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2756B1 - 음극선관 장치 - Google Patents

음극선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2756B1
KR100452756B1 KR10-2002-7003838A KR20027003838A KR100452756B1 KR 100452756 B1 KR100452756 B1 KR 100452756B1 KR 20027003838 A KR20027003838 A KR 20027003838A KR 100452756 B1 KR100452756 B1 KR 100452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panel
coil
electron gun
ray tube
cathode 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3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0287A (ko
Inventor
마츠오게이지
모리모토히로지
하야시아키라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30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0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2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27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01J29/707Arrangements intimately associated with parts of the gun and co-operating with external magnetic excitation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58Arrangements for focusing or reflecting ray or beam
    • H01J29/62Electrostatic lenses
    • H01J29/626Electrostatic lenses producing fields exhibiting periodic axial symmetry, e.g. multipolar fields
    • H01J29/628Electrostatic lenses producing fields exhibiting periodic axial symmetry, e.g. multipolar fields co-operating with or closely associated to an electron gu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01J29/702Convergence correction arrangements therefor
    • H01J29/705Dynamic converg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48Electron guns
    • H01J2229/4803Electrodes
    • H01J2229/4806Shield centering cu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56Correction of beam optics
    • H01J2229/568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 H01J2229/5681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magnetic
    • H01J2229/5687Auxiliary coils

Landscapes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펀넬(2)의 네크부(3) 내에 전자총(4)을 구비하고, 펀넬(2)의 외부면이며 전자총(4)보다도 전면 패널측에 수평 편향 코일(51) 및 수직 편향 코일(52)로 이루어지는 편향 요크(5)를 구비하고, 네크부(3)의 외부면에 속도 변조 코일(6)을 구비하는 음극선관 장치에 있어서, 속도 변조 코일(6)의 전면 패널측의 단부가 수평 편향 코일(51)의 전자총(4)측의 단부보다도 전자총(4)측에 위치하고, 또한 전자총(4)의 전면 패널측의 단부보다도 전면 패널측에 위치하도록 속도 변조 코일을 설치한다. 이에 의해, 속도 변조 코일(6)에 의한 속도 변조 자계(28)는 편향 자계와 간섭하지 않으며, 탑 유닛(27)에서 와전류에 기인하여 소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소망하는 속도 변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음극선관 장치{CATHODE-RAY TUBE}
도 3은 음극선관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음극선관 장치는 내면에 형광체 스크린면(8)을 갖는 전면 패널(1), 펀넬(funnel, 2), 펀넬(2)의 네크부(neck portion, 3)의 내부에 설치된 전자총(4)을 구비하는 음극선관, 펀넬(2)의 외부면이며 전자총(4)보다도 전면 패널(1)측에 설치된 수평 편향 코일과 수직 편향 코일을 구비하는 편향 요크(deflection yoke, 5), 네크부(3)의 외부면에 설치된 컨버전스 요크(convergence yoke, 7) 및 속도 변조 코일(6)을 구비하고 있다.
도 11은 네크부(3)의 측면도이다. 전자총(4, 단면도가 아님)은 음극(21), 제어 전극(G1 전극, 22), 가속 전극(G2 전극, 23), 집속 전극(G3 전극, 24), G4 전극(26)과 탑 유닛(27)으로 이루어지는 양극(25)이 순서대로 배열되어 구성된다. 탑 유닛(27)은 전자 빔 통과구멍이 설치된 저부와 원통부로 이루어지는 컵 형상의 부재이다. 음극(21)으로부터 주사된 전자 빔(9, 도 3에 도시함)은 전면 패널(1)의 내면에 형성된 형광체 스크린면(8)에 도달할 때까지 편향 요크(5), 속도 변조코일(6, 도 11에서는 편의상 실물에 근거하여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실제로는 후술하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형태를 취함) 및 컨버전스 요크(7)로부터 발생하는 교류 자계에 의해 궤도가 편향된다. 이 중 편향 요크(5)는 수평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수평 편향 코일(51)과 수직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수직 편향 코일(52)을 구비하고, 펀넬(2)의 원뿔부에 장착되며, 교류 자계를 발생하여 전자 빔 궤도를 편향시켜, 형광체 스크린면에 전자 빔을 주사한다. 컨버전스 요크(7)는 네크부(3)의 외측에 장착되고, 그 자계에 의해 3개의 전자 빔을 한점으로 모은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디스플레이 기술에서는 속도 변조 코일(6)에 의해서 자계 변조를 걸어, 전자 빔의 이른바 속도 변조를 행하여 포커스 성능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일본국 특개평 10-74465호 공보). 속도 변조 코일(6)은 컨버전스 요크(7)와 네크부(3)의 사이, 및 G3 전극(24)과 G4 전극(26)이 위치하는 곳에 배치되며, 교류 자계(28, 점선의 “원통”형상으로 도시됨)를 발생시켜 전자 빔의 주사 속도를 변조함으로써, 형광체 스크린면 상에서 고휘도부(high luminance portion)와 저휘도부(low luminance portion)를 실현하여 화상(畵像)을 샤프하게 한다.
전자 빔을 변조하기 위한 교류 자계(28)의 주파수는 화상 주파수와 동등한 ㎒ 오더에 미치기 때문에, 속도 변조 코일(6)을 도 11에 도시한 곳에 설치하는 경우, 스테인레스 스틸 등의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G3 전극(24) 및 G4 전극(26)에 의해서 교류 자계(28)가 약해지게 되어, 소망하는 전자 빔 변조를 얻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즉, 교류 자계(28)에 의해서 G3 전극(24) 및 G4 전극(26)에 와전류가 발생하여 교류 자계(28)가 손실된다.
종래, 딥 드로잉(deep drawing)에 의해 형성한 전극을 몇 개의 부분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전극의 사이에 극간을 설치하여 자계의 투과성을 개선하고 있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일본국 특개평 8-115684호 공보). 그러나, 전자총의 전극 사이의 거리가 크게 설계되면, 네크부의 내부에 침투하는 전위에 의해 형광체 스크린면 상에서 1점에 모아져 있는 3개의 전자 빔이 분리되어 실제 사용에 지장이 생기는 문제가 있다. 또, 조립시의 정밀도나 고비용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나, 분할한 각각의 전극의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각각의 부품을 너무 작게 할 수는 없기 때문에, 자계 투과성을 크게 개선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 일본국 특개평 5-347131호 공보에는, 속도 변조 코일을 수평 편향 코일과 겹쳐진 위치에 설치하고, 전자총 전극과 속도 변조 코일이 중첩하지 않은 부분을 만들어, 속도 변조 코일의 변조 감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 경우, 속도 변조 코일로부터의 교류 자계의 주파수는 화상 주파수보다 고주파의 ㎒ 오더에 미치기 때문에, 수평 편향 코일과 간섭을 일으키고, 텔레비젼 장치의 신호를 악화시켜서 화상이 악화되고, 실제 사용에 견디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음극선관 외부로부터의 속도 변조 자계의 투과를 방해하지 않고, 소망하는 전자 빔 변조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음극선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음극선관 장치는 전면 패널 및 펀넬과 상기 펀넬의 네크부 내에 설치된 전자총을 구비하는 음극선관과, 상기 펀넬의 외부면이며 상기 전자총보다도 상기 전면 패널측에 설치된 수평 편향 코일 및 수직 편향 코일을 구비하는 편향 요크와, 상기 네크부의 외부면에 설치된 속도 변조 코일을 갖는 음극선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속도 변조 코일의 상기 전면 패널측의 단부가 상기 수평 편향 코일의 전자총측의 단부보다도 전자총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전자총의 상기 전면 패널측의 단부보다도 상기 전면 패널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편향 요크의 수평 편향 코일과 속도 변조 코일이 음극선관 관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중첩해 있지 않기 때문에, 양쪽의 간섭에 의해 텔레비전 장치의 신호를 악화시켜서 화상이 악화되는 경우는 없다. 또, 속도 변조 코일의 전면 패널측의 적어도 일부가 전자총 전극의 스크린측의 선단과, 음극선관 관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중첩해 있지 않기 때문에, 속도 변조 코일로부터의 교류 자계의 와전류에 의한 손실을 적게 하여 소망하는 전자 빔 변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속도 변조 코일의 상기 전면 패널측의 단부와 상기 전자총의 상기 전면 패널측의 단부 사이의 음극선관 관축 방향의 거리가 상기 속도 변조 코일의 상기 관축 방향 길이의 1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속도 변조 코일로부터의 교류 자계의 와전류에 의한 손실을 적게 하여, 소망하는 전자 빔 변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속도 변조 코일의 상기 전면 패널측의 단부와 상기 전자총의 상기 전면 패널측의 단부 사이의 음극선관 관축 방향의 거리가 1〔㎜〕이상 1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속도 변조 코일로부터의 교류 자계의 와전류에 의한 손실을 적게 하여, 소망하는 전자 빔 변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전자총의 상기 전면 패널측의 단부의 부품이 원통 형상 부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통 형상 부품의 축 방향의 길이가 상기 원통 형상 부품의 외경의 10〔%〕이상 3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자총의 탑 유닛의 길이를 짧게 억제하면서, 강도의 저하, 음극선관 네크부의 내면에 도포된 도전막과 G3 전극 사이의 절연성의 저하 및 도전막의 전위의 메인 렌즈로의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또, 상기 원통 형상 부품의 원통부에 개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개구가 존재함으로써, 와전류의 전체량이 감소하여 충분한 손실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원통 형상 부품의 원통부의 상기 전면 패널측의 단부에 마디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마디부가 존재함으로써, 와전류의 전체량이 감소하여 충분한 손실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2 음극선관 장치는 전면 패널 및 펀넬과 상기 펀넬의 네크부 내에 설치된 전자총을 구비하는 음극선관과, 상기 펀넬의 외부면이며 상기 전자총보다도 상기 전면 패널측에 설치되는 수평 편향 코일 및 수직 편향 코일을 구비하는 편향 요크와, 상기 네크부의 외부면에 설치된 속도 변조 코일을 갖는 음극선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총의 상기 전면 패널측의 단부의 부품이 원통 형상부와, 상기 원통 형상부보다도 상기 전면 패널측에 설치된 코일 형상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속도 변조 코일의 상기 전면 패널측의 단부가 상기 수평 편향 코일의 전자총측의 단부보다도 전자총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전자총의 상기 원통 형상부의 상기 전면 패널측의 단부보다도 상기 전면 패널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코일 형상부에서의 와전류의 발생이 작고, 속도 변조 자계가 코일 형상부를 효율적으로 통과하기 때문에, 넓은 주파수 대역에 걸쳐서 소망하는 속도 변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코일 형상부의 인접 선재의 간격은 2.5〔㎜〕이하가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속도 변조 자계가 코일 형상부를 효율적으로 통과하기 때문에, 넓은 주파수 대역에 걸쳐서 소망하는 속도 변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코일 형상부의 인접 선재가 서로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원통 형상의 탑 유닛에 비해서 와전류의 발생이 작고, 속도 변조 자계가 코일 형상부를 통과하기 쉽게 되기 때문에, 넓은 주파수 대역에 걸쳐서 소망하는 속도 변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음극선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총 및 속도 변조 코일의 주변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음극선관 장치의 속도 변조 코일 부근의 단면 확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음극선관 장치의 속도 변조 코일을 도시하는 사시 투시도이다.
도 3은 음극선관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탑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탑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탑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탑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다른 탑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다른 탑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속도 변조 자계의 주파수와 속도 변조 감도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종래의 음극선관 장치의 속도 변조 코일 부근의 단면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음극선관 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전체의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요부인 속도 변조 코일의 주변부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음극선관 장치의 네크부 부근의 측면도이다. 전자총(4)의 기본 구조는 종래의 전자총과 동일하고, 음극(21), G1 전극(22), G2 전극(23), G2 전극(23)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G3 전극(24), G3 전극(24)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양극 전극(25)을 갖는다. 양극 전극(25)은 G3 전극(24)과의 사이에 메인 렌즈를 형성하는 G4 전극(26)과, G4 전극(26)의 형광체 스크린면측에 설치된 전자총(4)을 지지하여 고전압을 인가시키기 위한 원통 형상 탑 유닛(「원통 형상 부품」, 27)을 구비하고 있다. 탑 유닛(27)은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진다. G2 전극(23)에는 1〔㎸〕정도의 전압이, G3 전극(24)에는 5∼10〔㎸〕정도의 전압이, G4 전극(26)에는 20∼35〔㎸〕정도의 전압이 각각 인가된다. 탑 유닛(27)에는 직사각형의 중앙 스프링(29)이 스크린면측에 돌출하도록 하고, 대략 같은 각도 간격으로 떨어져셔 복수 개(본 실시예에서는 3개)가 설치되어 있다. 중앙 스프링(29)은 네크부(3)의 내면과 접촉하여 전자총(4)을 지지하는 동시에, 네크부(3)의 내면 상에 형성된 도전막(도시하지 않음)과 도통하고, 탑 유닛(27)을 통해서 G4 전극(26)에 상기의 전압을 인가한다.
펀넬(2)의 외부면을 따라서, 편향 요크(5, 간략화하여 도시함)가 설치된다. 편향 요크(5)는 전자 빔을 수평 방향으로 편향하는 수평 편향 코일(51)과 수직 방향으로 편향하는 수직 편향 코일(52)을 구비하고 있다.
속도 변조 코일(6, 도 11과 동일, 실물에 근거하여 도시되지 않음)의 전면 패널(1)측의 단부는 수평 편향 코일(51)의 전자총(4)측의 단부보다도 전자총(4)측에 위치하고, 또한, 전자총(4)의 전면 패널(1)측의 단부보다도 전면 패널(1)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전자총(4)의 전면 패널(1)측의 단부」라는 것은 본 실시예에서는 탑 유닛(27)의 전면 패널(1)측의 단부를 의미하고, 중앙 스프링(29)은 고려하지 않는다. 수평 편향 코일(51)과 속도 변조 코일(6)의 사이에는 절연을 유지하기 위해 최저의 거리를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양쪽의 코일이 절연 피복되어 있는 경우에는 인접해 있어도 좋다.
도 2는 네크부(3)의 사시도이고, 속도 변조 코일(6)의 형상과 네크부(3)에 장착되어 있는 모양을 나타낸다. 속도 변조 코일(6)은 네크부(3)의 상하에 하나씩 네크부(3)를 따르도록 설치되어 있다.
속도 변조 코일(6)의 전면 패널(1)측의 단부와, 탑 유닛(27)의 전면 패널(1)측의 단부 사이의 음극선관 관축 방향의 거리를 a로 하면(도 1 중, 치수선으로 나타냄), 이 거리(a)가 클수록 G3 전극(24)이나 양극 전극(25)에서 발생하는 와전류에 의한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거리(a)를 1〔㎜〕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리(a)를 3〔㎜〕이상으로 하면 손실은 더욱 저감된다. 단, 10〔㎜〕을 넘으면 네크부를 길게 하지 않을 수 없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거리(a)는 속도 변조 코일(6)의 음극선관 관축 방향 길이의 10〔%〕이상이면 충분한 손실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탑 유닛(27)의 외경은 네크부(3)의 외경이 Ø32.5〔㎜〕인 경우에서 24.4〔㎜〕정도, 네크부(3)의 외경이 Ø29.1〔㎜〕인 경우에서 22.3〔㎜〕정도, 네크부(3)의 외경이 Ø22.5〔㎜〕인 경우에서 15.3〔㎜〕정도이다. 탑 유닛(27)의 음극선관 관축 방향의 길이는 종래 약 10〔㎜〕인 것에 반해서, 본 발명에서는 약 5〔㎜〕이다. 탑 유닛(27)의 바람직한 길이는 탑 유닛(27)의 외경의 10〔%〕이상 30〔%〕이하의 범위이다. 탑 유닛(27)이 너무 짧으면, 탑 유닛(27)의 강도의 저하, 네크부(3)의 내면에 도포된 도전막(도시하지 않음)과 G3 전극(24)의 사이의 절연성의 저하, 도전막의 전위의 메인 렌즈로의 악영향이라는 수많은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역으로 탑 유닛(27)이 너무 길면, 거리(a)가 짧아지고, 손실 저감 효과가 저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도 10은 본 발명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속도 변조 자계의 주파수와 속도 변조 감도의 관계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세로축의 「속도 변조 감도」라는 것은 어느 일정한 파워(전류)를 속도 변조 코일에 입력한 경우에, 전자 빔의 궤도가어느 정도 변화하였는지를 나타내고, 형광체 스크린면 상에서의 전자 빔의 도달 위치가 가로 방향으로 어느 정도 변화하였는지를 상대적으로 나타낸다. 이 값이 클수록 자계 변조의 효과가 크다. 도 10에 있어서, 곡선(a)은 속도 변조 코일(6)을 도 11에 도시하는 위치에 설치한 종래의 음극선관 장치의 경우를, 곡선(b)는 본 발명의 경우를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하면, 넓은 주파수 대역에 걸쳐서 종래의 것보다도 큰 속도 변조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알았다.
(제2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탑 유닛의 원통부(원통면 부분)에 개구가 설치되어 있다. 그 외의 부분의 구조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4는 탑 유닛(27)의 사시도이다. 탑 유닛(27)의 원통부에 장변 3〔㎜〕, 단변 0.5〔㎜〕의 직사각형의 개구(61)가 4개 설치되어 있다. 개구(61)의 위치는 수평 편향 방향 및 수직 편향 방향에 대해서 대칭의 위치이다.
본 실시예의 효과를 도 10의 곡선(c)으로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넓은 주파수 대역에 걸쳐서 제1 실시예의 경우(곡선 b)와 비교하여 보다 큰 속도 변조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알았다. 이것은 개구(61)가 존재함으로써 와전류의 전체량이 감소하여 충분한 손실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제3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탑 유닛의 원통부(원통면 부분)의 전면 패널측의 선단에 마디부가 설치되어 있다. 그 외의 부분의 구조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5는 탑 유닛(27)의 사시도이다. 탑 유닛(27)의 원통부의 선단에 장변(깊이) 3〔㎜〕, 단변 0.5〔㎜〕의 직사각형의 마디부(71)가 4개 설치되어 있다. 마디부(71)의 위치는 수평 편향 방향 및 수직 편향 방향에 대해서 대칭의 위치이다.
본 실시예의 효과를 도 10의 곡선(d)으로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넓은 주파수 대역에 걸쳐서 제1 실시예의 경우(곡선 b)와 비교하여 보다 큰 속도 변조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알았다. 이것은 마디부(71)가 존재함으로써, 와전류의 전체량이 감소하여 충분한 손실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마디부(71)를 설치함으로써, 제2 실시예의 개구(61)와 비교하여 와전류의 루프를 작게 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 탑 유닛은 원통 형상부 및 코일 형상부로 이루어진다. 또, 속도 변조 코일(6)의 위치가 상기의 각 실시예와 다르다는 특징을 갖는다.
도 6은 탑 유닛(27)의 사시도를, 도 7은 탑 유닛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탑 유닛(27)은 원통 형상부(82)와, 원통 형상부(82)보다도 전면 패널(1, 도시하지 않음)측에 설치된 코일 형상부(81)로 이루어진다. 속도 속도 코일(6)의 위치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속도 변조 코일(6)의 전면 패널(1)측의 단부가 수평 편향 코일(51)의 전자총(4)측의 단부보다도 전자총(4)측에 위치하고, 또한 탑 유닛(27)의 원통 형상부(82)의 전면 패널(1)측의 단부보다도 전면 패널(1)측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거리(a)는 탑 유닛(27)의 선단부가 아닌, 원통 형상부(82)의 선단부를 기준으로 측정된다. 바람직한 거리(a) 값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코일 형상부(81)의 선재의 두께는 0.3〔㎜〕이다. 인접하는 선재의 간격은 0∼2.5〔㎜〕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인접하는 선재의 간격이 2.5〔㎜〕인 경우에 있어서의 본 실시예의 효과를 도 10의 곡선(e)으로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넓은 주파수 대역에 걸쳐서 제1 실시예의 경우(곡선 b)와 비교하여 보다 큰 속도 변조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알았다. 이것은 코일 형상부(81)에서의 와전류에 의한 손실이 작고, 속도 변조 자계가 코일 형상부(81)를 효율적으로 통과하기 때문이다.
또한, 인접하는 선재의 간격이 0〔㎜〕일 때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선재가 접촉하게 되지만, 이와 같은 경우에도 완전히 이음매가 없는 원통 형상인 경우, 예를 들면 한 장의 판재를 딥 드로잉 가공한 경우와 비교하여, 충분히 큰 변조 자계의 투과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보다 큰 변조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인접하는 선재의 사이에 약간이라도 간격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인접하는 선재의 간격이 2.5〔㎜〕보다 크면 외부 자계의 영향을 받기 쉽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상, 본 발명을 컬러 음극선관 장치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모노크롬 음극선관 장치에 적용해도 좋다.
이상에 설명한 실시예는 모두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명확하게 하는 의도의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체예에만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은 아니고, 그 발명의 정신과 청구의 범위에 기재하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을 넓은 의미로 해석해야 한다.

Claims (9)

  1. 전면 패널 및 펀넬과 상기 펀넬의 네크부 내에 설치된 전자총을 구비하는 음극선관과, 상기 펀넬의 외부면이며 상기 전자총보다도 상기 전면 패널측에 설치된 수평 편향 코일 및 수직 편향 코일을 구비하는 편향 요크와, 상기 네크부의 외부면에 설치된 속도 변조 코일을 갖는 음극선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총은 상기 전면 패널측으로부터 순서대로 G4 전극과 G3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G4 전극과 상기 G3 전극의 사이에서 메인 렌즈가 형성되고,
    상기 속도 변조 코일의 상기 전면 패널측의 단부가 상기 수평 편향 코일의 전자총측의 단부보다도 전자총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전자총의 상기 전면 패널측의 단부보다도 상기 전면 패널측에 위치하고,
    음극선관의 관축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속도 변조 코일과 상기 G4 전극이 대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변조 코일의 상기 전면 패널측의 단부와 상기 전자총의 상기 전면 패널측의 단부 사이의 음극선관 관축 방향의 거리가 상기 속도 변조 코일의 상기 관축 방향 길이의 1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변조 코일의 상기 전면 패널측의 단부와 상기 전자총의 상기 전면 패널측의 단부 사이의 음극선관 관축 방향의 거리가 1〔㎜〕이상이며 1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총의 상기 전면 패널측의 단부의 부품이 원통 형상 부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통 형상 부품의 축 방향의 길이가 상기 원통 형상 부품의 외경의 10〔%〕이상이며 3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 형상 부품의 원통부에 개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 형상 부품의 원통부의 상기 전면 패널측의 단부에 마디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장치.
  7. 전면 패널 및 펀넬과 상기 펀넬의 네크부 내에 설치된 전자총을 구비하는 음극선관과, 상기 펀넬의 외부면이며 상기 전자총보다도 상기 전면 패널측에 설치된 수평 편향 코일 및 수직 편향 코일을 구비하는 편향 요크와, 상기 네크부의 외부면에 설치된 속도 변조 코일을 갖는 음극선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총의 상기 전면 패널측의 단부의 부품이, 원통 형상부와, 상기 원통 형상부보다도 상기 전면 패널측에 설치된 코일 형상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속도 변조 코일의 상기 전면 패널측의 단부가 상기 수평 편향 코일의 전자총측의 단부보다도 전자총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전자총의 상기 원통 형상부의 상기 전면 패널측의 단부보다도 상기 전면 패널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형상부의 인접하는 선재의 간격이 2.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형상부의 인접하는 선재가 서로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장치.
KR10-2002-7003838A 2000-07-24 2001-07-11 음극선관 장치 KR1004527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22300 2000-07-24
JP2000222300 2000-07-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0287A KR20020030287A (ko) 2002-04-24
KR100452756B1 true KR100452756B1 (ko) 2004-10-13

Family

ID=18716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3838A KR100452756B1 (ko) 2000-07-24 2001-07-11 음극선관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14157B2 (ko)
EP (1) EP1233439B1 (ko)
KR (1) KR100452756B1 (ko)
CN (1) CN100367444C (ko)
DE (1) DE60131134T2 (ko)
WO (1) WO20020091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03429B (en) * 2000-06-19 2002-09-2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Color cathode ray tube and electron gun
US7158888B2 (en) 2001-05-04 2007-01-02 Takeda San Diego, Inc. Determining structures by performing comparisons between molecular replacement results for multiple different biomolecules
KR100778497B1 (ko) * 2001-05-15 2007-11-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405211B1 (ko) * 2001-06-27 2003-11-12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향요크 장치
JP2004200089A (ja) * 2002-12-20 2004-07-15 Hitachi Ltd 陰極線管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004349000A (ja) * 2003-05-20 2004-12-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銃、陰極線管装置
US7119485B2 (en) 2004-01-23 2006-10-10 Matsushita Toshiba Picture Display Co., Ltd. Cathode-ray tube apparatus
KR100761144B1 (ko) 2005-08-18 2007-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극선관
CN1976388B (zh) * 2006-12-15 2012-03-14 康佳集团股份有限公司 显像管的图像扫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026507T2 (de) 1990-11-09 1996-09-12 Thomson Tubes & Displays Gerät zur Modulation der Abtastgeschwindigkeit
US5485054A (en) * 1992-10-09 1996-01-16 U.S. Philips Corporation Display tube having a deflection coil support and an auxiliary deflection coil support
JPH0847005A (ja) * 1994-08-03 1996-02-16 Sony Corp 電子ビームランディング状態検出方法
JPH08115684A (ja) * 1994-10-14 1996-05-07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子銃
EP0787353B1 (en) * 1995-08-18 1999-06-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lour cathode ray tube having a centring cup
US6133685A (en) 1996-07-05 2000-10-17 Matsushita Electronics Corporation Cathode-ray tube
JP3552860B2 (ja) * 1996-07-05 2004-08-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陰極線管
JPH10255689A (ja) * 1997-03-11 1998-09-25 Mitsubishi Electric Corp 偏向ヨーク
CN1212451A (zh) * 1997-09-25 1999-03-31 三星电管株式会社 彩色阴极射线管电子枪
JPH11135031A (ja) * 1997-10-30 1999-05-21 Hitachi Ltd カラー陰極線管
JPH11162372A (ja) * 1997-11-28 1999-06-18 Sony Corp 電子銃
JP2000299793A (ja) * 1998-06-12 2000-10-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表示装置、垂直速度変調装置および映像表示方法
JP3546729B2 (ja) * 1998-12-21 2004-07-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銃、電子銃の製造方法、陰極線管装置
JP2001088067A (ja) * 1999-09-27 2001-04-03 Ando Electric Co Ltd オートハンドラ、そ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131134D1 (de) 2007-12-13
DE60131134T2 (de) 2008-02-21
CN100367444C (zh) 2008-02-06
EP1233439A4 (en) 2006-08-02
KR20020030287A (ko) 2002-04-24
CN1386293A (zh) 2002-12-18
US20020153825A1 (en) 2002-10-24
EP1233439A1 (en) 2002-08-21
WO2002009139A1 (fr) 2002-01-31
EP1233439B1 (en) 2007-10-31
US6614157B2 (en) 2003-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33099B2 (ko)
KR100452756B1 (ko) 음극선관 장치
JP3546729B2 (ja) 電子銃、電子銃の製造方法、陰極線管装置
EP0178857B1 (en) Electron gun
US5621286A (en)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improved focus
KR0145214B1 (ko) 컬러음극선관
US6787977B2 (en) Electron gun for cathode-ray tub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6617777B2 (en) Electron gun for cathode ray tube
KR100436185B1 (ko) 음극선관
KR910001400B1 (ko) 비임 형성 영역을 가진 음극 선관용 전자총
CA1253561A (en) Picture pick-up device and television camera tube
KR100728190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JP2002110069A (ja) 陰極線管装置
US6479951B2 (en)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KR100778401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422045B1 (ko) 편향요크
KR100426569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JPH10199442A (ja) 陰極線管
EP1480248A2 (en) Electron gun and cathode ray tube device
JPH10188843A (ja) 陰極線管
JP2000057963A (ja) 陰極線管用電子銃
JPH07118280B2 (ja) 陰極線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