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5780B1 - 원격 제어 신호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원격 제어 신호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5780B1
KR100205780B1 KR1019970015075A KR19970015075A KR100205780B1 KR 100205780 B1 KR100205780 B1 KR 100205780B1 KR 1019970015075 A KR1019970015075 A KR 1019970015075A KR 19970015075 A KR19970015075 A KR 19970015075A KR 100205780 B1 KR100205780 B1 KR 100205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alue
predetermined
remote control
sh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5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7813A (ko
Inventor
김종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15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5780B1/ko
Publication of KR19980077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7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5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5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원격 제어 신호 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 포트를 통해 외부로부터 리모콘 신호를 입력받아 펄스 신호마다 소정의 에찌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켜 연속된 에찌 인터럽트 신호의 간격에 따라 하드 웨어적으로 논리 비트를 발생시켜 수신 데이타로서 출력시킨다.

Description

원격 제어 신호 수신 장치 (Remote control Signal Reciever)
본 발명은 원격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내장되는 원격 제어 신호 수신 장치(Remote control Signal Reciever)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신호 수신 장치의 구성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원격 제어 신호 수신 장치의 동작을 살펴보겠다.
우선 외부로부터 소정의 주파수 범위 내의 아날로그 신호인 원격 제어 신호가 발생되면 소정의 신호 처리 과정을 통해 원격 제어 신호가 샘플링되어 펄스 신호로 변환되며, 이 신호가 입력 포트(1)를 통해 인가된다. 그리고 각 펄스 신호의 소정의 에찌에서 에찌 인터럽트 신호(EI)가 발생된다.
한편, 에찌 인터럽트 신호(EI)가 발생되면 클락 신호(CLK)가 발진되어 카운터(3)가 펄스 신호의 폭을 카운트하기 시작한다.
만일 카운터(3) 값이 클락 신호(CLK)에 따라 증가되어 기준 레지스터(5)의 값과 같아지면 비교기(4)로부터 타이머 인터럽트 신호(TI)가 발생된다. 여기서 기준 레지스터(5)는 펄스 신호의 폭이 소정의 기준치 이상인지를 판별하기 위한 기준 카운트 값을 가지고 있다.
이렇게 타이머 인터럽트 신호(TI)가 발생되는 경우는 펄스 신호의 폭이 기준 폭과 같거나 긴 경우이다. 이때는 펄스 신호에 대한 수신 데이터가 '1'로 감지되어 저장된다.
반면에 만일 카운터(3)의 값이 기준 레지스터(5)의 값에 도달하지 못한 구간에서 다음 펄스 신호에 따른 에찌 인터럽트 신호(EI)가 다시 발생된다면, 이는 이전 펄스 신호의 폭이 기준 폭보다 짧은 경우이다. 이때는 수신 데이터가 '0'으로 감지되어 저장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원격 제어 신호 수신 장치의 동작이 소프트 웨어 방식으로 실시간에 처리되기 때문에 그 소스 프로그램이 최상위의 우선 순위를 가지고 수행되어야 한다. 그래서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중에는 다른 작업을 처리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기가 어려울 뿐 아니라 일정 용량의 마이컴에 라이트될 프로그램의 사이즈가 커지고 프로그램 자체도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원격 제어 신호를 하드웨어적으로 처리하여 소프트 웨어적인 처리 비중을 줄이고 시스템의 운용 상태에 따라 우선 순위가 높은 다른 작업이 처리되는 동안에도 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한 원격 제어 신호 수신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신호 수신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신호 수신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논리 회로의 논리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자동 리로드 제어부의 제어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신호 수신 장치의 동작 타이밍도.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리모콘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내장되는 원격 제어 신호 수신 장치는 소정의 입력 포트를 통해 외부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펄스 신호로 처리하고 처리된 각 펄스 신호의 에찌를 판별하여 소정의 에찌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전처리 수단과, 상기 신호 전처리 수단으로부터 에찌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원격 제어 신호 수신 장치가 활성화되도록 소정의 레디 신호를 발생시키는 활성화 수단과, 상기 신호 전처리 수단으로부터의 에찌 인터럽트 신호에 응답하여 각 펄스 신호의 폭이 소정의 기준 폭보다 긴지 짧은지를 판별한 소정의 논리값을 발생시키는 펄스 폭 판별 수단과, 상기 펄스 폭 판별 수단으로부터의 논리값을 소정의 개수만큼 순차적으로 저장하여 수신 데이터로서 출력시키는 데이터 버퍼 수단을 포함한다.
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처리 수단은 소정의 입력 포트를 통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 신호의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고 소정의 시스템 신호에 따라 샘플링한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노이즈 필터와, 상기 노이즈 필터로부터의 샘플링된 펄스 신호에 응답하여 각 펄스 신호의 에찌를 판별하여 소정의 에찌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트리거 수단을 포함한다.
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수단은 상기 신호 전처리 수단으로부터 에찌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되면 기억 중이던 값을 클리어시키는 래치와; 상기 래치로부터의 신호를 반전시키는 인버터를 포함한다.
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펄스 폭 판별 수단은 상기 신호 전처리 수단으로부터 에찌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되면 소정의 클락 신호에 따라 카운트를 시작하는 카운터와, 소정의 로드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카운터의 값을 캡쳐하는 캡쳐 레지스터와, 소정의 기준 카운트 값을 가지는 기준 레지스터와, 상기 캡쳐 레지스터의 값과 상기 카운트 기준 레지스터의 값을 비교하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의 연산 결과에 따른 논리값을 발생시키는 논리 수단을 포함한다.
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논리 수단은 상기 비교기의 연산 결과가 소정의 설정값보다 크면 하이 레벨의 논리값을 발생시키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로우 레벨의 논리값을 발생시킨다.
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버퍼 수단은 상기 레디 신호와 상기 에찌 인터럽트 신호를 논리곱하여 쉬프트 클락 신호와 쉬프트 카운트 클락 신호를 발생시키는 앤드 게이트와, 상기 앤드 게이트로부터의 쉬프트 클락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펄스 폭 판별 수단으로부터의 논리값을 순차적으로 쉬프트시켜 저장하고 소정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출력시키는 데이터 레지스터들과, 소정의 기준 쉬프트 카운트 값을 가지는 쉬프트 기준 레지스터와, 소정의 자동 리로드 신호에 의해 상기 쉬프트 기준 레지스터의 값을 초기값으로 인가받아 상기 앤드 게이트로부터의 쉬프트 카운트 클락 신호에 따라 다운 카운트하고 바로우가 발생되면 쉬프트 카운트 아웃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쉬프트 카운터를 포함한다.
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동 리로드 신호는 상기 데이터 레지스터들의 값이 출력시에 또는 상기 쉬프트 기준 레지스터의 값이 변경시에 발생된다.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하면, 원격 제어 신호를 하드 웨어적으로 자동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의 상태에 따라 우선 순위가 높은 다른 작업이 처리되는 동안에도 수신이 가능하다. 그 뿐만 아니라 시스템의 운용을 제어하는 마이컴에 라이트되는 프로그램 사이즈도 크게 줄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신호 수신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논리 회로의 논리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자동 리로드 제어부의 제어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원격 제어 신호 수신 장치의 동작을 살펴보겠다.
우선 원격 제어 신호가 입력 포트(11)를 통해 입력되고 노이즈 필터(12)를 통해 노이즈 성분이 제거된 다음 샘플링된다.
트리거(13)는 노이즈 필터(12)로부터의 샘플링된 펄스 신호를 인가받아 각 펄스 신호의 에찌를 판별하여 소정의 에찌 인터럽트 신호(EIS)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에찌 인터럽트 신호(EIS)는 설정된 모드 값에 따라 펄스 신호의 라이징 에찌 또는 폴링 에찌에서 발생시킬 수 있다. 에찌 인터럽트 신호(EIS)가 발생되면 로드 신호(LS), 레디 신호(RS), 카운터 클리어 신호(CLR), 쉬프트 클락 신호(SCLK), 쉬프트 카운터 클락 신호(SCCLK) 등이 차례로 발생된다.
카운터(21)는 상기 트리거(13)로부터 에찌 인터럽트 신호(EIS)가 발생되면 카운터 클락 신호(CCLK)에 따라 0 부터 업 카운트를 한다. 그래서 다음 에찌 인터럽트 신호(EIS)가 발생시 그에 따른 로드 신호(LS)에 의해 카운터(21) 값이 캡쳐 레지스터(22)로 캡쳐된다. 카운터(21)는 다시 0 부터 업 카운트를 시작한다.
여기서 캡쳐 레지스터(22)로 인가되는 카운트 값은 연속되는 에찌 인터럽트 신호(EIS)들 사이의 타이밍 간격을 카운트한 값으로서 펄스 신호의 폭을 나타낸다.
그리고 비교기(23)는 캡쳐 레지스터(22)의 값과 기준 레지스터(24)의 값을 비교한다. 여기서 기준 레지스터(24)는 펄스 신호의 폭이 소정의 기준치보다 긴지 짧은지를 판별하기 위한 기준 카운트 값을 가지고 있다.
논리 회로(3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비교기(23)의 연산 결과, 카운터 레지스터(22)의 값이 기준 레지스터(24)의 값보다 크면 비트 데이터 '1'을 발생시키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비트 데이터 '0'을 발생시킨다.
그런데 만일 카운터(21)의 값이 최대값인 FFH가 될 때까지 다음 펄스 신호가 입력되지 않고 그에 따라 에찌 인터럽트 신호(EIS)가 발생되지 않으면 앤드 게이트(25)로부터 카운터 맥스 인터럽트 신호(CMIS)가 발생된다.
데이터 레지스터들(33, 34)은 직렬 연결된 상위 데이터 레지스터(33)와 하위 데이터 레지스터(34)로 구성되어 쉬프트 클락 신호(SCLK)에 따라 논리 회로(23)로부터 발생된 비트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쉬프트시켜 저장한다.
쉬프트 카운터(36)는 도 4에 도시된 자동 리로드 제어부(37)로부터의 자동 리로드 신호(ARLS)에 의해 소정의 쉬프트 기준 레지스터(35)의 값으로 초기화되고 쉬프트 카운트 클락 신호(SCCLK)에 따라 다운 카운트를 한다. 그리하여 쉬프트 카운터(36)는 데이터 레지스터들(33,34)로 쉬프트되는 비트 데이터의 개수를 쉬프트 기준 레지스터(35)에 설정된 개수로 제한한다. 여기서 쉬프트 클락 신호(SCLK)와 쉬프트 카운트 클락 신호(SCCLK)는 에찌 인터럽트 신호(EIS)와 레디 신호(RS)를 논리곱하여 발생된다.
쉬프트 카운터(36)에서 바로우가 발생되면 쉬프트 카운트 아웃 인터럽트 신호(SCOIS)가 발생되어 데이터 레지스터들(33, 34)의 값이 출력된다. 이때 소정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위 데이터 레지스터(33)의 값만 출력되거나 두 데이터 레지스터의 값들이 모두 출력될 수도 있다. 또한 쉬프트 기준 레지스터(35)의 값을 바꾸어 데이터 레지스터들(33, 34)로 쉬프트되는 비트 데이터의 개수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렇게 데이터 레지스터들(33, 34)의 값들 중 어느 하나가 읽혀지거나 또는 쉬프트 기준 레지스터(35)의 값이 변경되면 자동 리로드 신호(ARLS)가 발생되어 쉬프트 카운터(36)의 값이 쉬프트 기준 레지스터(35)의 값으로 다시 초기화된다. 그리고 에찌 인터럽트 신호(EIS)가 발생됨에 따라 상술한 바의 수신 동작이 계속 수행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신호 수신 장치를 시뮬레이션한 결과의 타이밍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원격 제어 신호 수신 장치가 동작을 개시하기 전에 먼저 각 펄스 신호에 따른 에찌 인터럽트 신호(EIS)가 펄스 신호의 라이징 에찌에서 발생되도록 소정의 모드값이 지정되고 래치(17)가 하이 레벨로 그리고 기준 레지스터(24)의 값이 일 예로 30H로 설정된다.
원격 제어 신호는 펄스 신호로 샘플링되고 각 펄스 신호의 라이징 에찌마다 에찌 인터럽트 신호(EIS)가 발생된다.
최초의 에찌 인터럽트 신호(EIS)의 경우에는, 데이터 레지스터들(33, 34)의 값이 클리어되고 쉬프트 기준 레지스터(35)가 일 예로 8H로 설정된다. 그리고 레디 신호(RS)가 발생되어 신호 수신 동작이 활성화되며 카운터(21)가 0부터 새로 업 카운트를 시작한다.
두 번째 에찌 인터럽트 신호(EIS)가 발생되면 첫번째 에찌 인터럽트 신호(EIS)가 발생한 시점부터 카운트해온 카운터(21)의 값이 기준 레지스터(24)의 값과 비교된다. 이때 카운터(21) 값이 A0H 이므로 기준 레지스터(24)의 값보다 큰 경우에 해당하여 비트 데이터 '1'이 발생되어 데이터 레지스터(33)로 저장된다. 쉬프트 카운터(36)의 값은 7로 바뀐다.
세 번째 에찌 인터럽트 신호(EIS)가 발생되면 두 번째 에찌 인터럽트 신호(EIS)가 발생된 시점부터 카운트해온 카운터(21)의 값이 20H 이므로 기준 레지스터(24)의 값보다 작은 경우에 해당하여 비트 데이터 '0'이 발생된다. 이 비트 데이타는 데이터 레지스터(33)로 쉬프트되어 저장되고 쉬프트 카운터(36)의 값은 6으로 바뀐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9개의 비트 데이터가 데이터 레지스터(33)로 쉬프트되어 데이터 레지스터들(33, 34)에 저장되면 쉬프트 카운터(36)가 FFh로 되어 바로우(borrow)를 발생하여 쉬프트 카운트 아웃 인터럽트 신호(SCOIS)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데이터 레지스터(33)의 값(42H)이 출력되고 쉬프트 카운터(36)의 값이 이번에는 7H로 초기화된다. 쉬프트 기준 레지스터(35)도 역시 7H로 변경된다.
이에 따라 8개의 비트 데이터가 데이터 레지스터(33)에 수신될 때마다 쉬프트 카운트 아웃 인터럽트 신호(SCOIS)가 발생되어 데이터 레지스터(33)의 값이 출력된다.
상술한 초기 상태에서 쉬프트 카운터(36)의 값이 8H로 초기화된 것은 최초의 펄스 신호가 리딩 시그날(leading signal)이기 때문에 이를 무시하기 위해서이다.
다시 에찌 인터럽트 신호(EIS)가 발생되면, 펄스 신호의 폭에 따른 비트 데이터가 발생되고 데이터 레지스터(33)에 쉬프트됨에 따라 먼저 저장되었던 비트 데이터들은 한 비트씩 하위 데이터 레지스터(34) 쪽으로 쉬프트된다. 그런데 만일 카운터(21)의 값이 FFH로 되었는데도 에찌 인터럽트 신호(EIS)가 발생되지 않으면 카운터 맥스 인터럽트 신호(CMIS)가 발생된다. 그리고 만일 카운터(21)의 값이 기준 레지스터(24)의 값에 비해 너무 작으면 에러로 처리된다.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하면, 외부로부터의 원격 제어 신호가 하드 웨어적으로 자동 수신되기 때문에 시스템의 운용 상태에 따라 마이컴이 다른 작업을 처리하는 동안에도 수신 동작이 수행될 수 있어서 보다 효율적으로 시스템을 운용할 수 있다. 또한 소프트 웨어의 비중이 크게 줄어 마이컴의 프로그램 사이즈도 줄일 수 있다.

Claims (7)

  1. 리모콘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내장되는 원격 제어 신호 수신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입력 포트(11)를 통해 외부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펄스 신호로 처리하고 처리된 각 펄스 신호의 에찌를 판별하여 소정의 에찌 인터럽트 신호(EIS)를 발생시키는 신호 전처리 수단(10)과, 상기 신호 전처리 수단(10)으로부터 에찌 인터럽트 신호(EIS)가 발생되면 상기 원격 제어 신호 수신 장치가 활성화되도록 소정의 레디 신호(RS)를 발생시키는 활성화 수단(15)과, 상기 신호 전처리 수단(10)으로부터의 에찌 인터럽트 신호(EIS)에 응답하여 각 펄스 신호의 폭이 소정의 기준 폭보다 긴지 짧은지를 판별한 소정의 논리값을 발생시키는 펄스 폭 판별 수단(20)과, 상기 펄스 폭 판별 수단(20)으로부터의 논리값을 소정의 개수만큼 순차적으로 저장하여 수신 데이터로서 출력시키는 데이터 버퍼 수단(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신호 수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처리 수단(10)은 소정의 입력 포트(11)를 통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 신호의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고 소정의 시스템 신호에 따라 샘플링한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노이즈 필터(12)와, 상기 노이즈 필터(12)로부터의 샘플링된 펄스 신호에 응답하여 각 펄스 신호의 에찌를 판별하여 소정의 에찌 인터럽트 신호(EIS)를 발생시키는 트리거 수단(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신호 수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수단(15)은 상기 신호 전처리 수단(10)으로부터 에찌 인터럽트 신호(EIS)가 발생되면 기억 중이던 값을 클리어시키는 래치(16)와, 상기 래치(16)로부터의 신호를 반전시키는 인버터(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신호 수신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폭 판별 수단(20)은 상기 신호 전처리 수단(10)으로부터 에찌 인터럽트 신호(EIS)가 발생되면 소정의 클락 신호(CCLK)에 따라 카운트를 시작하는 카운터(21)와, 소정의 로드 신호(LS)가 발생되면 상기 카운터(21)의 값을 캡쳐하는 캡쳐 레지스터(22)와, 소정의 기준 카운트 값을 가지는 기준 레지스터(24)와, 상기 캡쳐 레지스터(22)의 값과 상기 카운트 기준 레지스터(23)의 값을 비교하는 비교기(23)와, 상기 비교기(23)의 연산 결과에 따른 논리값을 발생시키는 논리 수단(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신호 수신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 수단(25)은 상기 비교기(23)의 연산 결과가 소정의 설정값보다 크면 하이 레벨의 논리값을 발생시키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로우 레벨의 논리값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신호 수신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버퍼 수단(30)은 상기 레디 신호(RS)와 상기 에찌 인터럽트 신호(EIS)를 논리곱하여 쉬프트 클락 신호(SCLK)와 쉬프트 카운트 클락 신호(SCCLK)를 발생시키는 앤드 게이트(32)와, 상기 앤드 게이트(32)로부터의 쉬프트 클락 신호(SCLK)에 응답하여 상기 펄스 폭 판별 수단(25)으로부터의 논리값을 순차적으로 쉬프트시켜 저장하고 소정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출력시키는 데이터 레지스터들(33, 34)과, 소정의 기준 쉬프트 카운트 값을 가지는 쉬프트 기준 레지스터(31)와, 소정의 자동 리로드 신호(ARLS)에 의해 상기 쉬프트 기준 레지스터(35)의 값을 초기값으로 인가받아 상기 앤드 게이트(32)로부터의 쉬프트 카운트 클락 신호(SCCLK)에 따라 다운 카운트하고 바로우가 발생되면 쉬프트 카운트 아웃 인터럽트 신호(SCOIS)를 발생시키는 쉬프트 카운터(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신호 수신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리로드 신호(ARLS)는 상기 데이터 레지스터들(33, 34)의 값이 출력시에 또는 상기 쉬프트 기준 레지스터(35)의 값이 변경시에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신호 수신 장치.
KR1019970015075A 1997-04-23 1997-04-23 원격 제어 신호 수신 장치 KR100205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5075A KR100205780B1 (ko) 1997-04-23 1997-04-23 원격 제어 신호 수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5075A KR100205780B1 (ko) 1997-04-23 1997-04-23 원격 제어 신호 수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7813A KR19980077813A (ko) 1998-11-16
KR100205780B1 true KR100205780B1 (ko) 1999-07-01

Family

ID=19503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5075A KR100205780B1 (ko) 1997-04-23 1997-04-23 원격 제어 신호 수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57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951B1 (ko) * 2010-10-06 2012-04-09 어보브반도체 주식회사 범용 수신 장치 및 그 패턴 인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7813A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36853A (en) Remote control signal processing circuit for a microcomputer
US6008672A (en) Input signal reading circuit having a small delay and a high fidelity
US6385274B1 (en) Watchdog timer for resetting microcomputer before runaway
US6081889A (en) Method of resetting a system
KR100205780B1 (ko) 원격 제어 신호 수신 장치
US5221906A (en) Program control digital pulse generator
US5063355A (en) Timer circuit
KR100293133B1 (ko) 출력 지연 회로
JP2707778B2 (ja) ノイズ除去回路
KR100328825B1 (ko) 오동작 방지 회로
JP2004519032A (ja) プロセッサの介入あり又はなしでのハードウェアの初期化
KR100548800B1 (ko) 디지털 필터
US20220206988A1 (en) Programmable serial input-output controller, operation system and method
JPH0749879Y2 (ja) 二値化信号出力装置
SU129028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равлени энергопотреблением микропроцессорной системы
JPH06110737A (ja) ウォッチドッグタイマー
KR960010155Y1 (ko) 무부하 대기시간 검출에 의한 아크 방전 제어장치
KR0146086B1 (ko) 외부펄스를 이용한 리셋 감지회로
JPH04107792A (ja)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JP3451631B2 (ja) ハンドシェイク型データ処理回路
US6459752B1 (en) Configuration and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the counter reading of a counter has reached a predetermined value or not
JP3144811B2 (ja) 監視タイマ回路
JP2693885B2 (ja)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JPH076545Y2 (ja) 信号判別回路
SU1142822A1 (ru) Тайме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