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7464B1 - 디지틀 전전자 교환기의 트렁크 정합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틀 전전자 교환기의 트렁크 정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7464B1
KR100237464B1 KR1019970015346A KR19970015346A KR100237464B1 KR 100237464 B1 KR100237464 B1 KR 100237464B1 KR 1019970015346 A KR1019970015346 A KR 1019970015346A KR 19970015346 A KR19970015346 A KR 19970015346A KR 100237464 B1 KR100237464 B1 KR 100237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lock
network
channel
control sequ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5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7991A (ko
Inventor
강경석
Original Assignee
강병호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호,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병호
Priority to KR1019970015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7464B1/ko
Priority to US09/059,143 priority patent/US6072794A/en
Publication of KR19980077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7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7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7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8Intermediate station arrangements, e.g. for branching, for tapping-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16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in which the time allocation to individual channels within a transmission cycle is variable, e.g. to accommodate varying complexity of signals, to vary number of channels transmitted
    • H04J3/1605Fixed allocated frame structures
    • H04J3/1623Plesiochronous digital hierarchy [PDH]
    • H04J3/1635Format conversion, e.g. CEP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중전화망과 패킷망을 연결하기 위한 통신처리시스템에서 상기 통신처리시스템과 상기 공중전화망 사이를 E1 혹은 T1 국간중계방식으로 접속하기 위한 트렁크정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장치는 라인정합부(301); 프레임 재배열부(302); 상기 라인정합부의 수신데이터로부터 클럭을 추출하기 위한 클럭 추출부(305); 위상동기루프로 구성되어 소정의 클럭을 발진한 후 상기 클럭 추출부가 출력하는 클럭에, 발진된 클럭을 동기시켜 출력하는 망동기부(306); 상기 망동기부가 출력하는 클럭을 분주하여 시스템에 제공하기 위한 클럭분주부(307); 제어시퀀스에 따라 채널을 스위칭하여 4T1이 수신되면 3E1방식으로 변환하고, 특정 타임슬롯의 추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채널 스위치부(303); 제어시퀀스에 따라 R2국간신호방식의 신호를 송신하는 R2송신부(308); 제어시퀀스에 따라 R2국간신호방식의 신호를 수신하는 R2수신부(309); 각 채널의 상태에 따라 해당 톤을 제공하기 위한 톤송신부(310); 및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채널 스위칭 및 R2 시그날링 처리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시퀀스를 제공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12)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디지틀 전전자 교환기의 트렁크정합장치( A trunk interfacing apparatus of a digital exchange)
본 발명은 디지틀 전전자 교환기의 트렁크 정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중전화망과 패킷망을 연결하기 위한 통신처리시스템에서 공중전화망과 통신처리시스템간의 정합을 위한 트렁크 정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중전화망은 전화 가입자들의 호 요구에 따라 회선교환을 수행하여 망의 다른 가입자에게 음성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통신망이고, 패킷 교환망은 컴퓨터간에 디지틀 데이터를 패킷 교환을 통해 전달하기 위한 통신망이다. 그리고 이러한 망은 광대역 종합정보통신망(B-ISDN)이 추진되면서 서로 통합되는 추세이기는 하지만 아직은 개별적인 망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망간에 서비스를 교환하는 절차가 매우 복잡하였다.
공중전화망에는 거의 모든 가정 및 회사들이 가입되어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그 서비스 내용이 주로 음성위주의 전화서비스이다. 그런데 정보화사회가 진전되면서 컴퓨터간 데이터 전달이 광범위하게 요구되고, 각종 정보제공사업자가 등장하면서 패킷망에 대한 접속 요구가 급속히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일반가정에서 사용되는 전화선을 이용하여 패킷 교환망과 연결되는 형태의 서비스가 증가하게 되었고, 이를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중전화망과 패킷망간의 접속에 통신처리시스템이 도입되게 되었다.
이러한 통신처리시스템은 공중전화망과 T1/E1 트렁크 형태로 연결되고, 패킷망과는 X.25 프로토콜에 따라 연결되는데, 공중전화망과 통신처리시스템을 연결하는 종래의 트렁크 정합장치는 가입자 데이터를 전달하는 트렁크정합블록과 신호처리를 담당하는 신호처리블록이 별도로 분리되어 회로구성이 복잡하고, 이에 따라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라인정합과 시그날링을 단일의 장치로 처리하므로써 회로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는 디지틀 전전자 교환기에서 트렁크 정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는, 공중전화망과 패킷망을 연결하기 위한 통신처리시스템에서 상기 통신처리시스템과 상기 공중전화망 사이를 E1 혹은 T1 국간중계방식으로 접속하기 위한 트렁크 정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중전화망과 3E1 혹은 4T1으로 접속되어 라인 코딩 및 디코딩을 처리하는 라인정합부; 상기 라인정합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재생된 클럭에 따라 재배열하고, 송신 클럭에 따라 프레임을 재배열하여 상기 라인정합부로 출력하는 프레임 재배열부; 상기 라인정합부의 수신 데이터로부터 클럭을 추출하기 위한 클럭 추출부;
위상동기루프로 구성되어 소정의 클럭을 발진한 후 상기 클럭 추출부가 출력하는 클럭에 발진된 클럭을 동기시켜 출력하는 망동기부; 상기 망동기부가 출력하는 클럭을 분주하여 시스템에 제공하기 위한 클럭분주부; 제어시퀀스에 따라 채널을 스위칭하여 4T1이 수신되면 3E1방식으로 변환하고, 특정 타임슬롯의 추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채널 스위치부; 제어시퀀스에 따라 R2 국간신호방식의 신호를 송신하는 R2송신부; 제어시퀀스에 따라 R2 국간신호방식의 신호를 수신하는 R2수신부; 각 채널의 상태에 따라 해당 톤을 제공하기 위한 톤송신부; 및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채널 스위칭 및 R2 시그날링 처리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시퀀스를 제공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공중전화망과 패킷망과의 결합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신처리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틀 전전자 교환기의 트렁크정합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공중전화망(PSTN)14 : 통신처리시스템
16 : 패킷망 20-1∼20-n : 통신처리장치
22 : 트렁크 정합유니트 24 : 스위칭유니트
26 : 가입자 정합유니트 27 : 메인 스위치
301 : 라인정합부 302 : 프레임 재배열부
303 : T1/E1 채널 스위치부 304,311 : 버퍼
305 : 클럭추출부 306 : 망동기부
307 : 클럭분주부 308 : R2송신부
309 : R2수신부 310 : 톤송신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공중전화망과 패킷망과의 결합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공중전화망(12)에는 다수의 전화기, 개인용 컴퓨터, 하이텔 단말기등이 전화선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공중전화망(12)의 교환노드와 통신처리시스템(14)이 트렁크 접속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통신처리시스템(14)과 패킷망(16)이 X.25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패킷망에는 여러 종류의 정보 제공자들이 연결되어 있다. 이때 개인용 컴퓨터와 공중전화망은 모뎀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공중전화망에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 혹은 하이텔 단말기를 이용하여 하이텔에 접속하기 위해서 소정의 하이텔 번호로 호를 연결한 후 통신하는데, 이때 통신처리시스템(16)을 경유하므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통신처리시스템(14)은 ICPS(Information Communication Processing System)이라고 부르는데, 기존에는 패킷망의 DB 이용시 01410 가입자가 전화망을 오래동안 사용하고 있을 때 전화망의 부하가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었으나, 이 통신처리시스템(ICPS)을 망의 중간에 설치하므로써 트래픽을 조절할 수 있고 원하는 메뉴에 직접 접속할 수 있어 정보검색시 시간이 절약되게 한다. 또한 이용자의 발신전화번호를 발췌하여 기록하여둠으로써 단순접속을 통한 이용체계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가입자에게 분산된 데이터 베이스(DB)를 억세스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정보제공시스템들을 상호 효율적으로 연동시키며 전국적인 데이터 베이스(DB)망을 구성할 수 있게 하는 노드 프로세서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통신처리시스템은 크게 통신처리장치(20-1∼20-n)와 지역관리장치(미도시)로 구성되어 있는데, 통신처리장치(20-1∼20-n)는 공중전화망(12)과 T1/E1의 국간중계방식의 접속기능을 갖고, 패킷망과 56Kbps의 X.25 접속으로 전화망과 패킷망을 연결하며, 하나의 통신처리시스템당 최대 96회선의 고속 14.4Kbps의 다이얼업 모뎀 접속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과금을 위한 발신전화 식별 및 저장 기능이 있으며, VT-100/220 데이터 단말기 식별 및 비디오텍스 모드의 단말기를 지원한다. 그리고 한글메뉴 및 약부호 제공기능, 지역관리장치로의 과금데이터 전송기능등이 있다.
이와 같은 통신처리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렁크 정합유니트(22), 스위칭 유니트(24), 가입자 정합유니트(26)로 구성되어 있다.
트렁크정합유니트(22)는 공중전화망(12)과 4T1 혹은 3E1으로 접속되며, 클럭을 추출하여 통신처리장치의 다른 유니트에 제공하고, 4T1으로 접속되면 이를 3E1형태로 전환하여 스위칭 유니트(24)에 연결한다. 스위칭 유니트(24)는 스위칭기능을 처리하며, 가입자 정합유니트(26)는 모뎀을 통해 메인 스위치(27)측과 연결되어 패킷망에 접속된다.
한편, 지역관리장치는 최대 32대의 통신처리장치를 관리하며, 모든 접속호에 대한 상세과금처리기능, IP내 DB관리기능, DB이용 안내 및 과금기능, 한글메뉴에 의한 약부호 등록기능 등이 있다. 지역관리장치는 통신처리장치 접속부, 과금기록부, 정보안내장치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호스트 시스템은 타이컴을 LAN으로 이중화하여 HiNet-P망에 원격 접속하여 통신처리장치를 관리하는 구조로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틀 전전자교환기의 트렁크 정합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 정합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정합부(301), 프레임 재배열부(302), T1/E1 채널스위치부(303), 버퍼(304), 클럭 추출부(305), 망동기부(306), 클럭 분주부(307), R2송신부(308), R2수신부(309), 톤송신부(310), 버퍼(304,311), 마이크로 프로세서(312), 이피롬(313), 램(31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라인정합부(301)는 공중전화망(12)과 3개의 E1 국간중계방식 혹은 4개의 T1국간중계방식으로 정합된다. 이때 E1은 32 PCM 채널이 다중화되어 2.048Mbps의 전송속도를 가지며, T1은 24 PCM 채널이 다중화되어 1.544Mbps의 전송속도를 갖는다. 그리고 라인정합부(301)는 전송선로를 통해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하여 라인 코딩 및 디코딩을 처리한다.
클럭 추출부(305)는 라인정합부(301)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클럭을 추출하고, 망동기부(306)는 PLL회로로 구성되어 내부에서 발진된 신호를 수신된 클럭에 동기시키고, 클럭분주부(307)는 망동기부(306)에서 출력하는 클럭을 분주하여 다른 유니트에 제공한다.
프레임 재배열부(302)는 라인정합부(301)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망동기부(306)에서 발생된 동기클럭에 따라 재배열하여 프레임을 재생하고, T1/E1 채널스위치부(303)는 T1/E1 프레임구조에서 특정 타임슬롯을 억세스하여 시그날링을 처리하게 하고, 4개의 T1라인이 입력될 경우 3개의 E1형태로 채널을 스위칭한다. 제1 버퍼(304)는 3개의 E1라인으로 스위칭유니트(도 2 의 24)와 연결하게 하고, R2송신부(308)는 R2 시그날링에 따른 신호를 제2 버퍼(311)를 통해 스위칭유니트(도 2 의 24)로 송신하며, R2수신부(309)는 R2시그날링에 따른 신호를 스위칭유니트(24)로부터 수신한다. 톤송신부(310)는 채널의 상태에 따라 해당 톤을 제공한다. 여기서, 채널 스위치부(303)는 마이텔(MITEL)사의 MT8980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피롬(313:EPROM) 및 램(314:RAM)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12)에서 운용될 프로그램과, 데이터들이 저장되어 있으며, 마이크로 프로세서(312)는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각 블록들의 동작을 제어하며 시그날링을 처리한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T1 및 E1 프레임의 구조와 R2 시그날링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1 프레임은 12개의 PCM채널(DS0: 64Kbps)이 프레임비트와 함께 다중화되어 1.544Mbps의 속도를 갖으며 12개의 프레임이 다중화되어 멀티 프레임(혹은 슈퍼프레임)을 형성하는데, 이 멀티 프레임에서 6번째 프레임의 각 채널에서 8번째 비트를 'A'비트라하고, 12번째 프레임의 각 채널에서 8번째 비트를 'B'비트라 한다. 그리고 각 채널의 시그날링은 이 "A,B"비트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예컨대 A비트가 0이면 온-후크를 나타내고, 1이면 오프-후크를 나타낸다. 그리고 B비트가 0이면 링이 없는 것(no ringing)을 나타내고, 1이면 링이 있는 것(ringing)을 나타낸다. T1에서 라인 코드(line code)로는 AMI 혹은 B8ZS가 사용된다.
E1 프레임은 32개의 PCM채널(64Kbps)이 다중화되어 2.048Mbps의 속도를 가지며 30 채널은 가입자 데이터가 전달되는 채널이고, 2채널은 시그날링 및 프레임동기를 위해 사용된다. 즉, E1 프레임은 16개가 다중화되어 멀티 프레임을 형성하고, 멀티 프레임을 형성하는 짝수 프레임의 0번 채널(타임슬롯 0)은 프레임동기비트에 사용되고, 홀수 프레임의 0번 채널은 원격경보 및 내셔널비트로 사용된다. 그리고 멀티 프레임을 형성하는 첫번째 프레임의 16번 채널(타임슬롯 16)은 멀티 프레임 동기비트에 사용되고, 두 번째 내지 열여섯 번째 프레임의 16번 채널은 각 채널(30채널)의 시그날링용으로 사용된다. T1 프레임의 라인 코드는 HDB3가 사용된다.
한편, 국간중계방식의 일종인 R2신호방식은 전방향신호와 후방향신호로 구분되는 특정한 주파수신호들의 조합에 의해 약 30종의 신호조합이 가능하다. 즉, 전방향신호는 1380, 1500, 1620, 1740, 1860, 1980 Hz 이고, 후방향신호는 1140, 1020, 900, 780, 660, 540 Hz인데 이들의 조합에 의해 디지트 1 내지 디지트 0, 디지트 송출, 디지트 접수완료 등의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도 3에서 공중전화망과 E1 트렁크방식으로 접속될 경우, 라인정합부(301)는 3개의 E1 라인으로 공중전화망의 교환노드(트렁크측)와 연결된다. 이때 E1선로를 통해 송신되는 데이터는 HDB3 방식으로 부호화하여 전송하고, HDB3방식으로 부호화되어 수신된 데이터는 복호하여 바이너리신호를 변환한다. 클럭추출부(305)는 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망동기를 위한 클럭을 추출하고, PLL(306)에서는 내부에서 발진된 신호를 추출된 클럭에 동기시키고, 클럭분주부(307)에서는 PLL이 출력하는 발진클럭을 분주하여 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각종 클럭을 제공한다.
프레임 재배열부(302)는 송신을 위하여 E1 프레임을 형성하거나 재생된 클럭에 따라 수신된 데이터를 재배열하여 프레임을 정렬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312)는 램(314) 및 이피롬(313)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채널 스위치부(303)를 제어하며, 이에 따라 채널 스위치부(303)는 E1 멀티 프레임을 검출한 후 시그날링 정보를 추출하여 이 시그날링 정보에 따라 처리한다. R2송신부(308)는 R2시그날링방식의 신호를 버퍼(311)를 통해 스위칭 유니트로 송신하고, 스위칭 유니트로부터 수신된 R2 신호는 버퍼(311)를 통해 R2수신부(309)로 입력된다. 톤 송신부(310)는 채널의 상태에 따라 각종 톤신호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 정합장치는 라인정합과 시그날링을 동일한 보드에서 처리하므로써 회로구성이 간단해져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공중전화망과 패킷망을 연결하기 위한 통신처리시스템에서 상기 통신처리시스템과 상기 공중전화망 사이를 E1 혹은 T1 국간중계방식으로 접속하기 위한 트렁크정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중전화망과 3E1 혹은 4T1으로 접속되어 라인 코딩 및 디코딩을 처리하는 라인정합부(301), 상기 라인정합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재생된 클럭에 따라 재배열하고, 송신 클럭에 따라 프레임을 재배열하여 상기 라인정합부로 출력하는 프레임 재배열부(302), 상기 라인정합부의 수신데이터로부터 클럭을 추출하기 위한 클럭 추출부(305), 위상동기루프로 구성되어 소정의 클럭을 발진한 후 상기 클럭 추출부가 출력하는 클럭에, 발진된 클럭을 동기시켜 출력하는 망동기부(306), 상기 망동기부가 출력하는 클럭을 분주하여 시스템에 제공하기 위한 클럭분주부(307), 제어시퀀스에 따라 채널을 스위칭하여 4T1이 수신되면 3E1방식으로 변환하고, 특정 타임슬롯의 추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채널 스위치부(303), 제어시퀀스에 따라 R2국간신호방식의 신호를 송신하는 R2송신부(308), 제어시퀀스에 따라 R2국간신호방식의 신호를 수신하는 R2수신부(309), 각 채널의 상태에 따라 해당 톤을 제공하기 위한 톤송신부(310) 및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채널 스위칭 및 R2 시그날링 처리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시퀀스를 제공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1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전전자 교환기의 트렁크정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틀 전전자 교환기의 트렁크정합장치는 채널스위치부의 출력을 버퍼링하기 위한 버퍼(304)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전전자 교환기의 트렁크정합장치.
KR1019970015346A 1997-04-24 1997-04-24 디지틀 전전자 교환기의 트렁크 정합장치 KR100237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5346A KR100237464B1 (ko) 1997-04-24 1997-04-24 디지틀 전전자 교환기의 트렁크 정합장치
US09/059,143 US6072794A (en) 1997-04-24 1998-04-13 Digital trunk interface unit for use in remote access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5346A KR100237464B1 (ko) 1997-04-24 1997-04-24 디지틀 전전자 교환기의 트렁크 정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7991A KR19980077991A (ko) 1998-11-16
KR100237464B1 true KR100237464B1 (ko) 2000-01-15

Family

ID=19503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5346A KR100237464B1 (ko) 1997-04-24 1997-04-24 디지틀 전전자 교환기의 트렁크 정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74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684B1 (ko) * 2002-11-12 2005-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대용량 시스템의 r2 시그널링을 위한 디지털 신호프로세서의인터페이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7991A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80198B2 (ja) 音声ディジタル1リンク接続方式
EP0245077B1 (en) Tdma communication system having common local path medium and local time slot for intraoffice calls
CA1187969A (en) Digital loop transceiver for interfacing a digital pabx to a digital subscriber set via a subscriber line
US3924077A (en) Pulse code modulation time division multiplex telephone system
US6763097B1 (en) Source adaptive digital subscriber line and method
US5661785A (en) Flexible telecommunications line interface
GB2212028A (en) Speech/data communication systems
US6072794A (en) Digital trunk interface unit for use in remote access system
JP2001044961A (ja) 時分割多重装置
US4839888A (en) Digital time-division multiplex switch-based telephone subscriber connection system
JPH09507355A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のベースステーション
KR100237464B1 (ko) 디지틀 전전자 교환기의 트렁크 정합장치
WO1997034433A1 (en) A communication method and an adapter between a wireless telephone terminal and a data source
KR20010105042A (ko) 통신단말기의 다중 통신 연결장치
KR100221306B1 (ko) 디지틀 전전자 교환기의 티이1/이1 정합장치
KR20010074674A (ko) 소스 적응성 디지털 가입자 라인 및 방법
US20100098052A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GB2072464A (en) Line supplied telephone interface
JP2010124456A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および端末収容装置
KR910002623B1 (ko) 키폰전화기를 사용하는 사설교환기에서 국선통화중 복합주파수 송신방법
KR100535272B1 (ko) 사설 교환기의 톤 및 디지트 제공 장치
KR20010004438A (ko)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공중전화망정합회로
KR100264855B1 (ko) 아이디엘씨기능구현을위한가입자전송장치
KR100306474B1 (ko) 더블유엘엘멀티라인모듈
KR0150284B1 (ko) Cdma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 데이터통신 연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