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8171B1 - 음극선관 래스터 왜곡 보정장치 - Google Patents

음극선관 래스터 왜곡 보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8171B1
KR100228171B1 KR1019960034147A KR19960034147A KR100228171B1 KR 100228171 B1 KR100228171 B1 KR 100228171B1 KR 1019960034147 A KR1019960034147 A KR 1019960034147A KR 19960034147 A KR19960034147 A KR 19960034147A KR 100228171 B1 KR100228171 B1 KR 100228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ode ray
deflection
ray tube
raster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4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4953A (ko
Inventor
엄재식
Original Assignee
김영남
오리온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남, 오리온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남
Priority to KR1019960034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8171B1/ko
Publication of KR19980014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4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8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81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01J29/702Convergence correction arrange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구조상 편향되어 주사되는 전자빔이 음극선관의 주변부에서 편향의 흔들림이 최대로 되어 래스터를 왜곡시키는 것을 보정하는 음극선관 래스터 왜곡 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장치는 보빈(21)의 전방으로 자계집속을 위한 코아(22) 및 수평수직편향 자계를 형성하는 편향코일(23)을 지지하고 있는 편향요크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보빈(21)의 전방면으로는 소정의 자기력을 지닌 4개의 자편(24)들이 일정한 반경의 원주 상에서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편향코일(23)과도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편향요크조립체에 소정의 자편을 적절히 장착시킴으로써, 음극선관의 주변부에서 편향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음극선관 전면판넬 상의 래스터가 실패형으로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직 및 수평 편향코일을 단순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극선관 래스터 왜곡 보정장치
본 발명은 칼라 수상관(또는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음극선관의 구조상 편향되어 주사되는 전자빔이 음극선관의 주변부에서 편향의 흔들림이 최대로 되어 래스터를 왜곡시키는 것을 보정하는 음극선관 래스터 왜곡 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극선관은 판넬(panel) 및 펀넬(funnel)을 접합한 진공 벌브(bulb) 구조이며,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서 전방 및 후방으로는 각각 새도우마스크(15) 및 전자총조립체(12)가 장착되고 그 외부에서 전자총조립체(12)의 전방으로는 편향요크조립체(13)가 장착됨으로써 음극선관조립체(10)로서 완성된다.
전자총조립체(12)은 음극(도시 생략)과 다수의 렌즈(도시 생략)로 구성되는데, 음극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14)은 각종 렌즈계에 의해 집속되고 가속되며, 양극을 통해 인가되는 고전압에 의해 크게 가속된 후 편향요크조립체(13)에 의해 편향되어 새도우마스크(15)에 도달한다.
무수한 미세공이 형성된 새도우마스크(15)에서 각각의 애퍼처(또는 슬로트)를 차례로 통과하는 전자빔(14)은 전면판넬(11)의 내면에 형성된 형광면에 주사되어 RGB로 구성되는 형광체를 여기시킴으로써 상기 애퍼처에 대응하는 각각의 화소를 형성한다.
이러한 음극선관의 구조에 의해 전자빔(14)은 음극선관의 중앙부를 편향 중심으로 하면 그 주변부로 갈수록 편향되는 각도가 커진다. 이에 따라 전자빔(14)은 음극선관의 4코너부에서 편향의 흔들림이 최대로 되어 편향요크조립체(13)에 의해 편향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래스터가 실패형으로 찌그러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편향요크조립체에 소정의 수단을 추가로 구비시켜 음극선관의 주변부에서 편향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래스터가 실패형으로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는 음극선관 래스터 왜곡 보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칼라음극선관을 부분단면으로 나타내는 예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조립체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X-X에 대한 단면도.
제4도는 종래 및 본 발명의 래스터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음극선관조립체 11 : 전면판넬
12 : 전자총조립체 13 : 편향요크조립체
14 : 전자빔 15 : 새도우마스크
21 : 보빈 22 : 코아
23 : 편향코일 24 : 자편(磁片)
25 : 조임밴드 26 : 조임나사
R : 래스터(종래) R' : 래스터(본 발명)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보빈(21)의 전방으로 자계집속을 위한 코아(22) 및 수평수직편향 자계를 형성하는 편향코일(23)을 지지하고 있는 편향요크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보빈(21)의 전방면으로는 소정의 자기력을 지닌 4개의 자편(24)들이 일정한 반경의 원주 상에서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편향코일(23)과도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래스터 왜곡 보정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자편(24)들은 코아(22)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 및 수평선으로 부터 상호 대칭되는 지점에서 배치되고,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볼 때 N-S극이 반복되도록 형성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조립체를 나타내는 측면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편향요크조립체도 종래와 마찬가지로 보빈(21)코아(22)편향코일(23) 등을 주요 구성품으로 한다. 이러한 편향요크조립체는 조임밴드(25) 및 조임나사(26)에 의해 음극선관 후단의 펀넬부에 장착된다.
편향코일(23)은 수평코일 및 수직코일로 구성되고, 각각 전자빔(14)(제1도)을 수평 및 수직편향 시키는 자계를 형성한다.
코아(22)는 통상적으로 페라이트 재질을 사용하며 편향코일(23)에 의한 자계를 집속한다.
보빈(21)은 수평코일 및 수직코일을 분리시키고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그 후단으로 상기 조임밴드(25) 및 조임나사(26)가 장착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보빈(21)의 전방면으로는 소정의 자기력을 지닌 4개의 자편(24)들을 일정한 반경의 원주 상에서 등간격으로 배치한다. 자편(24)들은 상기 편향코일(23)과도 접촉되지 않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자편(24)은 막대형태의 영구자석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전자석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3도는 제2도의 X-X에 대한 단면도가 도시된다.
상기 자편(24)들의 배치상태를 살펴보면, 코아(22)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 및 수평선으로 부터 상호 대칭되는 지점에서 배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음극선관의 전면판넬(11)(제1도 참조) 상에서 4코너부의 위치에 해당하는 지점에 오도록 배치되는 셈이다.
자편(24)들의 자극배치는 도시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볼 때 N-S극이 반복되는 형태이다.
한편, 이러한 자편(24)은 보빈(21)의 성형시 정위치에 몰드되도록 할 수도 있고, 도시에는 없으나 자편(24)들이 설치되는 원주상에서 미소거리 만큼 가변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음극선관 내부의 온도 변화에 의한 보빈(21)의 열변형을 고려하면 후자의 가변 고정방식이 바람직하다.
제4도는 종래 및 본 발명의 래스터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상태도가 도시된다.
도시에서는 전면판넬(11)(제1도 참조)을 바라 볼 때 래스터(R)의 형성상태를 도시하는 바, 전면판넬(11)의 그 주변부로 갈수록 편향되는 각도가 커짐에 따라 전자빔(14)은 음극선관의 4코너부에서 편향의 흔들림이 최대로 되어 실패형으로 왜곡되는 래스터(R)를 볼 수 있다.
이때, 편향코일(23)의 주변에 배치되는 자편(24)은 음극선관의 4코너부로 편향되는 전자빔에 소정의 자기력을 작용한다.
본 발명이 도시에서 화살표와 같은 방향의 자기력을 작용 위해 외부에서 인가해야 되는 자기장의 방향은 플레밍(Fleming)의 왼손 법칙으로 판단된다. 전류의 방향이 전면판넬(11)의 내부로 향하는 방향이고, 자기장의 방향은 N→S 방향이므로, 자기력의 방향은 화살표와 같이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음극선관의 4코너부에서 전자빔은 중심으로 압축되어 점선으로 표시한 래스터(R')와 같이 왜곡되는 현상이 소멸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음극선관 래스터 왜곡 보정장치는 래스터의 실패형 찌그러짐을 방지하는 종래의 보정회로 수단과 병용할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이러한 보정회로를 생략할 수도 있다.
이상의 실시예를 볼 때, 본 발명의 음극선관 래스터 왜곡 보정장치는 편향요크조립체에 소정의 자편을 적절히 장착시킴으로써, 음극선관의 주변부에서 편향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음극선관 전면판넬 상의 래스터가 실패형으로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 이러한 보정수단에 의해 수직 및 수평 편향코일의 형태와 분포에 있어 고정도를 요하지 않으므로 편향코일을 단순화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2)

  1. 보빈(21)의 전방으로 자계집속을 위한 코아(22) 및 수평수직편향 자계를 형성하는 편향코일(23)을 지지하고 있는 편향요크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보빈(21)의 전방면으로는 소정의 자기력을 지닌 4개의 자편(24)들이 일정한 반경의 원주 상에서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편향코일(23)과도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래스터 왜곡 보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편(24)들은 코아(22)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 및 수평선으로 부터 상호 대칭되는 지점에서 배치되고,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볼 때 N-S극이 반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래스터 왜곡 보정장치.
KR1019960034147A 1996-08-19 1996-08-19 음극선관 래스터 왜곡 보정장치 KR100228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4147A KR100228171B1 (ko) 1996-08-19 1996-08-19 음극선관 래스터 왜곡 보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4147A KR100228171B1 (ko) 1996-08-19 1996-08-19 음극선관 래스터 왜곡 보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953A KR19980014953A (ko) 1998-05-25
KR100228171B1 true KR100228171B1 (ko) 1999-11-01

Family

ID=19469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4147A KR100228171B1 (ko) 1996-08-19 1996-08-19 음극선관 래스터 왜곡 보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817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953A (ko) 199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201347A (ja) カラーディスプレイ管システム
US4257023A (en) Deflecting device for cathode-ray tube
EP0250027B1 (en) Cathode ray tube having a magnetic focusing lens
US4556821A (en) Color image display system having an improved external magnetic shield
KR100251601B1 (ko) 감소된 스폿 성장을 갖는 컬러 디스플레이 튜브 시스템
EP0232948B1 (en) Device for displaying television pictures and deflection unit therefor
KR100228171B1 (ko) 음극선관 래스터 왜곡 보정장치
KR950004627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US2707246A (en) Combination focusing-ion trap structures for cathode-ray tubes
KR910001400B1 (ko) 비임 형성 영역을 가진 음극 선관용 전자총
US3316432A (en) Cathode ray tube electron gun mount with unitary magnetic centering and gettering means
US5157302A (en) Color picture tube device with static convergence adjuster
KR970003373A (ko) 칼라 crt
US4970429A (en) Picture pick-up device and television camera tube
KR100240100B1 (ko) 음극선관장치의 래스터 일그러짐 보정장치
JP3528526B2 (ja) カラー受像管装置
KR950003512B1 (ko) 코마 보정 칼라 텔레비젼 표시관
EP0235856B1 (en) Cathode ray tube including means for vertically extending the spot
KR920006867Y1 (ko) 편향 요크의 자성편의 취부구조
KR100219701B1 (ko) 편향요오크
KR100201523B1 (ko) 칼라 디스플레이 튜브 시스템
JPH026188B2 (ko)
KR810000017B1 (ko) 자동적으로 집중되는 칼라 텔레비젼 표시장치
US6744190B2 (en) Cathode ray tube with modified in-line electron gun
KR100228159B1 (ko) 칼라 수상관용 전자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