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2076B1 - 영상전화기의 데이타 다중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전화기의 데이타 다중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2076B1
KR100212076B1 KR1019920022640A KR920022640A KR100212076B1 KR 100212076 B1 KR100212076 B1 KR 100212076B1 KR 1019920022640 A KR1019920022640 A KR 1019920022640A KR 920022640 A KR920022640 A KR 920022640A KR 100212076 B1 KR100212076 B1 KR 100212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video
audio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2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3239A (ko
Inventor
황재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20022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2076B1/ko
Publication of KR940013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3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2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20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칼라 동영상전화기에서 오디오데이타 및 비디오데이타에 프레임배열을 나타내는 데이타와 통신능력을 나타내는 데이타를 다중화 전송하여 두 단말기간에 최대의 통신 능력으로 오디오 및 비디오의 데이타 통신을 구현한다. 이를 위하여 호 접속요구시 먼저 초기채널을 온하여 오디오데이타에 프레임배열데이타와 통신능력데이타를 다중화하여 전송하고 대기한다. 여기서 통신능력데이타는 오디오코덱과 비디오코덱의 코딩 능력을 의미한다. 이후 대기과정에서 상대 단말로부터 데이타 수신시 이를 역다중화하여 상대단말과 자신의 능력을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른 최대 통신 능력을 세트하고 오디오데이타에 다중화하여 상대단말로 전송한다. 이렇게 비교결과 데이타를 전송한 후 상대단말로부터 비디오통신 가능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비디오 모드로 스위칭하고 부가채널을 온한다. 또한 부가채널을 온 한 후에는 비디오데이타에 프레임배열데이타와 비디오 온임을 나타내는 통신능력데이타를 다중화하여 전송하고 대기한다. 이후 대기과정에서 상대단말로부터 응답메세지가 수신되면 두 단말기 간에 오디오데이타 및 비디오데이타를 통신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통신과정이 수행중인 상태에서 호 복구명령이 발생되면 상대단말로 이를 통보하고 통화중인 채널을 복구하고 통신과정을 종료한다.

Description

영상전화기의 데이타 다중화장치 및 방법
제1도는 종래의 칼라 동영상전화기의 블록 구성도.
제2도는 종래의 오디오 및 비디오의 데이타 전송 프레임 구성도.
제3도는 다중화 기능이 추가된 칼라 동영상전화기의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및 비디오의 데이타 전송 프레임 구성도.
제5도는 다중화부의 멀티플렉서의 구성도.
제6도는 다중화부의 디멀티플렉서의 구성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및 오디오의 다중화 장치 구성도.
제8도는 제7도 중 클럭제어부의 구성도.
제9도는 제8도 중 전체제어부의 구성도.
제10도는 제8도 중 신호발생부의 구성도.
제11도는 제8도 각부의 동작파형도.
제1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 채널 제어 흐름도.
제1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추가 채널 제어 흐름도.
제1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채널 복구 흐름도.
본 발명은 칼라 동영상전화기의 데이타 전송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 데이타와 음성데이타를 다중화하여 전송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칼라 동영상전화기는 BRI (2B+D)채널을 이용하여 음성 데이타와 영상 데이타를 전송하게 된다. 종래의 동영상전화기에서 오디오 및 비디오데이타를 전송하는 종래의 영상전화기 구성은 제1도와 같으며, 이때 전송되는 오디오 및 비디오데이타의 프레임 형태는 제2도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구성을 갖는 종래의 동영상전화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비디오 입출력부(11)를 통해 발생되는 비디오데이타는 비디오코덱(12)로 인가되어 CCITT의 H.261에서 권고되는 방식으로 코딩된다. 그리고 상기 코딩된 비디오데이타는 네트워크인터페이스(16)에 인가된다. 또한 오디오 입출력부(13)를 통해 발생되는 오디오데이타는 오디오코덱(14)로 인가되어 CCITT의 G.711에서 권고되는 방식으로 코딩된다. 그리고 상기 코딩된 오디오데이타는 지연부(15)로 인가되어 지연되는데, 이는 상기 비디오데이타와 오디오신호의 데이타를 동일한 시점에서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오디오데이타를 비디오데이타의 출력시점에서 맞추기 위함이다. 상기 지연된 오디오데이타는 상기 네트워크인터페이스(16)으로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네트워크인터페이스(16)은 수신되는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를 네트워크(17)로 출력한다. 또한 네트워크(17)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및 비디오는 상기한 동작의 역순으로 수행되어 수신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비디오데이타 및 오디오데이타는 제2도와 같은 프레임 형태로 송수신되며, 이때 상기 데이타들은 B1 및 B2 채널에 실려 전송된다. 이 경우 종래에는 상기 B1채널에 음성신호를 전송하고 B2채널에 연상신호를 각각 64Kbps로 전송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영상전화기에서는 ISDN의 B채널에 오디오신호 및 비디오신호를 전송하게 되지만, 다른 기종간에는 오디오신호 및 비디오신호를 전송할 수 없게 된다. 즉, 오디오신호의 코딩방식은 상기 G.711 방식 이외에 G.722 및 G.725방식등의 다른 코딩방식이 있으며, 또한 비디오신호의 코딩방식인 H.261방식에서 CIF, QCIF, MPI다른 영상 프레임(Frame)이 있다. 따라서 각 동영상전화기는 상기와 같은 다양한 코딩방식중에서 어느 한 방식의 코딩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동영상전화기는 해당하는 코딩방식이 설정되어있어 다른 코딩방식을 사용하는 동영상전화기들과는 통신이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와 같은 동영상전화기를 이용하여 통신기능을 시도하는 경우, 상대 단말기의 코딩방식을 알 수 없으며 이 경우 코딩방식이 상이한 경우에는 동영상전화기에서 상대측 전화기의 코딩방식을 서비스 할 수 있어도 통신기능을 수행할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동영상전화기는 초기 채널에 오디오데이타를 전송하고 추가채널에 비디오데이타를 전송하는 방식을 세트하여 사용하게 되며, 이런 채널을 변환하며 오디오 및 비디오데이타를 전송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칼라 동영상전화기에서 오디오데이타 및 비디오데이타를 다중화 및 역다중화하여 전송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칼라 동영상전화기에서 자신의 단말기정보를 다중화하여 상대단말로 전송하고, 상대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단말기정보를 역다중화하여 분석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칼라 동영상전화기에서 초기채널 및 추가채널을 변환해가며 오디오데이타 및 비디오데이타를 다중화 및 역다중화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다중화/역다중화부가 추가된 칼라 동영상전화기의 블록구성도로서, 상기 다중화/역다중화부는 CCITT의 H.221에서 권고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동영상전화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비디오데이타는 비디오입출력부(31)를 통해 발생되는 비디오데이타는 비디오코덱(32)로 인가되어 CCITT에서 권고되는 방식으로 코딩된다. 그리고 상기 코딩된 비디오데이타는 다중화/역다중화부(36)에 인가된다. 또한 오디오입출력부(33)를 통해 발생되는 오디오데이타는 오디오코덱(34)로 인가되어 CCITT에서 권고되는 방식으로 코딩된다. 그리고 상기 코딩된 오디오데이타는 지연부(35)로 인가되어 지연되는데, 이는 상기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의 출력을 동일한 시점에서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오디오신호를 비디오신호의 출력시점에 맞추기 위함이다. 상기 지연된 오디오신호는 상기 다중화/역다중화부(36)로 인가된다. 시스템제어부(37)은 상기 다중화/역다중화부(36)가 상기 오디오데이타 및 비디오데이타를 다중화 및 역다중화시키기 위한 각종 제어신호들을 발생하여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다중화/역다중화부(36)은 상기 시스템제어부(37)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단말기의 코딩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데이타들을 다중화 및 역다중화시키며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다중화/역다중화부(36)의 출력은 네트워크인터페이스(39)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네트워크인터페이스(39)는 다중화되어 다중화/역다중화부에서 수신는 상기 비디오데이타 및 오디오데이타를 네트워크(40)로 출력된다. 또한 네트워크(40)으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및 비디오데이타는 상기한 동작의 역순으로 수행되어 수신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전송되는 오디오데이타 및 비디오데이타는 제4도와 같은 프레임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4도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칼라 동영상전화기구조에서는 오디오데이타 및 비디오데이타 각각은 FAS(Frame Alignment Signal) 및 BAS(Bit rate Allocation Signal)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다중화/역다중화부(36)에서 오디오데이타 및 비디오데이타를 다중화할 시 상기 FAS 및 BAS와 같이 다중화되어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FAS는 프레임동기를 이루기 위한 신호이고, BAS는 데이타 프로토콜을 위한 비트 레이트 허용신호로서 상대 단말기의 오디오 및 비디오신호 코딩방식이 자신과 호환성이 있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코딩정보가 실린다.
상기 제4도와 같은 데이타프레임 구조를 갖고, 상기 다중화/역다중화부(36)을 통해 H.221를 구형하기 위해서는 제5도와 같은 다중화부 및 제6도와 같은 역다중화부를 구비하여야한다.
상기 제5도를 참조하면, 직렬입력부(51)은 상기 비디오코덱(32) 또는 지연부(35)와 연결되며 상기 코딩되어 수신되는 데이타와 다중화기(53)간의 데이타 레이트를 조정한다. 제어기(57)은 제7도의 제어부(71)과 인터페이스하여 제5도와 같은 다중화부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FAS 및 BAS신호를 다중화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프레임카운터(52)는 각 프레임을 카운트하여 상기 다중화기(53)으로 출력한다. CRC발생기(54)는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수신된 데이타의 CRC에러를 검사하고 그 결과를 상기 제어기(57)로 출력한다. 다중화기(53)은 상기 제어기(57)의 제어하에 상기 직렬입력부(51)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타 FAS신호 및 BAS신호를 다중화하여 출력한다. 직렬출력부(56)은 상기 다중화기(53) 및 네트워크인터페이스(39)사이에 연결되어 다중화기(53)과 네트워크간에 데이타 레이트를 조정한다. 상기 제5도와 같은 다중화부는 오디오데이타 및 비디오데이타처리를 각각 수행하기 위하여 2개가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다중화부는 오디오코덱(34)를 통해 출력되는 전송용 오디오데이타 또는 비디오코덱(32)을 통해 출력되는 전송용 비디오데이타를 직렬입력부(51)을 통해 수신한다. 그리고 프레임카운터(52)는 상기 코딩된 데이타를 프레임모드/멀티프레임모드로 전송하기 위하여 매 80octets를 1 프레임으로 카운트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기(57)은 상기 다중화기(53)을 제어하여 수신되는 전송데이타에 프레임배열신호FAS를 프레임단위로 코딩하여 전송데이타와 함께 상대단말로 전송한다. 또한 자기 단말과 상대 단말의 전송능력(capability)를 교환하여 최대 공통 능력을 찾아 교환하는 비트레이트허용신호BAS를 코딩하여 역시 전송데이타와 함께 전송한다. 상기 CRC발생기(54)는 전송데이타의 에러를 감시하기 위해 CRC프로시저(procedure)를 통해 CRC정보를 코딩하여 다중화기(53)로 출력하며, 이때 상기 제어기(57)은 전송데이타 구조의 FAS를 통해 상대 단말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기(57)는 후술하는 제7도의 제어부(71)와 인터페이스되어 폴링 방식이나 인터럽트 방식을 통해 매 프레임마다 FAS신호의 값과 BAS신호의 값을 갱신하게 된다.
상기 제6도를 참조하면, 직렬입력부(61)은 상기 역다중화기(63) 및 네트워크인터페이스(39)사이에 연결되어 역다중화기(63)과 네트워크간에 데이타 레이트를 조정한다. 제어기(61)은 제6도와 같은 역다중화부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FAS 및 BAS신호를 역다중화한다. CRC발생기(64)는 CRC에러를 검사하고 그 결과를 상기 제어기(57)로 출력한다. 역다중화기(63)은 상기 (61)의 제어하에 상기 직렬입력부(62)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타 및 FAS신호 및 BAS신호를 역다중화하여 출력한다. 직렬출력부(66)은 상기 비디오코덱(32) 또는 지연부(35)와 연결되며 역다중화기(53)간의 데이타 레이트를 조정한다. 상기 제5도와 같은 다중화부는 오디오데이타 및 비디오데이타 처리를 각각 수행하기 위하여 2개가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역다중화부에서 직렬입력부(62)는 ISDN 네트워크를 통해 직렬 데이타를 수신하여 역다중화기(63)으로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역다중화기(63)은 상기 제어기(61)의 제어하에 프레임 카운트를 통해 프레임에 전송되는 FAS신호 및 BAS신호를 추출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기(61)은 상기 추출된 FAS신호 및 BAS신호를 분석하여 프레임 배열에 관한 정보 및 비트 레이트허용에 관한 정보를 해석하여 이종의 영상전화간에 최대 공통 능력을 추출하여 이를 통해 서로 음성 및 영상신호를 교환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CRC발생기(64)는 멀티프레임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검사하여 에러를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다중화 및 역다중화 기능은 H.221 구현 VLSI인 CSELT H221 칩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H.232, H.242, H.230를 통해 엔드 투 엔드 신호(end to end signal) 및 엔드 투 네트워크 신호(end to network signal)을 원활하게 송수신할 수 있다.
제7도는 상기 제3도중 다중화/역다중화부(36)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의 구성도로서, 제어부(71)은 FAS 및 BAS 신호의 다중화 및 역다중화 기능을 제어하는 동시에 전송데이타기능을 제어한다. 비디오다중화/역다중화부(72)는 상기 비디오코덱(32)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71)의 제어하에 비디오데이타를 다중화 및 역다중화하는 동시에 상기 FAS 및 BAS를 다중화 및 역다중화한다. 오디오다중화/역다중화부(73)은 상기 오디오코덱(34)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71)의 제어하에 오디오데이타를 다중화 및 역다중화하는 동시에 상기 FAS 및 BAS를 다중화 및 역다중화한다. 클럭제어부(74)는 H.221방식으로 데이타를 다중화 및 역다중화할 수 있도록 각종 클럭신호 및 제어신호들을 발생한다. 네트워크인터페이스(75)는 상기 제어부(71)의 제어하에 다중화된 데이타를 네트워크 측으로 전송하고, 네트워크 측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타를 역다중화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측과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한다. 버퍼(76)은 상기 다중화/역다중화부(72) 및 (73)과 네트워크인터페이스(75)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클럭제어부(74)의 제어신호에 의해 송수신 패스를 인에이블시킨다.
상기 제7도의 구성에서 다중화/역다중화부(72) 및 (73)은 제5도와 같은 구성의 다중화부와 제6도와 같은 구성의 역다중화부를 각각 구비하고 있으며, 각각 비디오데이타 및 오디오데이타를 전담하여 다중화 및 역다중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다중화/역다중화부는 SGS Thomson사에 제작판매하는 MULDEX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71)은 다중화부 및 역다중화부의 제어기(57) 및 (61)과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다중화/역다중화부(72) 및 (73)은 해당하는 코덱과 전송데이타 상기 코덱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타를 다중화하는 동시에 네트워크 측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타를 역다중화하여 상기 코덱측으로 인가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71)은 상기 다중화/역다중화부(72) 및 (73)을 제어하여 FAS신호 및 BAS신호를 다중화할 수 있도록 삽입하고, 또한 역다중화되는 상기 신호들을 추출한다. 그리고 네트워크인터페이스(75)는 ISAC(ISDN Subscriber Access Controller)으로서 상기 제어부(71)의 제어하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기능 및 접속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네트워크인터페이스(75)는 SIEMENS사에서 제작판매하는 PSB2085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7도와 같은 구성에서 클럭제어부(74)는 제8도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카운터(81)은 512의 데이타클럭DCLK를 계수하여 64의 클럭 및 반전클럭을 발생한다. 전처리부(82)는 프레임동기신호FSC 및 데이타클럭DCLK를 수신하고 상기 카운터(81)로부터 32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전처리부(82)는 상기 프레임동기신호FSC를 상기 32신호에 동기시켜 B2FSCR과 B1FSCT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프레임동기신호FSC와 데이타클럭 DCLK를 조합하여 LDN_PE를 발생하여 상기 카운터(81)의 SET단자로 인가한다. 클럭발생부(83)은 상기 제어부(71)로부터 발생되는 채널제어신호 CHCON신호를 선택신호로 수신하며, 상기 전처리부(82)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B2FSCR과 B1FSCT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클럭발생부(83)은 상기 채널제어신호CHCON에 의해 상기 B2FSCR과 B1FSCT신호를 선택하여 오디오 및 비디오데이타를 전송하기위한 채널을 지정하는 B2FSCT, B2FSCR, B1FSCT, B1FSCR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B2FSCT, B2FSCR, B1FSCT, B1FSCR신호는 각각 VFSCT, VFSCR, AFSCT, AFSCR신호로 동작한다.
제9도는 상기 제8도에서 전처리부(82)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제10도는 상기 제9도에서 클럭발생부(83)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제11도는 상기한 제8도-제10도에서 발생되는 각종 제어신호 및 클럭신호의 파형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어부(71)로부터 1비트로 할당된 포트를 통해 출력되는 채널제어신호CHCON은 B채널로 오디오 및 비디오데이타를 전송할 시 네트워크에 의해 할당된 B1 또는 B2채널과의 동기를 위한 입력단자로 사용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인터페이스(75)와 데이타 전송용 클럭DCLK는 512를 사용하고, 프레임동기신호FSC는 다중화/역다중화부(72) 및 (73)의 프레임 동기용으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신호를 수신하는 클럭제어부(74)는 상기 다중화/역다중화부(72) 및 (73)을 구동하기 위한 VFSCR, VFSCT, AFSCR, AFSCT신호 및 오디오코덱 및 비디오코덱용의 클럭등을 발생한다.
이때 상기 클럭제어부(74)는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1101과 같은 프레임동기신호FSC와 1102와 같은 데이타클럭DCLK을 수신하여 1104-1107과 같은 VFSCR, VFSCT, AFSCR, AFSCT신호 및 1108-1109와 같은 CK64 및 _CK64 신호를 발생하며, 비디오코덱 및 오디오코덱의 제어클럭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H.221의 다중화 및 역다중화를 위한 각종 제어신호는 클럭제어부(74)에서 발생하며, 각 파형은 제11도와 같다. 여기서 1104-1105와 같은 VFSCR, VFSCT 신호는 비디오코덱과 연결된 다중화/역다중화부(72)의 프레임카운터(52)에 연결되며, 1106-1107과 같은 AFSCR, AFSCT신호는 오디오코덱과 연결된 다중화/역다중화부(73)의 프레임카운터(52)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CK64 및 _CK64신호는 오디오코덱과 비디오코덱의 소오스 클럭(source clock)으로 공급된다.
즉, 상기 오디오코덱은 1109와 같은 CK64를 이용하여 다중화/역다중화부(73)으로 오디오데이타를 전송하고, 오디오다중화/역다중화부(73) 내의 프레임카운터(52)로 80octect 중 처음 8octect의 8비트에다 FAS신호를 삽입하고 9octect-16octect에는 BAS신호를 삽입하여 1107과 같은 AFSCT 신호에 의해 네트워크인터페이스(75)로 전송된다. 그리고 비디오코덱은 1108과 같은 _CK64를 이용하여 비디오다중화/역다중화부(72)으로 비디오데이타를 전송하고, 비디오다중화/역다중화부(72)내의 프레임카운터(52)로 80octect 중 처음 8octect의 8비트에다 FAS신호를 삽입하고 9octect-16octect에는 BAS신호를 삽입하여 1105와 같은 VFSCT신호에 의해 네트워크인터페이스(75)로 전송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인터페이스(75)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데이타 및 비디오데이타는 1106과 같은 AFSCR신호 또는 1104와 같은 VFSCR신호에 동기되어 각각 다중화/역다중화부(73) 및 (72)로 수신된다. 그러면 상기 다중화/역다중화부(73) 및 (72)는 1octect-7octect까지 실려있는 FAS데이타와 8octect-16octect까지 실려있는 BAS데이타를 역다중화하여 제어부(71)로 알려주게 된다. 그리고 순수한 오디오데이타 및 비디오데이타는 CK64 및 _CK64에 동기되어 각각 오디오코덱 및 비디오코덱으로 전송된다.
상기와 같이 오디오데이타와 비디오데이타를 다중화 및 역다중화하고 있는 과정에서 전송 채널을 변환할 수 있다. 즉, ISDN의 D채널을 위한 프로토콜에서 오디오데이타가 B1채널에 할당하고 비디오데이타가 B2채널에 할당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71)은 상기 채널제어신호CHCON을 1103과 같이 논리 하이 상태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하이 논리의 채널제어신호CHCON에 의해 클럭발생부(83)의 멀티플렉서(1001-1004)가 각각 A단자의 입력을 선택출력하게 되므로, 오디오데이타는 B1채널로 전송되고 비디오데이타는 B2채널로 전송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71)이 T1시점에서 상기 채널제어신호CHCON을 1103과 같이 로우신호로 변환 출력하면, 상기 클럭발생부(83)은 오디오데이타 및 비디오데이타의 전송채널을 변환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변환출력하게 된다. 즉, 상기 채널제어신호CHCON이 로우 논리로 변환되면 상기 멀티플렉서(1001-1004)는 B단자의 출력을 수신한다. 따라서 상기 T2 시점에서 상기 비디오데이타는 B1채널로 전송채널이 변환되고, T3시점에 상기 오디오데이타는 B2채널로 전송채널이 변환되어 데이타가 처리된다.
상기와 같이 H.221에 권고된 방식으로 오디오 및 비디오데이타를 다중화하여 ISDN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동시에 상기 ISDN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다중화된 데이타를 역다중화하여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데이타에는 프레임의 배열상태를 나타내는 FAS신호와 코딩방식을 나타내는 BAS신호를 다중화 및 역다중화할 수 있음을 알수 있다. 따라서 최초 통신호 형성시 상기와 같은 정보를 다중화하여 상대 단말 측으로 전송하고 상대 단말로 부터 다중화되어 전송되는 정보를 역다중화하여 수신한 후 분석하여, 두 단말기의 능력에 맞는 능력으로 일치시켜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어과정은 제12도-제14도의 흐름도에 도시되어있다. 호출측에서 영상전화기를 훅크오프하여 피호출측의 전화번호를 다이알링하면, 곧 이어 호 접속이 완료되면서 네트워크로부터 할당받은 B1채널 및 B2채널로 오디오 및 비디오신호를 이용한 통신기능이 수행된다. 이때 채널 초기화 과정은 오디오데이타에 FAS신호 및 BAS신호를 다중화하여 피호출측 영상전화기로 전송한다.
먼저 제12도를 참조하면, 초기화 과정 수행시 1201단계에서 타이머를 세트하고 1202단계에서 상기 FAS데이타 및 BAS데이타를 다중화 전송한다. 이때 상기 BAS데이타에는 오디오코딩방식(예 : G.711,-law), 비디오코딩방식(CIF 또는 QCIF) 그리고 메시지전송량(MPI : Message per inch)을 표시한다. 그리고 1203단계에서 역다중화부로부터 데이타를 수신한 후, 1204단계에서 상기 BAS데이타의 코딩된 값이 적당한 값을 가지고 있는가 검사 한다. 이때 상기 설정된 타이머 주기 동안에 적당한 값을 가지고 있는 BAS 데이타가 수신되지 않으면, 1205단계 및 1206단계를 수행하여 비디오 표시불가를 표시하고 종료한다.
그러나 상기 1204단계에서 적당한 값을 갖는 BAS데이타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1207단계에서 수신된 BAS데이타를 저장하고 자신의 능력과 상대 단말의 능력을 전송데이타. 그리고 1208단계에서 비교결과에 따라 자기단말과 상대단말의 능력을 일치시킨 후, 상기 조정된 결과데이타와 함께 FAS신호를 0로 전송하여 비디오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상기 FAS신호가 0인 경우에는 멀티프레임으로 데이타를 통신할 수 있는 상태이므로 비디오 통신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데이타를 전송한 후, 1209단계에서 상대단말로부터 FAS신호가 멀티프레임 가능함을 세트하여 전송하고 있는가 검사한다. 이때 멀티프레임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1210단계 및 1211단계를 통해 처리한다.
그러나 상기 1209단계에서 멀티프레임 통신이 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1212단계에서 전송한 결과를 재전송하여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1213 단계에서 비디오를 온하여 지금부터 비디오가 송신됨을 알려주며, 1214 단계 및 1215단계를 통해 상태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결과에 따라 1216단계에서 부가채널을 오픈시켜, 제13도와 같은 과정으로 진행한다.
제13도를 참조하면, 상기 과정은 부가채널은 초기화하는 과정으로 이미 제12도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여 호출측의 영상전화기와 피호출측의 영상전화기 상호간에 영상 통신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이미 알고 있는 상태이며, 상기 제12도와 같은 초기채널의 초기화과정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면, 제13도와 같은 부가채널 초기화 고정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부가채널 초기화과정이 시작되면, 사용자는 두 번째 채널을 잡기위해 피호출측으로 다시 다이알링하여 호접속을 시도한다.
호접속이 시도되면, 1301단계에서 타이머를 세트하고 1302단계에서 호출측에서 전송하는 비디오데이타와 비디오 온 상태를 알리는 BAS데이타를 다중화하여 상기 네트워크 측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1303단계 및 1304단계를 통해 상대측으로부터 비디오 온 상태를 알리는 BAS데이타가 수신되지 않으면 1305단계 및 1306단계를 통해 비디오 통신 불가를 표시한다. 그러나 상기 단계에서 비디오 온 데이타가 수신되면, 1307단계-1314단계를 통해 정상적인 비디오 및 오디오데이타를 통신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비디오 및 오디오데이타를 상호 통신하는 두 단말중에서 어느 한 단말이 훅크온하면 채널 복구를 위해 제14도와 같은 과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자신이 먼저 통신종료신호를 발생하면 제14도의 전송데이타단계-1407단계를 수행하여 호 절단과정을 수행하고, 상대측 단말이 먼저 통신 종료신호를 발생하는 경우에는 제14도의 1411단계-1415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즉, 호출측이 채널복구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1401단계 및 1402단계에서 음성오프모드 및 데이타오프모드 신호를 BAS데이타에 실어 상대측 단말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BAS데이타를 수신하는 단말기 측에서는 1411단계에서 이를 수신하고 1412단계에서 이를 인지하고, 1413단계에서 비디오프데이타를 송신하고 1414단계 및 1415단계에서 B2채널 및 B1채널을 복구한다. 또한 상대 단말로부터 비디오오프데이타를 수신하면, 1404단계 및 1405단계에서 이를 인지하고 역시 1406단계 및 1407단계에서 B2채널 및 B1채널을 복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칼라 동영상전화기에서 호 접속시 상대 단말과 통신 능력을 교환하여 상호 단말기의 최대 능력을 추출하고, 이를 통해 오디오데이타 및 비디오데이타를 전송할 수 있어 광범위한 호환성을 가질수 있으며, 또한 오디오 및 비디오데이타의 전송채널을 변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칼라 동영상전화기에 있어서, 프레임배열데이타 및 통신능력데이타를 발생하여 다중화하도록 제어하고 역다중화되어 수신되는 데이타들을 수신하여 상대 단말의 통신 능력에 따라 통신 능력을 설정하는 제어수단과, 프레임동기신호 및 데이타클럭을 수신하여 상기 비디오데이타 및 오디오데이타를 다중화 및 역다중화하기 위한 채널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수단과, 비디오코덱과 연결되며, 상기 비디오코덱으로부터 수신되는 비디오데이타와 프레임데이타 및 통신력데이타를 다중화하여 전송하고, 다중화되어 수신되는 데이타를 역다중화하여 상기 프레임배열데이타 및 통신능력데이타를 상기 제어수단으로 출력하는 동시에 비디오데이타를 상기 비디오코덱으로 전송하는 수단과, 오디오코덱과 연결되며, 상기 오디오코덱으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데이타와 프레임데이타 및 통신능력데이타를 다중화하여 전송하고, 전송데이타 수신되는 데이타를 역다중화하여 상기 프레임배열데이타 및 통신능력데이타를 상기 제어수단으로 출력하는 동시에 오디오데이타를 상기 오디오코덱으로 전송하는 수단과, 상기 채널제어신호에 의해 네트워크 측으로 오디오 및 비디오의 채널을 할당하여 인터페이싱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동영상전화기의 데이타 다중화/역다중화 장치.
  2. 칼라 동영상전화기의 데이타 통신방법에 있어서, 호 접속요구시 제1채널에 자신의 오디오 통신능력데이타를 전송하고 상대 통신능력데이타의 수신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과정에서 상대 통신능력데이타 수신시 두 단말기 간에 최대 통신 능력으로 오디오 통신 기능을 세트하고 제2채널을 오픈하는 과정과, 상기 제2채널에 자신의 비디오 통신능력데이타를 전송하고 상대 단말의 비디오 통신능력데이타의 수신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과정에서 상대 통신능력데이타 수신시 두 단말기 간에 최대 통신능력으로 비디오 통신 기능을 세트하는 과정과, 상기 세트된 채널을 이용하여 오디오 및 비디오데이타를 통신하는 과정과, 상기 통신과정에서 호 전송데이타명령 발생시 상대단말로 이를 통보하고 상기 채널을 복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하는 동영상전화기의 데이타 통신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능력데이타가, 오디오데이타 및 비디오데이타의 코딩방식과, 메시지의 전송능력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전화기의 데이타 통신방법.
  4. 칼라 동영상전화기의 데이타 통신방법에 있어서, 호 접속요구시 초기채널을 온하여 오디오데이타에 프레임배열데이타와 통신능력데이타를 다중화하여 전송하고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과정에서 상대 단말로부터 데이타 수신시 이를 역다중화하여 상대단말과 자신의 능력을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른 최대 통신 능력을 오디오데이타에 다중화하여 상대단말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결과 데이타를 전송한 후 상대단말로부터 비디오통신 가능 신호를 수신할시 비디오 모드로 스위칭하고 부가채널을 온하는 과정과, 상기 부가채널을 온 한후 비디오데이타에 프레임배열데이타와 통신능력데이타를 다중화하여 전송하고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과정에서 상대단말로부터 응답메세지 수신시, 두 단말기 간에 오디오데이타 및 비디오데이타를 통신하는 과정과, 상기 통신과정에서 호 복구명령 발생시 상대단말로 이를 통보하고 상기 채널을 복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하는 동영상정화기의 데이타 통신방법.
KR1019920022640A 1992-11-27 1992-11-27 영상전화기의 데이타 다중화 장치 및 방법 KR100212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2640A KR100212076B1 (ko) 1992-11-27 1992-11-27 영상전화기의 데이타 다중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2640A KR100212076B1 (ko) 1992-11-27 1992-11-27 영상전화기의 데이타 다중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239A KR940013239A (ko) 1994-06-25
KR100212076B1 true KR100212076B1 (ko) 1999-08-02

Family

ID=19344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2640A KR100212076B1 (ko) 1992-11-27 1992-11-27 영상전화기의 데이타 다중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20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6110B1 (ko) * 1999-10-29 2006-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엠펙-4 송수신용 시그널링을 지원하는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6110B1 (ko) * 1999-10-29 2006-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엠펙-4 송수신용 시그널링을 지원하는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239A (ko) 199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35890B1 (en) Multimedia communication apparatus
KR0150651B1 (ko) Isdn 비디오 전화기를 이용한 isdn 오디오 및 비디오 호출 방법 및 장치
JP3192260B2 (ja) Isdn基本アクセスシステム
JP3457338B2 (ja) テレビ電話・テレビ会議装置
JPH0652906B2 (ja) 分散形パケット交換装置
US5206859A (en) Isdn multimedia communications system
US5822328A (en) Frame synchronization mechanism for digital simultaneous voice/data modems
KR100212076B1 (ko) 영상전화기의 데이타 다중화 장치 및 방법
US5754836A (en) Split bus architecture for multipoint control unit
EP1721463B1 (en) Method for interruption-free conference call
KR19980040998A (ko) 비동기식 전송모드(atm) 사설망의 음성전화 서비스장치
JPH05300510A (ja) 画像通信端末装置
JPH06224877A (ja) 画像通信端末装置
JP3097016B2 (ja) 通信システム
KR100248660B1 (ko) 종합정보통신망에서 지연등화 프로토콜에 따른 채널 삭제 요구프리미티브 처리방법
KR100237464B1 (ko) 디지틀 전전자 교환기의 트렁크 정합장치
JP3197118B2 (ja) 画像伝送装置
KR100248661B1 (ko) 종합정보통신망에서 지연등화 프로토콜에 따른 채널 추가 요구프리미티브 처리방법
KR100238071B1 (ko) 동적모드변환기능을 갖는 화상단말장치
KR100248664B1 (ko) 종합정보통신망에서 지연등화 프로토콜에 따른 정보 채널 요구프리미티브 처리방법
Hinz The CCITT communication protocol for videophone teleconferencing equipment
JPH08149556A (ja) ディ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機
JPH1042262A (ja) 画像通信端末装置
JPH09130504A (ja) メディア多重化モデム装置
JPH04130846A (ja) ディジタル伝送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