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1711B1 - 주사 속도 변조장치 - Google Patents

주사 속도 변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1711B1
KR100221711B1 KR1019910019811A KR910019811A KR100221711B1 KR 100221711 B1 KR100221711 B1 KR 100221711B1 KR 1019910019811 A KR1019910019811 A KR 1019910019811A KR 910019811 A KR910019811 A KR 910019811A KR 100221711 B1 KR100221711 B1 KR 100221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deflection
scan rate
winding
sv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9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0722A (ko
Inventor
프리에레 베르나르드
포르체 진-피에레
도쏘트 알랭
Original Assignee
비디오칼라,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디오칼라, 에스.에이 filed Critical 비디오칼라,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920010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1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17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5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tensity of ray or beam, e.g. for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3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otherwise than with constant velocity or otherwise than in pattern formed by unidirectional, straight, substantially horizontal or vertical lines
    • H04N3/32Velocity varied in dependence upon picture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56Correction of beam optics
    • H01J2229/568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 H01J2229/5681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magnetic
    • H01J2229/5687Auxiliary coils
    • H01J2229/5688Velocity 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음극선관(30)용 주사 속도 변조(SVM)용 주사 속도 변조(SVM) 코일 장치는 주 수평 편향 코일(90)의 배면부의 배치된 SVM 코일 (102,104)을 갖는다. 주 수평 코일은 새들형으로 되어 있으며, 음극선관의 표면을 따라 배치되는 편향 코일의 배면에 플랫형 권선(94)을 갖는다. SVM 코일은 정집중 자기 (52)의 전방과 전자총(40)에 결합된 강자성 물질의 전방의 플랫형 권선 위에 배치된다. SVM 코일의 감소는 삽입된 레스터 디스플레이의 두배의 수평 속도에서 그 코일이 순차적으로 주사된 래스터 디스플레이에서 효율적으로 구동될 수 있는 포인트로 증가된다.

Description

주사 속도 변조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 편향 요크 및 SVM 코일 배치를 도시한 것으로, 전자총 구조가 드러나도록 음극선관을 부분적으로 절단한 부분 측단면도.
제2도는 텔레비전 음극선관의 전체를 도시한 측면도.
제3도는 전자총, 정집중 자기, 수평 편향 코일 및 SVM 코일의 관계를 도시한 수직 분해 투시도.
제4도는 백그라운드상에 배치된 대비 광 바아를 갖는 텔레비전 스크린의 정면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의 경우에 있어서 인가된 비디오 구동신호 및 SVM구동신호를 도시한 타이밍도.
제6도는 본 발명의 SVM코일을 구동하는 빔 편향 배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텔레비전 수상관 또는 음극선관 34 : 형광 스크린
38 : 플레어부 40 : 전자총
42 : 전자빔 축 80 : 수직 편향 코일
90 : 수평 편향 코일 100 : SVM코일
본 발명은 음극선관 디스플레이를 위한 빔 주사 속도 변조장치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주사 속도 변조는 음극선관의 빔 편향에서 주지되며, 수상관의 개선된 콘트라스트 및 첨예도를 얻기 위하여 사용된다. 기본 개념은 주사 패턴을 따라 명(light) 에서 암(dark)으로 또는 암에서 명으로의 변이동안 전자빔의 수평 주사 속도를 변경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주사가 어두원 백그라운드상의 밝은 수직라인을 교차하여 통과한다고 가정하면, 그 라인에 교차하는 수평 주사에 대한 스크린의 휘도가 암 영역에서의 최소치로부터 라인에서의 최대치로의 순간적으로 상승하고, 라인을 통과시에 따라 최대치로부터 최소치로 순간적으로 하강하는 디스플레이의 목적물이 재생된다. 그러나 전자빔 전류와 형광 출력의 상승 및 하강시간은 영(0)이 되지 않는다. 동작 디스플레이(비 사용 주사 속도 변조를 가짐)는 그 변이에서 그레이의 음영을 가지며, 시청자는 그 변이에서 첨예도의 결여 또는 화면의 흐림으로 감지한다.
빔 주사 속도 변조에 따라서, 휘도의 변이를 예상하고, 빔이 변이부근의 암 영역에서 가속화 되도록 즉 평균 주사속도를 초과한 속도에서 주사 되도록 수평 주사속도를 변경하는 회로소자가 제공된다. 빔의 가속화에 의해 얻어진 시간은 그 빔이 평균 주사속도 이하에서 감속되는 변이의 휘도 측면에 이용됨으로써, 긴 변이의 휘도측면의 형광체를 여기시킨다.
이로 인해 변이는 그 빔이 변이로 계산되지 않은 속도에 있는 변이를 교차하여 주사될 경우보다 더 큰 첨예를 나타내게 된다. 수평 라인으로 주사하는데 걸리는 총 시간은 서로를 소거하는 가속 및 감속에 따라 일정하게 된다.
밝은(명) 백라운드로부터 어두운(암) 영역으로의 변이에서 그 처리는 역으로 된다. 네트 효과는 시청자에 의해 감지될 때 영상 에지부의 첨예도를 증가시키는 빔 분산 및 상승시간이 영으로 된다.
빔 속도변조는 그 빔의 수평 편향을 변경하도록 동작하는 추가의 편향 코일을 사용하여 제공된다. 이러한 추가의 편향 코일은 휘도 비디오 신호를 증폭하고, 그 휘도를 미분하여 레벨 변이를 제외한 비디오 신호 모두를 디스카드 하는 구동회로에 의해 여기된다. SVM코일은 통상적으로 순/정 집중 자기 홀더에 균일하게 감겨진 적층코일을 구동시킨다.
편향 코일은 통상적으로 플라스틱 편향 요크형태의 유리 수상관에 장착된다. 수평 편향전계는 수상관의 넥상에 배치된 새들형 코일장치에 의해 발생되고, 수직 편향전계는 수상관 넥 둘레에 배치된 코어에 감겨진 환상 코일 장치에 의해 발생된다. 이러한 코일들은 수상관의 최후단부에 있는 전자총 앞의 수상관의 깔때기부 즉 플레이어부에 장착되어 있다.
주사 속도 변조를 위해 발생된 자계의 유효 전력이 빈 공간으로 인한 자계 강도의 감소없이 전자빔에 인가되도록, SVM코일은 가능한 전자빔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공간부는 할증된다. 통상의 SVM 코일은 소정의 콤프라미스를 나타내는 방식으로 장착된다. SVM 코일은 빔에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지만 강자성 및/또는 도전성 물질에도 근접하여 배치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SVM 코일은 전자총에 근접하여 길이 방향의 Z축을 따라 전자총 부분에 겹쳐지는 편향요크의 배면에 장착되어 있다. 이 SVM코일은 정집중 자기와 결합되며, 이는 통상적으로 강자성 분말(예, 바륨 페라이트)로 싸여진 플라스틱 바인더의 테이프에 의해 비인접성 테이프 용으로 형성되고, 전자총에 있는 편향요크에 배면에 배치되어, 전자총의 각 빔들을 한 포인트로 집중시키도록 편향요크의 초기 설정시 자화된다.
편향요크의 배면에 SVM 코일의 장착은 또한 전자총 구조물에 근접하여 SVM코일을 배치한다. 전자총은 SVM 코일이 발생시킬 수 있는 전체 전계 강도의 빔 경로로의 인가를 방지하는 투과성 물질에 SVM 전계의 플럭스 라인을 소정 길이로 형성할 수 있는 투과성 강자성체(예, 스틸)을 포함한다.
전자총이 비 강자성의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한, 도전성 물질의 저항 가열시 SVM 전계의 전력을 소비시키는 와전류가 유도될 수 있다. 간략히, 전자총의 철함유 도전성 물질은 전자빔과 상호 작용하는 SVM 전계의 강도를 저하시키는 경향이 있다.
빔에 인가된 자계가 주사속도 변조에 대해 필요한 편향 길이를 충분히 얻을 때까지 구동 전류, 코일 회전수 등의 증가시킴으로써 SVM 코일의 특정 장착위치에 있는 역 효과가 맞서는 것이 가능하더라도, 그러한 배경에 관련된 다른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SVM 코일의 회전수의 증가는 미분된 비디오 신호에 대해 요구된 주파수에 있는 인덕턴스 및 동작성에 영향을 준다. 전류의 증가는 개선된 성능의 전류 구동기 및/또는 고압의 전력 공급원을 필요로 한다. SVM 성능의 개선에 필요한 해결수단은 비 경제적일 수도 있다.
상기 문제는 연속 삽입된 전계의 래스터 보다 순차 주사된 레스터를 이용하는 텔레비전에서 더욱 곤란하다. 순차적으로 주사된 레스터는 두개의 삽입 전계중 하나에 대해 허용된 이전의 시간동안 비디오 프레임의 모든 라인(예, PLA에서 625 라인)을 주사하기 위하여 통상의 수평 주사속도의 두배로 동작한다. SVM 구동신호를 얻기 위해 미분되는 비디오 신호에 이용된 주파수는 삽입된 전계의 주파수(fH)보다 두배로 (2fH)빠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정의 편향을 얻기 위해 SVM 코일에 필요한 자계는 이전과 거의 동일해야 하는데, 이는 빔에서 전자의 보조 편향의 길이는 전계 강도의 함수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SVM 구동회로 소자는 큰 진폭의 전류 펠스를 발생시켜야 하지만, 주사속도로 인해 전류 펄스들은 지속 기간이 단축된다. 이는 SVM 코일 구동회로 소자에 심각한 손해를 끼쳐, 고 전력및 고속의 소자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추가의 비용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SVM 코일의 강도를 가능한 최대화 함으로써 SVM 구동회로 소자상의 요구를 경감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SVM 코일 장치를 전자총과 관련된 철함유 및 기타 금속 물질로부터 멀리 배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전자빔 축 또는 Z 축을 따라 수상관의 크기를 부가시키지 않고 단길이의 넥 수상관상에서 수행될 수 있는 방식으로 SVM코일을 장착하여 개선된 감소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 주사 속도 변조(scan velcoity modulation; SVM) 코일은 Z축을 따라 주 수평 편향 코일의 배면부에 겹쳐지도록 배치된다. 주 수평 코일은 새들형태로 되어 있으며 수상관의 표면을 따라 배치되는 편향 코일의 배면에서 직선의 회전 즉 평탄한 와인딩을 갖는다.
SVM코일은 수직 편향 코일이 싸여지는 코어의 후위로 주 수평 편향 코일의 회전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SVM 코일은 전자총에 연관된 강자성 및 다수의 도전성 물질에 비교적 전자총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SVM 코일의 감도는 그 코일이 fH. 에서의 비월 주사와 결합되어 사용된SVM 코일에 채용된 종래와 동일한 종류의 구동회로 소자를 사용하여, 삽입된 래스터 디스플레이에 대해 두배의 수평 속도(즉 2fH)로 순차 래스터 디스플레이에서 구동될 수 있는 포인터로 개선된다.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면, 텔레비전 수상관(30)은 대향단부 또는 전단부에서 형광 스크린(34)쪽으로 가속되는 전자 스트림을 방출하는 후단부(32)의 전자총(40)과 정렬되어 있다. 스크린에 의한 광 방출의 휘도 (밝기)는 전자총(40)에 의해 방출되어 스크린상의 특정포인트에서 형광 물질에 부딪치는 입사 전자의 전류레벨에 의해 부분적으로 결정된다. 전자가 전하를 이동시켜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그 전자는 입사자계에 의해 편향된다. 전자빔은 연속 라인을 추적하는 수평 주사 속도에서 편향되고 그 연속 라인이 스크린상에서 서로 수직으로 이격지는 수직 주사 속도에서 편향되며, 그 주사는 삽입된 전계 또는 각 연속 라인의 순차 주사에서 반복되는 래스터 패턴을 형성한다.
텔레비전 수상관 또는 음극선관(30)은 전자총 단부(32)와 스크린(34) 사이에 깔때기 형상의 플레이어부(38)를 갖는다. 수직 편향 및 수평 편향용 편향코일은 음극선관의 플레어부(38)상의 편향 요크장치(70)상에 장착되며, 통상적으로 플라스틱 요크형상 또는 라이너(72)상에 감겨져 있다. 수직 및 수평 편향코일(80,90)은 전자빔 축(42)에 평행하여 길이 방향으로 플레어부를 따라서, 그리고 음극관(30)의 플레어부 표면(38)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수직 편향 코일 또는 와인딩은 자기 투과성 코어(71)상에 둘러싸여져 있으며 수평 편향 와인딩은 음극선관의 표면(38)에 배치되어 있다. 수직 와인딩은 빔 축을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6시 및 12시 방향의 영역에 배치되고, 수평 와인딩은 3시 및 9시 방향에 있다. 수직 편향 코일은 빔경로와 교차하는 수평 자기 플럭스 라인(수직 변위를 일으킴)을 생성하고 수평 코일은 수직 플럭스(수평 변위용)를 생성한다. 수평 편향 코일은 선 주사를 실행하기 위해 수직 코일보다 고주파수에서 동작하는데, 이는 새들형태의 코일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전자빔 부근의 음극선관(30)의 외면(38)에 인접한 편향 요크 라이터의 내측에 배치되기 때문이다. 수직 편향 코일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상의 라이너 외측에 있다.
스크린을 교차하는 전자빔 주사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휘선등의 휘도변화를 일으킨다고 가정되었을 때(즉, 전자빔의 전류가 스크린상의 형광체로부터 명암 방출을 얻도록 증가 또는 감소되었을 때), 전자빔 전류의 상승 및 하강 시간은 수평 주사 처리시에 발생된다. 이는 빔 스폿 프로파일의 효과와 함께, 밝은 음영으로의 변이로 접근하는 휘도 증가 영역과, 어두운 음영으로의 변이로 부터 멀어지는 휘도 감소영역을 주사 방향으로 생성한다.
이 경우에서의 해상도 또는 선명도의 결여를 극복하기 위해 비디오 구동신호(예,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도의 단계적 변화)가 빔 주사 변조회로에 의해 처리되어 그 변이에서 빔의 수평 편향을 변경하는데 사용되는 신호를 얻는다. 예를 들면,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주사선(66) 동안의 빔이 어두운 백그라운드(62)로부터 밝은 영역(64)으로 통과할 때, 회로는 변이쪽으로 빔을 가속시키고 변이후의 빔을 감속시킨다. 이와 달리. 밝은 영역(64)에서 어두운 영역(62)으로 통과할 때, 그 빔은 변이쪽으로 감속되고 변이의 통과시 가속된다. 각 주사선을 따라 교차되는 가속 및 감속의 네트 변화가 영(0)이 됨으로써, 각 선에 대한 주사속도는 평균 주사속도와 동일해진다. 제5도에 도시된 SVM 전류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회로는 본 기술분야에 주지되어 있다. 이러한 회로는 휘도의 변이를 예상하고 그 비디오 신호의 휘도를 미분한다. 미분된 신호는 주 수평 편향 코일에 추가로 공급된 보조수평 편향 코일에 교류 결합되어, 주 수평 편향 코일에 의해 생성된 편향에 SVM 편향을 부가함으로써 필요한 주사 속도 변조를 얻는다.
본 기술 분야에서 주지된 바와 같이 주사속도 변조는 통상적으로 음극 선관의 전자총에 인접하여 배치된 정집중 자기상에 보조 코일을 배치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그러나, 그 전자총은 강자성 및 도전성 물질을 포함한다. 따라서 SVM 코일에 의해 발생된 자기 플럭스 부분은 전자총의 강자성 물질이 플럭스의 라인을 자기 투과성 물질으로 한정하는 영역에 인가된다. SVM코일에 의해 발생된 자계는 전자빔을 삽입하지 않는 경로로 제한된다. 그리고, 대부분의 전자총 구조물은 도전성 금속으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SVM 코일에 의해 발생된 자계 변화는 전자총의 도전성 소자에 전류를 유도한다. SVM코일이 전자의 소스에 근접하여(즉, 전자총 부근에) 배치되더라도, 전력부분은 전자총의 도전성 소자에서 와전류를 통해서 저항 가열로 소비된다.
전자총 장치가 제1도에서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컬러 텔레비전 장치에 있어서, 전자총은 적, 청 및 녹색에 대해 음극선관(30)의 후단부(32)에 장착된 3개의 이격진 인라인 캐소드를 갖는데, 도면에서는 하나의 캐소드만을 도시하였다. 전자총은 또한 제어 그리드 전극(G1)과 ; 스크린 그리드 전극(G2)과 ; 제1의 예비 집속렌즈 전극(G3)과 ; 제2의 예비 집속전극(G4)과 ; 결합형 제3의 예비 집속렌즈 전극 및 제1의 사중극(다중극) 렌즈 전극(G5B)과 ; 결합형 제2의 사중극 렌즈 전극 및 제1의 주 집속렌즈 전극(G5T)과 ; 제2의 주 집속렌즈 및 가속 전극(G6)을 갖는데, 이들은 음극 선관의 후단부(32)로부터 순서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전자총의 주 집속렌즈 포인트는 G5T및 G6 전극들 사이의 간격내에 있다. 전자총의 전단부에서, 시일드 컵(142)이 최종 전극 즉 애노드(G6)의 앞쪽에 장착되어 있다. 시일트 컵(142)은 전자총(40)의 전단부 즉 출구에 제공되고 그 앞부분이 개방되어 있다. 전자빔이 전극(G6)을 나와 시일드 컵(142)으로 들어가는 각각의 세 개구들에서 표유 수직 전자계로부터 방출 빔을 밀폐하고 코마 에러로서 알려진 수렴 에러를 보정하기 위해 분로 및 강화기가 제공된다.
전자총의 전극들은 도전성이며 이러한 전극들중 어떤 것은 또한 강자성으로 되어있다. 예를 들어, 전극 G3 는 니켈 철(48)로 형성되며, 스폿 코마 즉 전자빔 단면부의 섬광을 방지하도록 표유 수직 전자계로 부터 빔을 차폐한다. 시일드 컵(142)에는 수직 전자계로부터 방출하는 빔을 자폐하기 위해 강자성 분로 및 강화기가 제공된다. 가열된 캐소드에 근접하여 있기 때문에 온도 사이클링을 견디어내야 하는 그리드 전극(G1)은 저 열팽창 특성의 스테인레스 스틸(430)로 형성되어 있다. 이 물질은 또한 자기적으로 투과 가능하다.
정집중 자기(52)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총의 중간 부분에서 음극선관에 장착되어 있다. 정집중 자기들은 영구 자기들(즉, 정적 자계를 발생)이며, 텔레비전 수상관의 초기 설정시 3개 전자빔의 수렴을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주지된 장치에 있어서, SVM 코일들은 정집중 자기상에 직접 정착되며, 그 자기들을 편향 요크 라이너의 배면에 부착된 플라스틱 테이프와 같은 가소성 물질에 섞여진 강자성 분말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또한 정집중 자기들을 사용하는데, 예를 들면 바륨 페라이트 분말에 싸여진 플라스틱 테이프(52)의 형태로서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SVM 코일(100)은 정집중 자기(52)로부터 떨어져, 즉 빔축(42)을 따라 전방에 그리고 전자총(40)의 대부분의 금속 구조물에 대해 전방에 위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SVM 코일은 Z 축을 따라 주 수평 편향 코일의 평탄한 후단부 권선 와인딩(94)을 최소한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SVM 코일은 전자총의주 집속렌즈 포인트 앞과 코어(71)의 뒤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장치에서, SVM 코일에 의해 발생된 자계는 전자총의 대부분의 도전성 소자 및 강자성체와 상호작용을 하지 않는다. SVM 코일을 여기 시키는데 사용된 여분의 전류는 전자빔 경로로 들어가는 자기 플럭스를 발생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SVM 코일은 정집중 자기 또는 전자총(40)의 다른 전극상에 배치된다. SVM 구동회로의 여분의 유효 출력단자가 수평 빔 주사속도를 변경시키기 위해 설치되어, 전자 빔의 상승 및 하강시간을 보정하고 휘도의 변이 구간에서 디스플레이의 콘트라스트를 격심하게 한다.
SVM코일(100)은 전자총(40)의 전극들의 실질상 공지에 배치된다.
SVM코일(100)은 상부 코일 와인딩(102)과 하부 코일와인딩(104)을 가지며, 편향요크의 배면에 주 수평 편향 코일의 후위 권선으로 Z 축을 따라 에워 싸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주 수평 편향 와인딩의 권선은 겹쳐저 놓인 SVM 코일과 함께 음극선관의 표면(38)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SVM 코일은 수평 코일의 평탄한 후위 와인딩의 두께만큼 음극선관(30)(및 전자빔)로부터 이격져 있어야 한다. 이 방식에 있어서, SVM 코일은 구동 전류의 단위마다 빔 편향 거리를 발생시킨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SVM코일(100)은 편향 요크 라이너(72)의 배면에 있는 보빈(74)상에 장착된다. 상부 SVM코일부(102) 및 하부 SVM 코일부(104)는 병렬로 접속되어 있으며, 여기된 전류가 전자빔을 수평으로 편향시키도록 동작되는 수직방향의 자계에서 쌍극을 발생시킬 때 주 수평 편향 코일(90)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빔의 수평 주사속도를 효율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주 수평 편향 코일(90), SVM 코일 와인딩(102, 104) 및 정집중 자기 테이프(52)를 갖는 전자총(40)이 제3도에서 각 부분들이 Z축(42)을 따라 상대적 위치에 배치되고 빔축의 권선 반경으로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다.
수평 코일(90)의 와인딩은 편향 요크 라이너(72) (제3도에서는 도시생략)의 내측면을 따라 수행되며, 편향 요크 라이너의 깔때기 형상부를 따라 감겨지고 그 편향 코일의 후위 와인딩(94)에서 평면 구성으로 연장하는 루프를 형성한다. 코일에서 연속의 후단부 권선 도체들은 편향 요크가 배치될 때 음극선관의 표면상에 있는 코일의 면에 교대로 통과한다.
SVM 코일은 편향 요크의 배면에서 Z 축을 따라 수평 편향 코일의 평탄한 후위 와인딩을 둘러싼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SVM 코일은 시일드 컵(142)의 영역에서 최전단부의 전자총 구조물에 겹쳐질 수 있다.
그러나, SVM코일은 전자총의 본체를 둘러쌀 수는 없으며, 코어(71)의 후단부 또는 수직 편향 코일의 후단부에 유용하게 겹쳐지지 않는다.
SVM 감도는 주지된 SVM 코일 설비에 비하여 실질상 개선되어 있다.
이는 SVM 코일 장치를 비교적 낮은 전류 레벨에서 동작하도록 인에이블하고, 특히 순차 레스터 주사에 사용되는 2fH 주사 속도에서 구동 회로소자를 요구를 완화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SVM 코일의 증가된 감소로 인해, 2fH 주사속도에 있더라도 SVM 코일은 감소된 구동력을 갖는 회로소자 또는 부품 구성 요구조건에 의해 여기될 수 있다. 제 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신호(특히 휘도 레벨)는 주사 변조신호를 전개하는 SVM 미분기 및 전치 증폭기(122)에 연결된다. 비디오 신호는 또한 수직 및 수평 편향 코일(80,90)에 결합되어, 수직 및 수평 편향 회로를 적절히 동기화 한다. 미분기 및 전치 증폭기(122)는 직/병력 저항기(126)와 커패시터(128)에 의해 바이어스 되고 반대 극성에서 수행하도록 접속된 한쌍의 트랜지스터들(130)을 포함하는 SVM 회로의 구동 스테이지(124)에 푸시-풀(push-pull) 출력을 공급한다. 트랜지스터들(130) 사이에 결합된 구동기(124)의 출력은 커패시터(132)를 통해서 SVM 코일(100)에 교류 결합된다.
본 발명의 장치에서, SVM코일(100)의 상하부 와인딩(102, 104)은 약 6권선의 장방형 와인딩이며 편향 요크 라이너(72)의 후위에 있는 보빈(74)의 외면에 간단하게 테이프형(비 강 성)으로 되어 있다. 보빈(74)은 예를 들어 약 4.0cm의 외부 직경을 가지며, 상하부 SVM 코일 와인딩은 보빈둘레의 원주 부분을 감싸는 약 42mm ×25mm로 될 수 있다. SVM 코일 와인딩은 로빈의 원둘레, 즉 음극선과 주위에 90°이상을 차지하는데, 여기서는 약 120°를 차지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병렬의 두개 코일 화인딩은 약 0.15 Ω의 저항과 1.8 마이크로 헨리의 인덕턴스를 형성한다. 이 코일은 코일 여기전류의 암페어당 약 1.7mm 편향의 스크린 중심에서 동작 감소를 발생시켰다. 휘도에서 변이격심의 효과는 코일이 약 2.2m 의 최대 편향을 공급하도록 구동될 때, 즉 약 1.3.A의 최대 구동 전류에서 얻어진다.
본 발명은 특히 34V 16×9 종횡비의 수상관에서 유용하며, SVM 코일은 Z 축을 따라 집속되어 있다. SVM 코일은 수평 편향 요크의 최후단부 근처의 보빈(74)에 장착된다. 요크의 배면부는 실질상 정집중 자기(52)와 인접하여 있다. 편향 요크의 음극선관에 라이너를 부착하기 위한 클램프 아래에 있도록 단거리에 의해 후위로 돌출되어 있다. 약 3mm 만큼 라이너의 후위로 떨어지도록 정집중 자기 테이프(52)를 배치하는데, 이는 약 2.5cm의 폭이 된다. SVM 감도는 소형 배치를 유지하는 동안은 향상된다.

Claims (15)

  1. 후단부에 인접한 전자총(40)을 포함하여 상기 전자총으로부터 플레어부(36)을 지나서 전단부에 있는 스크린(34)으로 빔 경로를 따라 전자빔을 방출하는 음극선관(30)를 위한 주사 속도 변조장치(100)로서, 상기 전자빔 경로 위에 장착된 정집중 자기 어셈블리(52)와 ; 빔의 수직편향용 수직 편향 와인딩(80)과, 빔의 수평 편향용으로 상기 정집중 자기에 인접하여 배치된 후단부에서 권선(94)를 갖는 수평 편향 코일(90)을 포함하는 일차 편향 요크(70)을 구비하는 주사속도 변조장치에 있어서, 전자빔의 상기 수평 편향을 변경하기 위한 주사속도 변조코일(102, 104)을 구비하는데, 상기 주사속도 변조 코일은 상기 수평 편향 코일에 인접하여 상기 음극선관의 세로축을 따라 베치되고, 상기 두 코일중 하나는 다른 코일에 최소한 부분적으로 겹쳐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속도 변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편향 코일의 후위 권선은 상기 음극선관의 표면을 따라 위치 되어 상기 세로축을 따라 길이로 연장하는 플랫형 와인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 속도 변조 코일은 상기 수평 편향 코일의 후위권선에 최소한 부분적으로 겹쳐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위권선은 상기 주사속도 변조 코일과 상기 음극선관의 표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 속도 변조 코일은 상기 정집중 자기 어셈블리의 전방에 겹쳐지지 않고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편향 와인딩은 플레어부상의 코어(71)에 감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 속도 변조 코일의 상하부 코일부분은 상기 음극선관의 원주로 90°이상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 속도 변조 코일의 상하부 코일부분은 예비 집속전극(G3)을 포함하는 전자총의 전극 구조물 전방에 배열되어 있는 편향 요크 라이터(72)의 배면에 형성된 보빈(74)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부분은 최종 애노드 전극(G6)의 전방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편향 코일은 레스터의 순차 주사용에 적합한 주사 속도에서 여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편향 코일을 상기 수직 편향 와인딩으로부터 떨어져, 상기 전자빔의 새로축을 따라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주사 속도 변조 코일은 상기 수직 편향 와인딩의 후위로 배치되고 상기 전자총의 금속 구조물의 전방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 속도 변조 코일은 상기 스크린의 중심에서 변조 코일 전류의 암페어당 최소한 1.7mm의 편향의 감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빔의 수평 주사속도를 변경하기 위해 상기 주사 속도 변조 코일을 여기시키는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 속도 변조코일은 병렬로 접속된 상하부 코일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상하부 코일부분을 상기 세로축에 수직으로 쌍극자계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후단부에 인접한 전자총(40)을 포함하여 상기 전자총으로부터 플레어부(36)을 지나 전단부에 있는 스크린(34)으로 빔 경로를 따라 전자빔을 방출하는 음극선관(30)를 위한 주사속도 변조장치(100)로서, 상기 전자총 위에 장착된 정집중 자기 어셈블리(52)와 ; 빔의 수직 편향용 수직 편향 코일(80)과, 빔의 수평 편향용으로 상기 정집중 자기에 인접하여 배치된 후단부에 권선(94)을 갖는 수평 편향 코일(90)을 포함하는 일차 편향 요크(70)를 구비하는 주사 속도 변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집중 자기 어셈블리에 겹치지 않고 전방으로 상기 코어에 겹치지 않고 후방으로 상기 음극선관의 세로축을 따라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빔의 수평편향을 변경시키는 주사속도 변조 코일(102,104)과, 상기 전자빔의 수평 주사 속도를 변경시키는 상기 주사 변조코일을 여기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속도 변조장치.
KR1019910019811A 1990-11-09 1991-11-08 주사 속도 변조장치 KR1002217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0403183.8 1990-11-09
EP90403183A EP0484606B1 (en) 1990-11-09 1990-11-09 Scan velocity modulation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0722A KR920010722A (ko) 1992-06-27
KR100221711B1 true KR100221711B1 (ko) 1999-09-15

Family

ID=8205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9811A KR100221711B1 (ko) 1990-11-09 1991-11-08 주사 속도 변조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223769A (ko)
EP (1) EP0484606B1 (ko)
JP (1) JP3169658B2 (ko)
KR (1) KR100221711B1 (ko)
AT (1) ATE136711T1 (ko)
DE (1) DE69026507T2 (ko)
ES (1) ES2088423T3 (ko)
MY (1) MY10679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5054A (en) * 1992-10-09 1996-01-16 U.S. Philips Corporation Display tube having a deflection coil support and an auxiliary deflection coil support
SG52283A1 (en) * 1993-04-21 1998-09-28 Thomson Tubes & Displays Flexible auxiliary deflection coil
US6011527A (en) * 1993-12-22 2000-01-04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Correction of linearity errors
WO1995017763A1 (en) * 1993-12-22 1995-06-29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Correction of linearity errors
ATE157814T1 (de) * 1994-07-01 1997-09-15 Thomson Tubes & Displays Elektronenstrahl-ablenksystem für kathodenstrahlröhren
FR2741998A1 (fr) * 1995-12-05 1997-06-06 Thomson Tubes & Displays Unite magnetique de deflexion des faisceaux electroniques pour un tube a rayons cathodiques
US5712691A (en) * 1995-12-05 1998-01-27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rea dependent dynamic blue de-focusing
US6509936B1 (en) * 1996-11-01 2003-01-2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athode ray tube with magnetic coil for display enhancement
JP2000299793A (ja) * 1998-06-12 2000-10-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表示装置、垂直速度変調装置および映像表示方法
DE59809424D1 (de) * 1998-10-01 2003-10-02 Matsushita Display Devices Ger Farbfernsehgerät oder Farbmonitor mit SVM-Spule
JP2002008557A (ja) * 2000-06-19 2002-01-11 Toshiba Corp 陰極線管装置
KR100452756B1 (ko) 2000-07-24 2004-10-13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음극선관 장치
US20020030431A1 (en) * 2000-09-12 2002-03-14 Baran Anthony Stanley Apparatus for correcting static electron beam landing error
KR100778401B1 (ko) * 2001-05-08 2007-11-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선관용 전자총
ITMI20020501A1 (it) * 2002-03-08 2003-09-08 Videocolor Spa Dispositivo di deflessione per tubo a raggi catodici
JP3641257B2 (ja) * 2002-07-17 2005-04-20 株式会社東芝 投射型表示装置及び磁気シールド装置
JP2004288464A (ja) * 2003-03-20 2004-10-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陰極線管装置
JP2004355855A (ja) * 2003-05-27 2004-12-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偏向ヨークおよびカラー受像管装置
US6882096B2 (en) 2003-07-10 2005-04-19 Sony Corporation Active landing control system for raster based devices
US7138755B2 (en) 2003-09-12 2006-11-21 Matsushita Toshiba Picture Display Co., Ltd. Color picture tube apparatus having beam velocity modulation coils overlapping with convergence and purity unit and ring shaped ferrite core
US7119485B2 (en) * 2004-01-23 2006-10-10 Matsushita Toshiba Picture Display Co., Ltd. Cathode-ray tube apparatus
US7385341B2 (en) 2004-03-05 2008-06-10 Matsushita Toshiba Picture Display Co., Ltd. Cathode-ray tube apparatus with magnetic spacers between magnetic ring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300032A (nl) * 1983-01-06 1984-08-01 Philips Nv Inrichting voor het weergeven van televisiebeelden en afbuigeenheid daarvoor.
NL8301534A (nl) * 1983-05-02 1984-12-03 Philips Nv Inrichting voor het weergeven van televisiebeelden met een afbuigeenheid met comacorrecties.
US4665432A (en) * 1984-01-30 1987-05-12 Sharp Kabushiki Kaisha Video contour correction system
ES2084676T3 (es) * 1990-05-18 1996-05-16 Thomson Tubes & Displays Disposicion de bobinas de desviacion con arrollamientos de desviacion superpuesto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06792A (en) 1995-07-31
ATE136711T1 (de) 1996-04-15
DE69026507D1 (de) 1996-05-15
JP3169658B2 (ja) 2001-05-28
EP0484606B1 (en) 1996-04-10
ES2088423T3 (es) 1996-08-16
US5223769A (en) 1993-06-29
JPH05347131A (ja) 1993-12-27
KR920010722A (ko) 1992-06-27
DE69026507T2 (de) 1996-09-12
EP0484606A1 (en) 1992-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1711B1 (ko) 주사 속도 변조장치
US5621287A (en) Flexible auxiliary deflection coil
EP0250027B1 (en) Cathode ray tube having a magnetic focusing lens
US2769110A (en) Electron beam control means
US3571652A (en) Degaussing device for color picture tube having parallel-slitted beam-selecting grid
KR910001513B1 (ko) 텔레비젼 화상 표시 장치
JPH06283113A (ja) カラー受像管装置
US5923131A (en) Compensating device for raster distortion of CRT
EP0235856B1 (en) Cathode ray tube including means for vertically extending the spot
KR0140009Y1 (ko) 전자 집속방식 음극선관의 집속코일
US7119485B2 (en) Cathode-ray tube apparatus
US3387158A (en) Focus magnet assembly for cathode ray tubes
EP0198532A1 (en) Picture pick-up device
US5343113A (en) Cathode ray tube apparatus with reduced beam spot size
US6043598A (en) High resolution color picture tube having a small diameter neck
JP2003116019A (ja) 速度変調装置
KR100236894B1 (ko) 편향 코일을 오버랩하는 편향 요크 장치
EP0348912A2 (en)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KR100318613B1 (ko) 가요성보조편향코일
KR100228171B1 (ko) 음극선관 래스터 왜곡 보정장치
JP2003303559A (ja) 表示装置及び偏向ヨーク
JPH08203453A (ja) 偏向ヨーク装置
JPH0576022A (ja) カラー受像管装置
JP2003132820A (ja) 走査速度変調コイル、陰極線管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ション画像表示装置
JPH08287845A (ja) 投写形ブラウン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