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1408B1 - 편광 유지 광섬유의 기계적인 접속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편광 유지 광섬유의 기계적인 접속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1408B1
KR100211408B1 KR1019900001282A KR900001282A KR100211408B1 KR 100211408 B1 KR100211408 B1 KR 100211408B1 KR 1019900001282 A KR1019900001282 A KR 1019900001282A KR 900001282 A KR900001282 A KR 900001282A KR 100211408 B1 KR100211408 B1 KR 100211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passage
polarization
cross
w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1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3325A (ko
Inventor
막스 밀러 캘빈
앤.릿지웨이 데이빗
마크 시어스 프레드릭
Original Assignee
존 제이. 키세인
에이티 앤드 티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 제이. 키세인, 에이티 앤드 티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존 제이. 키세인
Publication of KR900013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3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1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1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69Mounting ferrules to connector body, i.e.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12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having polarisation-maintaining light 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82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rods, pins or balls to align a pair of ferrule e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51Ferrules having keying or cod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55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anchoring or fixing the fibre within the ferrule
    • G02B6/3861Adhesive bon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Optical Fibers, Optical Fiber Cores, And Optical Fiber Bund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편광 유지 광섬유의 기계적인 접속장치 및 방법
제1도는 광섬유의 편광축에 관하여 소정의 방위로 배치된 식별 탭을 가진 페루울의 통로내에 배열된 편광유지 광섬유 단부의 단면도.
제2도는 버퍼 층(buffer layer), 강도 시스템, 쟈켓으로 둘러싸인 광섬유의 단면도.
제3도는 내부에 배열된 광섬유를 가진 페루울과 상기 페루울이 내부에 장착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광섬유 종단 조립체의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종단 조립체의 부분 단면도.
제5도는 상기 페루울의 길이 방향축에 관하여 중심을 벗어나서 배열된 장방형 통로를 도시하는 페루울의 단면도.
제6도는 상호 접속후 두 개의 종단된 광섬유의 측단부도.
제7도는 내부에 광섬유가 설치된 제5도의 페루울의 단면도.
제8도는 통로내에 광섬유가 재설치된 뒤의 제7도의 페루울의 단면도.
제9도는 다수의 페루울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일정 길이의 관형 스톡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제10도는 회전 식별 수단을 갖는, 분리전 관형 스톡의 두 개의 페루울 세그먼트를 도시하는 도면.
제11도는 제10도의 두 개의 페루울 배열의 부분적인 측단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12-12)선을 따라 취한 제11도의 배열의 횡단면도.
제13도는 분리 뒤 제10도의 스톡의 두 개의 세그먼트를 도시하는 도면.
제14도는 본 발명의 접속 배열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제15도는 본 발명의 접속 배열에 사용되는 3-로드 정렬 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광섬유 30 : 종단 장치
38 : 측부 40 : 페루울
41 : 통로 43 : 탭
50 : 커넥터 55,67 : 슬롯
60 : 커플링 73 : 핀
75 : 슬리브 90 : 관형 스톡
100 : 라인 104,106 : 페루울 세그먼트
112 : 하우징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편광 유지(polarization-maintaining) 광섬유의 기계적인 커넥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편광-유지(PM) 섬유는 단일-모드 전송에서 실질적으로 편광 안정 상태를 유지하며, 또한 코히어런트 통신, 광섬유 장치와 센서, 포토닉 스위칭 등의 응용 분야들에 있어서 중요하다. 편광 유지 섬유의 한 형태로는 미합중국 특허 제 4,274,854호에 개시된 응력-유도 복굴절(stress-induced birefringent) 광섬유가 있다. 또한 미합중국 특허 제 4,515,436호 및 제 4,529,426호를 보라.
적절한 섬유 커넥션 기수은 성공적인 편광 유지 섬유의 성공적인 사용에 필수적이다. 적절한 커넥션 기술은 손실을 낮게 하고 광섬유에 대한 편광 소광율(polarization extinction ratio) 저하를 최소화시켜야 한다. 편광 소광율은 전체 발사된 전력의 전력 누출(power leakage) 대 여기된(exited) 편광축에 수직인 전력 누출의 비의 로그로써 정의된다. 접합 손실은 섬유 코어의 횡 및 종방향 오프셋에만 의존하는 반면, 소광율은 두 섬유의 편광축간의 각도 오프셋에만 의존한다. 따라서, 접속을 통해 허용할 수 있는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섬유 코어뿐만 아니라 편광축을 정렬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상호 접속될 두 섬유의 편광축의 정렬은 매우 중요한데, 이것은 약 1°의 허용차이내여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소광율은 현저히 저하된다. 편광축이 광섬유 횡단면의 기하학적 축과 일치한다면, 편광축의 정렬 작업은 단순해질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편광 유지 섬유는 편광축과 일치하는 기하축을 갖지 않는다. 예를 들면, 원형 단면 광섬유에 대해서, 편광축의 방위 결정을 위하여 값비싼 장비가 사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외부 클래딩 층의 일반적인 장방형 횡단면 형태를 가진 편광 유지 광섬유는 유리하고, 또한 기하축과 편광축이 일치되게 한다. 그것은 편광축의 방위 결정을 용이하게 한다.
종래 기술에서, 대부분의 편광 유지 섬유 접합 기술은 용융 혹은 점착 본딩을 사용했다. 용융 접합(fusion splicing)은 기본모드의 편광축을 찾기 위하여 회전 스테이지 이외에 코어를 정렬시키기 위한 값비싼 마이크로 위치설정기(micropositioner)를 요구한다. 더구나, 섬유의 잔여 응력 프로파일이 용융동안의 도펀트 확산(dopant diffusion)과 응력-유도 섬유에서의 코어 변형에 의해 변형될 때 편광 유지 섬유 접합에서 문제점이 발생한다. 점착 본딩은 경화 공정 동안 체적 수축에 의해 약간의 불안정을 보여주었다.
많은 응용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의 편광 유지 섬유만이 요구된다는 사실로부터 또 다른 고려 사항이 제기된다. 광섬유 코어의 비정렬과 복굴절 축이 존재한다면, 편광 잡음, 모달 잡음, 반사 손실에 의한 과도한 전체적인 감쇠 또는 신호-대-잡음비의 감소와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 반사는 광 피드백을 통한 레이저 불안정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요구되는 것은 편광 유지 광섬유용 수동식 기계 커넥션 시스템이다. 요구되는 커넥션 시스템은 섬유 단부 준비와 섬유 코어 및 편광축 정렬을 결합시키고 단순화시켜야한다. 섬유를 지지 구조내에 설치하고 연마하므로서 달성되는 단부 준비는 그대로의 섬유보다 정렬하기에 더 용이한 접속부품을 제공한다. 또한, 정렬유지를 위해 후속 동작을 요구하지 않는 정렬 하드웨어가 요구된다. 편광 유지 섬유용 기계식 커넥션 시스템은 용융 동안의 응력 프로파일 변형 문제와 점착 본딩에 의한 체적 수축 불안정을 제거할 것이다. 더구나, 편광 유지 섬유용 수동식 커넥션 시스템이 요구된다. 요구되는 수동식 시스템은 종래에 사용되어 온 정교한 마이크로 위치설정기의 필요없이 편광 유지 광섬유 코어와 축의 정밀한 정렬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공지된 바로는, 종래 기술은 편광 유지 섬유를 위한 이러한 기계식 커넥션 배열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
[발명의 개요]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 본 발명의 기계적인 커넥션 시스템으로 극복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기계적 커넥션 시스템 또는 커넥션이라는 용어는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진 커넥터 또는 접합(splice)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상기 시스템은 값비싸고 정교한 마이크로 위치설정기의 필요 없이 두 개의 편광 유지 광섬유의 정밀한 축 정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광섬유의 외부에 있는 편광축 기준을 포함한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인 직선에 의하여 정의되는 통로를 각각 가지는 두 개의 페루울을 포함한다. 광섬유의 편광축 중의 하나에 평행한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인 직선에 의하여 정의되는, 하이브리드 외부 클래딩 형태를 각각 가지는 편광 유지 광섬유는 상기 통로에 삽입된다. 각 페루울은, 페루울 내의 광섬유 단부의 외부 클래딩 층의 하이브리드 횡단면의 실질적인 직선에 관하여 즉, 섬유의 편광축 중의 하나에 관하여 소정의 방위로 그것과 연관된 마아킹(marking)을 갖는다. 상기 접속 시스템은 마아킹의 정렬 즉, 섬유 편광축의 수동 정렬을 용이하게 한다. 소광율 측정은 정렬을 개선시키도록 편광 유지 섬유의 능동 정렬을 수행하기 위해 기계식 커넥션에 대해서 실행될 수 있다. 그러나, 두 개의 편광 유지 섬유에 허용 가능한 기계식 커넥션을 제공하기 위해 이러한 능동 정렬은 필요하지 않다.
상기 편광 유지 광섬유가 다수의 클래딩 층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클래딩 층중 외부 클래딩은 시작 기판 튜브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광섬유의 길이 방향축을 가로지르는 횡단면으로 하이브리드 형태를 가지는 것은 외부 클래딩 층이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넥션 시스템의 각 커넥터는 페루울과 상기 페루울의 단부가 내부에 배열된 플라스틱 하우징을 포함한다. 제1페루울의 자유 단부의 단면은 제2페루울의 자유 단부의 단면에 인접해서 배열되도록 되어 있다. 각 페루울은 관통해서 연장된 통로를 가지며, 자유 단부의 단면으로 개방되는 상기 통로의 적어도 일부분은 페루울의 길이 방향축을 가로지르는 횡단면에서 실질적으로 장방형이다. 일정 길이의 스톡으로부터 두 개의 페루울을 분리하기 전에, 탭이 통로의 장방향 모양의 긴 측부에 수직이 되도록 각 플라스틱 하우징에 탭이 설치된다. 각 페루울의 통로 내에 수용될 광섬유는, 광섬유의 수직 편광축 중의 하나가 외부 크래딩의 평행 측부에 평행하게 되도록, 두 개의 단부와 두 개의 평행 측부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형태를 가지는 외부 클래딩 층을 포함한다. 그 결과, 편광 유지 섬유의 단부가 장방형 통로 내에 위치될 때, 연관된 탭은 섬유의 편광축 중의 하나에 평행한 섬유의 평행 측부 또는 플랫에 수직이다. 접속을 위해서, 두 개의 페루울은 그들의 탭이 정렬되도록 지지되고 그것에 의해서 광섬유의 편광축이 정렬되게 된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및 제2페루울은 일정 길이의 원통형 스톡의 인접한 세그먼트이다. 스톡으로부터 분리된 후에 제1및 제2페루울은, 접속 시스템내에서 그들의 인접한 단면이 스톡으로부터의 분리 전에 인접하였던 것으로 되도록 배열된다. 또한, 분리후의 제1및 제2페루울은, 접속 시스템의 길이 방향축에 관하여, 스톡으로부터 분리되기 전에 페루울이 가졌던 회전 방위와 동일한 회전 방위를 가지게 된다.
[상세한 설명]
제1도를 참조하면, 편광 유지 광섬유(2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편광 유지 광섬유(20)는 코어(22)와 다수의 클래딩 층을 포함한다. 상기 층들의 차등 열수축의 결과로, 예비 성형 튜브가 붕괴될 때 응력-유도 복굴절이 야기된다. 외부 클래딩 층(23)은 섬유의 길이 방향축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하이브리드 형태를 가진다. 상기 하이브리드 형태는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인 직선에 의해 정의된다. 다음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외부 클래딩 층(23)은 실질적으로 평행한 측부(27)-(27)와 상기 두 평행 측부에 각각 연결된 호형 단부(28)-(28)를 포함하는 장방형 부분을 포함한다. 때때로, 상기 단부는 곡면을 거의 갖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갖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외부 클래딩 층(23)주위에는 UV 경화 아크릴 재료가 될 수 있는 코팅(25)(제2도에 도시)이 배열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팅(25)은 원형 형태를 가진다.
상기 편광 유지 섬유(polarization-maintaining fiber)는 그것의 수직 편광축이 외부 클래딩 층을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인 직선에 관하여 소정 방위를 갖도록 제조된다. 상기 직선은 적어도 하나의 편광축에 평행하고 따라서 나머지 편광축에 대해서는 수직이다. 여기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편광축은 측부(27)-(27) 및 단부(28)-(28)에 대해서 각각 소정의 방위를 가지고, 이것은 외부 클래딩 층의 형태를 정의한다. 상기 방위는 광섬유의 편광축중의 하나가 외부 클래딩 층(23)의 횡단면 형태의 평행 측부(27)-(27)에 평행하게 되도록 되어 있다.
각 섬유에는 예를 들면, PVC의 버퍼 층(32)(제2도에서 도시) 및 KEVLAR
Figure kpo00002
, 와 같은 섬유재료로 제조된 강도 부재(33)가 제공될 수 있다. PVC로 이루어 질 수 있는 외부 쟈켓(35)(제2도에 도시)은 버퍼 층(32)을 둘러싸고 있다. 완성된 구조는 단일 섬유 케이블로 언급되고 번호(37)로 지시된다.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면, 편광 유지 광섬유를 종단시키고 두 편광 유지 광섬유의 기계적인 커넥션을 용이하게 하는데 사용되는 장치(30)의 일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장치(30)는 종단 장치(termination device)로 호칭될 수도 있다.
커넥션(connection)은 종단 장치(30)와 일정 길이의 편광 유지 광섬유의 단부를 각각 포함하는 두 개의 광섬유 종단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종단 조립체의 대응 소자는 동일 도면 부호를 갖는다. 상기 커넥션은 상기 종단 장치의 길이 방향축(36)-(36)이 동축이 되도록 한다. 광섬유(20)의 단부와 더불어, 각 종단 조립체는 통로(41)(제4도에 도시)를 가지며 예를 들어 유리 혹은 세라믹 재료로 제조된 광섬유 페루울 또는 플러그(40)를 포함한다. 통로 (41)는 적어도 하나의 직선 측부에 의하여 정의되는 횡단면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상기 통로의 내부에 수용되는 광섬유 단부의 형태와 유사한 형태를 갖는다. 여기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있어서, 통로(41)는 실질적으로 장방형(제5도에 도시)이며, 또한 함께 종단되는 비코팅 광섬유의 가장 큰 횡단면보다 적어도 약간 더 큰, 페루울의 길이 방향축을 가로지르는 횡단면을 갖는다. 통로(41)는 긴 측부(38)-(38) 및 짧은 측부(39)-(39)에 의하여 정의된다. 상기 통로를 정의하는 벽의 코너는 광섬유의 외부 클래딩 층의 단부(28)-(28)의 반경보다 실질적으로 약간 더 작은 반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페루울(40)은 대략 2500μ의 외경을 갖는다. 플러그(40)의 단면(34)은 통로(41)의 개구를 포함한다.
케이블(37)을 종단함에 있어서, 버퍼 층(32), 강도 부재(33), 외부 쟈켓(35)뿐만 아니라 코팅(25)도 페루울(40)과 함께 그것의 종단전에 광섬유(20)의 단부로부터 제거된다. 그리고 나서, 광섬유의 하이브리드 모양의 비코팅 단부는 각 페루울(40)의 장방형 통로(41)내로 삽입된다. 광섬유(20)의 단부는 본 발명에 따라서 페루울(40)의 통로(41)내에 고정되고 페루울과 광섬유의 단면은 연마되고 닦여진다.
또한 각 종단 조립체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료로 만들어진 커넥터 본체(42)(제3도 및 제4도에 도시)와 금속 재료로 만들어진 관형 하우징(45)과 압축 스프링(44)을 포함한다. 페루울(40), 커넥터 본체(42), 하우징(45)은 각각 원통형 횡단면을 가진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상기 커넥터 본체(42)는 예를들면, 키(key) 혹은 탭(tab : 43) (제1도에 도시)와 같은 별도의 방위 수단을 포함하는데, 이것은 길이 방향축(36)으로부터 방사형으로 돌출된다. 중요한 것은, 상기 탭(43)이 장방형 통로(41)의 긴 측부(38)-(38)에 수직으로 향하게 되고 따라서, 편광 유지 섬유(20)의 평행 측부(27)-(27)에 수직이 된다는 것이다.
상기 커넥터 본체(42)는 하우징내에 내부적으로 배열된 칼라(collar : 48)내의 개구(47)를 통하여 연장된 소구경부(46)(제4도에 도시)를 포함한다. 보유 와셔(retaining washer)(49)는 칼라의 외측부상의 소구경부의 둘레를 접한다. 스프링(44)은 칼라와 대구경부(51) 사이에 있는 커넥터 본체(42)의 소구경부(46) 주위에 배열된다. 이러한 배열의 결과로서, 스프링(44)은 하우징(45)내의 커넥터 본체를 유지하도록 케이블로부터 외부로 커넥터 본체(42)를 바이어스한다.
제6도에는 커넥터(50)가 도시되어 있는데, 하우징(45)은 이것의 내단부에서 원주방향 연장 슬롯(57)과 이어져 있는 길이방향 연장 슬롯(55)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슬롯(57)은 이것을 정의하는 하우징의 관형벽이 래칭 돌출부(58)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슬롯(55), (57)은 커넥터의 또다른 부분에 종단 장치(3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커넥터 종단 장치(30)를 완성시키는 것은 원뿔형 형태의 광섬유 케이블을 따라 하우징(45)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는 연장부(5)이다. 커넥터(50)의 이러한 연장부(59)는 종단에 대한 긴장을 제거하며 또한 상기 케이블이 광섬유에 전달되는 지나친 응력없이 다른 케이블과의 상호 접속 후에 사용시의 반복적인 구부림을 버틸 수 있도록 보장한다.
광섬유(20)는 섬유의 단부로부터 코팅을 제거함으로써 페루울(40)과 함께 종단을 위해 준비된다. 그후, 광섬유의 상기 단부는 예를들면, 점착제, 양호하게는 UV-경화 가능 점착제(52)(제1도에 도시)와 같은, 적절한 수단에 의하여 지정된 편심 방향을 가지는 페루울중의 하나에 삽입되고 고정된다. 페루울의 단면(제3, 4도에 도시)으로부터 돌출한 광섬유의 부분은 줄긋기 되고 절단되며 그 후에 광섬유와 페루울 단면은 공지 기술에 의해 닦여진다.
본 발명에 따라서, 페루울 통로의 횡단면이 내부에 수용될 광섬유의 횡단면보다 약간 더 크기 때문에 섬유축의 비정렬 및 장방형 페루울 통로(41)내의 광섬유의 편심으로 인한 손실을 감소시키는 공정이 취해진다. 상기 페루울 통로는 내부에 수용될 편광 유지 광섬유 단부의 크기보다 약 5 마이크론 정도 더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장방형 통로의 각 측부는 편광 유지 섬유의 대응 측부보다 약 3 마이크론 더 크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페루울은 약 70 마이크론과 140 마이크론의 전체적인 외부 크기의 횡단면을 가진 광섬유를 수용하기 위하여 약 74 마이크론의 짧은 측부와 약 143 마이크론의 긴 측부를 가지는 통로가 만들어진다. 통로 횡단면의 이러한 허용 오차의 결과로, 비용이 감소된다.
첫째로 편광 유지 섬유의 외부 클래딩 층이 광섬유의 길이방향 축을 가로지르는 전술한 하이브리드 형태를 가지게 하는 것에 의해, 적합한 정렬이 성취된다. 광섬유의 단부는 페루울 통로(제7도에 도시)내에 위치되고 상기 통로는 그 내부에 수용되는 섬유보다 더 큰 장방형 형태를 가진다. 상기 위치 설정은 광섬유 클래딩 층의 긴 측부(27)-(27)가 통로(41)의 긴 측부(38)-(38)에 평행하게 되도록 한다. 그리고나서 전술된 바와 같이, 탭이 페루울의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또한 그것이 페루울내의 장방형 통로(41)의 긴 측부(38)에 수직이 되도록, 상기 페루울에 탭(43)이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탭(43)은 상기 통로를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의 직선 측부에 관하여 소정 방위로 있고 따라서 내부에 배열된 광섬유 단부의 외부 클래딩 층의 하이브리드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직선 측부에 대해서 또한 광섬유 단부의 편광축에 대해서 소정 방위로 있다.
또한, 광섬유 단부는 상기 통로에 대해서 또한 그것이 배열되는 통로의 편심 방향에 대해서 소정 방위로 통로(41)내에 배열되도록 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로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적으로 배열된다면, 광섬유(20)의 단부는 상기 페루울 통로(제7도에 도시)의 최외부 긴 측부(38)를 향하여 상기 통로내에서 편향되도록 된다. 물론, 상기 소정의 방위는 광섬유가 편심방향과 반대 방향에 있는 통로의 벽에 대해 편향되어 질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커넥션에 사용되는 각 페루울이 상기 통로에 대해서 또한 이것에 접속될 페루울의 통로의 어떤 편심 방향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위로 그것의 연관된 통로내에 광섬유 단부를 가진다는 것이다. 상기 방위는 내부에 광섬유 단부를 고정시키기 전에 페루울 통로의 편심 방향을 결정하므로서 예정될 수 있다. 또한, 각 광섬유 단부는 그것이 배열되는(제8도에 도시) 통로의 짧은 측부를 향하여 편향되어 질 수도 있다. 각 섬유는 그것이 장방형 통로의 동일한 짧은 측부(39)를 향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편향되도록 종단된다.
상기 두 개의 장치(30)-(30)는 그들의 축(36)-(36)이 동축이 되도록 지지된다. 상기 탭(43)-(43)이 정렬되고 통로내의 섬유가 정렬된다면, 소광율 저하와 전송 손실은 최소화된다. 만약 상기 탭(43)-(43)이 정렬된다면, 상기 두 장치의 통로(41)-(41)는 그 내부의 광섬유 단부가 정렬되게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각 커넥터 본체(42)-(42)와 페루울(40)-(40)은 일반적으로 번호(60)(제6도에 도시)으로 지정된 커플링내에 수용되도록 적용된다. 커플링(60)은 길이방향 연장 슬롯(67)을 포함하는 각 단부와 함께 단부(64), (66)를 가진 관형 부재(62)를 포함한다. 커넥터(20)가 패널 설치 가능하도록, 커플링(60)은 나삿니 모양으로 형성되고 패널내의 구멍(도시안됨)속으로 삽입되도록 적응되는 중심부(68)를 포함한다. 또한, 커플링(60)의 각 단부(64), (66)에는 그 단부에서 슬롯(67)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위치된 조립체 핀(73)-(73)이 포함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 4,738,507호 및 제 4,738,508호를 보라.
제6도에 도시된 커넥터(50)의 조립에 있어서, 설치자는 커플링(60)을 패널 설치하거나 또는 종단 장치(30)-(30)를 수용하도록 그것을 위치시킨다. 커플링(60)내에 장착된 것은 슬리브(sleeve : 75)이다. 상기 슬리브(75)는 그것의 벽을 통하여 길이방향의 슬릿이 제공되고 또한 종단 장치(30)-(30)의 페루울(40)-(40)을 수용하도록 적응되며 또한 플러그의 외면을 정렬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슬리브(75)는 페루울이 커플링내에 삽입될 때 페루울(40)의 약간의 운동을 허용하기 위하여 부유되도록 커플링(60)내에 배열된다. 또한, 슬리브(75)는 그 내부에 장착되는 페루울(40)-(40)의 길이방향 축(36)이 동축이 되게 한다.
커넥터(50)의 조립시 설치자는 종단 장치(30)의 길이방향 연장 슬롯(55)내에 수용되는 커플링의 핀(73)을 가지고 종단 장치(30)-(30)중의 하나의 페루울(40)을 슬리브(75)내로 삽입시킨다. 동시에, 설치자는 하나의 종단 장치(30)의 커넥터 본체(42)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탭(43)이 커플링(60)의 길이방향 슬롯(67)내에 수용되게 한다. 페루울(40)의 운동은 상기 탭(43)이 슬롯(67)을 정의하는 벽의 내단부와 결합될 때 멈춘다. 스프링(44)의 바이어스에 대한 하우징(45)의 계속되는 운동은 하우징이 커넥터 본체에 겹쳐지게 한다. 커플링(60)의 한 단부에 있는 핀(73)이 길이방향 연장 슬롯(55)의 내단부에 도달할 때, 작동자는 하우징(45)을 회전시켜 핀(73)이 래칭부(58)(제6도에 도시) 뒤의 원주방향 연장 슬롯(57)내에 위치되고 고정되도록 한다. 하우징(45)이 플러그(40) 및 이것과 관련된 커넥터 본체(42) 주위를 자유롭게 회전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것은 커넥터 본체(42)와 독립적으로 회전되는 하우징(45)이 핀(73)으로 하여금 래칭부(58) 뒤에 배열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러한 공정후에, 설치자는 다른 종단 장치(30)에 대해서 상기 공정을 반복하여 그것의 페루울(40)이 고정되지 않은 슬리브(75)내에 수용되도록 하게 한다. 커플링(60)과 종단 장치(30)-(30)의 결합구조는 상기 페루울(40)-(40)이 고정되지 않은 슬리브(75)내에 수용되고 탭(43)-(43)이 커플링(60)의 슬롯(67)-(67)내의 바닥에 닿을 때, 페루울(40)-(40)의 단면이 서로 접하게 될 수 있다. 또한, 탭(43)-(43)이 정렬되면, 광섬유 단부의 편광축이 페루울 통로에 대해서 동일한 소정의 방위를 가진다. 결과적으로, 커넥터(50)를 통한 전송 손실 및 소광율 저하는 최소화된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페루울은 미합중국 특허 제 4,691,986호에 청구된 예비 정렬 회전 접합 커넥터의 페루울인데, 이것은 본원에서 참조된다. 커넥터에 사용될 페루울은 장방형 통로(92)(제9도에 도시)를 가지는 일정 길이의 관형 스톡(90)의 인접한 부분으로부터 형성된다.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 세그먼트의 인접 단면이 이후에 식별될 수 있도록 마아킹(94), (96), (98)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관형 스톡은 라인(100) 또는 홈(101)(제9도)과 같은, 스톡의 길이 방향 축(102)에 평행 연장되는 인접한 페루울 사이의 각도 관계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라인(100) 또는 홈(101)은 세그먼트의 길이로 연장될 필요는 없다. 페루울 세그먼트는 세그먼트 사이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짧은 라인에 의하여 식별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라인은 인접한 페루울 세그먼트의 인접한 단부를 식별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원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페루울 세그먼트가 당겨진 유리이더라도,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관형스톡은 세라믹, 플라스틱 혹은 금속을 포함하는 어떤 적합한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고 당김이 아닌 다른 공정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관형 스톡에서 인접하게 위치된 두 개의 페루울 세그먼트(104), (106)(제9도에 도시)는 커넥터용으로 사용된다. 또한 광섬유가 종단되는 페루울 세그먼트의 단면이 관형 스톡으로부터 페루울 세그먼트의 분리 전에 인접하였던 것이 되도록 주의해야 한다. 상기 페루울 세그먼트상의 회전 마아킹은 종단 후에 페루울의 회전 정렬을 허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 마아킹 수단은 통로의 긴 평행 측부에 수직이고, 따라서 편광 유지 섬유 외부 클래딩의 긴 측부와 또한 이것의 한 편광축에 수직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두 섬유의 편광 유지축은 정렬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는 제10도 내지 제14도를 참조해 설명될 것이다. 여기서 예를 들어, 두 개의 페루울 세그먼트(111)-(111)를 포함하는, 당김 유리와 같은 관형 스톡 재료의 길이부(110)는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하우징(112)(제10도에 도시)에 의하여 각각의 그 단부에서 종단된다. 예비성형은 중앙면 주위에 형성되는 원주변 V형 홈(113)을 가진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하우징(112)은 스톡 길이부(110)의 단부(115)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114)(제11도) 및 소구경부(116)를 포함한다. 상기 소구경부(116)는 확대 통로(121)로부터 가늘어지는 전이부(119)와 이어져 있는 통로(118)를 포함한다. 확대 통로(121)는 종단된 버퍼있는 광섬유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적용되고, 이것의 단부로부터 상기 버퍼 층은 광섬유의 단부를 노출시키도록 제거된다. 상기 버퍼있는 광섬유가 확대 통로(121)내에 수용될 때, 광섬유의 노출부는 전이부 섹션(119) 및 통로(118)를 통하여 페루울 세그먼트(111)의 실질적인 장방형 통로(122)(제12도)내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2)은 탭(126)이 제공된 확대부(124)를 포함한다. 스톡 길이부(110)의 단부상으로 하우징(112)-(112)의 조립동안, 상기 하우징은 회전되어 탭이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게 한다.
각 탭(126)은 소정의 방법으로 연관된 세그먼트에 부착된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 탭(126)은 탭이 통로의 장방형 형태의 긴 측부에 수직이 되도록 세그먼트에 부착된다. 결과적으로, 코팅없는 광섬유(20)의 단부가 통로내에 배열될 때, 탭(126)은 외부 클래딩 층의 하이브리드 형태의 평행 측부에 수직이 되므로 광섬유의 편광축중의 하나에 수직이 될 것이다.
각각의 소구경부(116)의 자유 단부상에 칼라(128)가 위치된다. 압축 스프링(129)은 하우징의 확대부와 칼라(128)사이의 소구경부(116) 주위에 동심으로 배열되며 하우징(112)의 립(lip : 125)을 스냅-록크(snap-lock)하도록 적용된다.
이후에, 그위에 장착된 하우징(112)-(112)을 가진 두 개의 마킹된 세그먼트(111)-(111)는 원주홈(113)을 따라 서로 분리되며 두 개의 광섬유(제13도에 도시)를 종단하는데 사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광섬유가 종단되는 단면이 페루울 세그먼트가 분리되지 않은 스톡부(제10도)였을 때 서로 인접하였던 것이 되도록 종단된다.
또한, 상기 종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섬유 단부가 통로의 편심 방향에 관하여 소정의 방위로 연관된 플러그 통로내에 배열되도록 수행된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 광섬유의 단부는 그것의 연관된 페루울 세그먼트(111)의 통로(122)내로 삽입되고, 플러그가 내부에 장착된 하우징(112)의 탭(126)의 방향으로 편향되는데, 이것은 탭(126)을 통하여 페루울의 길이 방향 중심축으로부터 연장되는 방사 방향 라인을 따라서 페루울의 외측부를 향한 것이다. 또한, 각 섬유 단부는 이것이 섬유 단부(제8도에 도시)의 단면으로부터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의 동일한 짧은 측부를 향하여 편향되도록 위치된다.
본 발명의 장치는 페루울 세그먼트(111)의 통로내에 광섬유 단부를 위치시키는데 유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130)는 제14도에 도시된 것일 수 있고, 또한 이것은 다수의 섬유 단부를 연관된 페루울내의 통로에 관하여 동일 방위로 동시에 위치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하우징(112)-(112)내에 장착되고 또한 동일 길이부(110)로부터 인접한 쌍이었던 다수의 페루울 세그먼트(111)-(111)의 각각은 장치(30)의 네스트(nest)(132)내에 위치된다. 각 하우징에 딸려진 탭(126)가 그 내부에 수용되는 연관된 네스트의 키이웨이(keyway)(134)내에 수용되도록 각각이 위치된다.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네스트의 키이웨이(134)는 아래를 향한다.
이때에, 경화가능한 점착 재료가 각 페루울 통로내로 예를 들어, 주입기(도시안됨)에 의하여 주입된다. 이러한 점착제는 UV-경화가능한 것일 수 있다.
그후, 코팅(25)이 제거된 광섬유(20)의 단부는 장치(130)내에 유지된 페루울 세그먼트중의 하나로 삽입된다. 이러한 공정은 각 페루울에 점착제 및 통로내에 광섬유의 단부가 제공될 때까지 반복된다.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다수의 추축으로 장착된 와이어형 손잡이(138)-(138)가 제공된다. 각 손잡이(138)는 그것의 중앙부가 정렬된 네스트의 정렬된 광섬유 단부를 가로질러서 걸치도록 배열된다. 상기 손잡이는 로드(rod : 144)에 부착된 핀틀(142)-(142)로부터 지지된다. 노브(knob : 146)는 로드(144)의 단부에 부착된다. 상기 손잡이는 페루울 입구 부근의 다수의 광섬유에 맞물리도록 노브(146)의 회전에 의하여 동시에 축을 중심으로 이동되어지고 장방향 통로내의 광섬유 단부를 제8도에 도시된 통로의 최하위 긴 측부에 접촉하도록 더 이동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각 광섬유는 페루울 세그먼트의 하우징(112)의 외면상의 탭(126)의 방향으로 향한다는 것을 상기해야 한다. 또한, 상기 탭(126)이 광섬유의 외부 클래딩 층의 평행 측부에 수직이 된다는 것을 상기해야 한다. 각 페루울 세그먼트의 탭(126)이 페루울 세그먼트를 통하여 통로의 어떤 편심 방향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위이기 때문에, 페루울 세그먼트의 통로내의 광섬유 단부는, 동일한 관형 스톡의 또다른 페루울 세그먼트의 통로내의 광섬유 단부와 같이, 통로 편심에 관하여 동일한 방위에 있게 된다.
나중에, 각 광섬유는 연관된 통로(제8도에 도시)의 짧은 측부 중의 하나와 접촉 되도록 이동된다. 접속하는 다음 공정에서, 각 통로의 점착 재료는 경화된다. 손잡이(138)-(138)은 그들의 이동된 위치에 유지되고, 광섬유 단부를 통로의 최하위 부분으로 유지시킨다. 그리고 나서, 상기 장치(130)는 각 통로내의 점착 재료를 경화시키고 굳게 하기 위하여 UV 에너지와 같은 경화 방사에 노출된다. 결과적으로, 각 광섬유 단부는 상기 통로에 관하여 동일한 방위로 통로 내에 남아있게 된다.
광섬유가 페루울 통로내에 배열되고 탭(126)-(126)을 향하여 편향된다면, 상기 광섬유 각각은 페루울의 중심축에 관한 페루울 통로의 어떤 편심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위를 가진다는 것은 명백하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페루울 세그먼트가 분리전과 같이 서로 분리된 후에 서로에 대해서 동일한 회전 정렬을 가지기 때문에 편심 방향은 결정되지 않았다. 각각의 탭(126)은 그것의 페루울 통로의 어떤 편심에 관하여 어떤 방위에도 있을 수 있는데, 중요한 것은 두 개의 탭이 동일한 방위를 갖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광섬유 단부가 위치되는 통로에 관하여 광섬유 단부의 편심에 기여하는 편심 콤포넌트는 실질적으로 제거된다.
또한, 상기 장치(130)는 어떤 통로 편심을 갖지 않더라도 유용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통로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페루울 세그먼트는 상기 통로내의 각 광섬유가 상기 페루울 통로에 관하여 따라서 탭(126)에 관하여 동일한 방위를 가지도록 배열된다.
그리고나서, 상기 두 광섬유의 접합은 상기 두 개의 페루울 세그먼트를 적절한 정렬 장치내에 삽입시킴으로써 완성된다. 양호한 하나의 정렬 장치는 미합중국 특허 제 4,545,644호에 기술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 4,545,644호의 정렬 장치에 장착되는 동일한 관형 스톡으로부터 인접한 페루울 세그먼트의 사용을 포함하는 예비 정렬된 회전 접합법의 용도는 미합중국 특허 제 4,691,986호에 기술되어 있다.
전술한 미합중국 특허 제 4,545,644호와 제 4,691,986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복합-로드 정렬 장치(150)(제15도)는, 페루울이 상기 정렬 수단에 삽입된 후에 로드가 페루울과 접촉되도록 신축성 클립(158)내에 유지되는 3개의 원통형 정렬 로드(152), (154), (156)를 포함한다. 상기 정렬 로드는 세그먼트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열 팽창 계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렬 로드 (152), (154), (156)는 상기 정렬 장치(150)내에 유지된 두 개의 페루울 세그먼트(111)-(111)를 부가적으로 조율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상기 정렬 수단에 플러그를 삽입한 후에 섬유 단부 사이의 일정한 축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를 위한 설비는 종래 기술로서 공지되어 있고 여기서는 더 설명하지 않는다. 이러한 설비는 페루울 조립체 및 정렬 장치(150)가 삽입되는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구는 조립체의 삽입이 연관된 하우징을 향한 각 칼라의 이동과 연관된 스프링의 추가의 압축을 필요로 하도록 한다. 상기 축방향 관계는 페루울 단면이 서로 접촉 관계이거나 혹은 이들 사이에 있는 인덱스 매칭 재료로 이격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해야 한다.
스톡으로부터의 페루울 세그먼트(111)를 분리하기 전에 관형 스톡(90)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홈(101)(제9도에 도시)은 인접한 페루울 사이의 각도 관계를 확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홈은 시각적인 관찰없이 페루울의 회전 정렬을 용이하게 한다. 예를들면, 미합중국 특허 제 4,545,644호의 정렬 로드를 사용할 때, 제1페루울 세그먼트(111)는, 하나의 로드가 페루울의 홈을 따라 제1페루울과 접촉하도록, 정렬 로드 사이에 삽입된다. 제2페루울 세그먼트(111)가 삽입된 후에, 동일 정렬 로드가 홈을 따라 제2페루울과 접촉할 때까지 회전된다. 상기 후자의 정렬은 로드가 홈에 들어갈 때 발생하는 클릭에 의해 신호될 수 있다.
전술한 배열은 단지, 본 발명의 단순한 예시적 실시예임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에 존재하는 다른 배열들이 당업자에 의해 고안될 수 있다.

Claims (10)

  1. 편광 유지 섬유(polarization-maintaining fibers) 사이의 커넥션으로서, 페루울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연관된 통로와 페루울의 단면으로의 개구를 각각 가지는 제1및 제2페루울을 포함하는 커넥션에 있어서, 상기 커넥션은, 상기 각 통로가 연관된 페루울의 길이방향 축을 가로지르는 횡단면을 가지고 상기 횡단면은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인 직선 측부에 의해 정의되며, 상기 커넥션은, 각 편광 유지 광섬유가 상기 각각의 페루울의 통로에 배열된 단부를 각각 가지고, 상기 각 광섬유는, 길이방향 축을 가로지르는 횡단면으로, 광섬유의 단부가 내부에 배열되는 상기 페루울 통로의 실질적인 직선 측부 및 상기 각 광섬유의 수직 편광축들중의 하나에 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인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인 직선 측부에 의해 정의되는 외부 클래딩을 가지는, 두 개의 편광 유지 광섬유와, 상기 각 페루울과 연관되어 있는 마아킹 수단으로서, 상기 각 페루울의 통로내에 배열된 상기 섬유 단부의 외부 클래딩 층의 상기 실질적인 직선 측부에 관하여 소정의 방위로 배열된 마아킹 수단(marking means)과, 상기 페루울들의 마아킹 수단을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게 함으로써 하나의 섬유 단부의 편광축을 나머지 섬유 단부의 편광축과 정렬되도록 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1및 제2페루울을 유지하는 지지 수단(supporting means)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유지 섬유사이의 커넥션(connection).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및 제2페루울내의 통로는 상기 각 통로의 길이방향 축을 가로질러서 실질적으로 장방형의 횡단면을 각각 가지며, 상기 각 광섬유는 하이브리드(hybrid) 외부 형태를 가지는 외부 클래딩을 가지고, 상기 하이브리드 외부 형태는, 상기 각 광섬유의 편광축중의 하나가 상기 하이브리드 형태의 평행 측부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되도록, 길이방향 축을 가로지르는 횡단면으로 두 개의 단부와 두 개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측부에 의하여 정의되며, 상기 마아킹 수단은 상기 각 섬유의 통로내에 배열된 상기 각 섬유 단부의 하이브리드 형태의 상기 평행 측부에 관하여 소정의 방위로 배열되며,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페루울들의 상기 마아킹 수단이 길이방향으로 정렬되어 하나의 광섬유 단부의 편광축이 나머지 광섬유 단부의 편광축과 정렬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페루울들을 지지하는, 편광 유지 섬유사이의 접속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아킹 수단은 상기 광섬유 단부의 하이브리드 형태의 평행 측부에 수직인, 편광 유지 섬유사이의 커넥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페루울은 관형 스톡(tubular stock)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및 제2페루울에 사용되는 상기 스톡 세그먼트들은 상기 스톡의 인접한 부분이 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페루울이 되는 상기 스톡의 두 부분들의 인접한 단면은 상기 지지수단내에 유지되는 제1및 제2페루울의 인접한 자유 단면이 되고, 서로 분리되기 전의 상기 각 페루울은 하우징의 구멍내에 수용될 자유 단부를 가지고, 상기 하우징은 소구경부와 대구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페루울 세그먼트가 상기 하우징내에 장착될 때 그것의 연관된 페루울 세그먼트내의 통로와 함께 정렬되는 관통 통로를 가지며, 상기 각 하우징은 또한 상기 마아킹 수단으로써 탭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들은 상기 하우징들상의 탭들이 길이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상기 페루울 세그먼트에 조립되는, 편광 유지 섬유사이의 커넥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페루울내의 상기 각 통로의 횡단면은 상기 통로에 수용될 광섬유 단부의 횡단면으로 예상되는 최대 횡단면보다 더 크고, 상기 광섬유가 연관 통로에 관하여 소정의 방위로 편향되도록 상기 각 광섬유 단부는 상기 섬유의 연관된 통로내에 고정되는, 편광 유지 섬유사이의 커넥션.
  6. 또다른 편광 유지 광섬유에 접속되도록 적응되는 종단된 편광 유지 광섬유에 있어서, 외부 표면(outer surface)과, 광섬유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적응되고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인 직선 측부에 의하여 정의되는 페루울의 길이방향 축을 가로지르는 횡단면을 가지는 통로를 가진 페루울과, 상기 통로에 관하여 소정의 방위로 상기 페루울의 통로내에 배열된 단부를 가지는 편광 유지 광섬유로서, 상기 각 광섬유는 상기 페루울의 길이방향 축을 가로지르는 횡단면을 가진 외부 클래딩 층을 가지고, 상기 횡단면은 상기 통로내에 배열된 광섬유 단부의 편광축중의 하나가 외부 클래딩 층의 실질적인 직선 측부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인 직선 측부에 의해 정의되는, 편광 유지 광섬유와, 상기 페루울과 연관되어 있는 수단으로서, 상기 편광 유지 광섬유와 또다른 종단된 편광 유지 광섬유의 정렬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통로의 횡단면의 실질적인 직선 측부 및 상기 광섬유의 외부 클래딩 층의 횡단면의 실질적인 직선 측부에 관하여 소정의 방위를 가지는 수단을 포함하는 종단된 편광 유지 광섬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페루울은 외부 표면과, 적어도 페루울의 일부분을 통하여 상기 페루울의 길이방향 축을 가로질러서 실질적으로 장방형의 횡단면을 가지는 통로를 가지고, 상기 통로는 광섬유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적응되고, 상기 통로는 상기 통로내에 수용될 광섬유의 횡단면보다 더 큰, 페루울의 길이방향 축을 가로지르는 횡단면을 가지며, 편광 유지 광섬유는 상기 페루울의 길이방향 축을 가로지르는 하이브리드 횡단면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외부 클래딩 층을 가지고, 상기 통로내에 배열된 광섬유 단부의 편광축 중의 하나가 상기 하이브리드 형태의 평행 측부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하이브리드 횡단면은 두 개의 단부와 두 개의 실질적인 평행 측부에 의해 정의되는, 종단된 편광 유지 광섬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종단된 편광 유지 광섬유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페루울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은 그 상부에 마아킹을 포함하고, 상기 광섬유 단부는 상기 마아킹을 통하여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상기 페루울의 통로내에 배열되고, 상기 마아킹은 편광 유지 광섬유의 하이브리드 횡단면의 평행 측부에 수직인 탭을 포함하는, 종단된 편광 유지 광섬유.
  9. 편광 유지 광섬유를 접속하는 방법에 있어서, 페루울을 관통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로를 가지는 제1페루울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통로는 편광 유지 광섬유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적응되고 실질적으로 장방형의 형태인 횡단면을 가지는, 제1페루울을 제공하는 단계와, 페루울을 관통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로를 가지는 제2페루울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통로는 편광 유지 광섬유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적응되고 실질적으로 장방형의 형태인 횡단면을 가지는, 제2페루울을 제공하는 단계와, 하이브리드 횡단면을 가지는 외부 클래딩을 포함하는 편광 유지 광섬유의 단부를 상기 제1페루울의 통로내에 삽입하고 하이브리드 횡단면을 가지는 외부 클래딩을 포함하는 또다른 편광 유지 광섬유의 단부를 상기 제2페루울의 통로내에 상비하는 단계로서, 각 섬유의 편광축중의 하나가 상기 하이브리드 형태의 평행 측부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되도록, 각 광섬유의 하이브리드 횡단면은 두 개의 단부와 두 개의 실질적인 평행 측부에 의하여 정의되는, 편광 유지 광섬유의 단부를 페루울의 통로내에 삽입하는 단계와, 각 페루울과 연관되어 있고, 페루울내에 배열된 광섬유 단부의 외부 클래딩 층의 평행 측부에 관하여 소정의 방위로 배열된 마아킹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페루울들과 연관된 마아킹을 길이방향으로 정렬시켜 한 섬유의 편광축이 나머지 섬유의 편광축과 정렬되도록 상기 페루울들을 지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 유지 광섬유 접속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각 광섬유는 일정 길이의 스톡 재료로부터 제공된 페루울의 통로내에 고정되고, 상기 일정 길이의 스톡 재료로부터 분리되기 전의 상기 일정 길이의 스톡 재료의 페루울 세그먼트들의 인접한 단면들이, 상기 페루울들의 각 통로의 편심 방향이 동일한 방사상의 방향에 있도록, 광섬유들의 종단후 인접한 단면들이 되고, 페루울내의 광섬유의 종단은 각 광섬유가 연관된 통로의 편심 방향으로 편향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일정 길이의 스톡 재료로부터 분리되기 전에, 각 페루울의 자유 단부는 탭을 포함하는 하우징에 조립되고 상기 조립은 상기 탭들이 길이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이루어지는, 편광 유지 광섬유 접속 방법.
KR1019900001282A 1989-02-03 1990-02-03 편광 유지 광섬유의 기계적인 접속장치 및 방법 KR1002114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306,414 US4919509A (en) 1989-02-03 1989-02-03 Mechanical connection for polarization-maintaining optical fiber and methods of making
US306414 1989-0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3325A KR900013325A (ko) 1990-09-05
KR100211408B1 true KR100211408B1 (ko) 1999-08-02

Family

ID=23185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1282A KR100211408B1 (ko) 1989-02-03 1990-02-03 편광 유지 광섬유의 기계적인 접속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919509A (ko)
EP (1) EP0381513B1 (ko)
JP (1) JPH02240611A (ko)
KR (1) KR100211408B1 (ko)
CA (1) CA2009119C (ko)
DE (1) DE69022258T2 (ko)
DK (1) DK0381513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19699B1 (en) * 1989-09-27 1995-02-15 Hewlett-Packard GmbH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fibre connector
FR2678393B1 (fr) * 1991-06-28 1995-02-10 Cit Alcatel Dispositif a fibre optique transversalement anisotrop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US5282466A (en) * 1991-10-03 1994-02-01 Medtronic, Inc. System for disabling oximeter in presence of ambient light
US5245683A (en) * 1992-08-21 1993-09-14 Molex Incorporated Board mounted fiber optic connector
US5414785A (en) * 1993-09-13 1995-05-09 At&T Corp. Optical data bus having collision detection capability
US5432880A (en) * 1994-03-17 1995-07-11 At&T Corp. Angled optical connector ferrule
JP2996602B2 (ja) * 1995-01-31 2000-01-11 株式会社精工技研 定偏波光ファイバ用光分岐結合器
JPH08220374A (ja) * 1995-02-14 1996-08-30 Hitachi Cable Ltd 光ファイバと光導波路との接続構造
US6264372B1 (en) 1998-01-08 2001-07-24 Pirelli Cavi E Sistemi S.P.A. Polarization-maintaining connector
AU742841B2 (en) * 1998-01-08 2002-01-10 Corning O.T.I. S.P.A. Polarization-maintaining connector
US6206579B1 (en) * 1998-10-29 2001-03-27 Amphenol Corporation Arrangement for integrating a rectangular fiber optic connector into a cylindrical connector
US6464402B1 (en) * 1999-07-28 2002-10-15 Fitel Usa Corp. Optical fiber connector tuning index tool
JP2001272575A (ja) * 2000-01-17 2001-10-05 Seiko Instruments Inc フェルール及び光コネクタ
FR2821933B1 (fr) * 2001-03-07 2004-05-28 Teem Photonics Element de maintien et d'indexation d'une structure guidante asymetrique, et son utilisation pour la connexion de la structure a un composant d'optique integree
AU2003281002B2 (en) 2002-07-16 2008-05-22 Tyco Electronics Raychem Nv Device for cleaving an optical fibre
US6859584B2 (en) * 2002-12-31 2005-02-22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bonding in athermal optical fiber packages
US7011454B2 (en) * 2003-08-25 2006-03-14 Panduit Corp. Reversible fiber optic stub fiber connector
FR2874294B1 (fr) * 2004-08-16 2007-06-22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Systeme de transmission optique par fibres a maintien de polarisation
US7346256B2 (en) * 2004-11-04 2008-03-18 Panduit Corp. Re-terminable LC connector assembly and cam termination tool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60248A (en) * 1978-06-09 1979-12-1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Connector for optical fibers
JPS56150909U (ko) * 1980-04-10 1981-11-12
JPS59176714A (ja) * 1983-03-26 1984-10-06 Nec Corp 偏波面保存光フアイバ接続用コネクタ
JPS6045206A (ja) * 1983-06-17 1985-03-11 Nec Corp 偏波面保存光ファイバ接続用コネクタの取り付け方法
JPS60196706A (ja) * 1984-03-21 1985-10-0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光フアイバの接続方法
NL8401782A (nl) * 1984-06-04 1986-01-02 Jan Willem Bins Therapeutisch preparaat met ammoniumnitraat als werkzame stof.
US4691986A (en) * 1985-11-08 1987-09-08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At&T Bell Laboratories Aligned plug optical fiber connector with "contiguous" plugs, and method for using same
US4762387A (en) * 1986-02-21 1988-08-09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At&T Bell Laboratories Array connector for optical fib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0381513T3 (da) 1995-11-06
KR900013325A (ko) 1990-09-05
JPH0561609B2 (ko) 1993-09-06
JPH02240611A (ja) 1990-09-25
US4919509A (en) 1990-04-24
CA2009119A1 (en) 1990-08-03
DE69022258D1 (de) 1995-10-19
EP0381513B1 (en) 1995-09-13
EP0381513A2 (en) 1990-08-08
CA2009119C (en) 1995-02-14
EP0381513A3 (en) 1991-04-10
DE69022258T2 (de) 1996-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1408B1 (ko) 편광 유지 광섬유의 기계적인 접속장치 및 방법
KR0133559B1 (ko) 광섬유 접속기 및 제조방법
US9568685B2 (en) Connectorization techniques for polarization-maintaining and multicore optical fiber cables
US6328479B1 (en) Multi-terminator optical interconnect system
US8858089B2 (en) Single-fiber connectors for optical fiber cables
US20110229085A1 (en) Simplex connectors for multicore optical fiber cables
US20110142402A1 (en) Optical fi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nd part processing method of optical fiber and optical fiber with ferrule
EP3734339B1 (en) Optical connector and optical connection structure
KR860009312A (ko) 광섬유 접속기 및 제조방법
US11275217B2 (en) Field installable fiber optic connector with crimp zones for unjacketed optical fibers
US11543599B2 (en) Ferrules including keying features and fiber optic junctions including the same
CN112255740A (zh) 一种多芯光纤连接器及其制造方法
US20210041637A1 (en) Optical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1474303B2 (en) Optical connector ferrule, sleev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errule member
WO2023175865A1 (ja) 円筒多心フェルール及び光コネクタ
Miller Optical Fiber Splicing
US20240061188A1 (en) Cylindrical multi-core ferrule and optical connector
US20230086950A1 (en) Splice-on optical connectors for multicore fibers
US20240192451A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optical connector
US20240157498A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optical connector
US20230176300A1 (en) Optical fiber bundle structure, optical connection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ptical fiber bundle
JP2024017273A (ja) 光ファイババンドルコネクタ、及び、光ファイババンドルコネクタの製造方法
KR100421429B1 (ko) 다심광섬유 분기형 광코드
JP2024022875A (ja) 光ファイババンドル構造の製造方法、光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光ファイババンドル構造、及び、光接続構造体
KR19990020828A (ko) 광화이버 접속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