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0740B1 - 공기 조화기용 덕트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용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0740B1
KR100220740B1 KR1019970020086A KR19970020086A KR100220740B1 KR 100220740 B1 KR100220740 B1 KR 100220740B1 KR 1019970020086 A KR1019970020086 A KR 1019970020086A KR 19970020086 A KR19970020086 A KR 19970020086A KR 100220740 B1 KR100220740 B1 KR 100220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air conditioner
fan
air
col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0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4324A (ko
Inventor
최원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20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0740B1/ko
Publication of KR19980084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4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0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0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2Centrifugal or rad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키지형 공기 조화기의 덕트에 관한 것으로서, 스크롤부의 인입 부분에서 소음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토출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공기 조화기용 덕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팬(56)과 나선상의 간격을 이룸과 아울러 압축된 냉기가 배출되는 통로인 인입 부분(57)을 가지도록 형성된 스크롤부(58)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용 덕트에 있어서, 덕트(54)의 배면 개방부(59)로 흡입되는 냉기를 팬(56)의 내측면 일부분에서 차단하여 토출 그릴(51)로 직접 배출되지 않도록 직립부(1)가 형성됨과 아울러 배면 개방부(59)에 연장 형성된 차단 부재(2)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용 덕트
본 발명은 패키지형 공기 조화기의 덕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는 에어컨(Air-Conitioner)으로 지칭되는 바, 상기한 에어컨은 가정 또는 산업체의 생산 현장에서 공기 조화 즉, 온도 및 습도 조절등에 사용된다.
상기한 에어컨은 사용 장소 및 냉방 능력에 따라 일체형, 분리형, 패키지형등으로 구분되는 바, 상기한 패키지형 에어컨은 실내에 직립 설치되는 실내기와, 상기한 실내기에 연결됨과 아울러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실내기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토출 그릴(50,51)이 상하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52)과, 상기한 하우징(52)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흡입 그릴(50)의 배면에 고정된 증발기(53)와, 상기한 증발기(53)의 상부에 위치된 덕트(54)와,상기한 덕트(54)의 내부에 위치됨과 아울러 하우징(52)에고정된 모터(55)에 연결되어 있는 팬(56)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덕트(54)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기의 압축등을 위해 인입 부분(57)에서 연장된 스크롤부(5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팬(56)의 냉기 흡입을 위해 전,후면에 개방부(59)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면 흡입을 위해 하우징(52)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지지대(60)가 형성되어 있다.
즉, 에어컨 동작 시 상기한 팬(56)이 회전되면 실내 공기를 흡입하게 되고, 상기한 흡입 공기는 스크롤부(58)에서 압축되면서 압력이 상승하게 됨과 아울러 토출 그릴(51)을 통해 다시 실내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크롤부(58)에서 실내 공기가 압축되면서 토출 효율을 증대시키게 되는 바, 상기한 스크롤부(58)의 인입 부분(57)은 스크롤부(58)를 타고 흐르는 공기가 직접 토출 그릴(51) 방향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적절한 간격d을 유지하게 된다.
물론, 상기한 간격d이 너무 좁으면 스크롤부(58)로 유입되지 않고 직접 토출 그릴(51)측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감소하게 됨으로써 토출 효율이 증대되지만 와류등에 의한 소음 발생이 증가하게 되고, 너무 넓으면 직접 토출 그릴(51) 방향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증대되어 토출 효율이 저하되게 되기 때문에 이를 절충한 적절한 간격유지가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덕트의 스크롤부 인입 부분과 팬의 간격d을 소음 발생 및 토출 효율 저하가 최소화되도록 조절하여도 스크롤부에서 압축되지 않고 직접 토출 그릴 방향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차단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토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크롤부의 인입 부분에서 소음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토출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공기 조화기 덕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팬과 나선상의 간격을 이룸과 아울러 압축된 냉기가 배출되는 통로인 인입 부분을 가지도록 형성된 스크롤부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덕트에 있어서, 덕트의 배면 개방부로 흡입되는 냉기를 팬의 내측면 일부분에서 차단하여 토출 그릴로 직접 배출되지 않도록 직립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배면 개방부에 연장 형성된 차단 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덕트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정면도.
제3도는 일반적인 패키지형 공기 조화기를 도시한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에서 덕트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직립부 54 : 차단 부재
54 : 덕트 58 : 팬
제1도와 제2도는 본 발명에 다른 공기 조화기용 덕트를 도시한 사시도와 정면도로서, 덕트(54)의 배면 개방부(59)로 흡입되는 냉기를 팬의 내측면 일부분에서 차단하여 토출그릴로 직접 배출되지 않도록 직립부(1)가 형성된 차단 부재(2)가 개방부(59)에 연장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직립부(1)가 덕트(54)의 개방부(59) 단부에서 직립된 상태에서, 팬(56)의 회전 시 배면으로부터 흡입되는 냉기가 스크롤부(58)의 인입 부분(57)으로 흡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팬(56)의 회전에 의해 흡입된 냉기가 압축되지 않고 스크롤부(58)의 인입 부분(57)을 통해 직접 토출 그릴(51) 방향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차단 부재(2) 및 직립부(1)의 높이 및 넓이는 차단하고자 하는 냉기의 풍량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사용자가 에어컨을 동작시키기 위하여 전원을 온시키게 되면 모터(55)에 연결된 팬(56)이 회전하게 된다.
팬(56)이 회전되면 실내 공기가 흡입되면서 증발기(53)를 통과하게 되고, 상기한 증발기(53)에서 열교환이 발생됨으로써 냉기로 변환된다.
증발기(53)에서 열교환된 냉기는 연속적인 팬(56)의 회전에 의해 흡입되는 바, 상기한 덕트(54)의 전,후면에 형성된 개방부(59)로 흡입된다.
특히, 상기한 배면으로의 냉기 흡입 시 스크롤부(58)의 인입 부분(57) 위치인 개방부(59) 단부에서 연장 형성된 직립부(1)가 냉기의 흡입을 부분적으로 차단하게 됨으로써, 스크롤부(58)의 인입 부분(57)으로의 냉기 흡입이 급격하게 감소하게 된다.
즉, 냉기 흡입 시 직립부(1)가 팬의 내측면 일부분(인입 부분측)을 차단하고 있는 상태가 됨으로써, 스크롤부(58)의 인입 부분(57)으로 냉기의 흡입량이 대폭 감소하게 된다.
스크롤부(58)의 인입 부분(57)으로 유입되는 냉기가 차단 또는 감소하게 되면 상기한 스크롤부(58)의 인입 부분(57)을 넘어가 압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직접 토출 그릴(51) 방향으로 배출되는 냉기가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직립부(1)는 팬의 외주면에 대응되도록 곡면으로 형성되어 냉기 흡입시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전체적인 냉기 흡입 효율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게 도니다.
토출 그릴(51)측으로의 냉기 직접 배출이 감소하게 되면 스크롤부(58)를 통해 압축되는 냉기가 종래와 같이 산란되지 않게 됨으로써 토출 효율이 증대된다.
또한, 인입 부분(57)으로의 냉기 흡입이 감소됨으로써 이 부분에서의 와류 형성등에 의한 소음 발생이 감소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덕트의 스크롤부 인입 부분 배면에 위치됨과 아울러 팬의 내측면 일부분을 차단하도록 직립부를 형성함으로써 인입 부분을 통해 직접 토출그릴측으로 배출되는 냉기를 차단하여 토출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팬과 나선상의 간격을 이룸과 아울러 압축된 냉기가 배출되는 통로에 인접되도록 인입 부분이 형성된 스크롤부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덕트에 있어서, 상기한 인입 부분을 통해 압축되지 않은 냉기가 토출되지 않도록 덕트의 인입 부분내측면인 개방부 단부에서 연장 형성된 직립부가 덕트의 인입 부분측에 위치되는 팬 내측면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차단 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용 덕트.
KR1019970020086A 1997-05-22 1997-05-22 공기 조화기용 덕트 KR100220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0086A KR100220740B1 (ko) 1997-05-22 1997-05-22 공기 조화기용 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0086A KR100220740B1 (ko) 1997-05-22 1997-05-22 공기 조화기용 덕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4324A KR19980084324A (ko) 1998-12-05
KR100220740B1 true KR100220740B1 (ko) 1999-09-15

Family

ID=19506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0086A KR100220740B1 (ko) 1997-05-22 1997-05-22 공기 조화기용 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074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4324A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419579B (en) Air conditioner
JP3387712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2002156135A (ja) ルームエアコン
KR100441101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전선고정구조
KR100220740B1 (ko) 공기 조화기용 덕트
KR100220739B1 (ko) 공기 조화기용 덕트
JPH0642768A (ja) 空気調和機
JP3120959B2 (ja) 送風機
KR20090041806A (ko) 천정형 에어컨
KR20070113897A (ko) 투인원 초슬림 공기조화기 및 이의 제어방법
CN211953014U (zh) 一种空调室内机
JP2002156134A (ja) ルームエアコン
JP3792137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JP2001304192A (ja) 送風機、送風機の使用方法
JP2003035437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KR20030012625A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가이드 구조
KR20230106451A (ko) 공기조화기
JP2804712B2 (ja) 空気調和機
KR100547687B1 (ko) 공기조화기
KR100432743B1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측 공기유동구조
JP3094912B2 (ja) 空気調和機用室外機
KR100564456B1 (ko) 공기조화기
KR0160433B1 (ko) 실내기의 스태빌라이져
KR0134850Y1 (ko) 공기 조화기용 송풍팬의 소음 저감구조
CN117847640A (zh) 窗式空调器及其安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