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7793B1 - 전기밥솥 - Google Patents

전기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7793B1
KR100437793B1 KR10-2001-0088454A KR20010088454A KR100437793B1 KR 100437793 B1 KR100437793 B1 KR 100437793B1 KR 20010088454 A KR20010088454 A KR 20010088454A KR 100437793 B1 KR100437793 B1 KR 100437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ss
outer case
base
working coil
rice coo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8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8068A (ko
Inventor
이기성
정순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8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7793B1/ko
Publication of KR20030058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8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7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77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dapted to high-frequency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밥솥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본체 외면을 이루는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어 본체의 저면을 형성하는 하부베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와 하부베이스 사이에 결합되는 워킹코일 베이스를 갖는 전기밥솥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11) 내면에는 하부베이스(10)를 향하여 하향 연장되는 제1보스(110)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베이스(10) 상면에는 상기 제1보스를 향하여 상향 연장되는 제2보스(120)를 형성하여, 상기 제1보스와 제2보스의 대응 단부를 워킹코일 베이스(12)의 테두리부(130)에 맞대어 결합시킨 후에 결합수단에 의해 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을 제공하여, 외부케이스와 그 내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워킹코일 베이스 및 하부베이스의 결합구조를 단순화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밥솥 {electric cooker}
본 발명은 전기밥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 외면을 이루는 외부케이스와 그 내부 및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워킹코일 베이스 및 하부베이스의 결합구조를 단순화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전기밥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밥솥은 전기를 이용하여 열원을 얻고 이 얻어진 열원을 이용하여 오븐 내부를 고온 상태로 유지시키면서 취사를 행하는 기기로서, 이 중 유도가열(IH ; Induction Heating)방식을 이용한 전기밥솥은 자력선을 발생시켜 별도의 조리용기가 상기 자력선에 의해 발열되도록 한 것으로서, 불꽃이 직접 일어나지 않음에 따라 사용의 안전성과 취급의 용이성 등으로 인해 그 수요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와 같은 유도가열방식 전기밥솥은 크게 본체(1)와, 상기 본체(1) 내부를 개폐시켜 주는 뚜껑(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는 도 1과 같이 외부케이스(11)와, 상기 외부케이스(11) 내에 고정되어 공간부를 형성하는 워킹코일 베이스(12)와, 상기 외부케이스(11)의 하부에 결합되어 본체(1)의 저면을 형성하는 하부베이스(10)와, 상기 워킹코일 베이스(12)에 의해 구비된 공간부 내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단으로 복수개의 걸림턱(13a)이 외향 절곡된 오븐(13)과, 상기 워킹코일 베이스(12)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자력선을 발생하는 워킹코일(working coil,12a)과, 상기 외부케이스(11)와 워킹코일 베이스(12) 사이에 오븐(13)을 감싼상태로 설치된 측면열판(14)과, 상기 측면열판(14)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보온에 필요한 열원을 제공하는 제1보온열원(14a)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뚜껑(2)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 외면을 이루는 외부케이스(11)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아웃커버(21)와, 상기 아웃커버(21)의 안쪽에 고정된 인너커버(22)와, 상기 인너커버(22)의 하부면에 고정되어 본체(1)를 구성하는 오븐(13)의 개폐판 역할을 하는 상부열판(23)과, 상기상부열판(23)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제1보온열원(14a)과 함께 보온에 필요한 열원을 제공하는 제2보온열원(23a)과, 상기 상부열판(23)의 하부면 가장자리 둘레에 끼워져 뚜껑(2)이 닫혀있는 상태에서는 본체(1)의 오븐(13)과 뚜껑(2)의 상부열판(23) 사이 틈새를 밀폐시켜 주는 패킹부재(24)와, 상기 아웃커버(21)에 상단이 지지되고 상부열판(23)에 하단이 지지된 압력추밸브용 파이프(25) 및 솔레노이드밸브(26)와, 상기 아웃커버(21)의 바깥측에 위치된 상태로 압력추밸브용 파이프(25)의 상단에 끼워져 압력정도에 따라 압력추밸브용 파이프(25)의 관로를 개폐시켜 주는 압력추(25a)와, 상기 아웃커버(21)의 상부면에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로커핸들(27)과, 상기 상부열판(23)에 둘레부분을 감싼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로커핸들(27)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오븐(13)의 걸림턱(13a)에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되는 로커(28)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뚜껑(2)을 열어 본체 내부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본체(1)를 구성하는 외부케이스(11) 내의 공간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오븐(13)을 분리한 다음 상기 오븐(13) 내부로 취사물(쌀+물)을 수납시킨 후 상기 취사물이 수납된 오븐(13)을 다시 외부케이스(11) 내의 공간부 내로 결합시킨다.
이후 다시 뚜껑을 닫고 상기 뚜껑(2)의 아웃커버(21) 상부면에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 로커핸들(27)을 잡고 일측방향(록킹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부열판(23)의 둘레면을 감싼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로커(28)가 상기 로커핸들(27)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오븐(13)의 상단 걸림턱(13a)에 걸리므로 결국 오븐(13)의 개폐판 역할을 하는 상부열판(23)도 상기 오븐(13)과 함께 록킹되는데, 이 때에는 상기 상부열판(13)의 하부면 외측 가장자리 둘레에 끼워져 있는 패킹부재(24)가 상기 오븐(13)의 상단 내측 둘레에 전체적으로 접촉되므로 상부열판(23)과 오븐(13) 사이의 틈새가 완벽하게 밀폐되고, 이에 따라 상기 오븐(13) 내부가 진공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종래의 전기밥솥을 구성하는 상기 외부케이스(11)와 워킹코일 베이스(12), 그리고 하부베이스(10)의 결합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케이스(11)의 내면에는 워킹코일 베이스(12)를 향하여 하향 연장된 복수개의 본체보스(11b)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보스(11b)의 하단과 대응하는 워킹코일 베이스(12) 상면에는 복수개의 체결공(12h)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보스(11b)와 체결공(12h)에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체결하여 워킹코일 베이스(12)와 외부케이스(11) 간의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워킹코일 베이스(12)의 저면에는 하부베이스(10)를 향하여 하향 연장된 복수개의 베이스보스(12b)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보스(12b)의 하단과 대응하는 하부베이스(10) 상면에는 복수개의 체결공(10h)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보스(12b)와 체결공(10h)에 체결수단을 체결하여 워킹코일 베이스(12)와 하부베이스(10) 간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외부케이스(11)와 워킹코일 베이스(12) 및 하부베이스(10) 간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전기밥솥의 결합구조에 따르면, 외부케이스(11)와 워킹코일 베이스(12)를 일차로 결합시킨 후에 하부베이스(10)를 상기 워킹코일 베이스(12)와 결합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각 부품 체결을 위한 보스와 체결공의 수가 많아 구조가 복잡할 뿐만아니라 체결부위의 증가로 인해 제조 원가가 상승하고, 조립 공수가 증가하는 단점이 제기되었다.
또한, 부품의 체결부위가 많아짐에 따라 각 부품 체결부위 중 일측에 조립 오차가 발생할 경우 타측에서는 보스와 체결공 간의 불일치현상이 심화되어 불량 발생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본체 외면을 이루는 외부케이스와 그 내부 및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워킹코일 베이스 및 하부베이스의 결합구조를 단순화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전기밥솥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밥솥의 종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밥솥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밥솥의 일부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요부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본체, 10....하부베이스,
11....외부케이스, 12....워킹코일베이스,
110....제1보스, 120....제2보스,
130....테두리부, 140....체결부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 외면을 이루는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어 본체의 저면을 형성하는 하부베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와 하부베이스 사이에 결합되는 워킹코일 베이스를 갖는 전기밥솥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 내면에는 하부베이스를 향하여 하향 연장되는 제1보스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베이스 상면에는 상기 제1보스를 향하여 상향 연장되는 제2보스를 형성하여, 상기 제1보스와 제2보스의 대응 단부를 워킹코일 베이스의 테두리부에 맞대어 결합시킨 후에 결합수단에 의해 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밥솥의 주요 구성요소 중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2에 따라 전술한 종래의 기술을 참조하여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밥솥의 일부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요부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밥솥은 도 1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본체(1)와, 상기 본체(1) 내부를 개폐시켜 주는 뚜껑(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는 외부케이스(11)와, 상기 외부케이스(11) 내에 고정되어 공간부를 형성하는 워킹코일 베이스(12)와, 상기 외부케이스(11)의 하부에 결합되어 본체(1)의 저면을 형성하는 하부베이스(10)와, 상기 워킹코일 베이스(12)에 의해 구비된 공간부 내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단으로 복수개의 걸림턱(13a)이 외향 절곡된 오븐(13)과, 상기 워킹코일 베이스(12)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자력선을 발생하는 워킹코일(working coil,12a)과, 상기 외부케이스(11)와 워킹코일 베이스(12) 사이에 오븐(13)을 감싼 상태로 설치된 측면열판(14)과, 상기 측면열판(14)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보온에 필요한 열원을 제공하는 제1보온열원(14a)으로 구성되어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밥솥에 따르면, 상기 외부케이스(11)의 내면에는 하부케이스(10)를 향하여 하향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1보스(1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보스(110)의 형성위치와 대응하는 하부베이스(10)의 상면 각 부위에는 상기 제1보스(110)를 향하여 상향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2보스(120)가형성되어, 상기 제1보스(110)의 하단과 제2보스(120)의 상단이 서로 맞닿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보스(110)의 하단과 제2보스(120)의 상단을 워킹코일 베이스(12)의 테두리부(130) 상에 맞닿도록 한 후,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시킴에 의해 외부케이스(11)와 워킹코일 베이스(12) 및 하부베이스(10)의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결합수단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따르면, 상기 제1보스(110)와 제2보스(120)가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워킹코일 베이스(12)의 테두리부(130) 상에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보스(110)의 하단에 형성된 삽입돌부(111)와, 상기 삽입돌부(111)가 대응 삽입될 수 있도록 워킹코일 베이스(12)의 테두리부(130) 상에 형성된 삽입공(130a)과, 상기 제1보스(110)와 제2보스(120)의 대응 단부에 각각 형성된 체결공(110a,120a)과, 상기 체결공(110a,120a)에 체결되는 체결부재(14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1보스(110)의 삽입돌부(111)를 워킹코일 베이스(12) 테두리부(130) 상에 형성된 삽입공(130a)에 삽입시켜 제2보스(120)의 상단면과 일치시킨 후, 상기 제1보스(110)와 제2보스(120)의 대응 단부에 각각 형성된 체결공(110a,120a)에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140)를 체결시킴에 의해 외부케이스(11)와 워킹코일 베이스(12) 및 하부베이스(10)의 결합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2보스(120)의 상단면에는 상기 삽입돌부(111)의 하단 일부분이 대응 삽입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요홈부(121)를 형성하여, 상기 테두리부(130) 상의 삽입공(130a) 내측으로 삽입된 삽입돌부(111)를 상기 요홈부(121) 내측으로 삽입함으로써, 제1보스(110)와 제21보스(120) 간의 체결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단순히 전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외부케이스와 워킹코일 베이스를 일차로 조립한 후 하부베이스를 워킹코일 베이스와 결합하도록 한 종래의 부품 결합구조와는 달리 제1보스와 제2보스의 각 단부를 워킹코일 베이스 상에 대응시켜 결합시킴으로써, 각 부품 체결을 위한 보스와 체결공의 수를 줄여 구조를 단순화 할 수 있게 되어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조립공수를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각 부품 체결부위의 수를 최소화하여 각 부품 체결부위에서 유발될 수 있는 가공오차 및 조립오차를 최소화함으로써 조립성을 향상시켜 불량 발생률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본체 외면을 이루는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어 본체의 저면을 형성하는 하부베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와 하부베이스 사이에 결합되는 워킹코일 베이스를 갖는 전기밥솥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 내면에는 하부베이스를 향하여 하향 연장되는 제1보스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베이스 상면에는 상기 제1보스를 향하여 상향 연장되는 제2보스를 형성하여, 상기 제1보스와 제2보스의 대응 단부를 워킹코일 베이스의 테두리부에 맞대어 결합시킨 후에 결합수단에 의해 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보스의 하단에 형성된 삽입돌부와,
    상기 삽입돌부가 대응 삽입될 수 있도록 워킹코일 베이스의 테두리부 상에 형성된 삽입공과,
    상기 제1,제2보스의 대응 단부에 각각 형성된 체결공과,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스의 상단면에는 상기 삽입돌부의 하단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요홈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KR10-2001-0088454A 2001-12-29 2001-12-29 전기밥솥 KR100437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8454A KR100437793B1 (ko) 2001-12-29 2001-12-29 전기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8454A KR100437793B1 (ko) 2001-12-29 2001-12-29 전기밥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8068A KR20030058068A (ko) 2003-07-07
KR100437793B1 true KR100437793B1 (ko) 2004-06-30

Family

ID=32216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8454A KR100437793B1 (ko) 2001-12-29 2001-12-29 전기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779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029U (ko) * 1993-09-17 1995-04-15 주식회사 엘지전자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내솥 가이드 장치
KR960006990U (ko) * 1994-08-22 1996-03-13 유도가열식 전기밥솥
JPH09285388A (ja) * 1996-04-22 1997-11-04 Toshiba Home Technol Corp 保温釜
JPH10201610A (ja) * 1997-01-23 1998-08-04 Sanyo Electric Co Ltd 誘導加熱炊飯機
KR20000025806A (ko) * 1998-10-14 2000-05-06 구자홍 워크코일 지지부를 구비한 전기밥솥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029U (ko) * 1993-09-17 1995-04-15 주식회사 엘지전자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내솥 가이드 장치
KR960006990U (ko) * 1994-08-22 1996-03-13 유도가열식 전기밥솥
JPH09285388A (ja) * 1996-04-22 1997-11-04 Toshiba Home Technol Corp 保温釜
JPH10201610A (ja) * 1997-01-23 1998-08-04 Sanyo Electric Co Ltd 誘導加熱炊飯機
KR20000025806A (ko) * 1998-10-14 2000-05-06 구자홍 워크코일 지지부를 구비한 전기밥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8068A (ko) 2003-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8255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내솥 뚜껑 분리형 전기 압력 조리기
JP3996170B2 (ja) 電気圧力炊飯器の蒸気排出装置
KR100820909B1 (ko) 전기압력밥솥용 압력제어밸브 어셈블리
KR100437793B1 (ko) 전기밥솥
KR102350876B1 (ko) 전기압력밥솥용 내솥커버
KR20000007813A (ko)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개방장치
JP6058520B2 (ja) 調理器
CN203576313U (zh) 电饭锅
KR200352192Y1 (ko) 전기압력보온밥솥의 뚜껑결합 감지장치
CN206273221U (zh) 电压力锅
KR20030075036A (ko)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오개방 방지장치
KR100220908B1 (ko) 전기압력밥솥
KR20040022989A (ko) 전기 압력밥솥의 홀센서 취부구조
KR200361886Y1 (ko) 전기압력밥솥의 로커핸들
KR20030075035A (ko) 전기 압력밥솥
CN219962511U (zh) 一种烹饪容器及烹饪器具
KR200235169Y1 (ko) 전기압력밥솥의 내통 고정장치
KR200190003Y1 (ko) 전자렌지용 밥솥
KR20180010793A (ko) 전기압력밥솥
KR102382250B1 (ko) 전기압력밥솥
KR200221000Y1 (ko) 전기압력보온밥솥의뚜껑잠금장치
KR100359985B1 (ko) 전기보온압력밥솥
JPH0515859Y2 (ko)
JP4003967B2 (ja) 炊飯器
KR20000008521A (ko) 전기 압력밥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