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1429B1 - 다심광섬유 분기형 광코드 - Google Patents

다심광섬유 분기형 광코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1429B1
KR100421429B1 KR10-2002-0023779A KR20020023779A KR100421429B1 KR 100421429 B1 KR100421429 B1 KR 100421429B1 KR 20020023779 A KR20020023779 A KR 20020023779A KR 100421429 B1 KR100421429 B1 KR 100421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tube
branched
fiber
metal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3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5375A (ko
Inventor
전용한
정명조
서기원
한종수
Original Assignee
노바옵틱스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바옵틱스 (주) filed Critical 노바옵틱스 (주)
Priority to KR10-2002-0023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1429B1/ko
Publication of KR20030085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5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1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14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79Manufacturing methods of optical cables
    • G02B6/4486Protective covering
    • G02B6/4488Protective covering using metallic tub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03Optical cables with ribbon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1Optical cables built up from sub-bund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29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 G02B6/443Protective cove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al Fibers, Optical Fiber Cores, And Optical Fiber Bund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본형 다심광섬유를 다수의 단심광섬유로 분기시키는 다심광섬유 분기형 광코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통형 금속튜브의 중심부에 리본형 다심광섬유와 이로부터 분기된 다수의 단심광섬유를 감쌀 수 있도록 그루브가 형성된 수정튜브를 설치함으로써 금속튜브의 열적 변형에 의한 응력으로부터 광섬유를 보호할 수 있는 다심광섬유 분기형 광코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심광섬유 분기형 광코드는 원통형 금속튜브와 상기 금속튜브의 양측에 결합되어 광섬유에 구부림응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두 개의 고무부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심광섬유 분기형 광코드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금속튜브의 내부에 위치되며 리본형 다심광섬유와 이로부터 분리된 다수의 단심광섬유가 안치될 수 있도록 그루브가 형성된 수정튜브와; 상기 리본형 다심광섬유와 상기 다수의 분기된 단심광섬유를 상기 수정튜브에 고정시킴과 아울러 상기 수정튜브를 상기 금속튜브에 고정시키는 에폭시수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심광섬유 분기형 광코드{Fanout cord}
본 발명은 리본형 다심광섬유를 다수의 단심광섬유로 분기시키는 다심광섬유 분기형 광코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통형 금속튜브의 중심부에 리본형 다심광섬유와 이로부터 분기된 다수의 단심광섬유를 감쌀 수 있도록 그루브가 형성된 수정튜브를 설치함으로써 금속튜브의 열적 변형에 의한 응력으로부터 광섬유를 보호할 수 있는 다심광섬유 분기형 광코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통신은 유리로 이루어진 광섬유에 빛을 전송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의 전파나 자기장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정보의 전송상태가 양호하고 전기 통신에 비해 전송속도가 빠른 장점을 가지고 있어 사용량이 급증하고 있다. 이와 같은 광통신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대용량의 선로가 요구되므로 최근에는 다수의 단심광섬유를 띠형상으로 배치시킨 리본형 다심광섬유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옥내로 인입된 리본형 다심광섬유를 시스템이나 설비에 접속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리본형 다심광섬유의 피복을 벗겨내 다수의 단심광섬유로 분기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리본형 다심광섬유의 단부에 설치되어 다수의 단심광섬유를 안전하게 분기시키는 것이 다심광섬유 분기형 광코드이며,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다심광섬유 분기형 광코드의 일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크게 원통형 플라스틱 튜브나 금속튜브(Sus tube)로 이루어진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양단에 설치되어 리본형 다심광섬유(30)와 분기된 단심광섬유(50)에 구부림응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고무부트(Rubber boot)(12)(14)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다심광섬유 분기형 광코드(100)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횡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리본형 다심광섬유(30)의 피복을 벗겨 분리시킨 다수의 단심광섬유(50)와, 상기 리본형 다심광섬유(30)와 분기된 다수의 단심광섬유(50)를 원통형 하우징(10)의 중심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의 공간부에 일체로 고정시키는 에폭시수지(7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원통형 하우징(10)으로 이루어진 다심광섬유 분리형 광코드(100)는 비교적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소형 제작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플라스틱 튜브로 이루어진 하우징(10)은 플라스틱 자체의 열적 및 기계적 특성으로 악조건하에서 쉽게 변형되는 문제가 있으며, 금속튜브를 원통형 하우징(10)으로 사용하면 그 자체의 기계적 특성은 양호하게 되나 도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조건에 따라 상기 금속튜브가 열적으로 변형될 경우 그 변위에 따른 응력(Stress)이 에폭시수지(70)를 통해 광섬유에 그대로 전달되어 광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다심광섬유 분기형 광코드(100)는 분리된 단심광섬유(50)를 보호하기 위해 플렉시블 튜브(80)를 삽입하여 고정시키게 되는데, 이때 플렉시블 튜브(80)가 끼워진 다수의 단심광섬유(50)를 부채꼴이나 방사상으로 배열시킨 상태에서 하우징(10)의 공간부에 에폭시수지를 주입하여 경화시키는 것이므로 주입된 에폭시수지에 의해 단심광섬유(50)의 정렬이 흐트러지거나 단심광섬유(50)가 서로 엉켜 단심광섬유(50)가 파단되어 광손실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다심광섬유 분기형 광코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금속튜브를 하우징으로 사용하되 금속튜브의 열적변위에 의해 발생되는 응력이 광섬유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금속튜브의 중심부에 리본형 다심광섬유와 분기된 단심광섬유가 안치될 수 있도록 그루브가 형성된 수정튜브를 더 설치함으로써 악조건하에서도 광손실이 발생하지 않는 다심광섬유 분기형 광코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플렉시블 튜브를 에폭시수지를 이용하여 미리 부채꼴이나 방사상으로 정렬하여 플렉시블 튜브다발을 만듬으로써 제조공정을 용이하게 하고 분기된 다수의 단심광섬유가 서로 엉키거나 접촉되어 파단되거나 광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심광섬유 분기형 광코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다심광섬유 분기형 광코드의 일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다심광섬유 분기형 광코드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다심광섬유 분기형 광코드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심광섬유 분기형 광코드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심광섬유 분기형 광코드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심광섬유 분기형 광코드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정튜브 및 수정튜브에 형성된 그루브의 형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8a 내지 도8e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튜브다발의 제조공정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원통형 하우징 12, 14 : 고무부트
20 : 금속튜브 30 : 리본형 다심광섬유
50 : 단심광섬유 60 : 수정튜브
65 : 그루브 70, 85 : 에폭시수지
80 : 플렉시블 튜브 90 : 플렉시블 튜브다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다심광섬유 분기형 광코드는원통형 금속튜브와 상기 금속튜브의 양측에 결합되어 광섬유에 구부림응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두 개의 고무부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심광섬유 분기형 광코드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금속튜브의 내부에 위치되며 리본형 다심광섬유와 이로부터 분리된 다수의 단심광섬유가 안치될 수 있도록 그루브가 형성된 수정튜브와;
상기 리본형 다심광섬유와 상기 다수의 분기된 단심광섬유를 상기 수정튜브에 고정시킴과 아울러 상기 수정튜브를 상기 금속튜브에 고정시키는 에폭시수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정튜브는 상기 금속튜브의 내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금속튜브와 수정튜브 사이에 소정 두께의 에폭시수지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정튜브에 형성된 그루브는 사각형, 삼각형 또는 원형 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분기된 단심광섬유가 삽입되는 플렉시블 튜브는 부채꼴이나 방사상으로 정열된 다수의 플렉시블 튜브를 에폭시수지로 고정시켜 하나의 플렉시블 튜브다발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심광섬유 분기형 광코드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심광섬유 분기형 광코드(1)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종래 기술에 따른 다심광섬유 분기형 광코드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므로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다심광섬유 분기형 광코드(1)는 크게 원통형 금속튜브(20)와, 상기 금속튜브(20)의 양단에 삽입되어 광섬유를 보호하는 두 개의 고무부트(12)(1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무부트(12)(14)에는 리본형 다심광섬유(30) 또는 다수의 단심광섬유(50)가 유통될 수 있는 관통공(15)이 형성된다.
이어 도5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심광섬유 분기형 광코드(1)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횡단면도와 종단면도로서, 상기 원통형 금속튜브(20)의 중심부에는 리본형 다심광섬유(30)와 이로부터 분리된 다수의 단심광섬유(50) 또는 단심광섬유(50)가 삽입된 플렉시블 튜브다발(90)이 안치될 수 있는 소정의 그루브(Groove)(65)가 형성된 수정튜브(Quartz tube)(60)가 설치된다. 즉,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정튜브(60)의 상부에는 리본형 다심광섬유(30)와 분기된 단심광섬유(50)가 안치될 수 있는 그루브(65)가 형성되어 있고 그 주위로 에폭시수지(Epoxy)(70)가 충진되어 있어 이들을 일체로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수정튜브(60)와 금속튜브(20)사이에도 에폭시수지(70)가 충진되어 상기 수정튜브(60)는 금속튜브(20)의 내면으로 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광섬유를 수정튜브(60)로 감싸 줌으로써 금속튜브(20)의 열적 수축에 의한 응력이 광섬유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정튜브(60)에 형성되는 그루브(65)는 도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리본형 다심광섬유(30)와 다수의 단심광섬유(50)가 안치될 수 있으며 금속튜브(20)의 응력을 차단할 수 있는 형태이면 사각형, 삼각형, 원형 등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수정튜브(60)의 단면은 금속튜브(20)와 동일하게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도8 a 내지 8e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튜브다발(90)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설명도로서, 먼저 도8a는 선단이 사선방향으로 절단된 플렉시블 튜브(80)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8b는 플렉시블 튜브(80)의 경사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다수의 플렉시블 튜브(80)의 쌍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리고 도8c는 다수의 플렉시블 튜브(80)를 부채꼴이나 방사상으로 모은 다음 각 플렉시블 튜브(80)가 서로 접촉되지 않는 지점을 에폭시수지(85)로 고정시킨 것이다. 이어 도8d 및 도8e는 부채꼴이나 방사상으로 고정된 플렉시블 튜브(80)의 단부를 절단하여 만들어진 플렉시블 튜브다발(90)을 보여주는 것이다. 한편, 상기 플렉시블 튜브다발(90)를 제조할 때 상기 에폭시수지(85)에 의해 플렉시블 튜브(80)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철선을 미리 상기 플렉시블 튜브(80)에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튜브다발(90)은 단심광섬유(50)가 삽입되기 전에 미리 부채꼴이나 방사상으로 정렬되어 에폭시수지로 고정되기 때문에 단심광섬유(50)를 수정튜브(60)에 고정시킬 때 단심광섬유(50)의 정렬이 용이하고 단심광섬유(50)가 서로 엉키거나 접촉되어 파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심광섬유 분기형 광코드(1)의 제조공정을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옥내로 인입된 리본형 다심광섬유(30)의 단부에 인입측 고무부트(12)와 원통형 금속튜브(10)를 끼우고 소정 길이의 피복을 벗겨내어 다수의 단심광섬유(50)를 분리시킨다. 이어, 상기 다수의 단심광섬유(50)를 플렉시블 튜브다발(90)의 각 플렉시블 튜브(80)에 삽입한 다음 인출측 고무부트(14)를 끼운다. 그런 다음 리본형 다심광섬유(30)로부터 다수의 단심광섬유(50)가 분기되는 지점이 수정튜브(60)의 단부 가까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리본형 다심광섬유(30)를 안치시킨다. 이때 플렉시블 튜브다발(90)에 형성된 에폭시수지(85)부가 상기 그루브(65)내에 안치되도록 함으로써 단심광섬유(50)의 정렬을 용이하게 한다. 이어서 상기 수정튜브(60)의 그루브(65)내에 에폭시수지(70)를 충진시켜 경화시킴으로써 이들을 일체로 고정시킨다. 그리고 리본형 다심광섬유(30)와 분기된 단심광섬유(50)가 고정된 수정튜브(60)를 금속튜브(20)의 중심부에 위치되도록 하면서 금속튜브(20)의 공간부에 에폭시수지를 주입하여 상기 수정튜브(60)와 금속튜브(20)를 일체로 고정시키다. 그리고 상기 금속튜브(20)의 양단에 고무부트(12)(14)를 끼워넣은 후 끝으로 상기 단심광섬유(50)의 선단에 커넥터(18) 등을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다심광섬유 분기형 광코드(1)가 완성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심광섬유 분기형 광코드는 금속튜브의 열적변위에 의해 발생되는 응력이 광섬유에 전달되지 않도록 금속튜브의 중심부에 리본형 다심광섬유와 분기된 단심광섬유가 안치될 수 있도록 그루브가 형성된 수정튜브를 더 설치함으로써 어떠한 악조건하에서도 광손실이 발생하지 않아 보다 양호한 전송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플렉시블 튜브를 에폭시수지를 이용하여 사전에 부채꼴이나 방사상으로 정렬하여 플렉시블 튜브다발을 만들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용이하고 분기된 다수의 단심광섬유가 서로 엉키거나 접촉되어 파단되거나 광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원통형 금속튜브와 상기 금속튜브의 양측에 결합되어 광섬유에 구부림응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두 개의 고무부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심광섬유 분기형 광코드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금속튜브의 내부에 위치되며 리본형 다심광섬유와 이로부터 분기된 다수의 단심광섬유가 안치될 수 있도록 그루브가 형성된 수정튜브와;
    상기 리본형 다심광섬유와 상기 다수의 분기된 단심광섬유를 상기 수정튜브에 일체로 고정시킴과 아울러 상기 수정튜브를 상기 금속튜브에 고정시키는 에폭시수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심광섬유 분기형 광코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튜브는 상기 금속튜브의 내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금속튜브와 수정튜브 사이에 소정 두께의 에폭시수지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심광섬유 분기형 광코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튜브는 원형이며 상기 수정튜브에 형성된 그루브는 리본형 다심광섬유 및 분기된 단심광섬유가 안치될 수 있고 금속튜브에서 발생된 응력을 차단할 수 있도록 사각형, 삼각형 또는 원형등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심광섬유 분기형 광코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본형 다심광섬유로부터 분기된 다수의 단심광섬유는 다수의 플렉시블 튜브가 부채꼴이나 방사상으로 정열되어 에폭시수지로 고정된 플렉시블 튜브다발의 플렉시블 튜브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심광섬유 분기형 광코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튜브다발은 선단부가 사선으로 절단된 플렉시블 튜브의 경사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열시킨 플렉시블 튜브쌍을 이용하여 부채꼴이나 방사상을 형성하고 각 플렉시블 튜브가 서로 접촉하지 않는 지점을 에폭시수지로 고정시킨 다음 그 전방을 절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심광섬유 분기형 광코드.
KR10-2002-0023779A 2002-04-30 2002-04-30 다심광섬유 분기형 광코드 KR100421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3779A KR100421429B1 (ko) 2002-04-30 2002-04-30 다심광섬유 분기형 광코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3779A KR100421429B1 (ko) 2002-04-30 2002-04-30 다심광섬유 분기형 광코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5375A KR20030085375A (ko) 2003-11-05
KR100421429B1 true KR100421429B1 (ko) 2004-03-09

Family

ID=32381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3779A KR100421429B1 (ko) 2002-04-30 2002-04-30 다심광섬유 분기형 광코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14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39859B (zh) * 2018-10-30 2024-05-10 深圳市中兴新地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多芯光器件的精准分纤与防护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7145A (ja) * 1996-01-23 1997-07-31 Tatsut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積層光ファイバテープコードおよび該コードからの単心変換構造
JPH11326692A (ja) * 1998-05-08 1999-11-26 Totoku Electric Co Ltd 光ファイバの接着固定方法および光ファイバコード
KR20000031486A (ko) * 1998-11-06 2000-06-05 윤종용 팬아웃 코드
JP2000162481A (ja) * 1998-11-25 2000-06-16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成端部の作成方法
KR20030019794A (ko) * 2001-08-31 2003-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팬아웃 블럭용 분기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7145A (ja) * 1996-01-23 1997-07-31 Tatsut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積層光ファイバテープコードおよび該コードからの単心変換構造
JPH11326692A (ja) * 1998-05-08 1999-11-26 Totoku Electric Co Ltd 光ファイバの接着固定方法および光ファイバコード
KR20000031486A (ko) * 1998-11-06 2000-06-05 윤종용 팬아웃 코드
JP2000162481A (ja) * 1998-11-25 2000-06-16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成端部の作成方法
KR20030019794A (ko) * 2001-08-31 2003-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팬아웃 블럭용 분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5375A (ko) 2003-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2805B2 (en) Methods for forming connectorized fiber optic cabling
US6764221B1 (en) Flexible, multi-fiber fiber optic jumper
US5611017A (en) Fiber optic ribbon cable with pre-installed locations for subsequent connectorization
US7054536B2 (en) Breakout assembly for flexible circuitry
JP6407360B2 (ja) 多心光コネクタ
KR100211408B1 (ko) 편광 유지 광섬유의 기계적인 접속장치 및 방법
JP2010211240A (ja) 複数の光ファイバーを有するデバイス
US20140079354A1 (en)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connector and optical connector
WO2017145454A1 (ja) 光ファイバ付光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11112568B2 (en) Connectorized fiber optic cabling assembly
KR20020038506A (ko) 광섬유 케이블의 분기방법
US10816326B2 (en) Polarization maintaining fiber array with increased polarization extinction ratio and method of making
KR100421429B1 (ko) 다심광섬유 분기형 광코드
US4647146A (en) Interconnection of optical fiber cables
CN113050223A (zh) 聚合物波导连接器及其制作方法、连接器组
JP3374508B2 (ja) 光ファイバアレイ
KR100290181B1 (ko) 리본형 다심광섬유 분리형 광코드
KR100441661B1 (ko) 팬아웃코드
KR100259267B1 (ko) 광화이버 접속자
KR200230008Y1 (ko) 리본형다심광섬유분리형커넥터
US20240036273A1 (en) Optical fiber bundle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ptical fiber bundle connector
US20230176300A1 (en) Optical fiber bundle structure, optical connection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ptical fiber bundle
KR100350483B1 (ko) 팬아웃 블럭
US20230305251A1 (en) Optical fiber cable and cable with connector
JPH1039147A (ja)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の分岐または多心/単心変換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