측하는 면에서 임상상 극히 중요하다.
종래, 혈액 중 리포 단백질의 특징적 측정법으로서는 면역학적 측정법이 알려져있으나, 그 중에서도 면역비탁정량법은 자동분석장치에 의한 자동화 측정에 적합하며, 다수 검체 처리가 가능함으로 일상적인 분석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면역비탁정량법은 단백질 내의 복수의 항원 결정 부위 각각에 대하여 반응하는 다종류의 항체가 동시에 반응하여 가교함으로써 불용화되어 탁도로서 관찰하는 것이다. 따라서, 면역비탁정량법에는 일반적으로 폴리클로날 항체가 적합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폴리클로날 항체는 취득시 그때나마 항원을 정제할 필요가 있을 뿐만 아니라 취득된 항체의 반응성도 면역동물의 고체가 변하는 것에 따라 변동되기 때문에 병태 평가를 위한 중요한 혈액 중 리포단백질의 농도를 항상 정확히 측정하기 곤란하였다.
또한 리포단백질(a)는 그의 아미노산 구조가 사람 혈액 중에 비교적 고농도로 존재하는 단백질의 1종인 플라스미노겐과 극히 유사하기 때문에 순수한 정도까지 고도로 정제한 아포리포프로테인(a)를 면역원으로서 통상 양호하게 사용되는 실험동물로부터 항혈청을 얻는다 하여도 그의 항혈청은 반드시 사람 플라스노겐과 교차반응성을 나타내고, 그와 같은 항혈청을 사용한 측정계에서는 정확한 리포단백질(a) 양을 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와 같은 교차반응성은 항혈청에서 교차반응성만을 갖는 항혈청을 얻는 방법으로서는 교차반응의 원인물질을 미리 항혈청과 반응시켜 불필요한 반응성을 항혈청으로부터 제거하는 면역 흡수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리포단백질(a)의 특징적인 단백질성분인 리포단백질(a)는 상당히 플라스미노겐과 구조적으로 동일성이 높기 때문에, 그와 같은 흡수조작을 행한 후에는 본래 소망한 리포단백질(a)과의 반응성까지 감소, 약화해버려 면역 비탁법과 같은 비교적 단시간의 반응에서 대상물을 측정하기 때문에 강한 반응성을 나타내는 항체가 요구되는 방법에서는 사용할 수 없든가, 또는 사용될 수 있다하여도 극히 불만족한 낮은 정도로 밖에 얻어지지 않아 정상 사람의 혈중농도인 낮은 레벨까지 정확히 측정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리포단백질(a)의 측정계에서는 플라스미노겐과 교차반응성을 나타내지 않고, 특이성이 높은 모노클로날 항체를 사용하고, 정확하고 일정의 측정치를 부여할 수 있는 재현성이 높은 방법이 요망되어 왔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모노클로날 항체는 반응의 상대인 항원의 1종류의 항원 결정 부위를 특이적으로 인식하기 위하여 반응결과로 생기는 항원-항체결합물은 완전히 반응을 완결시켰다 하여도 항체 1분자와 항원 2분자의 결합물이며, 여러 가지 항원 결정 부위를 인식하는 항체의 집합체인 폴리클로날 항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복수 분자의 항체와 그에 대응하는 항원 결합물의 크기에 비해 현저히 작고, 이에 따라 통상의 비탁법에 의해서 모노클로날 항체와 항원의 결합물은 검출될 수 없어서 1종류의 모노클로날 항체에서 면역비탁법을 수행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이 때문에 모노클로날 항체를 사용하여 면역비탁법을 수행하기 위하여는 적어도 2종이상의 상이한 항원 결정 부위를 인식하는 항체를 혼합할 필요가 있으나, 전술한 바와같이 리포단백질(a)은 플라스미노겐과 구조적으로 극히 유사하기 때문에 특이적인 항원 결정 부위는 극히 한정되는 것으로 고려되며 분자량이 큰 항원-항체 결합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협동하여 작용하는 복수개의 특이적인 모노클로날 항체를 얻는 것은 극히 곤란하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 의해서는 모노클로날 항체를 사용하는 리포단백질(a)의 면역비탁법에 의한 측정은 곤란하게 되고 그와 같은 방법에 사용될 수 있는 항체의 존재도 전혀 알려져 있지 않았다.
이러한 실정에서 본 발명자는 사람 리포단백질(a)에 대한 여러 가지의 모노크로날 항체를 작성하고, 그 성질을 통상 잘 사용되는 효소면역법외에 면역비탁법을 사용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그 중의 수종의 모노클로날 항체가 각각 단독에서도, 혈청 중의 사람 리포단백질(a)와 특이적으로 반응하여 일반적인 분광 광도계로 충분히 검출 가능한 탁도를 나타내는 결합물을 부여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사람 리포단백질(a)와 반응하여 사람 플라스미노겐 및 리포단백질B에 면역교차반응성을 갖지 않는 모노클로날 항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당해 모노클로날 항체를 사용한 면역비탁법에 의한 사람 리포단백질의 측정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모노클로날 항체는 사람 리포단백질(a)에 특이적인 반응성을 갖는, 즉, 아포단백질 B 및 사람 플라스미노겐에 교차반응성을 나타내지 않고, 사람 리포단백질(a)에 특이적인 결합을 갖는 것을 최대의 특징으로 하고 이러한 항체에는 1종류 이상에서 사람 단백질(a)와 침강 내지 비탁을 나타내는 타잎의 항체가 포함된다.
이하 본 발명의 항체 제조법에 대해 상술한다.
본 발명 항체는 사람 단백질(a)를 면역항원으로써 사용하여 통상의 제조법에 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 사용되는 면역항원으로서의 리포단백질(a)는 본 발명자에 의해 혈청에서 분리 정제된 리포단백질이다. 본 발명 항체의 제조에서는 반드시 리포단백질(a)의 정제 표품을 사용할 필요는 없고, 이를 함유하는 조제품(粗製品)을 사용하여도 가능하다. 본 발명 항체의 제조방법으로서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상기 면역항원으로서의 리포단백질(a)에서 면역한 포유동물의 형질세포를 포유동물의 형질세포 종세포(腫細胞)와 융합시킨 하이브리도마를 작성하고, 이에 의해 상기 리포단백질(a)를 인식하는 항체를 생산하는 클론을 선택하고, 이 클론으로부터 목적하는 항체(모노클로날 항체)를 얻는 방법을 바람직한 방법으로써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면역항원, 즉 리포단백질(a)에서 면역된 포유동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세포융합하고자 하는 형질세포 종세포와의 적합성을 고려하여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반적으로 마우스, 랫트 등이 유용하게 이용된다.
면역은 일반적 방법에 의해, 예를 들면, 상기 리포단백질(a)을 포유동물에 정맥내 투여 또는 복강내 주사 등으로 투여함으로써 수행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리포단백질(a)을 PBS나 생리식염수 등으로 적당한 농도를 희석하고, 이를 소망에 따라 통상 어쥬번드를 병용하여 동물에 221일 마다 수회 투여하고, 총 투여량이 1100㎍/동물 정도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투여시 통상의 담체를 채용할 수 있다. 면역세포로서는 상기리포단백질(a)의 최종 투여의 약 3일 후에 적출한 비장세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포와 융합한 다른 쪽의 친세포로서의 포유동물의 형질세포 종세포로서는 이미 공지된 각종의 세포주, 예컨대 p3(p3/x63-Ag8)[Nature, 256, 495-497(1975)], p3-U1[Current Topics in Microbiology and Immunolgy. 81, 1-7(1987)], NS-1[Eur. J. Immunol., 6, 511-519(1976)]. MPC-11[Cell, 8, 405-415(1976)], SP2/0[Nature, 276, 269-270(1978)], FO[J. Immunol., Meth., 35, 1-21(1980)], x63. 6.5.3[J. Immunol., 123, 1548-1550(1979)], S194[J. Exp. Med., 148, 313-323(1978)]등이나 랫트에서는 R210[Nature, 277, 131-133(1979)] 등의 골수종 세포 등이 사용된다.
상기 면역세포와 형질세포 종세포와의 융합반응은 공지의 방법, 예컨대 마일스타인 등(Milstein et al.)의 방법[Methods Enzymeol., 73, 3-46(1981)] 등에 준하여 수행하여 얻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융합반응은 예컨대 융합촉진제의 존재하에 통상의 영양배지 중에서 수행한다. 융합촉진제로서는 통상 사용되는 것, 예를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PEG), 샌디바이러스(HVJ) 등이 사용되며, 더욱이 소망에 의해 융합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디메틸렌술폭시드 등의 보조제를 첨가할 수 있다. 면역세포와 형질 종세포의 사용비는 통상의 방법과 다름없이, 예를들면 형질 세포 종세포에 대하여 면역세포를 약 110배 정도 사용하면 좋다. 상기 융합시의 배지로서는 예컨대 상기 형질세포 종세포주의 증식에 사용되는 RPMI 1640 배지, MEM 배지, 기타 이런 종류의 세포배양에 사용되는 통상의 각종 배지를 이용할 수 있으며, 통상은 소태아혈청(FCS) 등의 혈청 보액을 제외하여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융합은 상기 면역세포와 형질변환세포 종세포의 소정량을 상기 배지내에서 잘 융합하고, 미리 37℃ 정도에서 가온한 PEG 용액, 예를들면 평균 분자량 10006000 정도의 것을 통상 배지에 3060(W/V)의 정도에서 혼합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이 HAT 배지에서의 배양은 목적하는 하이브리도마 이외의 세포(미융합세포 등)이 사멸하는데 충분한 시간, 통상 수일수주간 수행하면 좋다. 이렇게 얻어지는 하이브리도마는 통상의 한계 회석법에 따라 목적하는 항체의 생산주의 검색 및 단일 클론화가 수행된다.
이 생산주의 검색은 에를들면 ELISA법[Engvall, E., Methods Enzymol., 70, 419-439(1980)], 플라그법, 스풋트법, 응집반응법, 옥타로니(Ouchterlony)법, 래디오이미노앗세이(R/A) 법등의 일반적으로 항체의 검출에 사용되고 있는 각종의 방법[「하이브리도마법과 모노클로날 항체」, 주식회사 R&D 플라닝 발행, pp30-53, 1982년 3월 5일]에 수행된다. 또 상기 검색에서 항원으로서는 전기 리포단백질(a)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얻어진 소망의 모노클로날 항체를 생산하는 하이브로도마는 통상의 배지는 계대배양 할 수 있으며, 또한 액체 질소 중에서 장기간 보존 가능하다.
이 하이브로도마로부터의 본 발명 모노클로날 항체의 채취는 이 하이브리도마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배양하고, 그 배양상청으로서 또는 하이브리도마를 이와 적합성이 있는 포유동물에 투여하여 증식시키고, 그의 복수로서 얻는 방법 등이 채용된다. 전자의 방법은 고순도 항체를 얻는데 적합하고 후자의 방법은 항체의 대량 생산에 적합하다.
더욱이 상기로부터 얻어진 항체는 이를 이용하여 염석법, 겔 여과법, 어피니 티크로마토그래피 등의 통상의 정제수단에 의해 정제할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지는 모노클로날항체를 이용하면 효소면역 측정법(EIA), 로켓트 법, 면역비탁정량법 등의 통상의 면역학적 수단에 의해 고감도, 고순도이며, 높은 특이성을 갖고 사람 리포단백질(a)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특히, 면역 비탁법은 자동분석장치에 의한 자동화 측정에 적합하며 다수 검체처리가 가능한 것으로부터 특히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사람혈장, 사람혈청 등의 피검체에 본 발명 모노클로날 항체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가해 반응시키고 이 반응의 전후에서의 흡광도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피검체중의 사람 리포단백질(a)을 정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노클로날 항체는 사람 리포단백질(a)과 특이적으로 반응하고, 사람 플라스미노겐 및 아포단백질 B에 면역교차반응성을 갖지 않기 때문에, 이를 사용하는 면역학적 측정수단, 그 중 면역비탁정량법에 의해 샘플중의 사람 리포단백질(a)를 측정하여 각종 심질환의 스크리닝, 진단 및 병태 파악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로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항원의 조제]
실험에 제공될때까지 -20℃ 이하로 보존된 동혈(凍血) 혈청을 실온으로 용해하고, 리포단백질(a)을 많이 함유하는 획분(밀도 1.061.12/ℓ)를 초원심분리법으로 분리했다. 이어서 이 획분을 4℃에서 칫수가 100×2.6㎝의 세팔로스 Cl-6B컬럼에 걸고 트리스 0.1M, Nacl 0.15M, pH 7.4의 완충액에서 용출했다.
용출조건은 1시간당 8로 하고, 회수는 5분획마다 했다. 용출은 고분자량의 물질로부터 행하여지기 때문에, 이 조건하에서는 280nm의 용출액의 흡광도를 관찰하면 리포단백질(a), LDL(저비중 리포단백질), HDL(고비중 리포단백질)의 순서로 피크가 관찰되었다. 이 때문에 리포단백질(a)에 상당하는 최초의 피크의 용출액을 분획마다 플리아크릴아미드 전기 영동법을 사용하여 그의 조성을 조사하여 LDL의 혼입이 인식되지 않은 분획을 회수하고, 항원 용액으로 하였다.
[실시예 2]
[항 사람 리포단백질(a) 모노클로날 항체의 조제]
실시예 1에 나타난 방법으로 얻어진 항원용액의 단백질 농도를 소 알부민 용액을 스탠다드로서 로리법에 의해 측정하고 단백질 농도로서 10㎍에 상당하는 용액을 100㎍의 완전 프로인트어쥬번드와 충분히 혼합한 후, BALB/C 마우스의 복강에 주사했다. 부스터 면역에서는 동일하게 10㎍에 상당하는 용액을 100μℓ의 불완전 프로인트어쥬번드와 충분히 혼합한 후, 최초의 면역으로부터 2시간 간격으로 2회 복강내에 투여했다. 최종 면역에서 1주간 후에 동일하게 10μℓ에 상당하는 항원 용액을 생리식염수에 혼합하고, 정맥내에 주사했다. 3일후 비장을 적출하여 잘 풀은 후, 배지(RPMI 1640)에서 잘 세정했다. 세정한 비장세포 2.5×108개와 동일하게 배지에서 충분히 세정한 마우스 SP2/0 Ag 14계의 미에로마세포 2.5×107개와 혼합하고, 배지에 대하여 50W/VPEG를 0.25를 서서히 적하하고 1분간 혼화했다. 그후 GKN배지에 8를 서서히 가하여 PEG를 희석하고 반응을 정지했다. 1500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모으고, 배지 2에서 1회 세정했다. 30의 HAT 배지에서 세포를 현탁하고, 96구멍마이크로 플레이트의 각 웰에 0.1μℓ씩 분주하고, 8CO2존재하, 37℃에서 인큐베이팅했다. 10일간 인큐베이팅한 후, 각 웰의 배양 상청을 HT 배지[(HAT 배지에서 아미노프테린(aminopterin)을 제거한 것] 0.2로 치환했다. 이 조작을 3회 반복하고 최종적인 배양상청에 대하여 상청에 함유된 항체의 성질을 해석했다. 이러한 해석에 있어서는 면역에 사용된 사람 리포단백질(a)를 함유하는 항원용액을 적의 희석하여 마이크로플레이트에 분주하고, 웰의 표면에 흡착시키고, 배양상청을 가하여 인큐베이팅한 후, 퍼옥시다제 표지한 항마우스 IgG를 가하고, 웰내에 잔존하는 퍼옥시다제 활성을 지표로써 항체 활성을 평가했다. 다시, 플라스미노겐 및 사람 혈청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으로 얻어진 LDL을 마이크로플레이트에 분주하여 웰 표면에 흡착시키고, 전술한 사람 리포단백질(a)에 대한 항체 활성의 평가방법과 같은 요령으로 각각의 성분에 대한 항체 활성을 평가했다. 평가 결과로부터 사람 리포단백질(a)만 반응하는 웰을 선택하고, 그 웰의 배양액에 대하여 다시 2회 한계회석법과 항체활성의 평가에 의해 클로닝을 반복하고, 최종적으로 사람 리포단백질(a)에 대한 특이항체를 생산하는 6클로닝을 얻었다. 이어서 이들 클론을 프리스탄으로 처리한 BAL B/C 마우스의 복강내에 주입하고, 1020일 후 수차에 걸쳐 복수를 채취했다. 얻어진 항체에 대하여 그의 클래스 및 서브클래스를 결정하고 표 1에 나타냈다. 채취한 복수로부터 황산암모늄 분획법 및 DEAE 세팔로즈에 의한 이온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조(粗)정제 IgG 분획을 얻고, 각각의 IgG에 대하여 면역비탁법의 가부를 조사했다. 구체적으로는 50㎎/㎗ 상당의 사람 리포단백질(a)을 함유하는 혈청 20μℓ를 3PEG, 0.15M Nacl, 3덱스트란을 함유하는 pH 7.0의 10mM 인산 완충액 300μℓ와 혼화 후, 5분간 인큐베이팅을 수행하고 3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1㎍/로 조정한 조(粗)정제 IgG 분획 150μℓ을 가하고, 다시 5분간 인큐베이팅을 수행하고 동일하게 340nm에서 각각의 흡광도를 측정했다. 최종 흡광도로부터 반응액량으로 보정한 IgG 분획 첨가전의 흡광도를 빼서 사람 리포단백질(a)과 항체의 반응에 의하여 생기는 흡광도의 증가를 산출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2에 나타내나, 상기 실험계에서 사람 리포단백질(a)을 함유하는 혈청시료와의 반응에의해 특정적인 흡광도의 증가를 나타낸 수종의 클론을 선택했다. 이중 클론 No. 28205의 모노클로날 항체는 공업기술원미생물공업기술연구소에 미공연균기제 12114(FERM BP-3755)로서 기탁되어 있다.
[실시예 3]
[모노클로날 항체의 아포단백질(a)에 대한 특이성 확인]
클로닝 결과 얻어진 모노클로날 항체의 아포단백질(a)에 대한 특이적인 반응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웨스턴블로팅법으로 아포단백질(a), 아포단백질 B 및 사람 플라스미노겐에 대한 반응성을 검토했다. 1mM 메르캅토에탄올 존재하 SDS화한 사람단백질(a)를 함유하는 혈청, SDS화한 정제 LDL 및 SDS화한 시판 플라스미노겐을 각각 아포단백질(a), 아포단백질(a), 아포단백질 B 및 플라스미노겐의 검토용 시약으로 하여 420SDS-그래디엔트 폴리아크릴아미드 전기영동에 제공했다. 영동 종료후, 전사장치를 사용하여 겔중의 단백질을 니트로셀루로즈막에 20V, 8시간 조건에서 전사했다. 1스킴밀크에 침지하여 막을 침지하여 막을 블록킹한 후, 막을 세정하고 약 14.2㎎/㎗로 조정한 항체용액에 막을 침지하여 항원-항체반응을 수행했다. 이어서 막을 충분히 세정한 후, 2차 항체로서 퍼옥시다제 표지를 한 항마우스 IgG 항체용액을 붓고, 반응을 수행하여 3,3-디아미노벤지딘을 기질로서 발색시켰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나, No. 28205는 사람 리포단백질(a)을 함유하는 혈청을 흘리는 레인상의 아포단백질(a)의 분자량에 상당하는 단백질만 반응하고, LDL 및 플라스미노겐을 흘리는 레인에서는 전혀 발색된 밴드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 결과로부터 No. 28205의 항체가 아포단백질(a)에 대하여 특이적인 항체활성을 나타내는 것이 명백하게 되었다.
[실시예 4 ]
[정량성의 확인]
사람 리포단백질(a)이 상술한 피검 혈청을 생리식염수로 희석하고 희석계열을 작성했다. 각각 희석계열의 피검시료 20를 3PEG, 0.15M Nacl, 3덱스트린을 함유하는 pH 7.0의 1.0mM 인산완충액 350μℓ와 혼화한 후, 5분간 인큐베이팅하고, 3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0.6㎎/㎗로 조제한 조(粗)정제 IgG 용액(실시예 2에서 얻은 것; 본 발명 모노클로날 항체를 함유함) 50μℓ를 가하고, 다시 5분간 인큐베이팅하고 흡광도를 측정했다. 최종 흡광도로부터 반응액량으로 보정한 IgG 용액 첨가전의 흡광도를 빼서 사람 리포단백질(a) 농도에 대응하는 흡광도를 구하고, 이론적인 시료의 사람단백질(a) 농도에 대하여 그의 흡광도를 블로킹한 바, 양호한 검량선이 얻어졌다.
검량선은 제2도와 같으며, 이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특이 항체가 사람 리포단백질(a)의 면역비탁법에서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명백하다.

Claims (3)

  1. 사람 리포단백질(a)와 반응하고, 사람 플라스미노겐 및 아포단백질 B에 면역 교차반응을 갖지 않는 모노클로날 항체 FERM BP-3755.
  2. 제1항에 있어서, IgG클래스에 속하고, 1종 이상으로 사람 리포단백질(a)의 면역비탁정량법으로 사용가능한 모노클로날 항체 FERM BP-3755.
  3. 혈액에 적어도 1종의 사람 리포단백질(a)가 반응하고, 사람 플라스미노겐 및 아포단백질 B에 면역교차반응성을 나타내지 않는 모노클로날 항체 FERM BP-3755를 반응시키고, 그의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람 리포단백질(a)의 측정법.
KR1019920004388A 1991-03-25 1992-03-18 사람 리포단백질과 반응하는 모노클로날 항체 ferm bp-3755 KR1002222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60259A JP3018110B2 (ja) 1991-03-25 1991-03-25 モノクローナル抗体
JP91-060259 1991-03-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7670A KR920017670A (ko) 1992-10-21
KR100222232B1 true KR100222232B1 (ko) 1999-10-01

Family

ID=13136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4388A KR100222232B1 (ko) 1991-03-25 1992-03-18 사람 리포단백질과 반응하는 모노클로날 항체 ferm bp-3755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506523A3 (ko)
JP (1) JP3018110B2 (ko)
KR (1) KR100222232B1 (ko)
CN (1) CN1065729A (ko)
TW (1) TW25873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3400A (en) * 1990-04-27 1998-07-21 Genzyme Corporation Method for the isolation of lipoprotein allowing for the subsequent quantification of its mass and cholesterol content
US5733549A (en) * 1992-08-14 1998-03-31 Shino-Test Corporation Peptides including amino acid sequences selected from lipoprotein (a) and apolipoprotein (a), antibodies recognizing these amino acid sequences, and methods of determination using these antibodies
AU7707294A (en) * 1993-09-29 1995-04-18 Yamasa Corporation Method of assaying oxidized lipoprotein and application thereof
EP0659765A3 (en) * 1993-12-21 1995-09-27 Akzo Nobel Nv Immunorealitive Apo (a) peptides.
CN101451993B (zh) * 2009-01-09 2013-07-17 王贤俊 抗Lp(a)抗体制备及检测Lp(a)的诊断试剂盒
CN102749459A (zh) * 2012-07-27 2012-10-24 北京恩济和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脂蛋白(a)检测试剂盒及其制备方法
CN102818903A (zh) * 2012-08-23 2012-12-12 上海睿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双粒子复合的Lp-a检测试剂盒
CN103454193A (zh) * 2013-09-05 2013-12-18 苏州照康生物技术有限公司 检测脂蛋白(a)的免疫比浊试剂盒及其制备方法
CN103604930B (zh) * 2013-11-07 2015-11-18 北京利德曼生化股份有限公司 一种脂蛋白(a)检测试剂盒
CN103627677B (zh) * 2013-11-26 2016-08-17 北京利德曼生化股份有限公司 抗Lp(a)单克隆抗体及Lp(a)胶乳增强免疫比浊检测试剂盒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Lipid Research Vol. 32:277-292 (1991. 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7670A (ko) 1992-10-21
EP0506523A2 (en) 1992-09-30
TW258737B (ko) 1995-10-01
JPH04293496A (ja) 1992-10-19
JP3018110B2 (ja) 2000-03-13
EP0506523A3 (en) 1993-10-20
CN1065729A (zh) 1992-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02234A (en) Myocardial infarction immunoassay
EP0267611B1 (en) Antibody against interleukin-1
Nakajima et al. Cholesterol in remnant-like lipoproteins in human serum using monoclonal anti apo B-100 and anti apo AI immunoaffinity mixed gels
US4628027A (en) Vitro diagnostic methods using monoclonal antibodies against connective tissue proteins
Curtiss et al. A novel method for generating region-specific monoclonal antibodies to modified proteins. Application to the identification of human glucosylated low density lipoproteins.
US4595654A (en) Method for detecting immune complexes in serum
US5382515A (en) Creative kinase-MB immunoassay for myocardial infarction and reagents
EP0433088B1 (en) Monoclonal antibodies reactive with a human atheroma associated antigen
AU661332B2 (en) Method of diagnosing ovarian and endometrial cancer with monoclonal antibodies OXA and OXB
EP0741144B1 (en) Antiannexin-v monoclonal antibody,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 therof
EP0119629A2 (en) Use of anti-idiotype antibodies in immunoassay
JPS60185800A (ja) モノクロナ−ル抗体
US5382522A (en) Immunoassay for creatine kinase-MB and creatine kinase-BB isoforms and reagents
KR100222232B1 (ko) 사람 리포단백질과 반응하는 모노클로날 항체 ferm bp-3755
JPS62259064A (ja) ヒト乳ガンの分析
US5316914A (en) Method for determining human collagen peptides by way of enzyme immunoassay
KR910008637B1 (ko) 심근 미오신 중사슬에 대한 단일클론항체
Poulik et al. Post-gamma globulin. II. Radioimmunoassay determination of levels of post-gamma globulin and β2-microglobulin
EP0387027A2 (en) Endometriosis diagnosis methods and reagents
EP0575906A2 (en) Sandwich immunoassay of beta-N-acetylglucosaminidase and monoclonal antibody used therein
EP1142995B1 (en) Antiuracil monoclonal antibody
US20030003515A1 (en) Monocloral antibody-based diagnostic assay for gamma fibrinogen
JP7313659B2 (ja) 試料中のhmgb1の測定方法及び測定試薬
EP0467782A1 (en) Myocardial infarction immunoassay
JP3686977B2 (ja) 抗ウラシルモノクローナル抗体及びそれを産生するハイブリドーマ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