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0546B1 - 호지성 담체 제제 - Google Patents

호지성 담체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0546B1
KR100220546B1 KR1019960704239A KR19960704239A KR100220546B1 KR 100220546 B1 KR100220546 B1 KR 100220546B1 KR 1019960704239 A KR1019960704239 A KR 1019960704239A KR 19960704239 A KR19960704239 A KR 19960704239A KR 100220546 B1 KR100220546 B1 KR 100220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olar
lipid
galactolipid
form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4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데르스 칼손
벤크트 헤르슬뢰프
Original Assignee
벵 헤르슬로프
스코샤 리피드테크니크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SE9400368A external-priority patent/SE9400368D0/xx
Priority claimed from SE9402456A external-priority patent/SE517678C2/sv
Application filed by 벵 헤르슬로프, 스코샤 리피드테크니크 아베 filed Critical 벵 헤르슬로프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0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05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7/00Edible oil or fat compositions containing an aqueous phase, e.g. margarines
    • A23D7/005Edible oil or fat compositions containing an aqueous phase, e.g. margarines characterised by ingredients other than fatty acid triglycerides
    • A23D7/0053Compositions other than sprea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23L33/12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5/00Food or foodstuff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5/00 – A23L33/00;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A61K9/1075Microemulsions or submicron emulsions; Preconcentrates or solids thereof; Micelles, e.g. made of phospholipids or block co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61K9/1271Non-conventional liposomes, e.g. PEGylated liposomes, liposomes coated with polymers
    • A61K9/1272Non-conventional liposomes, e.g. PEGylated liposomes, liposomes coated with polymers with substantial amounts of non-phosphatidyl, i.e. non-acylglycerophosphate, surfactants as bilayer-forming substances, e.g. cationic lip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rd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극성 지질 물질과 비극성 지질의 혼합물, 및 임의로 극성 용매를 포함하는 연속 지질상을 갖는 호지성 담체 제제에 있어서, 상기 극성 지질 물질이 갈락토리피드 물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호지성 담체 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호지성 담체 제제의 제약 조성물 뿐만 아니라 영양, 화장품 및 식품의 활성 물질용 담체로서의 용도, 및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호지성 담체 제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비극성 지질 및 임의로는 극성 용매와 함께 극성 지질 물질을 포함하는 연속 지질상을 갖는 호지성 담체 제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담체 제제는 제약 조성물 뿐만 아니라 화장품, 식품 및 농산품 중의 활성 물질용 담체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배경기술]
제약 산업에서는 약물을 생체적합성이며 인체 내성이 좋은 호지성 담체에 혼입시키는 것이 일반적인 문제점이다. 그 이유로서는, 우선 혼입되어야 할 활성 성분의 화학 구조, 따라서 그 특성이 광범위하다는 점과, 두번째로는 성분에 기초한 적합한 담체가 상기한 다양한 구조적 변형을 갖는 활성 성분을 혼입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유연성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반응상 유연성 호지성 담체를 생성시키기 위해서는, 극성 지질, 바람직하게는 생체적합성 및 안전성을 위하여 천연 막 지질을 사용할 필요가 있고, 이를 비극성 지질, 예를 들면 식물성유 또는 스테롤 에스테르와 배합시켜야 한다. 현재 이용가능한 유일한 막 지질은, 주로 대두 또는 계란 레시틴으로부터 유래되거나 또는 합성 경로에 의해 제조되는 인지질 물질이다. 인지질은 포스파티딜콜린 및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과 같은 쯔비터 이온성이거나 또는 포스파티딜이노시톨 또는 포스파티딜글리세롤과 같은 음이온성이다.
호지성 담체는, 예를 들면 미세유액 또는 역 미셀 용액, 역 소포 또는 유중수(water-in-oil) 유화액과 같은 유기적 용액일 수 있다.
마아가린 및 스프레드는 수성상을 최대 75 중량함유할 수 있는 유중수 유화액이다. 수상은 트리글리세리드유, 대표적으로는 평지종자유와 같은 식물성유 중에 분산되어 있다. 수상은 통상적으로 물이 풍부한 오일 연속상 유화액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예를 들어 젤라틴과 같은 증점제를 함유한다. 유화제는 대두 인지질(대두 레시틴)과 같은 인지질이 대표적이다. 이들 유화제는, 예를 들면, 쯔비터 이온계인 포스파티딜콜린 및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이온계인 포스파티딜이노시톨과 같은 인지질류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이들 레시틴 유화제가 안정한 식품 유화액을 산업적 규모로 제조하는데 있어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천연 지질이라는 것은 일반적인 상식이다. 그러한 유화액이 레시틴 유화제와 관련된 단점 및 문제점들을 갖고 있다는 것 또한 공지되어 있다.
[선행 기술]
연속 지질상을 갖는 호지성 제제에 대해서는 단지 소수의 예만이 보고되어 있다.
국제 특허 공개 WO 제92/05771호는 2개 이상의 지질 성분, 즉 하나는 비극성이고 다른 하나는 양친매성 및 극성인 성분들의 지질 입자 형성 매트릭스에 관하여 기재하고 있다. 생활성 물질을 함유할 수 있는 상기 입자 형성 매트릭스는 수성계와 상호작용할 때 자발적으로 개별적 지질 입자들을 형성시킨다. 양친매성 및 극성 지질 성분은 2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일컬어지며, 포스파티딜콜린과 같은 인지질로부터 선택되고, 비극성 지질은 모노-, 디- 또는 트리글리세리드이다.
레시틴, 즉 포스파티딜콜린을 함유하는 미세유액 겔이 루이지(P.L. Luisi)에 의해 발표되고 특성화되어 있다[예를 들면, 패피타니(D. Capitani) 등, Langmuir, 1993, 제9권, 685-689 페이지 참조]. 이들 겔은 인지질 외에도 소량의 물 및 유기용매, 예를 들면 알칸, 지방산 에스테르 및 아민을 포함한다. 이들은 또한 유기 겔로 불리기도 한다. 이러한 겔은 약물의 경피 전달용 매트릭스로 사용될 수 있다.
정상적 소포의 반대 구조를 갖는 역 소포가 오일 중에 존재함은 쿠니다(H. Kunieda)에 의해 처음으로 보고되었다[예를 들면, 쿠니다 등, Advanced Materials, 1992, 제4권, 291-293 페이지 참조]. 역 소포는 상당량의 오일로 팽윤되는 라멜라액상 결정의 분산액으로, 즉 소포는 역 이층 구조로 이루어진다. 역 이층은 정상적으로 친수성 및 호지성인 양친매성 물질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글리코실글리세리드는 식물 세포막의 공지된 구성 성분인 당지질의 한 유형이다. 갈락토오스를 기재로 하는 2가지 유형이 일반적이며, 즉 모노갈락토실디아실글리세롤, MGDG, 및 디갈락토실디아실글리세롤, DGDG는 틸라코이드 막의 건조 중량의 최대 40를 차지한다.
식물 당지질은 글리세롤에 결합된, 주로 갈락토오스 고리의 1-위치는 글리세롤에 β-결합하고 있으며, DGDG에는 당 사이에 α, 1→6 결합이 있다. 소량 성분은 식물 술포리피드, 보다 정확하게 말하면 술포퀴노보실디아실글리세롤, SQDG이고, 이것은 히드록실기가 아닌 술포네이트가 말단 데옥시글루코오스잔기의 6번 탄소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대부분의 식물 당지질은 하기 화학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식 중, R1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2 내지 24개의 탄소 원자 및 0 내지 6개의 이중결합을 갖는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 잔기, 추가로 에스테르화된 히드록시산, 즉 에스톨라이드, 또는 수소이고, 탄수화물은 단당류 단위이고, n은 1 내지 5이고, R3은 히드록실 또는 술포네이트기이다.
SE 제9400368-8호는 식물, 바람직하게는 곡물로부터 추출 및 크로마토그래피 분리에 의해 글리코실글리세리드를 제조하는, 산업적으로 이용가능한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글리코실글리세리드가 비극성 지질, 예를 들면 모노-, 디- 및 트리글리세리드, 지방족 알콜 및 산, 스테롤 및 스테롤 에스테르와 임의로는 다른 극성 지질, 예를 들면 인지질 및 스핀고지질과 함께, 물이 없거나 또는 단지 소량의 물이 있는 상태에서 상호작용하는 것을 관찰하던 중,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본 발명의 제제를 약물용 뿐 아니라 피부 보호, 영양 및 식품 제제의 호지성 담체로서 적합하게 만드는 현상을 발견하였다.
[발명의 설명]
본 발명은 극성 지질 물질인 갈락토리피드와 비극성 지질의 혼합물을 기재로 한 지질 담체를 제공한다. 갈락토리피드의 극성 헤드기(headgroup)는 갈락토오스 단위이고, 이것은 인지질에 비해 상당히 상이한 물리화학적 성질을 갖는다. 따라서, 혼입 기작은 극성 헤드기, 즉 갈락토오스 단위의 히드록실기, 갈락토실아실글리세롤 및 비극성 성분의 호지성 사슬과 혼입될 화합물과의 상호 작용에 기초한다.
본 발명은 극성 지질 물질과 비극성 지질 및 임의로는 극성 용매로 이루어지며, 연속 지질상을 갖는 호지성 담체 제제로서, 극성 지질 물질이 디갈락토실디아실글리세롤을 50 중량이상 포함하고 나머지가 다른 극성 지질로 이루어진 갈락토리피드 물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호지성 담체 제제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제제에서, 갈락토리피드 물질은 약 70 내지 80의 디갈락토실디아실글리세롤 및 20 내지 30 중량의 다른 극성 지질로 이루어진다.
다른 바람직한 제제에서, 갈락토리피드 물질은 최대 100가 디갈락토실디아실글리세롤로 이루어진다.
디갈락토실디아실글리세롤은 하기 화학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식 중, R1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10 내지 22개의 탄소 원자 및 0 내지 4개의 이중결합을 갖는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 잔기, 또는 수소이고, R3은 히드록실 또는 술포이네이트기이다.
지방산 잔기 R1및 R2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천연 지방산 아실기, 예를 들면 포화산인 팔미트산(C15H31CO; 16:0) 및 스테아르산(C17H35CO; 18:0)으로부터의 잔기; 모노불포화산인 올레산(C17H33CO; 18:1)으로부터의 잔기; 및 폴리불호화산인 리놀레산(C17H31CO; 18:2) 및 리놀렌산(C17H29CO; 18:3)으로부터의 잔기를 들 수 있다. 지방산 잔기는 또한 글리세롤 잔기에 결합되는 히드록시산을 함유할 수 있고, 이들의 히드록실기는 추가의 지방산에 의해 에스테르화되어 소위 에스톨라이드를 형성한다.
갈락토리피드 물질의 일부를 구성하는 다른 극성 지질은 상이한 당지질 및 인지질의 혼합물, 예를 들면 MGDG 및 포스파티딜콜린의 혼합물이다. 조성은 갈락토리피드의 제조에 사용된 방법 및 출발 물질에 따라 변한다.
갈락토리피드 물질의 성분들의 특정 비율은 DGDG의 함량이 50이상인 한 본 발명에서 중요하지 않다. 그러나, 많은 응용예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이층 형성 성분인 DGDG의 함량이 높을 때 최대한의 효과가 얻을 수 있다.
갈락토리피드 물질은 거의 모든 종류의 식물성 재료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식물 재료는 곡물 및 곡류, 예를 들면 밀, 호밀, 귀리, 옥수수, 쌀, 기장 및 참깨의 종자 및 낟알이다. 귀릿가루 뿐만 아니라 밀 글루텐은 고농도의 지질을을 가지므로 제조 공정에 사용하기에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라서, 갈락토오스 또는 임의의 다른 단당류 단위, 예를 들면 글루코오스를 기재로 한 합성 디글리코실디아실글리세롤, 및 임의의 공급원으로부터 단리된 갈락토오스 이외의 탄수화물 단위, 예를 들면 글리코오스를 기재로 한 천연 글리코실글리세리드가 사용될 수 있다.
비극성 지질 물질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식물성유, 동물성유, 합성유, 지방산, 천연 및 합성 글리세리드, 스테롤 에스테르, 지방 알콜 등을 예로서 들 수 잇다.
놀랍게도 갈락토리피드를 사용하여 모든 유형의 호지성 유기적 용액을 얻을 수 있었다. 혼입된 활성 물질은 유기적 용액의 일부이거나, 또는 이들에 의해, 예를 들면 현택액 형태로 안정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호지성 담체 제제는 갈락토리피드와 비극성 지질, 예를 들면 트리아실글리세롤을 혼합하여 얻을 수 있다. 트리아실글리세롤은 팜유 또는 마찬가지로 비교적 높은 고형 지방 함량 또는 융점 범위를 갖는 천연 오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고 적합한 트리아실글리세롤은 시판되는 팜유를, 주로 글리세롤의 팔미트산, 올레산 및 스테아르산 에스테르 조합을 기재로 한 트리아실글리세롤의 특정 혼합물로 분획화시켜 얻은 팜유 분획이다.
호지성 담체 제제는 또한 글리코실글리세리드를 액체 트리아실글리세리드유, 예를 들면 중간 사슬 트리아실글리세롤(MCT) 및 대두유와 혼합시켜 얻을 수도 있다.
또한, 비극성 지질-갈락토리피드 혼합물은 역 소포, 역 미셀 및 유중수 유화액을 형성시킬 수 있는 증가된 양의 물 또는 수용액을 함유할 수 있다.
역 소포는 갈락토리피드 및 보다 극성인 양친매성 물질, 예를 들면 리소포스 파티딜콜린의 4 : 1 중량비 혼합물을 트리글리세리드유, 바람직하게는 MCT유에 가하여 제조한다. 양친매성 물질의 총 농도는 3(w/w) 미만이다. 이어서, 총 제제의 1(w/w) 미만인 소량의 물 또는 수용액을 가한다. 초음파 처리하여 역 소포의 미세 분산액을 얻는다.
당지질 농도는 보다 높지만, 총 제제의 0.5 내지 2(w/w)에 이르는 여전히 낮은 물 농도에서 역 미셀을 제조할 수 있다. 미세유액으로도 불리는 역 미셀은 오일 중의 물 응집물로 이루어진다. 역 미셀은 열역학적으로 안정하다. 응집물의 형태 및 구조는 점성게인 "미세유액 겔"을 만들 수 있다.
총 제제의 5(w/w)를 초과하는, 한층 높은 물 함량에서는 유중수 유화액이 형성된다. 이들은 오일 중에 미세 분산된 물의 소적으로 이루어진 2상계이다. 유중수 유화액은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하지만 동력학적으로는 안정할 수 있다.
수용액은 순수한 물, 완충액, 염수, 글루코오스, 갈락토오스,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롤 등의 용액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젤라틴, 아가로스, 카라기난, 메틸 셀룰로오스 및 에틸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와 같은 중점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호지성 담체 제제의 제약, 화장품, 식품 또는 농산품의 활성 물질용 담체로서의 용도를 언급하고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생활성 물질과 함께 상기한 호지성 담체 제제를 함유하는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비극성 지질이 MCT유, 월견초유, 팜유 분획 또는 생활성 물질인 상기한 호지성 담체 제제를 함유하는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생활성 물질은 호지성 약물, 예를 들면, 항암제, 항미생물제 및 특히 항진균제, 시클로스포린과 같은 면역억제제, 피부 약물, 예를 들면 진통제 및 소염제, 지양제, 소독약, 수렴제, 피부유연제 및 호르몬, 향정신성 약물, 마취제 및 호지성이고 갈락토리피드를 사용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는 배합시의 문제점이 있는 기타 약물일 수 있다. 또한, 유리 지방산, 모노-, 디- 및 트리아실글리세롤, 인지질,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및 그 자체가 치료 작용을 갖고 있으며 갈락토리피드 기재 호지성 담체 형태로 유리하게 제형화될 수 있는 많은 다른 유형의 지질이 있다. 이 경우, 생활성 물질이 비극성 지질이다.
제약 및 화장용 제제는 40 내지 70의 온도 범위에서 팜유 분획을 개방된 수조 중에서 용융시켜 제조할 수 있다. 활성 성분 및 글리코실글리세리드를 바이알 중에서 칭량한다. 용융된 팜유 분획을 바이알로 옮기고 혼합물을 고전단력 믹서를 사용하여 약 1000rpm 및 40 내지 70에서 2 내지 4분 동안 분산시킨다. 국소적으로 사용하는 제제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양의 물 또는 수용액을 가하고 제형을 막대로 조심스럽게 혼합한다.
제약 조성물은 동물, 특히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에 경구, 장내, 비경구, 직장, 질내, 국소, 안내, 비강내 또는 귀를 통해 투여될 수 있도록 제형화될 수 있다.
국소 피부 보호 제제는 그들의 사용방식에 따라 대략적으로 의약적 국소 피부 미용 제제 및 화장용 제제로 분류될 수 있다.
의약적 국소 피부 보호 제제의 예로서는, 1종 이상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각종 연고류를 들 수 있다. 연고는 오일상 기재를 함유하는 것 및 수증유 또는 유증수 유화액 기재를 함유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화장용 제제로서 사용할 때, 필수 성분 이외에 화장제용 성분으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 예를 들면, 오일상 물질, 자외선 흡수제, 알콜, 킬레이트제, pH 조절제, 방부제, WDWJAWP, 안료, 향수 기재 등을 필요에 따라 조합하여 혼합시킬 수 있다.
화장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유중수 또는 수중유 형태의 유화액 화장품, 크림, 화장 유액, 화장수, 오일상 화장품, 립스틱, 파운데이션, 피부 클린징 제제, 헤어 토닉스, 헤어 스타일링 제제, 헤어 그루밍(grooming) 제제, 모발 성장 촉진제 등을 포함하는 각종 피부 화장용 제제로 제형화할 수 있다.
유중수 유화액, 예를 들면 마아가린 및 스프레드는 종래의 방법으로 제조한다.
[갈락토리피드 물질]
갈락토리피드 물질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이한 곡류로부터 제조되며,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담체 제제 및 제약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본 명세서엣는 달리 언급이 없는 한 중량를 말한다. 용매 혼합물 중의 용매 비율은 체적부로 나타낸다.
[귀리로부터의 갈락토리피드 물질]
귀리 낟알(스웨덴의 Kungsrnen AB사 제품) 200을 마쇄시키고, 교반 하에 추출 탱크 중에서 3시간 돌안 70에서 95에탄올 1000 리터로 추출하였다. 슬러리를 따뜻할 동안에 원심분리시켜 고상 입자들로부터 분리하였다. 액상 분획을 60에서 증발시켜 연한 갈색 오일 약 10을 얻었다.
오일을 실리카겔(메트렉스 실리카 Si, 입도 20-45, 기공 직경 60Å, 미국의 Amicon Corp.사 제품) 6.25을 함유하는 스테인레스강 컬럼에 걸었다. 컬럼 온도는 50Å였다. 이어서 모든 비극성 지질이 제거되도록 컬럼을 헥산:이소프로판올 90:10의 혼함물 30리터로 세척하였다.
갈락토리피드 물질을 컬럼으로부터 헥산 : 이소프로판올 60 : 40의 혼합물 20 리터로 용출시켜 갈락토실아실글리세롤 분획을 얻었다. 이 분획을 증발시켜 주요한 지질류인 DGDG 약 700g을 얻었다. 이어서 갈락토리피드 물질을 물 중에 분산시키고, 동결 건조시켜 자유 유동성 분말을 얻었다.
[갈락토리피드로부터 DGDG의 농축]
상기한 바와 같이 얻은 약 70의 DGDG 함량을 갖는 귀리로부터의 갈락토리피드 50g을 헥산 : 이소프로판올 70 : 30 250중에 용해시켜 총량을 300로 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실리카겔(110g) 컬럼에 걸고, 보다 덜 극성인 성분을 헥산:이소프로판올 70 : 30의 혼합물 1리터로 용출시켰다. 농축된 DGDG 분획을 아세톤 2리터로 용출시켰다. 아세톤 분획을 증발시키고 동결 건조시켰다. 총 수득량은 거의 순수한 DGDG 생성물 17g이었다.
[갈락토리피드의 수소화]
상기한 바와 같이 귀리에서 얻은 갈락토리피드 혼합물 200g을 따뜻한 이소프로판올 2리터 중에 용해시켰다. 탄소상 팔라듐 촉매(Pd 15, 수분 53, 이탈리아의 Engelhard Rome s.r.i.사 제품) 15g을, 교반기 축 상에 2개의 임펠러가 장착된 압력 반응기(모델 번호 4552M, 미국의 Parr Instrument Co.사 제품)의 바닥에 넣었다. 이어서 용액을 발화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질소 밀봉하에서 반응기로 옮겼다. 반응 용기를 밀봉시키고 먼저 공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질소로 3회 가압한 다음 수소 가스(플러스 4.5, 스웨덴의 AGA Gas AB사 제품)로 3회 가압하였다. 이어서 수소 압력을 6bar로 유지시키고, 교반기를 600rpm으로 설정하고 혼합물을 70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이 그의 온도 설정치에 도달하는 데에는 14분이 소요되었다. 수소화 공정을 6시간 동안 수행한 후에 반응 생성물을 탄소 입자 및 팔라듐을 제거하기 위하여 0.45필터를 통해 여과시켰다. 용매를 회전증발기 상에서 증발시키고, 잔류 고상 물질을 탈이온수 1600중에 분산시키고, 동결 건조시켰다.
여과 및 동결 건조 후의 수소화된 갈락토리피드의 수득량은 155g이었다. 수소화 결과를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평가하였더니 단지 포화된 지방산만이 수소화된 생성물 중에서 검출되었다.
[밀 글루텐으로부터의 갈락토리피드]
밀 글루텐 분말(스웨덴의 AB Sknebrnnerier) 1을 비이커 중에서 70에서 3시간 동안 95에탄올 4리터로 추출하였다. 이어서 슬러리를 400내지 500kPa의 압력 하에 여과시키고, 얻은 필터케이크를 따스한 95에탄올 1리터로 세척하였다. 합한 에탄올 용액을 최대 60에서 증발시켜 황색 오일 약 60g을 얻었다.
오일을 실리카겔(매트릭스 실리카 Si, 입도 20-45, 기공 직경 60Å, 미국의 Amicon Corp.사 제품) 45g을 함유하는 스테인레스강 컬럼에 넣었다. 이어서 모든 중성 지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컬럼을 헥산:이소프로판올 90:10의 혼합물 700로 세척하였다.
MGDG 및 일부의 다른 극성 지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컬럼을 헥산 : 이소프로판올 70:30의 혼합물 1000로 세척하였다. DGDG의 용출은 순수한 아세톤 1000로 행하였다. 증발 후 거의 순수한 DGDG 생성물 약 4g을 얻었다.
[호밀로부터의 갈락토리피드]
호밀 플레이크(스웨덴의 Kungsrnen AB사 제품) 100g을 산업용 헥산 및 이소프로판올 90:10의 혼합물 중에서 60분 동안 교반시켰다. 슬러리를 여과시키고, 증발시켜 극성 지질 0.5g을 얻었다. 헥산:이소프로판올 70:30의 혼합물 10중에 용해시킨 잔여물을 직렬로 연결된 3개의 Sep-pak 실리카 플러스 컬럼(미국의 Millipore Corp.사 제품)에 걸고, 동일한 용매 혼합물 20로 세척하고 아세톤 15로 용출시켰다. 용출물을 증발시키고 동결 건조시켰으며, 수득량은 갈락토리피드 47이었다.
[상이한 갈락토리피드 물질의 화학적 및 물리적 특성화]
[지질류 분석]
디올 개질된 실리카가 충전된 컬럼(LiChrosphere 100 DIOL, 5, 250× 4내경; 독일의 E. Merck사 제품)을 사용하여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로 지질류 분석을 수행하였다. 컬럼을 75로 유지시킨 수조 중에 넣었다. 분석게는 HPLC 펌프 CM 4000(LDC/미국의 Milton Roy사 제품) 및 20인젝션 루프를 갖는 이젝터 모델 7125(미국의 Rheodyne Inc.제품)로 구성되었다. 사용한 증발 광 분산 검출기는 드리프르 튜브 온도 및 공기 유입 압력이 각각 97및 2.0 bar인 세덱스 55 분무 챔버가 장착된 세덱스 45(프랑스의 S.E.D.E.R.E.사 제품)이었다.
이동상의 유량은 분석 동안 1/분이었다. A 100로 시작하고 B 100로 끝나는(여기서, A=헥산:이소프로판올:n-부탄올:테트라히드로푸란:이소옥탄:물, 64:20:6: 4.5:4.5:1이고, B=이소프로판올:n-부탄올:테트라히드로푸란:이소옥탄:물, 75:6:4.5:4.5:10임), 25분 동안에 걸친 선상 2원 용매 구배를 사용하였다. 모든 용매는 아세트산암모늄 180/ℓ를 함유하였다.
GynkoSoft 데이터 시스템 버전 4.22(독일의 Softron GmbH사 제품)으로 데이터 수집 및 처리를 행하였다. 분석에 주입되는 양은 통상적으로 100이었다. 확인은 인증된 표준(스웨덴의 Karlshamns LipidTeknik AB사 제품)과의 체류 시간 비교에 기초하였다. 이 시스템에서는 휘발성 화합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정량화는 피크 면적 계산에 기초하였다.
Zetasizer 4 장치(영국의 Malvern Instruments Ltd.사 제품)을 사용하여 묽은 갈락토리피드 수분산액에 대해 제타(Zeta) 전위를 측정하였다.
하기 표 1 및 표 2에서 다음의 약어를 사용하였다.
o-GL = 귀리로부터의 갈락토리피드
o-h-GL = 수소화된 귀리 갈락토리피드
o-DGDG = 농축된 귀리 갈락토리피드
w-GL = 밀로부터의 갈락토리피드
w-DGDG = 농축된 밀 갈락토리피드
r-GL = 호밀로부터의 갈락토리피드
[지방산 분석]
지질의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로의 에스테르교환 후에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지방산 프로필 분석을 수행하였다. 모세관 컬럼 30m × 0.25내경(DB-WAX; 미국의 J&W Scientific사 제품), 온-컬럼 인젝터 및 플레임 이온화 검출기가 장착된 Varian 3500 모세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상에서 모세관 컬럼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이들을 분리하고 정량하였다. 헬륨을 운반 가스로서 사용하였다. GynkoFoft 데이터 시스템 버전 4.22(독일의 Softron GmbH사 제품)로 적분을 수행하였다. 지질시료 1을 디메틸카보네이트:이소옥탄 1:1:2에 첨가하여 에스테르 교환을 수행하였다. 메탄올 200중에 용해시킨 나트륨 2.3g을 함유하는 용액 1를 첨가하고, 시험관을 30초 동안 격렬하게 진탕시킨 다음 실온에서 15분 동안 정치시켜 완전히 반응시켰다. 몰 3를 가하고 시험관을 진탕시킨 다음 2 × g에서 원심분리시켰다. 유기층 0.5를 후술하는 분리 조건을 갖는 크로마토그래프 상에 주입시켰다. 오븐을 130에서 출발하여(2분) 150(30/분) 및 220(3.2/분)까지 증가시키고, 10분 동안 유지시키도록 온도 프로그래밍하였다. 인젝터 온도는 130였고, 검출기 온도는 250였다. 초기에 가스 흐름은 2.7/분이었다. 결과를 외부 표준 방법을 사용하여 정상화된 중량로 나타냈다. 표준을 이용할 수 없거나 또는 허용가능할 정도로 순수한 소량 성분에 대해서는 보정 인자를 사용하지 않았다.
[디갈락토실디아실글리세롤의 NMR 분광법]
1차원 양성자-디커플드 천연 풍부 C NMR 스펙트럼을 100.614 MHz의 C 주파수에서 Bruker AM-400 분광계(독일의 Bruker Analytische Messtechnik GmbH사 제품) 상에 기록하였다. 펄스 각은 36이고, 펄스 반복 시간은 1.0초이고, 해상도는 데이터 포인트 당 1.526 Hz였다. 처리과정 동안에 3Hz 라인 브로드닝(broadning)을 행하였다. 시료 10 내지 40을 DMSO-d6(미국의 Aldrich Chemical Comp., Inc.사 제품) 730및 D2O(미국의 Aldrich Chemical Comp., Inc., 사 제품) 20의 혼합물 중에 희석시켜 NMB관(내경 5)으로 옮겼다.
[실시예 1]
[호지성 담체(20γ-리놀렌산(GLA)을 함유하는 농축 월견초유)의 제초]
하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호지성 담체를 제조하였다.
성분
갈락토리피드 물질 50.0
농축된 월견초유, 20GLA 50.0
갈락토리피드 물질을 22,000rpm에서 3분 동안 고전단력 혼합 하에 오일 중에 분산시켰다. 이어서 오일상을 50에서 40분 동안 유지시켰다. 실온으로 냉각시켰을 때 투명하게 유지되는 점성이 높은 투명한 호지성 담체를 얻었다.
[실시예 2]
[5시클로스포린 A를 함유하는 호지성 담체(20GLA를 함유하는 농축 월견초유)의 제조]
하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약제학적 활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호지성 담체를 제조하였다.
성분
갈락토리피드 물질 19.0
농축된 월견초유, 20GLA 75.9
시클로스포린 A 5.1
갈락토리피드 물질을 22,000rpm에서 2분 동안 고전단력 혼합 하에 오일 중에 분산시켰다. 이어서 오일상을 50로 가열하였더니 투명하게 되었다. 투명한 오일상에 시클로스포린 A를 가하였다. 시클로스포린/오일 혼합물을 투명한 액체가 깊어질 때까지 가끔씩 진탕시키면서 50로 유지시켰다.
[실시예 3]
[아스코르빌-6-GLA를 함유하는 호지성 담체의 제조]
하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겔을 제조하였다:
성분
아스코르빌-6-GLA 6.25
갈락토리피드 물질 40.72
MCT유 53.03
아스코르빌-6-GLA, 즉, 아스코르브산의 γ-리놀렌산 에스테르(스콧틀랜드의 Callanish Ltd.사 제품)를 오일 중에 분산시켰다. 갈락토리피드 물질을 분산액에 가한 다음 혼합물을 약 50로 가열하고 고전단력하에 혼합시켰다. 실온으로 냉각시켜 점성의 약간 불투명하고 안정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4]
[물이 없는 디술피람 제제의 제조]
하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알콜 억제제인 디술피람을 함유하는 비경구 제제를 제조하였다.
성분
귀리로부터의 갈락토리피드 50.0
디술피람 32.0
MCT유 48.0
울트라투락스 균질화기를 사용하여 2000rpm에서 15분 동안 및 3000rpm에서 5분 동안 성분들을 혼합하였다.
이로써 다량의 미세 분산된 디술피람 입자를 함유하는, 매끄럽고 균질한 콘시스턴시를 가지는 현탁액을 얻었다. 실온에서 저장하는 동안 현택액은 우수한 물리적 안정성을 나타내었으며, 침강은 관찰되지 않았다. 현탁액의 점도는 비교적 낮았으며, 가는(내경 1.0) 침이 구비된 주사기를 통해 제제를 전달할 수 있었다.
제제는 사람의 십이지장내로 점적 주입할 수 있으며, 이 때 디술피람 데포(depot)로 적용하여 연장된 알콜 억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5]
[역 소포의 제조]
하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역 소포를 제조하였다:
성분 조성물 A 조성물 B
귀리로부터의 갈락토리피드 1.65 1.56
대두로부터의 리소포스타티딜콜린 0.40 -
대두로부터의 포스파티딜이노시톨 - 0.38
물 0.56 0.64
MCT유 97.39 97.42
성분들을 칭량한 후, 혼합물을 초음파조 중 30-40에서 1시간 동안 초음파 처리하였다. 생성된 미세 분산액은 1주일 일상 동안 안정하였다. 큰 역 소포의 존재를 비데오-인헨스드 시스템(Argus 10; 일본의 Hamamatsu Photonics Co.사 제품)을 갖는 시차 간섭상 콘트라스트 현미경(X2F-NTF-21; 일본의 Nikon사 제품)으로 평가하였다.
본 실시예의 역 소포는 지질 성분을 기재로 하고, 제약 및 화장품 분야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이전에는, 역 소포를 인지질 또는 탄화수소유 중의 합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는데, 후자의 2개의 성분들은 대체적으로 독성이 강해 인채용으로 사용하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역 소포는 이전에 합성 게면활성제 및 탄화수소유를 기재로 한 계에 대해 보고된 것보다 훨씬 양호한 안정성을 나타낸다.
역 소포 분산액은 생활성 물질, 예를 들면 인터페론과 같은 단백질성 약물 및 칼시토닌 또는 인슐린과 같은 펩티드 호르몬을 혼입시킬 수 있는 유기적 용액의 한 예이다. 역 소포를 사용하여 트리글리세리드유 중에 수용성 단백질성 약물 또는 호르몬을 혼입시키는 것은 호지성 세포막을 통한 약물의 운반을 용이하게 한다. 약물 분자는 약물에 대한 안정화 효과를 갖는 역 소포의 2층 구조 내에 위치한다. 특히, 약물은 경구로 투여될 때 소화관 중에서의 분해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실시예 6]
[역 미셀의 제조]
하기 방법으로 점성이 높은 역 미셀 겔(유기겔, 미세유액 겔)을 제조하였다.
성분
귀리로부터의 갈락토리피드 17.9
MCT유 81.3
물 0.8
갈락토리피드 물질 및 MCT유를 함께 혼합하여 균질한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계속적으로 자기 교반하면서 물을 분산액에 적가하였다. 거의 즉시 투명한 겔이 형성되었고 1개월 이상에 걸쳐 고점도를 유지하였다.
[실시예 7]
[미세유액의 제조]
하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미세유액을 제조하였다:
성분
아스코르빌-6-GLA 7.49
갈락토리피드 물질 17.66
MCT유 63.53
물 11.32
아스코르빌-6-GLA를 오일 중에 분산시켰다. 갈락토리피드 물질을 분산액에 가하였다. 막 여과된 따뜻한 물을 고전단력 혼합 하에 오일상에 가라하였다. 이로써 투명하고 약간의 황색을 띈 저점성 액체를 얻었다.
[실시예 8]
[유중수 유화액의 제조]
하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유중수 유화액을 제조하였다:
성분
귀리로부터의 갈락토리피드 20.0
MCT유 49.9
l.0수성 카라기난 겔 30.1
갈락토리피드 물질을 MCT유와 함께 혼합하여 균질한 투명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60에서 용융시킨 카라기난 겔을 고전단력 혼합 하에 오일상에 서서히 가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켜 점성이높은 우유빛 오일 연상으로 유화액을 제조하였다.

Claims (19)

  1. 극성 지질 물질과 비극성 지질, 및 극성 용매로 이루어진, 연속 지질상을 갖는 호지성 담체 제제에 있어서, 극성 지질 물질이 디갈락토실디아실글리세롤 50 중량이상 및 나머지로서 다른 극성 지질로 이루어진 갈락토리피드 물질이고,총 제제의 중량을 기준하여 -갈락토리피드 물질 및 다른 양친매성 물질 0.5 내지 3.0 중량, -수용액 0.1 내지 1.0 중량, 및 -전체가 100 중량가 되는 양의 비극성 지질을 포함하는 역 소포 형태의 호지성 담체 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갈락토리피드 물질이 약 70 내지 80의 디갈락토실디아실글리세롤 및 20 내지 30 중량의 다른 극성 지질로 이루어진 것인, 역소포 형태의 호지성 담체 제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갈락토리피드 물질이 최대 100의 디갈락토실디아실글리세롤로 이루어진 것인, 역소포 형태의 호지성 담체 제제.
  4. 극성 지질 물질과 비극성 지질로 이루어진 연속 지질상을 갖는 호지성 담체 제제에 있어서, 극성 지질 물질이 디갈락토실디아실글리세롤 50 중량이상 및 나머지로서 다른 극성 지질로 이루어진 갈락토리피드 물질이고, 총 제제의 중량을 기준하여 갈락토리피드 물질 및 다른 양친매성 물질 1 내지 50 중량및 전체가 100 중량가 되는 양의 비극성 지질을 포함하는 용액 형태의 호지성 담체 제제.
  5. 극성 지질 물질과 비극성 지질, 및 극성 용매로 이루어진, 연속 지질상을 갖는 호지성 담체 제제에 있어서, 극성 지질 물질이 디갈락토실디아실글리세롤 50 중량이상 및 나머지로서 다른 극성 지질로 이루어진 갈락토리피드 물질이고, 총 제제의 중량을 기준하여 -갈락토리피드 물질 1 내지 50 중량, -수용액 0.1 내지 5.0 중량, 및 -전체가 100 중량가 되는 양의 비극성 지질을 포함하는 역 미셀 형태의 호지성 담체 제제.
  6. 극성 지질 물질과 비극성 지질, 및 극성 용매로 이루어진, 연속 지질상을 갖는 호지성 담체 제제에 있어서, 극성 지질 물질이 디갈락토실디아실글리세롤 50 중량이상 및 나머지로서 다른 극성 지질로 이루어진 갈락토리피드 물질이고, 총 제제의 중량을 기준하여 -갈락토리피드 물질 1 내지 30 중량, -수용액 1 내지 80 중량, 및 -전체가 100 중량가 되는 양의 비극성 지질을 포함하는 유중수 유화액 형태의 호지성 담체 제제.
  7. 제1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호지성 담체 제제 및 생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비극성 지질이 트리아실글리세롤류, 바람직하게는 중간 길이 사슬 트리아실글리세롤(MCT)유, 월견초유, 팜유 분회 또는 생활성 물질인 제약 조성물.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경구, 장내, 비경구, 직장, 질내, 국소, 안내, 비강내 또는 귀를 통한 투여용 제약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호지성 담체 제제 및 화장제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제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비극성 지질이 트리아실글리세롤류, 바람직하게는 중간 길이 사슬 트리아실글리세롤(MCT)유, 월견초유 또는 팜유 분획인 화장제 조성물.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갈락토리피드 물질이 약 70 내지 80의 디갈락토실디아실글리세롤 및 20 내지 30 중량의 다른 극성 지질로 이루어진 것인, 용액 형태의 호지성 담체 제제.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갈락토리피드 물질이 최대 100의 디갈락토실디아실글리세롤로 이루어진 것인, 용액 형태의 호지성 담체 제제.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갈락토리피드 물질이 약 70 내지 80의 디갈락토실디아실글리세롤 및 20 내지 30 중량의 다른 극성 지질로 이루어진 것인, 역 미셀 형태의 호지성 담체 제제.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갈락토리피드 물질이 최대 100의 디갈락토실디아실글리세롤로 이루어진 것인, 역 미셀 형태의 호지성 담체 제제.
  1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갈락토리피드 물질이 약 70 내지 80의 디갈락토실디아실글리세롤 및 20 내지 30 중량의 다른 극성 지질로 이루어진 것인, 유중수 유화액 형태의 호지성 담체 제제.
  1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갈락토리피드 물질이 최대 100의 디갈락토실디아실글리세롤로 이루어진 것인, 유중수 유화액 형태의 호지성 담체 제제.
  18. 제4항 기재의 호지성 담체 제제 및 생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19. 제4항 기재의 호지성 담체 제제 및 화장제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제 조성물.
KR1019960704239A 1994-02-04 1995-02-06 호지성 담체 제제 KR1002205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400368-8 1994-02-04
SE9400368A SE9400368D0 (sv) 1994-02-04 1994-02-04 Glycolipid material
SE9402456-9 1994-07-12
SE9402456A SE517678C2 (sv) 1994-07-12 1994-07-12 Lipofila bärarpreparat med en kontinuerlig lipidfas
PCT/SE1995/000117 WO1995020945A1 (en) 1994-02-04 1995-02-06 Lipophilic carrier prepara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0546B1 true KR100220546B1 (ko) 1999-09-15

Family

ID=26661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4239A KR100220546B1 (ko) 1994-02-04 1995-02-06 호지성 담체 제제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5716639A (ko)
EP (1) EP0743851B1 (ko)
JP (1) JP3203359B2 (ko)
KR (1) KR100220546B1 (ko)
CN (1) CN1091591C (ko)
AT (1) ATE201980T1 (ko)
AU (1) AU691250B2 (ko)
CA (1) CA2182577C (ko)
DE (1) DE69521300T2 (ko)
DK (1) DK0743851T3 (ko)
ES (1) ES2158084T3 (ko)
FI (1) FI963066A (ko)
HU (1) HU221432B (ko)
MY (1) MY112435A (ko)
NO (1) NO312495B1 (ko)
NZ (1) NZ279954A (ko)
PL (1) PL178394B1 (ko)
TW (1) TW482685B (ko)
WO (1) WO19950209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403855D0 (en) * 1994-03-01 1994-04-20 Scotia Holdings Plc Fatty acid derivatives
SK284128B6 (sk) * 1996-05-10 2004-09-08 Unilever Nv Kompozícia s obsahom organogélu
PL187045B1 (pl) * 1996-05-10 2004-05-31 Yamanouchi Europ Bv Proszek odwróconych pęcherzyków, sposób wytwarzania proszku, kompozycja oraz sposób wytwarzania dyspersji odwróconych pęcherzyków
GR1002706B (el) * 1996-05-22 1997-05-26 Μικρογαλακτωματα λεκιθινης περιεχοντα πρωτεολυτικα ενζυμα α-χυμοθρυψινης η θρυψινη και μεθοδος μονιμης ενζυμικης αποτριχωσης.
DE19645657A1 (de) * 1996-11-06 1998-05-28 Rhone Poulenc Rorer Gmbh Phospholipidische Zusammensetzun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derartigen Zusammensetzung und Verwendung derselben
SE9702630D0 (sv) * 1997-07-07 1997-07-07 Scotia Lipidteknik Ab Satiety product
US7070799B1 (en) * 1998-02-10 2006-07-04 Generex Pharmaceuticals, Inc. Method for administering insulin to the buccal region
US6221378B1 (en) 1998-02-10 2001-04-24 Gener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Mixed micellar delivery system and method of preparation
US6017545A (en) * 1998-02-10 2000-01-25 Modi; Pankaj Mixed micellar delivery system and method of preparation
DE19819273A1 (de) * 1998-04-30 1999-11-11 Pharmatec International S Giul Pharmazeutische Ciclosporin-Formulierung mit verbesserten biopharmazeutischen Eigenschaften, erhöhter physikalischer Qualität und Stabilität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SE9804192D0 (sv) * 1998-12-03 1998-12-03 Scotia Lipidteknik Ab New formulation
EP1043016B1 (en) * 1999-03-30 2014-08-20 Sodic Sa A plant extract based on glycerides,phospholipids and phytosphingolipids, a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this extract and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US6916488B1 (en) * 1999-11-05 2005-07-12 Biocure, Inc. Amphiphilic polymeric vesicles
SE0000730D0 (sv) * 2000-03-06 2000-03-06 Scotia Holdings Plc Lipid carrier
DE10019171A1 (de) * 2000-04-07 2001-10-18 Schering Ag Zusammensetzungen zur Verwendung als Penetrationsverstärker in transdermalen Formulierungen für hoch lipophile Wirkstoffe
EP1151745A1 (fr) * 2000-05-05 2001-11-07 L'oreal Composition sous forme d'émulsion eau-dans-huile et ses utilisations cosmétiques
WO2003035112A1 (fr) * 2001-10-22 2003-05-01 Jiro Kanie Nutriant enteral et procede de production de celui-ci
US20030113366A1 (en) * 2001-12-14 2003-06-19 Macgregor Alexander Reverse-micellar delivery system for controlled transportation and enhanced absorption of agents
SE0200475D0 (sv) * 2002-02-15 2002-02-15 Ltp Lipid Technologies Provide Oral farmaceutisk beredning
SE0201922D0 (sv) * 2002-06-20 2002-06-20 Ltp Lipid Technologies Provide Koagulationshindrande komposition (Anticoagulant Composition)
SE0300207D0 (sv) 2003-01-29 2003-01-29 Karolinska Innovations Ab New use and composition
US7658964B2 (en) * 2003-05-09 2010-02-09 Freedom Health, Llc Dietary supplement and method for increasing the colostrum immunoglobulin levels in equine mares
US7988989B2 (en) * 2003-05-09 2011-08-02 Freedom Health, Llc Nutritional product for enhancing growth and/or strengthening the immune system of equine foals
US7824706B2 (en) * 2003-05-09 2010-11-02 Freedom Health, Llc Dietary supplement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digestive tract ulcers in equines
US20050058671A1 (en) * 2003-05-09 2005-03-17 Bedding Peter M.J. Dietary supplement and method for treating digestive system-related disorders
DE10336841A1 (de) * 2003-08-11 2005-03-17 Rovi Gmbh & Co. Kosmetische Rohstoffe Kg Kosmetische Zusammensetzung zur Unterstützung des Sauerstofftransports in die Haut
ES2258694T3 (es) 2003-11-11 2006-09-01 Mattern, Udo Sistema de administracion de liberacion controlada de hormonas sexuales para aplicaciones nasales.
US8784869B2 (en) 2003-11-11 2014-07-22 Mattern Pharma Ag Controlled release delivery system for nasal applications and methods of treatment
US20050191343A1 (en) * 2003-11-26 2005-09-01 Shire Laboratories, Inc. Micellar systems useful for delivery of lipophilic or hydrophobic compounds
CA2593956A1 (en) 2004-12-22 2006-06-29 Lipopeptide Ab Agents inhibiting the cathelin-like protein cap18/ll-37
EP1879466B2 (en) * 2005-03-04 2015-05-06 DSM IP Assets B.V. Foodstuff particulate lipid composition
DE102005023640A1 (de) * 2005-05-19 2006-11-23 Beiersdorf Ag Wirkstoffkombinationen aus Glucosylglyceriden und einem oder mehreren partiell neutralisierten Ester von Monoglyceriden und / oder Diglyceriden gesättigter Fettsäuren mit Zitronensäure
DE102005023636A1 (de) * 2005-05-19 2006-11-23 Beiersdorf Ag Wirkstoffkombinationen aus Glucosylglyceriden und Kreatin und / oder Kreatinin
DE102005023638A1 (de) * 2005-05-19 2006-11-23 Beiersdorf Ag Kosmetische Zubereitungen mit einem Gehalt an Glucosylglyceriden und einem oder mehreren Acrylamidomethylpropylsulfonsäure-Polymeren
AU2006291588A1 (en) * 2005-09-16 2007-03-22 Dsm Ip Assets B.V. Particulate lipid pharmaceutical composition
DK2068825T3 (da) 2006-10-04 2011-05-16 M & P Patent Ag Kontrolleret frisætningstilførselssystem til nasal påføring af neurotransmittere
US8501234B2 (en) 2007-08-09 2013-08-06 Kao Corporation Reverse vesicle
US20090137497A1 (en) * 2007-11-23 2009-05-28 Beiersdorf Ag Active ingredient combinations of glucosyl glycerides and creatine and/or creatinine
US20090285869A1 (en) * 2008-05-14 2009-11-19 Humco Holding Group, Inc. Salt stable lecithin organogel composition
JP2010104946A (ja) * 2008-10-31 2010-05-13 Riso Kagaku Corp 逆ベシクルを用いて形成された油中水(w/o)型エマルション
CN101787059B (zh) * 2009-05-12 2014-10-15 沈阳药科大学 双半乳糖基二酰甘油酯的制备方法及其应用
WO2011117333A2 (en) * 2010-03-24 2011-09-29 Medesis Pharma Reverse micelle system comprising metal ions and use thereof
US9237762B2 (en) * 2010-05-24 2016-01-19 Swedish Oat Fiber Ab Aqueous dispersion comprising galactolipids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EP2389816A1 (en) * 2010-05-25 2011-11-30 Nestec S.A. Synergistic antioxidant composition
US20130045958A1 (en) 2011-05-13 2013-02-21 Trimel Pharmaceuticals Corporation Intranasal 0.15% and 0.24% testosterone gel formulations and use thereof for treating anorgasmia or hypoactive sexual desire disorder
US20130040923A1 (en) 2011-05-13 2013-02-14 Trimel Pharmaceuticals Corporation Intranasal lower dosage strength testosterone gel formulations and use thereof for treating anorgasmia or hypoactive sexual desire disorder
US9757388B2 (en) 2011-05-13 2017-09-12 Acerus Pharmaceuticals Srl Intranasal methods of treating women for anorgasmia with 0.6% and 0.72% testosterone gels
WO2014103742A1 (ja) * 2012-12-25 2014-07-03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逆ベシクル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6239822B2 (ja) * 2012-12-27 2017-11-29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逆ベシクル組成物
JP6242582B2 (ja) * 2013-04-01 2017-12-06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逆ベシクル組成物の製造方法
JP6242581B2 (ja) * 2013-04-01 2017-12-06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逆ベシクル組成物の製造方法
JP6334151B2 (ja) * 2012-12-25 2018-05-30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逆ベシクル組成物
US11744838B2 (en) 2013-03-15 2023-09-05 Acerus Biopharma Inc. Methods of treating hypogonadism with transnasal testosterone bio-adhesive gel formulations in male with allergic rhinitis, and methods for preventing an allergic rhinitis event
BR112015025714A2 (pt) * 2013-04-16 2017-07-18 Dow Global Technologies Llc artigo e processo
WO2020237383A1 (en) * 2019-05-31 2020-12-03 Groupe Santé Devonian Inc. Thylakoids as delivery system for cannabinoïds and other molecules and formulation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09842B1 (en) * 1978-10-02 1982-11-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posomes for drug delivery and composition containing a liposome drug system
SE8206744D0 (sv) * 1982-11-26 1982-11-26 Fluidcarbon International Ab Preparat for kontrollerad avgivning av substanser
US4610868A (en) * 1984-03-20 1986-09-09 The Liposome Company, Inc. Lipid matrix carriers for use in drug delivery systems
ES2036593T3 (es) * 1986-06-12 1993-06-01 The Liposome Company, Inc. Composiciones que utilizan medicamentos antiinflamatorios no esteroidales encapsulados en liposomas.
US5234767A (en) * 1987-03-13 1993-08-10 Micro-Pak, Inc. Hybrid paucilamellar lipid vesicles
SE9003100D0 (sv) * 1990-09-28 1990-09-28 Kabivitrum Ab Lipid formulation system
JP2774429B2 (ja) * 1992-03-17 1998-07-09 株式会社ディ・ディ・エス研究所 糖骨格を有する分枝鎖型誘導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182577A1 (en) 1995-08-10
NO312495B1 (no) 2002-05-21
DK0743851T3 (da) 2001-09-03
ES2158084T3 (es) 2001-09-01
NO963242D0 (no) 1996-08-02
DE69521300T2 (de) 2002-05-02
NZ279954A (en) 1998-02-26
CN1091591C (zh) 2002-10-02
FI963066A (fi) 1996-09-30
JPH09508415A (ja) 1997-08-26
HU9602142D0 (en) 1996-09-30
PL315780A1 (en) 1996-12-09
CA2182577C (en) 2002-08-20
FI963066A0 (fi) 1996-08-02
ATE201980T1 (de) 2001-06-15
PL178394B1 (pl) 2000-04-28
DE69521300D1 (de) 2001-07-19
EP0743851A1 (en) 1996-11-27
EP0743851B1 (en) 2001-06-13
WO1995020945A1 (en) 1995-08-10
NO963242L (no) 1996-08-02
AU1723595A (en) 1995-08-21
HU221432B (en) 2002-10-28
US5716639A (en) 1998-02-10
AU691250B2 (en) 1998-05-14
TW482685B (en) 2002-04-11
HUT75470A (en) 1997-05-28
CN1140405A (zh) 1997-01-15
MY112435A (en) 2001-06-30
JP3203359B2 (ja) 2001-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0546B1 (ko) 호지성 담체 제제
AU691248B2 (en) Oil-in-water emulsions
EP0744939B1 (en) Bilayer preparations made from digalactosyldiacylglycerol containing galactolipid
EP1135152A1 (en)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cyclosporin in a lipid carrier
RU2127124C1 (ru) Препараты липофильных носителей
RU2131266C1 (ru) Эмульсия типа "масло в воде", носитель на ее основе и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RU2740553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липосомальной формы бетулина, обладающей гепатопротекторной активностью
MXPA96003038A (en) Oil emulsions in a
JPH09239258A (ja) 膜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