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0908B1 - 전기압력밥솥 - Google Patents

전기압력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0908B1
KR100220908B1 KR1019970005022A KR19970005022A KR100220908B1 KR 100220908 B1 KR100220908 B1 KR 100220908B1 KR 1019970005022 A KR1019970005022 A KR 1019970005022A KR 19970005022 A KR19970005022 A KR 19970005022A KR 100220908 B1 KR100220908 B1 KR 100220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body
coupled
hole
electric pressure
base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5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8435A (ko
Inventor
하동규
Original Assignee
정담
주식회사노비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담, 주식회사노비타 filed Critical 정담
Priority to KR1019970005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0908B1/ko
Publication of KR19980068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8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0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0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압력밥솥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상, 하부몸체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 전기압력밥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용기와, 상기 용기가 수납되며 상부가 개방되어서 뚜겅이 결합된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내부에 결합되어서 상기 용기를 지지하는 베이스팬과, 상기 베이스팬이 결합된 상기 상부몸체의 저면에 결합되는 하부몸체로 이루어진 전기압력밥솥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로 돌출되며, 체결부재가 체결되도록 제1체결부재공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표시봉이 상부로 돌출된 결합안내부재와; 상기 결합안내부재가 형성된 상기 하부몸체와 상기 베이스팬이 조립될 경우 상기 하부몸체와 상기 베이스팬이 정위치에 견고하게 조립되도록 상기 결합안내부재에 대응되는 상기 베이스팬에 형성되며, 상기 표시봉을 수용하는 표시공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1체결부재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관통공이 형성된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가 형성된 상기 베이스팬과 상기 하부몸체 그리고 상기 상부몸체를 상기 체결부재로서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부의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상부몸체의 내부에 형성된 결합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전기압력밥솥
본 발명은 전기압력밥솥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상, 하부몸체를 용히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시 제조공정의 단축으로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압력밥솥에 관한 것이다.
전기압력밥솥이란, 취사중에 발생되는 증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쌀이 담기는 용기를 밀폐시켜서 취사를 하는 장치를 말한다. 취사중에 발생되는 증기가 누설되지 않으면 용기의 내부는 고압이 되는데, 용기의 내부가 고입이 되면 용기 내부에 담긴 물의 끓는 점이 상승된다.
쌀은 그 전분질(澱粉質)이 알파화되는 비율이 높을 수록 단맛이 많아지며 전분질이 알파화되는 비율은 물의 온도가 100℃에 가까울수록 높아지고 물의 온도가 100℃ 이상이 되면 더욱 더 높아진다. 이와같이 쌀의 전분질을 더욱 더 많이 알파화하기 위하여 증기가 누설되지 못하도록 용기 내부를 밀폐시키는 것이다. 즉, 용기내부에 담겨있는 물의 끓는 점을 높이기 위하여 용기 내부를 밀폐시키는 것이다.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을 제1도에 도시하였는데, 이의 결합방법을 간단히 설명한다. 뚜껑(8)이 결합된 상부몸체(10a)의 내측상면에 외용기(1)의 상단에 끼워서 회전시켜 결합하고, 몸체링(2)을 상부몸체(10a)의 내측하면에 끼워서 결합한다. 그리고 외용기(1)의 저면 내측에 열판(3)을 위치시키고, 열판(3)과 몸체링(2)을 지지지하도록 베이스플레이트(4)를 위치시켜 베이스플레이트(4)와 열판(3)을 나사(5)로 체결한다. 그러면 외용기(1)와 몸체링(2)과 열판(3) 및 베이스플레이트(4)를 단열구(6)을 사용하여 나사(7)로 결합하면 상, 하부몸체(10a)(10b)가 일체로 되면서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은 그 조립공정이 복잡한 단점이 있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부 몸체에 외용기와 열판과 베이스플레이트를 일차적으로 결합한 후, 하부몸체를 베이스플레이트와 결합한다. 즉, 몸체 내부에 내장되는 부품을 먼저 상부몸체에 결합한 다음 하부몸체를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하므로 그 조립공장이 2원화되게 되므로써 조립시 조립공정의 복잡화로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 하부몸체 내부에 부품을 위치시키고 상, 하부몸체를 결합하면 상부몸체와 부품과 하부몸체를 결합할 수 있는 그 조립공정이 간단하여 제조시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압력밥솥을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종래 전기압력밥솥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주요부품을 분해하여서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3(a)도 및 제3(b)도는 제2도의 "P"부 및 "Q"부의 확대도.
제4도는 제3(a)도의 III-III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몸체 110 : 뚜껑
120 : 용기 130 : 베이스팬
140 : 결합안내부재 150 : 삽입부
160 : 결합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용기와, 상기 용기가 수납되며 상부가 개방되어서 뚜껑이 결합된 상부 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내부에 결합되어서 상기 용기를 지지하는 베이스팬과, 상기 베이스팬이 결합된 상기 상부몸체의 저면에 결합되는 하부몸체로 이루어진 전기압력밥솥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로 돌출되며, 체결부재가 체결되도록 제1체결부재공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표시봉이 상부로 돌출된 결합안내부재와; 상기 결합안내부재가 형성된 상기 하부몸체와 상기 베이스팬이 조립될 경우 상기 하부몸체와 상기 베이스팬이 정위치에 견고하게 조립되도록 상기 결합안내부재에 대응하는 상기 베이스팬에 형성되며, 상기 표시봉을 수용하는 표시공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1체결부재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관통공이 형성된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가 형성된 상기 베이스팬과 상기 하부몸체 그리고 상기 상부몸체를 상기 체결부재로서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부의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상부몸체의 내부에 형성된 결합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은 제2도에 도시하듯이, 상하부몸체(100a,100b)를 가지는 몸체(100)가 마련되고 상기 상부몸체(100a)에는 뚜껑(11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몸체(100)에는 쌀이 담기는 용기(120)과 내장되며 상기 몸체(100)에는 베이스팬(130)이 내장된다. 상기 베이스팬(130)에는 용기(120)와 접촉, 분리되면서 용기(120)의 내장유무를 판단하는 센서(133)가 마련되고, 베이스팬(130)의 내부에는 외부팬(131)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팬(130)의 외측에는 코일(133)이 권선되는데, 상기 코일(132)에 고주파 전류가 흐르면 코일(132) 주변에 자력선이 발생하고 그 자력에 의하여 용기(120)에 와전류가 발생되면서 용기(120)자체가 발열된다. 상기 코일(132)을 감싸는 형태로 베이스팬(130)의 외측에는 자력선을 반사하는 반사판(134)이 마련된다. 미설명부호 140은 결합안내부재이고, 150은 삽입부이며, 160은 결합부로서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은 부품을 몸체(100)에 내장 위치시키고 하나의 체결부재로 상, 하부몸체를 결합하면 밥솥은 결합할 수 있는 결합안내수단이 마련된다. 이를 도 3,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a)도 및 3(b)도는 제2도의 "P"부 및 "Q"부의 확대도이고, 제4도는 제3(a)도의 III-III선 단면도이다.
상기 하부몸체(100b)의 각 모서리부위에서 결합안내부재(14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결합안내부재(140)는 베이스팬(130)의 삽입부(150)에 삽입된다. 즉, 상기 결합안내부재(140)를 베이스팬(130)의 삽입부(150)에 삽입하면 베이스팬(130)은 하부몸체(100b)에 정확하게 결합되게 된다. 상기 결합안내부재(140)의 외주면에는 그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측은 평면인 지지부(141)가 마련되는데, 상기 지지부(141)는 아래에서 설명할 보조삽입부(151)을 지지하여 베이스팬(130)이 견고하게 설치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 결합안내부재(140) 및 지지부(141)에는 제1,2체결부재공(142,143)이 형성되는데, 제1체결부재공(142)을 관통한 체결부재는 삽입부(150)를 관통하여 상부몸체(100a)에 형성된 결합부(160)에 결합된다. 그러면 상부몸체(100a)와 베이스팬(130)과 하부몸체(100b)는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다. 또, 상기 결합안내부재(140)의 상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한 표시공(154)에 관통되는 표시봉(144)이 형성되는데, 상기 표시봉(144)는 결합안내부재(140)와 삽입부(150)가 정확하게 결합되도록 그 위치를 결정해준다.
상기 베이스팬(130)의 외주면에는 상기 결합안내부재(140)와 대응되게 삽입부(150)가 마련되는데, 상기 삽입부(150)에는 전술하듯이 결합안내부재(140)가 삽입된다. 상기 삽입부(150)의 일측에는 보조삽입부(151)가 마련되고, 삽입부(150)및 보조삽입부(151)에는 제1,2관통공(152,153)이 형성된다. 상기 제1체결부재공(142)을 관통한 체결부재는 상기 제1관통공(152)을 관통하여 상부몸체(100a)와 결합되고 제2관통공(153)을 관통한 체결부재는 제2 체결부재공(143)에 체결된다. 그리고 삽입부(150)에는 표시공(154)이 형성되는데, 상기 표시공(154)에는 상기 표시봉(144)이 관통된다. 상기 표시공(154)과 표시봉(144)은 결합안내부재(140)와 삽입부(150), 더 구체적으로는 하부몸체(100b)와 베이스팬(130)의 결합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해준다. 또한 베이스팬(130)이 하부몸체(100b)에 결합되었을 때, 베이스팬(130)이 하부몸체(100b)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도 한다.
상기 상부몸체(100a)에는 상기 결합안내부재(140)와 대응되게 결합부(160)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60)는 상기 제1체결부재공(142)과 제1관통공(152)을 관통한 체결부재(170)가 결합된다. 즉, 하부몸체(100b)의 외측에서 결합안내부재(140)와 삽입부(150) 및 결합부(160)를 체결부재(170)로서 관통시켜서 결합하면, 상부몸체(100a)와 베이스팬(130)과 하부몸체(100b)가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구조로 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조립방법을 간단히 설명한다.
상부몸체(100a)를 뒤집은 상태에서 외부팬(131)과 코일(132)이 결합된 베이스팬(130)과 반사판(134)을 순차적으로 상부몸체(100a)에 위치시킨다. 그러면 베이스팬(130)의 삽입부(150)에 상부몸체(100a)의 결합부(160)가 접촉된다. 그리고 하부몸체(100b)에 마련된 결합안내부재(140)의 표시봉(144)이 베이스팬(130)에 마련된 삽입부(150)의 표시공(154)에 삽입되도록 하부몸체(100b)를 상부몸체(100a)에 결합한다. 그리고 체결부재(170)를 제1체결부재공(142)과 제1관통공(152)으로 관통시켜 결합부(160)에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하부몸체(100b)와 베이스팬(130)을 더욱 더 견고하게 결합시키려면 하부몸체(100b)의 지지부(141)에 베이스팬(130)의 보조삽입부(151)를 지지시킨 후, 제2관통공(153)과 제2체결부재공(143)으로 체결부재를 관통시켜 체결하면 된다. 즉, 베이스팬(130)과 하부몸체(100b)를 먼저 결합시키고 하부몸체(100b)를 상부몸체(100a)에 결합시키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하듯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은, 상부몸체를 뒤집어 놓고 몸체에 내장되는 부품들을 순차적으로 위치시킨 후, 하부몸체를 상부몸체에 체결부재로 체결하면 모든 부품이 일체로 결합되므로 그 조립공정이 대단히 간단하여 제조공정의 단순화로 제조시 제조코스트를 다운시킬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용기(120)와, 상기 용기(120)가 수납되면 상부가 개방되어서 뚜껑(110)의 결합된 상부몸체(100a)와, 상기 상부몸체(100a)의 내부에 결합되어서 상기 용기(120)를 지지하는 베이스팬(130)과, 상기 베이스팬(130)이 결합된 상기 상부몸체(100a)의 저면에 결합되는 하부몸체(100b)로 이루어진 전기압력밥솥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100b)의 상부로 돌출되며, 체결부재(170)가 체결되도록 제1체결부재공(1423)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표시봉(144)이 상부로 돌출된 결합안내부재(140)와; 상기 결합안내부재(140)가 형성된 상기 하부몸체(100b)와 상기 베이스팬(130)이 조립될 경우 상기 하부몸체(100b)와 상기 베이스팬(130)이 정위치에 견고하게 조립되도록 상기 결합안내부재(140)에 대응되는 상기 베이스팬(130)에 형성되며, 상기 표시봉(144)을 수용하는 표시공(154)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1체결부재공(142)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관통공(152)이 형성되는 삽입부(150)와; 상기 삽입부(150)가 형성된 상기 베이스팬(130)과 상기 하부몸체(100b) 그리고 상기 상부몸체(100a)를 상기 체결부재(170)로서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부(150)의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상부몸체(100a)의 내부에 형성된 결합부재(1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100b)와 상기 베이스팬(130)을 견고하게 조립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부몸체(100b)의 결합안내부재(140)에는 제2체결공(143)이 형성된 지지부(141)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141)에 대응되는 상기 베이스팬(130)의 삽입부(150)에는 제2관통공(153)이 형성된 보조삽입부(15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
KR1019970005022A 1997-02-19 1997-02-19 전기압력밥솥 KR100220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5022A KR100220908B1 (ko) 1997-02-19 1997-02-19 전기압력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5022A KR100220908B1 (ko) 1997-02-19 1997-02-19 전기압력밥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435A KR19980068435A (ko) 1998-10-15
KR100220908B1 true KR100220908B1 (ko) 1999-09-15

Family

ID=19497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5022A KR100220908B1 (ko) 1997-02-19 1997-02-19 전기압력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09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9298A (ko) 2021-07-29 2023-02-08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객체 포즈 인식을 통한 복셀 주소화 기반의 시각적 위치 결정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9298A (ko) 2021-07-29 2023-02-08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객체 포즈 인식을 통한 복셀 주소화 기반의 시각적 위치 결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435A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0908B1 (ko) 전기압력밥솥
JPH0437583Y2 (ko)
JP3139474B2 (ja) 電気炊飯器
JPH0451743Y2 (ko)
JP2007312845A (ja) 電気調理器および該調理器に用いる基板ホルダー
CN213155394U (zh) 一种内胆孔位密封及安装结构、电热器具
KR200251003Y1 (ko) 전기보온압력밥솥의내솥고정장치
US20060266858A1 (en) Food processing equipment
KR100437793B1 (ko) 전기밥솥
JP2503610Y2 (ja) 電気炊飯器
KR200235169Y1 (ko) 전기압력밥솥의 내통 고정장치
KR20040022989A (ko) 전기 압력밥솥의 홀센서 취부구조
JPH0748188Y2 (ja) 電気炊飯器
KR980008125A (ko) 전기압력밥솥
JPS63176Y2 (ko)
JPH03916Y2 (ko)
JPH0445647Y2 (ko)
KR970000471Y1 (ko) 전기보온 밥솥의 뚜껑과 힌지스프링의 취부구조
JPH071057Y2 (ja) 炊飯器
KR200157495Y1 (ko) 밥솥
KR960004217Y1 (ko)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증기배출구 패킹장치
JPS608820Y2 (ja) 湯沸ポツト
KR100451245B1 (ko) 전기밥솥
JP3265754B2 (ja) 炊飯器の蓋体
JPS5929603Y2 (ja) 煮炊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