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7237B1 - 건설중장비에서 사용되는 핸들 틸트컬럼 - Google Patents

건설중장비에서 사용되는 핸들 틸트컬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7237B1
KR100217237B1 KR1019970037758A KR19970037758A KR100217237B1 KR 100217237 B1 KR100217237 B1 KR 100217237B1 KR 1019970037758 A KR1019970037758 A KR 1019970037758A KR 19970037758 A KR19970037758 A KR 19970037758A KR 100217237 B1 KR100217237 B1 KR 100217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pin
column
driver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7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5583A (ko
Inventor
문원식
Original Assignee
김형벽
현대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벽, 현대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형벽
Priority to KR1019970037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7237B1/ko
Publication of KR19990015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5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7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7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E02F9/2012Setting the functions of the control levers, e.g. changing assigned functions among operations levers, setting functions dependent on the operator or seat orien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중장비에 사용되는 핸들 틸트컬럼에 관한 것으로, 핸들 컬럼하부에 연결된 오비트롤을 차체 바닥판에 대해 회동가능한 구조가 되도록 하고, 상기 오비트롤의 측면에는 다수개의 요철부가 형성된 상부 죠오를 결합하고 이에 맞물리는 하부 죠오는 페달에 의하여 조작되는 아암의 선단에 연결되도록 하여서 필요에 따라서는 운전자가 페달을 조작함에 의해 핸들각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운전자가 작업의 종류 및 운전자의 체형에 적합하게 핸들각도를 임의 조정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서 운전편이성과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하고 있으며, 종래에 승용차등에서 사용되던 틸트컬럼구조와는 달리 페달에 의해 틸트컬럼의 경사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중장비와 같은 큰 구조물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Description

건설중장비에서 사용되는 핸들 틸트컬럼
본 발명은 굴삭기와 같은 건설중장비에서 사용되는 핸들 틸트컬럼에 관한 것으로, 페달에 의해 탈착제어되는 상부,하부 죠오를 사용하여 운전자의 체형에 맞도록 핸들 컬럼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핸들 틸트컬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와 같은 건설중장비에서 사용되는 조향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22)과, 그 하부에 설치되는 턴 시그널 레버(23)와, 상기 핸들(22)에 상단이 연결되고 그 하부는 브라켓(21)에 의해 차체의 바닥판에서 지지되는 핸들 컬럼(20)으로 구성되는데,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건설중장비에서의 핸들 및 핸들 컬럼은 바닥판에 대해 각도가 조정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대개는 주행편이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핸들 컬럼(20) 및 핸들(22)이 운전자측으로 약간 경사지도록 설치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조의 핸들 컬럼(20)은 운전자가 주행중 핸들을 조작할 시에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핸들과 작업조작기들 사이의 공간을 협소하게 만들므로 운전자가 승하차할 시에 매우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핸들 및 핸들 컬럼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체형이 다른 모든 운전자들에 대해서 만족감을 줄 수 없게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현재 사용되는 대부분의 중장비에서는 조이스틱과 같은 작업조작기가 운전석의 우측 후방에 위치하므로, 주행상태에서 작업상태로 전환하려하면 운전석을 뒤로 밀지않으면 편안하게 작업할 수 없었다.
따라서 전술한 방식의 종래의 핸들 컬럼에서는 주행상태에서 작업상태로 전환할 때 및 그 반대로 전환할 때마다 먼저 운전석의 위치를 조정하여야하므로 사용이 번거롭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승용차에서 사용되는 틸트컬럼구조를 중장비에 적용하는 방법을 고려해볼 수 있겠으나, 중장비와 승용차의 핸들 컬럼 구조를 비교해보면 컬럼의 기본설치각도에서 서로 상이하며, 오비트롤의 연결여부에서도 차이가 있으며, 그 규모면에서도 큰 차이가 있으므로, 승용차에서 사용되는 틸트컬럼 구조를 그대로 적용할 수도 없었다.
본 발명은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핸들 컬럼 하부에 연결된 오비트롤을 차체 바닥판에 대해 회동가능한 구조가 되도록 하고, 상기 오비트롤의 측면에는 다수개의 요철부가 형성된 상부 죠오를 결합하고 이에 맞물리는 하부 죠오는 페달에 의하여 조작되는 아암의 선단에 연결되도록 하여서 필요에 따라서는 운전자가 페달을 조작함에 의해 핸들각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운전자가 작업의 종류 및 운전자의 체형에 적합하게 핸들각도를 임의 조정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서 운전편이성과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며, 종래에 승용차등에서 사용되던 틸트컬럼 구조와는 달리 페달에 의해 틸트컬럼의 경사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중장비와 같은 큰 구조물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에 또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건설중장비에서 사용되는 핸들 컬럼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들 틸트컬럼을 바닥판을 투시하여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들컬럼의 작동상태를 도시하기 위해 제1도의 A-A선에서 절단한 측단면도로서,
제3(a)도는 핸들 컬럼이 꺽여지기 전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3(b)도는 핸들 컬럼이 꺽여진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들 컬럼을 제1도의 B-B선에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페달 2 : 페달 연결바아
3 : 아암 4 : 아암 고정바아
5 : 하부 죠오 6 : 상부 죠오
7 : 오비트롤 8 : 블럭
9 : 스프링 10 : 회동 연결핀
11 : 고정 핀 12 : 죠오 연결핀
20 : 핸들 컬럼 21 : 브라켓
22 : 핸들 23 : 턴 시그널 레버
24 : 바닥판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들 틸트컬럼을 바닥판을 투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들 컬럼을 제1도의 B-B선에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도면에서 보면, 바닥판(24)의 하부에 부착된 아암 고정바아(4)의 선단에는 그 선단에 하부 죠오(5)가 결합된 아암(3)이 회전결합되며, 상기 아암(3)의 중단에는 상기 바닥판(24)의 상부로 돌출되어 선단에는 페달(1)이 부착된 페달 연결바아(2)가 핀 결합되고, 상기 핀 결합부의 전방에 위치한 아암(3)의 일부위와 상기 바닥판(24) 사이에는 스프링(9)이 연결되며, 핸들 컬럼(20)의 하부에 결합된 오비트롤(7)은 바닥판(24)에 대해 설치각도 조절이 가능토록 그 상측부의 대칭면에서 바닥판(24)과 회전결합되어지며, 상기 오비트롤(7)의 측부에는 상기 하부 죠오(5)에 맞물리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부 죠오(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비트롤(7)과 바닥판(24) 사이의 회전결합을 위해서,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24)상의 양측부에는 내부에 십자형상의 통공이 형성된 블럭(8)이 부착되고, 상기 오비트롤(7)의 양측부에는 핀 끼움구멍(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블럭(8)의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구멍과 상기 핀 끼움구멍(14)에는 상하방향으로 통공(13)이 형성된 핀(10)이 끼워져 결합되며,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블럭(8)의 상하방향 구멍과 상기 핀(10)의 통공(13)에는 고정핀(11)이 끼워져 결합된다.
또한, 상기 상부 죠오(6)와 하부 죠오(5)는 서로 접하는 면이 맞물리는 형상으로 되어야 하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형상과 같은 요철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장치의 작동을 제3도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a)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들 컬럼의 작동상태를 도시하기 위해 제1도의 A-A선에서 절단한 핸들 컬럼이 꺽여지기 전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운전자의 하차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핸들 컬럼(20)이 수직상태로 위치하도록 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주행편이성을 고려하여 핸들 컬럼(20)을 운전자쪽으로 약간 기울도록 하려면, 먼저 운전자가 오비트롤(21)의 후방에 위치하고 바닥판(24) 상부로 돌출된 페달(1)을 밟으면 되는데, 이때 아암(3)은 아암 고정바아(4)와의 회전결합부를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아암(3)과 바닥판(24) 사이에 연결된 스프링(9)은 신장하게 되고, 아울러 아암(3)의 선단에 결합된 하부 죠오(5)는 상부 죠오(6)로부터 이탈되어진다. 이 상태에서 운전자가 핸들을 원하는만큼 기울일 수 있으며, 원하는만큼 핸들 컬럼(20)이 기울게 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페달(1)을 놓아주게 되면 아암(5)이 스프링(9)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아암 고정바아(4)와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아암(3)의 선단에 결합된 하부 죠오(5)와 상부 죠오(6)가 다시 맞물리게 되어 제3(b)도와 같은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주행운전을 마치고 다시 하차하게 된다면, 전과 마찬가지로 페달(1)을 밟으면 아암(3)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부 죠오(6)와 하부 죠오(5) 사이의 결합상태가 해제되므로 핸들을 제3(a)도 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것이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핸들 컬럼(20)과 운전석사이의 공간이 넓게 확보되므로 운전자는 편리하게 하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페달(1)을 밟는 동작에 의해 핸들 컬럼(20)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굴삭기와 같은 대형 중장비에서도 무리없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핸들 틸트컬럼에서는, 운전자가 작업의 종류 및 운전자의 체형에 적합하게 핸들각도를 임의 조정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서 운전편이성과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하고 있으며, 종래에 승용차등에서 사용되던 틸트컬럼 구조와는 달리 페달에 의해 틸트컬럼의 경사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중장비와 같은 큰 구조물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Claims (2)

  1. 바닥판(24)의 하부에 부착된 아암 고정바아(4)의 선단에는 그 선단에 하부 죠오(5)가 결합된 아암(3)이 회전결합되며, 상기 아암(3)의 중단에는 상기 바닥판(24)의 상부로 돌출되어 선단에는 페달(1)이 부착된 페달 연결바아(2)가 핀 결합되고, 상기 핀 결합부의 전방에 위치한 아암(3)의 일부위와 상기 바닥판(24) 사이에는 스프링(9)이 연결되며, 핸들 컬럼(20)의 하부에 결합된 오비트롤(7)은 바닥판(24)에 대해 설치각도 조절이 가능토록 그 상측부의 대칭면에서 바닥판(24)과 회전결합되어지며, 상기 오비트롤(7)의 측부에는 상기 하부 죠오(5)에 맞물리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부 죠오(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에서 사용되는 핸들 틸트컬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24)상의 양측부에는 내부에 십자형상의 통공이 형성된 블럭(8)이 부착되고, 상기 오비트롤(7)의 양측부에는 핀 끼움구멍(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블럭(8)의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구멍과 상기 핀 끼움구멍(14)에는 상하방향으로 통공(13)이 형성된 핀(10)이 끼워져 결합되며,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블럭(8)의 상하방향 구멍과 상기 핀(10)의 통공(13)에는 고정핀(11)이 끼워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에서 사용되는 핸들 틸트컬럼.
KR1019970037758A 1997-08-07 1997-08-07 건설중장비에서 사용되는 핸들 틸트컬럼 KR100217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7758A KR100217237B1 (ko) 1997-08-07 1997-08-07 건설중장비에서 사용되는 핸들 틸트컬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7758A KR100217237B1 (ko) 1997-08-07 1997-08-07 건설중장비에서 사용되는 핸들 틸트컬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583A KR19990015583A (ko) 1999-03-05
KR100217237B1 true KR100217237B1 (ko) 1999-09-01

Family

ID=19517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7758A KR100217237B1 (ko) 1997-08-07 1997-08-07 건설중장비에서 사용되는 핸들 틸트컬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723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583A (ko) 199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7237B1 (ko) 건설중장비에서 사용되는 핸들 틸트컬럼
EP0245663B1 (de) Spielfahrzeug für Spielfahrbahnen
JP4154496B2 (ja) 自動車の運転補助装置
JPH0342121Y2 (ko)
JP2002073187A (ja) 作業車両の操縦装置
JP3658721B2 (ja) 自走式作業車
JP4346187B2 (ja) 操作ノブの位置調整装置
JP2502718Y2 (ja) 作業車両用ハンドルのチルト装置
JP3857351B2 (ja) 作業車のブレーキ操作構造
JPH0745393Y2 (ja) 車椅子の固定装置
JP2515499Y2 (ja) 農用トラクタの後部作業装置の操縦装置
JPH01167453U (ko)
JP2604015Y2 (ja) 車輌用の電気式操縦レバー装置
JP2598354Y2 (ja) 建設機械の操作レバー装置
JP2538174Y2 (ja) 旋回型作業車両における操作レバー装置
JPH0412815Y2 (ko)
JPH0643254Y2 (ja) スキッドステア式車両における走行レバーの連結構造
JPS625699Y2 (ko)
JP2527629B2 (ja) 走行操作装置
KR200143081Y1 (ko) 중장비의 조향칼럼 각도조절장치
JPH0586756U (ja) 走行レバー装置
JPH0716180Y2 (ja) 作業車の操作レバー構造
KR960004714Y1 (ko) 자동차용 푸트레스트(Foot Rest)
JP2500785Y2 (ja) 作業車の操作具構造
JPH043421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