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7213B1 - 유리시트 굽힘 장치 - Google Patents

유리시트 굽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7213B1
KR100217213B1 KR1019920015402A KR920015402A KR100217213B1 KR 100217213 B1 KR100217213 B1 KR 100217213B1 KR 1019920015402 A KR1019920015402 A KR 1019920015402A KR 920015402 A KR920015402 A KR 920015402A KR 100217213 B1 KR100217213 B1 KR 100217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rt
support frame
glass sheet
mold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5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4212A (ko
Inventor
르싸져 쟝-르끄
쁘띠꼴링 쟝-마르끄
보드뤼 아르노
프랑꼬 띠에리
Original Assignee
뮐러 르네
생-고뱅 비트라지 엥떼르나시오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뮐러 르네, 생-고뱅 비트라지 엥떼르나시오날 filed Critical 뮐러 르네
Publication of KR930004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7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72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1/00Pressing molten glass or performed glass reheated to equivalent low viscosity without blow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5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using a gas cushion or by changing gas pressure, e.g. by applying vacuum or blowing for supporting the glass while bending
    • C03B23/0352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using a gas cushion or by changing gas pressure, e.g. by applying vacuum or blowing for supporting the glass while bending by suction or blowing out for providing the deformation force to bend the glass sheet
    • C03B23/0357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using a gas cushion or by changing gas pressure, e.g. by applying vacuum or blowing for supporting the glass while bending by suction or blowing out for providing the deformation force to bend the glass sheet by suction without blowing, e.g. with vacuum or by venturi effe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가열로, 콘베이어 및, 그 내부에서 주변 흡입 상자의 스커트(2, 32)내부에 부분적으로 배치된 상부 굽힙 몰드(4, 34)가 특히 판(7, 37)으로부터 현수되고 그 아랫면은 기계적 수단에 의해 분리될 수 있는 상부 몰드와 일체가 아닌 부착장치에 의해 컵(11, 31)가 지지되도록 커버(11, 31)로 덮이는 굽힘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유리 시트(3, 33) 굽힘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리시트 굽힘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굽힘 스테이션의 상부의 정면 개략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따른, 스커트에 대한 지지 프레임 고정을 아래에서 본 개략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굽힘 스테이션의 상부의 정면 개략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롤러 2, 32, 42 : 스커트
3 : 유리시트 4, 34 : 상부 몰드
6 : 하부 몰드 9, 39 : 지지 프레임
10 : 핀 11 : 중간 커버
12, 13 : 가동 캐리지 19 : 디스크
본 발명은 자동차용 유리 제조에 이용되는 유리 시트 굽힘 및 열처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말하면, 본원은 유리 시트를 그 연화 온도까지 가열하여 이를 공압식 굽힘 몰드 또는 하부 굽힘 몰드로 상부 굽힘 몰드에 대해 밀어 붙여 구부리고, 굽힘 작업 후 이를 제어 냉각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 같은 기술에 따르면, 유리 시트는 롤러로 된 베드상에서 이송되면서 수평 가열로 통과하여 굽힘 스테이션에 도달하며 여기에서 특히 흡입 상지에 의해 형성되는 주변 흡입에 의해 롤러로부터 상승된다. 상향 이동은 상부 굽힘 몰드의 구부러진 아랫면에 접촉할 때 종료되는데, 유리시트는 흡입 효과 상태에서 상부 굽힘 몰드의 곡률을 따라 약간 구부러진다. 이 같은 성형은 유리시트를 만곡 형상의 환형 하부 몰드상에 낙하시킴에 의한 관성 및 중력의 공동 작용에 의해서 또는 상부 몰드와 환형 하부 몰드 사이에 파지된 유리시트를 기계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완료되는데 유리시트는 상기 환형 하부 몰드상에서 또는 제2환형 몰드상에서 인성부여 스테이션으로 이동되도록 분리된다. 특히 특허 FR-B-2 085 464호, EP-B-2410355호, EP-A-240 418호, EP-A-241 355호, EP-A-255 432호를 참조하기 바란다.
주변 흡입에 의한 이 같은 파지 기술은 구부러진 상부 몰드에 대해 대략적으로 예비 성형하는 제1단계가 동일한 여러 가지 굽힘 공정의 변형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특히 유리하다.
이 방식에 의하면 국부적인 초과 상승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거나 구부러진 유리시트의 광학적 질을 변경시킬 수도 있는 기계적 상승 수단의 중단이 방지된다.
유리시트의 두면 사이에 충분한 압력 차이를 형성하도록 감압 또는 흡입 챔버가 제작되어 상부에서는 상부 몰드에 의해 바닥에서는 유리시트에 의해 그리고 축부에서는 통상 스커트로 지칭되는 바닥이 개방된 상자의 벽에 의해 폐쇄되며, 이같은 감압은 대개 공기 흡입 펌프에 의해 보장된다.
존재하는 스커트에 대해 상부 몰드를 치수 결정 및 위치 결정하는 것에 관하 여러 가지 변형예가 있다. 따라서 특허 FR-B-2 0850464호에 의하면 측방향 도망 또는 누출 경로를 제공하는 형식으로 형상을 갖는 스커트가 공지되어 있다. 이 경우 유리시트가 분리 상승되는 결정적인 순간에 흡입 효율을 최적화 하기 위해 상부 몰드는 완전히 스커트내에 수용된다. 또한, 짧은스커트로 작동되고 상부 몰드의 만곡면이 상기 스커트의 바닥면과 동일 평면이며 이는 특히 유리시트가 상부 몰드에 대해 약간 중심에서 벗어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스커트의 벽과 유리시트 사이의 일체의 해가 되는 접촉이 방지 될 수 있게 하는 내용이 특허 EP-A-214 355호 및 EP-A-240 418호에 실려 있다. 그러자 스커트의 프로파일, 몰드의 곡률 및 이들 상호 위치와 관계없이 이제까지는, 유리시트와 접촉하기 위한 의도의 상부 몰드 만곡면에 연신 되었을 때 그 외형을 고집하는 중간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 필수적인 것으로 증명되어 왔다. 상기 커버는 그 가요성 및 매끈한 표면으로 인해 특히 주의 깊은 기계가 공후에도 남을 수 있는 몰드의 미소 면적 결함까지 완전히 매끈하게 하므로써 유리와 몰드 사이의 접촉을 부드럽게 한다. 더구나 벨벳과 같은 특성을 갖고 있다면 몰드와 유리사이에 끼여서 연화 유리상에 결함을 남길 수 있는 먼지를 제거하는데 적합하다.
여러 가지 형태의 커버, 특히 특허 EP-A-312 439호, FR-A-2 606 398호 및 FR-A-2 644 156호에 실려 있는 커버는 이 같은 기능을 수행하며, 반드시 금속제 직물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직물의 수행이 만족스럽다 할지라도 점차 마모됨에 따라 특히 가압 단계에서 이들이 받게 될 기계적 용력의 측면이나 상부 몰드와 전체 굽힘 스테이션에 의해 도달되어 상기 커버의 금속의 산화를 가속화시키는 원인이 되는 매우 높은 온도(650˚C 이상)의 측면에서 볼 때 주기적으로 그리고 상당히 자주 교체할 필요가 있다.
이제 이들 커버는 상부 몰드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이들을 인장상태에서 부착시키기 위한 수단이 균일하게 분포된다. 이는 스커트내에 수용되어 있는 몰드의 상부에 옆에서 접근하기가 어렵다는 것과 열로 인해 작업자가 스테이션 외부의 중간 시트 교제 작업만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몰드가 스커트 내에 둘러싸여 있을 때 보다 어려워진다. 따라서 작업자는 생산을 중단하고 예를 들어 분리 가능한 판에 둘 다 부착되어 있는 상부 몰드 및 스커트로 구성되는 조립체를 분해하고, 몰드와 스커트가 주위 온도로 떨어지게 한 후 교환하며, 그 후 스테이션내의 전체를 교체하고 이들 공구가 소요 온도까지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기다려야 한다. 이들 작업에 의해 생산이 중단되는 무시 할 수 없는 시간은 별도로 하고, 작업자가 판, 스커트 및 몰드로 구성되는 조립체를 이전의 그들이 있던 자리에 가장 가깝게 밀리미터까지 교체했음을 완전히 보장할 수 없으므로 각각의 교체 작업에 이어지는 소요 조정 시간을 허용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약간 달라진 재 중심 조정이라도 특히 하부 환형 가압 몰드에 대한 상부 몰드 및 스커트의 미소한 중심이동을 유발할 위험이 있으며 이는 비록 허용 한계 이내라할지라도 항상 요구되는 바인 만곡 시트가 연속적으로 정확히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간단하고 보다 시간이 적게 걸리면서 재생도와 굽힘 방법의 품질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는 중간 커버 교환 작업이 제공하여 상기 문제점들을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이제 상부 몰드에 대해 인장 될 중간커버가 상기 상부 몰드와 독립적으로 제작될 수 있게 하는 부착 수단의 제작을 제안한다. 따라서 교체될 커버를 구비한 부착 수단을 간단히 분리해 냄으로써 굽힘 스테이션 외측 커버의 교환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이제 통상 고정 제공되는 스커트를 갖는 판과 더 이상 부착 수단이 영구히 고정되지 않는 상부 몰드를 스테이션으로부터 동시에 제거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주 요지는 유리가열 로, 콘베이어 및 주위 감압 상자의 스커트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상부 굽힘 몰드가 판으로부터 현수되어 있는 굽힘 스테이션을 구비하고 그 하면은 상부 몰드에 고정되지 않는 기계적 수단에 의해 제거 될 수 있는 부착 장치에 의해 지지되는 커버링 시트로 커버되는 유리시트 굽힘 장치이다.
본 발명은 따른 부착 장치는 여러 가지 형태의 실시예를 갖지만, 간단한 금속제 핀과 같은 커버 고정장치를 갖는 지지 프레임으로 공지되어 있는 하나이상의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스커트의 벽에 의해 형성되는 체적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통상 스커트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그 하부에서 스커트의 프로파일을 종결짓는 하부스커트 또는 편향기(deflector) 에 의해 또는 직접 스커트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통상지지 프레임과 스커트 벽 사이의 자유로움 감압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지지프레임이 배치된다. 어느 경우에나 상부 몰드 및 환형 하부 몰드에 대한 굽힘 스테이션내에서의 부착 장치 조립체의 위치 결정은 적절한 표시 시스템에 의해 보장된다.
본 발명의 장점은 즉각적이며, 중간시트 교환 작업중에 판, 상부 몰드 및 스커트의 전체 조립체 보다 가벼운 구조의 부착장치만을 제거하는 것이 보다 덜 복잡하다. 그리고 이는 후술되는 도면에 나타나 있듯이 작업자에 의해 매우 용이한 방식으로 해제 될 수 있는 스테이션의 상부와 부착 장치사이의 연결을 본 발명의 출원인이 신경써서 설계하였으므로 더욱 명백하다. 따라서 상부 몰드는 각각의 중간커버 교환 작업시마다 상당한 폭의 열적 사이클을 겪지 않으면서 스테이션내에 균일한 온도로 영구히 남게 된다. 또한, 하부 가압 또는 가압/인성부여 환형 몰드에 대한 상부 굽힘 몰드의 오프셋 재위치결정 위험이 완전히 제거되는데 이는 본 발명의 가장 큰 장점이다. 이 같은 방식으로 여러 가지 굽힘 장비 및 공구들의 상대적인 위치 결정 조정은 모드 본래대로의 완전한 상태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한 본 발명의 두가지 형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 질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틀 안에서는 상부 굽힘 몰드용으로 통상 사용되는 커버는 어느 것이든지 특히 상기 언급한 특허에 기술되어 있는 것도 사용될 수 있음을 말해 둔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제1도 및 제2도와 관련되어 있고, 데-A-241 355에 공지되어 있는 짧은형태 또는 평면(flush)형태의 스커트를 사용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굽힘 스테이션의 개략 단면도이며, 상기 스테이션은 굽힘 설비로 양호한 방식으로 합체된다. 이 굽힘 설비는 하나씩 계속해서 그리고 유리시트의 통과 정도에 따라, 콘베이어상으로의 유리 시트 하역 스테이션, 유리시트가 콘베이어에 의해 이동되면서 편평하게 가열되고 그 굽힘 및 인성 온도에 도달한 이후에는 떠나는 수평 직선 관통 로, 유리시트의 온도가 최소한 일정하게 유지되는 적당한 굽힘 스테이션 및 열적 인성부여에 의한 냉각용 냉각 스테이션을 구비하고, 유리시트를 굽힘 스테이션에서 냉각 스테이션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이 부가로 제공된다. 유리시트는 예를 들어 일련의 종동 롤러(1)로 구성되는 콘베이어에 의해 굽힘 스테이션에 들어간다.
굽힘 스테이션은 반드시 주변 흡입상자를 구비하는데, 이는 그 측벽을 구성하는 스커트(2)를 갖추며, 시트의 주변에 감압이나 흡입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흡입장치(비도시)에 연결된다. 제1도는 이미 스테인레스 강 재질의 상부 몰드(4)의 만곡면에 대해 가압되고 상기 만곡면이 스커트(2)에 의해 한정된 내부 용적 외주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시트(3)를 시도한다. 스커트(2)내부에 장착되는 고정 로드(5)는 스커트(2)가 고정되는 판(7)으로부터 상부 몰드(4)를 늘어 뜨린다. 상기 판(7)은 수평 방향으로 후퇴할 수 있으며, 따라서 비도시된 오목 부품내에서 서랍방식으로 활주한다. 또한 하부 환형 몰드(6)가 관통하도록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 충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수직 운동이 주어질 수도 있다. 하부 환형 몰드는 가동 캐리지(12,13)상에 장착되는 운반 프레임 상에 고정된다. 이는 기계적 가압 작업에 의해 상부 몰드(4)에 대한 유리시트(3)의 굽힘에 관여하고 있고 굽힘이 일단 완료되면 이를 인성부여 스테이션으로 분리시킨다. 가압에 관여하고 있으므로 하부 환형 몰드는 상부 몰드에 대해 높이 조정 및 동축 조정될 필요가 있으며, 본 발명의 출원인이 사용하고자 하는 매우 정확한 예비 조정이 필요하다. 시트를 분리시키기 위한 특정한 인성부여 몰드가 대신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관한 한, 상부 몰드(4)용 중간 커버(11)는 더 이상 스커트(2)내부의 상기 몰드의 상부 주변 영역(8)에 고정되지 않지만 상면에 핀(10)이 균일하게 배치되어 있어 직물 형태의 커버가 용이하게 걸리거나 걸림 해제될 수 있게 하는 지지 프레임(9)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9)은 스커트(2) 외부에 위치하고 스커트의 높이에서 판(7)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현수되어 있다.
이 같은 고정은 제2도에 설명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아래에서 바라본 스커트(2),지지 프레임(9) 및 상부 몰드(4)가 개략 도시되어 있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도시를 위해 커버 없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두가지 형태의 등자(stirrup)(14, 15)를 볼수 있다.
그 한가지 형태의 등자(14)는 횡단 금속 바(20)에 의해 그 긴 대향 측부를 따라 상부에서 지지 프레임(9)의 외부에 배치된다. 다른 형태의 등자(15)는 그 중심이 동일한 두 측부상의 그 최하단부의 스커트 주변에서 단일 가상축을 통과하도록 14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다. 이들 등자는 도시되지 않은 수직 금속 바에 의해 판(7)에 고정된다. 그 각각이 프레임(9)을 판(7)에 고정하므로써 여기에 부착된 스커트(2) 주위를 정확히 안내하는 방식으로 상기 두가지 형태의 등자(14, 15)를 통해 활주한다. 두 버팀부(16, 17)는 위치 장착이후 안정한 고정을 보장하기 위한 그 길이에 걸쳐 분포되어 있는 확대부(18)와 단부에 이동 제한 디스크(19)를 갖는 금속제 로드로 구성한다.
중간 커버 교환 작업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가압/인성부여 환형 하부 몰드(6)가 그 가동 캐리지(12, 13)상에서 굽힘 스테이션으로 이동한다. 상부 몰드(4)와 상기 환형 하부 몰드(6)사이의 압축은 몰드(4)를 지지하는 판(7)을 하강시키므로써 모의로 이루어지고, 두 몰드가 접촉하면 작업자는 지지 프레임(9)이 하부 환형 몰드(6)의 운반 프레임(12)상에 배치된 스터드에 전적으로 의존할 수 있도록 버팀부(16,17)를 용이하게 후퇴시키는데, 후술될 상기 스터드는 두 몰드를 함께 키이 고정시킬 수 있다. 이후 캐리지(13)는 굽힘 스테이션 밖으로 조립체를 분리시킨다. 이후 적절한 중간 커버(11)교체가 이루어지는데 마모된 중간 커버(11)는 지지 프레임(9)의 핀(10)으로부터 결합 해제된다. 이후 몰드(4)와 접촉하는 신규 커버를 충분히 인장시키기 위해, 주위 온도를 제외하고는 굽힘 스테이션의 그것과 모두 동일한 방식으로 스커트와 상부 몰드를 사용하므로써 신규 커버가 재조립된다. 신규 커버가 그 지지 프레임(9)상에 적절히 설치되면, 지지 프레임(9)은, 높이 조정이 가능하고 후퇴될 수 있으며 운반 프레임(12)의 주변에 배치되고 지지 프레임(9)의 외형상에 이들과 반대로 배치된 암형 부재화 결합할 수 있는 스터드에 의해 환형 몰드(6)의 운반 프레임(12)에 대해 정확히 위치된다.
사실, 스커트(2)와 상부 몰드(4)에 대해 하부 몰드(6)를 높이와 중심 위치 조정하는 것은 전술했듯이 생산 개시 이전의 예비 조정에 의해 이미 보장된다. 따라서 지지 프레임(9)을 하부 몰드(6)에 대해 중심 조정함으로써 스커트(2)와 상부 몰드(4)에 대해 정확히 위치된다. 그렇다면, 신규 커버를 구비한 지지 프레임(9)이 키이 고정되는 하부 몰드(6) 운반 프레임(12)이 다시 가동 캐리지(13)상에 진입하고, 등자(15)를 스커트와 지지 프레임의 등자(14)주위에 정렬시켜 버팀부(16,17)가 이것에 활주해 들어가 조립 위치에서 로크되도록 압축을 모의 실시하며, 하부 몰드(6)를 그 캐리지(13)상에 방출하는 것만이 필요하다. 등자(14,15)의 정렬은 스커트(2)와 지지 프레임(9)의 중심 조정이 미리 확실히 보장되어 있다면 문제없이 달성된다.
이 같은 기술의 장점은 여러 가지이다. 먼저, 이 기술은 작업자의 안전을 보다 확실히 보장하는데, 이는 작업자가 한편으로는 버팀부와 같이 다루기 쉬운 가벼운 공구를 조작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신규 중간 시트를 정확히 부착시키는 기능을 하는 차가운 형판스커트와 가능하다면 몰드까지 조작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물론, 분리된 지지 프레임과 버팀부는 여전히 뜨겁지만 한편으로 이들을 단단한 몰드나 스커트의 잔류 열이 상당히 큰 반면에 상당히 신속히 냉각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지지 프레임이 완전히 주위 온도가 되기를 기다릴 필요가 없는데, 따라서 이제는 지지 프레임이 완전히 해제되므로 중간 커버의 교환중에 제한 접근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신규 커버가 교체되는 동안, 이미 언급된 형판스커트와 몰드가 냉각되므로 일체의 불이익 없이 만지고 조작 할 수 있다.
또한 조절가능한 스터드를 사용하는 표시 시스템으로 인해, 스커트, 환형 가압 몰드 및 상부 몰드 사이의 위치 조정은 그대로 유지되므로써 커버 교환 이후의 길고 복잡한 조정작업이 감소된다.
작업 완료에 수시간이 소요되었던 최근까지 사용된 기술과 비교해 볼 때 제1실시예의 시스템은 중간 커버가 자동차 창유리 형태의 판유리용 대형 굽힘 공구 또는 몰드의 경우 15분 이내에 그리고 자동차용 측방향 고정된 창 형태의 소형 창유리 제작용의 것과 같은 소형 굽힘 몰드의 경우는 5분 이내에 교환되게 한다. 이 결과 몰드 또는 공구가 서로 정확히 위치된 상태로 남아 있으므로 굽힘 재생능력이 상당히 좋게 되어 생산 이득을 가져온다.
상기 형태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스커트(2) 내부에서 지지프레임(9)을 스커트(2)에 고정시킬 수 있고 지지프레임(9)은 스커트보다 윤곽의 치수가 작다. 지지프레임에 대한 다른 분리가능한 기계적 고정 형태와 직면할 수도 있는데, 이는 선택된 것이 고온에서의 사용에 적합하다면 상기 프레임이 포개 끼움이나 결합, 스프링 등을 이용한 로킹 시스템과 같은 스커트에 대해 위치되도록 한다. 그러나 스커트와 지지프레임이 가장 간단하게 상대적으로 위치하는 경우인 지지프레임(9)이 스커트(2)의 주위에 위치하는 경우에, 주변 흡입은 반드시 중간 커버를 통해 작용해야 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주변 영역에 작은 구멍을 형성하므로써 특히 공기가 투과하는 커버(11)가 사용되게 한다. 이것은 본 발명이 출원인이 제3도에 도시된 제2실시예를 제안한 이유이며, 이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신속하고 효율적이지만, 자유 주변 흡입 공간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흡입 채널을 유지하므로써, 촘촘한 직물을 갖는 밀접한 중간 커버, 즉 유리와의 최적 접촉을 보장하고 흠집이 날 일체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커버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커다란 장점이다.
제3도는 제1도와 유사한 굽힘 스테이션 상부의 개략 단면도이다. 다시 한번 동일하 부재들 즉, 판(37), 상부 몰드(34), 스커트(32, 42), 지지프레임(39) 및 중간 커버링(31)이 마찬가지 방식으로 이르 지나 연산되는 지지프레임(39)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두가지 특성이 상이하다. 먼저, 이제는 지지프레임(39)이 스커트(32, 42)내부에 개략적으로 수용되며, 그 높이가 스커트(32, 42)의 그것보다 작은 치수로된 외형을 갖는다. 이 같은 방식으로 스커트(32,42)의 벽과 커버(31)사이에는 측방향 자유 공간이 제공되고, 커버(31)가 몰드(34)에 직접 고정될 때 같은 효과의 유리시트(33) 흡입을 허용한다.
그러나, 스커트(32, 42)의 새로운 설계 결과로서, 지지프레임(39)이 그 내부에 있다는 사실은 접근 가능성의 문제를 제기하지 않는다. 사실, 스커트(32, 42)는 두부분으로 나뉘는데, 그 하나는 판에 고정되는상부로 알려진 스커트 또는 편향기로 알려져 있으며 내화성 재질의 시일(40)에 의해 상부 스커트(32)의 윤곽에 적합하게 되는 분리 가능한 스커트(42)이다. 상부 스커트(32)가 수직벽을 갖는 반면에, 하부 스커트 또는 편향기(42)는 보조 공구 즉 지지프레임(39)의 스커트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인해 흡입중에 헤드의 손실을 유발하지 않도록 충분히 넓은 전체 스커트(32,42)의 총 내부 용적을 남기기 위해 위쪽으로 넓어지는 특별한 프로파일을 갖는다. 또한, 하부 스커드(42)의 하부를 적절히 좁혀서 일체의 측방향 도망 위험을 최소화 시키므로써 상부 몰드(34) 주변을 둘러싸는 유체 유동은 최적화 된다. 그러나 스커트(32,42)의 다소 상이한 형태의 프로필도 가능함이 명백하다.
두 스커트(32,42)사이의 결합은 제2도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스커트92)의 하부 높이에서의 판(7)과 지지프레임(9)사이의 고정에 절대적으로 동등한 방식으로 비도시된 버팀부와 횡단 금속 바아에 고정된 외측 등자를 포함하는 일반적으로 도면부호 43으로 표시되는 고정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진다.
분리 가능한 하부 스커트 또는 편향기(42)와 지지프레임(39)간의 고정에 관하여는 두가지 선택이 있을 수 있다. 지지프레임을 하부 스커트내에 특히 고정된 상부 스커트를 갖는 주변 흡입 영역내에 균일한 간격으로 유지하는 간단한 소형의 용접된 횡단 금속 바아(44)일 수도 있다. 또한 분리 가능한 고정 부재(비도시)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여전히 횡단 바아가 사용되지만, 이 경우 이들은 하부 스커트(42)의 내부 주변에 용접되는 U 형상 스테이플로 밀어 넣어 질 수 있으며, 이는 공구 조립체가 적소에 교체되었다면 중간 커버링이 갖는 장력의 결과로 두 부품을 함께 확실히 로킹한다.
중간커버를 교환하는 작업은 두가지 기술에 따라 약간 상이하게 일어날 수 있다.
첫 번째 기술은 가압 작용을 모의 실시하는데 환형 가압/인성부여 몰드(36)가 사용된다는 점에서 전자의 것과 유사하다. 그러나 이 경우 스커트로부터 분리되어 환형 몰드 운반 프레임에 얹혀지는 것은 지지프레임이 아니고, 지지프레임(39)을 유지하는 전체 하부 스커트 또는 편향기(42)그 자체이며, 작업자가 측방향 버팀부(43)를 철회하는 것이 필요할 뿐이다. 운반 프레임(32)상에 존재하는 조절 가능한 스터드 및 하부 스커트(42) 주변의 대면 암형 부재의 시스템은 상기 스커트가 전과 같이 운반 프레임(32)에 키이 고정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중간 커버(32) 교환 및 이 커버에 적절한 인장력을 부여하는 것은 스테이션 외부에서 냉각 몰드에 의해 이루어진다.
변형예는 중간 커버(31) 교환 뿐 아니라 이와 동시에 지지프레임(39)과 중간 커버(31)를 교환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지지프레임(39)과 하부 스커트(42) 사이에는 분리가능한 고정이 사용된다. 이제는 두 개의 지지프레임이 필요한데, 그 하나는 굽힘 스테이션 내부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신규한 중간 커버와 함께 스테이션 외부에 전진 배치되는 것이다. 필요한 것은 상기 두 프레임을 바꾸어 놓는 것인데, 이로 인해 시간이 현저히 감소된다. 하부 스커트(42)의 교체는 여전히 환형 몰드(36) 지지프레임(32)의 스터드 상에서 이루어지며, 이는 부가의 조정 없이 하부 스커트(42) 및 지지프레임(39)을 환형 몰드(36)에 대해 그리고 그로 인해 상부 몰드(34)와 상부 스커트(32)에 대해 확실하게 완벽히 위치시킨다.
두 번째 기술은 하부 스커트(42) 운송장치로서의 환형 몰드(36)용 운반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똑같이 정확하게 여러 가지 공구를 위치시킬 수있다. 이 기술은 하부 스커트(42)와 지지프레임(39)을 스테이션으로부터 분리하여 교체시키기 위하여, 특정 보조 장치를 사용한다. 이장치는 작업자가 하부 스커트(42)의 운송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아암 형태이다. 양호한 중심 조정을 보장하기 위해, 두 위치 결정 시스템이 이용된다.
제1시스템은 대면하는 스터드 및 암형 부재를 포함하는데, 전자는 보조 장치상의 것이고 후자는 하부 스커트(42)의 주변 상의 것이며, 보조 장치의 스터드는 두 공구 사이에서의 특정한 위도 만큼의 수평 및 수직 방향 상대운동이 가능하도록 스프링 상에 장착된다.
제2위치 결정 시스템은 상부 몰드(34) 또는 고정 상부 스커트(32)에 고정되는 지표 또는 칼로 구성되며, 특허 FR-A-2 644 776 호에 기술된 바와같이 하부 환형 몰드(36)에 고정된 포크내의 이동 단부에서 뿐 아니라 전자에 의해 수직축을 따라 정렬되고 하부 스커트(42)의 외부 주변에 끼워 맞춤되는 오목 단부를 갖는 포크내에서 활주하도록 되어 있다.
보조 장치에 대해 하부 스커트를 가요적으로 위치시키므로써 스커트가 보조 장치에 대해 측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약간 이동할 수 있게 되며, 파지될 대응 칼에 대해 하부 스커트의 포크가 약간 중심에서 벗어나 위치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실시예에 있어서 스터드와 암형 부재 및 포크와 칼 이든 무엇이든간에 본원에 언급된 것과 동등한 표시 시스템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도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등자 및 버팀부 형태의 고정 시스템에서도 마찬가지로 동일하다.
본 발명의 결과, 중간 커버 교환에 소요되는 총 시간을 수 시간에서 수 분으로 줄일 수 있으며, 이는 이 작업의 주기 측면에서 볼 때 굽힘의 정밀도가 그대로 유지되면서 수행의 간단함과 처리량에 있어서 상당한 이득이 된다.

Claims (12)

  1. 유리 재가열로, 콘베이어 및, 주변 흡입 상자의 스커트(2,32)내부에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아랫면이 커버(11,31)로 덮이는 상부 굽힘 몰드(4, 34)가 그 내부에서 판(7, 37)으로부터 현수되는 굽힘 스테이션을 구비하는 유리시트(3, 33)굽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11, 31)는 기계적 수단에 의해 분리될 수 있고 상부 몰드와 일체가 아닌 부착 장치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시트 굽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장치는 커버(11, 31) 고정 수단(10)을 갖고 스커트(2, 32, 42) 또는 판(7, 37)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프레임(9, 3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시트 굽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9, 39)은 스커트(2)의 벽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외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시트 굽힘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9, 39)은 스커트(2, 32, 42)의 벽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시트 굽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9, 39)은 지지프레임(9, 39)과 스커트(2, 32 ,42) 벽 사이에서의 자유 흡입이 가능하도록 스커트(2, 32, 42)의 벽으로부터 충분히 떨어져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시트 굽힘 장치.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스커트(2) 또는 판(7)과 지지프레임(9)을 함께 횡으로 고정하는 것은 등자 버팀부(16, 17)가 활주하는 둘 이상의 대향 측부상의 스커트(2)의 주변 높이와 지지프레임(9) 주변에 존재하는 정렬된 등자(14, 15)에 의해 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시트 굽힘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지지프레임(39)이 회으로 연결되는 편향기(42)를 부착장치가 부가로 포함하고 상기 편향기는 하부에서 스커트(32)의 프로파일을 완결짓고 기계적 고정부재(44)에 의해 스커트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시트 굽힘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편향기(42)와 스커트(32)를 함께 고정하는 것은 등자 버팀부(43)가 활주하는 둘이상의 대향 측부상의 상기 두 부품에 있는 등자에 의해 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시트 굽힘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지지프레임(39)과 편향기(42)사이의 횡방향 연결은 분리가능하고, 특히 연결 돌출부를 스테이플내에 로킹시키므로써 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시트 굽힘 장치.
  10.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환형 몰드(6), 특히 가압 또는 가압/인성부여 몰드를 운반하는 가동 시스템(12, 13)또는 특정 보조 장치에 의해 부착장치가 스테이션 외부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시트 굽힘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장치는 표시 시스템, 특히 스터드 및 대향 암형 부재에 의한 굽힘 스테이션으로부터의 방출 시스템에 관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시트 굽힘 장치.
  12.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장치는 부착 시스템상에 대향 배치되는 오목한 포크 및 환형 하부 몰드(6)와 일체인 다른 포크에서 활조하는 상부 몰드(4, 34)에 고정되는 칼과 같은 표시 시스템에 의해 상부 몰드(4, 34)와 가능하다면 환형 하부 몰드(6)에 관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시트 굽힘 장치.
KR1019920015402A 1991-08-27 1992-08-26 유리시트 굽힘 장치 KR1002172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110646A FR2680777B1 (fr) 1991-08-27 1991-08-27 Dispositif de bombage de feuilles de verre.
FR9110646 1991-08-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4212A KR930004212A (ko) 1993-03-22
KR100217213B1 true KR100217213B1 (ko) 1999-09-01

Family

ID=9416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5402A KR100217213B1 (ko) 1991-08-27 1992-08-26 유리시트 굽힘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296014A (ko)
EP (1) EP0530086B1 (ko)
KR (1) KR100217213B1 (ko)
BR (1) BR9203325A (ko)
DE (1) DE69209409T2 (ko)
ES (1) ES2087481T3 (ko)
FI (1) FI96504C (ko)
FR (1) FR26807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37559C1 (de) * 1993-11-04 1995-03-23 Ver Glaswerke Gmbh Verfahren zum paarweisen Biegen von Glasscheiben
US5474551A (en) 1994-11-18 1995-12-12 Smith & Nephew Richards, Inc. Universal coupler for spinal fixation
DE10040310C2 (de) * 2000-08-17 2002-11-21 Alfmeier Praez Ag Füllstandsbegrenzungsventil
JP5007044B2 (ja) * 2005-12-21 2012-08-22 日本板硝子株式会社 曲げガラス板の成形方法及び曲げガラス板
EP2463248A1 (de) * 2010-12-13 2012-06-13 Saint-Gobain Glass Franc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iegen von Scheib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4590A (en) * 1968-04-10 1971-04-13 Permaglass Glass bending mold assembly
FR2596751B1 (fr) * 1986-04-08 1988-06-03 Saint Gobain Vitrage Dispositif de formage du verre
US4753669A (en) * 1986-11-06 1988-06-28 Ppg Industries, Inc. Wire mesh press face cover
FR2644776B1 (fr) * 1989-03-24 1991-05-31 Saint Gobain Vitrage Positionnement d'une feuille de verre par rapport a des outils de bombage et/ou d'autres traitements thermiques
FR2657342B1 (fr) * 1990-01-19 1993-07-16 Saint Gobain Vitrage Int Procede et dispositif d'obtention de feuilles de verre bombe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923819A0 (fi) 1992-08-26
FR2680777A1 (fr) 1993-03-05
US5296014A (en) 1994-03-22
DE69209409T2 (de) 1996-11-28
EP0530086B1 (fr) 1996-03-27
DE69209409D1 (de) 1996-05-02
KR930004212A (ko) 1993-03-22
FI923819A (fi) 1993-02-28
FR2680777B1 (fr) 1993-11-12
FI96504B (fi) 1996-03-29
FI96504C (fi) 1996-07-10
EP0530086A1 (fr) 1993-03-03
ES2087481T3 (es) 1996-07-16
BR9203325A (pt) 1993-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41197A (en) Shaping glass sheets to complicated shapes
JP4385132B2 (ja) ガラスシートを曲げ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3801665B2 (ja) ガラス板の曲げ焼もどし方法及び装置
CA2024761C (en) Reverse curvature bending iron
US535226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ending glass plates in a horizontal position
US4711653A (en) Innovative press bending of thermoplastic sheets
CA1120725A (en) Apparatus for bending and tempering glass
CZ36895A3 (en) Method of bending glass panes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US4437872A (en) Apparatus for bending and tempering glass sheets
US5009695A (en) Apparatus for producing two dimensionally bent glass
US4349375A (en) Deformable vacuum mold for shaping glass sheets
KR900002046B1 (ko) 판 유리 성형(成形)장치
KR900006207B1 (ko) 성형된 판유리 냉각장치
US4432782A (en) Support for hot glass sheets of non-rectangular outline prior to bending
JP2625353B2 (ja) 真空ピックアップ装置
JP5148269B2 (ja) ガラス板を曲げるための装置と方法
KR100217213B1 (ko) 유리시트 굽힘 장치
CA1283294C (en) Extended surface pressing mold
CA2151620C (en) Flexible press
KR102359351B1 (ko) 판유리를 벤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4300935A (en) Shaping glass sheets by drop forming with improved sag control
EP0363097B1 (en) Method of shaping sheet glass
KR102332693B1 (ko) 판유리를 벤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10069099A (ko) 시트를 벤딩하는 방법 및 장치
CZ93895A3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bending flat glass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