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9855B1 - 디지탈신호 기록장치 및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탈신호 기록장치 및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9855B1
KR100209855B1 KR1019960001255A KR19960001255A KR100209855B1 KR 100209855 B1 KR100209855 B1 KR 100209855B1 KR 1019960001255 A KR1019960001255 A KR 1019960001255A KR 19960001255 A KR19960001255 A KR 19960001255A KR 100209855 B1 KR100209855 B1 KR 100209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cording
speed
reproduction
recording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1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0197A (ko
Inventor
사다유끼 이노우에
껜 오니시
쥰꼬 시노하라
다쯔오 야마사끼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960030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0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9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98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87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recorded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2Masking of heads; circuits for Selecting or switching of heads between operative and inoperative functions or between different operative functions or for selection between operative heads; Masking of beams, e.g. of light beams
    • G11B15/125Masking of heads; circuits for Selecting or switching of heads between operative and inoperative functions or between different operative functions or for selection between operative heads; Masking of beams, e.g. of light beams conditioned by the operating function of the apparatu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1808Driving of both record carrier and head
    • G11B15/1875Driving of both record carrier and head adaptations for special effects or 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11B15/467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 G11B15/4673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tape while the head is rotating
    • G11B15/4675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tape while the head is rotating with provision for information tracking
    • G11B15/467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tape while the head is rotating with provision for information tracking using signals recorded in track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scanning direction
    • G11B15/4677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tape while the head is rotating with provision for information tracking using signals recorded in track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scanning direction using auxiliary signals, i.e. pilot signals
    • G11B15/4678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tape while the head is rotating with provision for information tracking using signals recorded in track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scanning direction using auxiliary signals, i.e. pilot signals superimposed on the main signal tr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11B15/52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by using signals recorded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01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tapes
    • G11B20/120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tapes with transverse tracks on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05Reproducing at a different information rate from the information rate of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11B27/3063Sub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2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 H04N5/7826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involving helical scanning of the magnetic tape
    • H04N5/78263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involving helical scanning of the magnetic tape for recording on tracks inclined relativ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ta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3Adaptations for reproducing at a rate different from the recording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797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recording the signal in a plurality of channels, the bandwidth of each channel being less than the bandwidth of the signal
    • H04N9/7973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recording the signal in a plurality of channels, the bandwidth of each channel being less than the bandwidth of the signal by dividing the luminance or colour component signal samples or frequency bands among a plurality of recording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04N9/822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t least another television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 H04N9/87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by assembling picture element blocks in an intermediate mem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디지탈신호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고속재생용 데이타의 기록레이트를 향상시키는 것에 의해 고속재생시의 재생화질의 향상시키기 위해, 입력된 트랜스포트패킷의 전송레이트를 판별하고, 전송레이트판별결과에 따라서 디지탈신호기록장치의 기록모드를 설정하며, 트랜스포트패킷에서 프레임 또는 필드내 부호화가 실시된 디지탈비디오신호를 추출하고, 데이타추출수단에 의해서 추출된 프레임 또는 필드내 부호화가 실시된 디지탈비디오신호를 재구성해서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생성하며, 입력된 트랜스포트 패킷 및 특수재생용 데이타가 트랙상의 소정의 위치에 기록되도록 기록포맷을 생성하고, 그 때 기록매체상에 기록할 특수재생용 데이타의 반복횟수가 기록모드에 따라서 변경되도록 기록데이타포맷생성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하였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각 기록모드에 있어서 효율좋게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기록할 수 있고, 한정된 특수재생용 데이타 에리어를 효율좋게 이용할 수 있으며, 또 고속재생시의 재생데이타레이트를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어 재생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탈신호 기록장치 및 재생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디지탈VTR의 기록계를 도시한 블럭회로도.
제2도는 실시예 1의 특수재생용 데이타 발생회로의 1구성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3도는 실시예 1의 4배속용 데이타 생성회로의 1구성예를 도시한 불럭도.
제4도는 실시예 1의 기록데이타 제어회로의 1구성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5도는 실시예 1의 데이타 합성회로의 1구성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6a도 및 제6b도는 멀티칩 레이트의 신호를 기록하는 디지탈VTR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회전드럼상의 각 채널의 회전헤드배치 및 상기 회전헤드 배치를 갖는 디지탈VTR을 사용하여 자기테이프 상에 신호를 어떻게 기록하는가를 나타내는 개념도.
제7도는 멀티 레이트의 신호를 기록하는 디지탈VTR의 기록모드를 도시한 도면.
제8a도∼제8d도는 각 기록모드에서의 기록데이타의 기록타이밍을 나타내는 도면.
제9a도∼제9m도는 각 기록모드에서의 기록타이밍 생성회로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도면.
제10a도 및 제10b도는 SD규격에 따른 비디오신호의 1트랙내의 비디오신호 기록에리어의 데이타 포맷을 도시한 도면.
제11도는 SD규격에 따른 1싱크블럭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제12도는 SD규격에 따른 1트랙내의 기록포맷을 도시한 도면.
제13a도 및 제13b도는 입력비트스트림의 트랜스포트패킷 및 자기테이프상에 기록할 기록싱크블럭을 도시한 도면.
제14도는 각 기록모드의 각 고속재생속도에 있어서 1트랙당 재생할 수 있는 싱크블럭수를 도시한 도면.
제15도는 실시예 1의 표준기록모드용의 특수재생용 데이타 기록에리어의 배치를 포함한 4트랙주기의 트랙포맷을 도시한 도면.
제16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 인 25Mbps 기록모드시의 자기테이프상의 기록포맷을 도시한 도면.
제17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 인 12.5Mbps 기록모드시의 자기테이프상의 기록포맷을 도시한 도면.
제18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 인 8.33Mbps 기록모드시의 자기테이프상의 기록포맷을 도시한 도면.
제19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 인 6.25Mbps 기록모드시의 자기테이프상의 기록포맷을 도시한 도면.
제20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 인 각 기록모드시의 고속재생속도, 특수재생용 데이타의 반복횟수, 고속재생시의 서보계의 제어방식 및 특수재생시의 재생데이타 레이트를 도시한 도면.
제21도는 실시예 1의 디지탈VTR의 재생계를 도시한 블럭회로도.
제22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 인 25Mbps 기록모드에서 기록한 자기테이프를 사용해서 4배속 재생을 실행한 경우의 회전헤드의 주사궤적과 트랙패턴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제23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 인 12.5Mbps 기록모드에서 기록한 자기테이프를 사용해서 4배속 재생을 실행한 경우의 회전헤드의 주사궤적과 트랙패턴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제 24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 인 8.33Mbps 기록모드에서 기록한 자기테이프를 사용해서 6배속 재생을 실행한 경우의 회전헤드의 주사궤적과 트랙패턴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제25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 인 6.25Mbps 기록모드에서 기록한 자기테이프를 사용해서 8배속 재생을 실행한 경우의 회전헤드의 주사궤적과 트랙패턴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제26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 인 25Mbps 기록모드에서 기록한 자기테이프를 사용해서 18배속 재생을 실행한 경우의 회전헤드의 주사궤적과 트랙패턴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제27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 인 12.5Mbps 기록모드에서 기록한 자기테이프를 사용해서 17배속 재생을 실행한 경우의 회전헤드의 주사궤적과 트랙패턴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제28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 인 8.33Mbps 기록모드에서 기록한 자기테이프를 사용해서 16.5배속 재생을 실행한 경우의 회전헤드의 주사궤적과 트랙패턴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제29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 인 6.25Mbps 기록모드에서 기록한 자기테이프를 사용해서 18배속 재생을 실행한 경우의 회전헤드의 주사궤적과 트랙패턴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제30a도∼제30g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 인 12.5Mbps, 8.33Mbps 및6.25Mbps 기록모드에서 기록된 자기테이프를 사용하여 속도제어만의 고속재생을 실행한 경우의 회전헤드에서 재생되는 재생신호의 출력패턴을 도시한 도면.
제31도는 실시예 2의 각 고속재생속도에 있어서 1트랙당 재생할 수 있는 싱크블럭수를 도시한 도면.
제32도는 실시예 2의 표준기록모드시의 자기테이프상의 기록패턴을 도시한 도면.
제33도는 제32도에 도시한 기록패턴을 25Mbps의 레이트로 4배속 재생했을 때의 회전헤드의 주사궤적을 도시한 도면.
제34도는 제32도에 도시한 기록패턴을 25Mbps의 레이트로 18배속 재생했을 때의 회전헤드의 주사궤적을 도시한 도면.
제35도는 제32도에 도시한 기록패턴을 6.25Mbps의 레이트로 16배속 재생했을 때의 회전헤드의 주사궤적을 도시한 도면.
제37도는 실시예 2의 1/2배 기록모드용의 특수재생용 데이타 기록에리어의 배치를 포함한 4트랙주기의 트랙 포맷을 도시한 도면.
제38도는 실시예 2의 1/3배 기록모드용의 특수재생용 데이타 기록에리어의 배치를 포함한 4트랙주기의 트랙 포맷을 도시한 도면.
제39도는 실시예 2의 1/4배 기록모드용의 특수재생용 데이타 기록에리어의 배치를 포함한 4트랙주기의 트랙 포맷을 도시한 도면.
제40도는 제37도에 도시한 1/2배 기록모드용의 트랙 포맷에 의한 기록패턴을 도시한 도면.
제41도는 제38도에 도시한 1/3배 기록모드용의 트랙 포맷에 의한 기록패턴을도시한 도면.
제42도는 제39도에 도시한 1/4배 기록모드용의 트랙 포맷에 의한 기록패턴을 도시한 도면.
제43도는 제40도에 도시한 기록패턴을 12.5Mbps의 레이트로 8배속 재생했을 때의 회전헤드의 주사궤적을 도시한 도면.
제44도는 제38도에 도시한 기록패턴을 8.33Mbps의 레이트로 12배속 재생했을 때의 회전헤드의 주사궤적을 도시한 도면.
제45도는 제39도에 도시한 기록패턴을 6.25Mbps의 레이트로 16배속 재생했을 때의 회전헤드의 주사궤적을 도시한 도면.
제46도는 제40도에 도시한 기록패턴을 12.5Mbps의 레이트로 36배속 재생했을 때의 회전헤드의 주사궤적을 도시한 도면.
제47도는 제38도에 도시한 기록패턴을 8.33Mbps의 레이트로 54배속 재생했을 때의 회전헤드의 주사궤적을 도시한 도면.
제48도는 제39도에 도시한 기록패턴을 6.25Mbps의 레이트로 72배속 재생했을 때의 회전헤드의 주사궤적을 도시한 도면.
제49도는 본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각 기록모드에 적합한 기록포맷을 마련하는 경우의 가능한 최대 배속수와 가능한 최대 배속수 재생시의 재생레이트를 나타낸 도면.
제50도는 종래의 일반적인 가정용 디지탈VTR의 트랙 패턴도.
제51a도 및 제51b도는 종래의 디지탈VTR의 통상 재생시와 고속재생시에 있어서의 회전헤드의 헤드주사궤적을 도시한 도면.
제52도는 고속재생이 가능한 종래의 비트 스트림 기록재생장치의 블럭회로도.
제53도는 종래의 디지탈VTR의 통상재생시와 고속재생시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
제54도는 일반적인 고속재생시의 회전헤드 주사궤적을 도시한 도면.
제55도는 종래의 여러개의 고속재생속도시의 오버랩의 에리어를 설명하는 도면.
제56도는 종래의 디지탈VTR에 있어서의 5배속과 9배속의 회전헤드 주사궤적을 도시한 도면.
제57도는 종래의 디지탈VTR에 있어서의 5배속재생시의 2개의 회전헤드 주사궤적을 도시한 도면.
제58도는 종래의 디지탈VTR에 있어서의 트랙배치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가변길이 복호기어 5 : 카운터
6 : 데이타 추출회로 7 : EOB부가회로
10 : 헤더해석회로 12 : 특수재생용 데이타 작성회로
13 : 제1메모리 14 : 4배속용 데이타 생성회로
15 : 18배속용 데이타 생성회로 16 : 제2 메모리
17 : 제3 메모리 18 : 레이트 판별회로
19 : 기록데이타제어회로 20 : 데이타 합성회로
21 : 제4 메모리 22 : 에러정정부호회로
23 : 디지탈변조회로 26 : 회전헤드
27 : 드럼모터제어회로 28 : 드럼모터
29 : 캡스턴모터 제어회로 30 : 캡스턴모터
42 : 트랜스포트헤더수정회로 43 : 헤더부가회로
44 : 패킷화회로 45 : 트랜스포트헤더부가회로
55 : 기록모드설정회로 56 : 기록타이밍발생회로
57 : 특수재생용 데이타부호량 설정회로
58 : 서보계 기준신호발생회로 126 : 포맷생성회로
127 : 포맷생성회로제어회로
본 발명은 디지탈비디오신호와 디지탈오디오신호를 경사진 트랙상의 미리 정해진 에리어에 기록하는 트랙포맷을 갖는 디지탈비디오테이프 레코더(이하, 「디지탈VTR」이라 한다), 디지탈 디스크플레이어등에 있어서, 디지탈비디오신호와 디지탈오디오신호가 비트스트림형태로 입력되고, 이 비트스트림을 기록하는 디지탈신호기록장치 및 상기 디지탈신호 기록장치에 의해 기록된 기록매체를 재생하는 디지탈신호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50도는 일반적인 가정용 디지탈VTR의 트랙패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50도에 있어서, 자기테이프에는 경사트랙이 형성되어 있다. 1개의 트랙은 디지탈비디오신호를 기록하는 비디오에리어와 디지탈 오디오신호를 기록하는 오디오에리어의 2개의 에리어로 분할되어 있다.
이러한 가정용 디지탈VTR에 비디오 및 오디오신호를 기록하는데는 2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의 방법은 아날로그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를 입력으로 해서 고능률 부호화를 실시하여 데이타량을 삭감하고 기록하는, 소위 베이스밴드 기록방식이다. 또 하나의 방법은 디지탈 전송된 비트스트림을 기록하는, 소위 트랜스페어런트 기록방식이다.
미합중국에서 심의되고 있는 ATV(Advanced Television)신호 또는 유럽에서 검토되고 있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신호를 기록하는데는 후자의 트랜스페어런트기록방식이 적합하다. 그 이유는 ATV신호 또는 DVB신호는 이미 디지탈압축된 신호이므로, 고능률부호화기나 복호화기가 필요없고, 또 ATV신호 또는 DVB신호를 그대로 기록하기 때문에 화질의 저하가 없는 것 등이다. 한편, 트랜스페어런트 기록방식의 단점으로서는 고속재생이나 스틸, 슬로우모드 등의 특수재생모드로 재생된 화질이 불충분하다는 것이다. 특히, 비트스트림을 경사트랙에 그대로 기록한 것만으로는 고속재생모드시에는 거의 화상을 재생할 수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은 ATV신호를 기록하는 디지탈VTR 방식으로서, 1993년 10월 26일∼28일에 캐나다 오타와시에서 개최된 International Workshop on HDTV 1993에 있어서 발표된 A Recording Method of ATV data on a Consumer Digital VCR이 있다. 이하, 이 내용을 종래예로서 기술한다.
가정용 디지탈VTR의 표준 기본사양으로서, SD(Standard Definition)모드시, 디지탈비디오신호의 기록레이트가 25Mbps이고 필드 주파수가 60Hz인 경우, 비디오의 1프레임을 10트랙의 비디오에리어에 기록하는 것이 있다. 여기에서, ATV신호의 데이타 레이트를 17∼18Mbps로 하면, 이 SD모드에서 ATV신호의 트랜스페어런트기록이 가능하게 된다.
제51a도 및 제51b도는 디지탈VTR의 통상재생모드시와 고속재생시에 있어서의 회전헤드의 헤드주사궤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있어서, 인접한 트랙은 다른 방위각도를 갖는 회전헤드에 의해 교대로 비시듬하게 주사되고 있다. 통상재생모드시에는 테이프주행속도가 기록모드시와 동일하므로, 회전헤드는 제51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트랙을 따라서 트레이스할 수 있다. 그러나, 고속재생모드시에는 테이프속도가 기록모드시와 다르기 때문에 몇개의 트랙을 횡단해서 트레이스하여, 동일한 방위를 갖는 트랙의 단편만을 재생할 수 있다. 제51b도에는 5배속의 고속재생의 경우를 도시한다.
MPEG2의 비트스트림(ATV신호 및 DVB신호의 비트스트림은 MPEG2의 비트스트림에 준거하고 있다)에 의하면, 프레임내 부호화된 블럭만을 다른 프레임을 참조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복호할 수 있다. 만일, MPEG2의 비트스트림이 순번으로 트랙상에 기록되어 있다고 하면, 고속재생모드시에 간헐적으로 재생되는 데이타에서 인트러 부호화된 데이타를 추출하여 화상을 재구성하게 된다. 이때, 스크린상의 재생되는 에리어는 연속되는 것이 아니고 블럭의 단편이 스크린으로 확산하는 것이다. 또, 비트스트림은 가변길이 부호화되어 있으므로, 스크린 전체가 주기적으로 갱신된다는 보증은 없고, 또 어느 일부가 오랜시간 갱신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결과적으로, 고속재생시의 화질이 불충분하게 되어 가정용 디지탈VTR에는 적용할 수 없게 된다.
제52도는 고속재생이 가능한 비트스트림 기록장치의 블럭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각 트랙의 비디오 에리어를 모든 ATV신호의 비트스트림을 기록하는 메인 에리어와 고속재생모드시에 화상을 구성할 때 사용하는 비트스트림의 중요한 부분(HP데이타)를 기록하는 복사에리어로 나눈다. 고속재생모드시에는 인트러 부호화 블럭만이 유효하기 때문에 복사에리어에 이것을 기록하지만, 또 데이타의 양을 삭감하기 위해 모든 인트러 부호화 블럭에서 저역주파수성분을 추출해서 HP데이타로서 기록한다. 제52도에 있어서, (1)은 비트스트림이 입력되는 입력단자, (2)는 비트스트림이 출력되는 출력단자, (3)은 HP데이타가 출력되는 출력단자, (4)는 가변길이 복호회로, (5)는 카운터, (6)은 데이타추출회로, (7)은 EOB(End Of Block)부가회로이다.
MPEG2의 브트스트림은 입력단자(1)에서 입력되고 출력단자(2)에서 그대로 출력되어 메인에리어에 순차 기록된다. 또한, 입력단자(1)로부터의 비트스트림은 가변길이복호회로(4)에도 입력된다. 그리고, MPEG2의 비트스트림의 신택스가 해석되어 인트러화상이 검출된다. 카운터(5)는 타이밍을 발생하고, 데이타 추출회로(6)는 인트러화상의 모든 블럭에서 저역주파수성분을 추출하고, 또 EOB부가회로(7)는 EOB를 부가한다. 이렇게 해서 HP데이타를 생성하고 복사에리어에 기록한다.
제53도는 종래의 디지탈VTR에서 통상재생 및 고속재생을 실행했을때의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통상재생모드시에는 메인에리어에 기록되어 있는 모든 비트스트림이 재생되어 디지탈VTR의 외부에 있는 MPEG2의 복호회로로 보내지고, HP데이타는 버려진다. 한편, 고속재생모드시에는 복사에리어에서 HP데이타만이 리드되고 수집되어 복호기로 보내지고, 메인에리어에 기록되어 있는 비트스트림은 버려진다.
다음에 메인에리어와 복사에리어의 1트랙상의 배치에 대해서 기술한다. 제54도는 고속재생모드시의 회전헤드 주사궤적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테이프속도가 통상재생모드시의 속도의 정수배속인 경우, 위상록이 작용하여 주사헤드가 위상록 제어되어 있으면, 헤드주사는 동일 방위 트랙과 동기한다. 따라서, 재생되는 데이타의 위치는 고정된다. 제54도에 있어서 재생신호의 출력레벨이 -6dB 이상인 부분이 재생된다고 가정하면, 하나의 헤드에 의해 제54도의 망긋기되어 있는 트랙에리어에서 데이타를 재생할 수 있게 된다. 제54도는 9배속 재생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9배속에서는 제54도의 망긋기된 에리어에서의 신호리드가 보증된다. 따라서, HP데이타를 제54도의 망긋기된 에리어에 기록하면 좋다. 그러나, 다른 배속에서는 신호리드는 보증되지 않으므로, 몇가지의 테이프속도로 HP데이타를 리드할 수 있도록 HP데이타가 기록되는 에리어를 위치결정해야 한다.
제55도는 헤드가 동일 방위 트랙과 동기하는 3개의 테이프속도로 헤드에 의해 주사되는 영역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각 테이프속도로 주사되는 에리어에는 몇개의 중복영역이 있다. 이들 중복영역에서 복사에리어를 선택하여 다른 테이프속도로의 HP데이타의 리드를 보증한다. 제55도는 4배, 9배 및 17배속의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주사에리어는 -2배, -7배 및 -15배속으로 주사된 경우와 동일하게 된다.
몇가지 테이프속도로 동일한 트랙에리어를 헤드가 주행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것은 테이프속도에 따라 헤드가 횡단하는 트랙수가 다르기 때문이다. 또, 어떤 동일 방위 트랙에서도 주사를 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제56도는 다른 테이프속도의 회전헤드 주사궤적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56도에서는 5배속과 9배속의 중복영역에서 에리어1, 2, 3이 선택되어 있다. 동일한 HP데이타를 9트랙에 반복 기록하는 것에 의해, HP데이타는 5배속, 9배속의 어느쪽으로도 리드할 수 있다.
제57도는 5배속시의 회전헤드의 주사궤적의 예이다. 도면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배속수(테이프 기록속도에 대한 테이프 고속재생속도의 비)와 동일한 트랙수로 HP데이타를 반복 기록하므로, HP데이타는 동일 방위 트랙과 동기한 회전헤드에 의해서 리드할 수 있다. 따라서, 고속재생의 최대이ㅡ 테이프속도의 배속수와 동일한 트랙수만큼 HP데이타의 복제를 반복한다. 이것에 의해, 정방향 및 역방향의 어느 쪽이라도 몇가지 테이프속도로의 복제 HP데이타의 리드가 확보된다.
제58도는 종래의 디지털VTR에 있어서의 트랙배치도로서, 메인에리어와 복사에리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가정용 디지탈VTR에서는 각 트랙의 비디오에리어는 135싱크블럭으로 구성되어 있고, 메인에리어는 97싱크블럭, 복사에리어는 32싱크블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복사에리어는 제55도에 도시한 4배, 9배, 17배속에 대응하는 중복에리어를 선택하고 있다. 이 경우, 메인에리어의 데이타레이트는 약17.46Mbps, 복사에리어의 데이타레이트는 17회 동일한 데이타가 기록되므로 약 338.8kbps로 된다.
종래의 가정용 디지탈VTR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고 복사에리어에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몇번이나 중복해서 기록하고 있으므로, 특수재생용 데이타의 기록데이타레이트가 현저하게 낮다. 특히 슬로우재생모드 또는 고속재생모드에 있어서는 재생화질을 충분히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예를 들면, 인트러 프레임이 2매/초라고 하면, ATV신호의 인트러 부호화만의 데이타레이트는 약3Mbps정도라고 예측되지만, 종래예에서는 약 340kbps밖에 기록할 수 없어 재생화질이 현저하게 저하한다.
또, 상기 DVB신호는 프로그램에 따라 기록데이타레이트가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현행의 PAL 또는 SECAM계와 동일한 정도의 화질에서는 데이타레이트가 5∼5.5Mbps정도이고, 또 studio quality정도에서는 데이타레이트가 9Mbps정도로 된다. 여러개의 기록테이타레이트를 갖는 기록신호를 상기 디지탈VTR에 기록하는 경우에는 이하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상기 9Mbps의 프로그램을 상기 디지탈VTR에 기록할 때, 메인에리어의 기록데이타레이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17.46Mbps이므로, 약 8.5Mbps의 에리어에는 아무것도 기록되지 않는다. 따라서, 자기테이프의 사용효율이 매우 나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특히 고속재생용 데이타의 기록데이타레이트를 향상시키는 것에 의해, 고속재생모드시의 재생화질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멀티레이트의 기록신호를 효율좋게 기록매체상에 기록하는 디지탈신호 기록장치 및 상기 기록매체에서 데이타를 재생하는 디지탈신호 재생장치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의 디지탈신호 기록장치는 적어도 표준기록모드를 포함하는 여러개의 기록모드를 갖고, 트랜스포트패킷 상태로 입력된 프레임 또는 필드내, 또는 프레임 또는 필드간 부호화된 디지탈비디오신호와 디지탈오디오신호를 기록매체상에 트랜스페어런트 기록하는 디지탈신호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트랜스포트패킷의 전송레이트를 판별하는 전송레이트판별수단, 상기 전송레이트판별결과에 따라서 디지탈신호기록장치의 기록모드를 설정하는 기록모드설정수단, 상기 트랜스포트패킷에서 프레임 또는 필드내 부호화가 실시된 디지탈비디오신호를 추출하는 데이타추출수단, 상기 데이타추출수단에 의해서 추출된 상기 프레임 또는 필드내 부호화가 실시된 디지탈비디오신호를 재구성해서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생성하는 특수재생용 데이타생성수단, 상기 입력된 트랜스포트 패킷 및 상기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트랙상의 소정의 위치에 기록하도록 기록포맷을 생성하는 기록데이타포맷생성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기록데이타포맷생성수단에 의해서 기록데이타를 생성할 때, 기록매체상에 기록하는 상기 특수재생용 데이타의 반복횟수를 상기 기록모드에 따라서 변경하도록 상기 기록데이타포맷생성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기록장치에 있어서, 기록포맷용 생성할 때, 표준기록모드의 고속재생속도에 있어서 헤드가 주사하는 주사궤적을 따라 상기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배치하도록 상기 기록포맷생성수단을 제어하는 것으로해도 좋다.
본 발명의 다른 디지탈신호 기록장치는 적어도 표준기록모드를 포함하는 여러개의 기록모드를 갖고, 트랜스포트패킷 상태로 입력된 프레임 또는 필드내, 또는 프레임 또는 필드간 부호화된 디지탈비디오신호와 디지탈오디오신호를 기록매체상에 트랜스페어런트기록하는 디지탈신호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트랜스포트패킷의 전송레이트를 판별하는 전송레이트판별수단, 상기 전송레이트 판별결과에 따라서 디지탈신호기록장치의 기록모드를 설정하는 기록모드설정수단, 상기 트랜스포트패킷에서 프레임 또는 필드내 부호화가 실시된 디지탈비디오신호를 추출하는 데이타추출수단, 상기 데이타추출수단에 의해서 추출된 상기 프레임 또는 필드내 부호화가 실시된 디지탈비디오신호를 재구성해서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생성하는 특수재생용 데이타생성수단, 상기 입력된 트랜스포트 패킷 및 상기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트랙상의 소정의 위치에 기록하도록 기록포맷을 생성하는 기록데이타포맷생성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기록데이타포맷생성수단에 의해서 기록데이타를 생성할 때, 기록매체상에 기록하는 상기 특수재생용 데이타의 기록포맷을 상기기록모드에 따라서 변경하도록 상기 기록데이타포맷생성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기록장치에 있어서, 기록포맷을 생성할 때, 각 기록모드의 고속재생속도에 있어서 헤드가 주사하는 주사궤적을 따라 상기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배치하도록 상기 기록포맷생성수단을 제어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의 기록장치에 있어서, 기록포맷을 생성할 때, 각 기록모드의 고속재생속도에 있어서 헤드가 서브코드에리어를 주사하는 주사궤적을 따라 상기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배치하도록 상기 기록포맷생성수단을 제어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한 것중의 어느 하나의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상기 트랜스포트패킷 형식으로 생성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한 것중의 어느 하나의 기록장치에 있어서, 싱크블럭포맷을 생성할 때, 2개의 상기 트랜스포트패킷을 사용해서 5싱크블럭의 데이타를 생성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의 디지탈신호 재생장치는 표준기록모드를 포하하는 여러개의 기록모드를 갖고, 기록데이타에서 추출된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미리 정해진 에리어에 여러회 반복해서 기록한 기록매체를 재생하는 디지탈신호 재생장치에 있어서, 재생신호에서 기록모드를 검출하는 기록모드 검출수단과 상기 기록모드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 기록매체의 주행속도를 제어하는 기록매체 주행속도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고속재생시에 표준기록모드의 속도의 1/K배의 보내기속도로 기록된 기록매체를 재생할 때, 상기 기록매체의 구동속도가 약 {±K×(N+1/2)}배속(단, N은 정의 정수이고, 2×K×(N+1/2)≤M×K (M은 각 특수재생용 데이타의 반복횟수)를 만족시킨다)으로 설정되도록 상기 기록매체 주행속도 제어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디지탈신호 재생장치는 표준기록모드를 포함하는 여러개의 기록모드를 갖고, 기록데이타에서 추출된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미리 정해진 에리어에 기록한 기록매체를 재생하는 디지탈신호재생장치에 있어서, 재생신호에서 기록모드를 검출하는 기록모드검출수단, 상기 기록모드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 기록매체의 테이프주행속도를 제어하는 기록매체 주행속도제어수단 및 상기 기록모드에 있어서의 미리 정해진 테이프주행속도에서의 고속재생시에 헤드가 서브코드에리어를 주사하도록 트랙킹을 제어하는 트랙킹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1]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디지탈VTR의 기록계의 블럭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트랜스포트 패킷이 입력되는 입력단자이다. (10)은 트랜스포트 패킷내의 트랜스포트헤더를 검출함과 동시에 비트스트림내의 시퀀스헤더나 픽쳐헤더 등의 헤더를 검출하고, 프레임 또는 필드내 부호화(이후, 인트러부호화라 한다) 데이타를 분리하는 헤더해석회로, (11)은 입력된 트랜스포트 패킷을 병렬/직렬 변환하여 1비트의 비트스트림을 얻는 병렬/직렬변환회로이다. (12)는 상기 헤더해석회로(10)에 의해 검출된 헤더정보에 따라서 프레임 또는 필드내 부호화된 화상(이하, 인트러화상이라 한다)의 비트스트림을 분리하고, 각 고속재생속도(본 실시예 1의 25Mbps 기록모드시에서는 4배속 및 18배속)로 재생될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생성하는 특수재생용 데이타 생성회로이다. (13)은 입력단자(1)에서 입력되는 트랜스포트 패킷을 일시 기억함과 동시에 데이타를 출력할 때 제13b도에 도시된 싱크블럭포맷으로 데이타를 변환하는 제1 메모리(상한 것은 후술), (14)는 특수재생용 데이타생성회로 (12)에서 출력되는 4배속 재생용의 데이타를 사용해서 4배속용의 특수재생용 트랜스포트 패킷을 생성하는 4배속용 데이타생성회로이고, (15)는 특수재생용 데이타생성회로(12)에서 출력되는 18배속 재생용의 데이타를 사용해서 18배속용의 특수재생용 트랜스포트 패킷을 생성하는 18배속용 데이타생성회로이다. 또한, 본 실시예 1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4종류의 기록모드를 이용할 수 있다. 각 기록모드에 있어서 서포트하는 고속재생속도는 다르지만, 이후 편의상 저속측의 고속재생용의 데이타를 4배속 재생용 데이타, 고속측의 고속재생용 데이타를 18배속 재생용 데이타라고 한다.
(16)은 트랜스포ㅌ 패킷 형식으로 입력된 4배속 재생용 데이타를 일시 기억함과 동시에 데이타를 출력할 때 싱크블럭포맷으로 데이타를 변환하는 제2 메모리(제13a도 및 제13b도참조.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17)은 트랜스포트 패킷 형식으로 입력되는 18배속 재생용 데이타를 일시 기억함과 동시에 데이타를 출력할 때 싱크블럭포맷으로 변환하는 제3 메모리(제13도 참조,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이다. (18)은 입력된 트랜스포트 패킷의 전송레이트를 검출하는 레이트판별회로, (19)는 레이트판별회로(18)에서 출력되는 기록데이타레이트에 따라서 디지탈VTR의 기록모드를 설정함과 동시에 이 설정결과에 따라서 각종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기록데이타 제어회로이다.
(20)은 제1 메모리(13)에서 출력되는 입력 트랜스포트패킷 및 제2 메모리(16) 및 제3 메모리(17)에서 출력되는 각종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미리 정해진 싱크블럭의 순번으로 재배열하는 데이타 합성회로(또한, 상기 각종데이타는 상기 제1 메모리(13), 제2 메모리(16) 및 제3 메모리(17)에 있어서 제13B도에 도시한 싱크블럭 포맷으로 변환되어 입력된다), (21)은 제4 메모리, (22)는 제4 메모리(21)에 기억된 기록데이타에 SD규격으로 정의되는 수평에러정정코드(C1검사부호) 및 수직에러정정코드(C2검사부호)를 부가하는 에러정정부호회로이다. (23a) 및 (23b)는 제4 메모리(21)에서 출력되는 에러정정검사부호가 부가된 기록데이타를 디지탈변조하는 디지탈변조회로이다. 또한, ID정보 및 싱크정보의 부가는 상기 디지탈변조회로(23a) 및 (23b)에 싱크블럭데이타를 부가할 때, 각 싱크블럭의 데이타에 부가된다. (24a) 및 (24b)는 기록앰프, (25)는 회전드럼, (26a)는 A트랙의 데이타를 기록재생하는 회전헤드, (26b)는 B트랙의 데이타를 기록 재생하는 회전헤드이다. (27)은 드럼모터(28)을 제어하는 드럼모터제어회로, (29)는 캡스턴모터(30)를 제어하는 캠스턴모터제어회로이다.
제2도는 특수재생용 데이타생성회로(12)의 1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제52도에 도시한 종래예와 동일부호를 붙인 부분은 구성 및 동작이 동일하다. (35)는 프레임 또는 필드내 부호화된 데이타(이하, 「인트러데이타」라고 한다)의 비트스트림을 입력되는 입력단자, (36)은 기록데이타제어회로(19)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단자, (37a)는 4배속 재생용 데이타를 출력하는 출력단자, (37b)는 18배속 재생용 데이타를 출력하는 출력단자이다. (4)는 입력된 인트러데이타를 가변길이복호화하는 가변길이복호회로, (5)는 카운터, (6a)는 입력된 인트러데이타의 비트스트림에서 4배속 재생용 데이타를 추출하는 데이타추출회로, (6b)는 마찬가지로 18배속 재생용 데이타를 추출하는 데이타추출회로, (7a)는 4배속 재생용 데이타의 각 DCT블럭의 끝에 EOB(End of Block)코드를 부가하는 EOB부가회로, (7b)는 18배속 재생용 데이타의 각 DCT블럭의 끝에 EOB코드를 부가하는 EOB부가회로이다.
제3도는 4배속용 데이타생성회로(14)의 1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또한, 4배속용 데이타생성회로(14) 및 18배속용 데이타생성회로(15)의 회로구성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18배속용 데이타생성회로(15)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40)은 헤더해석회로(10)에서 출력되는 트랜스포트헤더, 시퀀스헤더, 픽쳐헤더 등의 헤더정보 및 양자화테이블 등의 부가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단자, (41)은 특수재생용 데이타생성회로(12)에서 출력되는 4배속 재생용 데이타를 입력하는 입력단자, (42)는 입력단자(40)에서 입력되는 트랜스포트헤더에 수정을 가하여 출력하는 트랜스포트헤더수정회로, (43)은 특수재생용 데이타생성회로(12)에서 출력되는 4배속 재생용 데이타에 헤더해석회로(10)에 의해 검출된 시퀀스헤더, 픽쳐헤더 등의 헤더정보 및 4배속 재생용 데이타를 복호할 때 필요하게 되는 부가정보(양자화테이블정보 등)를 부가하는 헤더부가회로, (44)는 헤더부가회로(43)에서 출력되는 비트스트림을 직렬/병렬변환하여 1바이트가 8비트인 데이타를 생성함과 동시에 데이타를 184바이트 수집해서 트랜스포트패킷의 데이타부분을 구성하는 패킷화회로, (45)는 패킷화회로(44)에서 출력되는 트랜스포트패킷의 데이타에 트랜스포트해서수정회로(42)에서 출력되는 트랜스포트헤더를 부가하는 트랜스포트헤더부가회로이다.
제4도는 기록데이타제어회로(19)의 1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50)은 레이트판별회로(18)에서 출력되는 기록데이타레이트를 입력하는 입력단자 (51), (52), (53) 및 (54)는 각종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자, (55)는 입력단자(50)을 거쳐서 입력되는 기록데이타레이트 정보에 따라서 디지탈VTR의 기록모드를 설정하는 기록모드설정회로, (56)은 데이타합성회로(20), 에러정정부호회로(22) 및 디지탈변조회로(23a) 및 (23b)로 타이밍신호 등의 제어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기록앰프(24a) 및 (24b)에 기록데이타의 자기테이프상으로의 기록을 제어하기 위한 기록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기록타이밍발생회로, (57)은 기록모드설정회로(55)에서 출력되는 기록모드신호에 따라서 각종 특수재생용 데이타부호량 설정회로이다.
제5도는 데이타합성회로(20)의 1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21), (122), (123)은 각각 순서대로 제1 메모리(13), 제2 메모리(16), 제3 메모리(17)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를 입력하는 입력단자, (124)는 기록데이타제어회로(19)에서 출력되는 각 기록모드마다 다른 기록포맷을 생성하기 위한 싱크블럭정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단자, (126)은 각 기록모드마다 미리 정해진 기록포맷을 생성하는 포맷생성회로, (127)은 포맷생성회로(126)을 싱크블럭정보신호에 따라서 제어하는 포맷생성회로제어회로, (128)은 제4 메모리(121)로 데이타를 출력하는 출력단자이다.
제6a도는 멀티레이트의 비트스트림을 기록하는 디지탈VTR의 회전드럼(25)상의 회전헤드(26a) 및 (26b)의 헤드배치의 1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또 제6b도는 제6a도에 도시한 회전헤드배치를 갖는 디지탈VTR을 사용해서 자기테이프상에 데이타를 기록할 때의 상기 회전헤드(26a) 및 (26b)의 주사궤적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 1에서는 제6a도에 도시한 회전드럼(25)을 9000rpm으로 회전시키면서 기록데이타를 자기테이프상에 기록한다. 또, 회전헤드(26a) 및 (26b)를 사용해서 데이타를 기록할 때는 제6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해서 배치된 회전헤드(26a) 및 (26b)에 의해 거의 동시에 자기테이프상에 데이타를 기록한다.
제7도는 본 실시예 1의 멀티레이트의 비트스트림을 기록하는 디지탈VTR의 기록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 1에서는 25Mbps 기록모드, 12.5Mbps, 8.33Mbps 기록모드 및 6.25Mbps 기록모드의 4종류의 기록모드를 갖는 디지탈VTR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8a∼d도는 본 실시예 1의 각 기록모드에 있어서의 데이타의 기록타이밍을 도시한 도면이고, 제9a∼m도는 각 기록모드에 있어서 기록타이밍발생회로(56)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0도는 SD규격으로 정의되는 비디오신호 및 오디오신호에 부가하는 에러정정부호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SD규격에서는 비디오신호의 에러정정부호로서 기록방향에 (85, 77, 9)의 리드-솔로몬부호(이하, 「C1검사부호」라고 한다)를, 수직방향에 (149, 138, 12)의 리드-솔로몬부호(이하, 「C2검사부호」라고 한다)를 사용하고 있다. 또, 오디오신호의 에러정정부호로서 기록방향에 비디오신호와 마찬가지인 (85, 77, 9)의 리드-솔로몬부호(C1검사부호)를, 수직방향에 (14, 9, 6)의 리드-솔로몬부호(이하, 「C3검사부호」라고 한다)를 사용하고 있다.
제11도는 SD규격에 있어서의 1싱크블럭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SD규격에서는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싱크블럭의 데이타는 90바이트로 구성되어 있고, 그중 선두 5바이트에는 싱크패턴과 ID신호가 기록되어 있고, 또 끝의 8바이트에는 에러정정부호(C1검사부호)가 기록된다.
제12도는 SD규격으로 정의되어 있는 1트랙내의 기록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SD규격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2도(또는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1트랙당 비디오데이타를 기록하는 에리어로서 149싱크블럭이 마련되어 있다. 149싱크블럭중 3싱크블럭이 VAUX데이타 기록에리어로서 사용되고, 또 11싱크블럭이 에러정정부호 기록에리어(C2검사부호)로서 사용되고 있다. 또, 1싱크블럭은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90바이트로 구성되어 있고, 그중 선두의 5바이트에는 싱크패턴과 ID신호가 기록되어 있으며, 또 뒤의 8바이트에는 에러정정부호(C1검출신호)가 기록된다. 따라서, 1싱크블럭내에 기록할 수 있는 데이타는 77바이트로 된다.
제13a도 및 b도는 본 실시예 1에 의한 싱크블럭포맷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13a도는 입력비트스트림(또는 데이타)에 포함되는 트랜스포트패킷도이고, 제13b도는 자기테이프상에 기록되는 기록싱크블럭도이다.
입력단자(1)에서 입력되는 비트스트림에는 디지탈비디오신호, 디지탈오디오신호, 더 나아가서는 비디오신호 및 오디오신호에 관한 디지탈데이타가 포함되어 있다. 디지탈신호 및 데이타는 제13a도에 도시한 트랜스포트 패킷 형식으로 전송되어 온다. 각 패킷은 4바이트의 헤더부와 184바이트의 데이타부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 1에서는 비트스트림을 트랜스포트 패킷단위로 검출하고, 검출된 2개의 트랜스포트 패킷을 제13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5싱크블럭의 기록데이타블럭(싱크블럭포맷)으로 변환해서 기록한다. 제13b도에 있어서, H1은 제1 헤더, H2는 제2 헤더이다. H1헤더는 5싱크블럭(1싱크블럭내의 데이타에리어는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77바이트의 데이타로 구성되어 있다)중의 몇번째의 싱크블럭인가를 나타내는 식별데이타이다. H2헤더는 비디오데이타인지 오디오데이타인지 등의 식별데이타 등이 기록된다. 또한, 각 트랜스포트헤더의 선두에 부가되어 있는 싱크바이트는 기록하지 않아도 좋다. 그러나, 본 실시예 1에서는 각 트랜스포트패킷내의 모든 데이타를 기록하는 것으로 해서 설명을 계속한다.
제14도는 각 기록모드로 기록된 데이타를 자기테이프에서 고속재생했을 때, 각 설정 고속재생속도에 있어서 1트랙에서 취득할 수 있는 싱크블럭수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제14도중의 각 값은 10㎛(또한, SD규격에 있어서의 트랙피치는 10㎛로 되어 있다)의 폭을 각각 갖는 회전헤드를 사용해서 각 재생속도에 있어서 1트랙에서 재생할 수 있는 싱크블럭수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계산은 1트랙(180도 상당)당의 싱크블럭수를 186싱크블럭으로 하고, 종래예와 마찬가지로 재생신호의 출력레벨이 -6dB보다 큰 부분이 얻어지는 것으로 가정해서 산출하였다.
제15도는 본 실시예 1의 기록포맷의 1실시예 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비트스트림(이하, 통상재생용 데이타라 한다)의 기록에리어 및 특수재생용 데이타기록에리어는 4트랙을 주기로 해서 반복하는 것으로 한다. 이후, 이 4개의 트랙을 트랙포맷이라 한다. 제16도에는 25Mbps 기록모드시의 제15도에 도시한 4트랙주기의 데이타(1트랙포맷의 데이타)의 자기테이프상에서의 배치를 도시하였다. 제17도에는 12.5Mbps 기록모드시의 제15도에 도시한 1트랙포맷의 데이타의 자기테이프상에서의 배치를 도시하였다. 제18도에는 8.33Mbps 기록모드시의 제15도에 도시한 1트랙포맷의 데이타의 자기테이프상에서의 배치를 도시하였다. 제19도에서는 6.25Mbps 기록모드시의 제15도에 도시한 1트랙포맷의 데이타의 자기테이프상에서의 배치를 도시하였다.
또한, 각 기록모드 모두 트랙피치는 SD규격과 마찬가지로 10㎛로 되어 있다. 단, 트랙의 경사각은 테이프주행속도가 다르므로 각 기록 포맷 모두 다르다.
제20도는 실시예 1의 각 기록모드에 있어서의 상기 A0∼A4 및 B0에리어를 사용한 고속재생속도, 특수재생용 데이타의 반복횟수, 고속재생시의 서보계의 제어방식 및 고속재생시의 재생데이타레이트에 대해서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본 실시예 1에서는 각 특수재생용 데이타에리어에 기록하는 특수재생용의 데이타의 반복횟수는 각 기록모드마다 다른 것으로 한다.
이하, 제6a도 및 제6b도∼제8d도를 사용해서 멀티레이트의 신호를 기록할 때의 디지탈VTR의 데이타기록방법의 1실시예 를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1에 따른 디지탈VTR은 기록모드로서 25Mbps기록모드(이하, 「표준기록모드」라 한다), 12.5Mbps기록모드(이하, 「1/2배속 기록모드」라 한다), 8.33Mbps기록모드(이하, 「1/3배속 기록모드」라 한다) 및 6.25Mbps기록모드(이하, 「1/4배속 기록모드」라 한다)의 4개의 기록모드를 갖는다. 제6a도에 있어서, 회전헤드(26a) 및 (26b)는 회전드럼(25)상에 인접해서 배치된다. 또 자기테이프는 상기 회전드럼(25)에 대략 180도로 감겨져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에서는 기록모드에 상관없이 회전드럼(25)는 9000rpm(일정)으로 구동된다.
먼저, 제8a도를 사용해서 표준기록모드시(25Mbps기록모드시)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한다. 표준기록모드시에는 SD규격에 정해진 표준 자기테이프 주행속도로 자기테이프가 구동되고,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드럼(25)의 1회전시마다 회전헤드(26a) 및 (26b)에 의해 2채널의 기록신호가 거의 동시에 자기테이프상에 기록된다(제6b도참조). 제32도는 표준기록모드시의 자기테이프상의 기록트랙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트랙피치는 10㎛로 되어 있다. 또, 기록트랙패턴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마찬가지로, 1/2배속 기록모드시(12.5Mbps기록모드시)의 경우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한다. 회전드럼(25)는 표준기록모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9000rpm으로 구동된다. 한편, 자기테이프의 주행속도는 표준기록모드시의 1/2배로 된다. 따라서, 표준기록모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회전드럼(25)의 1회전시마다 데이타를 기록하면, 자기테이프의 주행속도가 1/2배로 되어 있으므로, 회전헤드(26b)에 의해 전회에 기록된 데이타가 회전헤드(26a)에 의해서 오버라이트되어 버린다. 이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록모드에 관계없이 트랙피치가 10㎛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1/2배속 기록모드의 경우는 제8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채널의 기록신호의 데이타를 회전헤드(26a) 및 (26b)에 의해서 기록하므로, 2회전시마다 각 채널 모두 각각 1트랙분의 데이타가 거의 동시에 자기테이프상에 기록된다(제6b도참조).
다음에, 1/3배속 기록모드시(8.33Mbps기록모드시)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회전드럼(25)는 표준기록모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9000rpm으로 구동된다. 한편, 자기테이프의 주행속도는 표준기록모드시의 1/3배로 된다. 따라서, 표준기록모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회전드럼(25)의 1회전시마다 데이타를 기록하면, 자기테이프의 주행속도가 1/3배로 되어 있으므로, 전회에 기록된 데이타가 회전헤드(26a) 및 (26b)에 의해서 오버라이트되어 버린다. 따라서, 1/3배속 기록모드의 경우는 제8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채널의 기록신호를 회전헤드(26a) 및 (26b)에 의해서 기록하므로, 3회전시마다 각 채널 모두 각각 1트랙분의 데이타가 거의 동시에 자기테이프상에 기록된다(제8b도참조).
다음에, 1/4배속 기록모드시(6.25Mbps기록모드시)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회전드럼(25)는 표준기록모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9000rpm으로 구동된다. 한편, 자기테이프의 주행속도는 표준기록모드시의 1/4배로 된다. 따라서, 표준기록모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회전드럼(25)의 1회전시마다 데이타를 기록하면, 자기테이프의 주행속도가 1/4배로 되어 있으므로, 전회에 기록된 데이타가 회전헤드(26a) 및 (26b)에 의해서 오버라이트되어 버린다. 따라서, 1/4배속 기록모드의 경우는 제8D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채널의 기록신호를 회전헤드(26a) 및 (26b)에 의해서 기록하므로, 4회전시마다 각 채널 모두 각각 1트랙분의 데이타가 거의 동시에 자기테이프상에 기록된다(제6B도참조).
다음에, 제14도∼제20도를 사용해서 본 실시예 1의 각 기록모드시의 기록포맷을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회전헤드(26a)에 의해서 기록한 트랙을 A트랙, 회전헤드(26b)에 의해 기록한 트랙을 B트랙이라 한다. 제15도에 있어서, T1은 A채널의 회전헤드(26a)에 의해서 기록되는 제1 트랙, T2는 B채널의 회전헤드(26b)에 의해서 기록되는 제2 트랙, T3은 A채널의 회전헤드(26a)에 의해서 기록되는 제3 트랙, T4는 B채널의 회전헤드(26b)에 의해서 기록되는 제4 트랙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 1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트랙 ∼ 제4 트랙의 4개의 트랙을 1단위(1트랙포맷)로 해서 자기테이프상에 데이타를 기록한다. 제5도에 있어서, 트랙의 아래쪽에 기록한 f0, f1, f2는 재생시에 트랙킹제어를 실행하기 위한 기준신호로서 각 트랙에 기록되는 파일럿신호의 종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에서는 비디오에리어내의 C2검사부호기록에리어 및 VAUX데이타 기록에리어를 제외한 135싱크블럭의 비디오에리어에 통상 재생용 데이타 및 특수재생용 데이타가 기록된다.
제15도에 있어서, A0∼A4는 18배속 재생용 데이타 기록에리어의 자기테이프상에서의 배치를 나타낸다. 각 18배속 재생용 데이타 기록에리어(A0∼A4)는 5싱크블럭의 폭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18배속 재생용 데이타 기록에리어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A트랙상(T1 및 T3)에 5개소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동일부호를 붙인 에리어에는 동일한 데이타가 기록된다.
마찬가지로, 도면에 있어서, B0은 4배속 재생용 데이타기록에리어의 자기테이프상에서의 배치를 나타낸다. 4배속 재생용 데이타기록에리어는 25싱크블럭의 폭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4배속 재생용 데이타 기록에리어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T2트랙상에 1개소 마련되어 있다.
또한, 각 데이타기록에리어에 할당된 싱크블럭수는 제14도에 도시하는 데이타에 따라서 결정하였다. 즉, 제14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25Mbps기록모드에 있어서 4배속 재생시에는 1트랙에서 62싱크블럭의 데이타를 얻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12.5Mbps기록모드시의 4배속 재생시에는 124싱크블럭, 8.33Mbps기록모드시의 6배속 재생시에는 112싱크블럭, 6.25Mbps기록모드시의 8배속 재생시에는 106싱크블럭의 데이타를 얻을 수 있다(따라서, B0에리어에 대해서는 62싱크블럭 이하로 한다). 또, 18배속 재생시에는 1트랙당 10.9싱크블럭을 얻을 수 있다(따라서, A0∼A4에리어에 대해서는 각각 10. 9싱크블럭 이하로 한다.) 이것에 따라서 구성한 각 특수재생속도에 대응하는 자기테이프상의 데이타배치가 제15도에 도시한 것이다(또한, 12.5Mbps기록모드로 기록된 데이타의 17배속 재생, 8.33Mbps기록모드로 기록된 데이타의 16.5배속재생 및 6.25Mbps기록모드로 기록된 데이타의 18배속재생시에는 실시예 1에 있어서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프 주행제어만 실행하고 위상제어는 실행하지 않으므로, 데이타기록에리어의 할당에 있어서는 이들 기록모드에 있어서 얻어진 싱크블럭수는 고려하지 않는다. 각 기록모드의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얻는 방법에 대해서는 재생계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하게 기술한다).
제15도에 도시한 1트랙포맷을 반복 기록하는 것에 의해 자기테이프상에 데이타를 기록해 간다. 이하, 각 기록모드의 기록포맷을 설명한다.
제16도에 25Mbps기록모드시의 실시예 1의 기록포맷을 도시한다. 실시예 1에서는 25Mbps기록모드로 데이타를 기록하는 경우에 B0에리어의 정보를 사용해서 4배속 재생을 실행하고, A0∼A4에리어의 정보를 사용해서 18배속의 고속재생을 실행한다. 이때,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B0에리어에 관해서는 동일한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2트랙포맷마다 반복 기록하고, A0∼A4의 에리어에 관해서는 동일한 데이타를 9트랙포맷마다 반복 기록한다. 따라서, B0에리어의 데이타에 관해서는 8트랙을 주기로 해서 동일 데이타가 2번 반복 기록되고, A0∼A4에리어에 관해서는 36트랙을 주기로 해서 동일 데이타가 18회 반복 기록된다.
또한, 제16도중에서 동일한 패턴으로 그려진 A0∼A4 및 B0에리어에는 동일한 특수재생용 데이타가 기록된다.
또, 25Mbps기록모드로 데이타를 기록하는 경우, 후술하는 서보계에 있어서는 자기테이프의 주행속도제어 및 회전헤드의 위상제어를 실행하여 고속재생을 실행한다. 또한, A0∼A4에리어내의 데이타를 8.5배속으로 재생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서보계에 있어서는 자기테이프의 주행속도만을 제어한다(제20도참조).
마찬가지로 제17도에 12.5Mbps기록모드시의 실시예 1의 기록포맷을 도시한다. 실시예 1에서는 12.5Mbps기록모드로 데이타를 기록하는 경우, B0에리어의 정보를 사용해서 4배속 재생을 실행하고, A0∼A4에리어의 정보를 사용해서 17배속 재생을 실행한다. 이때,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B0에리어에 관해서는 1트랙포맷마다 다른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기록하고, A0∼A4의 에리어에 관해서는 동일한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8.5트랙포맷마다 반복 기록한다. 따라서, B0에리어의 데이타에 관해서는 4트랙을 주기로 해서 동일한 특수재생용 데이타가 기록되고, A0∼A4에리어에 관해서는 34트랙을 주기로 해서 동일 데이타가 17회 반복 기록된다. 또한, 제17도중에서 동일한 패턴으로 그려진 A0∼A4 및 B0에리어에는 동일한 특수재생용 데이타가 기록된다.
또, 12.5Mbps기록모드로 데이타를 기록하는 경우, 후술하는 서보계에 있어서는 자기테이프의 주행속도제어 및 회전헤드의 위상제어를 실행하여 4배속재생을 실행한다. 또, 17배속 재생을 실행할 때에는 상기 서보계에 있어서는 자기테이프의 주행속도만을 제어한다(제20도참조).
마찬가지로, 제18도에 8.33Mbps기록모드시의 실시예 1의 기록포맷을 도시한다. 실시예 1에서는 8.33Mbps기록모드로 데이타를 기록하는 경우, B0에리어의 정보를 사용해서 6배속 재생을 실행하고, A0∼A4에리어의 정보를 사용해서 16.5배속 재생을 실행한다. 이때,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B0에리어에 관해서는 1트랙포맷마다 다른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기록하고, A0∼A4의 에리어에 관해서는 동일한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5.5트랙포맷마다 반복 기록한다. 따라서, B0에리어의 데이타에 관해서는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4트랙을 주기로 해서 동일한 특수재생용 데이타가 기록되고, A0∼A4에리어에 관해서는 22트랙을 주기로 해서 동일 데이타가 11회 반복 기록된다. 또한, 제18도중에서 동일한 패턴으로 그려진 A0∼A4 및 B0에리어에는 동일한 특수재생용 데이타가 기록된다.
또, 8.33Mbps기록모드로 데이타를 기록하는 경우, 후술하는 서보계에 있어서 자기테이프의 주행속도제어 및 회전헤드의 위상제어를 실행하여 6배속 재생을 실행한다. 또, 16.5배속 재생을 실행할 때에는 상기 서보계에 있어서는 자기테이프의 주행만을 제어한다(제20도참조).
마찬가지로, 제19도에 6.25Mbps기록모드시의 실시예 1의 기록포맷을 도시한다. 실시예 1에서는 6.25Mbps기록모드로 데이타를 기록하는 경우, B0에리어의 정보를 사용해서 8배속 재생을 실행하고, A0∼A4에리어의 정보를 사용해서 18배속 재생을 실행한다. 이때,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B0에리어에 관해서는 1트랙포맷마다 다른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기록하고, A0∼A4의 에리어에 관해서는 동일한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4.5트랙포맷마다 반복 기록한다. 따라서, B0에리어에 관해서는 4트랙을 주기로 해서 특수재생용 데이타가 1회 기록되고, A0∼A4에리어에 관해서는 18트랙을 주기로 해서 동일 데이타가 9회 반복 기록된다. 또한, 제19도중에서 동일한 패턴으로 그려진 A0∼A4 및 B0에리어에는 동일한 특수재생용 데이타가 기록된다(또한, 상세한 것은 후술하겠지만, 본 실시예 1에 있어서는 각 기록모드 모두 A0∼A4에리어에 10트랜스포트 패킷분의 특수재생용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으며, A0∼A4의 각각의 에리어에 2트랜스포트 패킷씩 기록된다).
또, 6.25Mbps기록모드로 데이타를 기록하는 경우, 후술하는 서보계에 있어서는 자기테이프의 주행속도제어 및 회전헤드의 위상제어를 실행하여 8배속 재생을 실행한다. 또, 18배속 재생을 실행할 때에는 상기 서보계에 있어서는 자기테이프의 주행속도만을 제어한다. 또한, 고속재생시의 동작의 셍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재생계의 설명에서 기술한다(제20도참조).
또, 상세한 것은 재생계에서 설명하겠지만, 제15도에 도시한 1트랙포맷의 데이타배치(기록포맷)에 의하면, 25Mbps기록모드로 데이타를 기록하는 경우, 4배속 및 18배속시에 회전헤드(26a) 및 (26b)가 자기테이프상의 ITI의 에리어와 서브코드의 에리어를 주사한다. 즉, 특수재생시에 ITI에리어에서 파일럿신호 f0, f1, f2를 사용해서 트랙킹을 제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서브코드에리어에서 시간정보나 아이템번호정보 등의 부가정보를 재생할 수 있다. 또, 12.5Mbps기록모드로기록된 데이타를 재생하는 17배속 재생, 8.33Mbps기록모드로 기록된 데이타를 재생하는 18배속시에는 서브코드에리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타를 재생할 수 있다.
다음에, 제1도∼제20도를 사용해서 기록계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입력단자(1)에서 입력된 트랜스포트 패킷은 헤더해석회로(10), 제1 메모리(13) 및 레이트판별회로(18)에 입력된다. 헤더해석회로(10)에서는 먼저 입력된 트랜스포트패킷에서 트랜스포트헤더를 검출하고, 트랜스포트헤더를 해석하여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에서 PAT(Program Association Table) 및 PMT(Program Map Table)을 분리하고, 디지탈VTR에 기록할 프로그램IP(PID)를 검출한다. 상기 PID정보는 제1 메모리(13) 및 레이트판별회로(18)로 출력한다.
또, 헤더해석회로(10)에서는 상기 검출된 PID에 따라서 기록할 프로그램의 비디오데이타가 기록되어 있는 트랜스포트패킷을 추출한다. 그리고, 헤더해석회로(10)에 의해 상기 트랜스포트패킷내의 데이타를 해석하여 시퀀스헤더, 픽쳐헤더, 슬라이스헤더 등의 헤더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헤더정보에 따라서 트랜스포트패킷에서 인트러화상데이타를 추출한다. 또한, 그 때 인트러화상데이타에 부가되어 있는 상기 각종 헤더정보 및 헤더정보에 부가되어 있는 부가정보도 분리한다.
또한, 시퀀스헤더라는 것은 비디오신호의 비트스트림중에 마련된 헤더정보로서, MPEG1인지 MPEG2인지의 식별정보, 화상의 애스펙트비 및 화상의 전송레이트정보 등이 부가되어 있다. 또, 픽쳐헤더라는 것은 각 프레임 또는 필드의 선두에 부가되어 있는 헤더로서, 각 프레임 또는 필드의 선두를 가키림과 동시에 부호화모드 등의 모드신호, 양자화테이블 등이 부가되어 있다. 또, MPEG2에서는 1프레임의 데이타를 전송할 때 1프레임(필드)의 화면을 여러개의 슬라이스로 구획해서 전송한다. 따라서, 슬라이스헤더는 그 선두를 가리킨다(각 헤더에 대한 상세한 것은 MPEG2의 도면 참조).
헤더해석회로(10)에 의해 검출된 상기 헤더정보 및 그것에 수반되는 부가정보(예를 들면, 양자화테이블정보 등)은 병렬/직렬변환회로(11), 제1 메모리(13), 4배속용 데이타 생성회로(14), 18배속용 데이타 생성회로(15) 및 레이트판별회로(18)로 출력된다. 또, 헤더해석회로(10)에 의해 추출된 인트러화상데이타는 병렬/직렬변환회로(11)로 출력된다.
레이트판별회로(18)에서는 상기 헤더해석회로(10)에서 추출된 기록할 프로그램의 PID정보에 따라서, 입력단자(1)을 거쳐서 입력된 트랜스포트패킷에서 기록할 프로그램의 트랜스포트패킷을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트랜스포트패킷에서 비디오데이타, 오디오데이타와 상기 비디오데이타 및 오디오데이타에 관한 디지탈데이타 등에 부가된 헤더정보를 해석하고, 각 데이타의 전송레이트를 검출하여 프로그램의 기록데이타레이트를 기록데이타제어회로(19)로 출력한다. 또한, 비디오데이타만의 전송레이트에 관해서는 헤더해석회로(10)에 의해 비디오데이타의 헤더해석을 실행할 때 동시에 검출해도 좋다.
레이트판별회로(18)에 의해 검출된 프로그램의 기록데이타레이트는 기록데이타 제어회로(19)에 입력된다. 제4도를 사용해서 기록데이타제어회로(19)의 동작을 설명한다. 입력단자(50)을 거쳐서 입력된 상기 기록데이타레이트는 기록모드설정회로(55)에 입력되고, 프로그램을 기록하는데 가장 적합한 기록모드를 상기 4종류의 기록모드중에서 선택한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의 기록데이타레이트가 5.5Mbps인 경우는 6.25Mbps기록모드를 선택하고, 기록데이타레이트가 9.0Mbps인 경우는 12.5Mbps기록모드를 선택한다.
기록모드설정회로(55)의 출력은 기록타이밍발생회로(56), 특수재생용 데이타부호량 설정회로(57) 및 서보계 기준신호 발생회로(58)에 입력된다. 서보계 기준신호 발생회로(58)에서는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을 제어할 때 필요로 되는 기준신호, 테이프주행속도정보, 트랙식별신호(트랙번호, 4트랙주기의 파일럿신호의 주파수정보 등)등을 발생시킨다. 또한, 본 실시예 1에서는 회전드럼(25)의 회전속도는 각 기록모드 모두 9000rpm으로 한다. 한편, 특수재생용 데이타부호량 설정회로(57)에서는 기록모드신호에 따라서 상기 B0에리어 및 A0∼A4에리어(제15도참조)에 기록할 특수재생용 데이타의 부호량 제어정보를 특수재생용 데이타생성회로(12), 제2 메모리(16) 및 제3 메모리(17)로 출력한다.
기록타이밍발생회로(56)에서는 선택된 기록모드와 상기 서보계 기준신호 발생회로(58)에서 출력되는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을 제어하는 기준신호에 따라서 각종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한편, 헤더해석회로(10)에 의해 검출된 인트러화상데이타(이하, 인트러프레임이라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1프레임을 단위로 해서 부호화된 데이타를 기록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는 병렬/직렬 변환회로(11)에서 병렬/직렬변환이 실시되어 1비트의 비트스트림데이타로 변환된다. 1비트의 직렬데이타로 변환된 상기 인트러프레임의 비트스트림데이타는 특수재생용 데이타생성회로(12)에 입력된다. 제2도를 사용해서 특수재생용 데이타생성회로(12)의 동작을 설명한다. MPEG2에 의한 화상압축 신호에 8라인×8화소의 블럭(이하, DCT블럭이라 한다)의 단위로 이산코사인변환(이하, DCT라 한다)을 실시하고, DCT가 실시된 데이타(이하, DCT계수라 한다)에 양자화를 실시한 후에 지그재그 주사에 의해 파워 스펙트럼의 신호가 집중하는 저역성분의 신호에서 순차 DCT계수를 리드하고, 계수0을 런으로 하는 런 렝스 부호화를 실시한다. 그리고, 상기 런 렝스 부호화가 실시된 데이타에 2차원의 가변길이부호화를 실시하여 전송데이타레이트를 삭감한다.
입력단자(35)를 거쳐서 입력된 인트러화상의 직렬데이타는 가변길이 복호회로(4), 데이타추출회로(6a) 및 데이타추출회로(6b)에 입력된다.
가변길이복호회로(4)에서는 입력된 비트스트림을 복호화한다. 본 실시예 1에서는 가변길이복호시에 입력 비트스트림을 완전히 복호화하지 않고, 가변길이부호어의 상기 런 렝스 길이 및 가변길이부호어의 부호길이만 검출하여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회로규모의 삭감을 도모하고 있다(또한, 완전히 가변길이복호를 실시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
카운터(5)에서는 상기 런 렝스 길이에 따라, 복호된 IDCT블럭내의 DCT계수의 수를 카운트하고, 데이타추출회로(6a) 및 (6b)로 카운트값을 출력한다.
데이타추출회로(6a)에서는 입력단자(36)을 거쳐서 특수재생용 데이타부호량 설정회로(57)에서 출력되는 4배속 재생용 데이타(또한, 본 실시예 1에서는 B0에리어에 기록하는 신호를 이하 편의상 4배속 재생용 데이타라 한다. 마찬가지로, A0∼A4에리어에 기록하는 신호를 이하 편의상 18배속 재생용 데이타라 한다)의 부호량 제어정보(전송하는 DCT계수의 갯수) 및 카운터(5)에서 출력되는 상기 카운트값에 따라서 전송하는 4배속 재생용 데이타의 가변길이부호어를 추출한다. 또한, 데이타의 추출타이밍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카운터(5)에서 출력되는 복호된 DCT계수의 수를 상기 입력단자(36)을 거쳐서 입력된 상기 부호량 제어정보와 비교한다. 그리고, 상기 DCT계수의 수가 상기 부호량 제어정보를 초과하기 전까지의 가변길이부호어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가변길이부호어간의 경계를 가변길이복호회로(4)에서 출력되는 부호길이정보에 따라서 검출한다.
데이타추출회로(6b)도 마찬가지로 상기 18배속 재생용 데이타의 부호량 제어정보와 카운터(5) 및 가변길이복호회로(4)에서 출력되는 정보에 따라서 18배속 재생용 데이타의 가변길이부호어를 추출한다. 추출된 데이타는 각 DCT블럭의 끝에 EOB부가회로(7a) 및 (7b)에 의해 EOB코드가 부가되어 각각 출력단자(37a) 및 (37b)에서 출력된다. 또한, 각 DCT블럭의 선두가 가변길이복호회로(4)에 의해 검출되어 카운터(5)와 데이타추출회로(6a) 및 (6b)로 출력된다.
이때 데이타를 추출하는 DCT계수의 수는 각 기록모드 또는 각 배속에서 동일해도 좋고, 달라도 좋다. 추출하는 DCT계수의 수가 각 기록모드 또는 각 배속에서 다르면, 특수재생용 트랜스포트패킷내에 기록되는 DCT블럭의 수도 다르다.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기록할 수 있는 에리어의 수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각 특수재생속도에 대한 상기 각 특수재생용 데이타 기록에리어가 동일 싱크블럭수일 때, 1DCT블럭당 DCT계수의 기록수를 증가시키면 기록하는 특수재생용 데이타 기록에리어가 많이 필요하게 되어, 고속재생시의 고속재생 화상데이타의 갱신주기(이후, 리프레시주기라 한다)가 길어진다. 또한, 재생화질은 DCT블럭당의 DCT계수의 기록수를 증가시킬수록 좋아진다. 반대로, 1DCT블럭당의 DCT계수의 기록수를 감소시키면 각 특수재생용 데이타의 1프레임당의 데이타량이 감소하여 특수재생용 데이타 기록에리어가 적어도 되므로, 고속재생화질의 리프레시가 짧아진다. 또한, 재생화질은 기록하는 DCT계수가 적어질수록 나빠진다. 이 리프레시주기와 화질의 트레이드 오프에 의해서, 각 기록모드 또는 각 배속에 있어서의 데이타의 추출량을 결정하면 좋다.
특수재생용 데이타생성회로(12)에서 출력된 4배속 재생용 데이타 및 18배속 재생용 데이타는 각각 4배속용 데이타생성회로(14) 및 18배속용 데이타생성회로(15)에 입력된다. 계속되는 처리는 각 재생속도(4배속 및 18배속)에 있어서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4배속 재생용 데이타의 생성방법에 대해서만 기술한다. 이하, 제3도를 사용해서 4배속용 데이타생성회로(14)의 동작을 설명한다. 4배속용 데이타생성회로(14)에서는 헤더해석회로(10)에서 입력되는 트랜스포트헤더정보 및 각종 헤더정보(부가정보 포함)와 특수재생용 데이타생성회로(12)에서 출력되는 4배속 재생용 데이타를 사용해서 4배속 재생용의 트랜스포트패킷을 생성한다. 입력단자(40)을 거쳐서 입력된 트랜스포트헤더정보는 트랜스포트헤더 수정회로(42)에 의해서 수정이 가해진다. 구체적으로는 헤더해석회로(10)에서 출력되는 인트러정보에 따라서 인트러화상을 전송해 온 트랜스포트패킷의 트랜스포트헤더중의 트랜스포트패킷의 연속성을 나타내는 헤더정보를 리라이트한다. 한편, 헤더부가회로(43)에서는 특수재생용 데이타생성회로(12)에서 출력되는 특수재생용 비트스트림에 시퀀스헤더, 픽쳐헤더, 슬라이스헤더 등의 헤더정보와 각 헤더중에서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복호할 때 필요하게 되는 정보(부호화모드 플래그 또는 양자화테이블정보 등)를 부가한다.
헤더정보가 부가된 특수재생용 데이타는 패킷화회로(44)에서 직렬/병렬변환이 실시되어 1바이트가 8비트인 데이타로 변환된다. 직렬/병렬변환이 실시된 8비트의 데이타는 184바이트씩 구획되어 트랜스포트패킷의 데이타부분이 구성된다. 또한, 직렬/병렬변환시에 각 헤더정보가 MPEG2로 규정되어 있는 바와 같이 4바이트로 구성되도록 각 헤더정보 앞에 0데이타가 삽입된다(각 헤더정보는 32비트로 구성되어 있고, 트랜스포트패킷을 생성할 때 트랜스포트패킷의 헤더를 트랜스포트패킷의 4바이트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헤더정보가 5바이트를 넘는 경우에는 헤더정보가 4바이트로 구성되도록 헤더 앞에 0정보를 삽입한다. 패킷화회로(44)에 의해 구성된 184바이트의 트랜스포트패킷 데이타는 트랜스포트헤더 수정회로(42)에서 출력되는 트랜스포트헤더정보가 부가되어 출력된다. 또한, 상기 트랜스포트헤더 수정회로(42)로 부터의 헤더정보의 리드는 패킷화회로(44)에서 출력되는 타이밍신호에 따라서 출력된다. 4배속용 데이타생성회로(14)에 의해서 생성된 4배속 재생용 데이타는 트랜스포트패킷 형식으로 제2 메모리(16)으로 출력된다.
상술한 것에서는 4배속 재생용 데이타의 트랜스포트패킷 형성방법에 대해서 기술하였지만, 18배속 재생용 데이타에도 마찬가지의 처리가 실시된다. 특수재생용 데이타생성회로(12)에서 출력된 18배속 재생용 데이타는 18배속용 데이타생성회로(15)에 입력된다. 18배속용 데이타생성회로(15)에서는 헤더부가회로(43)에 의해서 헤더해석회로(10)에서 출력되는 헤더정보에 따라 각 헤더 및 부가정보가 부가된 후, 패킷화회로(44)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이 직렬/병렬변환이 실시되어 트랜스포트패킷의 데이타부분이 구성된다. 그리고, 트랜스포트헤더부가회로(45)에 의해서 트랜스포트헤더수정회로(42)에서 출력되는 수정트랜스포트헤더가 부가되어 트랜스포트패킷 형식으로 제3 메모리(17)로 출력된다.
4배속용 데이타생성회로(14) 및 18배속용 데이타생성회로(15)에서 출력된 각각의 특수재생용 트랜스포트패킷데이타는 제2 메모리(16) 및 제3 메모리(17)에 입력된다. 이때, 제2 메모리(16) 및 제3 메모리(17)에서는 기록데이타제어회로(19)에서 출력되는 부호량정보에 따라서 1프레임분의 상기 특수재생용 데이타의 기록에리어를 설정한다. 제2 및 제3 메모리(16) 및 (17)에서는 입력된 데이타를 트랜스포트패킷 형식으로 상기 기억에리어에 기억하고, 1프레임(필드)의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구성한다.
각각 제2 메모리(16) 및 제3 메모리(17)에서 구성된 1프레임의 특수재생용 데이타는 데이타합성회로(20)에서 출력되는 데이타요구신호에 따라서 2개의 상기 특수재생용 트랜스포트패킷 단위로 메모리에서 리드되고, 제13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5싱크블럭의 데이타로 변환된 후, 데이타합성회로(20)으로 출력된다. 이때, 제13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더정보H1 및 H2가 부가된다.
한편, 입력단자(1)을 거쳐서 입력된 트랜스포트패킷은 제1 메모리(13)에 입력되어 기억된다. 제1 메모리(13)에서 데이타합성회로(2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데이타요구신호)에 따라서 입력된 데이타를 리드한다. 이때, 2트랜스포트패킷 단위로 입력된 데이타는 제13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5싱크블럭의 데이타로 전송된다. 또한, 특수재생용 데이타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 메모리(13)에서 상기 싱크블럭의 데이타를 출력할 때 상기 헤더정보H1 및 H2를 부가한다.
데이타합성회로(20)에서는 기록타이밍발생회로(56)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서 기록데이타포맷을 생성한다. 이하, 기록데이타포맷의 생성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록타이밍신호발생회로(56)에서는 기록모드설정회로(55)에서 출력되는 기록모드에 따라서 특수재생용 데이타의 반복횟수, 1조의 4트랙중에서 1트랙을 식별하는 트랙식별신호 및 트랙번호를 데이타합성회로(20)으로 출력한다. 데이타합성회로(20)에서는 상기 데이타반복횟수에 따라 4배속 재생용 데이타 및 18배속 재생용 데이타의 반복횟수를 설정한다. 또, 기록타이밍신호발생회로(56)에서는 서보계 기준신호 발생신호(58)에서 출력되는 상기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을 제어하는 기준신호 및 기록모드에 따라서 데이타합성회로(20) 및 에러정정부호회로(22)로 데이타생성개시신호를 출력한다. 제9a도∼제9m도는 각 기록모드에 있어서 기록타이밍신호발생회로(56)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9a도는 서보계 기준신호 발생신호(58)에서 출력되는 상기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을 제어하는 기준신호를 나타낸다. 제9b도는 25Mbps기록모드로 기록된 데이타생성개시신호를 나타낸다. 제9c도는 25Mbps기록모드시에 기록앰프(24a) 및 (24b)로 출력하는 데이타기록타이밍신호를 나타낸다(실제로는 기록앰프(24b)로 출력하는 상기 기록타이밍신호에 비해 회전헤드간(통상은 5싱크블럭정도)의 거리에 대응하는 시간만큼 지연된다). 제9d도는 25Mbps기록모드시의 각 채널의 데이타의 기록타이밍을 나타낸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25Mbps기록모드시에는 각종 제어신호가 회전드럼(25)의 1회전시마다 출력되고, 자기테이프상에 데이타가 기록된다.
제9e도는 12.5Mbps기록모드로 기록된 데이타생성개시신호를 나타낸다. 제9f도는 12.5Mbps기록모드시에 기록앰프(24a) 및 (24b)로 출력하는 데이타기록타이밍신호를 나타낸다. 제9g도는 12.5Mbps기록모드시의 각 채널의 데이타의 기록타이밍을 나타낸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12.5Mbps기록모드시에는 각종 제어신호가 회전드럼(25)의 2회전시마다 출력되고, 자기테이프상에 데이타가 기록된다.
제9h도는 8.33Mbps기록모드로 기록된 데이타생성개시신호를 나타낸다. 제9i도는 8.33Mbps기록모드시에 기록앰프(24a) 및 (24b)로 출력하는 데이타기록타이밍신호를 나타낸다. 제9j도는 8.33Mbps기록모드시의 각 채널의 데이타의 기록타이밍을 나타낸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8.33Mbps기록모드시에는 각종 제어신호가 회전드럼(25)의 3회전시마다 출력되고, 자기테이프상에 데이타가 기록된다.
제9k도는 6.25Mbps기록모드로 기록된 데이타생성개시신호를 나타낸다. 제9l도는 6.25Mbps기록모드시에 기록앰프(24a) 및 (24b)로 출력하는 데이타기록타이밍신호를 나타낸다. 제9m도는 6.25Mbps기록모드시의 각 채널의 데이타의 기록타이밍을 나타낸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6.25Mbps기록모드시에는 각종 제어신호가 회전드럼(25)의 4회전시마다 출력되고, 자기테이프상에 데이타가 기록된다(실제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록앰프(24b)로 출력하는 상기 기록타이밍신호는 기록앰프(24a)로 출력하는 상기 기록타이밍신호에 비해 회전헤드간(통상은 5싱크블럭정도)의 거리에 대응하는 시간만큼 지연된다.
데이타합성회로(20)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서 기록데이타포맷을 생성한다. 먼저, 데이타생성개시신호가 입력되면, 다음에 기록할 트랙의 트랙번호 및 1트랙포맷내의 트랙 식별번호에 따라서 생성되는 각 채널의 트랙상에 기록할 특수재생용 데이타의 종류 및 상기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기록할 에리어를 설정한다. 이때, 각 속도로 제생되는 특수재생용 데이타의 반복횟수를 확인한다. 그리고, 특수재생용 데이타가 소정횟수 반복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특수재생용 데이타가 기억되어 있는 메모리에서 다음의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리드하도록 데이타요구신호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25Mbps기록모드에서 18배속 재생용 데이타가 18회 반복해서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3 메모리(17)로 다음의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25싱크블럭만큼 출력하도록 데이타요구신호를 출력한다. 제3 메모리(17)에서 리드된 상기 25싱크블럭의 18배속 재생용 데이타는 데이타합성회로(20)내에 마련되어 있는 18배속 재생용 데이타 기록메모리내에 일단 기억된다. 마찬가지로, 25Mbps기록모드에서 4배속 재생용 데이타가 2회 반복해서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2 메모리(16)으로 다음의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25싱크블럭만큼 출력하도록 데이타요구신호를 출력한다. 제2 메모리(16)에서 리드된 상기 25싱크블럭의 4배속 재생용 데이타는 데이타합성회로(20)내에 마련되어 있는 4배속 재생용 데이타 기억메모리내에 일단 기억된다. 또한, 반복횟수가 소정횟수 이하인 경우에는 데이타합성회로(20)내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각 속도에 대한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사용해서 기록데이타를 생성한다. 마찬가지로 다른 기록모드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처리가 실시된다. 단, 각 특수재생용 데이타의 반복횟수는 기록모드에 따라 다르다.
상기 특수재생용 데이타의 반복횟수의 확인이 종료하면 트랙식별신호를 사용해서 1트랙내의 데이타배치를 설정한다. 트랙식별신호는 제15도에 도시한 T1∼T4의 트랙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신호이다. 또한, 본 실시예 1에서는 2트랙분의 데이타를 거의 동시에 기록하므로, 상기 트랙식별신호는 T1트랙인지 T3트랙인지를 나타낸다. 먼저, 회전헤드(26a)에 의해 기록할 트랙내의 데이타배치가 설정된다. 1트랙내의 데이타배치가 세트되면, 1싱크블럭 단위로 제1 메모리(13) 및 상기 데이타합성회로(20)에서 각 속도에 대한 특수재생을 데이타가 리드되어 1트랙분의 기록데이타가 생성되고 제4 메모리(21)로 출력된다.
회전헤드(26a)에 의해 기록할 1트랙분의 기록데이타의 생성이 종료하면, 회전헤드(26b)에 의해 기록할 1트랙분의 데이타의 생성을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실행한다.
데이타합성회로(20)에 의해 생성된 2트랙분의 기록데이타는 제4 메모리(21)에 일단 기억된다. 제4 메모리(21)에 기억된 각 채널의 기록데이타에는 에러정정부호회로(22)에 의해 SD규격에 의거한 에러정정부호가 생성되어 부가된다(제10a도 및 제10b도참조). 에러정정부호회로(22)에서는 기록타이밍발생회로(56)에서 출력되는 데이타생성개시신호에 따라서 상기 에러정정검사부호가 부가된 2트랙분의 데이타가 거의 동시에 리드되도록 리드제어신호를 제4 메모리(21)로 출력한다. 제4 메모리(21)에서는 상기 리드제어신호에 따라 각 채널의 1트랙분의 기록데이타를 리드한다. 이때, SD규격에 따른 트랙포맷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각 싱크블럭 사이에 싱크신호 및 ID신호가 부가되도록 5바이트분의 간격이 벌어짐과 동시에 ITI에리어, 서브코드에리어 및 각 데이타 사이의 갭 등이 소정량 벌어지고 재배치된 데이타가 출력된다. 제4 메모리(21)의 출력은 디지탈변조회로(23a) 및 (23b)에 입력된다.
디지탈변조회로(23a)및 (23b)에서는 먼저 각 싱크블럭의 선두에 싱크신호 및 ID신호를 부가한다. 또한, 본 실시예 1에서는 ID신호로서 상기 기록모드의 식별신호를 기록하는 것으로 한다. ID신호가 부가된 데이타는 디지탈변조가 실시되어 기록앰프(24a) 및 (24b)로 출력된다. 디지탈변조는 기록타이밍신호발생회로(56)에서 출력되는 트랙식별정보에 따라서 실시된다. 기록앰프(24a) 및 (24b)에 입력된 디지탈변조가 실시된 데이타는 증폭되어 회전헤드(26a) 및 (26b)를 거쳐서 자기테이프상에 기록된다.
다음에, 서보계의 동작을 설명한다. 서보계 기준신호발생회로(58)에서 출력되는 회전드럼(25)를 제어하는 기준신호는 드럼모터제어회로(27)에 입력된다. 드럼모터제어회로(27)는 드럼모터가 9000rpm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기준신호 및 드럼모터(28)에서 출력되는 회전헤드(26a) 및 (26b)의 회전위상정보에 따라서 드럼모터를 제어한다. 드럼모터(28)은 드럼모터제어회로(27)에서 출력되는 드럼모터의 구동전압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드럼모터(28)에서는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을 드럼모터제어회로(27)로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캡스턴모터제어회로(29)는 상기 회전드럼(25)를 제어하는 기준신호, 기록모드 및 캡스턴모터(30)에서 출력되는 캡스턴모터의 회전정보(자기테이프의 주행속도정보)에 따라서 캡스턴모터를 제어한다. 각 기록모드에 있어서의 자기테이프의 주행속도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25Mbps기록모드의 경우를 1로 하면, 12.5Mbps기록모드시에는 1/2배로, 8.33Mbps기록모드시에는 1/3배로, 6.25Mbps기록모드시에는 1/4배로 제어된다. 캡스턴모터제어회로(29)는 특정기록모드에 따라서 테이프주행속도가 상기한 바와 같이 설정되도록, 상기 회전드럼(25)를 제어하는 기준신호 및 캡스턴모터의 회전정보를 사용해서 캡스턴모터(30)을 구동하는 구동전압을 출력한다. 또한, 캡스턴모터(30)에서는 캡스턴모터의 회전정보가 캡스턴모터제어회로(29)로 출력된다.
다음에, 상기 기록포맷에 따라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는 자기테이프에서 데이타를 재생하는 디지탈VTR의 재생계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1도는 본 실시예 의 재생계의 블럭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제1도와 동일 부호를 붙인 것은 그 구성 및 동작이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제21도에 있어서, (60a) 및 (60b)는 재생앰프, (61a) 및 (61b)는 디지탈복조회로, (62)는 제5 메모리, (63)은 C1검사부호 및 C2검사부호를 사용해서 재생신호중의 에러의 정정 및 검출을 실행하는 에러정정복호회로이다. (64)는 통상 재생용의 재생디지탈신호를 기억하는 제6 메모리, (65)는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기억하는 제7 메모리, (66)은 제6 메모리(64)의 출력 또는 제7 메모리(65)의 출력을 후술하는 재생계 제어회로(68)에서 출력되는 선택신호에 따라서 선택하는 스위치, (67)은 디지탈 복조된 재생 디지탈신호에서 기록로 기록된 데이타의 기록모드를 검출하는 기록모드검출회로, (68)은 입력단자(69)를 거쳐서 입력되는 모드신호 및 상기 기록모드 검출결과에 따라서 드럼모터(28) 및 캡스턴모터(30)을 제어하는 기준신호를 발생함과 동시에 스위치(66)로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재생계 제어회로, (69)는 모드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단자, (70)은 출력단자이다.
이하, 재생계의 동작을 설명하기 전에 본 실시예 1에 도시한 디지탈VTR에서 4배속 재생용 데이타(B0에리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타)를 사용한 고속재생을 실행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또한, 4배속 재생용 데이타를 사용한 고속재생은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기테이프의 주행속도제어 및 회전헤드(26a) 및 (26b)의 위상제어를 실행한다.
제22도는 25Mbps기록모드로 기록된 데이타를 자기테이프에서 4배속으로 재생한 경우의 회전헤드(26b)의 주사궤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25Mbps기록모드로 데이타를 기록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4배속 재생용 데이타는 B채널의 트랙에 기록되고, 또 상술한 바와 같이 2트랙 포맷기간 동일한 데이타가 반복 기록된다(2개소의 기록에리어에 동일한 데이타가 기록된다). B0에리어의 중심에서 회전헤드(26b)의 재생출력이 최대로 되도록 회전헤드(26b)의 위상제어를 실행하면 제2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4배속 재생용 데이타를 모두 재생할 수 있다. 또, 25Mbps기록모드로 기록된 데이타를 자기테이프에서 4배속으로 재생할 때는 제2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헤드(26b)에 의해 서브코드에리어의 데이타도 재생할 수 있다. 또, 트랙킹도 ITI에리어에서 제어할 수 있다.
제23도는 12.5Mbps기록모드로 기록된 데이타를 자기테이프에서 4배속으로 재생한 경우의 회전헤드(26b)의 주사궤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12.5Mbps기록모드로 데이타를 기록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4배속 재생용 데이타는 1트랙포맷단위로 다른 특수재생용 데이타가 기록되고 있지만, B0에리어의 중심에서 회전헤드(26b)의 재생출력이 최대로 되도록 회전헤드(26b)의 위상제어를 실행하면 제2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4배속 재생용 데이타를 모두 재생할 수 있다.
제24도는 8.33Mbps기록모드로 기록된 데이타를 자기테이프에서 6배속으로 재생한 경우의 회전헤드(26b)의 주사궤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8.33Mbps기록모드로 데이타를 기록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4배속 재생용 데이타는 1트랙 포맷단위로 다른 특수재생용 데이타가 기록되고 있지만, B0에리어의 중심에서 회전헤드(26b)의 재생출력이 최대로 되도록 회전헤드(26b)의 위상제어를 실행하면 제2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4배속 재생용 데이타를 모두 재생할 수 있다.
제25도는 6.25Mbps기록모드로 기록된 데이타를 자기테이프에서 8배속으로 재생한 경우의 회전헤드(26b)의 주사궤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6.25Mbps기록모드로 데이타를 기록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4배속 재생용 데이타는 1트랙 포맷단위로 다른 특수재생용 데이타가 기록되고 있지만, B0에리어의 중심에서 회전헤드(26b)의 재생출력이 최대로 되도록 회전헤드(26b)의 위상제어를 실행하면 제2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4배속 재생용 데이타를 모두 재생할 수 있다.
다음에, 제26도∼제29도를 사용해서 본 실시예 1에 도시한 디지탈VTR에서 18배속 재생용 데이타(A0∼A4에리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타)를 사용한 고속재생을 실행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또한, 18배속 재생용 데이타를 사용한 고속재생은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25Mbps기록모드시에는 자기테이프의주행속도제어 및 회전헤드(26a) 및 (26b)의 위상제어를 모두 실행한다. 그 이외의 기록모드로 기록된 데이타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자기테이프의 주행속도제어만을 실행한다. 제26도는 25Mbps기록모드로 기록된 데이타를 자기테이프에서 18배속으로 재생한 경우의 회전헤드(26a)의 주사궤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25Mbps기록모드로 데이타를 기록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18배속 재생용 데이타는 A채널의 트랙에 기록되고, 또 상술한 바와 같이 9트랙 포맷기간 동일한 데이타가 반복해서 기록된다(18개의 트랙에 동일한 데이타가 기록된다). 따라서, 제2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18배속 재생용 데이타를 모두 재생할 수 있다. 또, 25Mbps기록모드로 기록된 데이타를 자기테이프에서 18배속으로 재생할 때는 제2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헤드(26a)에 의해 서브코드에리어의 데이타도 재생할 수 있다. 또, 트랙킹도 ITI에리어에서 제어할 수 있다.
이하, 25Mbps기록모드 이외의 기록모드로 기록된 데이타를 재생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30a∼g도는 12.5Mbps, 8.33Mbps 및 6.25Mbps기록모드로 기록된 데이타를 자기테이프에서 고속재생모드(A0∼A4에리어에서)로 재생했을 때의 회전헤드(26a)에서 출력되는 재생신호의 출력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30a도는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을 나타낸다. 제30b도는 12.5Mbps기록모드로 기록된 데이타를 17배속으로 재생했을 때의 회전헤드(26a)에서 출력되는 재생신호의 출력패턴을 나타낸다. 제30c도는 8.33Mbps기록모드로 기록된 데이타를 16.5배속으로 재생했을 때의 회전헤드(26a)에서 출력되는 재생신호의 출력패턴을 나타낸다. 제30d도는 6.25Mbps기록모드로 기록된 데이타를 18배속으로 재생했을 때의 회전헤드(26a)에서 출력되는 재생신호의 출력패턴을 도시한다.
제30e도는 12.5Mbps기록모드로 기록된 데이타를 17배속으로 재생했을 때의 회전헤드(26a)에서 출력되는 회전드럼(25)의 2회전 기간의 재생신호를 사용해서 합성한 데이타를 나타낸다. 제30f도는 8.33Mbps기록모드로 기록된 데이타를 16.5배속으로 재생했을 때의 회전헤드(26a)에서 출력되는 회전드럼(25)의 2회전 기간의 재생신호를 사용해서 합성한 데이타를 나타낸다. 제30g도는 6.25Mbps기록모드로 기록된 데이타를 18배속으로 재생했을때의 회전헤드(26a)에서 출력되는 회전드럼(25)의 2회전 기간의 재생신호를 사용해서 합성한 데이타를 나타낸다. 제30e도∼제30g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자기테이프의 주행속도를 상기한 바와 같이 설정하면, 각 기록모드에 있어서 회전헤드(26a)의 2주사기간의 데이타를 합성하는 것에 의해 1트랙내의 모든 싱크블럭어드레스의 데이타(또한, 재생될 데이타의 트랙어드레스는 동일하지 않다)를 재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12.5Mbps기록모드시로 기록된 데이타를 재생하기 위해 테이프주행속도를 ±(2×N+1)배속으로 설정하면 좋다. 단, 상술한 바와 같이, 특수재생데이타를 생성하여 자기테이프상의 미리 정해진 에리어에 기록하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특수재생용 데이타의 반복횟수(트랙수)를 M트랙(실시예 1의 기록포맷에서는 M=17이다. 또한, 4배속 재생용 데이타에 관해서는 M=1이다.)으로 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헤드(26a)의 2주사기간의 데이타를 합성하는 것에 의해 특수재생데이타가 생성되므로, 2×(2×N+1)≤M×2를 만족시키도록 N을 결정한다. 또한 상기 (2×N+1)이라는 조건은 회전헤드(26a)가 회전드럼의 1회전 후, 전회에 주사한 궤적의 정반대 방위의 궤적을 주사하는 조건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회의 방위효과 때문에 재생할 수 없었던 부분을 재생할 수 있는 조건으로 된다(제27도참조). 또, N은 정의 정수이다.
마찬가지로, 8.33Mbps기록모드로 기록된 데이타를 재생하기 위해 테이프 주행속도를 ±(3× N+3/2)배속으로 설정하면 좋다. 단, 상술한 바와 같이 특수재생데이타를 생성하여 자기테이프상의 미리 정해진 에리어에 기록하는 경우에는 특수재생용 데이타의 반복횟수(트랙수)를 M(실시예 1의 기록포맷에서는 M=11)로 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헤드(26a)의 2주사 기간의 데이타를 합성하는 것에 의해 특수재생데이타가 생성되므로, 2×(3×N+3/2)≤M×3을 만족시키도록 N을 결정한다. 또한, 상기(3×N+3/2)이라는 조건은 회전헤드(26a)가 회전드럼의 1회전 후, 전회에 주사한 궤적의 정반대 방위의 궤적을 주사하는 조건으로 되어 있다(제28도참조). 또, N은 정의 정수이다.
마찬가지로, 6.25Mbps기록모드로 기록된 데이타를 재생하기 위해 테이프 주행속도를 ±(4×N+2)배속으로 설정하면 좋다. 단, 상술한 바와 같이, 특수재생데이타를 생성하여 자기테이프상의 미리 정해진 에리어에 기록하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특수재생용 데이타의 반복횟수(트랙수)를 M(실시예 1의 기록포맷에서는 M=9)로 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헤드(26a)의 2주사 기간의 데이타를 합성하는 것에 특수재생데이타가 생성되므로, 2×(4× N+2)≤M×4를 만족시키도록 N을 결정한다. 또한, 상기 (4×N+2)라는 조건은 회전헤드(26a)가 회전드럼의 1회전후, 전회에 주사한 궤적의 정반대의 방위의 궤적을 주사하는 조건으로 되어 있다(제29도참조). 또, N은 정의 정수이다.
또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일반적으로 표준모드시의 테이프주행속도의 1/K배속으로 자기테이프를 공급하고, K회전시마다 한번 데이타를 자기테이프상에 기록하는 시스템(K는 1 이상의 정수)에 있어서, 속도제어만으로 고속재생을 실행할 때는 테이프주행속도를 ±K(N+1/2)배속으로 설정하면 좋다. 단, 상술한 바와 같이 특수재생데이타를 생성하여 자기테이프상의 미리 정해진 에리어에 기록하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특수재생용 데이타의 반복횟수(트랙수)를 M으로 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헤드의 2주사 기간의 데이타를 합성하는 것에 의해 특수재생데이타가 생성되므로, 2×{K×(N+1/2)≤M×K를 만족시키도록 N을 결정한다. 또한, 상기 K×(N+1/2)이라는 조건은 회전헤드(26)이 회전드럼의 1회전 후, 전회에 주사한 궤적의 정반대의 방위의 궤적을 주사하는 조건으로 되어 있다. 또, N은 정의 정수이다.
상기한 것을 고려해서, 12.5Mbps, 8.33Mbps 및 6.25Mbps기록모드시의 18배속 재생용 데이타(A0∼A4에리어에 기록된 데이타)를 사용한 고속재생의 경우를 설명한다. 제27도는 12.5Mbps기록모드로 기록된 데이타를 자기테이프에서 17배속으로 재생한 경우의 회전헤드(26a)의 주사궤적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제20도에 도시하였지만, 25Mbps기록모드 이외의 기록모드에서는 자기테이프의 주행제어만 실행하고, 회전드럼(25)의 위상제어는 실행하지 않는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12.5Mbps기록모드로 데이타를 기록하는 경우, 18배속 재생용 데이타가 8.5트랙포맷 주기로 A0∼A4에리어에 기록된다. 17배속으로 자기테이프를 주행하는 것에 의해 제30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신호가 얻어진다. 제30e도는 제30b도에 도시한 회전드럼(25)의 2회전 기간의 재생신호를 합성해서 얻어진 합성신호를 나타낸다. 종래예와 마찬가지로, -6dB이상의 데이타를 취득할 수 있다고 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모든 싱크블럭의 데이타를 재생할 수 있다. 따라서, A0∼A4에리어에 기록되어 있는 모든 데이타를 재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8.33Mbps의 경우(16.5배속재생)를 제28도 및 제30c 및 제30f도에 도시하고, 6.25Mbps의 경우(18배속재생)를 제29도 및 제30d도 및 제30g도에 도시한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쪽의 경우 모두 A0∼A4에리어에 기록되어 있는 모든 데이타(싱크블럭)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25Mbps기록모드로 데이타를 기록하는 경우, 고속재생시의 트랙킹을 ITI에리어에서 제어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18배속 재생의 경우는 상기 특수재생용 데이타 기록에리어중의 1개의 데이타 에리어에서 회전헤드의 트랙킹 위상을 검출해서 제어해도 좋고, 또 여러개의 상기 특수재생용 데이타 기록에리어에서 회전헤드의 트랙킹 위상을 검출해서 제어해도 좋다. 또, 4배속 재생에 대해서는 인접하는 A트랙상의 소정의 위치에서 회전헤드(26a)의 트랙킹위상을 검출해서 제어해도 좋다. 또, ITI에리어에서 트랙킹위상을 대강 조절하고 특수재생용 에리어에서 세밀하게 조절해도 좋다. 특히, 상술한 트랙킹제어방식은 호환재생(기록에 사용되는 장치와 호환가능한 장치에 의한 재생)의 경우에 효과가 있다.
다음에, 상기 재생계의 통상 재생모드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자기테이프에서 드럼(25)상의 회전헤드(26a) 및 (26b)를 거쳐서 재생된 데이타는 재생앰프(60a) 및 (60b)에 있어서 증폭되어 디지탈복조회로(61a) 및 (61b)에 입력된다. 또, 재생앰프(60a)의 출력은 캡스턴모터제어회로(29)로도 출력된다. 디지탈복조회로(61a) 및 (61b)에서는 입력된 재생데이타에서 데이타검출을 실행하고, 재생디지탈데이타로 변환한 후에 디지탈복조를 실시한다. 또한, 각 싱크블럭의 선두에 부가되어 있는 ID신호는 디지탈복조회로(61a) 및 (61b)에 의해 검출된다. 디지탈복조회로(61a) 및 (61b)에 의해 디지탈복조된 재생디지탈데이타는 제5 메모리(62)에 입력된다. 제5 메모리(62)에서는 1트랙분의 상기 재생디지탈데이타가 수집되어 제10a도 및 제10b도에 도시한 에러정정부호블럭이 구성된다. 제10a도 및 제10b도에 도시한 에러정정부호블럭의 구성이 종료하면, 에러정정복호회로(63)에 있어서 C1검사부호 및 C2검사부호를 사용해서 재생시에 발생한 에러의 정정 및 검출이 실행된다.
에러정정복호회로(63)에 의해 에러정정이 실행된 재생디지탈데이타는 제5 메모리(62)에서 리드되어 제6 메모리(64) 및 제7 메모리(65)로 출력된다. 이때, 특수재생용 데이타 기록에리어에서 재생된 특수재생용 데이타(4배속 재생용 데이타 및 18배속 재생용 데이타)는 제7 메모리(65)에 입력되고, 통상재생용의 재생디지탈데이타는 제6 메모리(64)에 입력된다.
한편, 디지탈복조회로(61a) 및 (61b)에 의해서 검출된 ID신호는 기록모드검출회로(67)에 입력된다. 기록모드검출회로(67)는 재생된 ID신호에서 데이타의기록모드를 판별한다. 재생계 제어회로(68)는 입력단자(69)에서 출력되는 모드신호에 따라 디지탈VTR의 재생모드를 판별한다. 입력된 모드신호가 통상재생모드인 경우, 재생계 제어회로(68)는 드럼모터제어회로(27)로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의 기준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ID신호에서 분리된 기록모드의 판별결과에 따라서 캡스턴모터제어회로(29)로 테이프주행속도정보를 출력한다.
스위치(66)은 재생계 제어회로(68)에서 출력되는 선택정보에 따라서 통상재생시에는 제6 메모리(64)의 출력을 선택한다. 데이타리드시에는 제6 메모리(64)에 제13b도에 도시한 싱크블럭포맷으로 기록된 통상재생용 데이타에서 헤더정보H1 및 H2가 삭제되고 트랜스포트패킷이 복원되어 스위치(66)으로 출력된다. 제6 메모리(64)에서 출력된 통상재생용 데이타는 스위치(66)을 거쳐서 입력되어 출력단자(70)를 통해서 출력된다.
다음에, 통상재생시의 서보계의 동작을 설명한다. 재생계 제어회로(68)는 기록모드검출회로(67)에서 출력되는 기록모드 검출결과에 따라서 캡스턴모터(30)의 테이프주행속도정보를 캡스턴모터제어회로(29)로 출력함과 동시에, 기록모드 검출결과에 따라서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의 제어의 유무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또한, 통상재생모드로 각 기록모드로 기록된 데이타를 재생하는 경우, 위상제어를 필요로 하는 것은 물론이다). 한편, 재생계 제어회로(68)에서 출력되는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의 기준신호는 드럼모터제어회로(27)에 입력된다.
드럼모터제어회로(27)는 드림모터가 9000rpm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기준신호 및 드럼모터(28)에서 출력되는 회전헤드(26a) 및 (26b)의 회전위상정보에 따라서 드럼모터를 제어한다. 드럼모터(28)은 드럼모터제어회로(27)에서 출력되는 드럼모터의 구동전압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드럼모터(28)에서는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을 드럼모터제어회로(27)로 출력한다. 또, 재생시에는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정보가 드럼모터제어회로(27)에서 캡스턴모터제어회로(29)로 출력된다.
캡스턴모터제어회로(29)는 상기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정보, 기록모드, 테이프주행속도정보, 재생앰프(60a)에서 출력되는 재생신호 및 캡스턴모터(30)에서 출력되는 캡스턴모터의 회전정보(자기테이프의 주행속도정보)에 따라서 캡스턴모터를 제어한다. 각 기록모드에 있어서의 자기테이프의 주행속도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25Mbps기록모드의 경우를 1로 하면, 12.5Mbps기록모드시에는 1/2배로, 8.33Mbps기록모드시에는 1/3배로, 6.25Mbps기록모드시에는 1/4배로 제어된다. 통상재생모드시에는 캡스턴모터제어회로(29)는 통상기록모드에 따라서 테이프주행속도가 상기한 바와 같이 되도록 자기테이프의 주행속도를 제어한다. 또, 캡스턴모터제어회로(29)는 상기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정보 및 ITI에리어에 기록되어 있는 ATF정보를 사용해서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을 검출하여 위상제어도 실행한다. 또한, 캡스턴모터(30)에서는 캡스턴모터의 회전정보가 캡스턴모터제어회로(29)로 출력된다.
다음에, 고속재생시의 동작을 설명한다. 자기테이프에서 드럼(25)상의 회전헤드(26a) 및 (26b)를 거쳐서 간헐적으로 재생된 데이타는 재생앰프(60a) 및 (60b)에 있어서 증폭되어 디지탈복조회로(61a) 및 (61b)에 입력된다. 또, 재생앰프(60a) 및 (60b)의 출력은 캡스턴모터제어회로(29)로도 출력된다. 디지탈복조회로(61a) 및 (61b)에서는 입력된 재생데이타에서 데이타검출을 실행하고, 재생디지탈데이타로 변환한 후 디지탈복조를 실시한다. 또한, 각 싱크블럭의 선두에 부가되어 있는 ID신호는 디지탈복조회로(61a) 및 (61b)에 있어서 디지탈복조된 재생디지탈데이타는 제5 메모리(62)에 입력된다. 고속재생시에는 예를 들면 제30b도∼제30d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트랙에서 회전헤드(26a) 및 (26b)에 의해 간헐적으로 데이타가 재생되기 때문에, 1트랙분의 데이타를 수집해서 제10a도 및 제10b도에 도시한 에러정정부호블럭을 구성할 수는 없다. 따라서, 고속재생시에는 C2검사부호에 의한 에러정정은 실행하지 않는다.
제5 메모리(62)에 데이타가 입력되면, 디지탈복조회로(61a) 및 (61b)에서 출력되는 ID신호에 따라 고속재생용 데이타의 상기 기록에리어를 분리하고 특수재생용 데이타만을 일단 제5 메모리(62)내에 기억한다. 또한, 본 실시예 1에서는 B0에리어에 기록된 데이타를 재생하는 고속재생모드의 경우는 재생앰프(60b) 및 디지탈복조회로(61b)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를 사용하여 각종 제어를 실행한다. A0∼A4에리어에 기록된 데이타를 재생하는 고속재생모드의 경우에는 재생앰프(60a) 및 디지탈복조회로(61a)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를 사용해서 각종 제어를 실행한다.
제5 메모리(62)에 기억된 특수재생용 데이타는 1싱크블럭을 단위로 해서 에러정정복호회로(63)에서 입력된 C1검사부호에 의해 에러정정이 실시되고, 고속재생시에 발생한 에러의 정정 및 검출이 실행된다. 에러정정복호회로(63)에 의해 에러정정이 실시된 데이타는 제5 메모리(62)에서 순차 리드되어 제7 메모리(65)에 입력된다. 또한, 제5 메모리(62)의 출력은 제6 메모리(64)에도 입력되지만, 고속재생시에는 데이타는 라이트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ID정보에서 추출된 트랙번호 및 싱크블럭번호와 입력된 특수재생용 데이타에 기록되어 있는 제13a도에 도시한 헤더정보H1 및 H2에 따라서, 재생되어 온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제7 메모리(65)내의 소정의 어드레스에 기록한다. 또한, 제7 메모리(65)내의 1프레임의 특수재생용 데이타의 기억에리어는 기록모드검출회로(67)에서 출력되는 기록모드신호에 따라서 결정된다. 제7 메모리(65)에 제13b도에 도시한 싱크블럭포맷으로 기억된 특수재생용 데이타는 데이타리드시에 5싱크블럭 단위로 리드되고, 헤더정보H1 및 H2가 삭제되어도 트랜스포트패킷의 상태로 스위치(66)으로 출력된다. 제7 메모리(65)에서 출력된 특수재생용 데이타는 스위치(66)을 거쳐서 출력단자(70)에서 출력된다.
다음에, 고속재생시의 서보계의 동작을 설명한다. 디지탈복조회로(61a) 및 (61b)에 의해 검출된 ID신호는 기록모드검출회로(67)에 입력된다. 기록모드검출회로(67)는 재생된 ID신호에 따라서 데이타의 기록모드를 검출한다. 재생계 제어회로(68)는 입력단자(69)에서 입력되는 모드신호에 따라 디지탈VTR의 재생모드를 판별한다. 재생계 제어회로(68)는 입력된 모드신호가 고속재생모드였던 경우는 스위치(66)으로 제7 메모리(65)의 출력을 선택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서보계로 각종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하, B0에리어에 기억된 데이타를 사용한 고속재생시의 서보계의 제어방식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B0에리어를 사용한 고속재생시에는 각 기록모드 모두 자기테이프의 주행속도 및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의 제어도 실행한다. 따라서, 재생계 제어회로(68)는 드럼모터제어회로(27)로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의 제어에 사용되는 기준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ID신호에서 추출한 기록모드의 판별결과에 따라서 캡스턴모터제어회로(29)로 테이프주행속도정보를 출력한다.
드럼모터제어회로(27)는 회전드럼이 9000rpm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기준신호 및 드럼모터(28)에서 출력되는 회전헤드(26a) 및 (26b)의 회전위상정보에 따라서 드럼모터를 제어한다. 드럼모터(28)은 드럼모터제어회로(27)에서 출력되는 드럼모터의 구동전압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드림모터(28)에서는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을 드럼모터제어회로(27)로 출력한다. 또, 재생시에는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정보가 드럼모터제어회로(27)에서 캡스턴모터제어회로(29)로 출력된다.
캡스턴모터제어회로(29)는 상기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정보, 기록모드 및 테이프주행속도정보, 재생앰프(60b)에서 출력되는 재생신호 및 캡스턴모터(30)에서 출력되는 캡스턴모터의 회전정보(자기테이프의 주행속도정보)에 따라서 캡스턴모터를 제어한다. 또한, 본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위상제어는 드럼모터제어회로(27)에서 출력되는 회전드럼의 회전위상정보에 따라서 자기테이프상의 상기 B0에리어의 중앙부분의 재생출력이 최대로 되도록 트랙킹제어에 의해 실행한다. 캡스턴모터제어회로(29)는 자기테이프의 주행속도를 상기 테이프주행속도정보에 따라서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을 상술한 방식으로 제어한다. 또한, 25Mbps기록모드로 기록된 데이타를 재생하기 위해, ITI에리어를 4배속 재생시에 주사하므로, ITI에리어에 기록되어 있는 ATF정보를 사용해서 회전위상을 검출하여 위상제어를 실행해도 좋다. 또한, 캡스턴모터(30)에서는 캡스턴모터(30)의 회전정보가 캡스턴모터제어회로(29)로 출력된다.
다음에, 25Mbps기록모드로 기록된 데이타를 자기테이프에서 재생하는 18배속의 고속재생시의 서보계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25Mbps기록모드로 기록된 데이타를 A0∼A4에리어에서 재생하는 18배속 재생시의 서보계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25Mbps기록모드시에는 ITI에리어에서 트랙킹위상의 오차를 검출하여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을 제어할 수 있도록 기록데이타가 배치되어 있다.
즉, 18배속 재생시의 특수재생용 데이타의 재생데이타레이트를 충분히 취하기 위해, 회전헤드(26a)의 주사궤적을 따라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배치하고 있다.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프의 주행제어만으로 고속재생을 실행할 수 있는 8.5배속 재생시에는 재생데이타레이트가 자기테이프의 속도제어 및 회전위상의 제어를 실행한 경우의 약1/2로 되어 있다. 특히, 기록레이트가 높은 표준기록모드에서는 1프레임당의 인트러화상데이타의 데이타량도 다른 기록레이트에 비해서 데이타량이 많은 것이 예상된다. 즉, 표준기록모드의 경우에는 고속재생용 데이타의 데이타레이트를 다른 기록모드에 비해 충분히 크게 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 1에서는 적어도 표준기록모드에 대해서는 고속재생시에 상기 고속재생용 데이타의 기록에리어를 회전헤드(26)의 주사궤적을 따라 배치하는 기록포맷을 취하고 있다.
이하, 25Mbps기록모드시의 18배속 재생용 데이타를 사용한 고속재생시의 서보계의 제어방식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18배속 재생시에는 자기테이프의 주행속도 및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의 제어도 실행한다. 따라서, 재생계 제어회로(68)는 드럼모터제어회로(27)로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의 기준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ID신호에서 추출한 기록모드의 판별결과에 따라서 캡스턴모터제어회로(29)로 테이프주행속도정보를 출력한다.
드럼모터제어회로(27)는 드럼모터가 9000rpm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기준신호 및 드럼모터(28)에서 출력되는 회전헤드(26a) 및 (26b)의 회전위상정보에 따라서 드럼모터를 제어한다. 드럼모터(28)은 드럼모터제어회로(27)에서 출력되는 드럼모터의 구동전압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드럼모터(28)에서는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을 드럼모터제어회로(27)로 출력한다. 또, 재생시에는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정보가 드럼모터제어회로(27)에서 캡스턴모터제어회로(29)로 출력된다.
캡스턴모터제어회로(29)는 상기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정보, 기록모드, 테이프주행속도정보, 재생앰프(60a)에서 출력되는 재생신호 및 캡스턴모터(30)에서 출력되는 캡스턴모터의 회전정보(자기테이프의 주행속도정보)에 따라 캡스턴모터를 제어한다. 또한, 본 실시예 1에 있어서의 25Mbps기록모드시의 위상제어는 드럼모터제어회로(27)에서 출력되는 회전드럼의 회전위상정보에 따라서 자기테이프상의 상기 ITI에리어를 검출하여 ITI에리어에서의 트랙킹상태를 샘플링하고, 트랙킹위상이 오차를 검출한다. 캡스턴모터제어회로(29)는 자기테이프의 주행속도를 상기 테이프주행속도정보에 따라서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을 상술한 방식으로 검출하고 제어한다. 또한, 캡스턴모터(30)에서는 캡스턴모터(30)의 회전정보가 캡스턴모터제어회로(29)로 출력된다.
다음에, 25Mbps기록모드 이외의 기록모드로 기록된 자기테이프에 있어서의 18배속 재생용 데이타를 사용한 고속재생시의 서보계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27도∼제29도는 각 기록모드시의 회전헤드(26a)의 주사궤적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25Mbps기록모드 이외의 기록모드에 있어서는 A0∼A4에리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타의 고속재생시에는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의 제어는 실행하지 않고, 자기테이프의 주행속도만 제어한다(특수재생용 데이타의 합성방법은 앞에서도 설명하였지만 회전헤드(26a)의 2주사 기간의 데이타를 사용해서 데이타를 합성한다. 제30도참조).
이하, 25Mbps기록모드 이외의 기록모드시의 18배속 재생용 데이타를 사용한 고속재생시의 서보계의 제어방식에 대해서 설명한다. 재생계 제어회로(68)는 드럼모터제어회로(27)로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의 기준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ID신호에서 추출한 기록모드의 판별결과에 따라 캡스턴모터제어회로(29)로 테이프주행속도정보를 출력한다.
드럼모터제어회로(27)는 드럼모터가 9000rpm으로 회전하도록 상기기준신호 및 드럼모터(28)에서 출력되는 회전헤드(26a) 및 (26b)의 회전위상정보에 따라서 드럼모터를 제어한다. 드럼모터(28)는 드럼모터제어회로(27)에서 출력되는 드럼모터의구동전압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드럼모터(28)에서는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을 드럼모터제어회로(27)로 출력한다.
캡스턴모터제어회로(29)는 상기 기록모드, 테이프주행속도정보, 재생계 제어회로(68)에서 출력되는 기준신호 및 캡스턴모터(30)에서 출력되는 캡스턴모터의 회전정보(자기테이프의 주행속도정보)에 따라서 캡스턴모터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재생계 제어회로(68)에서 출력되는 기준신호는 드럼모터(28)을 제어하는 것과 동일해도 좋다. 이 기준신호를 사용하여 자기테이프의 주행속도제어용의 테이프주행속도를 결정한다. 캡스턴모터(30)에서는 캡스턴모터(30)의 회전정보가 캡스턴모터제어회로(29)로 출력된다.
본 실시예 1에 도시한 디지탈VTR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기록레이트가 다른 신호를 동일한 기록포맷(트랙포맷)으로 기록할 수 있자. 따라서, 기록계의 회로규모를 크고 또한 복잡하게 하는 일 없이 여러가지의 기록레이트로 입력데이타를 효율좋게 기록할 수 있다. 또한, 각 고속재생속도에 대응한 특수재생용 데이타의 재생데이타레이트를 충분히 크게 설정할 수 있어 고속재생시의 재생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특수재생용 데이타의 반복횟수를 기록모드에 의해 전환하였으므로, 각 기록모드에 있어서 효율좋게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기록할 수 있고, 특수재생용 데이타의 재생데이타레이트를 향상시킬 수 있어 고속재생시의 재생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고속재생시에 각 기록모드로 기록된 데이타를 재생할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서보계의 동작을 매우 간략화(예를 들면, 4배속 재생용 데이타를 사용하는 특수재생에서는 각 기록모드 모두 B0에리어에서 재생출력이 최대로 트랙킹제어를 실행한다. 또, 25Mbps기록모드를 제외한 모든 기록모드에서는 A0∼A4에리어를 사용해서 고속재생을 실행할 때에는 자기테이프의 테이프주행제어만을 실행하면 좋다)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각 기록모드 모두 트랙포맷이 동일하므로 재생계의 회로규모도 대폭으로 삭감할 수 있다.
또, 표준기록모드시에는 특수재생용 데이트의 재생데이타레이트를 충분히 취하기 위해, 본 실시예 1에서는 상기 특수재생용 데이타 기록에리어를 회전헤드(26)의 주사궤적을 따라 배치하였다. 이것에 의해, 기록레이트가 높은 표준기록모드에서는 1프레임당의 인트러화상데이타의 데이타량도 다른 기록레이트에 비해서 데이타량이 많은 것이 예상된다. 즉, 표준기록모드에 있어서는 고속재생시의 재생화질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고속재생시의 재생데이타레이트를 다른 기록모드에 비해 충분히 크게 취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 1에서는 적어도 표준기록모드에 대해서는 고속재생시에 상기 고속재생용 데이타의 기록에리어를 회전헤드(26)의 주사궤적을 따라 배치한다. 이것에 의해, 최대의 효율로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배치할 수 있고, 고속재생시의 재생데이타레이트를 향상시킬 수 있어 고속재생시의 재생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표준모드시의 1/K배의 테이프주행속도로 K회전시마다(K는 1이상의 정수) 한번 데이타를 자기테이프상에 기록하는 디지탈VTR에 있어서, 속도제어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고속재생을 실행할 때는 테이프주행속도를 ±K×(N+1/2)배속으로 설정하면 좋다. 단, 상술한 바와 같이 특수재생데이타를 생성하여 자기테이프상의 미리 정해진 에리어에 기록하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특수재생용 데이타의 반복횟수(트랙수)를 M으로 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헤드의 2주사 기간의 데이타를 합성하는 것에 의해 특수재생데이타가 생성되므로, 2×{K×(N+1/2)}≤M×K를 만족시키도록 N을 결정한다. 또한, 상기 K×(N+1/2)이라는 조건은 회전헤드가 회전드럼의 1회전 후, 반대의 방위의 궤적을 주사하는 조건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2×{K×(N+1/2)}≤M×K라는 조건은 종래예에서도 기술하였지만, 반복횟수와 테이프 최대속도의 관계에 의해 결정되는 조건이다. 또, N은 정의 정수이다.
또, 본 실시예 1에서는 각 기록모드에 있어서 특수재생시에 회전드럼(25)를 9000rpm으로 제어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수재생시에 회전헤드(26a) 및 (26b)와 자기테이프의 상대속도를 서로 일치시키기 위해 드럼의 회전수를 약간 변화시키는 경우가 있지만, 이 경우에도 자기테이프의 주행속도를 대략 ±K×(N+1/2)배속으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는 드럼회전수를 (1+r/R)배속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상기 테이프주행속도를 대략 ±(r+R)/R×K×(N+1/2)배속으로 설정하면, 회전헤드(26a)의 주사궤적이 제27도∼제29도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게 되어,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예에서는 자기테이프의 주행속도만을 제어하여 고속재생을 실행하므로, 고속재생속도에 약간의 편차를 갖고 있어도 좋고, 테이프주행속도를 대략 기록시의 ±K×(N+1/2)배로 설정하면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에서는 12.5Mbps기록모드시의 테이프주행속도를 17배속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는 속도라면 15배속, 13배속 등이라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8.33Mbps기록모드시의 테이프주행속도를 16.5배속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는 속도라면 13.5배속, 10.5배속 등이라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6.25Mbps기록모드시의 테이프주행속도를 18배속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는 속도라면 14배속, 10배속 등이라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에서는 기록포맷으로서 제15도에 도시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 포맷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입력데이타에서 분리하여 기록매체상의 미리 정해진 에리어에 기록하는 기록포맷을 갖는 디지탈신호기록장치, 재생장치 또는 기록재생장치(디지탈VTR, 디지탈디스크플레이어 등)에 있어서, 동일한 기록포맷을 사용하여 특수재생용 데이타의 반복횟수를 기록모드에 따라서 전환하는 것에 의해, 고속재생시의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효율좋게 기록할 수 있고, 고속재생시에 상기 특수재생용 데이타의 재생데이타레이트를 향상시킬 수 있어 고속재생시의 재생화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기록데이타는 ATV신호 또는 DVB신호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MPEG2를 기본으로 해서 비디오신호를 압축하는 일본의 경우는 ISDB신호 또는 MPEG1에 의해 압축된 신호를 기록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물론이다. 또, 고속재생시의 재생속도에 대해서도 4배속, 18배속 등 제20도에 도시한 속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디지탈신호 기록장치에 요구되는 재생속도에 맞게 상기 특수재생용 데이타기록에리어 및 고속재생속도를 설정하고 동일한 트랙포맷으로 입력데이타를 기록하면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MPEG2로 대표되는 트랜스포트패킷형식으로 전송된 데이타를 상기 SD규격으로 대표되는 디지탈VTR에 기록할 때, 실시예 1에서는 2개의 트랜스포트패킷을 5싱크블럭포맷으로 변환해서 기록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싱크블럭포맷을 생성할 때, 상기 입력된 m개의 트랜스포트패킷을 n싱크블럭으로 변환해서 기록해도 좋다(m 및 n은 정의 정수). 또, 기록매체상의 상기 변환된 싱크블럭포맷의 데이타를 기록할 때, 동일 트랙상에 상기 n싱크블럭의 데이타가 배치되도록 기록매체상에 기록포맷을 구성하는 것에 의해, 트랜스포트패킷의 데이타를 효율좋게 싱크블럭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동일 트랙내에서 상기 n싱크블럭의 데이타가 완결되므로, 재생시, 싱크블럭포맷의 데이타를 트랜스포트패킷의 데이타로 변환할 때, 트랙의 식별신호 등의 트랙정보와 싱크블럭번호를 사용해서 간단히 상기 n싱크블럭포맷의 조를 서로 분리할 수 있다. 또, n싱크블럭의 식별신호를 기록할 필요도 없어 데이타의 기록에리어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1싱크블럭의 길이도 제11도에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4배속 재생용 데이타 기록에리어, 18배속 재생용 데이타 기록에리어의 배치 또는 에리어수는 상기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트랙주기도 4트랙주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실시예 1에서는 25Mbps기록모드(표준모드)로 기록된 데이타를 생성하는 고속재생속도로서 4배속 또는 18배속을 선정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배속수라도 회전헤드(26a) 및 (26b)의 주사궤적상에 특수재생용 데이타 기록에리어를 배치하면,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25Mbps기록모드시에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기록포맷으로 데이타를 기록하는 경우, 고속측의 고속재생속도를 8.5배속으로 설정해도 좋고, 테이프의 주행속도의 제어만으로 실현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또, 본 실시예 1에서는 표준기록모드를 25Mbps기록모드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50Mbps기록모드 또는 12.5Mbps기록모드를 표준기록모드로 하더라도, 각 기록모드에서 트랙포맷을 동일하게 하고 특수재생용 데이타의 반복횟수만을 각 기록모드에서 전환해서 기록하는 것에 의해,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효율좋게 기록할 수 있어 각 기록모드에서의 고속재생화상의 재생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예 1에서는 기록모드로서 제7도에 도시한 표준기록모드, 1/2배 기록모드, 1/3배 기록모드 및 1/4배 기록모드의 4종류의 기록모드를 갖는 디지탈VTR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기록모드중, 예를 들어 2종류 또는 3종류의 기록모드를 갖는 디지탈VTR 또는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에 의해서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 기록모드에 관해서도 상기 4종류의 기록모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디지탈신호재생장치에 있어서, 재생시, 상술한 속도(즉 대략 ±K×(N+1/2)배속 또는 대략 ±(r+R)/R×K×(N+1/2)배속)로 기록매체의 주행속도(디지탈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의 경우는 헤드의 이동속도)를 제어해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있는 것은 물론이다.
[실시예 2]
실시예 2의 디지탈VTR의 기록계는 제1도∼제5도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고, 실시예 1에 대한 설명이 대체로 그대로 적용된다. 또, 마찬가지로 실시예 1에 대한 제6도∼제15도를 참조한 회전드럼상의 회전헤드의 배치, 멀티레이트의 비트스트림의 방법(그 기록모드, 각 기록모드에 있어서의 기록타이밍), 에러정정부호의 부호구성, 싱크블럭의 구성, SD규격의 1트랙내의 데이타를 기록하는 기록포맷, 싱크블럭포맷등에 관한 설명도 대체로 그대로 본 실시예 2에 적용된다. 단, 본 실시예 2의 특수재생용 데이타생성회로(12)는 25Mbps기록모드시에 있어서의 4배속 및 18배속 뿐만 아니라 12.5Mbps기록모드시를 위한 8배속 및 36배속, 8.33Mbps기록모드시를 위한 12배속 및 54배속, 6.25Mbps기록모드시를 위한 16배속 및 72배속에 있어서의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31도는 각 기록모드로 기록된 데이타를 자기테이프에서 고속재생모드로 재생했을 때, 각 설정고속재생속도에 있어서 1트랙에서 취득할 수 있는 싱크블럭수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4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면중의 각 값은 10㎛(또한, SD규격에 있어서의 트랙피치는 10㎛로 되어 있다)의 폭을 각각 갖는 회전헤드를 사용해서 특수재생을 실행했을 때 각 재생속도에 있어서 1트랙에서 재생할 수 있는 싱크블럭수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계산은 1트랙(180도 상당)당의 싱크블럭수를 186싱크블럭으로 하고, 종래예와 마찬가지로 재생신호이 출력레벨이 -6dB 이상인 부분이 얻어지는 것으로 가정해서 산출하였다.
본 실시예 2는 상기 다른 4개의 기록모드에 따라서 고속재생시에 효율좋게 재생되도록 각 기록모드시마다 기록포맷을 전환하는 것이다.
표준기록모드시에 4배속 재생 및 18배속 재생이 가능한 기록포맷은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다.
이하, 본 실시예 2의 각 기록모드시의 기록포맷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32도에 표준기록모드시의 제15도에 도시한 4트랙주기의 데이타(1트랙포맷의 데이타)의 자기테이프상에서의 배치를 도시한다. 또, 제33도에 표준기록모드시에 제32도의 기록포맷으로 4배속재생을 실행했을 때의 회전헤드 주사궤적을 도시한다. 또, 제34도에는 마찬가지로 표준기록모드시에 제32도의 기록포맷으로 18배속재생을 실행했을 때의 회전헤드 주사궤적을 도시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1/2배 기록모드는 기록된 데이타를 표준기록모드시의 1/2의 테이프속도로 재생하는 모드이고, 1/3배 기록모드는 기록된 데이타를 1/3의 테이프속도로 재생하는 모드이며 또한 1/4배 기록모드는 기록된 데이타를 1/4의 테이프속도로 재생하는 모드이다. 따라서, 표준기록모드시의 설정배속수를 기준으로 1/2배 기록모드, 1/3배 기록모드, 1/4배 기록모드에서는 각각 순서대로 2배, 3배, 4배의 설정속도로 재생하면, 표준기록모드로 기록된 데이타를 설정배속수로 재생하는 경우와 거의 동일한 주사궤적으로 된다.
제35도에 1/4배 기록모드시에 제32도의 기록포맷으로 16(=4×4)배속재생을 실행했을 때의 회전헤드(26b)의 주사궤적을 도시한다. 또, 제36도에 1/4배 기록모드시에 제32도의 기록포맷으로 72(=18×4)배속 재생을 설정했을 때의 회전헤드(26a)의 주사궤적을 도시한다. 제35도 및 제3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2도에 도시한 기록포맷에 있어서 표준기록모드시에 4배속 재생 및 18배속 재생을 실행했을 때(제33도 및 제34도에 도시)에 비해서 회전헤드(26a) 및 (26b)의 주사궤적이 어긋나게 된다. 그 결과, 회전헤드(26a)및 (26b)는 1회의 트레이스에 의해 모든 고속재생용 데이타를 재생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이 회전헤드 (26a) 및 (26b)의 어긋남은 테이프주행속도에 따라 기록트랙의 경사각이 변화하는 것에 기인한다.
따라서, 제32도의 기록포맷으로 각 기록모드에서 고속재생을 실행할 때, 동일한 고속재생용 데이타를 기록하는 반복기록횟수를 증가시켜, 2회 이상의 트레이스에 의해 모든 고속재생용 데이타를 재생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어, 재생레이트가 저하한다. 또, 동일한 고속재생용 데이타의 반복기록횟수를 증가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모든 고속재생용 데이타를 재생할 수 있도록 설정배속수를 낮추는 것이 필요하게 되어 재생레이트가 저하한다(구체적인 재생레이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실시예 2에서는 표준기록모드용의 기록포맷에 의해 기록된 데이타의 재생레이트를 저하시키는 일 없이, 통상기록모드에 대해 1/2배 기록모드에서는 2배, 1/3배 기록모드에서는 3배, 1/4배 기록모드에서는 4배의 속도로, 1회의 헤드 트레이스에 의해 고속재생용 데이타를 모두 재생할 수 있도록 각 기록모드용에 각각 적합한 기록포맷을 생성하는 것이다.
이하, 각 기록모드용의 기록포맷의 예를 도시한다. 제37도에 1/2배 기록모드시의 트랙포맷도를 도시한다. 또한, 상기 트랙포맷은 8(=4×2)배속 재생 및 36(=18×2)배속 재생을 할 수 있다. 제38도에 1/3배 기록모드시의 트랙포맷도를 도시한다. 또한, 상기 트랙포맷은 12(=4×3)배속 재생 및 54(=18×3)배속 재생을 할 수 있다. 제39도에 1/4배 기록모드시의 트랙포맷도를 도시한다. 또한, 상기 트랙포맷은 16(=4×4)배속 재생 및 72(=18×4)배속 재생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2에서는 각 기록모드 모두 4트랙을 1트랙포맷으로 하고, 상기 트랙포맷을 반복해서 기록하는 것에 의해, 상기 통상재생용 데이타 및 각종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자기테이프상에 기록한다. 또한, A트랙과 B트랙의 구별, T1∼T4트랙의 구별 및 f0∼f2의 구별도 상기 제15도와 마찬가지이며, 또 각 기록모드 모두 트랙피치는 SD규격과 마찬가지로 10㎛로 되어 있다. 단, 트랙의 경사각은 테이프주행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각 기록포맷 모두 다르다.
제15도에 있어서, A0∼A4는 표준기록모드시의 18배속 재생을 데이타기록에리어의 자기테이프상에서의 배치를 나타낸다. 각 18배속 재생용 데이타 기록에리어(A0∼A4)는 5싱크블럭의 폭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18배속 재생용 데이타 기록에리어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A트랙상(T1 및 T3)에 5개소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면중에서 동일부호(A0∼A4)를 붙인 에리어에는 동일한 데이타가 기록된다.
마찬가지로, 제15도에 있어서, B0은 표준기록모드시의 4배속 재생용 데이타 기록에리어의 자기테이프상에서의 배치를 나타낸다. 4배속 재생용 데이타기록에리어B0은 25싱크블럭의 폭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4배속 재생용 데이타 기록에리어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T2트랙상에 1개소 마련되어 있다.
또, 제37도에 있어서, A20∼A24는 1/2배 기록모드시의 36배속 재생용 데이타 기록에리어의 자기테이프상에서의 배치를 나타낸다. 각 36배속 재생용 데이타 기록에리어(A20∼A24)는 5싱크블럭의 폭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36배속 재생용 데이타 기록에리어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A트랙상(T1 및 T3)에 5개소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동일부호(A20∼A24)를 붙인 에리어에는 동일한 데이타가 기록된다.
마찬가지로, 제37도에 있어서, B20은 1/2배 기록모드시의 8배속 재생용 데이타 기록에리어의 자기테이프상에서의 배치를 나타낸다. 8배속 재생용 데이타기록에리어B20은 25싱크블럭의 폭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8배속 재생용 데이타 기록에리어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T2트랙상에 1개소 마련되어 있다.
또, 제38도에 있어서, A30∼A34는 1/3배 기록모드시의 54배속 재생용 데이타 기록에리어의 자기테이프상에서의 배치를 나타낸다. 각 54배속 재생용 데이타기록에리어(A30∼A34)는 5싱크블럭의 폭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54배속 재생용 데이타 기록에리어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A트랙상(T1 및 T3)에 5개소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동일부호(A30∼A34)를 붙인 에리어에는 동일한 데이타가 기록된다.
마찬가지로, 제38도에 있어서, B30은 1/3배 기록모드시의 12배속 재생용 데이타 기록에리어의 자기테이프상에서의 배치를 나타낸다. 12배속 재생용 데이타기록에리어B30은 25싱크블럭의 폭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12배속 재생용데이타기록에리어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T2트랙상에 1개소 마련되어 있다.
또, 제39도에 있어서, A40∼A44는 1/4배 기록모드시의 72배속 재생용 데이타 기록에리어의 자기테이프상에서의 배치를 나타낸다. 각 72배속 재생용 데이타 기록에리어(A40∼A44)는 5싱크블럭의 폭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72배속 재생용 데이타 기록에리어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A트랙상(T1 및 T3)에 5개소의 에리어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동일부호(A40∼A44)를 붙인 에리어에는 동일한 데이타가 기록된다.
마찬가지로, 제39도에 있어서, B40은 1/4배 기록모드시의 16배속 재생용 데이타 기록에리어의 자기테이프상에서의 배치를 나타낸다. 16배속 재생용 데이타기록에리어B40은 25싱크블럭의 폭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16배속 재생용 데이타 기록에리어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T2트랙상에 1개소 마련되어 있다.
또한, 각 데이타기록에리어에 할당된 싱크블럭수는 제31도에 도시하는 데이타에 따라서 결정하였다. 즉, 제31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표준기록모드에 있어서 4배속 재생시에는 1트랙에서 62싱크블럭의 데이타를 취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1/2배 기록모드시의 8배속 재생시에는 53.14싱크블럭, 1/3배 기록모드시의 12배속 재생시에는 50.73블럭, 1/4배 기록모드시의 16배속 재생시에는 49.6싱크블럭의 데이타를 취득할 수있다. 또, 표준기록모드시에 있어서, 18배속 재생시에는 1트랙당 10.94싱크블럭을 취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1/2배 기록모드시의 36배속 재생시에는 10.63싱크블럭, 1/3배 기록모드시의 54배속 재생시에는 10.538싱크블럭, 1/4배 기록모드시의 72배속 재생시에는 10.48싱크블럭의 데이타를 취득할 수 있다. 이것에 따라서 구성한 각 특수재생속도에 대응하는 자기테이프상의 데이타배치가 제15도, 제37도, 제38도, 제39도에 도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표준기록모드시에는 제15도에 도시한 1트랙포맷을, 1/2배 기록모드시에는 제37도에 도시한 1트랙포맷용, 1/3배 기록모드시에는 제38도에 도시한 1트랙포맷을, 1/4배 기록모드시에는 제39도에 도시한 1트랙포맷을 반복 기록하는 것에 의해서 자기테이프상에 데이타를 기록해 간다. 이하, 각 기록모드의 기록포맷을 설명한다.
상술한 제32도는 표준기록모드시의 실시예 2의 기록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32도는 상기 제15도의 1트랙포맷을 반복 기록한다. 표준기록모드시에는 제15도의 B0에리어의 정보를 사용해서 4배속의 고속재생을 실행하고, A0∼A4에리어의 정보를 사용해서 18배속의 고속재생을 실행한다. 이때, 제3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B0에리어에 관해서는 동일한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2트랙포맷마다 반복 기록하고, A0∼A4의 에리어에 관해서는 동일한 데이타를 9트랙포맷마다 반복 기록한다. 따라서, B0에리어의 데이타에 관해서는 제3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8트랙을 주기로 해서 동일 데이타가 2번 반복 기록되고, A0∼A4에리어에 관해서는 36트랙을 주기로 해서 동일 데이타가 18회 반복 기록된다. 또한, 제36도에 있어서 동일한 패턴으로 그려진 A0∼A4 및 B0에리어에는 동일한 특수재생용 데이타가 기록된다.
마찬가지로, 제40도에 1/2배 기록모드시의 실시예 2의 기록포맷을 도시한다. 제40도는 상기 제37도의 1트랙포맷을 반복해서 기록한다. 1/2배 기록모드시에는 제37도의 B20에리어의 정보를 사용해서 8배속의 고속재생을 실행하고, A20∼A24에리어의 정보를 사용해서 36배속의 고속재생을 실행한다. 이때, 제4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B20에리어에 관해서는 동일한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2트랙포맷마다 반복 기록하고, A20∼A24의 에리어에 관해서는 동일한 9트랙포맷 반복 기록한다. 따라서, B20에리어의 데이타에 관해서는 제4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8트랙을 주기로 해서 동일 데이타가 2회 반복 기록하고, A20∼A24에리어에 관해서는 36트랙을 주기로 해서 동일 데이타가 18회 반복 기록된다. 또한, 제40도에 있어서 동일한 패턴으로 그려진 A20∼A24 및 B20에리어에는 동일한 특수재생용 데이타가 기록된다.
마찬가지로, 제41도에 1/3배 기록모드시의 실시예 2의 기록포맷을 도시한다. 제41도는 상기 제38도의 1트랙포맷을 반복 기록한다. 1/3배 기록모드시에는 제38도의 B30에리어의 정보를 사용해서 12배속의 고속재생을 실행하고, A30∼A34에리어의 정보를 사용해서 54배속의 고속재생을 실행한다. 이때, 제4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B30에리어에 관해서는 동일한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2트랙포맷마다 반복 기록하고, A30∼A34의 에리어에 관해서는 동일한 데이타를 9트랙포맷마다 반복 기록한다. 따라서, B30에리어의 데이타에 관해서는 제4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8트랙을 주기로 해서 동일 데이타가 2회 반복 기록되고, A30∼A34에리어에 관해서는 36트랙을 주기로 해서 동일 데이타가 18회 반복 기록된다. 또한, 제41도에 있어서 동일한 패턴으로 그려진 A30∼A34 및 B30에리어에는 동일한 특수재생용 데이타가 기록된다.
마찬가지로, 제42도에 1/4배 기록모드시의 실시예 2의 기록포맷을 도시한다. 제42도는 상기 제39도의 B40에리어의 정보를 사용해서 16배속의 고속재생을 실행하고, A40∼A44에리어의 정보를 사용해서 72배속의 고속재생을 실행한다. 이때, 제4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B40에리어에 관해서는 동일한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2트랙포맷마다 반복 기록하고, A40∼A44의 에리어에 관해서는 동일한 데이타를 9트랙포맷마다 반복 기록한다. 따라서, B40에리어의 데이타에 관해서는 제4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8트랙을 주기로 해서 동일 데이타가 2번 반복 기록되고, A40∼A44에리어에 관해서는 36트랙을 주기로 해서 동일 데이타가 18회 반복 기록된다. 또한, 제42도에 있어서 동일한 패턴으로 그려진 A40∼A44 및 B40에리어에는 동일한 특수재생용 데이타가 기록된다.
또, 상세한 것은 재생계에서 설명하겠지만, 제15도에 도시한 1트랙포맷의 데이타배치(기록포맷)에 의하면, 데이타가 표준기록모드로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4배속 및 18배속 재생시에 자기테이프상의 ITI의 에리어와 서브코드의 에리어를 회전헤드(26a) 및 (26b)가 주사한다. 즉, 특수재생시에 ITI에리어에서 파일럿신호 fO, f1, f2를 사용해서 트랙킹을 제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서브코드에리어에 기록되어 있는 시간정보나 아이템번호정보 등의 부가정보를 재생할 수 있다. 또, 1/2배 기록모드시의 8배속재생 및 36배속 재생, 또 1/3배 기록모드의 12배속 재생 및 54배속 재생, 1/4배 기록모드시의 16배속 재생 및 72배속 재생시에 관해서는 서브코드에리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타를 재생할 수 있다.
다음에, 제1도∼제42도를 사용해서 기록계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입력단자(1)에서 입력된 트랜스포트 패킷은 헤더해석회로(10), 제1 메모리(13)및 레이트판별회로(18)에 입력된다. 헤더해석회로(10)에서는 먼저 입력된 트랜스포트패킷에서 트랜스포트헤더를 검출하고, 트랜스포트헤더를 해석하여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에서 PAT(Program Association Table) 및 PMT(Program Map Table)을 분리하고, 디지탈VTR에 기록할 프로그램의 (PID)를 검출한다. PID정보는 제1 메모리(13) 및 레이트판별회로(18)로 출력한다.
또, 헤더해석회로(10)에서는 상기 검출된 PID에 따라서, 기록할 프로그램의 비디오데이타를 전송하는 트랜스포트패킷을 추출한다. 그리고, 헤더해석회로(10)에 의해 상기 트랜스포트패킷내의 데이타를 해석하여 시퀀스헤더, 픽쳐헤더, 슬라이스헤더 등의 헤더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헤더정보에 따라서 트랜스포트패킷에서 인트러화상데이타를 추출한다. 또한, 그때 인트러화상데이타에 부가되어 있는 상기 각종 헤더정보 및 헤더정보에 부가되어 있는 부가정보도 추출한다.
또한, 시퀀스헤더라는 것은 비디오신호의 비트스트림중에 마련된 헤더정보로서, MPEG1인지 MPEG2인지를 나타내는 식별정보, 화상의 애스펙트비 및 화상의 전송레이트정보 등이 부가되어 있다. 또, 픽쳐헤더라는 것은 각 프레임 또는 필드의 선두에 부가되어 있는 헤더로서, 각 프레임 또는 필드의 선두를 가리킴과 동시에 부호화모드 등의 모드신호, 양자화테이프 등이 부가되어 있다. 또, MPEG2에서는 1프레임의 데이타를 전송할 때 1프레임(필드)의 화면을 여러개의 슬라이스로 구획해서 전송한다. 따라서, 슬라이스헤더는 그 선두를 가리킨다(각 헤더에 대한 상세한 것은 MPEG2의 도면 참조).
헤더해석회로(10)에 의해 검출된 상기 헤더정보 및 그것에 부수하는 부가정보(예를 들면, 양자화테이블정보 등)은 병렬/직렬변환회로(11), 제1 메모리(13), 4배속용 데이타 생성회로(14), 18배속용 데이타 생성회로(15) 및 레이트판별회로(18)로 출력된다. 또, 헤더해석회로(10)에 의해 추출된 인트러화상데이타는 병렬/직렬변환회로(11)로 출력된다.
레이트판별회로(18)에서는 상기 헤더해석회로(10)에서 입력되는 기록할 프로그램의 PID정보에 따라서, 입력단자(1)를 거쳐서 입력된 트랜스포트패킷에서 기록할 프로그램의 트랜스포트패킷을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트랜스포트패킷에서 비디오데이타, 오디오데이타와 상기 비디오데이타 및 오디오데이타에 관한 디지탈데이타 등에 부가된 헤더정보를 해석하여 각 데이타의 전송레이트를 검출하고, 기록할 프로그램의 기록데이타레이트를 기록데이타제어회로(19)로 출력한다. 또한, 비디오데이타만의 전송레이트에 관해서는 헤더해석회로(19)에 의해 비디오데이타의 헤더해석을 실행할 때 동시에 검출해도 좋다.
레이트판별회로(18)에 의해 검출된 프로그램의 기록데이타레이트는 기록데이타 제어회로(19)에 입력된다. 제4도를 사용해서 기록데이타 제어회로(19)의 동작을 설명한다. 입력단자(50)을 거쳐서 입력된 기록데이타레이트는 기록모드설정회로(55)에 입력되고, 프로그램을 기록하는데 최적한 기록모드를 상기 4종류의 기록모드중에서 선택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의 기록데이타레이트가 5.5Mbps이었던 경우는 1/4배 기록모드(6.25Mbps기록모드)를 선택하고, 기록데이타레이트가 9.0Mbps이었던 경우는 1/2배 기록모드(12.5Mbps기록모드)를 선택한다.
기록모드설정회로(55)의 출력은 기록타이밍발생회로(56), 특수재생용 데이타부호량 설정회로(57) 및 서보계 기준신호 발생회로(58)에 입력된다. 서보계 기준신호 발생회로(58)에서는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을 제어할 때 필요하게 되는 기준신호, 테이프주행속도정보, 트랙식별신호(트랙번호, 4트랙주기의 파일럿신호의 주파수정보 등)등을 발생한다. 또한, 본 실시예 2에서는 회전드럼(25)의 회전속도는 각 기록모드 모두 9000rpm으로 한다. 한편, 특수재생용 데이타부호량 설정회로(57)에서는 기록모드신호에 따라서 상기 표준기록모드시에는 B0에리어 및 A0∼A4에리어(제15도참조), 또 1/2배 기록모드시에는 B20에리어 및 A20∼A24(제37도참조), 또 1/3배 기록모드시에는 B30에리어 및 A30∼A34에리어(제38도참조), 또 1/4배 기록모드시에는 B40에리어 및 A40∼A44에리어(제39도참조)에 기록할 특수재생용 데이타의 부호량 제어정보를 특수재생용 데이타 생성회로(12), 제2 메모리(16) 및 제3 메모리(17)로 출력한다.
기록타이밍발생회로(56)에서는 상기 기록모드의 선택결과와 상기 서보게 기준신호 발생회로(58)에서 출력되는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을 제어하는 기준신호에 따라서 각종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한편, 헤더해석회로(10)에 의해 검출된 인트러화상데이타(이하, 인트러프레임이라 한다)(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1프레임을 단위로 해서 부호화된 데이타를 기록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는 병렬/직렬변환회로(11)에서 병렬/직렬변환이 실시되어 1비트의 비트스트림데이타로 변환된다. 1비트의 직렬데이타로 변환된 상기 인트러프레임의 비트스트림데이타는 특수재생용 데이타생성회로(12)에 입력된다.
다음에, 제2도를 사용해서 특수재생용 데이타생성회로(12)의 동작을 설명한다. MPEG2에 의한 화상압축 신호에 8라인×8화소의 블럭(이하, DCT블럭이라 한다) 단위로 이산코사인변환(이하, DCT라 한다)을 실시하고, DCT가 실시된 데이타(이하, DCT계수라 한다)에 양자화를 실시한 후에 지그재그주사라는 주사순서로 파워 스펙트럼신호가 집중하는 지역성분신호에에서 순차 DCT계수를 리드하고, 계수 0을 런으로 하는 런 렝스 부호화를 실시한다. 그리고, 상기 런 렝스 부호화가 실시된 데이타에 2차원의 가변길이부호화를 실시하여 전송레이트를 삭감한다.
입력단자(35)를 거쳐서 입력된 인트러화상의 직렬데이타는 가변길이복호회로(4), 데이타추출회로(6a) 및 데이타추출회로(6b)에 입력된다. 가변길이복호회로(4)에서는 입력된 비트스트림을 복호화한다. 본 실시예 2에서는 가변길이복호시에 입력비트스트림을 완전히 복호하지 않고 가변길이부호어의 상기 런 렝스 길이 및 가변길이부호어의 부호길이만 검출하여 출력하는 것에 의해 회로규모의 삭감을 도모하고 있지만, 완전히 가변길이복호를 실시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카운터(5)는 상기 런 렝스 길이에 따라 복호된 1DCT블럭내의 DCT계수의 수를 카운트하고, 데이타추출회로(6a) 및 (6b)로 카운트결과를 출력한다.
이하, 표준기록모드시(제15도 및 제32도 참조), 1/2배 기록모드시(제37도 및 제40도참조), 1/3배 기록모드시(제38도 및 제41도참조), 1/4배 기록모드시(제39도 및 제42도참조)의 각 경우에 대해서 동작의 설명을 실행한다. 먼저, 표준기록모드인 경우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표준기록모드시, 데이타추출회로(6a)에서는 입력단자(36)을 거쳐서 특수재생용 데이타부호량 설정회로(57)에서 출력되는 4배속 재생용 데이타(또한, 본 실시예 2에서는 B0에리어에 기록하는 신호를 이하 편의상 「4배속 재생용 데이타」라고 한다. 또, A0∼A4에리어에 기록하는 신호를 이하 편의상「18배속 재생용 데이타」라 한다)의 부호량 제어정보(전송하는 DCT계수의 갯수) 및 카운터(5)에서 출력되는 상기 카운트값에 따라서, 전송하는 4배속 재생용 데이타의 가변길이부호어를 추출한다. 또한, 데이타의 추출타이밍은 상기 카운터(5)에서 출력되는 복호된 DCT계수의 수를 상기 입력단자(36)을 거쳐서 입력된 상기 부호량 제어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부호량 제어정보를 초과하기 전까지의 가변길이부호어를 전송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가변길이부호어간의 경계를 가변길이복호회로(4)에서 출력되는 부호길이정보에 따라서 검출한다.
데이타추출회로(6b)도 마찬가지로 상기 18배속 재생용 데이타의 부호량 제어정보와 카운터(5) 및 가변길이 복호회로(4)에서 출력되는 정보에 따하서 18배속 재생용 데이타의 가변길이부호어를 추출한다. 추출된 데이타는 각 DCT블럭의 끝에 EOB부가회로(7a) 및 (7b)에 의해 EOB코드가 부가되어 각각 출력단자(37a) 및 (37b)에서 출력된다. 또한, 각 DCT블럭의 선두가 가변길이복호회로(4)에 의해 검출되어 카운터(5)와 데이타추출회로(6a) 및 (6b)로 출력된다.
이때, 데이타를 추출하는 DCT계수의 수는 각 기록모드 또는 각 배속수에서 동일해도 좋고, 달라도 좋다. 추출하는 DCT계수의 수가 각 기록모드 또는 각 배속에서 다르다는 것은 특수재생용 트랜스포트패킷내에 기록되는 DCT블럭의 갯수가 다른 것을 의미한다.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기록할 수 있는 에리어의 수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각 특수재생속도에 대한 상기 각 특수재생용 데이타 기록에리어가 동일 싱크블럭수인 경우, 1DCT블럭당의 DCT계수의 기록수를 증가시키면, 기록하는 특수재생용 데이타 기록에리어가 많이 필요하게 되어, 고속재생시의 고속재생 화상데이타의 갱신주기(이하,「리프레시주기」라 한다)가 길어진다. 또한, 재생화질은 DCT블럭당의 DCT계수의 기록수를 증가시킬수록 좋아진다. 반대로, 1DCT블럭당의 DCT계수의 기록수를 감소시키면, 각 특수재생용 데이타의 1프레임당의 데이타량이 감소하여 특수재생용 데이타 기록에리어가 감소하므로, 고속재생화질의 리프레시가 짧아진다. 또한, 재생화질은 기록하는 DCT계수가 적어질수록 나빠진다. 이 리프레시주기와 화질의 트레이드 오프에 의해서 각 기록모드 또는 각 배속에 있어서의 데이타의 추출량을 결정하면 좋다.
특수재생용 데이타생성회로(12)에서 출력된 4배속 재생용 데이타 및 18배속 재생용 데이타는 각각 4배속용 데이타생성회로(14)및 18배속용 데이타생성회로(15)에 입력된다. 계속되는 처리는 각 재생속도(4배속 및 18배속)에 있어서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4배속 재생용 데이타의 생성방법에 대해서만 기술한다. 이하, 제3도를 사용해서 4배속용 데이타생성회로(14)의 동작을 설명한다. 4배속용 데이타생성회로(14)에서는 헤더해석회로(10)에서 입력되는 트랜스포트헤더정보 및 각종 헤더정보(부가정보 포함)와 특수재생용 데이타생성회로(12)에서 출력되는 4배속 재생용 데이타를 사용해서 4배속 재생용의 트랜스포트패킷을 생성한다. 입력단자(40)을 거쳐서 입력된 트랜스포트헤더정보는 트랜스포트헤더 수정회로(42)에 의해서 수정이 가해진다.
구체적으로는 헤더해석회로(10)에서 출력되는 인트러정보에 따라서, 인트러화상을 전송해 온 트랜스포트패킷의 트랜스포트헤더중의 트랜스포트패킷의 연속성을 나타내는 헤더정보를 리라이트한다. 한편, 헤더부가회로(43)에서는 특수재생용 데이타생성회로(12)에서 출력되는 특수재생용 비트스트림에 헤더해석회로(10)에 의해 출력된 시퀀스헤더, 픽쳐헤더, 슬라이스헤더 등의 헤더정보 및 각 헤더중에서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복호할 때 필요하게 되는 정보(부호화모드 플래그 또는 양자화 테이블정보 등)를 부가한다.
헤더정보가 부가된 특수재생용 데이타는 패킷화회로(44)에서 직렬/병렬변환이 실시되어 1바이트가 8비트인 데이타로 변환된다. 직렬/병렬변환이 실시된 8비트의 데이타는 184바이트씩 구획되어 트랜스포트패킷의 데이타부분이 구성된다. 또한, 직렬/병렬변환시에 각 헤더정보가 MPEG2로 규정되어 있는 바와 같이 4바이트로 구성되도록 각 헤더정보 앞에 0데이타가 삽입된다. 이것은 각 헤더정보는 32비트로 구성되어 있고, 트랜스포트패킷을 4바이트로 구성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헤더정보가 5바이트를 넘는 경우에는 헤더정보가 4바이트로 구성되도록 헤더정보 앞에 0데이타를 부가한다. 패킷화회로(44)에서 구성된 184바이트의 트랜스포트패킷의 데이타는 트랜스포트헤더부가회로(45)에 의해 트랜스포트헤더 수정회로(42)에서 출력되는 트랜스포트헤더정보가 부가되어 출력된다. 또한, 상기 트랜스포트헤더 수정회로(42)로 부터의 헤더정보의 리드는 패킷화회로(44)에서 출력되는 타이밍신호에 따라서 출력된다. 4배속용 데이타생성회로(14)에 의해서 생성된 4배속 재생용 데이타는 트랜스포트패킷 형식으로 제2 메모리(16)으로 출력된다.
상기 설명에서는 4배속 재생용 데이타의 트랜스포트패킷 형성방법에 대해서 기술하였지만, 18배속 재생용 데이타에도 마찬가지의 처리가 실시된다. 특수재생용 데이타생성회로(12)에서 출력된 18배속 재생용 데이타는 18배속용 데이타생성회로(15)에 입력된다. 18배속용 데이타생성회로(15)에서는 헤더부가회로(43)에 의해서 헤더해석회로(10)에서 출력되는 헤더정보에 따라 각 헤더 및 부가정보가 부가된 후, 패킷화회로(44)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직렬/병렬변환이 실시되어 트랜스포트패킷의 데이타부분이 구성된다. 그리고, 트랜스포트헤더 부가회로(45)에 의해 트랜스포트헤더 수정회로(42)에서 출력되는 수정트랜스포트헤더가 부가되어 트랜스포트패킷 형식으로 제3 메모리(17)로 출력된다.
4배속용 데이타생성회로(14)및 18배속용 데이타생성회로(15)에서 출력된 각각의 특수재생용 트랜스포트패킷데이타는 제2 메모리(16)및 제3 메모리(17)에 입력된다. 이때, 제2 메모리(16) 및 제3 메모리(17)에서는 기록데이타제어회로(19)에서 출력되는 부호량정보에 따라서 1프레임분의 상기 특수재생용 데이타의 기억에리어를 설정한다. 제2 메모리(16) 및 제3 메모리(17)에서는 입력된 데이타를 트랜스포트패킷 형식으로 상기 기억에리어에 기억하고, 1프레임(필드)의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구성한다.
각각 제2 메모리(16) 및 제3 메모리(17)에서 구성된 1프레임의 특수재생용 데이타는 데이타합성회로(20)에서 출력되는 데이타요구신호에 따라서 2개의 상기 특수재생용 트랜스포트패킷 단위로 메모리에서 리드되어, 제13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5싱크블럭의 데이타로 변환된 후, 데이타합성회로(20)으로 출력된다. 이때, 제13b도에 도시한 헤더정보 H1 및 H2가 부가된다.
한편, 입력단자(1)을 거쳐서 입력된 트랜스포트패킷은 제1 메모리(13)에 입력되어 기억된다. 데이타합성회로(2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데이타요구신호)에 따라, 제1 메모리(13)에서 입력된 데이타를 리드한다. 이때, 트랜스포트패킷 단위로 입력된 데이타를 2트랜스포트패킷을 단위로 해서 제13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5싱크블럭의 데이타로 변환한다. 또한, 특수재생용 데이타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 메모리(13)에서 상기 싱크블럭의 데이타를 출력할 때 상기 헤더정보 H1 및 H2가 부가된다.
기록데이타제어회로(19)는 기록타이밍발생회로(56)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기록포맷을 생성한다. 이하, 기록포맷 생성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록타이밍신호발생회로(56)는 기록모드설정회로(55)에서 출력되는 기록모드에 따라서 특수재생용 데이타의 1트랙포맷내의 트랙식별신호, 트랙번호 및 각 기록모드마다 다른 기록포맷을 생성하기 위한 싱크블럭정보신호를 데이타합성회로(20)으로 출력한다. 또, 서보계 기준신호 발생회로(58)에서 출력되는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을 제어하는 기준신호 및 기록모드에 따라서 데이타합성회로(20) 및 에러정정부호회로(22)로 각각 데이타생성개시신호를 출력한다.
제9a도∼제9m도에 각종 기록모드에 있어서 기록타이밍신호발생회로(56)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도시하였다. 이하, 각 기록모드별로 기록타이밍신호 발생회로(56)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9a도는 서보계 기준신호 발생회로(58)에서 출력되는 상기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을 제어하는 기준신호를 도시한 것이다. 제9b도는 표준기록모드시의 데이타생성개시신호를 도시한 것이다. 제9c도는 표준기록모드시에 기록앰프(24a) 및 (24b)로 출력하는 데이타기록타이밍신호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실제로는 기록앰프(24b)로 출력하는 상기 기록타이밍신호는, 기록앰프(24a)로 출력하는 기록타이밍신호에 비해 회전헤드간의 거리에 대응하는 시간만큼(통상은 5싱크블럭정도)지연된다. 제9d도는 표준기록모드시의 각 채널의 데이타의 기록타이밍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준기록모드시에는 각 WHD 제어신호가 회전드럼(25)의 1회전시마다 출력되고, 자기테이프상에 데이타가 기록된다.
제9e도는 1/2배 기록모드시의 데이타생성개시신호를 도시한 것이다. 제9f도는 1/2배 기록모드시에 기록앰프(24a) 및 (24b)로 출력하는 데이타기록타이밍신호를 도시한 것이다. 제9g도는 1/2배 기록모드시의 채널의 데이타의 기록타이밍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1/2배 기록모드시에는 각종 제어신호가 회전드럼(25)의 2회전시마다 입력되고, 자기테이프상에 데이타가 기록된다.
제9h도는 1/3배 기록모드시의 데이타생성개시신호를 도시한 것이다. 제9i도는 1/3배 기록모드시에 기록앰프(24a) 및 (24b)로 출력하는 데이타기록타이밍신호를 도시한 것이다. 제9j도는 1/3배 기록모드시의 각 채널의 데이타의 기록타이밍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1/3배 기록모드시에는 각종 제어신호가 회전드럼(25)의 3회전시마다 출력되고, 자기테이프상에 데이타가 기록된다.
제9k도는 1/4배 기록모드시의 데이타생성개시신호를 도시한 것이다. 제9l도는 1/4배 기록모드시에 기록앰프(24a) 및 (24b)로 출력하는 데이타기록타이밍신호를 도시한 것이다. 제9m도는 1/4배 기록모드시의 각 채널의 데이타의 기록타이밍을도시한 것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1/4배 기록모드시에는 각 WHD 제어신호가 회전드럼(25)의 4회전시마다 출력되고, 자기테이프상에 데이타가 기록된다. 또한, 실제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록앰프(24b)로 출력하는 기록타이밍신호는 기록앰프(24a)로 출력하는 기록타이밍신호에 비해 회전헤드간의 거리에 대응하는 시간만큼(통상은 5싱크블럭정도)지연된다.
데이타합성회로(20)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서 기록포맷을 생성한다. 먼저, 데이타생성개시신호가 입력되면, 포맷생성회로제어회로(127)에 있어서 다음에 기록할 트랙의 트랙번호 및 1트랙포맷내의 트랙 식별번호에 따라서 생성하는 각 채널의 트랙상에 기록할 특수재생용 데이타의 종류 및 기록에리어를 설정한다. 포맷생성회로(126)은 상기 기록데이타제어회로(19)에서 포맷생성회로제어회로(127)로 입력된 싱크블럭정보신호에 따라서 4배속 재생용 데이타 및 18배속 재생용 데이타를 각 기록모드마다 미리 정해진 트랙상의 에리어에 배치하도록 기록포맷을 생성한다. 또한, 그때 각 속도의 특수재생용 데이타의 반복횟수를 확인한다. 그리고, 소정횟수 반복되어 있던 경우에는 대응하는 특수재생용 데이타가 기억되어 있는 메모리에서 다음의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리드하도록 데이타요구신호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표준기록모드에서 18배속 재생용 데이타가 18회 반복해서 기록되어 있던 경우에는 제3 메모리(17)로 다음의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25싱크블럭만큼 출력하도록 데이타 요구신호를 출력한다. 제3 메모리(17)에서 리드된 상기 25싱크블럭의 18배속 재생용 데이타는 데이타합성회로(20)내에 마련되어 있는 18배속 재생용 데이타기억메모리내에 일단 기억된다. 마찬가지로, 표준기록모드에서 4배속 재생용 데이타가 2회 반복 기록되어 있던 경우에는 제2 메모리(16)으로 다음의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25싱크블럭만큼 출력하도록 데이타요구신호를 출력한다. 제2 메모리(16)에서 리드된 상기 25싱크블럭의 4배속 재생용 데이타는 데이타합성회로(20)내에 마련되어 있는 4배속 재생용 데이타 기억메모리내에 일단 기억된다. 또한, 반복횟수가 소정횟수 이하인 경우에는 데이타합성회로(20)내에 기억되어 있는 각 속도에 대한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사용해서 기록데이타를 생성한다.
마찬가지로, 1/2배 기록모드에서 36배속 재생용 데이타가 18회 반복해서 기록되어 있던 경우에는 제3 메모리(17)로 다음의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25싱크블럭만큼 출력하도록 데이타 요구신호를 출력한다. 제3 메모리(17)에서 리드된 상기 25싱크블럭의 36배속 재생용 데이타는 데이타합성회로(20)내에 마련되어 있는 18배속 재생용 데이타기억메모리내에 일단 기억된다. 마찬가지로, 1/2배 기록모드에서 8배속 재생용 데이타가 2회 반복해서 기록되어 있던 경우에는 제2 메모리(16)으로 다음의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25싱크블럭만큼 출력하도록 데이타요구신호를 출력한다. 제2 메모리(16)에서 리드된 상기 25싱크블럭의 8배속 재생용 데이타는 데이타합성회로(20)내에 마련되어 있는 4배속 재생용 데이타 기억메모리내에 일단 기억된다. 또한, 반복횟수가 소정횟수 이하인 경우에는 데이타합성회로(20)내에 기억되어 있는 각 속도에 대한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사용해서 기록데이타를 생성한다.
마찬가지로, 1/3배 기록모드에서 54배속 재생용 데이타가 18회 반복해서 기록되어 있던 경우에는 재3 메모리(17)로 다음의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25싱크블럭만큼 출력하도록 데이타 요구신호를 출력한다. 제3 메모리(17)에서 리드된 상기 25싱크블럭의 54배속 재생용 데이타는 데이타합성회로(20)내에 마련되어 있는 18배속 재생용 데이타기억메모리내에 일단 기억된다. 마찬가지로, 1/3배 기록모드에서 12배속 재생용 데이타가 2회 반복해서 기록되어 있던 경우에는 제2 메모리(16)으로 다음의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25싱크블럭만큼 출력하도록 데이타요구신호를 출력한다. 제2 메모리(16)에서 리드된 상기 25싱크블럭의 12배속 재생용 데이타는 데이타합성회로(20)내에 마련되어 있는 4배속 재생용 데이타 기억메모리내에 일단 기억된다. 또한, 반복횟수가 소정횟수 이하인 경우에는 데이타합성회로(20)내에 기억되어 있는 각 속도에 대한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사용해서 기록데이타를 생성한다.
마찬가지로, 1/4배 기록모드에서 72배속 재생용 데이타가 18회 반복해서 기록되고 있던 경우에는 제3 메모리(17)로 다음의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25싱크블럭만큼 출력하도록 데이타 요구신호를 출력한다. 제3 메모리(17)에서 리드된 상기 25싱크블럭의 72배속 재생용 데이타는 데이타합성회로(20)내에 마련되어 있는 18배속 재생용 데이타기억메모리내에 일단 기억된다. 마찬가지로, 1/4배기록모드에서 16배속 재생용 데이타가 2회 반복해서 기록되고 있던 경우에는 제2 메모리(16)으로 다음의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25싱크블럭만큼 출력하도록 데이타요구신호를 출력한다. 제2 메모리(16)에서 리드된 상기 25싱크블럭의 16배속 재생용 데이타는 데이타합성회로(20)내에 마련되어 있는 4배속 재생용 데이타 기억메모리내에 일단 기억된다. 또한, 반복횟수가 소정횟수 이하인 경우에는 데이타합성회로(20)내에 기억되어 있는 각 속도에 대한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사용해서 기록데이타를 생성한다.
상기 특수재생용 데이타의 반복횟수의 확인이 종료하면 트랙식별신호를 사용해서 1트랙내의 데이타배치를 설정한다. 트랙식별신호는 제15도에 도시한 T1∼T4의 트랙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신호이다. 또한, 본 실시예 2에서는 2트랙분의 데이타를 거의동시에 기록하므로 트랙식별신호는 T1트랙인지 T3트랙인지를 식별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먼저, 회전헤드(26a)에 의해 기록할 트랙내의 데이타배치가 세트된다. 1트랙내의 데이타배치가 세트되면 1싱크블럭을 단위로 해서 제1 메모리(13) 및 상기 데이타합성회로(20)에서 각 속도에 대한 특수재생용 데이타가 리드되어 1트랙분의 기록데이타가 생성되고 제4 메모리(21)로 출력된다. 회전헤드(26a)에 의해 기록할 1트랙분의 기록데이타의 생성이 종료하면, 회전헤드(26b)에 의해 기록할 트랙의 생성을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실행한다.
데이타합성회로(20)에 의해 생성된 2트랙분의 기록데이타는 제4 메모리(21)에 일단 기억된다. 제4 메모리(21)에 기억된 각 채널의 기록데이타에는 에러정정부호회로(22)에 의해 SD규격에 의거한 에러정정부호가 생성되어 부가된다(제10a도 및 제10b도참조). 에러정정부호회로(22)는 기록타이밍발생회로(56)에서 출력되는 데이타생성개시신호에 따라서 상기 에러정정검사부호가 부가된 2트랙분의 데이타가 거의동시에 리드되도록 리드제어신호를 제4 메모리(21)로 출력된다. 제4 메모리(21)에서는 상기 리드제어신호에 따라 각 채널의 1트랙분의 기록데이타를 리드하고, 그때 SD규격에 따른 트랙포맷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각 싱크블럭 사이에 싱크신호 및 ID신호가 부가되도록 5바이트분의 간격이 벌어진다. 또한, ITI에리어, 서브코드에리어 및 각 데이타 사이의 갭 등이 소정량 벌어져서 상기 데이타가 출력된다. 제4 메모리(21)의 출력은 디지탈변조회로(23a) 및 (23b)에 입력된다.
디지탈변조회로(23a) 및 (23b)는 먼저 각 싱크블럭의 선두에 싱크신호 및 ID신호를 부가한다. 또한, 본 실시예 2에서는 ID신호로서 상기 기록모드의 식별신호를 기록한다. ID신호가 부가된 데이타는 디지탈 변조가 실시되어 기록앰프(24a) 및 (24b)로 출력된다. 디지탈변조는 기록타이밍신호발생회로(56)에서 출력되는 트랙식별정보에 따라서 실시된다. 기록앰프(24a) 및 (24b)에 입력된 디지탈변조가 실시된 데이타는 증폭되어 회전헤드(26a) 및 (26b)를 거쳐서 자기테이프상에 기록된다.
다음에, 서보계의 동작을 설명한다. 서보계 기준신호발생회로(58)에서 출력되는 회전드럼(25)를 제어하는 기준신호는 드럼모터제어회로(27)에 입력된다. 드럼모터제어회로(27)는 드럼모터가 9000rpm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기준신호 및 드럼모터(28)에서 출력되는 회전헤드(26a) 및 (26b)의 회전위상정보에 따라서 드럼모터(28)를 제어한다. 드럼모터(28)는 드럼모터제어회로(27)에서 출력되는 드럼모터의 구동전압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드럼모터(28)에서는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을 드럼모터제어회로(27)로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캡스턴모터제어회로(29)는 상기 회전드럼(25)를 제어하는 기준신호, 기록모드 및 캡스턴모터(30)에서 출력되는 캡스턴모터의 회전정보(자기테이프의 주행속도정보)에 따라서 캡스턴모터를 제어한다. 각 기록모드에 있어서의 자기테이프의 주행속도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준기록모드로 데이타를 기록하는 경우를 1로 하면, 1/2배기록모드시에는 1/2배로, 1/3배기록모드시에는 1/3배로, 1/4배기록모드시에는 1/4배로 제어된다. 캡스턴모터제어회로(29)는 기록모드에 따라서 상기 테이프주행속도로 되도록 상기 회전드럼(25)를 제어하는 기준신호 및 캡스턴모터의 회전정보를 사용해서 캡스턴모터(30)을 구동하는 구동전압을 출력한다. 또한, 캡스턴모터(30)에서는 캡스턴모터의 회전정보가 캡스턴모터제어회로(29)로 출력된다.
다음에, 상기 기록포맷을 갖는 자기테이프를 재생하는 디지탈VTR의 재생계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 2의 재생계의 구성은 제21도에 도시한 바와 같고, 실시예 1에 대해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이하, 재생계의 동작을 설명하기 전에 제33도 및 제43도∼제45도를 사용해서, 본 실시예 2에 도시한 디지탈VTR에서 4배속 재생용 데이타를 사용해서 각 기록모드마다 설정된 속도로 고속재생을 실행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또한, 4배속 재생용 데이타를 사용한 고속재생에서는 자기테이프의 주행속도제어 및 회전헤드(26a) 및 (26b)의 위상제어를 실행한다.
제33도는 표준기록모드로 기록된 데이타를 자기테이프에서 4배속으로 재생한 경우의 회전헤드(26b)의 주사궤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표준기록모드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4배속 재생용 데이타는 B채널의 트랙에 기록되어 있고, 또 상술한 바와 같이 2트랙포맷기간 동일한 데이타가 반복 기록된다(2개소의 기록에리어에 동일한 데이타가 기록된다). B0에리어의 중심에서 회전헤드(26b)의 재생출력이 최대로 되도록 회전헤드의 위상제어를 실행하면, 제3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4배속 재생용 데이타를 모두 재생할 수 있다. 또, 표준기록모드에서 기록된 자기테이프를 4배속으로 재생할 때는 제3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헤드(26b)에 의해 서브코드에리어의 데이타도 재생할 수 있다. 또, 트랙킹도 ITI에리어에서 제어할 수 있다.
제43도는 1/2배 기록모드로 기록된 데이타를 자기테이프에서 8배속으로 재생한 경우의 회전헤드(26b)의 주사궤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1/2배 기록모드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4배속 재생용 데이타가 2트랙포맷기간 반복 기록된다. B20에리어의 중심에서 회전헤드(26b)의 재생출력이 최대로 되도록 회전헤드(26b)의 위상제어를 실행하면, 제4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4배속 재생용 데이타를 모두 재생할 수 있다. 또, 1/2배 기록모드로 기록된 데이타를 자기테이프에서 8배속으로재생할 때는 제4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헤드(26b)에 의해 서브코드에리어의 데이타도 재생할 수 있다.
제44도는 1/3배 기록모드로 기록된 데이타를 자기테이프에서 12배속으로 재생한 경우의 회전헤드(26b)의 주사궤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1/3배 기록모드로 데이타를 기록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4배속 재생용 데이타는 2트랙포맷기간 반복 기록된다. B30에리어의 중심에서 회전헤드(26b)의 재생출력이 최대로 되도록 회전헤드(26b)의 위상제어를 실행하면, 제4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4배속 재생용 데이타를 모두 재생할 수 있다. 또, 1/3배 기록모드로 기록된 데이타를 자기테이프에서 12배속으로 재생할 때는 제4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헤드(26b)에 의해 서브코드에리어의 데이타도 재생할 수 있다.
제45도는 1/4배 기록모드로 기록된 데이타를 자기테이프에서 16배속으로 재생한 경우의 회전헤드(26b)의 주사궤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1/4배 기록모드로 데이타를 기록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4배속 재생용 데이타는 2트랙포맷기간 반복 기록된다. B40에리어의 중심에서 회전헤드(26b)의 재생출력이 최대로 되도록 회전헤드(26b)의 위상제어를 실행하면, 제4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4배속 재생용 데이타를 모두 재생할 수 있다. 또, 1/4배 기록모드로 기록된 데이타를 자기테이프에서 16배속으로 재생할 때는 제4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헤드(26b)에 의해 서브코드에리어의 데이타도 재생할 수 있다.
다음에, 제34도 및 제46도∼제48도를 사용해서 본 실시예 2에 도시한 디지탈VTR에서 18배속 재생용 데이타를 사용한 고속재생을 실행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또한, 18배속 재생용 데이타를 사용한 고속재생에 있어서는 자기테이프의 주행속도와 회전헤드(26a) 및 (26b)의 위상을 모두 제어한다.
제34도는 표준기록모드로기록된 데이타를 자기테이프에서 18배속으로 재생한 경우의 회전헤드(26a)의 주사궤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표준기록모드로 데이타를 기록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18배속 재생용 데이타는 A채널의 트랙에 기록되고(A0∼A4에리어), 또 상술한 바와 같이 9트랙 포맷기간 동일한 데이타가 반복해서 기록된다(18개의 트랙에 동일한 데이타가 기록된다). 제3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18배속 재생용 데이타를 모두 재생할 수 있다. 또, 표준기록모드로 기록된 데이타를 자기테이프에서 18배속으로 재생할 때는 제3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헤드(26a)에 의해 서브코드에리어의 데이타도 재생할 수 있다. 또, 트랙킹도 ITI에리어에서 제어할 수 있다.
제46도는 1/2배 기록모드로 기록된 데이타를 자기테이프에서 36배속으로 재생한 경우의 회전헤드(26a)의 주사궤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1/2배 기록모드로 데이타를 기록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18배속 재생용 데이타는 A채널의 트랙에 기록되고(A20∼A24에리어), 또 상술한 바와 같이 9트랙 포맷기간 동일한 데이타가 반복 기록된다(18개의 트랙에 동일한 데이타가 기록된다). 제4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18배속 재생용 데이타를 모두 재생할 수 있다. 또, 1/2배 기록모드로 기록된 데이타를 자기테이프에서 36배속으로 재생할 때는 제4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헤드(26a)에 의해 서브코드에리어의 데이타도 재생할 수 있다.
제47도는 1/3배 기록모드로 기록된 데이타를 자기테이프에서 54배속으로 재생한 경우의회전헤드(26a)의 주사궤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1/3배 기록모드로 데이타를 기록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18배속 재생용 데이타는 A채널의 트랙에 기록되고(A30∼A34에리어), 또 상술한 바와 같이 9트랙 포맷기간 동일한 데이타가 반복 기록된다(18개의 트랙에 동일한 데이타가 기록된다). 제4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18배속 재생용 데이타를 모두 재생할 수 있다. 또, 1/3배 기록모드로 기록된 데이타를자기테이프에서 54배속으로 재생할 때는 제4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헤드(26a)에 의해 서브코드에리어의 데이타도 재생할 수 있다.
제48도는 1/4배 기록모드로 기록된 데이타를 자기테이프에서 72배속으로 재생한 경우의 회전헤드(26a)의 주사궤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1/4배 기록모드로 데이타를 기록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18배속 재생용 데이타는 A채널의 트랙에 기록되고(A40∼A44에리어), 또 상술한 바와 같이 9트랙 포맷기간 동일한 데이타가 반복 기록된다(18개의 트랙에 동일한 데이타가 기록된다). 제4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18배속 재생용 데이타를 모두 재생할 수 있다. 또, 1/4배기록모드로 기록된 데이타를 자기테이프에서 72배속으로 재생할 때는 제4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헤드(26a)에 의해 서브코드에리어의 데이타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표준기록모드의 경우에는 고속재생시의 트랙킹을 ITI에리어에서 제어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18배속 재생의 경우에는 상기 특수재생용 데이타 기록에리어중의 1개의 데이타 에리어에서 트랙킹 위상을 검출해서 제어해도 좋고, 또 여러개의 상기 특수재생용 데이타 기록에리어에서 트랙킹 위상을 검출해서 제어해도 좋다. 또, 4배속 재생에 대해서는 인접하는 A트랙상의 소정의 위치에서 회전헤드(26a)에 의해 트랙킹위상을 검출해서 제어해도 좋다. 또, ITI에리어에서 트랙킹위상을 대강 조절하고 특수재생용 에리어에서 세밀하게 조절해도 좋다.
특히, 상술한 트랙킹제어방식은 호환재생(호환장치에 의해 재생)시에 트랙구부러짐이 있는 경우에 효과가 있다.
다음에, 상기 재생계의 통상재생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자기테이프에서 회전드럼(25)상의 회전헤드(26a) 및 (26b)를 거쳐서 재생된 데이타는 재생앰프(60a) 및 (60b)에 있어서 증폭되어 디지탈복조회로(61a) 및 (61b)에 입력된다. 또, 재생앰프(60a)의 출력은 캡스턴모터제어회로(29)로도 출력된다. 디지탈복조회로(61a) 및 (61b)는 입력된 재생데이타에서 데이타검출을 실행하고, 재생디지탈데이타로 변환한 후 디지탈복조를 실시한다. 또한, 각 싱크블럭의 선두에 부가되어 있는 ID신호는 디지탈복조회로(61a) 및 (61b)에 의해 검출된다. 디지탈복조회로(61a) 및 (61b)에 있어서 디지탈복조된 재생디지탈데이타는 제5 메모리(62)에 입력되고, 1트랙분의 데이타가 수집되어 제10a도 및 제10b도에 도시한 에러정정부호블럭을 구성한다. 제10a도 및 제10b도에 도시한 에러정정부호블럭의 구성이 종료하면, 에러정정복호회로(63)에 있어서 C1검사부호 및 C2검사부호를 사용해서 재생시에 발생한 에러의 검출 및 정정이 실행된다.
에러정정복호회로(63)에 있어서 에러정정이 실행된 재생디지탈데이타는 제5 메모리(62)에서 리드되어 제6 메모리(64) 및 제7 메모리(65)로 출력된다. 이때, 특수재생용 데이타 기록에리어에서 재생된 특수재생용 데이타(4배속 재생용 데이타 및 18배속 재생용 데이타)는 제7 메모리(65)에 입력되고, 통상 재생용의 재생디지탈데이타는 제6 메모리(64)에 입력된다.
한편, 디지탈복조회로(61a) 및 (61b)에 의해서 검출된 ID신호는 기록모드검출회로(67)에 입력된다. 기록모드검출회로(67)는 재생된 ID신호에서 데이타의 기록모드를 검출한다. 재생계 제어회로(68)는 입력단자(69)에서 출력되는 모드신호에 따라 디지탈VTR의 재생모드를 판별한다. 입력된 모드신호가 통상재생모드인 경우, 재생계 제어회로(68)는 드럼모터제어회로(27)로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의 기준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ID신호에서 추출된 기록모드의 판별결과에 따라서 캡스턴모터제어회로(29)로 테이프주행속도정보를 출력한다.
스위치(66)은 재생계 제어회로(68)에서 출력되는 선택정보에 따라서 통상재생시에는 제6 메모리(64)의 출력을 선택한다. 데이타리드시에는 제6 메모리(64)에 제13B도에 도시한 싱크블럭포맷으로 기억된 통상재생용 데이타에서 헤더정보 H1 및 H2가 삭제되고, 원래의 트랜스포트패킷이 복원되어 스위치(66)으로 출력된다. 제6 메모리(64)에서 출력된 통상재생용 데이타는 스위치(66)을 거쳐서 출력단자(70)에서 출력된다.
다음에, 통상재생시의 서보계의 동작을 설명한다. 재생계 제어회로(68)에서는 기록모드검출회로(67)에서 출력되는 기록모드검출결과에 따라서 캡스턴모터의 테이프주행속도정보를 캡스턴모터제어회로(29)로 출력함과 동시에 기록모드검출결과에 따라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의 제어의 유무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통상재생시는 각 기록모드에 있어서 위상제어를 필요로 하는 것은 물론이다. 한편, 재생게 제어회로(68)에서 출력되는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의 기준신호는 드럼모터제어회로(27)에 입력된다. 드럼모터제어회로(27)는 상기 기준신호 및 드럼모터(28)에서 출력되는 회전헤드(26a) 및 (26b)의 회전위상정보에 따라서 9000rpm으로 드럼모터를 제어한다. 드럼모터(28)은 드럼모터제어회로(27)에서 출력되는 드럼모터의 구동전압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드럼모터(28)에서는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을 드럼모터제어회로(27)로 출력한다. 또, 재생시에는 회전드럼(25) 의회전위상정보가 드럼모터제어회로(27)에서 캡스턴모터제어회로(29)로 출력된다.
캡스턴모터제어회로(29)는 상기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정보, 기록모드, 테이프주행속도정보, 재생앰프(60a)에서 출력되는 재생신호 및 캡스턴모터(30)에서 출력되는 캡스턴모터의 회전정보(자기테이프의 주행속도정보)에 따라 캡스턴모터를 제어한다. 각 기록모드에 있어서의 자기테이프의 주행속도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준기록모드의 경우를 1로 하면, 1/2배 기록모드시에는 1/2배로, 1/3배 기록모드시에는 1/3배로, 1/4배 기록모드시에는 1/4배로 제어된다. 통상재생시, 캡스턴모터제어회로(29)는 기록모드시의 주행속도가 상기의 속도로 되도록 기록모드에 따라서 자기테이프의 주행속도를 제어한다. 또, 상기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정보 및 ITI에리어에 기록되어 있는 ATF정보를 사용해서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을 검출하고 위상제어도 실행한다. 또한, 캡스턴모터(30)에서는 캡스턴모터의 회전정보가 캡스턴모터제어회로(29)로 출력된다.
다음에, 고속재생시의 동작을 설명한다. 자기테이프에서 회전드럼(25)상의 회전헤드(26a) 및 (26b)를 거쳐서 간헐적으로 재생된 데이타는 재생앰프(60a) 및 (60b)에 있어서 증폭되어 디지탈복조회로(61a) 및 (61b)에 입력된다. 또, 재생앰프(60a) 및 (60b)의 출력은 캡스턴모터제어회로(29)로 출력된다. 디지탈복조회로(61a) 및 (61b)는 입력된 재생데이타에서 데이타검출을 실행하고, 재생디지탈데이타로 변환한 후 디지탈복조를 실시한다. 또한, 각 싱크블럭의 선두에 부가되어 있는 ID신호는 디지탈복조회로(61a) 및 (61b)에 의해 검출된다. 디지탈복조회로(61a) 및 (61b)에 있어서 디지탈복조된 재생디지탈데이타는 제5 메모리(62)에 입력된다.
제5 메모리(62)는 데이타가 입력되면, 디지탈복조회로(61a) 및 (61b)에서 출력되는 ID신호를 따라서 고속재생용 데이타의 상기 기록에리어에서 리드한 데이타를 분리하고, 특수재생용 데이타만을 일단 제5 메모리(62)내에 기억한다. 또한, 본 실시예 2에서는 B0에리어에 기록된 데이타를 사용하는 고속재생의 경우는 재생앰프(60b) 및 디지탈복조회로(61b)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를 사용하여 각종 제어를 실행한다. A0∼A4에리어에 기록된 데이타를 사용하는 고속재생의 경우에는 재생앰프(60a) 및 디지탈복조회로(61a)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를 사용해서 각종 제어를 실행한다.
제5 메모리(62)에 기억된 특수재생용 데이타는 1싱크블럭을 단위로 해서 에러정정복호회로(63)에 의한 C1검사부호에 따라서 에러정정이 실시되고, 고속재생시에 발생한 에러의 정정 및 검출이 실행된다. 에러정정복호회로(63)에 의해 에러정정이 실시된 데이타는 제5 메모리(62)에서 순차 리드되어 제7 메모리(65)에 입력된다. 또한, 제5 메모리(62)의 출력은 제6 메모리(64)에도 입력되지만, 고속재생시에는 데이타는 라이트되지 않는다.
제7 메모리(65)는 ID정보에서 추출된 트랙번호 및 싱크블럭번호와 입력된 특수재생용 데이타에 기록되어 있는 제13a도에 도시한 H1 및 H2헤더정보에 따라서, 재생되어 온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제7 메모리(65)내의 소정의 어드레스에 기록한다. 또한, 제7 메모리(65)내의 1프레임의 특수재생용 데이타의 기억에리어는 기록모드검출회로(67)에서 출력되는 기록모드신호에 따라서 결정된다. 제7 메모리(65)에 제13b도에 도시한 싱크블럭포맷으로 기억된 특수재생용 데이타는 데이타리드시에 5싱크블럭 단위로 리드되어 헤더정보 H1 및 H2가 삭제되고 트랜스포트패킷의 상태로 스위치(66)으로 출력된다. 제7 메모리(65)에서 출력된 통상재생용 데이타는 스위치(66)을 거쳐서 출력단자(70)에서 출력된다.
다음에, 고속재생시의 서보계의 동작을 설명한다. 디지탈복조회로(61a) 및 (61b)에 의해 검출된 ID신호는 기록모드검출회로(67)에 입력된다. 기록모드검출회로(67)는 재생된 ID신호에서 데이타의 기록모드를 검출한다. 재생계 제어회로(68)는 입력단자(69)에서 출력되는 모드신호에 따라 디지탈VTR의 재생모드를 판별한다. 재생계 제어회로(68)는 입력된 모드신호가 고속재생모드이었던 경우는 스위치(66)으로 제7 메모리(65)의 출력을 선택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서보계로 각종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하, 표준기록모드시는 B0에리어(제15도 및 제32도), 1/2배 기록모드시는 B20에리어(제37도 및 제40도), 1/3배 기록모드시는 B30에리어(제38도 및 제41도), 1/4배 기록모드시는 B40에리어(제39도 및 제42도)를 사용한 고속재생시의 서보계의 제어방식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기록모드시에 B0, B20, B30, B40에리어를 사용한 고속재생시에는 각 기록모드 모두 자기테이프의 주행속도 및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의 제어도 실행된다. 따라서, 재생계 제어회로(68)는 드럼모터제어회로(27)로 회전드럼(25)의회전위상의 기준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ID신호에서 추출한 기록모드의 판별결과에 따라 캡스턴모터제어회로(29)로 테이프주행속도정보를 출력한다.
드럼모터제어회로(27)는 상기 기준신호 및 드럼모터(28)에서 출력되는 회전헤드(26a) 및 (26b)의 회전위상정보에 따라서 9000rpm으로 드럼모터를 제어한다. 드럼모터(28)은 드럼모터제어회로(27)에서 출력되는 드럼모터의 구동전압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드럼모터(28)에서는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을 드럼모터제어회로(27)로 출력한다. 또, 재생시에는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정보가 드럼모터제어회로(27)에서 캡스턴모터제어회로(29)로 출력된다.
캡스턴모터제어회로(29)는 상기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정보, 기록모드, 테이프주행속도정보, 재생앰프(60b)에서 출력되는 재생신호 및 캡스턴모터(30)에서 출력되는 캡스턴모터의 회전정보(자기테이프의 주행속도정보)에 따라 캡스턴모터를 제어한다. 또한, 본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위상제어는 드럼모터제어회로(27)에서 출력되는 회전드럼의 회전위상정보에 따라서 자기테이프상의 상기 B0에리어의 중앙부분의 재생출력이 최대로 되도록 트랙킹제어를 실행한다. 캡스턴모터제어회로(29)는 자기테이프의 주행속도를 상기 테이프주행속도정보에 따라서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을 상술한 요령으로 제어한다. 또한, 표준기록모드의 경우는 상술한 바와 같이 ITI에리어를 4배속 재생시에 주사하므로, ITI에리어에 기록되어 있는 ATF정보를 사용해서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을 검출하여 위상제어를 실행해도 좋다. 또한, 캡스턴모터(30)에서는 캡스턴모터(30)의 회전정보가 캡스턴모터제어회로(29)로 출력된다.
다음에, 표준기록모드시는 A0∼A4에리어(제15도 및 제32도), 1/2배 기록모드시는 A20∼A24에리어(제37도 및 제40도), 1/3배 기록모드시는 A30∼A34에리어(제38도 및 제41도), 1/4배 기록모드시는 A40∼A44에리어(제39도 및 제42도)를 사용한 고속재생시의 서보계의 동작을 설명한다. 또한, 제3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준기록모드시에는 ITI에리어에서 트랙킹위상의 오차를 검출하여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을 제어할 수 있도록 기록데이타가 배치되어 있다. 즉, 18배속 재생시의 특수재생용 데이타의 충분한 데이타레이트를 확보하기 위해, 회전헤드(26a)의 주사궤적을 따라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배치하고 있다.
다음에, 각 기록모드시에 있이서의 18배속 재생용 데이타를 사용한 고속재생시의 서보계의 제어방식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표준기록모드시의 A0∼A4, A20∼A24, A30∼A34, A40∼A44에리어를 사용한 고속재생시에는 각 기록모드 모두 자기테이프의 주행속도 및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의 제어도 실행한다. 따라서, 재생계 제어회로(68)는 드럼모터제어회로(27)로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의 기준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ID신호에서 추출한 기록모드의 판별결과에 따라서 캡스턴모터제어회로(29)로 테이프주행속도정보를 출력한다.
드럼모터제어회로(27)는 상기 기준신호 및 드럼모터(28)에서 출력되는 회전헤드(26a) 및 (26b)의 회전위상정보에 따라서 9000rpm으로 드럼모터를 제어한다. 드럼모터(28)은 드럼모터제어회로(27)에서 출력되는 드럼모터의 구동전압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드럼모터(28)에서는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을 드럼모터제어회로(27)로 출력한다. 또, 재생시에는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정보가 드럼모터제어회로(27)에서 캡스턴모터제어회로(29)로 출력된다.
캡스턴모터제어회로(29)는 상기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정보, 기록모드, 테이프주행속도정보, 재생앰프(60b)에서 출력되는 재생신호 및 캡스턴모터(30)에서 출력되는 캡스턴모터의 회전정보(자기테이프의 주행속도정보)에 따라 캡스턴모터를 제어한다. 또한, 본 실시예 2에 있어서의 표준기록모드시의 위상제어는 드럼모터제어회로(27)에서 출력되는 회전드럼의 회전위상정보에 따라서 자기테이프상의 상기 ITI에리어를 검출하여 ITI에리어에서의 트랙킹상태를 샘플링하고, 트랙킹위상의 오차를 검출한다. 캡스턴모터제어회로(29)는 자기테이프의 주행속도를 상기 테이프주행속도정보에 따라서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드럼(25)의 회전위상을 상술한 방식으로 검출하고 제어한다. 또한, 캡스턴모터(30)에서는 캡스턴모터(30)의 회전정보가 캡스턴모터제어회로(29)로 출력된다.
본 실시예 2에 도시한 디지탈VTR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기록레이트가 다른 신호를 기록레이트마다 미리 정해진 기록포맷(트랙포맷)으로 기록할 수 있어, 여러 종류의 기록레이트로의 입력데이타를 효율좋게 기록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각종 고속재생속도에 대응한 특수재생용 데이타의 재생데이타레이트를 충분히 크게 설정할 수 있어 고속재생시의 재생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각 기록모드 모두 특수재생용 데이타의 재생데이타레이트를 충분히 취하기 위해, 본 실시예 2에서는 상기 특수재생용 데이타 기록에리어를 회전헤드(26)의 주사궤적을 따라 배치하였다. 따라서, 본 실시예 2에서는 고속재생시에 상기 고속재생용 데이타의 기록에리어를 회전헤드(26)의 주사궤적을 따라 배치하는 것에 의해, 최대의 효율로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배치할 수 있고, 고속재생시의 재생데이타레이트를 향상시킬 수 있어 고속재생시의 재생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49도에는 상기의 4개의 기록모드별로 적합한 기록포맷을 마련하는 경우와 마련하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 재생시에 모든 고속재생용 데이타를 재생할 수 있는 최대의 배속수와 최대 배속수 재생시의 재생레이트(Mbps)를 도시하였다. 도면은 회전헤드의 1트레이스에 의해 5개의 에리어에서 재생신호를 얻는 표준기록모드시의 18배속용, 1/2배 기록모드시의 36배속용, 1/3배 기록모드시의 54배속용, 1/4배 기록모드시의 72배속용의 에리어로 부터의 재생레이트를 나타내고 있고, 도면중의 상단에 가능한 최대 배속수, 하단에 최대 배속수 재생시의 재생레이트를 도시한다. 기록모드별 포맷을 마련하지 않는 경우에는 어느 기록모드에 있어서도 표준기록모드용의 기록포맷을 채용하고 있다. 기록모드별로 4개의 포맷을 전환하는 것에 의해 재생레이트를 저하시키는 일 없이 재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전송레이트신호에 적합한 기록포맷으로 선택하는 것에 의해서, 동일 데이타를 기록하는 반복횟수를 증가시키거나, 설정배속수를 낮추는 일 없이, 회전헤드의 1회의 트레이스에 의해 모든 고속재생용 데이타를 재생할 수 있는 기록패턴을 형성하고 기록하는 것에 의해, 재생레이트를 저하시키는 일 없이 효율좋게 고속재생을 실행할 수 있다. 또, 고속재생시에 회전헤드가 서브코드에리어를 트레이스하므로, 서브코드에리어에 기록하는 신호를 사용해서 각 곡의 선두를 찾아내는 등의 부가기능(두출기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 2에서는 표준기록모드시의 테이프주행속도를 4배속 및 18배속, 1/2배 기록모드시의 테이프주행속도를 8배속 및 36배속, 1/3배 기록모드시의 테이프주행속도를 12배속 및 54배속, 1/4배 기록모드시의 테이프주행속도를 16배속 및 72배속으로 해서, 각각의 기록모드시의 고속재생시의회전헤드(26)의 주사궤적을 따라 특수재생데이타를 배치하였지만, 설정배속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실시예 2에서는 기록포맷으로서 제15도, 제37도, 제38도, 제39도에 도시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 포맷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입력데이타에서 분리해서 기록매체상의 미리 정해진 에리어에 기록하는 기록포맷을 갖는 디지탈신호기록장치, 재생장치 및 기록재생장치(디지탈VTR, 디지탈 디스크 플레이어 등)에 있어서, 특수재생용 데이타의 기록포맷을 상술한 바와 같이 기록모드에 따라서 전환하는 것에 의해, 고속재생시의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효율좋게 기록할 수 있고, 또 고속재생시에 상기 특수재생용 데이타의 재생데이타레이트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고속재생시의 재생화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기록데이타는 ATV신호 또는 DVB신호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MPEG2를 기본으로 해서 비디오신호를 압축하는 일본의 경우에는 ISDB신호 또는 MPEG1에 의해 압축된 신호를 기록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 MPEG2로 대표되는 트랜스포트패킷형식으로 전송된 데이타를 상기 SD규격으로 대표되는 디지탈VTR에 기록할 때, 실시예 2에서는 2개의 트랜스포트패킷을 5싱크블럭포맷으로 변환해서 기록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싱크블럭포맷을 생성할 때, 상기 입력된 m개의 트랜스포트패킷을 사용해서 n라인의 싱크블럭의 데이타를 생성한다(m 및 n은 정의 정수).
또, 기록매체상에 상기 변환된 싱크블럭포맷의 데이타를 기록할 때, 동일 트랙상에 상기 n싱크블럭의 데이타가 배치되도록 기록매체상에 기록포맷을 구성하는 것에 의해, 트랜스포트패킷의 데이타를 효율좋게 싱크블럭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동일 트랙내에서 상기 n싱크블럭의 데이타가 완결되므로, 재생시에 싱크블럭포맷의 데이타를 트랜스포트패킷의 데이타로 변환할 때, 트랙의 식별신호등의 트랙정보와 싱크블럭번호를 사용해서 간단히 상기 n싱크블럭포맷의 조를 서로 분리할 수 있어, 재생계의 회로규모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n싱크블럭의 식별신호를 기록할 필요도 없어 데이타의 기록에리어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고, 또 1싱크블럭의 길이도 제11도에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4배속 재생용 데이타 기록에리어, 18배속 재생용 데이타 기록에리어, 에러정정검사부호 기록에리어의 배치 또는 에리어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트랙주기도 4트랙주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실시예 2에서는 표준기록모드로 기록된 데이타를 재생하는 고속재생속도로서 4배속 또는 18배속을 선정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배속수라도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헤드(26a) 및 (26b)의 주사궤적을 따라 특수재생용 데이타 기록에리어를 배치하면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표준기록모드시의 특히 고속측의 고속재생을, 예를 들어 실시예 2에서 설명한 기록포맷의 경우는 8.5배속의 속도로 설정하고, 속도제어만으로 실현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또, 각 기록모드에 대해서 설정한 각 고속재생속도는 본 실시예 2에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 2에서는 표준기록모드의 배속수에 대해 회전헤드(26a) 및 (26b)의 주사궤적이 거의 동일하게 되는 것에 의해, 1/2배 기록모드, 1/3배 기록모드, 1/4배 기록모드에 대해서 각각 순서대로 표준기록모드시의 설정배속수의 2배, 3배, 4배를 설정하였다. 따라서, 각 기록모드 모두 4배속용 에리어(저속배속용 에리어)로서 1개소의 에리어, 18배속용 에리어(고속배속용 에리어)로서 5개소의 에리어를 배치하였지만, 에리어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 모드 모두 거의 동일한 배속수를 설정해도 좋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표준기록모드시의 4배속 또는 18배속으로 설정하고, 각각 1개소(1×25싱크블럭) 또는 5개소(5×5싱크블럭)의 에리어를 마련한 것에 대해 1/2배 기록모드시에 4배속 또는 18배속으로 설정하고, 각각 1개소(1×25싱크블럭) 또는 3개소(3×10싱크블럭)의 에리어를 마련해도 좋다.
또, 1/3배 기록모드시에 6배속 또는 21배속으로 설정하고, 각각 1개소(1×25싱크블럭) 또는 2개소(1×13싱크블럭 및 1×12싱크블럭)의 에리어를 마련해도 좋다.
또, 1/4배 기록모드시에 8배속 또는 36배속으로 설정하고, 각각 1개소(1×25싱크블럭) 또는 2개소(1×13싱크블럭 및 1×12싱크블럭)의 에리어를 마련해도 좋다.
또, 특수재생용의 데이타에리어의 수는 실시예 2에 도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각 기록모드에 있어서 특수재생용의 데이타를 고속재생시에 회전헤드(26a) 및 (26b)가 서브코드에리어를 주사하는 주사궤적상에 배치하면 좋다.
또, 특수재생용 데이타에리어의 에리어의 크기도 실시예 2에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본 실시예 2에서는 25Mbps기록모드를 표준기록모드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50Mbps를 표준기록모드 또는 12.5Mbps배를 표준기록모드로 한 경우라도 각 기록모드에서 트랙포맷을 동일하게 하고 특수재생용 데이타의 반복횟수만을 각 기록모드에서 전환해서 기록하는 것에 의해,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효율좋게 기록할 수 있고, 각 기록모드에서의 고속재생화상의 재생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예 2에서는 기록모드로서 제7도에 도시한 표준기록모드, 1/2배 기록모드, 1/3배 기록모드, 1/4배 기록모드의 4종류의 기록모드를 갖는 디지탈VTR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기록모드중, 예를 들어 2종류, 또는 3종류의 기록모드를 갖는 디지탈VTR에 의해서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 기록모드에 관해서도 상기 4종류의 기록모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어도 표준기록모드를 포함하는 여러개의 기록모드를 갖고, 트랜스포트패킷 상태로 입력된 프레임 또는 필드내, 또는 프레임 또는 필드간 부호화된 디지탈비디오신호와 디지탈 오디오신호를 트랜스페어런트 기록하는 디지탈신호 기록장치에 있어서, 먼저 상기 입력된 트랜스포트패킷에서 각종 헤더정보를 추출하고 전송레이트를 판별한다. 그리고, 상기 전송레이트 판별결과에 따라서 디지탈신호기록장치의 기록모드를 설정한다. 한편, 상기 입력된 상기 트랜스포트 패킷중의 프레임 또는 필드내 부호화가 실시된 디지탈비디오신호는 트랜스포트패킷중에서 추출된다. 그리고, 상기 추출된 상기 프레임 또는 필드내 부호화가 실시된 디지탈비디오신호는 재구성되어 특수재생용 데이타로 된다. 그리고, 상기 입력된 트랜스포트패킷 및 상기 특수재생용 데이타는 기록매체상의 트랙의 소정의 위치에 기록하기 위해, 기록데이타포맷생성수단에 있어서 기록데이타가 구성된다. 상기 기록데이타포맷생성수단에 의해 기록매체에 기록할 기록데이타를 생성할 때, 기록매체상에 기록할 특수재생용 데이타의 반복횟수를 상기 기록모드에 따라서 변경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기록매체의 주행기속도를 제어하는 기록매체주행속도 제어수단은 상기 기록모드에 따라서 기록매체의 주행속도를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기록데이타포맷생성수단에서 출력되는 기록데이타를 1트랙단위로 간헐적으로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데이타포맷생성수단을 제어한다. 따라서, 각 기록모드에 있어서 효율좋게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기록할 수 있으므로, 한정된 특수재생용 데이타 기록에리어를 효율좋게 이용할 수 있고, 고속재생시의 재생데이타레이트를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어 재생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각 기록모드 모두 동일한 트랙포맷으로 기록하므로 기록계 및 재생계에서의 제어를 각 기록모드에 있어서 공용할 수 있다. 따라서, 회로규모의 대폭적인 삭감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기록포맷을 생성할 때, 표준기록모드의 미리 정해진 고속재생속도에 있어서 헤드가 주사하는 주사궤적을 따라 상기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배치하도록 특수재생용 데이타 기록에리어를 배치한다. 그리고, 특수재생용 데이타생성수단에 의해 생성한 상기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상기 특수재생용 데이타 기록에리어에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포맷생성수단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표준기록모드에서의 고속재생시의 재생데이타레이트를 향상시킬 수 있어 고속재생시의 재생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기록레이트가 높은 표준기록모드에서는 1프레임당의 인트러화상데이타의 데이타량도 다른 기록레이트에 비해서 데이타량이 많은 것이 예상된다. 즉, 표준기록모드에 있어서는 고속재생시의 재생데이타레이트를 다른 기록모드에 비해 충분히 크게 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표준기록모드에 대해서는고속재생시에 상기 고속재생용 데이타의 기록에리어를 헤드의 주사궤적을 따라 배치하는 것에 의해 재생화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적어도 표준기록모드를 포함하는 여러개의 기록모드를 갖고, 트랜스포트 패킷 상태로 입력된 프레임 또는 필드내, 또는 프레임 또는 필드간 부호화된 디지탈비디오신호와 디지탈 오디오신호를 기록매체상에 트랜스페어런트 기록하는 디지탈신호 기록장치에 있어서, 먼저 상기 입력된 트랜스포트패킷의 전송레이트를 판별한다. 그리고, 상기 전송레이트 판별수단과 상기 판별결과에 따라서 디지탈신호기록장치의 기록모드를 설정한다. 한편, 상기 입력된 상기 트랜스포트 패킷에서 프레임 또는 필드내 부호화가 실시된 디지탈비디오신호는 트랜스포트패킷중에서 추출된다. 그리고, 상기 추출된 상기 프레임 또는 필드내 부호화가 실시된 디지탈비디오신호는 재구성되어 특수재생용 데이타로 변환된다. 그리고, 상기 입력된 트랜스포트패킷 및 상기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기록매체상의 트랙의 소정의 위치에 기록하기 위해, 기록데이타포맷생성수단에 있어서 기록데이타가 구성된다. 상기 기록데이타포맷생성수단에 의해 기록매체에 기록할 기록데이타를 생성할 때, 기록매체상에 기록할 상기 특수재생용 데이타의 기록포맷을 상기 기록모드에 따라서 변경한다. 따라서, 각 기록모드에 있어서 효율좋게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기록할 수 있어 한정된 특수재생용 데이타 에리어를 효율좋게 이용할 수 있고, 또 고속재생시에 재생데이타레이트를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어 재생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기록포맷을 생성할 때, 각 기록모드의 미리 정해진 고속재생속도에 있어서 헤드가 주사하는 주사궤적상에 상기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각 기록모드에 있어서 효율좋게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기록할 수 있으므로, 한정된 특수재생용 데이타에리어를 효율좋게 이용할 수 있고, 고속재생시의 재생데이타레이트를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어 재생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기록포맷을 생성할 때, 각 기록모드의 미리 정해진 고속재생속도에 있어서 헤드가 서브코드에리어를 주사하는 주사궤적을 따라 상기 특수재생용 데이타가 배치되도록 상기 기록데이타포맷생성수단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서, 또 고속재생시에 서브코드에리어를 회전헤드가 트레이스하므로, 서브코드에리어에 기록하는 신호를 사용해서 두출기능 등의 부가기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 입력된 인트러화상데이타를 사용해서 상기 특수재생용 데이타생성수단에 의해서 생성할 때,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상기 입력된 트랜스포트패킷 형식으로 생성한다. 그리고, 이 트랜스포트패킷 형식으로 생성된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기록매체상에 기록할 때에는 입력데이타와 마찬가지로 싱크블럭포맷으로 변환해서 기록하는 것에 의해, 디지탈신호 재생장치에서 고속재생을 실행할 때 트랜스포트패킷 생성을 위한 회로를 필요로 하지 않고, 또 통상재생용의 싱크블럭포맷을 트랜스포트패킷으로 변환하기 위한 회로를 공용할 수 있어, 특히 재생전용기 등에서의 회로규모의 삭감을 실행할 수 있다.
또, MPEG2로 대표되는 트랜스포트패킷 형식으로 전송된 데이타를 상기 SD규격으로 대표되는 디지탈VTR에 기록할 때, 상기 기록데이타 생성수단에 의해서 싱크블럭포맷을 생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입력된 2개의 트랜스포트패킷을 사용해서 5라인의 싱크블럭의 데이타를 생성하는 것에 의해, 트랜스포트패킷의 데이타를 효율좋게 싱크블럭의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 표준기록모드를 포함하는 여러개의 기록모드를 갖고, 기록데이타에서 추출된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미리 정해진 에리어에 여러회 반복해서 기록한 기록매체를 재생하는 디지탈신호 재생장치에 있어서, 재생시에 재생신호에서 상기 기록모드를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모드검출결과에 따라서 기록매체의 주행속도를 제어한다. 그때, 표준기록모드의 1/K배의 주행속도로 기록된 기록매체를 사용해서 고속재생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기록매체의 구동속도를 약 ±K×(N+1/2)배속 (단, N은 정의 정수이고, 2×K×(N+1/2)≤M×K(M은 특수재생용 데이타의 반복횟수)를 만족시킨다)으로 설정되도록 상기 기록매체 주행속도를 제어한다. 그 결과, 각 기록모드에 있어서 동일한 기록포맷을 사용하여 양호한 고속재생을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기록포맷을 동일하게 하는 것에 의해 재생계에서의 신호처리회로를 각 기록모드에서 공용할 수 있어 회로규모의 대폭적인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기록매체에 대해서는 주행속도 제어만 실행하고, 위상제어는 실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서보계의 회로규모 및 기구계의 회로규모의 대폭적인 삭감을 실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표준기록모드를 포함하는 여러개의 기록모드를 갖고, 기록데이타에서 추출된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미리 정해진 에리어에 기록한 기록매체를 재생하는 디지탈신호재생장치에 있어서, 재생시에 재생신호에서 상기 기록모드를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모드 검출결과에 따라서 기록매체의 테이프주행속도를 제어한다. 그때, 상기 기록모드에 있어서의 미리 정해진 속도로의 고속재생시에 헤드가 서브코드에리어를 주사하도록 트랙킹을 제어하므로, 고속재생시에 회전헤드가 서브코드에리어를 트레이스하기 때문에, 서브코드에리어에 기록하는 신호를 사용해서 두출기능 등의 부가기능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적어도 표준기록모드를 포함하는 여러개의 기록모드를 갖고, 트랜스포트패킷 상태로 입력된 프레임 또는 필드내, 또는 프레임 또는 필드간 부호화된 디지탈비디오신호와 디지탈 오디오신호를 기록매체상에 트랜스페어런트 기록하는 디지탈신호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트랜스포트 패킷의 전송레이트를 판별하는 전송레이트판별수단, 상기 전송레이트판별결과에 따라서 디지탈신호기록장치의 기록모드를 설정하는 기록모드설정수단, 상기 트랜스포트패킷에서 프레임 또는 필드내 부호화가 실시된 디지탈비디오신호를 추출하는 데이타추출수단, 상기 데이타추출수단에 의해서 추출된 상기 프레임 또는 필드내 부호화가 실시된 디지탈비디오신호를 재구성해서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생성하는 특수재생용 데이타생성수단과, 상기 입력된 트랜스포트 패킷 및 상기 특수재생용 데이타가 트랙상의 소정의 위치에 기록되도록 기록포맷을 생성하는 기록데이타포맷생성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기록데이타포맷생성수단에 의해서 기록데이타를 생성할 때, 기록매체상에 기록할 상기 특수재생용 데이타의 반복횟수가 상기 기록모드에 따라서 변경되도록 상기 기록데이타포맷생성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신호기록장치.
  2. 적어도 표준기록모드를 포함하는 여러개의 기록모드를 갖고, 트랜스포트패킷 상태로 입력된 프레임 또는 필드내, 또는 프레임 또는 필드간 부호화된 디지탈비디오신호와 디지탈 오디오신호를 기록매체상에 트랜스페어런트 기록하는 디지탈신호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트랜스포트패킷의 전송레이트를 판별하는 전송레이트판별수단, 상기 전송레이트 판별결과에 따라서 디지탈신호기록장치의 기록모드를 설정하는 기록모드설정수단, 상기 트랜스포트패킷에서 프레임 또는 필드내 부호화가 실시된 디지탈비디오신호를 추출하는 데이타추출수단, 상기 데이타추출수단에 의해서 추출된 상기 프레임 또는 필드내 부호화가 실시된 디지탈비디오신호를 재구성해서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생성하는 특수재생용 데이타생성수단과, 상기 입력된 트랜스포트 패킷 및 상기 특수재생용 데이타가 트랙상의 소정의 위치에 기록되도록 기록포맷을 생성하는 기록데이타포맷생성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기록데이타포맷생성수단에 의해서 기록데이타를 생성할 때, 기록매체상에 기록할 상기 특수재생용 데이타의 기록포맷이 상기 기록모드에 따라서 변경되도록 상기 기록데이타포맷생성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신호기록장치.
  3. 표준기록모드를 포함하는 여러개의 기록모드를 갖고, 기록데이타에서 추출된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미리 정해진 에리어에 여러회 반복해서 기록한 기록매체를 재생하는 디지탈신호 재생장치에 있어서, 재생신호에서 기록모드를 검출하는 기록모드검출수단과, 상기 기록모드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 기록매체의 주행속도를 제어하는 기록매체 주행속도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고속재생시에 표준기록모드의 속도의 1/K배의 주행속도로 기록된 기록매체를 재생할 때, 상기 기록매체의 구동속도가 약 {±K×(N+1/2)}배속(단, N은 정의 정수이고, 2×K×(N+1/2)≤M×K(M은 각 특수재생용 데이타의 반복횟수)를 만족시킨다)으로 설정되도록 상기 기록매체 주행속도 제어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신호 재생장치.
  4. 표준기록모드를 포함하는 여러개의 기록모드를 갖고, 기록데이타에서 추출된 특수재생용 데이타를 미리 정해진 에리어에 기록한 기록매체를 재생하는 디지탈신호재생장치에 있어서, 재생신호에서 기록모드를 검출하는 기록모드검출수단, 상기 기록모드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 기록매체의 주행속도를 제어하는 기록매체 주행속도 제어수단 및 상기 기록모드에 있어서의 미리 정해진 테이프주행속도에서의 고속재생시에 헤드가 서브코드에리어를 주사하도록 트랙킹을 제어하는 트랙킹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신호재생장치.
KR1019960001255A 1995-01-25 1996-01-22 디지탈신호 기록장치 및 재생장치 KR1002098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009870 1995-01-25
JP987095 1995-01-25
JP95-017056 1995-02-03
JP1705695 1995-02-03
JP22670395A JP3226444B2 (ja) 1995-01-25 1995-09-04 ディジタル信号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JP95-226703 1995-09-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0197A KR960030197A (ko) 1996-08-17
KR100209855B1 true KR100209855B1 (ko) 1999-07-15

Family

ID=27278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1255A KR100209855B1 (ko) 1995-01-25 1996-01-22 디지탈신호 기록장치 및 재생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740306A (ko)
EP (2) EP0724361B1 (ko)
JP (1) JP3226444B2 (ko)
KR (1) KR100209855B1 (ko)
CN (1) CN1118821C (ko)
DE (2) DE6962553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1485A (en) 1994-11-11 2000-10-3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gital signal recording apparatus which utilizes predetermined areas on a magnetic tape for multiple purposes
US5941936A (en) * 1996-10-31 1999-08-24 Taylor Group Of Companies, Inc. One-bit run-length encoding and playback system
US6349012B1 (en) * 1998-02-03 2002-02-19 Hitachi, Ltd. Magneti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CN1198457C (zh) * 1998-03-17 2005-04-2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图象信号处理装置
CA2289958C (en) * 1998-11-19 2003-01-21 Tomoyuki Okada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data thereof
JP2001093210A (ja) * 1999-09-20 2001-04-06 Sony Corp データ記録再生装置
JP4501187B2 (ja) * 1999-10-22 2010-07-1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KR100681992B1 (ko) 1999-12-02 2007-02-15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기록 장치 및 방법
WO2001041436A1 (en) * 1999-12-03 2001-06-07 Sony Corpor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JP4370673B2 (ja) * 2000-04-14 2009-11-25 ソニー株式会社 磁気テープ記録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US7751686B2 (en) 2000-07-12 2010-07-06 Panasonic Corporation Data recording apparatus, data reproducing apparatus, data recording method, and data reproducing method
US6804655B2 (en) * 2001-02-06 2004-10-12 Cirrus Logic,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bursty-asnychronous data over a synchronous link
US8391482B2 (en) * 2001-05-04 2013-03-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ignal format that facilitates easy scalability of data streams
JP3867516B2 (ja) * 2001-05-17 2007-01-10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情報処理システム
JP2006129300A (ja) * 2004-10-29 2006-05-18 Shinano Kenshi Co Ltd コンテンツデータの特殊再生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データの再生装置
JP5023204B2 (ja) * 2010-09-08 2012-09-12 株式会社東芝 磁気記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44797B2 (ja) * 1988-01-25 1997-08-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GB2220521B (en) * 1988-06-07 1993-04-28 Mitsubishi Electric Corp Digital signal recording method a digital video tape recorder and a recorded tape
US5136391A (en) * 1988-11-02 1992-08-04 Sanyo Electric Co., Ltd. Digital video tape recorder capable of accurate image reproduction during high speed tape motion
US5282049A (en) * 1991-02-08 1994-01-25 Olympus Optical Co., Ltd. Moving-picture data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es
JPH06150633A (ja) * 1992-10-30 1994-05-31 Sony Corp 磁気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JPH06150568A (ja) * 1992-11-06 1994-05-31 Sony Corp データ記録装置
JP2855067B2 (ja) * 1992-11-28 1999-02-10 三星電子株式会社 デジタルvcrの画像記録方法
US5377051A (en) * 1993-01-13 1994-12-27 Hitachi America, Ltd. Digital video recorder compatible receiver with trick play image enhancement
KR950014860B1 (ko) * 1993-06-04 1995-12-16 대우전자주식회사 영상 기록장치
AU681185B2 (en) * 1993-10-22 1997-08-21 Son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digital video data
WO1995028061A2 (en) * 1994-04-12 1995-10-19 Philips Electronics N.V. Recording and reproduction of a trick mode video signal
JP3575100B2 (ja) * 1994-11-14 2004-10-06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送信/受信装置及び方法並びにデータ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0197A (ko) 1996-08-17
JPH08275109A (ja) 1996-10-18
DE69633348T2 (de) 2005-09-22
EP1113436A3 (en) 2003-08-13
EP0724361B1 (en) 2003-01-02
US5740306A (en) 1998-04-14
CN1139259A (zh) 1997-01-01
JP3226444B2 (ja) 2001-11-05
CN1118821C (zh) 2003-08-20
EP1113436A2 (en) 2001-07-04
DE69625532D1 (de) 2003-02-06
DE69625532T2 (de) 2003-11-06
EP0724361A3 (en) 1998-03-11
DE69633348D1 (de) 2004-10-14
EP1113436B1 (en) 2004-09-08
EP0724361A2 (en) 1996-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9855B1 (ko) 디지탈신호 기록장치 및 재생장치
JP3261844B2 (ja) デジタルビデオ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JP3322998B2 (ja) ディジタルvtr
US6141485A (en) Digital signal recording apparatus which utilizes predetermined areas on a magnetic tape for multiple purposes
JP3385109B2 (ja) ディジタルvtr
JP2000138897A (ja)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記録装置
US20080279529A1 (en) Digital vtr
JP3290512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3932721B2 (ja) データ記録装置、データ記録再生装置、データ記録方法およびデータ記録再生方法
JP3501538B2 (ja) ディジタル信号記録装置および再生装置
JP3332603B2 (ja) ディジタル信号再生装置および記録再生装置
JP3547183B2 (ja) ディジタル信号記録装置
JP3304634B2 (ja) ディジタル信号再生装置
JP3489223B2 (ja) ディジタル信号記録装置および再生装置
JP3516520B2 (ja) ディジタル信号再生装置および誤り訂正復号方法
JP3628047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GB2328340A (en) Digital video signal recording apparatus with trick playback data recorded in predetermined area of recording tape
GB2323240A (en) Digital VTR with variable speed playback
GB2322756A (en) Digital VTR with a variable speed playback(trick-play) facility
GB2324673A (en) Digital VTR with header identification means
JPH07288774A (ja) ディジタル画像信号の記録再生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1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