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3858B1 - 외피가 도포된 떡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외피가 도포된 떡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3858B1
KR100213858B1 KR1019970011345A KR19970011345A KR100213858B1 KR 100213858 B1 KR100213858 B1 KR 100213858B1 KR 1019970011345 A KR1019970011345 A KR 1019970011345A KR 19970011345 A KR19970011345 A KR 19970011345A KR 100213858 B1 KR100213858 B1 KR 100213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cake
rice
weight
coated
c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1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5197A (ko
Inventor
박충호
Original Assignee
박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50126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21385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박충호 filed Critical 박충호
Priority to KR1019970011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3858B1/ko
Publication of KR19980075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5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3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38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0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50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e.g. products with an inedible support
    • A23G1/54Composite products, e.g. layered laminated, coated, fill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12Starch; Modified starch; Starch derivatives, e.g. esters or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nfectioner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피가 도포된 떡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떡의 주곡류로써 찹쌀분 또는 멥쌀분 및 옥수수전분을 혼합한 혼합재를 이용하고, 떡소로써 보존성이 우수한 크림류를 이용함과 동시에 떡 표면에 가공쵸코릿을 도포한 다층구조의 떡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시간경과에 따른 떡의 노화를 방지할 뿐아니라 미생물의 번식을 차단하여 변패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외피가 도포된 떡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외피가 도포된 떡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층에 떡소, 중층에 떡, 그리고 외층에 가공쵸코렛 등이 외피가 도포된 떡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간경과에 따른 떡의 경도변화와 미생물에 의한 변패는 떡의 품질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떡에 있어서, 경시적인 경도 및 변질정도는 떡의 제조방법에 기인할 뿐 아니라, 떠5의 주재료 성분 및 보관방법에 따라서 결정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는 시간경과에 따른 떡의 노화현상 및 미생물에 의한 떡의 변질을 최소화 하기 위한 제조공정을 연구하던중 멥살 또는 참쌀을 가루화한 미분과 옥수수전분을 일정비율로 배합한 혼합곡류를 조곡류로 하여 떡을 제조함과 동시에 공기중 노출에 의 떡의 수분증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쵸코릿 코팅을 함으로써 떡의 노화를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미생물에 의한 변질원인을 떡소 재료로 파악하여 팥소대신 보존성이 우수한 크림류로 대치함으로써 떡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떡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주곡류로 멥쌀분 또는 찹쌀분을 이용한다. 통상적으로 멥쌀분 또는 찹쌀분을 밀가루와 같이 그루텐(gluten)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물에 반죽하여도 끈기가 없고 부스러지기 때문에 끊는 물에 익반죽을 하여, 즉 전분을 일부 호화시켜 반죽을 한 후 필요에 따라 내부에 떡소를 넣고 증기솥내에서 스팀을 이용하여 증자함으로써 떡을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통상적으로 제조된 떡은 공기중에 방치하는 경우에 경도 등의 점탄성 변화가 있을 뿐 아니라 미생물에 의한 변패가 생겨 장기간 보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떡의 변패는 주곡류의 오염 등의 제조공정상에 원인이 있을 수도 있으나 주로 로우뿌균에 의해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떡소로서 팥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떡으로의 수분이행이 촉진되어 상기 미생물에 의한 변패가 심각하다. 떡의 경화는 미분의 주성분이 전분인 것으로 보아 전분의 노화현상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상기 노화현상은 떡의 수분증발로 촉진된다. 그리고 멥쌀분과 찹쌀분은 전분의 성질이 다르므로 경도변화도 다르다. 이를 상세히 설명함과 동시에 본 발명의 주곡류로 사용되는 멥쌀분 또는 찹쌀분과 옥수수전분과의 혼합재료의 필요성 및 노화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외피도포수단을 개시하기로 한다.
멥쌀은 아밀로오스(amylose)와 아밀로펙틴(amylopetin)의 비율이 2:8로 되어 있으나 찹쌀은 아밀로펙틴 분자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밀로펙틴은 팽윤하기 쉽고, 화학구조적으로 분지(分枝)된 구조이므로 용액의 점도가 아밀로오스의 경우보다 훨씬 크며, 또한 온도에 의한 점탄성률의 변화가 적고 노화가 잘 되지 않는다. 즉, 아밀로오스는 알파-글루코오스(α-glucose)가 가지(branching)없이 α-1, 4 결합으로 연결되어 α-나선상의 중합체인데 반하여, 아밀로펙틴구조는 알파-글루코오스가 α-1, 4 결합으로 구성되기는 하나 α-1,6 결합에 가지(branching)구조를 가지고 이들 가지구조 상호간에 수소결합이 형성되어 강하게 결합하고 있으므로 용이하게 젤(gelation)화가 되지 않고 또한 쉽게 결정화되지 않으므로, 현상적으로는 찹살로 만들어진 떡의 경도변화는 멥쌀로 만들어진 떡의 경도변화 보다는 크지 않다. 따라서 멥살로만 제조된 떡은 장기보존에 문제가 있음은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존제를 첨가하는 것이며, 찹쌀의 경우도 정도는 심하지 않으나 경화방지제를 첨가하는 것은 멥쌀의 경우와 같다. 그러나 벤조산염으로 대표되는 보존재는 인체에 유해함은 물론이고 떡 고유의 풍미를 기대하기 어려운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노화진행은 떡의 주재료와는 무관하게 떡의 수분증발로 더욱 촉진된다.
본 발명자는 멥쌀분 또는 찹쌀분에 일정량의 옥수수전분을 혼합하여 떡을 제조하여 가공쵸코렛 도포를 하는 경우 시간경과에 따른 떡의 경도변화가 거의 없음을 알게 되었다.
떡의 장기보관에 있어서 또 다른 문제점은 미생물에 의한 떡의 변패이다. 통상적으로는 상기 생물학적인 변패를 방지하기 위하여 떡의 제조공정중에 살균제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인체 유해할 뿐 아니라, 떡의 노화에도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바람직하지 못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통상적으로 떡소로써 사용되는 팥소에 다량 함유된 수분을 미생물 번식원인으로 파악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강구하던중 보존성이 우수한 크림류를 떡소로 대치한 결과 미생물에 의한 변패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외피가 도포된 떡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떡의 주곡류로써 찹쌀분 또는 멥쌀분 및 옥수수전분을 혼합한 혼합재를 이용하고, 떡소로써 보존성이 우수한 크림류를 이용함과 동시에 떡 표면에 가공쵸코릿을 도포한 다층 구조의 떡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시간경과에 따른 떡의 노화를 방지할 뿐 아니라 미생물의 번식을 차단하여 변패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의 기술적요지를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생지제조공정
멥쌀가루 15~20중량% 및 옥수수전분 5~10중량%에 대하여 유화제인, 에스지에스텔(SG-ester) 0.5중량%, 솔비통 1.5~3.5중량%, 식염 0.5중량% 및 주정 0.5중량%를 혼합하고 벙백당 20~25중량%중 절반 배합하여 110℃ 고온으로 15~20분간 증자한 후, 나버지 정백당을 투입함과 동시에 맥아엿 45~55중량%를 혼합하여 다시 10~15분간 110℃이상의 고온에서 충분히 증자하연 생지를 제조하였다.
떡소제조공정
떡소는 소비자 기호에 따라 종류를 달리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크림류, 특히 땅콩크림을 제조하여 떡소로 이용하였으며, 상기 땅콩크림을 이루는 조성물의 비율은 다음과 같다. 본 떡소제조공정은 통상적인 크림제조방법에 의해 실시되었다.
Figure kpo00001
생지 100부에 대하여 상기 땅콩크림은 10~15부가 떡 내부에 주입되며, 통상의 방법으로 떡을 제조하였다.
외피도포공정
38~40℃에서 용융돈 가공쵸코렛이 담긴 용기에 완성된 떡을 투입하여 충분히 도포시킨 후에 꺼내어 상온냉각함으로써 떡을 가공쵸코렛으로 도포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가공쵸코렛은 떡 100부에 대하여 20~30부가 도포되었으며, 가공 쵸코렛의 조성물 및 조성비율은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2
본 도포공정는 통상의 방법으로 완성된 떡소로써 크림류가 주입된 떡을 코팅하는 공정으로 외부환경과 떡과의 화학적반응을 차단하여 수분증발을 방지하기위한 목적으로서, 38℃이상에서 용융가능하고 상온으로 냉각하면 고화되는 식품을 외피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생지제조공정중 멥쌀가루가 찹쌀가루로 대체된 것 이외에는 동일 하게 실시하였다.
본 발명은 시간경과에 따른 떡의 노화진행으로 인한 경화를 방지하고 미생물번식에 의한 변질을막기 위하여 떡 주원료를 멥쌀분 또는 찹쌀분(이하, 미분이라 함) 및 옥수수전분과의 일정비율로 혼합하고 떡소로서 크림류를 사용함과 동시에 가공쵸코렛 등을 이용하여 떡을 도포함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으며, 상기 구성에 따른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다음과 같은 비교예를 제시한다.
[비교예 1]
실시예 1의 생지제조공정과 같이 생지를 제조하되, 옥수수전분은 포함하지 않고 멥쌀가루 20~30중량%을 주곡류로 하였으며, 떡소 제조공정에서 통상적인 팥소를 제조하여 떡 내부에 10~15부 주입하였다. 또한 외피도포공정을 생략하였고, 따라서 완성된 떡은 가공쵸코렛 외피가 없고 멥쌀가루만을 주곡류로 이용하였으며, 팥소가 주입된 떡이었다.
[비교예 2]
실시예 1의 생지제조공정과 같이 생지를 제조하되, 찹쌀가루,20~30중량%을 주곡류로 하였으며, 떡소제조공정에서 통상적인 팥소를 제조하여 떡 내부에 10~15부 주입하였다.
또한 외피도포공정을 생략하였고 , 따라서 완성된 떡은 가공쵸코렛외피가 없고 찹쌀가루만을 주곡류로 하였으며, 팥소가 주입된 떡이었다. 상기 실시예 1, 2와 비교예 1,2의 시간경과에 따른 효과를 비교하였다.
실시예 1 및 2에 의하여 완성된 떡은 제조후 10주 경과하여도 떡의 노화현상을 관찰할 수 없었을 뿐 아니라, 외피를 제거한 후 떡의 미생물에 의한 변질을 관찰한 결과, 전혀 생물학적 변질을 관찰할 수 없었다.
비교예 1에 의하여 완성된 떡은 제조후 4주 경과하면 노화현상이 발생할 뿐 아니라 6주후에는 미생물에 의한 변질이 관찰되었다.
비교예 2에 의하여 완성된 떡은 제조후 5주 경과하면 노화현상이 일어났고 6주후에는 떡의 일부가 부패되었다.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결과 노화현상을 방지하여 떡의 경화를 막기 위하여는 떡 원료의 선택과 외피도포에 의한 수분증발방지수단이 중요하고 특히, 멥쌀가루 또는 찹쌀가루 및 옥수수전분의 일정비율의 혼합과 상기 수분증발방지수단으로서의 가공쵸코렛 도포는 필수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보존성이 좋은 크림류를 떡소로 사용함으로써 떡으로의 수분이행을 최소화하여 미생물번식에 의한 부패를 방지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떡의 주곡류로서 미분 및 옥수수전분을 혼합하 혼합곡류를 이용하고 크림류를 떡소로 이용함과 동시에 떡 표면에 외피를 도포한 떡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시간경과에 따른 떡의 노화를 방지할 뿐 아니라 미생물 번식에 의한 떡의 생물학적 변패를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6)

  1. 미분 15~20중량% 및 옥수수전분5~10중량%에 대하여 에스지에스텔 0.5중량%, 솔비톨 1.5~3.5중량%, 식염 0.5중량% 및 주정 0.5중량%으로 이루어진 첨가제 3~5중량%를 혼합하고 정백당 20~25중량%중 절반을 배합하여 110℃에서 15~20분 간 증자한 후, 나머지 정백당을 투입함과 동시에 맥아엿 45~55중량%를 혼합하여 110℃에서 10~15분간 증자한 생지완 떡소로서 크림을 이용하여 떡을 제조하는 단계와 제조된 떡에 가공쵸코렛 용융액을 도포한 후 냉각하느 외피도포단계로 이루어진 외피가 도포된 떡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분은 멥쌀가루와 찹쌀가루중에서 하나가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피가 도포된 떡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림을 땅콩크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피가 도포된 떡의 제조방법.
  4. 미분 15~20중량%, 옥수수전분 5~10중량%, 정백당 20~25중량%, 맥아엿 45~55중량% 및 에스지에스텔 0.5중량%, 솔키톨1.5~3.5중량%, 식염 0.5중량% 및 주정 0.5중량%으로 이루어진 첨가제 3~5 중량%고 구성된 떡 100부에 대하여 떡소로써 크림이 10~15부 주입되고 가공쵸코렛 20~30부가 도포된 외피가 도포된 떡.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분은 멥쌀가루와 찹쌀가루중에서 하나가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피가 도포된 떡.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떡소는 땅콩크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피가 도포된 떡.
KR1019970011345A 1997-03-29 1997-03-29 외피가 도포된 떡 및 그 제조방법 KR100213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1345A KR100213858B1 (ko) 1997-03-29 1997-03-29 외피가 도포된 떡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1345A KR100213858B1 (ko) 1997-03-29 1997-03-29 외피가 도포된 떡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5197A KR19980075197A (ko) 1998-11-16
KR100213858B1 true KR100213858B1 (ko) 1999-08-02

Family

ID=19501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1345A KR100213858B1 (ko) 1997-03-29 1997-03-29 외피가 도포된 떡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385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211A (ko) * 2000-06-24 2002-01-05 박윤구 초콜릿이 코팅된 떡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떡
KR20020033979A (ko) * 2000-10-31 2002-05-08 유재필 휴대용 떡 제조방법
KR100377212B1 (ko) * 2000-08-22 2003-03-19 박충호 노화지연 떡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63444A (ko) 2014-11-26 2016-06-07 함평군 단호박 모나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단호박 모나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4553A (ko) * 2002-01-28 2003-08-02 박충호 다층 구조의 찰떡 및 그 제조 방법
KR100836062B1 (ko) * 2007-01-10 2008-06-09 김성진 웰빙용 떡 제조방법
KR20190010703A (ko) 2019-01-23 2019-01-30 박충호 떡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211A (ko) * 2000-06-24 2002-01-05 박윤구 초콜릿이 코팅된 떡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떡
KR100377212B1 (ko) * 2000-08-22 2003-03-19 박충호 노화지연 떡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33979A (ko) * 2000-10-31 2002-05-08 유재필 휴대용 떡 제조방법
KR20160063444A (ko) 2014-11-26 2016-06-07 함평군 단호박 모나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단호박 모나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5197A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7363A (en) Soft starchy chewing gum
US3582359A (en) Gum confections containing 5-15 d.e. starch hydrolyzate
KR100213858B1 (ko) 외피가 도포된 떡 및 그 제조방법
US2588419A (en) Whipping composition
KR100297521B1 (ko) 상온에서 장기 보존이 가능한 떡볶이용 떡의 제조 방법
KR100377212B1 (ko) 노화지연 떡 및 그 제조방법
KR101460339B1 (ko) 장식용 떡반죽의 제조방법
JPH0154987B2 (ko)
KR20020000211A (ko) 초콜릿이 코팅된 떡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떡
EP0338121B2 (en) An egg-based cream for industrial scale confectionary production
JPH07274865A (ja) 米飯の品質改良剤及び品質改良方法
JPH09107899A (ja) 餅類の老化防止用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る餅類の製造法
CN1375213A (zh) 冷冻点心及其制造方法
US20020197356A1 (en) Soft candies for ice cream and method of making
KR100846302B1 (ko) 글리세린 및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를 이용한 찰떡의노화억제방법
JP3636561B2 (ja) 餅様の粘弾性が持続し、かつ、耐熱性のあるゲル
JP2000236825A (ja) 米飯類の製造法
JP2000050808A (ja) 容器に充填された餅様菓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75745A (ja) 餅様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332480A (ja) ゼリー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00074809A (ko) 조직감과 노화안정성이 우수한 떡의 제조방법
JP2001017099A (ja) 米飯の品質改良剤及び品質が改良された米飯食品
KR100718250B1 (ko) 김치 제조용 풀 조성물
JP2001145462A (ja) だんご・餅菓子類
KR100358204B1 (ko) 양파 고추장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0108

Effective date: 20020131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10108

Effective date: 2002013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20219

Effective date: 20030123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30402

Effective date: 20030630

J222 Remand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REMAND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20308

Effective date: 20030123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0214

Effective date: 20041209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30516

Effective date: 2005083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050117

Effective date: 2005103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1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