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9010B1 - 커피머신용 양조장치 및 커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커피머신용 양조장치 및 커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9010B1
KR100219010B1 KR1019930700985A KR930700985A KR100219010B1 KR 100219010 B1 KR100219010 B1 KR 100219010B1 KR 1019930700985 A KR1019930700985 A KR 1019930700985A KR 930700985 A KR930700985 A KR 930700985A KR 100219010 B1 KR100219010 B1 KR 100219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wing
cylinder
brewing cylinder
piston
b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0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뤼씨 안드레
쭈르부헨 한스
폰 군텐 위르그
Original Assignee
안드레발티스베르거;안드레루시
엠.샤에레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드레발티스베르거;안드레루시, 엠.샤에레아게 filed Critical 안드레발티스베르거;안드레루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9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90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09Loose coffee being employed
    • A47J31/3619Means to remove coffee after brew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09Loose coffee being employed
    • A47J31/3614Means to perform transfer from a loading position to an infusing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Tea And Coffee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양조 장치는 원통형 구멍(10)을 갖는 양조 실린더(9)를 포함하고, 하부 피스톤(8)은 자유롭게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부 피스톤(7)은 프레임(1)에 단단히 연결되어 있다. 안내 수단(23)을 갖는 구동 스핀들(6)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양조 실린더(9)에 평행하다. 양조 실린더에 연결된 구동 소자(24)는 구동 스핀들(6)과 맞물리는 다른 안내 수단(25)을 갖는다. 구동 스핀들(6)을 일 또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서 양조 실린더는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한다. 선회가능한 호퍼(12)를 통하여 커피 분말은 양조 실린더에 채워진다. 삽입된 커피 분말의 양을 달성하기 위하여 양조 실린더는 가압된 커피 분말을 거쳐서 상부 피스톤(7)에 의해 발생된 대향력이 스핀들의 구동력과 동일할 때 까지 시간 제어하에서 상향으로 이동한다. 커피 분말의 적합하게 느슨한 양조를 허용하기 위하여, 두 피스톤(7,8)사이에서 양조 챔버는 실제 양조 공정전에 다시 약간 확대된다. 상기 장치는 마모 및 찢어짐에 따른 두개의 부품으로 간단한 구성에 의한 것이 특징적이며 이 간단한 구조는 구동 스핀들의 시간 제어를 완성하기 위해 단부 스위치의 생략에 의해 부간된다.

Description

커피머신용 양조장치 및 커피 제조방법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부에 따른 커피 머신용 양조(brewing) 장치 및 청구범위 제8항의 특징부에 따른 커피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러 공정에 따른 자동 커피 머신에 준비된 커피는 두 가지 기본 형태로 나눌 수 있다. 고온수가 단지 중력에 의해 필터내에 배치된 커피 분말을 통과하는 제1공정은 압력[에스프레소(espresso) 또는 압력 양조 공정하에서 커피 분말을 통과하는 제2공정과 구별된다. 본 발명은 특히 상기 가압 양조 공정에 관한 것이다. 이 공정을 자동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여러 가지 장치가 이미 공지되어 있다. 가정에서 또는 음식점에서 사용하는 이들 영역에 따르면, 종래 기술의 커피 머신은 특히 구조에 있어서 강도와, 공정 단계의 가요성 및, 작동과 유지의 용이성 등에 대해서 다르다.
스위스 특허 제64l,030호에는 양조 챔버에 삽입된 커피 분말의 여러 동작을 실행하도록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두개의 피스톤을 갖는 자동 커피 머신이 기술되어 있다. 이 독립 구동 피스톤은 공정 단계의 명령을 변화시키는 것과 각 경우에 처리되는 커피 분말의 양을 양조 챔버의 용적에 맞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양조 후에 걸러진 커피 찌꺼기를 자동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장치와 같은 다른 보조 부품과 두개의 피스톤을 구동하기 위해 유압 에너지가 사용된다. 유압 구동 수단의 사용은 서로에 관해서 독립적인 부품의 상대 운동의 자유 선택과 처리 단계 명령의 자유 선택을 허용하는 반면에, 이 구동 수단의 구조는 시간을 많이 소비하며 값이 비교적 비싸다. 커피 머신의 수익성은 대개 이런 형대의 머신이 상업적 사용만에 의해 전환되어 유지되는 이유로 인해 활용성의 높은 비율에 의해서만 달성될 수 있다.
스위스 특허 제673,083호에는 원통형 보어를 갖는 양조 실린더와 두개의 피스톤을 구비한 커피 제조 장치가 기술되어 있으머, 상기 원통형 보어는 양조 챔버를 형성하도록 폐쇄되어 있고, 양조 실린더와 피스톤은 양조 실린더 축을 따라 서로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양조 장치는 수평 방향으로 작동한다. 양조 실린더의 외부면에는 커피 분말을 공급하기 위한 개구가 있다. 이 분말은 양조 실린더의 내부 생성면상에 먼저 떨어진다. 후자가 이동될 때 제2피스톤을 지나 양조 챔버에 삽입된 커피 분말이 전체 단면에 걸쳐 균일하게 점진적으로 많이 또는 적게 분배되는 것을 따라 제1피스톤이 견인된다. 두 피스톤 사이에서 커피 분말의 동일층을 얻기 위하여, 이 커피 분말은 일정 압력으로 먼저 가압된다. 이 단부에서 스프링에 대해 작용하는 제2피스톤은 고정된 머신 프레임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필요한 초기 가압력은 제2피스톤이 한정된 통로를 스프링에 대해 한정될 때 달성된다. 이 지점에서 양조 실린더의 전진이 멈춰지고 양조 공정이 시작된다. 이것이 끝날 때 양조 실린더는 다시 구동된다. 제2피스톤은 양조 실린더의 일 단부를 해체시킨다. 양조 실린더가 마찰 효과의 결과로써 제1피스톤에 대해 어멓게 이동하는가에 대해서, 걸러진 커피 분말은 제1피스톤이 개방 양조 실린더의 영역에 도달하고 제2피스톤에 의해 해체될 때 양조 실린더 밖으로 떨어진다. 이것은 제1피스톤의 다른 운동이 정지 부재에 의해 겅지된 후 양조 실린더가 완전하게 구동된 후방 위치에 도달될 때 일어난다. 이 정지부재는 양조 실린더가 다시 충진 위치안에서 전방으로 이동할 때 전진 양조 실린더에 의해 해체될 때까지 제1피스톤이 고정 유지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본문에 상술된 커피 제조 장치가 단순한 구조일지라도, 이것은 몇 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커피 분말은 양조 챔버의 단면에 걸쳐 다소 군일한 분배가 보증되도록 일정한 초기 가압력으로 양조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불량한 분말로 양조된 커피 특성이 더 좋게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커피 머신에 양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상술한 단점이 없는 양조 장치로 커피를 조제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커피 머신을 위해 제공된 양조 장치는 매우 가요성적이며, 특히 각 경우에 제조되는 커피 분말의 양에 적합하도록 양조 챔버의 용적을 허용한다. 이것은 본 기술의 상술한 상태에 대해 더 간단하다. 공급되는 커피 분말의 양이 변화할지라도 상기 방법은 커피 분말의 불량 양조를 허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문제는 청구범위 제1항 및 제8항의 특징부분에 기술된 특정 수단에 의해 해결된다.
양조 장치의 몇 가지 양호한 실시예가 청구범위 제2항 내지 제7항에 기술되어 있다. 상기 방법은 청구범위 제9항 및 제10항의 특징에 따라 개량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하기에 상세히 기술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위치 즉, 충진 위치에서 양조 장치의 제1실시예를 옆에서 본 부분 종단면도.
제2도는 동일 위치에서 제1도의 양조 장치의 정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양조 장치의 평면도.
제4도는 제2위치 즉 느슨한 양조 위치를 도시하고 있으며 일점쇄선은 걸러낸 커피 분말이 방출되게 준비된 제3위치를 도시한 제1도 양조 장치의 종단면도.
제5도는 걸러낸 커피 분말이 방출된 후 제5위치에 있는 제1도의 양조 장치를 통해서 바라본 종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양조 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양조 장치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양조 장치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1도, 제2도 및 제3도는 측면(제1도)과, 정면(제2도) 및, 휴지 또는 충진 위치에 있는 평면(제3도) 에서 바라본 부분 종단면도인 본 발명의 양조 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양조 장치의 필수적인 작동 성분이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양조 장치는 적합한 이격 수단에 의해 이격되어 있는 제1 및 제2측벽(2,3)에 의해 힝성된 프례임(1)을 포함한다. 다른 것 들증에 이격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은 장치 전체를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구동 스핀들(6)의 상, 하부 스핀들 베어링(4,5)이다. 이 구동 스핀들은 스핀들 베어링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축방향으로의 이동은 방지 고정된다. 구동 스핀들상에는 대략 5°정도의 피치를 갖는 복수개의 스핀들 쓰레드로 양호하게 배치된 안내 수단(23)이 있다. 스핀들 쓰레드는 작업 위치가 수직한 구동 스핀들(6)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구동 스핀들(6)에 대해 일정 거리에는 양조 실린더(9)가 이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대체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양조 실린더(9)는 그 축이 구동 스핀들(6)의 축과 평행한 관통 구멍(10)을 갖는다. 구동 스핀들(6)까지 연장된 구동 소자(24)가 양조 실린더에 단단하게 연결되어 있다. 구동 소자(24)는 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구동 스핀들(6)과 직면하는 측면은 안내 수단(23)과 맞물리는 다른 안내수단(25)을 포함한다. 구동 소자(24)의 측면 부분은 제1측벽(2)상에 대응하는 길이방향 안내부(41,47) 및 제2측면(3)상에 대응하는 길이방향 안내부(42,47)에 의해 형성된 두개의 안내면(43,44; 45,46)사이에 놓여있다. 구동 스핀들(6)이 일 또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때, 양조 실린더는 상향과 하향으로 이동된다.
상부 피스톤(7)이 프레임에 단단하게 연결되어 있다. 양조 실린더(9)를 향해 회전된 그 전방면에는 유지 캐치(49)에 의해 유지되는 분리 가능한 시브(39,sieve)가 구비되어 있다. 시브(39) 근처에서 상부 피스톤의 표면은 밀봉링(37)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이것은 양조 실린더(9)의 구멍(10)의 내벽에 대해 피스톤을 액체 기밀적으로 밀봉하는 경향이 있다. 상부 피스톤(7)은 시브(39)로부터 떨어져서 회전되는 단부가 두 측벽(2,3)을 향해 연장되는 긴 중공 원통형 샤프트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상부 피스톤(7)이 측벽(2,3)에 의해 이격 수단으로써 또한 사용한다. 유체 파이프(40)는 상부 피스톤(7)의 중공 원통헝 샤프트 내부에서 피스톤(7)의 상기 단부에 배치된 연결 니플(35)로부터 시브(39) 뒤쪽으로 통과한다. 연결 니플(35)은 물을 공급하거나 또는 커피를 제거하는 것중 하나로써 제공된다.
상부 피스톤(7)으로부터 떨어진 측면상에 있는 양조 실린더(9)의 구멍(10)은 구멍(10)의 원주 주위에 균일하게 분배된 내향 캠(33)을 갖고 있다. 각 캠(33)은 구멍(10)의 축에 대해 직각으로 이어지는 정지 엣지(13)를 형성한다. 본문에 기술된 도면에 따르면 이들에 대한 잔류물은 양조 실린더(9)의 구멍(10)에 배치되어서 전체 양조 실린더를 따라 자유롭게 대체시킬 수 있는 하부 피스톤(8)이다. 하부 피스톤(8)은 양조 실린더(9)로부터 떨어져서 하향으로 연장되는 중공 원통힝 샤프트(14)를 또한 갖는다. 샤프트(14)의 하단부에는 원주에 걸쳐 분포된 의향 캠(32)이 있다. 이 캠은 샤프트(14)를 지나서 신장되는 분할 정지 링(31)을 지지하는 경향이 있다. 상기 링은 하부 피스톤(8)을 양조 실린더(9)로부터 상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샤프트(14)상의 외향 캠은 피스톤을 양조 실린더(9)안으로 유도하기 위해 이들이 피스톤의 회전 위치에 따라 양조 실린더(9)의 구멍(10)의 중심 방향 캠(33) 사이를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양조 실린더(9)에 위치된 전방면의 영역에 있어서, 하부 실린더(8)는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으로 제공되는 밀봉링(38)을 또한 갖는다. 중공 실린더형 연결부재(15)는 구멍(10)과 동축을 이루며 또한 하부 피스톤(8)과도 동축을 이룬다. 양조 실린더(9)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단부는 측방향으로 확대되어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측벽(2,3)을 이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써 작용한다.
하부 피스톤(8)의 중공 원통형 샤프트(14)는 연결부재(15)를 지나서 밀린다. 대응 홈에 위치된 연결부재(15)를 둘러싸는 세개의 0 링으로 구성된 제한된 수단(16; 이하에서는 0-링이라고도 함)은 하부 피스톤(8)의 이동이 연결부재(15)에 대해 제한되거나 또는 제동되도록 고정된다.
두 측벽(2,3)사이의 상부 단부 영역에 있어서, 호퍼(12)는 커피 분말을 양조 실린더(9)안으로 도입하기 위해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다. 각 측벽(2,3)은 내향으로 연장되는 베어링 저어널(50,51)을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36)은 호퍼(12)가 휴지 또는 충진 위치에 있는 구멍(10)을 향해 선회된 위치를 보장하도록 고정된다.
양조 실린더(9)상에 스트립핑 장치(21)가 또한 배치되어 있다. 이것은 제1도 내지 제3도에서 관찰하기가 비교적 어렵다. 양조 실린더(9)의 하단부에 구비 되어서 측벽(2,3)을 향하는 저어널은 이것 상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스트립핑 장치(21)의 레버(53,54)를 각각 지지하는 경향이 있다. 레버(53,54)는 양조 실린더(9)의 상단부까지 연장되어서 양조 실린더 축에 대해 직각으로 양조 실린더를 지나서 연장되는 방출판(52)에 단단히 연결되어 있다. 더욱이, 다른 연결 니플(34)은 물이 양조 실린더(9)에 공급되거나 커피가 흡입될 수 있는 양조 실린더의 하단부 영역에 배치된다. 연결 니플(34)에서, 양조 실린더(9)의 벽은 구멍(10)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관통 구멍을 갖는다. 이것은 도면에서 볼 수 없다. 도시된 충진 위치에서 이것은 구멍(10)과 하부 피스톤(8)의 외면 사이에 형성된 환형갭(57)안으로 하부 피스톤(8)의 밀봉링(38) 바로 위에서 개방 되도록 배치된다.
구동 스핀들(6)은 중공 스핀들로써 또한 설계되어 있다. 그 단부 부분중 한곳에서 이것은 스핀들에 동축적으로 안내되는 구동 샤프트(22)의 적합하게 형성된 홈에서 맞물리는 내향캠(58)을 갖는다. 비록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을지라도, 구동 샤프트(22)는 환형 기어를 거쳐서 구동 모터에 연결되어 있다.
양조 장치의 필수 성분을 기술하였으며, 이제는 그 작동을 하기에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된 충진 위치에서부터 시작한다. 일정량의 커피 분말이 선회된 호퍼(12)를 거쳐서 양조 실린더(9)의 구멍에 들어간다. 커피 분말은 하부 피스톤(8)의 전방 단부면에 걸쳐 균일하게 분배된다. 구동 스핀들(6)은 양조 실린더(9)가 상향으로 이동하도록 회전된다. 정지 엣지(13)상에 놓여있는 하부 피스톤(8)은 이와 함께 이동한다. 하부 피스톤(8)의 샤프트(14)는 고정된 지지체(15)에 대해 이동한다. 상향으로 이동하는 양조 실린더(9)는 호퍼(12)의 경사된 하부 측면까지 이어지고 제4도에 도시된 위치안에서 외향으로 이것을 선회시킨다.
양조 실린더(9)가 상향으로 계속 이어지는 바와 같이, 그 상단부는 상부 피스톤(7)을 지나서 이동한다. 양조 실린더의 구멍(10)은 양 단부에서 폐쇄되어서, 양조 챔버(11)가 형성된다. 양조 실린더의 상향 이동은 시간이 조절되나 구동에 대한 동등한 힘이 상부 피스톤(7)과 하부 피스톤(8)사이에서 압축된 분말에 의해 형성될 때까지 계속된다. 삽입된 분말 양은 이러한 방법으로 정확하게 결정된다. 시간 제어 말기에서 구동 스핀들은 대향 방향으로 간단히 구동되며 양조 챔버(11)는 약간 다시 개방된다. 이것은 제4도에 도시된 양조 위치이다. 바로 발생되는 양조 챔버의 개구는 삽입될 커피 분말의 양에 의해 동일하게 크다. 이것은 두개의 연결 소자(34,35)중 하나를 거쳐서 양조 챔버(11)에 고온수를 공급하기 위해 발생된다. 이것은 양조 실린더(9)상에 배치된 제1연결 소자(34)를 거쳐서 양호하게 행해진다. 물은 환형갭(57)을 통해 양조 실린더(11)에 들어가서 커피 분말(26)을 통해 균일하게 흘러서 시브(39)와, 파이프(40) 및, 다른 연결 소자(35)를 거쳐서 커피로써 양조 장치를 떠난다. 양조 공정을 이행하기 위해서, 양조 챔버(11)는 내측에서 어떤 액체없이 가압되는 양조 실린더(9)의 구동에 의해 다시 감소된다. 가압 후에, 양조 실린더(9)는 대응적으로 회전하는 구동 스핀들(6)에 의해 하향으로 이동한다. 밀봉링(38)의 마찰과 새로 걸러내고 찌꺼기로 압축된 커피 분말(26)의 접착으로 인해서 하부 피스톤(8)은 소비되는 시간에 의해 하부 위치에 유지된다. 양조 실린더(9)가 하향으로 이동할 때 하부 피스톤(8)의 샤프트(14)의 하단부는 지지체(15)의 상단부를 향해 이어진다. 차단 수단으로 인해 0-링(16) 예를 들어 하부 피스톤(18)의 하향 이동은 양조 실린더(9)의 하향 이동에 비해서 더 느리다. 구멍(10) 내부에서 하부 피스톤(8)은 양조 실린더(9)의 상단부를 향해 느리게 이동한다. 커피 분말 찌꺼기는 양조 실린더로부터 점진적으로 방출되어서 하부 실린더(8)상에 잔류량을 유지시킨다. 상술한 양조 실린더(9)의 위치는 제4도에서 일점 쇄선으로 도시되여 있다. 양조 실린더(9)의 캠(33)과 같이 빠르다. 이 시간에 커피분말 찌꺼기는 양조 실린더로부터 완전히 방출된다.
양조 실린더(9)의 하향 이동은 샤프트(14)의 캠(33)이 연결부재(15)의 하단부의 확대부상에 놓여서 이격 수단으로 제공될 때까지 계속된다. 바로 전에, 스트립핑 장치(12)의 경사 레버(66, 제2도 참조)가 작동 돌출부(59)에 대해 이어져서 방출판(52)이 하부 피스톤(8)의 굴곡 단부 변위에서 선회적으로 이동한다. 걸려져서 압축된 커피 분말의 찌꺼기는 양조 장치로부터 제거된다. 이 위치는 제5도에 도시되어 있다. 양조 실린더(9)가 하향으로 이동될 때 호퍼는 스프링(36)의 압력으로 인해 내향으로 자동적으로 선회되는 것을 거의 유지할 수 없다.
양조 실린더(9)는 다시 하향에서 충진 위치로 이동한다. 이 상향 이등의 초기에, 스트립핑 장치(12)는 측벽(2)상에서 길이방향 안내부(41)중 하나와 레버(60; 제2도 참조)에 의해 다시 내향으로 선회된다. 길이방향 안내부(41)와 레버(60)는 스트립핑 장치를 외향으로 선회되지 않는 한 서로에 대해 이와 같은 방법으로위치된다. 하부 피스톤(8)의 상향 이등은 차단 수단(16,0-링)에 의해 순간적으로 정지된다. 즉, 양조 실린더(9)의 상향 이동 보다 더 느리다. 하부 피스톤(8)은 정지 엣지(13)를 향해 양조 실린더(9)에 대해서 이동한다. 하부 피스톤(8)이 이것 상에 놓일 때만 최종적으로 다시 충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양조 실린더(9)의 비율로 상향 이동이 계속된다.
구동 스핀들(6)이 일 또는 다른 방향으로 작동되는 동안 시간의 모든 주기는 시간 제어된다. 이 결과 대응하는 최종 스위치를 생략함으로써 양조 장치는 종래 기술의 실시예와 비교해서 더 단순한 구조이다. 필요한 커피 분말의 특정 압축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가 아니다. 상부 피스튼은 측벽(2,3)에 단단히 연결되어 있다. 양조 장치의 모든 이동 가능한 부품은 하나의 단일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양조 장치의 모든 부품은 양호하게 사출 주조된 열가소성 물질이다. 도면을 연구하면, 몇 개의 독립 부품이 본 발명에 따른 양조 장치를 어떻게 만드는가를 나타낸다. 마모되고 찢겨지는 부품수가 최소이다. 이것은 시간 주기에 대해 매우 양호한 효과를 가지고, 상기 장치는 결점이 일어날 때까지 작동한다. 하부 피스톤(8)에 있는 환형갭(57)을 거쳐서 물을 공급하기 위한 특별 수단에 의하면, 비교적 값비싼 시브가 절약된다. 환형갭(57)은 각 양조 작동중에 도입된 물에 의해 자동적으로 청소된다. 구동 스핀들(6)상의 스핀들 쓰레드(23)의 피치는 구동 모터가 꺼질 때와 양조 공정동안 양조 챔버(11)에서 약 10bar 의 높은 양조 압력에서 쓰레드 마찰이 양조 실린더(9)를 상향 이동으로부터 보호하도록 선택된다. 구동 장치는 스스로 차단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제6도, 제7도 및, 제8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양조 장치의 차단 수단(17,18,19,20)에 대한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은 부가적으로 도시된 양조 장치와 상기에서 기술한 장치사이의 차이만을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이미 상술한 부품은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제6도에 도시된 양조 장치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조잡한 피치가 아닌 복수개의 외부 쓰레드가 연결부재(15)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은 하부 피스톤(8)의 샤프트(14)내부에 대응하는 내부 쓰레드이다. 내부 및 의부 쓰례드는 샤프트(14)에 대해서가 아니라 이 축에 평행한 연결부재(15)의 길이방향 축에 경사진 단부가 아니기 때문에 쓰레드의 자기-중심은 샤프트(14)가 연결부재(15)와 만날 때와 양조 실린더(9)가 상향으로 이동할 때 항상 발생한다. 쓰레드(17,18)의 피치는 쓰레드의 마찰 때문에 하부 피스톤(18) 이동이 샤프트의 측면에 캠(33)이 놓이는 양조 실린더와 같은 비율로 양조 실린더와 같은 비율로 다시 이동할 때까지 순간적으로 정지되도록 선택된다. 순간 정지 또는 그 조합뿐만 아니라 이동의 순간적인 지연은 차단으로써 이해된다.
제3양조 장치가 제7도에 도시되어 있다. 연결 부재(15)는 일부분의 연결부재(15)에 걸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차단 수단인 의향으로 굴곡된 텅그(19)를 포함한다. 연결부재(15)에 대한 샤프트(14)의 비꼬임을 예방하기 위하여, 가요성적으로 압축될 수 있는 적어도 세개의 돌출부(19)는 연결부재(15)의 외주 둘레에 고르게 분배되어 있다.
제4양조 장치가 제8도에 도시되어 있다. 압축 가능한 가요성 돌출부(20)는 중공 원통형 샤프트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샤프트(14)의 하단부로부터 이들은 샤프트의 축에서 길이방향으로 일부분에 걸쳐 연장된다. 이 경우에, 외부 원통형과 다른 어떤 특정 방법으로 연결부재(15)를 형성하기 위할 필요가 없다.

Claims (10)

  1. 원통형 구멍(10)을 갖는 양조 실린더(9)와, 양조 챔버(11)를 형성하도록 원통형 구멍(10)을 폐쇄시킬 수 있는 두개의 피스톤(7,8)을 구비하고, 상기 양조 실린더(9)와 피스톤(7,8)은 양조 실린더 축에 대해 서로 이동가능한 커피 머신용 양조 장치에 있어서, 양조 실린더(9)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하나의 상부 피스톤(7)은 양조 장치를 지지하는 프레임(1)상에 이동가능하지 않게 배치되어 있으며, 충진 위치에 있는 상부 피스톤(7)은 커피 분말이 선회 가능한 호퍼(12)에 의해 구멍 안으로 도입될 수 있도록 양조 실린더의 상단부로부터 충분히 이동하며, 다른 하부 피스튼(8)은 양조 실린더(9)의 구멍(10)을 따라 자유로이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양조 실린더의 하단부에 배치된 정지 엣지(13)에 의해 구멍(10)의 이탈을 방지하며 도입 수단으로 작용하고, 하부 피스톤(8)은 양조 실린더가 하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피스톤과 대향 위치된 프레임(1)에 연결된 원통형 연결부재(15)를 지나서 안내되는 양조 실린더(9)로부터 떨어져서 직면하는 중공 원통형 샤프트(14)를 가지며, 샤프트(14) 또는 연결부재(15)상에는 양조 실린더에 대해 하부 피스톤(8)의 상대 운동을 순간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차단 수단(16,17,18,19,20)이 구비되어 있고, 양조 실린더(9)의 상단부가 하부 피스톤(8)의 상단부면으로 흐르자마자 하부 피스톤상에 남아있는 커피를 제거하기 위한 스트립핑 장치(2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단일 구동 스핀들(6)을 갗는 구동 장치(19)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구동 스핀들(6)은 프레임(1)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서 양조 실린더(9)와 평행하게 연장되고,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나신형적으로 연장되는 안내 수단(23)을 가지며, 다른 안내 수단(25)을 갖는 구동 소자(24)는 양조 실린더(9)상에 배치되고, 두개의 안내 수단(23,25)은 작동적으로 함께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 수단들은 물이 압력하에서 양조 챔버(12)에 공급될 때 양조 실린더(9)가 안내 수단의 마찰로 인해 그 설정 위치에 유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조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단 수단은 연결부재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0-링(16)을 포함하고, 연결부재(15)내측에서 0-링(16)의 마찰력은 양조 실린더(9)의 구멍(10)내측의 마찰력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조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단 수단은 연결부재(15)의 일부에 걸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향으로 돌출하는 압축가능한 가요성 돌출부(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조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증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단 수단은 샤프트(14)의 일부에 걸치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내향으로 돌출하는 압축가능한 가요성 돌출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조 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단 수단은 연결부재(15)상과 샤프트(14)내측에 복수개의 쓰레드(17,18)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쓰레드(17,18)는 자동 중심 설정되고, 하부 피스톤의 이동이 양조 실린더에 대해 쓰레드의 길이에 걸쳐서 차단되는 피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조 장치.
  8. 제1항에 따른 양조 장치로 커피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부 피스톤(7)이 양조 실린더(9)의 구멍 외측에 배치된 충진 위치서 커피 분말은 구멍의 내측을 향해 회전된 하부 피스톤(8)의 단부면에 걸쳐서 균일하게 분배되도록 구멍안으로 부어지고, 양조 실린더(9)는 하부 피스톤(8)과 동시에 시간 제어하에서 상향으로 이동하여 상부 피스톤(7)을 지나서 이동하며, 형성된 양조 챔버(11)의 용적은 삽입된 커피 분말(26)의 용적에 대응할 때까지 계속 감소되고, 시간 제어의 말기에서 양조 실린더(9)는 양조 챔버 용적을 확대하기 위해 소정량에 의해 하향으로 이동하며, 고온수를 양조 챔버(11)에 공급하기 위하여 커피 분말은 느슨하게 양조되고 이 방법으로 제조된 커피는 흡입되며, 양조 실린더(9)는 방출된 커피 분말을 외부에서 가압하기 위해 상향으로 다시 이동하고, 양조 실린더(9)는 하향으로 이동하며 하부 피스톤은 그 상향 이동이 양조 실린더(9)의 이동 보다 순간적으로 느린 방법으로 차단 수단(16,17,18,19,20)에 의해 차단되고 가압된 커피 분말 찌꺼기(27)는 양조 실린더의 엣지를 지나서 방출되며, 양조 실린더(9)는 충진 위치에서 상향으로 이동하고 차단 수단(16,17,18,19,20)에 의해 차단된 하부 피스톤(8)의 상향 이동은 양조 실린더(9)의 이동보다 순간적으로 더 느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시간 제어는 양조 실린더가 상향으로 이동할 때 삽입 가능한 커피 분말의 최소량의 용적이 결정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제조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양조 실린더(9)의 상향 이등은 동일하게 큰 하향 이동력이 상향 구동력과 반대로 작용한다면 시간 제어가 끝나기 전에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제조 방법.
KR1019930700985A 1991-07-30 1992-07-28 커피머신용 양조장치 및 커피 제조방법 KR1002190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2282/91-5 1991-07-30
CH228291 1991-07-30
PCT/CH1992/000155 WO1993002605A1 (de) 1991-07-30 1992-07-28 Brüheinrichtung für eine kaffeemaschin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affe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19010B1 true KR100219010B1 (ko) 1999-09-01

Family

ID=4230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0985A KR100219010B1 (ko) 1991-07-30 1992-07-28 커피머신용 양조장치 및 커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5316781A (ko)
EP (1) EP0528757B1 (ko)
JP (1) JP2516321B2 (ko)
KR (1) KR100219010B1 (ko)
AT (1) ATE128016T1 (ko)
CA (1) CA2092911C (ko)
CZ (1) CZ283020B6 (ko)
DE (1) DE59203743D1 (ko)
DK (1) DK0528757T3 (ko)
ES (1) ES2078720T3 (ko)
FI (1) FI101592B1 (ko)
GR (1) GR3018056T3 (ko)
WO (1) WO1993002605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0439A2 (en) * 2010-04-14 2011-10-20 Concordia Coffee Company, Inc. High speed brewing apparatus
WO2011109443A3 (en) * 2010-03-01 2012-01-19 Concordia Coffee Company, Inc. Accelerated low pressure brewer
WO2011116247A3 (en) * 2010-03-19 2012-01-19 Concordia Coffee Compan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brewed beverage quality
WO2012111883A1 (ko) * 2011-02-14 2012-08-23 주식회사 동구전자 커피머신용 양조기
US8623441B2 (en) 2010-03-01 2014-01-07 Concordia Coffee Compan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brewed beverage qualit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9300951A (nl) * 1993-06-03 1995-01-02 Maas Mechatronics B 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bereiden van een extract uit een te extraheren grondstof.
CH692444A5 (de) * 1998-01-26 2002-06-28 Fianara Int Bv Kaffeemaschine.
EP1074209B1 (de) * 1999-08-04 2003-12-03 Wmf Württembergische Metallwarenfabrik Ag Kaffeemaschine
AU2002242747A1 (en) * 2002-03-08 2003-09-22 Azkoyen Industrial, S.A. Automated coffee brewing device
KR100515471B1 (ko) * 2003-03-12 2005-09-20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커피머신의 커피추출장치
DE602004007803T2 (de) * 2003-06-25 2008-04-1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Getränkezubereitungsvorrichtung mit verstellbarer brühkammer
DE102004004314B4 (de) * 2004-01-28 2014-05-15 Tchibo Gmbh Brühvorrichtung für eine Kaffeemaschine
CA2601428A1 (en) * 2005-03-16 2006-09-21 Ird Fuel Cells A/S Integrated humidified fuel cell assembly
DE102005049624A1 (de) * 2005-10-14 2007-07-12 Niro-Plan Ag Kaffeemaschine
DK2030537T3 (da) * 2007-08-28 2011-01-10 Schaerer Ag Brygindretning til en kaffemaskine
ATE463985T1 (de) * 2007-09-25 2010-04-15 Schaerer Ag Brüheinrichtung für eine kaffeemaschine
ES2349439T3 (es) * 2007-10-29 2011-01-03 Schaerer Ag Dispositivo de infusión para una maquina de café.
EP2098143A1 (en) * 2008-03-06 2009-09-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et of articles which are suitable to be used in a process of making a beverage
EP2196115A1 (de) 2008-12-12 2010-06-16 Jura Elektroapparate AG Antrieb für eine Kaffeebrühvorrichtung und Kaffeebrühvorrichtung
DE202009000075U1 (de) * 2009-02-02 2010-06-24 Wik Far East Ltd. Brüheinheit
DE102009001199A1 (de) * 2009-02-26 2010-09-0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affeeautomat und Brüheinheit
CN104757223B (zh) 2009-04-09 2019-12-10 福尔杰咖啡公司 咖啡片及其制备方法
US20120015094A1 (en) 2009-04-09 2012-01-19 The Folgers Coffee Company Ground roast coffee tablet
US8616116B2 (en) * 2010-03-01 2013-12-31 Concordia Coffee Company, Inc. High speed brewing apparatus
CN103458746B (zh) * 2010-11-12 2016-12-28 洛伦佐·贾科明 用于制备浓咖啡或泡制饮料的交流和/或低直流电压驱动的机器
CH706230A1 (de) 2012-03-09 2013-09-13 Schaerer Ag Getränkeverkaufsautomat sowie Auslaufmodul für einen solchen Getränkeverkaufsautomaten.
DE202011051719U1 (de) 2011-10-21 2012-01-24 Schaerer Ag Milchschäumvorrichtung sowie Kaffee- bzw. Espressomaschine mit einer solchen Milchschäumvorrichtung
CH706133A1 (de) 2012-02-21 2013-08-30 Schaerer Ag Getränke-Zubereitungsmodul mit Zusatzmodulen für Selbstbedienungs-Getränkeautomaten.
CH706586B1 (de) 2012-06-04 2016-04-15 Schaerer Ag Ausgabeeinheit für einen Getränkeautomaten, Getränkeautomat mit einer solchen Ausgabeeinheit sowie Verfahren zum Betrieb eines solchen Getränkeautomaten.
LT2832269T (lt) 2013-07-31 2017-08-25 Rheavendors Services S.P.A. Aparatas gėrimams paruošti
PL2832270T3 (pl) * 2013-07-31 2016-08-31 Rheavendors Services Spa Sposób i urządzenie do przyrządzania i dozowania kawy
CH709458B1 (de) 2014-04-01 2018-06-29 Schaerer Ag Kaffeemaschine sowie Verfahren zum Betrieb einer solchen Kaffeemaschine.
CN106213998A (zh) * 2016-09-05 2016-12-14 芜湖美的厨卫电器制造有限公司 净饮机及其机体装置和沸腾胆
CN114747937A (zh) * 2021-01-12 2022-07-15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萃取运动装置、咖啡机以及茶叶萃取机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404126A (it) * 1962-09-01 1965-12-15 Organizzazione Novi S R L Macchina automatica per la produzione di caffè espresso
ES479290A1 (es) * 1979-04-04 1980-05-16 Valente Paolo Perfeccionamientos introducidos en los aparatos para prepa- racion de cafe expres.
CH641030A5 (de) * 1980-10-03 1984-02-15 Rost Kur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affee und kaffeemaschine zur ausfuehrung desselben.
DE3760438D1 (en) * 1986-02-26 1989-09-21 Rolland Versini Automatic percolating machine for liquid food
DE3607656A1 (de) * 1986-03-08 1987-09-17 Cafina Ag Kolben-zylinder-aggregat fuer eine kaffeemaschine und verfahren zum betrieb
IT1198064B (it) * 1986-10-31 1988-12-21 Lucio Grossi Macchina compatta automatica per la produzione di caffe',particolarmente per impiego domestico
DE3720149A1 (de) * 1987-06-16 1989-01-05 Wmf Wuerttemberg Metallwaren Kaffeemaschine
IT1222001B (it) * 1987-07-09 1990-08-31 Lucio Grossi Macchina compatta automatica per la produzione di caffe' ed infusi,particolarmente per impiego domestico
CH673083A5 (ko) * 1987-07-17 1990-02-15 Turmix Ag
DE4002415C1 (en) * 1990-01-27 1991-05-29 Schwelm Tanksysteme Gmbh, 5830 Schwelm, De Automatic drinks dispensing machine - has brew table with piston to discharge brew filter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09443A3 (en) * 2010-03-01 2012-01-19 Concordia Coffee Company, Inc. Accelerated low pressure brewer
US8247010B2 (en) 2010-03-01 2012-08-21 Concordia Coffee Company, Inc. Accelerated low pressure brewer and a method for making a beverage
CN102843937A (zh) * 2010-03-01 2012-12-26 康克迪亚咖啡有限公司 加速的低压泡制器具
US8623441B2 (en) 2010-03-01 2014-01-07 Concordia Coffee Compan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brewed beverage quality
CN102843937B (zh) * 2010-03-01 2015-03-25 康克迪亚咖啡有限公司 加速的低压泡制器具
WO2011116247A3 (en) * 2010-03-19 2012-01-19 Concordia Coffee Compan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brewed beverage quality
WO2011130439A2 (en) * 2010-04-14 2011-10-20 Concordia Coffee Company, Inc. High speed brewing apparatus
WO2011130439A3 (en) * 2010-04-14 2012-04-12 Concordia Coffee Company, Inc. High speed brewing apparatus
WO2012111883A1 (ko) * 2011-02-14 2012-08-23 주식회사 동구전자 커피머신용 양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101592B (fi) 1998-07-31
CA2092911C (en) 2000-11-21
CA2092911A1 (en) 1993-01-31
GR3018056T3 (en) 1996-02-29
ES2078720T3 (es) 1995-12-16
FI931389A0 (fi) 1993-03-26
EP0528757B1 (de) 1995-09-20
DE59203743D1 (de) 1995-10-26
US5316781A (en) 1994-05-31
JP2516321B2 (ja) 1996-07-24
CZ70693A3 (en) 1993-10-13
DK0528757T3 (da) 1996-01-22
JPH05506389A (ja) 1993-09-22
EP0528757A1 (de) 1993-02-24
CZ283020B6 (cs) 1997-12-17
WO1993002605A1 (de) 1993-02-18
FI931389A (fi) 1993-03-26
FI101592B1 (fi) 1998-07-31
ATE128016T1 (de) 1995-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9010B1 (ko) 커피머신용 양조장치 및 커피 제조방법
EP2811876B2 (de) Kaffeemaschine sowie verfahren zum betrieb einer solchen kaffeemaschine
US4457216A (en) Method for producing coffee and coffee machin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KR100218815B1 (ko) 커피머신의 양조 기구로부터 커피찌꺼기 압축 덩어리를 방출하기 위한 장치
US8776672B2 (en) Brewing device for a coffee machine
EP0913111A1 (en) Coffee dispensing device
EP2832269B1 (en) Apparatus to prepare beverages
US3566770A (en) Apparatus for infusing tea, coffee and the like
US5471910A (en) Automatic coffee machine
ITBO20000256A1 (it) Apparecchiatura a giostra per la fabbricazione , mediante stampaggio a pressione , di capsule in materiale plastico .
EP0404603A2 (en) Beverage preparation apparatus for vending machines
EP0210687A1 (en) Plunger operated dispensing device
WO2011014387A1 (en) Tablet formation system for fully loaded presses
DE2439417A1 (de) Infusionsautomat zur augenblicklichen aufbereitung von warmen getraenken, insbesondere von expresskaffee
CZ281941B6 (cs) Spařovací zařízení na kávovar
JP3261131B2 (ja) ハム等の製造装置
EP3510901B1 (de) Espresso- und kaffeemaschine
EP1483992A1 (en) Automated coffee brewing device
CH719855A1 (de) Kaffeemaschine und verfahren zum zubereiten eines kaffeegetränks.
CH719856A1 (de) Kaffeemaschine und verfahren zum zubereiten eines kaffeegetränks.
EP3677155A1 (de) Espresso- und kaffeemaschine mit einem dualen extraktionssystem
AU2021324005A1 (en) Mechanical brewing unit
JPH02176892A (ja) コーヒー抽出装置
BE624180A (ko)
CH695206A5 (de) Brühgerät für elektrische Kaffeemaschin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7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