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6721B1 -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송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6721B1
KR100216721B1 KR1019960057377A KR19960057377A KR100216721B1 KR 100216721 B1 KR100216721 B1 KR 100216721B1 KR 1019960057377 A KR1019960057377 A KR 1019960057377A KR 19960057377 A KR19960057377 A KR 19960057377A KR 100216721 B1 KR100216721 B1 KR 100216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te
goods
product
vending machine
pu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7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9214A (ko
Inventor
히로시 이마무라
게이지 오오히라
겐이찌 아라이
가즈히로 미나미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970029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9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6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67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7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in which the articles are formed in the apparatus from components, blanks, or material constitu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02Chutes of straight form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Chutes (AREA)

Abstract

상품 칼럼으로부터 떨어진 상품을 바른 자세로 유지하면서 상품 반출구에 원활하게 반송할 수 있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송 장치를 제공한다.
상품 수납고(4)의 상품 칼럼(5)의 바로 아래에 거의 수평인 상태에서 위치하여 상품 칼럼(5)으로부터 떨어진 상품을 수취하는 상품 수취 위치와, 상품 수납고의 상품 반출구를 향해 전방 하향으로 경사져서 상품을 상품 반출구로 반출하는 경사 위치 사이에서 틸팅 가능하게 구성된 슈트(12)를 구비하고, 이 슈트(12)가 상품 수취 위치로부터 경사 위치로 이동할 때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틸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송 장치
본 발명은 주로 냉동 식품 등의 상품을 조리하고 나서 판매하기 위해, 상품을 상품 수납고로부터 전자 렌지나 상품 취출구로 반송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송 장치로서, 예를 들면 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63-147781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자동 판매기는 상품 수납고에 소위 스파이럴형 벤드 매카니즘을 내장한 것이며, 스파이럴의 회전에 의해 떨어진 낸동 식품 등의 상품을 슈트 상을 미끄러져서 상품 수납고의 상품 반출구로부터 상품 판매구측으로 반출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통상, 상품 반출구로부터 반출된 상품은 엘리베이터에 배치된 트레이상에 얹혀서 하강하고, 하방에 설치된 전자 렌지 내로 반송되어 조리된다. 조리가 완료된 상품은 또 엘리베이터로 상방으로 반송되어 상품 취출구로 반출되게 되며, 판매가 완료된다.
이와 같은 자동 판매기의 경우, 상품 칼럼으로부터 떨어진 상품을 수취하는 슈트는 상품 반출구를 향해 전방 하향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는 것 혹은 전방 하향 경사 위치와 상품 칼럼의 바로 아래에 거의 수평한 상태로 위치하여 상품 칼럼으로부터 떨어지는 상품을 수취하는 상품 수취 위치와의 사이에서 틸팅 가능하게 구성된 것 등이 있다. 그리고, 상품 칼럼으로부터 떨어진 상품을 슈트의 경사를 이용하여 상품 반출구로 미끄러져 떨어지게 하고 있다.
그러나, 경사진 상태로 고정된 슈트의 경우, 상품 칼럼으로부터 상품이 떨어진 때에 상품이 뒤집혀 버리거나 하는 일이 있다. 이 경우, 조리 후에 상품 취출구로 반출된 상품의 표리가 거꾸로 되어 버리므로 예를 들면 상품이 카레라이스 등인 경우에는 문제가 된다.
또, 슈트가 틸팅 가능하게 구성된 것은 이런 문제가 없기는 하지만, 후방부의 지지점을 축으로 하여 회전시키기 위해, 선단부의 회전 궤적의 상당하는 부분을 공간으로서 확보해야 하며, 상하 간극이 필요한 동시에, 충분한 깊이도 필요하고, 자동 판매기의 깊이나 높이의 치수 규제와 아울러 상품 수납 개수를 제약시켜 버린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상품 칼럼으로부터 떨어진 상품을 바른 자세로 유지하면서 상품 반출구로 원활하게 반송할 수 있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제1(a)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이용한 자동 판매기의 정면 도어를 개방한 상태의 정면도.
제1(b)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이용한 자동 판매기의 재단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이용한 자동 판매기의 사시도.
제3도는 고내 반송계의 측면도.
제4도는 고내 반송계의 측면도.
제5도는 고내 반송계의 정면도.
제6도는 고내 반송계의 평면도.
제7도는 고외 반송계의 정면도.
제8도는 고외 반송계의 측면도.
제9도는 고외 반송계의 측면도.
제10도는 고외 반송계의 정면도.
제11도는 고외 반송계의 측면도.
제12도는 고외 반송계의 측면도.
제13도는 고외 반송계의 측면도.
제14도는 고외 반송계의 측면도.
제15도는 고외 반송계의 정면도.
제16도는 고외 반송계의 정면도.
제17도는 이송 수단의 측면도.
제18도는 이송 수단의 측면도.
제19도는 이송 수단의 측면도.
제20도는 이송 수단의 측면도.
제21도는 이송 수단의 측면도.
제22도는 이송 수단의 측면도.
제23(a)도는 엘리베이터 반송 수단의 정면도.
제23(b)도는 엘리베이터 반송 수단의 측면도.
제24(a)도 내지 제24(d)도는 엘리베이터 로크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제25(a)도는 트레이의 사시도.
제25(b)도는 평면도.
제25(c)도는 정면도.
제25(d)도는 측면도.
제26도는 전자 렌지 및 렌지 반송 수단의 사시도.
제27도는 트레이 건네기를 설명하는 도면.
제28도는 렌지 반송 수단에 트레이를 건넨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제29도는 렌지 반송 수단과 트레이를 적재하는 적재대와의 교차를 도시하는 도면.
제30도는 전자 렌지 및 렌지 반송 수단의 사시도.
제31도는 렌지 반송 수단으로부터 엘리베이터의 적재대에 트레이를 건네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32(a)도는 취출구 도어 기구의 평면도.
제32(b)도는 정면도.
제33도는 취출구 도어 기구의 링크와 샤프트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34도는 취출구 도어 기구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상품 수납고 5 : 상품 칼럼
11 : 상품 반출구 12 : 슈트
12a : 전방측 슈트 12b : 후방측 슈트
12aa : 전방벽 13 : 고내 푸셔
13b : 가동 푸셔
청구항 1의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송 장치는, 상품 수납고의 상품 칼럼의 바로 아래에 거의 수평인 상태로 위치하여 상기 상품 칼럼으로부터 떨어진 상품을 수취하는 상품 수취 위치와, 상기 상품 수납고의 상품 반출구를 향해 전방 하향 경사져서 상품을 상기 상품 반출구로 반출하는 경사 위치 사이에서 틸팅 가능하게 구성된 슈트를 구비하고, 이 슈트가 상품 수취 위치로부터 경사 위치로 이동할 때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틸팅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상품 칼럼으로부터 상품이 떨어지는 때에는 슈트는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품 칼럼의 바로 아래의 위치, 즉 상품 수취 위치로 거의 수평 상태로 이동한다. 상품을 상품 수납고의 상품 반출구로 반송할 때에는 슈트는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틸팅하여 틸팅 위치에 온다. 이 때문에, 상품 칼럼으로부터 상품이 떨어진 때에, 상품이 반전할 우려가 없고, 또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전방 하향으로 틸팅하므로 깊이 치수가 짧아도 되는 동시에, 상하 간격도 적어도 되므로 자동 판매기의 내부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대기시에는 슈트가 경사 위치에 있어서 경사져 있으므로, 상품 수납고 내의 냉기의 순환이 좋아진다.
청구항 2의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송 장치에 있어서, 슈트는 전방측 슈트 및 후방측 슈트로 구성되고, 전방측 슈트는 링크 기구에 의해 틸팅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 후방부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후방측 슈트는 일단부가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타단부는 전방측 슈트의 후단부에 오버랩하고 전방측 슈트의 틸팅에 수반하여 자증으로 틸팅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전방측 슈트가 수평 위치로 들어 올려질 때는 전방으로 나오면서 틸팅하고, 후방측 슈트는 전방측 슈트로 밀어 올려지게 하여 수평 위치가 된다. 그 때, 후방측 슈트의 회전 지지점은 고정되어 있으므로, 전방측 슈트와 후방측 슈트의 오버랩 부분은 적어지며, 양 슈트에 의한 평면적은 넓어진다.
다음에, 전방측 슈트가 전방 하향 위치로 경사질 때는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틸팅해가고, 후방측 슈트는 전방측 슈트의 틸팅에 수반하여 그 위에 얹힌 상태에서 자중으로 틸팅한다. 그 때, 전방측 슈트와 후방측 슈트의 오버랩 부분은 많아진다. 이 때, 상품 수납고의 상품 반출구의 근방을 내측으로 세트 백 할 수 있고, 자동 판매기의 내부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송 장치에 있어서, 슈트의 상측에 배치되고, 슈트 상에 떨어진 상품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고내 푸셔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슈트 상에 떨어진 상품의 위치를 규제할 수 있으므로, 상품을 상품 수납고의 상품 반출구에 원활하게 반송할 수 있다.
또, 청구항 4의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송 장치에 있어서, 고내의 푸셔는 전방 단부가 개방된 ㄷ자형으로 형성되고, 그 좌우 양측부의 어느 것이 후단부를 지지점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슈트의 틸팅에 수반하여 틸팅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슈트 상에 떨어진 상품의 위치를 고내 푸셔에 의해 일단 규제하고, 또 슈트가 경사 위치로 된 상태에서도 상품을 좌우 어느 방향으로 위치 규제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송 장치에 있어서, 전방측 슈트의 전방 단부에 소정 폭의 전방 벽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슈트 상에 떨어진 상품을 일단 고내 푸셔에 의해 전방측 슈트의 전방벽이 있는 위치까지 횡방향으로 이동시켜 두고, 다음에 슈트를 틸팅시킨다. 상품은 전방측 슈트의 전방 벽에 맞닿아서 미끄럼을 정지한다. 이어서, 고내 푸셔의 가동 푸셔가 상품을 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전방측 슈트의 전방 벽이 없는 부분으로부터 상품 반출구로 불출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예를 이용한 자동 판매기에 대해 설명한다. 이 자동 판매기는 카레라이스 등의 상자 포장식 냉동 식품을 판매하기 위한 것이며, 제1(a)도는 도어를 개방한 상태의 정면도, 제1(b)도는 재단 측면도, 제2도는 정면 경사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자동 판매기(1)는 판매기 본체(2)와, 판매기 본체(2)의 전방면을 개폐하는 메인 도어(3)로 구성되어 있으며, 메인 도어(3)의 표면에는 냉동 식품의 상품 디스플레이(3a), 상품 선택 버튼(3b), 지폐 투입구(3c), 코인 투입구(3d), 디지털 표시기(3e), 상품 취출구(3f)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매기 본체(2)에는 그 내부에 넓게 상품 수납고(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품 수납고(4) 내부에는 전후 2열로 상품 칼럼(5)이 수용되어 있어서 상품 수납고(4)의 전방면 상부에는 상품 칼럼(5)에 따라서 널리 로딩 도어(4b)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품 칼럼(5)에는 스파이럴(6)이 배치되어 있어서, 냉동 식품인 각 상품(A)은 이 스파이럴(6)의 간격에 장전되게 하여 수용되어 있다. 또, 상품 수납고(4)의 하부에는 자동 판매기(1)의 정면으로부터 보아 좌측 안쪽에 전자 렌지(7)가, 우측 안쪽에 냉각 유니트(8)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 상품 수납고(4)의 내부에는 고내 반송계(9)가 배치되어 있으며, 한 쪽 메인 도어(3)측에는 고외 반송계(10)가 배치되어 있다. 고내 반송계(9)는 상품 칼럼(5)으로부터 떨어진 상품(A)을 상품 수납고(4)의 전방면에 형성한 상품 반출구(11)까지 반송하기 위한 것으로, 고외 반송계(10)는 상품 반출구(11)의 위치에서 내부 반송계(9)로부터 건네 받은 상품(A)을 일단 전자 렌지(7) 까지 반송하고, 이어서 전자 렌지(7)에서 조리된 상품(A)을 메인 도어(3)의 전방면에 형성한 상품 취출구(3f)까지 반송하기 위한 것이다.
제3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여, 고내 반송계(9)에 대해 설명한다. 또, 제3도, 제4도는 측면도이며, 제5도는 평면도이다. 고내 반송계(9)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슈트(전방측 슈트)(12a) 및 슈트(후방측 슈트)(12b)로 이루어지는 슈트(12), 이 슈트(12)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기구(20), 및 슈트(12)에 떨어진 상품(A)을 이동시키는 고내의 푸셔(1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슈트(12a)는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크기는 상품 칼럼(5)의 하부 면적에 각각 대응한 크기로 되어 있어서, 그 전방측 단부(제3도에서는 좌측)의 절반이 세워짐으로써 전방벽(12aa)이 형성되어 있다(제5도, 제6도 참조). 또, 슈트(12a)의 우측 단부의 이면에는 롤러(14)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14)는 상품 수납고(4)내의 본체 프레임(18)에 형성된 긴 구멍형 롤러 가이드(15)에 얹혀 있다.
또, 슈트(12a)의 표면에는 간격을 갖고 갈래 형태로 배치된 스폰지(도시 않음)를 거쳐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으로 이루어지는 얇은 시트(16)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시트(16)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적으로 보아 장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우단부는 슈트(12a)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고, 좌단부는 두 개의 스프링(17)을 거쳐서 슈트(12a)의 타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일단이 스프링(17)에 의해 부착되어 있는 것은 금속인 슈트(12a)와 플라스틱인 시트(16)의 열팽창률의 차이를 고려한 것이다.
또, 상기 슈트(16)의 좌측 절반에는 전후 방향을 향해 약간의 높이를 갖는 가늘고 긴 돌기(16a)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지만, 이는 냉동 식품의 상자의 면과의 접촉하는 면적을 가능한 한 작게 하여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것이다.
또, 상기 슈트(12a)의 이면측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 기구(20)가 배치되어 있다. 회전 기구(20)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8)에 부착된 경사 모터(21)와, 상기 경사 모터(21)의 작동에 의해 구동되는 링크 기구(22)로 구성되어 있다. 링크 기구(22)는 슈트(12a)의 이면에 고정된 브래킷(23)과, 상기 프레임(18)에 고정된 브래킷(24)과, 이들 브래킷(23, 24) 사이에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중앙부에 긴 구멍(25a)을 갖는 아암(25)과, 또 이 긴 구멍(25a)에 삽입되고 상기 경사 모터(21)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하는 샤프트(26)로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샤프트(26)는 경사 모터(21)의 회전축(21a)에 부착된 타원판(27)에 공정되어 있고, 회전축(21a)이 회전하면 회전축(21a)을 중심으로 공전한다. 또, 회전축(21a)에는 마그네트(28)가 부착되어 있으며, 회전축(21a)이 회전하면 그에 수반하여 회전하여 본체 프레임(18)에 부착되어 있는 스위치(29a, 29b)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슈트(12b)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깊이 치수가 좁은 장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슈트(12a)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어서, 그 일단부의 양측은 상품 수납고(4) 내의 본체 프레임(18)에 설치된 축(19)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타단부는 시트(16)의 단부에 오버랩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슈트(12a)가 수평 위치로 세트될 때 전방으로 나오므로 떨어진 상품이 후방에 생긴 간극에 들어기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 슈트(12)에 떨어진 상품(A)을 이동시키는 고내 푸셔(13)는 평면적으로 보아 자동 판매기(1)의 정면측이 개방된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정면측으로부터 보아 좌측과 후면에 닿는 거의 L자형의 부분은 수평으로 고정되어 있고, 고정 푸셔(13a)로서 구성되고, 우측에 닿는 부분은 고정 푸셔(13a)에 설치된 축(13c)에 회전 가증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가동 푸셔(13b)로서 구성되어 있다.
고내 푸셔(13)를 작동시키기 위해,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품 수납고(4)의 좌측 안쪽에 고내 푸셔 모터(30)가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의 기어열을 거쳐서 구동 스프로켓(31)이 부착되어 있다. 한편, 우측 안쪽의 본체 프레임(18)에도 종동 스프로켓(32)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들 스프로켓(31, 32) 사이에는 체인(33)이 걸쳐져 있다. 그리고, 이 체인(33)의 일부에는 상기 고정 푸셔(13a)의 후면 하방에 형성된 결합부(13aa)의 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또, 이 결합부(13aa)의 단부에는 롤러(34)가 부착되어 있으며, 가이드(35) 면에 안내되어 롤러(34)가 구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결합부(13aa)의 중앙부에는 마그네트(36)가 부착되어 있으며, 본체 프레임(18)에 배치된 세 개의 스위치(37(37a, 37b, 37c))에 접근함으로써 이들 스위치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고내 반송계(9)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품의 구매자가 상품 선택 버튼(3b)을 누르면, 제3도에 도시한 대기 상태에 있던 고내 반송계(9)의 경사 모터(21)에 통전되고, 회전축(21a)에 부착되어 있던 타원판(27)이 회전하는 동시에 마그네트(28)도 회전한다. 타원판(27)의 회전에 의해 샤프트(26)는 아암(25)의 긴 구멍(25a)의 단부면에 결합하면서 아암(25)dfm 브래킷(24)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시킨다. 마그네트(28)가 스위치(29b)에 대향하는 위치에 오면 스위치(29b)가 작동하여 경사 모터(21)에의 통전이 끊어지고, 아암(25)은 브래킷(24)을 지지점으로 거의 90도 회전한 상태에서 회전하고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된다.
이 때, 슈트(12a)는 후방부에 설치된 롤러(14)가 롤러 가이드(15) 상을 전방으로 구르면서 수평으로 세트된다. 한편, 슈트(12b)는 슈트(12a)에 밀어 올려지면서 축(19)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하여 수평이 된다. 또, 고내 푸셔(13) 중 가동 푸셔(13b)도 슈트(12a)의 회전에 수반하여 밀어 올려져서 축(13c)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하여 수평이 된다.
다음에, 선택된 상품 칼럼(5)의 위치에 대응하여 고내 푸셔 모터(30)가 작동하고, 구동 스프로켓(31)이 회전하여 체인(33)이 회전하고, 고정 푸셔(13a)와 가동 푸셔(13b)로 이루어지는 고내 푸셔(13)가 자동 판매기(1)의 정면에서 보아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여 선택된 상품(A)을 ㄷ자형으로 형성된 고내 푸셔(13) 내에 떨어지게 한다. 그 위치는 고정 푸셔(13a)의 결합부(13aa)의 중앙부에 부착된 마그네트(36)가 본체 프레임(18)에 배치된 3개의 스위치(37(37a, 37b, 37c)) 중 어느 것을 작동시키느냐에 의해 결정되며 상품 선택 버튼(3b)에 대응하고 있다.
이어서, 또 고내 푸셔 모터(30)가 작동하고, 고내 푸셔(13)를 자동 판매기(1)의 정면으로부터 보아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슈트(12a) 상의 시트(16) 면에 얹혀 있는 상품을 슈트(12a)의 전방벽(12aa)이 형성된 우측으로 치우치게 한다.
이 상태로부터 또 경사 모터(21)에 통전되면 이번에는 슈트(12a)를 밀어 내리게 된다. 경사 모터(21)의 회전축(21a)에 부착되어 있는 마그네트(28)가 스위치(29a)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오면 경사 모터(21)에의 통전이 끊긴다. 하강 경사시에 슈트(12a)는 롤러(14)가 가이드(15) 면을 구름으로써 전체로서 후방으로 엇갈리면서 경사진다. 이는 자동 판매기(1)의 깊이 치수를 작게 하기 위해 상품 수납고(4)의 전방면 하부는 경사부를 거쳐서 후방으로 세트 백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 이 경사부에는 상품 수납고(4)의 내외를 격리시키는 고정 도어(4a)가 부착되어 있으며 고정 도어(4a)의 중심부에 형성된 개구부가 상품 반출구(11)로 되어 있다.
경사 모터(21)에의 통전이 끊어지기 직전에 슈트(12a)의 전방측 이면에 설치되어 있는 스톱퍼(12ab)가 고정 도어(4a)에 부착된 경사판(40)에 이르고, 슈트(12a)의 틸팅은 정지한다. 그 때, 경사 모터(21)의 샤프트(26)는 아암(25)의 긴 구멍(25a)과의 유격에 의해 통전이 끊어지는 위치인 원래 위치까지 회전되어 정지한다.
슈트(12b)는 슈트(12a)의 경사에 수반하여 축(19)을 지지점으로 하여 자중으로 경사지는 동시에 가동 푸셔(13b)도 축(13c)을 지지점으로 하여 자중으로 경사진다. 슈트(12a) 상에 부착된 시트(16) 상에 적재된 상품은 슈트(12a)가 전방 하향 경사짐으로써 시트(16) 면을 미끄러져 떨어지고, 선단이 슈트(12a)의 전방 벽(12aa)에 맞닿는다.
이어서, 고내 푸셔 모터(30)에 통전되고 고내 푸셔(13)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가동 푸셔(13b)는 시트(16) 상에 얹은 상태에서 경사져 있으므로, 상품은 가동 푸셔(13b)에 밀려서 좌측으로 이동하고, 시트(12a)의 전방벽(12aa)이 없는 부분에 오게 된다. 그리고, 그 부분으로부터 미끄러져 떨어지고, 경사판(40)을 거쳐서 상품 반출구(11)로부터 고외 반송계(10)로 보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슈트(12)가 상품 칼럼(5)의 아래까지 상품을 마중나가게 되므로 상품 칼럼(5)으로부터 떨어진 상품이 뒤집어지지 않고 조리 후의 상품을 바람직한 자세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시트(12) 면이 전후에 있으며, 하측의 슈트(12a)가 후방으로 슬라이드하면서 하강 경사지므로 슈트(12a)의 동작 스페이스가 적어도 되고, 자동 판매기 자체의 깊이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슈트(12) 상에 얇은 시트(16)가 걸쳐져 있으며, 이 위에 상품(A)이 떨어지므로 그 충격에 의해 시트(16)면에 생긴 얼음이 떨어지기 쉽게 되어 있다. 또, 시트(12) 상의 상품은 전방벽(2aa)에 의해 고정 도어(4a)와 격리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12)의 틸팅시에 고정 도어(4a)에 닿는 일 없이, 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에, 고외 반송계(10)에 대해 설명한다. 그의 반송계(10)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품(A)을 상하 방향으로 반송하는 엘리베이터 반송 수단(50)과, 상품 반출구(11)에 마주하여 상품(A)을 고내 반송계(9)의 슈트(12)로부터 엘리베이터 반송 수단(50)으로 이송하는 이송 수단(70)과, 엘리베이터 반송 수단(50)으로부터 건네 받은 상품(A)을 전자 렌지(7) 내로 끌고 가는 렌지측 반송 수단(120)(제8도 참조)고, 상품(A)을 상품 취출구(3f)로 반송하는 상품 반출 수단(110)(제7도 참조)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외 반송계(10)의 개략 구성과 그 동작을 제7도 내지 제16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7도는 그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또, 상기 이송 수단(70)은 여기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으로 엘리베이터 반송 수단(50)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엘리베이터 반송 수단(50)은 트레이(51)를 얹어서 상하 반송하는 엘리베이터(52)를 갖고 있다.
엘리베이터(52)는 지주(53)의 상단에 부착된 모터(54)의 출력축에 결합하는 구동 기어(55a)와, 지주(53)의 하단에 부착된 종동 기어(55b)에 권취된 타이밍 벨트(56)에 부착되어 있으며, 모터(54)가 회전함으로써 지주(53)에 따라서 상하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트레이(51)의 상방에는 고외 푸셔(111)를 갖는 상기 상품 반출 수단(110)이 배치되어 있으며, 고외 푸셔(111)는 모터(112)가 작동하면 가이드(113)에 따라서 우측 방향으로 안내되고, 트레이(51)에 얹은 상품을 상품 취출구(3f)로 반송하는 역할을 행한다. 또, 이 때 상품 취출구(3f)의 측면에 설치된 셔터(114)는 상방을 향해서 이동하여 입구를 개방하고, 상품이 상품 취출구(3f)에 들어간 것이 확인되면 폐쇄된다.
또, 트레이(51)의 하방에는 전자 렌지 도어(121) 및 이 도어(121)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장치 등으로 이루어지는 렌지 반송 수단(!20)이 배치되어 있으며, 엘리베이터(52)에 의해 하강해 온 트레이(51)에 얹은 상품을 수취하고, 안쪽에 위치하는 전자 렌지(7) 내로 보내지거나 전자 렌지(7)에서 조리(가열)된 상품을 엘리베이터(52)로 건네거나 한다.
제8도는 제7도를 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상품 수납고(4)의 고내측과 고외측을 격리시키는 고정 도어(40)의 개구부, 즉 상품 반출구(11)의 고외측에는 단열 문짝으로 구성된 판매 도어(101)가 설치되어 있다. 도, 판매 도어(101)의 하측에는 고내로부터 고외의 트레이(51)에 상품을 건네는 하부 롤러(71)와, 상품을 건넬 때 트레이(51)의 단부를 들어 올리는 상승판(2)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판매 도어(101), 하부 롤러(71) 및 상승판(72)에 대한 상세한 구조와 그 움직임에 대해서는 제17도 이후에 설명한다.
고내 반송계(9)의 슈트(12)에 의해 상품 반출구(11)로 반송된 상품을 상품 취출구(3f)로 반송하는 고외 반송계(1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7도는 대기 상태를 도시하고, 제8도는 전자 렌지 도어(121)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개방된 상태이다. 상품 반출구(11)에 상품이 반송되어 오면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매 도어(101)가 개방되고, 이에 연동하여 하부 롤러(71) 및 상승판(2)이 축(73)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한다. 상승판(72)이 트레이(51)의 단부를 들어 올리고 상품 반출구(11)의 하면과 트레이(51)의 면을 거의 동일 면으로 하여 상품 반송을 행하기 쉽게 하는 동시에, 하부 롤러(71)가 회전하여 상품을 트레이(51) 위로 반송한다.
상품이 트레이(51) 상으로 반출되면, 판매 도어(101)가 폐쇄되고, 제8도의 상태로 복귀된다. 다음에, 트레이(51)에 얹은 상품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해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외 푸셔(111)가 어느 일정 구간 만큼 우측으로 이동하고, 그 후, 제7도에 도시한 대기 상태로 복귀한다.
이어서,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51) 상에 상품을 얹은 엘리베이터(52)가 하강하고, 트레이(51)는 전자 렌지 도어(121)에 부착되어 있는 포트 트레이(122) 상에 건네지고, 엘리베이터(52)는 아래의 대기 위치에 정지한다. 또, 건네기를 행하는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포트 트레이(122) 상에 상품을 얹으면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렌지 도어(121)가 닫히고, 조리(가열)가 개시된다. 제13도는 조리 중에 상품 취출구(3f)의 측면에 설치된 셔터(114)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가열이 완료되면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렌지 도어(121)가 개방되고, 하측으로부터 엘리베이터(52)가 상승하여 포트 트레이(122) 상의 트레이(51)를 수취하고, 위의 대기 위치까지 와서 정지한다. 제15도는 이 상태를 정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다음에,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외 푸셔(111)가 트레이(51) 상에 얹은 상품을 상품 취출구(3f)로 반출한다. 반출이 종료되면 고외 푸셔(111)는 좌측 대기 위치로 복귀되고, 셔터(114)가 닫히고 또 전자 렌지 도어(121)가 닫히면 일련의 동작이 종료된다.
또, 조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자 렌지 도어(121)의 동작은 없고, 상품을 상품 수납고(4) 내로부터 트레이(51)에 수취된 위치에서 고외 푸셔(111)가 작동하여 상품 취출구(3f)에 상품을 반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품 수납고(4)로부터 상품을 수취하는 엘리베이터(52)의 위치와, 상품을 상품 취출구(3f)로 반출할 때의 엘리베이터(52)의 위치가 같으므로, 엘리베이터(52)의 정지 위치는 이 위치와 하한 위치의 두 포지션으로 되며, 반송 공정을 간단하게 할 수 있고, 그에 의해, 반송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동시에, 엘리베이터(52)의 제어 장치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 조리하지 않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52)는 작동시키지 않고, 고외 푸셔(111)가 작동하여 상품 취출구(3f)에 상품을 반출하므로, 반송 시간을 보다 단축할 수 있다.
또, 전자 렌지(7)에 상품을 반송하기 전 공정에서 트레이(51)의 상품의 위치를 고외 푸셔(111)로 규제함으로써, 트레이(51)의 크기를 상품에 대해 필요 최소한으로 할 수 있고, 또 조리 후의 트레이(51)가 위쪽 대기 위치로 복귀한 때에 고외 푸셔(111)와 트레이(51)가 상품을 협지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고외 반송계(1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제17도는 상품 반출구(11)에 인접하여 배치된 이송 수단(70)을 도시하고, 상기 이송 수단(70)은 판매 도어(101)를 이동시켜서 상품 반출구(11)를 폐색하거나 개방하거나 하는 동시에 상품 반출구(11)로부터 반출되는 상품을 트레이(51) 상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행한다. 또, 제17도는 대기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이송 수단(70)은 본체 프레임(18)에 고정된 판매 도어 모터(74)를 갖고 있으며, 상기 판매 도어 모터(74)의 회전축(74a)는 본체 프레임(18)을 관통하여 부착되어 있다. 회전축(74a)에는 본체 프레임(18)의 이면측(자동 판매기(1)의 정면으로부터는 좌측)에 닿는 부분에 풀리(75)가 끼워져 있으며, 본체 프레임(!8)의 표면측에 닿는 부분에는 피니온(76)이 끼워져 있다.
또, 본체 프레임(18)에는 고정 도어(4a)의 면과 평행하게 가늘고 긴 가이드(77)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77)에는 래크(78)가 끼워져 있어서, 래크(78)의 이는 상기 피니온(76)의 이와 맞물리게 되어 있다. 또, 래크(78)에는 전술한 판매 도어(101)가 평행 링크를 거쳐서 연결되어 있으며, 래크(78)가 가이드(77)에 안내되어 슬라이드하면, 판매 도어(101)는 상품 반출구(11)로부터 박리되게 하여 개방되고 나서 경사지게 밀어 올려지고, 또 경사지게 끌어 내려지고 나서 밀어 붙이게 하여 상품 반출구(11)를 폐색한다.
따라서, 개폐시에 상품 반출구(11)와 판매 도어(101)가 미끄럼 접촉하는 일이 없고, 냉기 누설 등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도면중의 부호(102)는 패킹으로, 판매 도어(101)의 주변부에 부착되어 있어서, 대기 상태에서의상품 반출구(11)의 밀폐를 완전한 것으로 하고 있다.
또, 판매 도어(101)의 하부에는 와이어(103)의 일단이 부착되어 있어서 상기 와이어(103)는 상기 폴리(75)에 걸리고, 타단부에는 추(104)가 부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판매 도어(101)를 개폐하기 위한 판매 도어 모터(74)의 토오크가 적어도 된다.
또, 제8도 관련 부분에서도 간단히 설명하였지만, 판매 도어(101)의 아래쪽에는 고내로부터 고외의 트레이(51)에 상품을 건네는 하부 롤러(71)와, 상품을 건넬 때 트레이(51)의 단부를 들어 올리는 상승판(72)이 설치되어 있다. 하부 롤러(71)는 회전축이 편심되어 있으며, 하부 롤러 회전용 모터(79)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또, 하부 롤러(71)의 회전축이 위치하는 부분에는 아암형의 하부 롤러 상승용 링크(81)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롤러 상승용 링크(81)에 설치된 긴 구멍(81a)에는 상기 래크(78)의 하단부에 설치된 핀(78a)이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판매 도어 모터(74)가 회전하여 래크(78)가 상승하면, 핀(78a)이 하부 롤러 상승용 링크(81)의 긴 구멍(81a) 내를 슬라이드함으로써, 하부 롤러(71) 등은 축(73)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하여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매 대기 위치에 온다. 또, 부호 80은 판매 도어(101)의 하강시의 스톱퍼이다.
또, 상품 반출구(11)로부터 반송되어 온 상품은 하부 롤러(71)의 회전에 의해 트레이(51) 상으로 반송되지만, 반송이 원활하게 행해지지 않고 상품이 하부 롤러(71) 상에서 소정 시간, 멈춰 있는 것을 센서(82)가 검지한 경우에, 위로부터 가압력을 걸어서 하부 롤러(71)의 역할을 확실하게 하는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기구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제17도,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매 도어(101)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본체 프레임(18)에는 지지점(8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상부 롤러 장치(84)가 배치되어 있다. 상부 롤러 장치(84)는 양측면에 홈형 간극이 형성되고, 선단부가 개방된 통형의 가이드(85)를 갖고 있으며, 상기 가이드(85) 중에는 핀(86a)을 구비한 슬라이드 판(86)이 수납되어 있어서, 그 선단에는 상부 롤러(87)가 부착되어 있다.
또, 본체 프레임(18)의 일단에는 지지점(88)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상부 롤러 스톱퍼(89)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스톱퍼(89)에는 긴 구멍(89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톱퍼(89)는 상기 가이드(85)의 측면 홈으로부터 가이드(85) 내에 삽입되고, 상기 슬라이드 판(86)의 핀(86a)이 이 긴 구멍(89a)에 삽입되어 있다. 도, 부호 90은 가이드 폴러로서, 슬라이드 판(86) 이 가이드(85) 내를 낙하할 때의 안내 부재이다.
또, 롤러 장치(84)는 스프링(91)에 의해 축(92)을 중심으로 도면 중 좌측 방향으로 가압된 로크 레버(93)를 갖고 있으며, 상기 로크 레버(93)의 측면에 설치된 다각형 구멍(93a)에는 상기 가이드(85)의 측면 간극으로부터 돌출한 슬라이드판(86)의 후크(86b)가 결합하고 있다. 또, 로크 레버(93)의 하단부에는 레버(93b)가 설치되어 있다.
또, 본체 프레임(18)에는 솔레노이드(94)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솔레노이드(94)의 플런저(94a)의 측면에 설치된 핀(4b)에는 링크 부재(95)가 긴 구멍(95a)을 갖고 결합하고 있고 상기 링크 부재(95)의 일단부(95b)는 본체 프레임(1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타단부에 설치된 핀(95c)에는 다른 링크 부재(96)의 일단부 근방에 설치된 긴 구멍(96a)이 끼워져 있다.
또, 다른 링크 부재(96)의 다른 단부 근방에 설치된 긴 구멍(96b)은 상기 로크 레버(93)의 중심부에 설치된 핀(93c)에 끼워져 있다. 또, 상기 링크 부재(95)의 핀(95c)과 본체 프레임(18) 사이에는 스프링(97)이 부착되어 있으며, 링크 부재(95)를 단부(95b)를 중심으로 하여 도면 중 좌측 회전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또, 상기 가이드(85)의 표면에는 핀(85a)이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거기에는 긴 구멍(98a)을 갖고 링크 부재(98)가 결합되어 있다. 또, 상기 링크 부재(98)의 다른 단부에는 핀(98b)가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핀(98b)은 판매 도어(101)에 설치된 돌기(101a)의 긴 구멍(101b) 내에 삽입되어 있다.
상품 선택 버튼(3b)이 눌러지면, 제17도에 도시한 대기 상태에 있었던 것이 제18도에 도시한 판매 대기 상태가 된다. 즉, 판매 도어 모터(74)가 작동하여 래크(78)가 가이드(77)에 안내되고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수반하여, 판매 도어(101)가 상품 반출구(11)를 개방한다. 래크(78)의 이동에 수반하여, 하부 롤러 상승용 링크(81)가 하부 롤러(71)를 축(73)을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상품 반출구(11)에 마주하게 하는 동시에, 상승판(72)이 트레이(51)의 단부를 들어 올린다. 하부 롤러(71)는 이 위치에서 편심 회전한다. 그 편심 회전에 의해, 상품을 튀게 하여 힘있게 트레이(51)로 보낸다.
또, 래크(78)의 이동에 수반하여 판매 도어(101)가 상승하고, 링크 부재(98)에 의해 롤러 장치(84)의 가이드(85)는 지지점(83)을 중심으로 좌측으로 이동하여 상부 롤러 대기 상태가 된다. 제19도는 이 상태를 명확히 한 도면이다.
상품이, 하부 롤러(71)의 위에 멈춘 상태가 소정 시간 계속되면, 이를 센서(82)가 검지하여 솔레노이드(94)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97)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링크 부재(96)가 하측으로 견인되고, 로크 레버(93)는 축(92)을 중심으로 우측으로 회전한다.
이 때문에, 로크 레버(93)의 다각형 구멍(93a)에 들어 있던 슬라이드 판(86)의 후크(86b)가 벗겨져서 슬라이드 판(86)은 가이드(85) 내를 미끄러져 떨어지고, 상부 롤러(87)가 상품을 자중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에 의해 하부 롤러(71)와 상품 사이의 슬립이 없어지며, 상품 반송을 원활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또, 상부 롤러 스톱퍼(89)는 슬라이드판(86)이 가이드(85) 내로부터 빠지지 않게 한 것이다.
상품이 트레이(51)로 반송되면 제2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94)의 통전이 끊어지는 동시에, 판매 도어(101)가 폐색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기 시작한다. 판매 도어(101)에 결합하고 있는 링크 부재(98)에 의해 롤러 장치(84)의 가이드(85)는 지지점(83)을 중심으로 하여 우측으로 이동하고, 가이드(85) 내의 슬라이드 판(86)은 상부 롤러 스톱퍼(89)에 밀려서 안쪽으로 들어간다.
또, 가이드(85)가 회전하면 슬라이드 판(86)은 상부 롤러 스톱퍼(89)에 의해 들어 올려지도록 안쪽으로 진행하고, 슬라이드 판(86)의 후크(86b)가 로크 레버(93)의 레버(93b)를 밀어버려서 제2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크(86b)가 로크 레버(93)의 측면에 설치된 각형 구멍(93a)에 결합하여 로크된다. 이에 의해, 상부 로크(71)의 로크가 완료되고, 판매 도어(101)가 완전히 폐색되면, 제17도에 도시한 대기 상태가 된다.
다음에, 엘리베이터 반송 수단(50)에 대해 설명한다. 제23(a)도는 정면도, 제23(b)도는 측면도이다. 엘리베이터 반송 수단(5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지주(53)에 따라서 상하 반송하는 엘리베이터(52)를 갖고 있다. 상기 엘리베이터(52)에는 우측 방향으로 아암(57)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아암(57)에는 상기 트레이(51)를 얹는 적재대(58)가 부착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52)는 전방면과 후방면에 상하 방향에 걸쳐서 한 쌍의 롤러(59)가 부착되어 있는 동시에, 타이밍 벨트(56)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타이밍 벨트(56)는 지주(53)의 상단에 부착된 모터(54)의 출력축에 결합하는 구동 기어(55a)와 지주(53)의 하단에 부착된 종동 기어(55b)에 감겨 있다. 모터(54)가 회전하면 엘리베이터(52)는 타이밍 벨트(56)의 회전에 수반하여 지주(53)에 따라서 상하 이동하고, 그 때 롤러(57)가 회전함으로써, 원활하게 움직이게 되어 있다. 또, 도면중 부호 62는 엘리베이터(52)의 하한 정지용 리미트 스위치이다.
또, 엘리베이터(52)의 상단에는 제2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화살촉 형상의 로크 플레이트(60)가 설치되어 있으며, 지주(53)의 상부에는 로크 기구(61)가 배치되어 있다. 로크 기구(61)는 상단부에 회전 지지점(61a)을 갖는 좌우 한 쌍의 부재로 구성되고, 각각의 하단부에 롤러(61b)가 부착되어 있어서 스프링(61c)에 의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가압되고 있다.
제24(a)도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엘리베이터(52)가 상승되어가면, 제24(b)도에서 로크 플레이트(60)의 선다이 로크 기구(61)의 롤러(61b)에 접촉하고, 제24(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61c)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외측으로 밀어 개방하고, 엘리베이터(52)의 상한 위치에 달하면 제24(d)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플레이트(60)는 로크 기구961)에 의해 로크된다. 엘리베이터(52)가 하강할 때는 로크하고 있는 힘 보다 강한 모터 동력이 걸리고 로크는 해제된다.
이와 같이, 로크 플레이트(60)와 로크 기구961)로 이루어지는 로크 기구(63)를 이용함으로써 다소의 충격 등의 외력이 가해져도 엘리베이터(52)의 정지 위치의 변화를 일으키는 일이 없고, 또 모터(54)에 전자 브레이크가 달린 것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또, 이 예에서는 로크 기구를 엘리베이터의 상한 위치에만 이용하였지만, 복수의 로크 기구(61)를 배치함으로써 복수의 정지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다. 또, 로크 플레이트(60)와 로크 기구(61)의 설치 위치를 서로 바꿔 넣어도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상품을 적재하는 트레이(51)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트레이(51)는 제25(a)도의 사시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가 평탄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전방 단부에는 상방을 향해 전방 벽(51a)이 형성되어 잇는 동시에, 하측에는 선단부가 둥글게 구성된 가이드 핀(51b)이 단부에 다라서 5개 설치되어 있다. 또, 트레이(51)의 좌측에는 상방을 향해 전방벽(51a)의 높이의 3분의 1 정도의 높이를 갖는 가로 벽(51c)이 형성되어 있으며, 좌우 단부의 하측에는 정점을 하측으로 향한 삼각 기둥형상의 가이드 핀(51d)이 각각 세 개씩 설치되어 있다.
즉, 전방벽(51a)과 가로벽(51c)은 상품 수납고(4)측 및 상품 취출구(3f)측 이외의 곳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품이 트레이(51)로부터 탈락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품의 건네는 방향에는 벽이 없으므로, 건네기가 용이해진다. 또, 제25(b)도는 평면도, 제25(c)도는 정면도, 제25(d)도는 측면도이다.
또, 가이드 핀(51b)은 엘리베이터(52)의 적재대(58)에 얹혀진 때에 제2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하향으로 경사진 적재대(58)의 전방측 요부(58a)에 끼워 넣어지고, 트레이(51)의 단부를 제1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승판(72)으로 들어 올려진 때에 이 부분을 일축으로 하여 경사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가이드 핀(51d)은 제2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재대(58)의 좌우 요부(58b)에 끼워 넣어지고, 트레이(51)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또, 이들 가이드 핀(51b, 51d)은 후술하는 전자 렌지 반송 장치에 트레이(51)가 적재될 때의 위치 결정 역할도 행하고 있다.
이어서, 엘리베이터 반송 수단(50)으로부터 건네진 상품을 전자 렌지(7) 내로 운반하는 렌지측 반송 수단(120)에 대해 설명한다. 렌지측 반송 수단(120)은 제2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렌지(7)의 정면과 우측 측면을 덮는 L자형 전자 렌지 도어(121)와, 이 도어(121)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엘리베이터(52)에 의해 하강하고 있던 트레이(51)를 안쪽에 위치하는 전자 렌지(7) 내로 보내거나 전자 렌지(7)에서 조리(가열)된 상품을 적재한 트레이(51)에 엘리베이터952)의 적재대(58)에 건네 주거나 한다.
이동 장치는 전자 렌지(7)의 뒤에 배치된 구동용 모터(123)와, 구동용 모터(23)의 회전축(123a)와 도시하지 않은 회전축 사이에 걸친 벨트(124)와, 전자 렌지(7)의 측면에 설치된 가이드(125) 등에 의해 구성되고, 구동용 모터(123)가 회전하면, 벨트(124)의 회전에 수반하여 전자 렌지 도어(121)는 가이드(125)에 안내되어 전후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자렌지 도어(121)의 내부에는 포트 트레이(122)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포트 트레이(122)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적으로 보아 좌측이 없는 거의 ㄷ자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방부에는 내측을 향해 두 개의 돌출부(122a)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122a)의 중심은 오목하게 되어 있어서, 트레이(51)의 가이드 핀(51b)이 이 부분에 막히게 되어 있다. 또, 후방부에는 좌우 단부에 두 곳의 요부(122b)가 형성되어 있으며, 트레이(51)의 후방부의 가이드 핀(51d)이 이 부분에 끼워 넣어지게 되어 있다. 또, 도면 중 부호(7a)는 전자 렌지(7)를 자동 판매기(1) 내에 장착할 때 장착하기 쉽게 설치된 차륜이며, 부호 7b는 그 때 사용하는 손잡이이다.
상품 선택 버튼(3b)이 눌러지면, 렌지측 반송 수단(120)은 제2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렌지 도어(121)가 열려 대기 상태가 되며, 상품 수납고(4)로부터 반출된 상품(도시 않음)을 얹은 트레이(51)는 제2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52)의 전방 경사의 적재대(58)에 얹혀 하강하게 된다. 적재대(58)의 전방측 요부(58a)는 세 개의 돌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제28도 참조), 렌지 반송 장치(120)의 포트 트레이(122)의 두 개의 돌출부(122a)와 교차하여 하방으로 빠져 나간다. 그 때, 트레이(51)는 포트트레이(122)면 상에 수취되어 수평으로 유지된다. 또 제28도는 그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29도는 트레이(51)를 생략한 평면도이다.
트레이(51)를 건네 받은 렌지측 반송 수단(120)은 후방으로 이동하여 제3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렌지(7)의 전자 렌지 도어(121)가 폐쇄되고, 소정 시간의 조리(가열)가 행해진다. 조리가 완료되면 제3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렌지 도어(121)가 다시 개방되는 동시에, 엘리베이터(52)가 상승하여 적재대(58)가 포트 트레이(122) 상의 트레이(51)를 수취하고, 상한 위치까지 상승항 정지한다. 그 후, 제16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외 푸셔(111)가 작동하여 트레이(51) 상의 상품을 상품 취출구(3F)로 밀어낸다.
다음에, 상품 취출구(3F)의 취출구 도어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제32(a)도는 취출구 도어 기구(130)의 평면도, 제32(b)도는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취출구 도어 기구(130)는 자동 판매기(1)의 도어(3)에 고정되는 트림(131)을 갖고 있으며, 취출구 도어(132)는 트림(131)에 양단을 피봇 지지한 샤프트(133)에 고정되고, 힌지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샤프트(133)에는 코일 스프링(34)이 부착되어 있으며, 취출구 도어(132)를 항상 폐색하도록 가압하고 있다.
또, 트림(131)의 이면측에는 에어 댐퍼(135)의 실린더(135a)의 기부가 지점(136)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댐퍼(135)의 로드(135b)의 선단부에는 링크(137)의 일단(137a)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링크(137)는 제3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의 『ㄴ』자형으로 되어 있어서, 타단부(137b)에는 각도 130도 정도의 부채꼴 구멍(137c)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샤프트(133)의 상단부(133a)는 반달형으로 절결되어 있어서 아암(137)의 부채꼴 구멍(137c)은 상기 샤프트(137)의 상단부(133a)에 끼워 맞춰져 있다.
이 취출구 도어 기구(130)의 움직임을 제3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취출구 도어(132)가 닫혀 있을 때는 제34(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137)의 부채꼴 구멍(137c)에 끼워 맞춰져 있는 샤프트(133)의 상단부(133a)는 부채꼴 구멍(137c)의 우측에 위치하고, 부채꼴 구멍(137c)의 좌측은 40도 정도 간격을 두고 있다. 다음에, 취출구 도어(132)가 개방되면, 제34(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초의 40도 정도는 샤프트(137)의 상단부(133a)가 링크(137)의 부채꼴 구멍(137c) 내를 공회전하여 최후로 상단부(133a)의 단부면이 부채꼴 구멍(137c)에 맞닿는다.
또, 취출구 도어(132)를 개방하면 제34(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133)의 회전 운동이 링크(137)에 전달되고, 링크(137)가 샤프트(133)를 중심으로 회전하기 시작하고, 에어 댐퍼(135)의 로드(135b)를 실린더(135a) 내에 압입한다. 즉, 에어 댐퍼(135)가 작동한다.
이어서, 취출구 도어(132)로부터 손을 떼면 제34(d)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134)의 압박력에 의해 이번에는 샤프트(133)의 상단부(133a)가 링크(137)의 부채꼴 구멍(137c) 내를 일정 각도 공회전하고, 상단부(133a)의 우측 단부면이 부채꼴 구멍(137c)의 우측 단부면에 맞닿고 나서 링크(137)가 회전을 개시하고, 에어 댐퍼(135)가 작동하고, 최후에는 제34(e)도에 도시한 원래 폐색 상태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상품을 취출할 때, 취출구 도어(132)의 필요 최소한도 이상의 개방 각도로부터 도어를 닫은 경우에, 도어가 트림(131)에 닿기 직전까지 재빨리 닫히고, 그 후 댐퍼를 이용하여 폐색음을 없애게 하고 있으므로, 판매 시간의 단축이 도모되는 동시에 취출구 도어(13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실시 형태예에서는 스파이럴 형식의 상품 칼럼을 구비한 자동 판매기를 에로 설명하였지만, 다른 형식의 상품 칼럼을 구비한 자동 판매기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송 장치에 따르면, 상품 칼럼으로부터 떨어진 상품을 수취할 때는 슈트가 수평 위치로 되므로 상품이 반전할 우려가 없다. 또, 상품을 상품 수납고의 상품 반출구로 반송할 때, 슈트는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틸팅하여 경사 위치에 오게 되므로, 깊이 치수가 짧아도 되는 동시에 상하 간격이 작아도 되고, 자동 판매기의 내부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5)

  1. 상품 수납고의 상품 칼럼의 바로 아래에 거의 수평인 상태로 위치하여 상기 상품 칼럼으로부터 떨어진 상품을 수취하는 상품 수취 위치와, 상기 상품 수납고의 상품 반출구를 향해 전방 하향 경사져서 상품을 상기 상품 반출구로 반출하는 경사 위치 사이에서 틸팅 가능하게 구성된 슈트를 구비하고, 이 슈트가 상기 상품 수취 위치로부터 상기 경사 위치로 이동할 때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틸팅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는 전방측 슈트 및 후방측 슈트로 구성되고, 상기 전방측 슈트는 링크 기구에 의해 틸팅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 후방부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후방측 슈트는 일단부가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타단부는 상기 전방측 슈트의 후단부에 오버랩하고 상기 전방측 슈트의 틸팅에 수반하여 자중으로 틸팅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슈트 상에 떨어진 상품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고내 푸셔를 또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송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내의 푸셔는 전방 단부가 개방된 ㄷ자형으로 형성되고, 그 좌우 양측부의 어느 것이 후단부를 지지점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슈트의 틸팅에 수반하여 틸팅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송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측 슈트의 전방 단부에 소정 폭의 전방 벽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송 장치.
KR1019960057377A 1995-11-28 1996-11-26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송 장치 KR1002167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332710 1995-11-28
JP33271095A JP3596133B2 (ja) 1995-11-28 1995-11-28 自動販売機の商品搬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9214A KR970029214A (ko) 1997-06-26
KR100216721B1 true KR100216721B1 (ko) 1999-09-01

Family

ID=18258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7377A KR100216721B1 (ko) 1995-11-28 1996-11-26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송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596133B2 (ko)
KR (1) KR1002167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50719B (zh) * 2014-04-15 2016-08-17 蔡珉 一种汽车开关合格率试验装置的送料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147200A (ja) 1997-06-06
JP3596133B2 (ja) 2004-12-02
KR970029214A (ko) 1997-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4879A (en) Automatic food dispenser
US3653541A (en) Food heating and dispensing machine
US4592485A (en) Meal vending apparatus
MXPA01009796A (es) Maquina vendedora que reduce al minimo la agitacion de los productos.
JP3952579B2 (ja) 自動販売機
US20110226793A1 (en) Vendor
KR100216721B1 (ko)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송 장치
KR100374758B1 (ko)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
JPH0927066A (ja) 自動販売機
KR100189576B1 (ko) 전자레인지 내장의 자동판매기
JP3508893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送装置
JP3508892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送装置
JPH09153173A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取出口構造
CA2153738A1 (en) Microwave heating and vending machine for pizzas or the like
JPH09147212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送装置
JPH09147201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送装置
JP2959198B2 (ja) 自動販売機
KR100225429B1 (ko) 자동판매기의 상품반송장치
JP3006234B2 (ja) 自動販売機
JP2685231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S6299892A (ja) 高温および低温食用製品の自動販売機
WO1992007341A1 (en) Microwave heating and vending machine for pizzas or the like
JPH11339116A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取出装置
JPH0421176Y2 (ko)
JPH07332681A (ja) 電子レンジおよびこれを内蔵する自動販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