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1222B1 - 포접화합물을 함유한 부위특이적 방출성 제제 - Google Patents

포접화합물을 함유한 부위특이적 방출성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1222B1
KR100211222B1 KR1019970001338A KR19970001338A KR100211222B1 KR 100211222 B1 KR100211222 B1 KR 100211222B1 KR 1019970001338 A KR1019970001338 A KR 1019970001338A KR 19970001338 A KR19970001338 A KR 19970001338A KR 100211222 B1 KR100211222 B1 KR 100211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te
drug
specific release
specific
dru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1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8705A (ko
Inventor
이범진
Original Assignee
이범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범진 filed Critical 이범진
Priority to KR1019970001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1222B1/ko
Publication of KR970058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8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1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12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6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 A61K47/6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the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being a polysaccharide or a derivative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27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yrrolidone, poly(meth)acry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4Cellulose; Cellulose derivatives, e.g.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8Dragees; Coated pills or tablets, e.g. with film or compression coating
    • A61K9/2806Coating materials
    • A61K9/2833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84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yrrolidone
    • A61K9/2846Poly(meth)acryl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물의 용해도를 신속히 증가시키고 위장의 국소자극 및 염증의 유발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약물과 2-히드록시프로필

Description

포접화합물을 함유한 부위특이적 방출성 제제
본 발명은 특정부위까지는 형태가 변화하지 않고 특정흡수 부위(혹은 작용부위)에서 신속히 약물을 방출할 수 있는 부위특이적 방출성 제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히는 위장 장애가 있거나 국소독성이 강한 약물의 경우 포접화합물로 만들어 용해도를 증가시키고 고분자로 장용 코팅함으로써 소장 말단이나 대장등에서의 질환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제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많은 약물들이 위장 장애 등의 부작용 및 약물의 난용성등의 문제로 제한을 받고 있는데, 이런 약물들로는 대표적인 것으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설파제, 살리실산제제, 효소제 및 펩타이드류 등이 있다.
이들 약물중에서 특히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들은 급성 및 만성 진통제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위장 장애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들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중 빈번히 사용되는 약물로는 이부프로펜, 디클로페낙, 케토프로펜, 인도메타신, 아자프로파존, 피록시캄, 나프록센 등이 있으며 이중 피록시캄의 경우는 위장 장애등 부작용으로 판매가 중지될 위험에 있으며 나프록센 역시 낮은 용해도 및 위장 장애에 따른 국소 조직의 염증 유발 등의 큰 문제점을 안고 있다. 나프록센의 경우 단순히 분말을 부형제와 함께 캡슐에 충전시키거나 부형제의 양을 최소화시키거나 장용피 코팅을 시도하였지만 약물의 낮은 용해도로 인하여 여전히 위장장애, 궤양 및 출혈 등의 문제는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최근에, 에스피나 등은 나프록센과
Figure kpo00002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포접 화합물을 제조하였으며(Int. J. Pharm., 70, 35-41, 1991), 샨바그(J, Pharm. Sci., 81(2,149-154, 1992)와 타마라(Pharm. Rest., 10(8), 1191-1199, 1993) 등은 새로운 프로드럭의 합성을 보고한 바 있다.
한편 본 발명자는 여러 방법으로 제조된 나프록센 포접화합물의 방출양상을 인공위액과 인공장액에서 비교한 바 있다(Arch. Pharm. Res., 18(1), 1995).
그러나 이들 연구는 기초적인 약물동태에 관한 것으로 현재까지 보고된 포접 화합물은 단순히 생체 이용율의 증가, 장용성 제제 혹은 서방성 제제의 연구에 국한된 것으로서, 제제학적 관점에서 약물의 부작용을 경감하고 치료의 최적화란 면에서 특정 부위에서의 약물의 방출 및 흡수를 목적으로 하여 제제화된 예는 아직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장 장애 등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난용성 약물을 소장 말단이나 대장의 흡수 부위에서 신속히 용출시키는 제제의 개발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위에서 불안적하고 소장 말단이나 대장 등을 흡수부위로 갖는 약물에 있어 흡수 부위까지 안정하고 흡수 부위에서 급속히 용출되어 흡수되는 제제의 개발에 있다.
본 발명자는 약물을 2-히드록시프로필-
Figure kpo00003
-시클로덱스트린 같은 포접체로 포접화합물을 제조한 후 적당량의 붕해제와 혼합하여 코어를 제조하고 다시 고분자 물질로 장용 코팅한 제제가 위장등 국소 부위의 자극성 등 부작용이 감소되며 흡수부위에서 약물의 용해도 및 용출의 증가로 약물이 신속히 방출되어 치료효과를 최대화 한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적용될 수 있는 약물로는 나프록센, 이부프로펜 케토프로펜 등의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뿐 아니라 스클로덱스트린류와 포접이 가능하고 용해도 등 물리적 성질의 개선이 가능하고 국소 자극성이 문제되는 약물이면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기타 위에 불안정한 특성이 있는 등의 이유로 부위 특이적 방출을 목적으로 하는 약물들인 설파제, 살리실산제 스테로이드제, 효소제, 멜라토닌, 온단세트론(Ondansetron) 및 펩타이드류 등이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포접체는 시클로덱스트린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약물과의 사용비는 몰비로 0.5~2배 당량이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붕해제로는 크로스카멜로스 소디움, 소디움 스타치글리콜레이트, 미세결정 셀룰로오스 및 크로스포비돈이 바람직하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Ac-Di-Sol
Figure kpo00004
, 프리모젤(Primojel
Figure kpo00005
), 아비셀(Avicel
Figure kpo00006
), 폴리프라스돈(Polyplasdone
Figure kpo00007
)등이 사용되며 사용량은 제제 전체 중량의 2~10%정도이다.
이밖에도 통상의 부형제와 활탁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제에 사용되는 코팅 물질로는 약제학 분야에서 사용가능한 장용성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예로서는 쉘락, 셀룰로우스프탈산유도체(CAP, HPMCP, HPMCAS, PVAP 등), 폴리메타크릴레이트류 (예를들어 유드라짓
Figure kpo00008
L30D, S100, L100 등)이나 대장의 조건 혹은 대장 효소에 의해서 녹을 수 있는 물질인 콘드로이친 설페이트, 펙틴, 칼슘 펙티네이트, 아조기 함유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약물방출을 억제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폴리메타크릴레이트류 중합체(예를들어 Eudragit
Figure kpo00009
), 셀룰로오스류 중합체 [HPMC, MC, HPC, EC (예를들어 Aqucoat
Figure kpo00010
)]등이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대량화가 가능하고 제법이 용이하며 다른 장점으로는 ①위장의 국소자극 및 염증 유발을 최소화 할 수 있다. ②소장 말단 혹은 대장에서 용해되므로 부위특이적 방출(site-specific release targeting)이 가능하다. ③작용부위에서 약물이 신속히 용해된다(timed release system). ④나프록센이 아닌 용해도가 낮고 국소자극이 강한 타약물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⑤위장에서 분해되거나 생체이용률이 낮은 펩타이드나 단백질성 약물 및 상기에서 언급된 모든 약물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와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 실시예 1]
약물로 나프록센(0.6.g)을 1:1 몰비의 2-히드록시프로필
Figure kpo00011
-시클로덱스트린(2HP
Figure kpo00012
CD) 3.91g과 혼화한 후 에탄올 약 10ml를 한방울씩 서서히 가하면서 반죽(paste)을 형성시킨 후 50℃의 오븐에서 2시간 건조시켰으며 건조된 분말은 곱게 갈아 활탁제로 탈크나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등을 각각 1% 가한 후 균일하게 혼화하고 정제기를 사용하여 나정을 제조하였다.
[비교 실시예 2]
비교 실시예 1의 정제를 폴리메타이크릴레이트류 중합체인 유드라짓
Figure kpo00013
S100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단층 코팅된 정제를 제조하였다. 코팅정도는 제조공정, 약물의 물리화학적 특성, 정제의 모양, 코팅방법 등에 따라 달라지나 나정 무게의 증가에 따라 코팅정도를 고려할 때 1~10% 정도에 해당된다.
[비교 실시예 3]
비교 실시예 1의 정제를 유드라짓
Figure kpo00014
RS100으로 코팅(내층)한 다음 유드라짓
Figure kpo00015
S100으로 코팅(외층)하였다. 코팅정도는 제조공정, 약물의 물리화학적 특성, 정제의 모양, 코팅방법 등에 따라 달라지나 나정 무게의 증가게 따라 코팅정도를 고려할 때 1~10% 정도에 해당된다.
[실시예 1]
약물로 나프록센(0.6.g)을 1:1 몰비의 2-히드록시프로필
Figure kpo00016
-시클로덱스트린(2HP
Figure kpo00017
CD) 3.91g과 혼화한 후 에탄올 약 10ml를 한방울씩 서서히 가하면서 반죽(paste)을 형성시킨 후 50℃의 오븐에서 2시간 건조시켰으며 건조된 분말은 곱게 갈아 활탁제로 탈크나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등을 각각 1% 가한 후 균일하게 혼화하고 붕해제로 Ac-Di-Sol
Figure kpo00018
4% 가한 후 균등히 혼화하고 정제기를 사용하여 나정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4]
붕해제로 각각 프리모젤(Primojel
Figure kpo00019
), 아비셀(Avicel
Figure kpo00020
), 폴리프라스돈(Polyplasdone
Figure kpo00021
)를 사용하여 실시예 1의 방법과 같이 나정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8]
실시예 1~4의 정제를 폴리메타크릴레이트류 중합체인 유드라짓 S100을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단층코팅을 하여 코팅된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18]
실시예 9~18은 표 1의 약물과 붕해제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나정을 제조한후 표 1의 코팅물질을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단층코팅된 정제를 제조하였다.
Figure kpo00022
[실험예 1]
붕해제가 약물의 방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붕해제가 사용되지 않은 비교실시예 1, 2, 3에서 제조한 포접화합물을 함유하는 나정 및 코팅된 정제를 사용하여 약물의 방출실험을 수행하였다. 약물 방출 실험은 먼저 인공위액에서 2시간 실험한 후 계속 인공장액으로 교환하여서 수행하였다. 인공위액은 pH 1.4의 식염함유 염산(7.4%) 완충액이었으며 인공장액은 KHPO를 NaOH(1N)로 pH 7.4로 조정한 용액이었다. 용출 시험은 USP 용출 1법인 패들(paddle)법을 사용하였으며 교반 속도는 37℃에서 50rpm이었다.
붕해제를 함유하지 않은 나정 및 코팅된 정제로부터의 약물방출량(%)은 표 2에 나타내었다. 나프록센 자체의 나정(비교실시예 1)은 인공위액에서 낮은 용해도 때문에 방출량이 낮으나 인공장액에서 급격히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유드라짓
Figure kpo00023
S100으로 단층 코팅된 정제(비교실시예 2)의 경우 인공위액에서는 안정하나 인공장액으로 교환했을 때 약물 방출이 거의 직선적인 증가를 보였다. 그러나 소장 말단이나 대장 등의 부위 특이적 방출은 기대하기가 어려웠다. 유드라짓
Figure kpo00024
RS100으로 코팅하고 다시 유드라짓
Figure kpo00025
S100으로 코팅한 이중층 정제(비교실시예 3)의 경우도 인공위액에서는 방출이 거의 일어나지 않았으며 인공장액으로 교환했을 때도 약물방출이 상당한 시간 지연되었으나 매우 소량의 약물만이 거의 직선적으로 서서히 방출됨을 고찰하였다. 즉 붕해제가 포함되지 않은 제제인 비교실시예 1~3의 모든 경우에 부위특이적 방출을 고찰하지 못하였다.
Figure kpo00026
[실험예 2]
실시예 1~8에서 제조한 포접화합물과 붕해제를 함유하는 나정 및 코팅된 정제를 사용하여 약물의 방출실험을 수행하였다. 약물 방출 실험은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붕해제를 함유하는 나정 및 코팅된 정제로부터의 약물방출량(%)은 표 3에 나타내었다. 유드라짓
Figure kpo00027
로 코팅하지 않은 나정의 경우 인공위액에서 낮은 용해도 때문에 방출량이 낮으나 인공장액에서 급격히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다양한 붕해제를 함유하고 있는 포접화합물의 코팅된 정제의 경우 상당한 지연시간(lag time)을 가짐을 알 수 있으며 일정시간이 지난 후 약물방출이 급격히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즉 붕해제가 없는 정제에서의 지속적인 방출양상과는 달리 실시예 5~8에서 제조된 정제는 상당한 지연 시간을 가지면서 일정시간이 지나면 약물의 방출이 급격히 일어나기 때문에 특정부위 특이적 방출 정제로 활용될 수 있다.
Figure kpo00028

Claims (3)

  1. (1) 약물을 2-히드록시프로필
    Figure kpo00029
    -시클로덱스트린과 포접화합물을 형성시킨 후, (2) 크로스카멜로스 소디움, 소디움 스타치 글리콜레이트, 미세결정 셀룰로오스 및 크로스포비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붕해제를 전체 중량의 2내지 10%사용하여 상기 포접화합물과 혼합시켜 코어를 제조한 후, (3) 장용성 고분자로 코팅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장 말단이나 대장으로의 부위 특이적 방출성 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이 소염진통제, 설파제, 살리실산제, 스테로이드제, 효소제, 멜라토닌, 온단세트론 및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장 말단이나 대장으로의 부위 특이적 방출성 제제.
  3. 제1항에 있어서, 장용성 고분자가 장용성 폴리메타크릴레이트류임을 특징으로 하는 소장 말단이나 대장으로의 부위 특이적 방출성 제제.
KR1019970001338A 1996-01-18 1997-01-17 포접화합물을 함유한 부위특이적 방출성 제제 KR100211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1338A KR100211222B1 (ko) 1996-01-18 1997-01-17 포접화합물을 함유한 부위특이적 방출성 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6-965 1996-01-18
KR1019960000965 1996-01-18
KR19960000965 1996-01-18
KR1019970001338A KR100211222B1 (ko) 1996-01-18 1997-01-17 포접화합물을 함유한 부위특이적 방출성 제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705A KR970058705A (ko) 1997-08-12
KR100211222B1 true KR100211222B1 (ko) 1999-07-15

Family

ID=65953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1338A KR100211222B1 (ko) 1996-01-18 1997-01-17 포접화합물을 함유한 부위특이적 방출성 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12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5827A1 (ko) * 2019-10-30 2021-05-0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손가락 담배냄새 저감 기술이 적용된 팁페이퍼와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및 상기 팁페이퍼의 제조 방법
KR102307186B1 (ko) * 2021-05-03 2021-09-30 주식회사 네이처앤네이처 살리실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RU2799226C1 (ru) * 2019-10-30 2023-07-04 Кейтиэндджи Корпорейшн Оберточная бумага, к которой применена обработка, уменьшающая запах табака, остающийся на пальцах курильщика, курительное изделие, содержащее такую бумагу,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оберточной бумаг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1577A (ko) * 2001-11-20 2003-05-27 디디에스텍주식회사 난용성 약물과 치환된 시클로덱스트린을 함유하는고체분산체 및 이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0501827B1 (ko) * 2002-09-24 2005-07-20 한국화학연구원 다층 코팅법을 이용한 멜라토닌 함유 타게팅 약물 전달 기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5827A1 (ko) * 2019-10-30 2021-05-0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손가락 담배냄새 저감 기술이 적용된 팁페이퍼와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및 상기 팁페이퍼의 제조 방법
KR20210051161A (ko) * 2019-10-30 2021-05-1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손가락 담배냄새 저감 기술이 적용된 팁페이퍼와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및 상기 팁페이퍼의 제조 방법
KR102313637B1 (ko) * 2019-10-30 2021-10-1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손가락 담배냄새 저감 기술이 적용된 팁페이퍼와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및 상기 팁페이퍼의 제조 방법
RU2799226C1 (ru) * 2019-10-30 2023-07-04 Кейтиэндджи Корпорейшн Оберточная бумага, к которой применена обработка, уменьшающая запах табака, остающийся на пальцах курильщика, курительное изделие, содержащее такую бумагу,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оберточной бумаги
KR102307186B1 (ko) * 2021-05-03 2021-09-30 주식회사 네이처앤네이처 살리실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705A (ko)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54226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US20230248676A1 (en) Ghb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a floating 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 forming system
JP2688541B2 (ja) 消化管治療のための製品及び方法
JP4088413B2 (ja) 腸管を処置・治療するペレット製剤
TWI242451B (en) Pharmaceutical dosage forms for controlled release producing at least a timed pulse
AU2008303129B2 (en) Compositions comprising lipophilic active compounds and method for their preparation
US20050152967A1 (en) Dynamic variable release
JPH0710773B2 (ja) 一定の放出性及び即時放出性を有する薬物粒子
PT2050445E (pt) Composição farmacêutica de fenofibrato apresentando uma biodisponibilidade elevada e processo para a sua preparação
WO2012006961A1 (zh) 一种控释制剂
ES2245307T3 (es) Microgranulos de quetoprofeno, su procedimiento de preparacion y composiciones farmaceuticas.
CN101808665A (zh) 阿利吉仑和缬沙坦的药物组合
US20200108017A1 (en) Two speed monolithic system for controlled release of drugs
JP2006507276A (ja) 放出制御組成物
JP4856843B2 (ja) 新規フェノフィブラート錠剤
Essa et al. Smart liquids for oral controlled drug release: An overview of alginate and non-alginate based systems
KR100211222B1 (ko) 포접화합물을 함유한 부위특이적 방출성 제제
CN1961887A (zh) 复方氨基葡萄糖缓释制剂及其制备方法和其应用
Zhang et al.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and in vitro/in vivo evaluation of oral time-controlled release etodolac pellets
RU2140272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таблеток натриевой соли фузидовой кислоты без энтеросолюбильного покрытия (варианты), таблетки и гранулят для получения таблеток натриевой соли фузидовой кислоты без энтеросолюбильного покрытия
CN1232386A (zh) 弱酸药物的结肠运送
AU627335B2 (en) Aspirin granules with gastroprotectant coating
Nareshkumar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colon targeted pellets of bumadizone calcium
KR101561345B1 (ko) 제어방출되는 프로피온산 계열의 약제학적 조성물
EP2809305A2 (en) Bilayer tablet formulations of flurbiprofen and glucosam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