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5163B1 - 플레이트 재료 처리 기계용 작업 테이블 장치 - Google Patents

플레이트 재료 처리 기계용 작업 테이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5163B1
KR100205163B1 KR1019930000540A KR930000540A KR100205163B1 KR 100205163 B1 KR100205163 B1 KR 100205163B1 KR 1019930000540 A KR1019930000540 A KR 1019930000540A KR 930000540 A KR930000540 A KR 930000540A KR 100205163 B1 KR100205163 B1 KR 100205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work support
plate material
belt
support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0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6202A (ko
Inventor
시게루 이또
Original Assignee
아마다 미쯔야끼
가부시키가이샤아마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4006892A external-priority patent/JP314013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0686692A external-priority patent/JP328591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4067928A external-priority patent/JP3143199B2/ja
Application filed by 아마다 미쯔야끼, 가부시키가이샤아마다 filed Critical 아마다 미쯔야끼
Publication of KR930016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6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5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51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1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by chains or bel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202With product handling means
    • Y10T83/2092Means to move, guide, or permit free fall or flight of product
    • Y10T83/2192Endless convey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647With means to convey work relative to tool station
    • Y10T83/6582Tool between tandem arranged work carry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nching Or Piercing (AREA)
  • Feeding Of Workpieces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Abstract

플레이트 재료 처리 기계용 작업 테이블 장치에서, 일군의 작업 지지벨트(43 ; 45)는 플레이트 재료 처리부 (19, 23)의 양측면상에 전방 및 후방 지지부(43f, 43r ; 45f, 45r)로 분리된 작업 테이블 표면을 형성하도록 정렬된 작업 이송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나누어지고 작업 이송방향으로 각기 연장하며 작업 이송벨트는 처리될 플레이트 재료의 이동과 동시에 작업 이송방향에서 구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대 변위는 처리될 플레이트 재료와 작업 지지벨트의 작업 지지부 사이에서 생기지 않으므로 작은 크기의 펀치된 제품은 처리된 제품의 미세연결부의 손상, 플레이트 재료의 긁힘, 잡음이 생기지 않고 고정하게 지지된다. 게다가, 작업 지지부가 작업 통과라인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하강하게 되므로 아해방향으로 돌출한 부분은 플레이트 재료에 형성될 수 있고 아래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이 하강된 작업 지지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므로처리된 플레이트 재료의 하부방향 편향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전방 및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가 서로를 향하여 수평으로 이동하여 종용될 수 있으므로 플레이트 재료가 벨트에 의해 지지되지 않은 면적을 가능한 작게 줄임에 의헤 플레이트 재료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레이트 재료 처리 기계용 작업 테이블 장치
제1도는 프레스 형태의 이중 표명 형성 처리 기계를 적용한 이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 재료 처리 기계의 작업 테이블 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2a도는 제1도에 도시된 제1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
제2b도는 제2a도의 A-A선상을 취한 단면도.
제2c도는 제2a도의 B-B선상을 취한 단면도.
제3a도는 이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 재료 처리 기계의 작업 테이블 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제3b도는 제3a도에 도시한 제2실시예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확대 부분 평면도.
제3c도는 제3a도에 도시한 제2실시예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세로 단면도.
제4a도는 이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 재료 처리 기계의 작업 테이블 장치에 의해 처리된 아래방향으로 형성된 돌기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 부분 확대 측면도.
제4b도는 이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 재료 처리 기계의 작업 테이블 장치에 의해 처리된 아래방향으로 형성된 돌기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 유사한 부분 확대 측면도.
제5도는 프레스 형태의 이중 표면 형성 처리 기계를 적용한 이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 재료 처리 기계의 작업 테이블 장치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6a도는 제5도에 도시한 제3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제6b도는 제5도에 도시한 C-C 선상을 취한 단면도.
제7도는 이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 재료 처리 기계의 작업 테이블 장치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제8a도는 이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 재료 처리 기계의 작업 테이블 장치에 의해 처리된 아래방향으로 형성된 돌기의 제1실예를 설명한 부분 확대 측면도;
제8b도는 작업지지 벨트의 전방 및 후방 측면 작업지지체부분의 배열을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테이블 베드 부재 3 : 선형 안내부
5 : 슬라이더 7 : 클램프
9 : 서보 모터 11 : 피니언
13 : 프레임 25 : 상부 다이
27 : 하부 다이 29 : 액츄에이터
35 : 보올나사 39 : 인덱스 모터
41 : 다이 스토커 45, 49, 51, 53, 55, 57, 59 : 풀리
61, 63 : 안내부재 77, 79 : 너트 부재
89 : 유압 실린더 93, 95 : 스프링
97, 99 : 캠 종동 롤러 101 : 캠부재
163, 165, 167 : 풀리 181, 183 : 서보 모터
이 발명은 프레스 성형 기계와 같은 플레이트 재료 처리 기계용 작업 테이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좌표의 일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처리하게 될 플레이트 재료를 지지할 수 있는 플레이트 재료 처리 기계용 작업 테이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레스 성형 장치와 같은 플레이트 재료 처리 기계에서 작업 플레이트 재료는 작업 캐리지의 사용에 의해 작업 통과라인을 따라서 좌표축의 일축방향으로, 예를 들어, 프레스 처리부가 한쌍의 펀치 및 다이로 이루어진 예정된 위치와 작업 플레이트를 처리하도록 정렬된 위치로, 현수되는 것과 같은 작업 이동형태가 존재한다.
상기 기재된 형태의 플레이트 재료 처리 기계에서, 작업 테이블 장치는 작업 통과 라인 높이에서 작업 플레이트 재료를 지지하고 좌표의 일축 방향에서 지지된 작업 플레이트를 현수하도록 구성되었다. 일반적으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작업 테이블 장치는 테이블 부재와 플레이트 재료 처리부 사이에서의 방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된 작업 테이블 또는 복수개의 고정 작업 테이블 ( 예를 들어, 터릿 디스크 펀치 프레스의 중앙 테이블 )로서 구성되며, 처리하게 될 작업 플레이트 재료는 작업 통과라인을 따라서 연장한 작업 테이블 표면에 정렬된 복수개의 자유 베어링상에 미끄럼가능하게 지지된다.
종래 기술의 작업 테이블 장치에 의한 상기 언급한 플레이트 재료 지지방법에서 작업 플레이트 재료가 자유 베어링에 의해 접촉한 지점에서 지지되므로 펀치된 제품 ( 처리된 플레이트 재료료부터 제거되지 않도록 펀치된 제품을 지지하기 위함 ) 의 몇몇 마이크로 조인트가 자유 베어링에 의해 포착되고 처리된 플레이트 재료로부터 제거되며 작은 치수의 펀치된 제품은 베어링 사이를 거쳐서 통과하여 하강하므로 퍼치될 제품의 치수의 하강제한이 불가피하게 존재한다. 추가해서, 처리될 플레이트 재료는 자유 베어링을 따라서 흐르게 되고 거기에는 플레이트 재료가 흠집이 생기고 소리 잡음이 불가피하게 생기는 단점이 있다.
게다가, 종래 기술의 작업 테이블에서 처리될 플레이트 재료가 작업 표면을 따라서 미끌어져서 이동하고 작업 테이블에 의해 지지될 플레이트 재료의 하부 표면은 어떤 하부방향 돌출부분이 형성되지 않고 납작하므로 예를 들어, 깔쭉한 형상, 창모양의 형상, 지붕창 형상 등과 같은 경우에 아래 방향으로 연장한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작업 플레이트를 처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고정된 작업 테이블의 경우에 업-다운 기구는 겹쳐 맞추어진 탐지부재와 작업 클램핑 부재를 갖는 작업 테이블 부재의 방해를 금지하도록 요구하게 된다.
플레이트 재료 처리 기계용 종래 기술 작업 테이블에서 작업 테이블 표면과 자유 베어링 표면사이에 존재한 어느 정도의 간극이 존재하므로 플레이트 재료는 다수의 구멍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때 아래쪽으로 구부러지는 문제가 있어서 처리된 플레이트 재료의 미세 연결부가 파손되거나 처리 정밀도가 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 발명의 제1목적은 작은 치수를 갖는 처리된 제품의 미세 연결부를 손상하고 플레이트 재료를 스크래치(scratch ; 긁다)하며 잡음을 생기지 않게 하여 지지되어 이송되는 플레이트 재료 처리 기계용 작업 테이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게다가, 이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부 돌출부가 플레이트 재료에 형성되고 아래로 형성된 돌출부가 처리된 플레이트 재료의 아래방향 편향을 생기지 않게 고정된 플레이트 재료 처리 기계용 작업 테이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게다가, 이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플레이트 재료가 지지되지 않고 플레이트 재료가 가능한 작은 면적으로 줄임으로써 효과적으로 지지되는 플레이트 재료 처리 기계용 작업 테이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1목적을 얻기 위하여 이 발명에 따라서 작업 통과 라인(PL)을 따라서 제1의 방향에서 처리하게될 플레이트 재료(W)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플레이트 재료 처리부(19, 23)를 갖는 플레이트 재료 처리 기계용 작업 테이블 장치는 (a) 플레이트 재료 처리부의 양측면상에 전방 측면 작업 지지부(43f, 45f)와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 (43r, 45r)로 분할된 작업 테이블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1방향에 수직인 제2방향으로 분리되게 정렬되고 제1방향에서 각기 연장한 일군의 작업 지지 벨트 (43,45)와 ; (b) 처리될 플레이트 재료의 움직임과 동시에 작업 통과라인의 제1방향에서 작업 지지벨트를 구동하기 위한 벨트 구동수단(5, 147F, 147R)을 포함한다.
상기 제2목적을 얻기 위하여 이 발명에 따라서 플레이트 재료 처리 기계용 작업 테이블 장치는 전방 및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43f, 43r, ; 43f, 45r) 보다 다른 작업 지지벨트가 플레이트 재료 처리기계의 플레이트 재료 처리부로 부터 떨어져서 연장되는 방식으로 지지 벨트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벨트 지지수단 (1, 45, 47, 49, 51, 53, 55, 57, 59, 61, 63, 67 ; 149, 151, 153, 155, 159, 161, 163, 156, 167, 173, 175, 177, 179)과 ; 처리된 플레이트 재료의 아래방향으로 형성된 부분 (M)을 지지하도록 작업 통과라인(PL)으로부터 떨어져서 아래쪽으로 작업 지지벨트(43 ; 45)의 각각의 전방 및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 (43f, 43r ; 45f, 45r) 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아래방향 벨트 이동 수단 (81, 83, 85, 87 ; 193, 195, 197, 199) 을 포함한다.
상기 언급한 제3목적을 얻기 위하여 이 발명에 따라서 플레이트 처리 기계용 작업 테이블 장치는 플레이트 재료 처리부와 그것의 전방 또는 후방측면 작업 지지부 사이의 내부단부와 작업 지지벨트의 전방 및 후방 측면 지지부의 2개의 대향한 내부단부 사이의 간극을 줄이도록 플레이트 재료 처리부쪽으로 수평으로 작업지지 벨트의 전방 및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 (43f, 43r ; 45f, 45r)를 이동하기 위한 수평벨트 이동수단 (69, 71, 73, 75, 77, 79 ; 181, 183, 187, 189, 191) (97, 99, 93, 95 ; 113, 115)을 더 포함한다.
게다가, 이 발명에 따라서 플레이트 재료 처리 기계용 작업 테이블 장치에서 각 작업 지지벨트는 단일벨트 (43) 이고 상기 벨트구동수단은 작업지지 벨트의 각각과 연결되고 처리될 플레이트 재료를 지지하기 위한 작업 캐리지 슬라이더 (5) 이다.
이 발명에 따라서 플레이트 재료 처리 기계용 작업 테이블 기계에서 각각의 상기 작업 지지벨트는 전방 측면 작업 지지벨트 (45F) 와 후방 측면 작업 지지벨트 (45R) 로 분할되고 상기 벨트 구동수단은 전방 측면 작업 지지벨트를 구동하기 위한 전방 측면 작업 지지벨트 구동 모터 (147F) 와 각기 상기 후방 측면 작업 지지벨트를 구동하기 위한 제2벨트 구동모터 (147R)를 포함한다.
이 발명에 따라서 플레이트 재료 처리 기계용 작업 테이블 장치에서 작업 지지벨트의 작업지지부가 플레이트 재료의 움직임과 동시에 작업 이동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속적으로 플레이트 재료를 지지하므로 상대변위가 처리될 플레이트 재료와 작업 지지벨트의 작업 지지부 사이에서 생기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처리된 제품의 미세 연결부의 손상 그리고 플레이트 재료의 긁힘 및 잡음이 생기지 않게 하여 플레이트 재료를 이송할 수 있다.
게다가, 작업 지지벨트의 작업 지지부가 작업 통과라인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하강하게 되므로 플레이트 재료에서 아래방향으로 돌출한 부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작업 지지벨트의 하강된 작업 지지부에 의해 하부로 형성된 돌출부를 지지하므로 처리된 플레이트 재료의 하부방향 편향을 방지할 수 있다.
작업 지지벨트의 전방 및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는 서로를 향하여 수평으로 이동하여 종용되므로 플레이트 재료가 벨트에 의해 지지되지 않은 면적이 가능한 작게함에 의해 플레이트 재료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 재료 처리기계의 작업 테이블 장치에 대한 제1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작업 테이블 장치가 프레스형 이중 표면 형성 처리기계에 적용된 제1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이중 표면 형성 처리기계는 테이블 베드 부재 (1), 평행하게 배열된 선형 안내부 (3), 프레임형 작업 운반 슬라이더 (5)로 구성된다. 작업 캐리지 슬라이더 (5)는 테이블 베드 부재 (1)에 제공된 선형 안내부 (3)에 의해 안내되며 X축 방향으로 전후 왕복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작업 캐리지 슬라이더 (5)는 자체 프레임내의 다수의 클램프 (7) (제24도 참조)를 갖는 작업 통과 라인 (PL) (제2b도 참조)을 따라 작업 플레이트 재료 (W)를 수평으로 착탈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상기 작업 캐리지 슬라이더 (5)는 하부 저면에 형성된 래크 (도시 않됨)와 결합되고 서보모터 (9)와 연결된 피니언 (11)을 통한 X축 서보모터 (9)에 의해 좌표의 X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아치형 프레임 (13)은 좌표의 Y축 방향으로 테이블 베드 부재 (1)를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테이블 베드 부재 (1)에 부착되어 있다. 좌표의 Y축 방향으로 연장된 하부 프레임 (15) (제24도 및 제2b도)은 아치형 프레임 (13)이 제공되는 것과 동일한 수평위치에서 테이블 베드 부재 (1)를 가로지르면서 그 내부에 제공된다. 하부 다이 이송 부재 (19)는 좌표의 Y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평행하게 배열된 두 개의 선형 안내부 (17) (제2b도 참조)를 통해 아치형 프레임 (13)에 부착되어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하부 다이 이송 부재 (23)는 좌표의 Y축 방향으로도 이동가능하도록 평행하게 배열된 두 개의 선형 안내부 (21) (제2b도 참조)를 통해 아치형 프레임 (13)에 부착되어 있다.
상부 다이 이송 부재 (19)와 하부 다이 이송 부재 (23)는 그 사이에 위치하는 작업 통과 라인 (PL)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어 있다. 펀치와 같은 상부 다이(25) (제2b도)는 상부 다이 이송 부재 (19)에 의해 교환가능하게 지지되고 다이와 같은 하부 다이 (27) (제2b도)는 하부 다이 이송 부재 (23)에 의해 교환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부 다이 이송 부재 (19)는 상부 다이 (25)를 구동시키는 램을 포함하는 압력 펀칭 기구를 구비한다. 또한, 하부 다이 이송 부재 (23)는 상부위치 (하부다이 (27)가 작업통과 라인 (PL)에 위치하는 위치)와 하부위치 (상부위치로부터 30㎜정도 하향하는 위치)사이에서 상기 하부 다이 (27)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업­다운 액츄에이터를 구비한다.
Y축 서보모터 (31) (제1도 참조)는 아치형 프레임 (13)위에 장착된다. 상부 다이 이송 부재(19)와 하부다이 이송 부재(23)를 좌표의 Y축 방향으로 동시에 그리고 왕복으로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Y축 서보모터(31)는 벨트형 동기 구동 장치(33)를 통해 서로 동기되는 상부 보올 나사(35) (제2b도 참조)와 하부 보올 나사(37) (제2b도 참조)를 회전시킨다.
또한, 상부다이 이송 부재(19)에 부착된 상부다이(25)와 하부다이 이송 부재(23)에 부착된 하부다이(27)는 아치형 프레임(13) (제1도 참조)에 장착된 인덱스 모터(39)에 의해 인덱스(분할)되도록 하기 위해 각각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또한, 다이 스토커(41)는 테이블 베드 부재(1)의 일측에 제공된다. 상기 다이 스토거(41)에 저장된 여러 가지 상부 다이(25)와 하부 다이 (27)들은 자동 다이 교환 기구(도시않됨)에 의해 각각 상부 다이 이송 부재(19)와 하부 다이 이송 부재(23)에 자동으로 착탈된다. 제2a도와 제2c도를 참조하여, 상기 작업 테이블 장치의 필수적 부분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 테이블 장치는 X축 방향에 수직인 Y축 방향으로 분할되는 테이블 베드 부재(1)내에 배열된 다수의 작업지지 벨트 (43)를 구비하며, 처리되어야 할 플레이트 재료(W)는 작업 캐리지 슬라이더(5)에 의해 X축 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즉, 일군의 작업지지 벨트(43)는 좌표의 Y축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작업지지 벨트(43)는, 소정의 넓이를 가지며 각각 고무등과 같은 유연한 벨트형 재료로 형성되는 무한 벨트이며, 8개의 풀리 ( 45, 47, 49, 51, 53, 55, 57 및 59 )를 통해 각각 우회하여 구동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작업지지 벨트(43)의 풀리 (45, 59)는 고정된 안내부재(61)를 따라 좌표의 X축 방향으로 현수가능하도록 하부 프레임(15)의 좌측(제2b도 및 제2c도)에 배치된 이동가능한 풀리 지지 부재(6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작업지지 벨트(43)풀리(55,57)는 안내부재(63)를 따라 좌표의 X축 방향으로 현수가능하도록 하부 프레임(15)의 우측(제2b도 및 제2c도)에 배치된 이동가능한 풀리 지지 부재(67)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풀리(47,49)는 테이블 베드 부재(1) (제2b도 및 제2c도 참조)의 좌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풀리(53,51)는 테이블 베드 부재(1) (제2b도 및 제2c도)의 우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각각의 작업지지벨트(43)는 풀리(45)와 풀리(47) 사이와 풀리(55) 와 풀리 (53) 사이의 작엊 통과 라인(PL)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좌표의 X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작업 테이블 표면을 형성한다. 여기서, 풀리(45)와 풀리(47) 사이의 작업지지 벨트의 각 영역은 전방 측면 작업 지지부(43f)라 하고 풀리(55)와 풀리 (53) 사이의 작업지지 벨트 (43)의 각 영역은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43r)라 한다.
이동가능한 풀리 지지부재(65, 67)는 각각의 작업지지 벨트(43)에 대해 배치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한 쌍의 풀리(45,59)는 이동가능한 풀리지지 부재(65)에 대해 배치되고 한 쌍의 풀리(55,57)는 이동가능한 풀리지지 부재(67)에 대해 배치된다. 각각의 이동가능한 풀리지지 부재(65,67)는 각각 서보모터(67 또는 71)를 구비한다. 각 서보모터(69 또는 71)는 좌표의 X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각 안내부재(61 또는 63)에 고정된 너트 부재 (77 또는 79)와 결합되는 보올 나사 (73 또는 75)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가능한 풀리지지 부재 (65 또는 67)가 좌표의 X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 풀리 (45 또는 55) 또한 동일한 X축 방향으로 현수되어, 전방 측면 작업 지지부(43f) 또는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43r)의 길이를 X축 방향을 따라 조절한다.
이동가능한 풀리지지 부재(65,67)는 X축 방향으로 각 서보모터(69,71)에 의해 현수되어, 하부 다이 이송 부재(23)가 Y축 방향으로 상향 이동할 때, 이동가능한 풀리지지 부재(65,67)가 하부 다이 이송 부재(23)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2b도는 하부 다이 이송 부재(23)에 근접하여 배열된 작업지지 벨트(43)의 대향하는 풀리(45, 55)가 작업지지 벨트(43)의 전방 측면 작업 지지부(43f)와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43r)사이에 놓인 하부 다이 이송 부재(23)에 대해 X축 방향으로 서로 일정거리 떨어져서 현수되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한편, 제2c도는 작업지지 벨트(43)의 대향하는 풀리(45, 55)가 작업지지 벨트(43)의 전방 측면 작업 지지부(43f)와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43r)사이에 하부 다이 이송 부재(23)을 배치시키지 않고 서로 근접되게 배열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2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지지 벨트(43)가 존재하지 않는 두개의 대향하는 풀리(45, 55)사이에 약간의 간극(G)이 존재하게 된다. 처리되어야 할 플레이트 재료(M)가 간극(G)을 통해 항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 실시예에서는 두개의 인접하는 작업 지지 벨트가 X축 방향으로 현수될 수 있도록 Y축 방향을 따라서 지그재그로 교대로 배열됨으로서, 제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작업 지지 벨트 (43f)와 후방 측면 지지 벨트 (43r)사이에 형성된 간극(G)이 Y축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계속적으로 형성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이동가능한 풀리 지지 부재(65, 67)가 X축 방향으로 현수될 때, 두개의 대향하는 풀리(45, 55) 또한 동일한 X축 방향으로 현수되므로, 두개의 대향풀리(45,55) 사이의 거리는 방향으로 조절된다. 또한 , 풀리 (45) 와 풀리 (59), 풀리 (55)와 풀리(57) 사이의 작업 지지 벨트 (43)는 하부 다이 이송 부재 (23)로부터 하향하여 둘레를 이동한다. 안내 부재 (61, 63)는 각각 업-다운 유압 실린더 장치(81,83)와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된다. 풀리(47, 53)는 다른 업-다운 유압 실린더 장치(85, 87)와 연결되어 각각 상하로 이동된다.
안내 부재(61, 63)와 풀리 ( 47,53 )를 상기 업-다운 유압 실린더 장치 (81, 83 및 85, 87 )와 동시에 이동시킴으로써, 각 작업 지지 벨트 (43) 가 수평으로 유지되는 조건하에서, 통과 라인(PL)에 대응하는 상향위치와 상향위치로부터 30mm가량 하향하여 떨어진 하향위치 사이에 작업 지지 벨트(43)의 각각의 전방 측면 작업 지지부(43f)와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43r)를 선택적으로 수직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각 풀리(49)는 X축 방향으로 현수가능하도록 벨트 장력을 유지하는 유압 실린더 (89)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각 작업 지지 벨트(43)의 장력은 풀리 (45, 47, 51, 53, 55 및 57)의 이동과 관계없이 , 벨트 장력 유지 유압 실린더 (89)에 의해 각 풀리가 X축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예정된 일정한 값으로 유지될 수 있다.
각 작업 지지 벨트(43)는 작업 지지 벨트(43)의 수직 방향을 따라 형성된 링크부(91)를 통해 작업 캐리지 슬라이더(5)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작업 캐리지 슬라이더(5)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 각 작업 캐리지 슬라이더(5)는 작업 캐리지(5)와 함께 풀리 (45, 47, 49, 51, 53, 57 및 59) 주위를 이동한다. 즉, 각 작업 지지 벨트 (43)의 전방 및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43f, 43r)는 X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와 동시에 작업 캐리지 슬라이더 (5)도 동일한 속도로 동일한 X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은 작업 테이블 장치를 구비하는 이중 표면 형성 처리기계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처리되어야 할 플레이트 재료(W)를 작업 클램프(7)를 사용하여 작업 캐리지 슬라이더(5)에 고정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프레이트 재료(W)는 작업 캐리지 슬라이더(5)에 고정되고 상향 위치에 있는 각 작업 지지 벨트(43)의 전방 측면 작업 지지부(43f)와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43r)의 표면에 접촉된다. 즉, 각 전방 및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43f, 43r)에 장착된 플레이트 재료(W)는 작업 통과 라인(PL)의 높이에서 수평으로 지지된다.
작업 캐리지 슬라이더(5)가 X축 서보모터(9)에 의해 X축 방향으로 이동하면, 작업 캐리지 슬라이더(5)에 의해 지지되는 플레이트 재료(W)또한 작업 통과 라인(PL)을 따라 X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부 다이 이송 부재(19)와 하부 다이 이송 부재(233)가 Y축 서보모터(31)에 의해 Y축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부 다이 이송 부재(19)의 상부 다이(25)와 하부 다이 이송 부재(23)의 하부 다이(27) 또한, 상부 및 하부 다이(25, 27)를 플레이트 재료가 펀칭이 되는 플레이트 재료(W)와 관련하여 소정의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해 Y축 방향으로 이동 된다. 상기 작업 캐리지 슬라이드(5)가 X축 방향으로 이동 될 때, 각 작업 지지 벨트 (43)가 작업 캐리지 슬라이더(5)의 이동과 함께 풀리 (45, 47, 49, 51, 53, 57 및 59)를 따라 X축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각 작업 지지 벨트(43)의 전방 측면 작업 지지부(43f)와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43r)는 작업 캐리지 슬라이더(5)에 의해 지지되는 플레이트 재료(W)의 이동과 동시에 동일한 속도로 동일한 X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상기 플레이트 재료(W)가 X축 방향으로 이동되면, 플레이트 재료(W)가 지지되는 작업 지지 벨트 (43)의 전방 및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43f,43r)의 작업 테이블 표면과 플레이트 재료(W)사이에는 아무런 변위가 생기지 않으므로, 플레이트 재료(W)는 작업 테이블 표면(전방 및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43f, 43r))상에서 그리고 작업 테이블을 따라 미끄러지지 않으며, 따라서, 플레이트 재료(W)가 긁히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플레이트 재료(W)가 X축 방향으로 이동되면, 하부 다이 이송 부재(23)의 하부다이(27)가 다이 업-다운 엑츄에이트(29)에 의해 작업 통과 라인(PL)아래로 이동되므로, 플레이트 재료(W)와 하부 다이(27) 사이가 접촉되는 것을 막으며, 따라서, 플레이트 재료(W)가 긁혀지는 것이 방지된다. 플레이트 재료(W)가 이동되고 처리될 때, 각 작업 지지 벨트 (43)의 전방 측면 작업 지지부(43f)와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43f)는 통과 라인(PL)의 상향 위치에서 수평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플레이트 재료(W)가 다수의 펀칭 다이에 의해 아래로 굽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써, 처리 정밀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미세 결합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플레이트 재료(W)가 까끌까끌하고, 창모양로 되고, 지붕창모양으로 되도록 처리될 때, 하부 다이 이송 부재(23)에 고정된 하부 다이(27)는 하향으로 형성된 부분(M)의 그것에 대응하는 높이에 의해 다이 업-다운 엑츄에이트(29)에 의해 하강된다. 또한, 하향형성 처리가 완료된 후, 제4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안내 부재(61, 63)와 각 풀리(47,53)은 플레이트 재료 (W)의 하방으로 형성된 부분(M) (까끌까끌함, 창모양, 지붕창모양 등으로 인해)의 위치에 대응 하는 각 작업 지지벨트(43)에 각각 속하는 업-다운 유압 실린더 장치(81, 83 및 85, 87)에 의해 아래로 이동된다. 따라서, 작업 지지 벨트(43)의 전방 및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43f, 43r)와 하방으로 형성된 부분(M)사이가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방으로 형성된 부분(M)의 위치에 대응하는 작업 지시 벨트(43)는 하방 형성 처리에 예정된 NC 프로그램에 따라 선택되어 지정될 수 있다.
작업 캐리지 슬라이더(5)에 체결된 플레이트 재료(W)가 작업 캐리지 슬라이더로부터 제거되지 않는 한, 플레이트 재료(W)는 X축 및 Y축의 양 방향에서 작업 지지 벨트(43)의 전방 및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43f, 43r)로 부터 변위 되지 않는다.
상기 하방으로 형성된 부분(M)의 위치에 대응하는 작업 지지 벨트(43)의 전방 및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43f, 43r)가 하강한 후, 작업 지지 벨트(43)의 하강된 부분(43f, 43r)은 플레이트 재료(W)의 하방으로 형성된 부분(M)을 지지한다. 이 경우, 플레이트 재료(W)의 하방으로 형성된 부분(M)이 처리되는 동안, 하방으로 형성된 부분(M)외의 다른 위치에 대응하는 작업 지지 벨트 (43)의 전방 및 후방 작업 지지부(43f, 43r)는 플레이트 재료(W)를 지지하므로, 작업 통과 라인(PL)의 높이에서 수평으로 플레이트 재료(W)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하방으로 형성된 부분(M)의 위치에 대응하는 작업 지지 벨트(43)의 전방 및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43f, 43r)의 하향거리는 제4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 아래 방향으로 형성된 부분(M)의 각 형성 높이에 따라 정해 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아래방향으로 형성된 부분(M)은 전방 및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43f, 43r)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플레이트 재료(W)는 상부 방향으로 꺼끌꺼끌하고 창모양이며, 지붕창모양을 형성하기 위해서 처리될 때, 작업 지지 벨트(43)의 전방 및 후방 측면 지지부(43f, 43r)를 아래로 이동시킬 필요가 자연히 없게 된다.
상부 다이 이송 부재(19)의 하부 다이 이송 부재(23)가 Y축 서보모터(31)에 의해 Y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 이동가능한 풀리 지지 부재(65)는 서보모터(69)에 의해 제2b도에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되며, 이동가능한 풀리 지지 부재(67)는 서보모터(71)에 의해 제2b도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므로서 하부 다이 이송 부재(23)는 좌측방향으로 이동되는 작업 지지 벨트(43)의 전방 측면 작업 지지부(43f)의 풀리(45)와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작업 지지 벨트(43)의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43f)의 풀리(55)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즉, 전방 측면 작업 지지부(43f)의 풀리(45)와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43r)의 풀리(55)사이의 공간이 하부 다이 이송 부재(23)가 통과할 정도로 넓어질 수 있기 때문에, 작업 지지 벨트(43)의 전방 및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43f, 43r)를 방해하지 않고, 공구 교환을 위해 Y축 방향으로 하부 다이 이송 부재(23)를 이동할 수 있다.
하부 다이 이송 부재(23)가 Y축 방향으로 이동한 후, 풀리(45, 55) 사이의 공간을 넓히기 위해 이동하는 작업 지지 벨트(433)에 대해 이동가능한 풀리 지지 부재(65, 67)는 각각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어, 전방 측면 작업 지지부(43f)의 풀리(45)와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43r)의 풀리(55)사이의 공간은 원래의 간극(G)으로 복귀하게 된다.
이 발명의 작업 테이블 장치의 제2실시예를 제3a도 내지 제3c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실시예의 구조적 특징과 기능적 효과는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단지, 작업 지지 벨트(43)의 전방 측면 작업 지지부(43f)의 풀리(45)와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43r)의 풀리(55) 사이의 공간을 줄이기 위해, 두개의 이동가능한 풀리 지지 부재(65, 67)가 두개의 스프링 (93, 95)에 의해 서로를 향해 이끌리는 것이 다르다. 따라서, 설명을 반복하지 않고, 동일한 기능을 갖는 유사부분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3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종동 롤러(97)는 이동가능한 풀리 지지 부재(65)의 각 내부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캠 종동 롤러(99)는 이동가능한 풀리 지지 부재(67)의 각 내부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Y축 방향으로 연장된 테이퍼진 마름모형(다이아몬드형) 캠 부재(101)는 제3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다이 이송 부재(23)에 고정부착되어 있다. 각 캠 종동 롤러(97, 99)는 각 스프링 (93, 95)의 탄성력에 의해 마름모형 캠 부재(101)의 두개의 등변 삼각형의 각 측면부와 접촉된다.
이 실시예에서, 하부 다이 이송 부재(23)가 존재하지 않는 위치에 대응하는 작업 지지 벨트(43)에 속하는 캠 종동 롤러(97, 99)는 스프링(93, 95)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전방 측면작업 지지부(43f)의 풀리(45)의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43r)의 풀리(55)사이의 공간은 제3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의 간극을 유지하게 된다.
반면, 하부 다이 이송 부재(23)가 존재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작업 지지 벨트(43)에 속하는 캠 종동 롤러(97, 99)는 스프링(93, 99)의 탄성력에 의해 캠 부재(101)의 등변 삼각형의 측면부와 하부 다이 이송 부재(23)의 외주 벽 표면에 접촉되어, 하부 다이 이송 부재(23)가, 제3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지지 벨트(43)의 전방 측면 작업 지지부(43f)의 풀리(45)와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43r)의 풀리(55)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상부 다이 이송 부재(19)와 하부 다이 이송 부재(23)가 Y축 서보모터(31)에 의해 Y축 방향으로 이동하면, 캠 부재(101)는 캠 종동 롤러(97, 99)로부터 제거되지 않고, 이동가능한 풀리 지지 부재(65)의 캠 종동 롤러(97)와 이동가능한 풀리 지지 부재(67)의 캠 종동 롤러(99)에 접촉되어 이동된다.
상기 캠 부재(101)의 캠 표면의 수직 넓이가 충분히 넓기 때문에 (35mm - 40mm), 작업 지지 벨트(43)의 전방 측면 작업 지지부(43f)의 풀리(45)와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43r)의 풀리(55)사이의 공간은 하부 다이 이송 부재(23)가 이동하더라도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하부 다이 이송 부재(23)가 작업 지지 벨트(43)의 전방 및 후방 작업 지지부(43f, 43r)를 방해하지 않고 Y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전방 측면 작업 지지 부재(43f)와 후방 측면 지지 부재(43r)가 각 작업 지지 벨트(43)에 대해 독립적으로 하향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플레이트 재료(W)가 햐향 형성에 대해 처리될 때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동일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제1 및 제2실시예에서, 작업 지지 벨트(43)는 다음과 같이 설정 될 수 있다. 가령, 그리고 작업 캐리지 슬라이더(5)가 제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위치가 설정된다면, 각 작업 지지 벨트(43)는 모두 서로서로에게 동일한 위상 조건하에서 위치되기 때문에, 각 벨트(43)에 형성된 구멍에 작업 통과 라인(PL)에 대응하는 높이에 제공되는 우레탄이 형성된 자유 베어링이 끼워질 때까지 작업 지지 벨트(43)는 벨트(43)를 아래로 이동시킴으로써 배열된다. 또는 두개의 인접하는 작업 지지 벨트(43)에 수직하는 브러쉬 부재를 사용하여 작업 지지 벨트(43)의 최초 위치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두가지 경우의 실시예에 있어서, 처리되어야 할 플레이트 재료(W)는 클램프를 사용하여 작업 캐리지 슬라이더(5)에 고정된 후, X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더 나아가서, 작업 지지 벨트(43)의 전방 및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43f, 43r)에 직접적으로 장착된 플레이트 재료(W)를 작업 캐리지 슬라이더(5)를 사용하지 않고 X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작업 지지 벨트(43)는 X축 서보모터(9)에 의해 직접 이동된다.
이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 재료 처리 기계의 작업 테이블 장치에 대한 제3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5도에 있어서 작업 테이블 장치는 프레스 형 이중 표면 형성 처리 기계에 적용되며, 상기 이중 표면 형성 처리 기계는, 테이블 베드 부재(1), 선형 안내부(3) 및 프레임형 작업 캐리지 슬라이더(5A)로 구성된다. 작업 캐리지 슬라이더(5A)는 테입를 베드 부재(1)에 제공되는 선형 안내부(3)에 의해 안내되며 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앞뒤로 이동가능하다. 이 작업 캐리지 슬라이더(5A)는 작업 캐리지 슬라이더(5A)의 프레임 내에 있는 다수의 클램프(7)(제5a도 참조)를 갖는 작업 통과 라인(PL)(제6b도 참조)을 따라 작업 플레이트 재료(W)를 수평으로 착탈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작업 캐리지 슬라이더(5A)는 작업 캐리지 슬라이더(5A)의 하부 저면 부분에 형성된 래크(도시 않됨)와 결합되고 두개의 서보모터와 연결된 두개의 피니언(도시않됨)을 통해 X축 서보모터(9A, 9B)에 의해 좌표의 X축 방향으로 서로 이동된다.
아치형 프레임(13)은 좌표의 Y축 방향으로 테이블 베드 부재(1)까지 연장되어 테이블 부재(1)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좌표의 Y축 방향으로 연장된 하부 프레임 (15)(제6a도 및 제6b도 참조)은 아치형 프레임(13)이 제공되는 수평 위치에 있는 테이블 베드 부재(1)를 가로질러 테이블 베드 부재(1)내에 제공된다.
상부 다이 이송 부재(19)는 좌표의 Y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선형 안내부(17)(제6b도 참조)를 통해 아치형 프레임(13)에 부착되어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하부 다이 이송 부재(23)는 좌표의 Y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선형 안내부(21)(제6b도 참조)를 통해 아치형 프레임(13)에 부착되어 있다.
상부 다이 이송 부재(예를 들어, 펀치 헤드)(19)와 하부 다이 이송 부재(예를 들어 다이 헤드)(23)는 그 사이에 위치하는 작업 통과 라인(PL)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펀치등과 같은 상부 다이(25)(제6b도 참조)는 상부 다이 이송 부재(19)에 의해 교환 가능하게 지지되고, 다이와 같은 하부 다이(27)(제6b도 참조)는 하부 다이 이송 부재(23)에 의해 교환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부 다이 이송 부재(19)는 상부 다이(25)를 구동하기 위한 램을 포함하는 가압펀칭기구를 구비한다. 또한, 하부 다이 이송 부재(23)는 업-위치(하부다이(27)가 작업 통과 라인(PL)에 위치하는 위치)와 다운 위치((업 위치로부터 아래로 30mm가량 떨어진 위치)사이에서 하부 다이(27)을 상하고 이동시키기 위한 업-다운 엑츄에이터(29)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통과라인(PL)으로부터 아래로 떨어진 거리 30mm는 플레이트 재료(W)에 형성된 돌기의 최대 높이(25mm)에 두께(5mm)를 더한 것이다.
Y축 서보모터(31)(제5도 참조)는 아치형 프레임(13)에 장착되는데, 이 Y축 서보모터(31)는 상부 다이 이송 부재(19)와 하부 다이 이송 부재(233)를 좌표의 Y축 방향으로 동시에 상호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해 벨트형 동기 구동 장치(33)를 통해 서로 동기되는 상부 보올 나사(35)(제6b도 참조)와 하부 보올 나사(37)(제6b도 참조)를 회전시킨다.
또한, 상부 다이 이송 부재(19)에 부착된 상부 다이(25)와 하부 다이 이송 부재(23)에 부착된 하부 다이(27)는 아치형 프레임(13)(제5도 참조)에 장착된 인덱스 모터(39)에 의해 인덱스(분할)되도록 각 수직 축둘레를 회전한다.
다이 스토커(41)는 테이블 베드 부재(1)이 일측에 제공된다. 상기 다이 스토커(41)에 저장된 여러가지 상부 다이(25) 및 하부 다이(27)들은 자동 다이 교환 기구(도시 않됨)에 의해 상부 다이 이송 부재(19)와 하부 다이 이송 부재(23)에 대해 자동적으로 착탈된다.
제6a도 및 제6c도를 참조하여, 작업 테이블 장치의 필수적 부분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 테이블 장치는, 처리되어야 할 플레이트 재료(V)가 작업 캐리지 슬라이더(5A)에 의해 이동되는 X축 방향에 수직인 Y축 방향으로 분할되는 테이블 베드 부재(1)내에 배열된 다수의 작업 지지 벨트(45)를 구비한다. 즉, 다수의 작업 지지 벨트(45)는 좌표의 Y축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또한, 제1 및 제2실시예와 달리, 이 실시예에서는 각 작업 지지 벨트(54)가 전방 측면 작업 지지 벨트(45F)와 후방 측면 작업 지지 벨트(45R)의 두개의 벨트로 나뉘어지고 전방 측면 작업 지지 벨트(45F)는 제1구동 모터(147F)에 의해 구동되고, 이와 동시에, 후방 측면 작업 지지 벨트(45R)는 제2구동 모터(147R)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전방 및 후방 작업 지지 벨트(45F, 45R)는 각각 고무와 같은 유연성 있는 벨트형 재료로 형성되며 소정의 너비를 갖는 무한 벨트이다. 전방 측면 작업 지지 벨트(45F)는 풀리(155)의 구동축(169)와 연결된 제1구동 모터(147F)에 의해 5개의 풀리(149, 151, 153, 155 및 157)를 통해 원형으로 구동되고, 후방 측면 작업 지지 벨트(45R)는 풀리(165s)의 구동 축(171)에 연결된 제2구동 모터(147R)에 의해 5개의 풀리(159, 161, 163, 165 및 167)를 통해 원형으로 구동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각 전방 측면 작업 지지 벨트(45F)의 풀리(149,157)는 안내 부재(173)를 따라 좌표의 X축 방향으로 현수가능하도록, 하부 프레임의 좌측(제6b도 및 제6c도 참조)에 배치된 이동가능한 풀리 지지 부재(177)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각 후방 측면 작업 지지 벨트(45R)의 풀리(159, 167)는 안내 부재(175)를 따라 좌표의 X축 방향으로 현수 가능하도록 하부 프레임(15)의 우측 (제6b도 및 제6c도)에 배치된 이동가능한 지지 부재(179)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풀리(151, 153)는 테이블 베드 부재(1)(제6b,도 및 제6c도)의 좌측에 배열되고, 풀리(161, 163)는 테이블 베드 부재(1)(제6b도 및 제6c도)의 우측에 배열된다. 전방 측면 작업 지지 벨트(45F)는 좌표의 X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전방 측면 작업 테이블 표면을 형성하기 위해 풀리(151, 149)사이의 작업 통과 라인(PL)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후방 측면 작업 지지 벨트(45R)는 좌표의 X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후방 측면 작업 테이블 표면을 형성하기 위해 풀리(159, 161)사이의 작업 통과 라인(PL)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여기에서 , 풀리(151, 149)사이의 각 전방 측면 작업 지지 벨트(45F)의 영역은 전방 측면 작업 지지부(45f)로 언급하고, 풀리(159, 161)사이의 각 후방 측면 작업 지지 벨트(45R)의 영역은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45r)로 언급한다.
각각의 이동가능한 풀리 지지 부재(177)는 전방 측면 지지 벨트(45F)에 대해 배치되고, 각각의 이동가능한 풀리 지지 부재(179)는 각 후방 측면 작업 지지 벨트(45R)에 대해 배치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 한 쌍의 풀리(149, 157)는 각 이동가능한 풀리 지지 부재(177)에 대해 배치되고, 한 쌍의 풀리(159, 167)는 각 이동 가능한 풀리 지지 부재(179)에 대해 배치된다. 각각의 이동가능한 풀리 지지 부재(177, 179)는 너트 부재(189, 191)와 함께 형성된다.
각 너트 부재(189, 191)는 각 이동가능한 풀리 지지 부재(177, 179)에 고정된 너트 부재(185, 187)와 결합되고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올 나사(185, 187)을 통해 고정된 각 서보모터(181, 183)와 연결된다.
따라서 이동가능한 풀리 지지 부재(177)가 너트 부재(189)를 통해 서보모터(181)에 의해 안내 부재(173)를 따라 좌표의 X축 방향으로 이동되면, 풀리(149, 157) 또한 동일한 X축 방향으로 현수 가능하게 되어 전방 측면 작업 지지부(45f)의 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이동가능한 풀리 지지 부재(179)가 너트 부재(191)를 통해 서보모터(183)에 의해 안내 부재(175)를 따라 좌표의 X축 방향으로 이동되면, 풀리(159, 167) 또한 동일한 X축 방향으로 현수 가능하게 되어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45r)의 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이동가능한 풀리 지지 부재(177, 179)는 각 서보모터(181, 183)에 의해 X축 방향으로 현수 되어, 하부 다이 이송 부재(23)가 Y축 방향으로 이동될 때, 이동가능한 지지 부재(177, 179)가 하부 다이 이송 부재(23)를 방해하는 것을 막는다. 제6b도는 전방 측면 작업 지지 벨트(45F)에 대한 풀리149)와 후방 측면 작업 지지 벨트(45R)의 풀리(159)가 , 전방 측면 및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45f, 45r)사이에 놓인 하부 다이 이송 부재(23)에 대해 X축 방향으로 서로 일정거리 떨어져서 현수되는 하부 다이 이송 부재(23)에 근접하여 배열된다. 또한, 제6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및 후방 측면 작업 지지 벨트 (45F, 45R)가 존재하지 않는 두개의 풀리(149, 159) 사이에는 불가피하게 약간의 간극(G)이 존재하게 된다. 처리되어야 할 플레이트 재료(W)가 상기 간극(G)를 통해 하강하는 것을 막기 위해, 제1실시예에서처럼, 두개의 인접하는 전방 및 후방 측면 벨트(45F, 45R)는 제6a도 및 제6b도에 도시된 것처럼, X축 방향으로 현수되도록 Y축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교대로 배열되므로, 전방 측면 및 후방 측면 작업 지지 벨트(45f, 45r)사이에 형성된 간극(G)은 제6a도에 도시된 것처럼, Y축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계속적으로 형성되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이동가능한 풀리 지지부재(177, 179)는 X-축 방향으로 현수될 때 풀리(149, 159)는 동일 X-축 방향으로 또한 이동된다. 상기 조건하에서, 풀리(149, 159) 사이의 거리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때 풀리(159, 167)사이의 후방 측면 작업 지지 벨트(45r)와 풀리(149, 157) 사이의 전방 측면 작업 지지벨트(45F) 사이의 전방 측면 작업 지지 벨트(45F)는 하부 다이 캐리어 부재(23)하에서 이동하게 된다.
안내부재(173, 175)는 위 및 아래로 이동하기 위하여 업-다운 유압 실린더 장치(193, 195)와 연결된다. 풀리(151, 161)는 위 및 아래로 이동하기 위하여 다른 업-다운 유압 실린더 장치(197, 199)와 연결된다. 안내 부재(177, 179)가 이동함에 의해 풀리(151, 161)는 각기 상기 업-다운 유압 실린더 장치 (193, 195 ; 197, 199)와 동시에 움직인다. 전방 및 후방 측면 작업 지지 벨트가 수평으로 지지되는 조건하에서 위쪽 위치에서 떨어져서 아래쪽으로 약 30mm 떨어진 하부위치와 통과라인(PL)에 상응한 상부위치 사이에서 무관하게 전방 및 후방 측면 작업 지지벨트(45F, 45R)의 전방 측면 작업 지지부(45f)와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45r)를 수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각각의 풀리(153)는 X-축 방향에서 현수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벨트 장력 유지 유압 실린더(102)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전방 측면 작업 지지벨트(45F)의 각각의 장력은 다른 풀리 (149, 151, 153, 155 및 157)의 움직임과 무관한 벨트 장력 지지 유압 실린더 (102)에 의해 생긴 X-축 방향에서 풀리(153)의 변위에 의해 예정된 일정값을 유지하게 된다.
각각의 풀리(163)는 X-축방향에서 현수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벨트 장력 유지 유압 실린더(103)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전방측면 작업 지지 벨트(45R)의 각각의 장력은 다른 풀리(159, 161, 163, 165 및 167)의 움직임과 무관한 벨트 장력 지지 유압 실린더(103)에 의해 생긴 X-축 방향으로 풀리(163)의 변위에 의해 예정된 일정값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구성된 작업 테이블 장치가 제공된 이중 표면 형성 처리기계의 작동은 하기에 기재될 것이다.
우선 처리될 플레이트 재표(W)는 작업 캐리지 슬라이더(5A)에 고정되고 전방 측면 작업 지지벨트(45F)의 전방 측면 작업 지지부(45f)의 표면과 접촉하며 각기 후방 측면 작업 지지벨트(45R)의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45r)는 위쪽 위치로 위치하게 된다. 즉, 전방 및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45f, 45r)에 장착된 플레이트 재료(W)는 작업 통과라인 (PL)의 높이 위치에 수평으로 지지된다.
작업 캐리지 슬라이더(5A)가 X축 서보모터(9A)에 의해 X-축방향으로 이동될 때 작업 캐리지 슬라이더(5A)에 의해 지지된 플레이트 재료(W)는 작업 통과라인(PL)을 따라서 X-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부 다이 캐리어 부재(19)와 하부 다이 캐리어(23)는 Y-축 서보모터(31)에 의해 Y-축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부 다이 캐리어부재(19)의 상부 다이(25)와 하부 다이 캐리어 부재(23)의 하부 다이 (27)는 플레이트 재료가 펀칭과 같이 처리하게 될 수 있게 플레이트 재료(W)에 대한 예정된 위치에서 상부 및 하부 다이(25, 27)을 위치시키도록 Y-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작업 캐리지 슬라이더(5A)는 X-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전방 측면 작업 지지 벨트(45F)는 X-축 방향에서 작업 캐리지 슬라이더(5A)의 움직임과 동시에 제1구동모터 (147F)에 의해 풀리(149, 151, 153, 155 및 157)를 따라서 이동하므로 후방 측면 작업 지지 벨트(45R)는 X-축 방향에서 작업 캐리지 슬라이더(5A)의 이동과 동시에 제2구동모터(147R)에 의해 풀리(159, 161, 163, 165 및 167)를 따라서 이동하고 전방 측면 및 후방 측면 작업 지지벨트(45F, 45R)의 전방 측면 작업 지지부(45f) 및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45r)는 작업 캐리지 슬라이더(5A)에 의해 지지된 플레이트 재료(W)의 이동과 동시에 각기 작업 캐리지 슬라이더(5A)와 같은 동일 속도로 X-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바꿔말해서, 플레이트 재료(W)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대적인 변위는 플레이트 재료(W)가 지지된 전방 및 후방 측면 작업지지 벨트(45F, 45R)의 전방 및 후방 측면 지지부 (45f, 45r)의 작업 테이블 표면과 플레이트 재료(W)사이에서 생기지 않으므로 플레이트 재료(W)는 작업 테이블 표면 (전방 및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 (45f, 45r))를 따라서 미끄러지지 않으므로 플레이트 재료(W)가 긁혀지지 않는다.
게다가, 플레이트 재료(W)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 하부 다이 캐리어 부재(23)의 하부 다이(27)가 업-다운 엑츄에이터(29)에 의해 작업 통과라인(PL)아래로 이동하므로 플레이트 재료(W)가 긁혀지는 것을 방지한다.
전방 및 후방 작업지지 벨트 (45F, 45R)의 전방 측면 작업 지지부 (45f) 및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45r)는 플레이트 재료(W)가 이동하여 처리될 때 통과라인 (PL)의 위쪽위치로 수평을 항상 유지한다. 그러므로, 플레이트 재료(W)가 복수개의 펀치다이의 무게에 의해 아래로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미세 연결부가 손상되거나 처리 정밀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플레이트 재료(W)는 깔쭉한 형상, 창모양 형상, 지붕창 형상 등과 같은 아래로 향상 형상으로 처리되고 하부 다이 캐리어 부재(23)에 고정된 하부 다이(27)는 아래방향으로 형성된 분준(M)과 상응한 높이에 의해 다이 업-다운 엑츄에이터(29)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게다가, 아래방향 형성(층) 처리가 완료된 후 제8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부재(173, 175) 및 풀리 (151, 161)는 하부 방향으로 형성된 부분(M)(깔쭉한, 창모야, 지붕 모양에 기인함)이 플레이트 재료(W)에 형성된 위치에서 전방 및 후방 측면 작업지지 벨트 ( 45F, 45R)에 속하고 각기 업-다운 유압 실린더 장치 (193, 195, 197, 199)에 의해 아래로 이동한다. 결론적으로, 아래 방향으로 형성된 부분(M)과 전방 및 후방 측면 작업지지 벨트 ( 45F, 45R)의 전방 및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 (45f, 45r) 사이의 방해를 방지할 수 있다. 아래 방향으로 형성된 부분 (M)의 위치에 상응한 전방 및 후방 측면 작업지지 벨트 (45F, 45R)는 아래 방향 형성을 처리 하기 전에 준비된 수치제어(NC) 프로그램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작업 캐리지 슬라이더 (5A)에서 체결된 플레이트 재료(W)가 작업 캐리지 슬라이더 (5A)로부터 제거되지 않는 한 플레이트 재료(W)는 X 및 Y축 방향에서 전방 및 후방 작업지지 벨트(45F, 45R)의 전방 및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 (45f, 45r)로부터 해제 되지 않는다. 아래 방향으로 형성된 부분 (M)의 위치에 상응한 전방 및 후방 측면 작업 지지벨트(45F, 45R)의 전방 및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 (45f, 45r)가 하강한 후 이것은 플레이트 재료(W)의 아래방향으로 형성된 부분(M)을 지지한다. 이 경우, 플레이트 재료(W)의 아래방향으로 형성된 부분 (M)이 처리될 때 아래방향으로 형성된 부분(M)보다 다른 위치에 형성된 위치에 상응한 작업지지 벨트(45)의 전방 및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 (45f, 45r)가 플레이트 재료(W)를 지지하므로 작업 통과라인(PL)의 높이로 수평으로 플레이트 재료(W)를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다.
아래 방향으로 형성된 부분 (M)의 위치에 상응한 작업 지지벨트(45)의 전방 및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 (45f, 45r)의 하부방향 거리는 아래방향으로 형성된 부분(M)의 각 형성 높이에 따라서 결정된다. 제8a도에서, 하부방향으로 형성된 부분(M)은 각기 전방 및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 (45f, 45r)에 의해 저지된다.
게다가, 플레이트 재료(W)가 위쪽으로 깔쭉한 모양, 창모양, 지붕창 모양 등으로 형성하도록 처리하게 될 때 물론 작업지지 벨트(435)의 전방 및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 (45f, 45r)를 아래쪽으로 이동할 필요가 없다.
상부 다이 캐리어 부재(19)와 하부 다이 캐리어 부재(23)는 Y-축 서보 모터(31)에 의해 Y-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동가능한 풀리 지지부재(177) 는 서보 모터 (181)에 의해 제6b도에서 왼쪽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동가능한 풀리 지지부재(179)는 필요에 따라서 서보모터(183)에 의해 제6b도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므로 하부 다이 캐리어 부재(23)는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된 후방 측면 작업 지지벨트 (45R)의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45r)의 풀리(159) 및 왼쪽 방향으로 이동된 전방 측면 작업지지 벨트(45F)의 전방 측면 작업 지지부(45f)의 풀리(149)사이를 거쳐서 이동할 수 있다.
바꿔말해서, 전방 측면 작업 지지부(45f)의 풀리(149)와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45r)의 풀리(159)사이의 공간은 하부 다이 캐리어 부재(23)가 그들 사이를 통과하는 정도로 증가할 수 있으므로 전방 및 후방 측면 작업 지지벨트(45F, 45R)의 전방 및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 (45f, 45r)의 간섭에 따르게 된다.
하부 다이 캐리어 부재(23)는 Y-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 후, 풀리 (149, 159) 사이의 간격을 넓히도록 이동한 전방 및 후방 작업 지지벨트(45F, 45R)용 이동 가능한 풀리 지지부재(177,179)는 각기 원래의 위치로 귀환하게 되므로 전방 측면 작업 지지부재(45f)의 풀리(149)와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재(45r)의 풀리(159)사이의 공간이 원래의 간극(G)으로 귀환하게 된다.
이 발명의 작업 테이블 장치의 제 4실시예는 제7도에 따라서 이하에 기재하게 될 것이다. 상기 제4실시예의 구조적 특징 및 기능적 효과는 2개의 이동가능한 풀리 지지부재(177, 179)가 2개의 스프링(113, 115)에 의해 서로 종용되므로 풀리 지지부재(177)의 내부단부에 부착된 캠 종동 롤러(97)가 하부 다이 캐리어 부재(23)에 부착된 캠부재(101)와 접촉되므로 풀리 지지부재(179)의 내부 단부에 부착된 유사한 캠 종동 롤러(99)가 동일 캠부재(101)와 접촉하는 것을 제외하고 이전에 기술한 제3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다. 그러므로, 제6b도에 도시한 제3실시예에서와 같이 동일 참고 부호는 어떤 상세한 설명의 반복없이 동일기능을 갖는 동일 부품이나 동일 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스프링(113, 115)은 제6b도에 도시한 서보모터(181, 183) 대신에 제공된다. 캠 종동 롤러(97)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가능한 풀리부재(177)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캠종동롤러(99)는 이동가능한 풀리 지지부재(179)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게다가, Y-축 방향으로 연장한 테이퍼진 마름모(다이아몬드 형태) 캠부재(101)는 제3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다이 캐리어부재(23)에 고정하게 부착된다. 각기 캠 종동 롤러(97, 99)는 스프링(113, 115)이 각기 하부 다이 캐리어 부재(23) 쪽으로 이동가능한 풀리 지지부재(177, 179)를 누르므로 스프링(113, 11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마름모형 부재(101)의 이등변 삼각형의 각 측면부분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하부 다이 캐리어부재(23)가 존재하지 않는 위치에 상응한 전방 및 후방 측면 작업 지지벨트(45F, 45R)의 캠종동 롤러(97, 99)는 스프링(113, 115)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 접촉하므로 전방 측면 작업 지지벨트 (45F)의 풀리(149)와 후방 측면 작업지지벨트(45R)의 풀리(159) 사이의 공간이 최소 간극으로 유지된다.
상기 설명과 대조적으로 하부 다이 캐리어 부재(23)가 존재하는 위치에 상응한 전방 및 후방 측면 작업 지지벨트(45F, 45R)의 캠종동 롤러(97, 99)는 스프링(113, 115)의 탄성력에 의해 캠 부재(101)의 등변 삼각형의 측면 부분과 하부 캐리어 부재(23)의 원주벽과 접촉하므로 전방 측면 작업 지지벨트 (45F)의 전방 측면 작업 지지부(45f)의 풀리(149)와 후방 측면 작업지지벨트(45R)의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45r)의 풀리(159)사이에 하부 캐리어 부재(23)가 위치하게 된다.
상부 다이 캐리어 부재(19)와 하부 다이 캐리어 부재(23)가 Y-축 서보모터(31)에 의해 Y-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 캠부재(101)는 이동가능한 풀리 지지부재(177)의 캠 종동 롤러(97)와 접촉하여 이동하고 이동가능한 풀리 지지부재(179)의 캠 종동 롤러(99)는 캠 종동 롤러(97, 99)로부터 떨어져서 이동한다.
캠 부재(101)의 캠 표면의 수직폭이 충분한 폭(예를 들어, 35 내지 40mm)이므로 작업 지지벨트 (45)의 전방 측면 작업 지지부 (45f)의 풀리(149)와 후방 측면 작업지지부 (45r)의 풀리(159) 사이의 간격은 하부 다이 캐리어 부재(23)이 하강할 때 유지되므로 작업 지지벨트 (45)의 전방 및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45f, 45r)를 갖는 하부 다이 캐리어 부재(23)를 이동할 수 있다.
게다가, 상시 실시예에서 전방 및 후방 측면 작업 지지벨트(45F, 45R)의 전방 측면 작업 지지부(45f)와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45r)는 각기 작업 지지벨트(45)를 무관하게 아래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플레이트 재료(W)가 아래방향 형상으로 처리될 때 제3실시예와 같이 동일 효과 및 동일 기능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언급한 실시예에서, 처리될 플레이트 재료(W)는 클램프의 사용으로 작업 캐리지 슬라이더(5A)에 고정되고 X-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러나, 이런 제한 없이 작업 캐리지 슬라이더(5A)의 사용없이 X-축 방향에서 전방 및 후방 작업 지지벨트(45F, 45R)의 전방 및 후방 작업 지지부(45f, 45r)상에 직접 장착된 플레이트재료(W)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이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 재료 처리 기계용 작업 테이블 장치에서 작업 지지벨트의 작업 지지부는 플레이트 재료의 이동과 동시에 작업 이동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속적으로 플레이트 재료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상대변위는 처리될 플레이트 재료와 작업 지지벨트의 작업 지지부분 사이에서 생기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처리된 제품의 미세 결합부의 손상과, 플레이트 재료를 긁거나 잡음을 생기지 않게 작은 크기의 펀치된 제품을 고정하게 지지할 수 있다.
게다가, 작업 지지벨트의 작업 지지부는 작업 통과라인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하강하게 되므로 작업 지지벨트의 하강 작업 지지부에 의해 아래방향으로 형성된 돌출부를 지지하도록 하고 플레이트 재료에서 아래방향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처리된 플레이트 재료의 하부방향 편향을 방지한다.
게다가, 작업지지 벨트의 작업 지지부가 플레이트 재료 처리부쪽으로 수평으로 스프링을 종용하거나 서보모터에 의해 이동하게 되므로 플레이트 재료가 벨트에 의해 지지되지 않은 면적을 가능한 줄임에 의해 플레이트 재료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게다가, 전방 및 후방 측면 작업 지지벨트의 전방 및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가 독립적으로 구동되므로 후방 측면 지지벨트로부터 양쪽 표면 처리 제품을 수행할 수 있다.
제6a 도 및 제8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및 후방 측면 작업 지지벨트(45F, 45R)가 펀치 프레스 헤드(19)를 번갈아 가로지르도록 정렬된다. 상기 장치에서, 작거나 얇은 공작물 또는 화면 프레임의 형태를 갖는 공작물은 벨트(45F, 45R)에 의해 매끈하게 이동된다.

Claims (14)

  1. 작업 통과라인(PL)을 따라서 제1방향에서 처리될 플레이트 재료(W)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플레이트 재료 처리부(19, 23)를 구비한 플레이트 재료 처리 기계용 작업 테이블 장치로서, (a) 각기 제1방향에 수직인 방향에서 분리되게 정렬되고 제1방향으로 연장한 일군의 작업 지지벨트(43 ; 45)와, (b)처리될 플레이트 재료의 움직임과 동시에 작업 통과라인의 제1방향에서 상기 작업 지지벨트를 구동하기 위한 벨트 구동수단( 5 ; 147F, 147R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재료 처리 기계용 작업 테이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작업 지지벨트(43;45)는 플레이트 재료 처리부의 양측면상의 전방 측면 작업 지지부(43f,45f)와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43r, 45r)로 분할된 작업 테이블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재료 처리 기계용 작업 테이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작업 통과라인(PL)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각기 상기 작업 지지벨트(43;45)의 전방 및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43f,43r; 45f,45r)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아래방향 벨트 이동수단(81,83,85,87; 193,195,197,199)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재료 처리 기계용 작업 테이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작업 지지벨트의 전방 및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의 2개의 대향한 내부 단부 사이의 간극을 줄이기 위하여 플레이트 재료 처리부 쪽으로 수평으로 작업 지지벨트의 전방 및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43f,43r; 45f,45r)를 이동 시키기 위한 벨트이동수단(69,71,73,75,77,79; 181,183,185,187,191)(97,99,93,95; 113,115)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은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재료 처리 기계용 작업 테이블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작업 지지벨트는 단일 벨트(43)이고 ; 상기 벨트 구동 수단은 각각의 작업 지지벨트와 연결되고 처리될 플레이트 재료를 지지하기 위한 작업 캐리지 슬라이더(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재료 처리 기계용 작업 테이블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작업 지지벨트는 전방 측면 작업 지지벨트(45F)와 후방 측면 작업 지지벨트(45R)로 나누어 지고 ; 상기 벨트 구동 수단은 전방 측면 작업 지지벨트를 구동하기 위한 제1벨트 구동모터(147F)와 각기 상기 후방 측면 작업지지 벨트를 구동하기 위한 제2벨트 구동모터(147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재료 처리 기계용 작업 테이블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a)작업 테이블 베드 부재(1)와 ; (b) 상기 작업 테이블 베드 부재(1)에 고정되고 각기 작업 지지벨트에 제공된 전방 및 후방 안내 부재(61,63 ; 173,175)와 ; (c) 각기 상기 전방 및 후방 안내 부재에 의해 미끄럼가능하게 지지되고 작업 지지벨트에 제공된 전방 및 후방 이동가능한 풀리 지지부재(65,67 ; 177,179)와; (d) 상기 전방 이동 가능한 풀리 지지부재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각각의 작업 지지벨트에 제공된 일군의 제1풀리(45,59 ; 149,157)와; (e) 상기 후방 이동 가능한 풀리 지지부재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각각의 작업 지지벨트에 제공된 일군의 제2풀리(55,57 ; 159,167)와; (f) 작업 테이블 베드 부재의 전방 부분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각각의 작업 지지벨트에 제공된 일군의 제3폴리(47,49 ; 161,153)와; (g) 작업 테이블 베드 부재의 후방 부분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각각의 작업 테이블 벨트에 제공된 일군의 제4폴리(51,53 ; 161,163)를 포함하는 벨트지지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재료 처리 기계용 작업 테이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벨트 장력 조정 수단(89 ; 102 ; 103)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재료 처리 기계용 작업 테이블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벨트 이동 수단은, (a) 상기 전방 및 후방 안내부재를 수직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작업 지지벨트에 제공된 2개의 업-다운 유압실린더 장치(81,83 ; 193,195)와; (b) 작업 테이블 베드 부재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일군의 제3 및 제4풀리를 수직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작업 지지벨트에 제공된 다른 2개의 업-다운 유압실린더 장치(85,87 ; 197,19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재료 처리 기계용 작업 테이블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이동 수단은, (a) 작업 테이블 베드 부재(1)와; (b) 상기 작업 테이블 베드 부재(1)에 고정되고 각각의 작업 지지벨트에 제공된 전방 및 후방 안내 부재(61,63 ; 173,175)와 ; (c) 각기 상기 전방 및 후방 안내 부재에 의해 미끄럼가능하게 지지되고 각각의 작업 지지벨트에 제공된 전방 및 후방 이동가능한 풀리 지지부재(65,67 ; 177,179)와 ; (d) 상기 전방 이동가능한 풀리 지지부재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각각의 작업 지지벨트에 제공된 일군의 제1풀리(45,59 ; 149,157)와 ; (e) 상기 후방 이동 가능한 풀리 지지부재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각각의 작업 지지벨트에 제공된 일군의 제2풀리(55,57 ; 159,167)와; (f) 작업 테이블 베드 부재의 전방 부분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작업 지지벨트에 제공된 일군의 제3폴리(47,49 ; 161,153)와; (g) 작업 테이블 베드 부재의 후방 부분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각각의 작업 지지 벨트에 제공된 일군의 제4폴리(51,53 ; 161,163)와; (h) 상기 전방 및 후방 안내부재에 고정된 2개의 너트부재(77,79 ; 189,191)와; (i) 상기 전방 및 후방 이동가능한 풀리 지지부재에 고정된 2개의 서보모터(69,71 ; 181,183)와 ; (j) 상기 서보모터에 의해 회전하게 될 때 상기 안내부재를 따라서 수평으로 상기 전방 및 후방 이동가능한 풀리 안내 부재가 이동되도록 2개의 너트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서보모터에 부착된 2개의 보올나사(73,75 ; 185,187)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재료 처리 기계용 작업 테이블 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벨트 이동 수단은, (a) 작업 테이블 베드 부재(1)와; (b) 상기 작업 테이블 베드 부재(1)에 고정되고 각각의 작업 지지벨트에 제공된 전방 및 후방 안내 부재(65,67 ; 173,175)와 ; (c) 각기 상기 전방 및 후방 안내 부재에 의해 미끄럼가능하게 지지되고 각각의 작업 지지벨트에 제공된 전방 및 후방 이동가능한 풀리 지지부재(65,67 ; 177,179)와 ; (d) 상기 전방 이동가능한 풀리 지지부재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각각의 작업 지지벨트에 제공된 일군의 제1풀리(45,59 ; 149,157)와 ; (e) 상기 후방 이동 가능한 풀리 지지부재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각각의 작업 지지벨트에 제공된 일군의 제2풀리(55,57 ; 159,167)와; (f) 작업 테이블 베드 부재의 전방 부분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각각의 작업 지지벨트에 제공된 일군의 제3폴리(47,49 ; 161,153)와; (g) 작업 테이블 베드 부재의 후방 부분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각각의 작업 지지 벨트에 제공된 일군의 제4폴리(51,53 ; 161,163)와; (h) 플레이트 재료 처리부에 고정된 캠 부재(101)와; (i) 상기 전방 및 후방 이동가능한 풀리 지지부재(65,67 ; 177,179)의 내부단부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각각의 작업 지지벨트에 제공된 2개의 전방 및 후방 캠 종동 롤러(97,99)와; (j) 다른 대향한 캠 종동 롤러나 플레이트 재료 처리부에 고정된 캠 부재와 접촉하여 왼쪽 및 오른쪽 캠 종동 롤러를 종용하기 위하여 각각의 작업지지 벨트에 제공된 2개의 스프링(93,95 ; 113,1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재료 처리 기계용 작업 테이블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지지벨트의 전방 측면 작업 지지부(43f,45f)와 후방 측면 작업 지지부(43r,45r)의 내부 단부는 그 내부단부 사이에 직선 간극이 형성되지 않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엇갈리게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재료 처리 기계용 작업 테이블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플레이트 재료 처리부에 고정된 캠 부재는 다이아몬드 형태의 캠 표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재료 처리 기계용 작업 테이블 장치.
  14. 플레이트 재료 처리 기계에 있어서, 플레이트 재료 처리부(19,23)와 작업 통과라인(PL)을 따라서 제1방향에서 처리 될 플레이트 재료(W)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작업 테이블 장치를 포함하는 플레이트 재료 처리 기계로서, 상기 테이블 장치는 각각 제1방향에 수직인 제2방향으로 분리되어 정렬되고 제1방향으로 연장한 일군의 작업 지지벨트(43,45)와; 처리될 플레이트 재료의 이동에 따라서 동시에 작업 통과라인의 제1방향에서 작업 지지벨트를 구동하기 위한 벨트 구동수단(5 ; 147F,147R)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재료 처리 기계.
KR1019930000540A 1992-01-17 1993-01-16 플레이트 재료 처리 기계용 작업 테이블 장치 KR1002051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6866 1992-01-17
JP04006892A JP3140131B2 (ja) 1992-01-17 1992-01-17 板材加工機のワークテーブル装置
JP00686692A JP3285916B2 (ja) 1992-01-17 1992-01-17 板材加工機のワークテーブル装置
JP4-6892 1992-01-17
JP04067928A JP3143199B2 (ja) 1992-03-26 1992-03-26 板材加工機
JP4-67928 1992-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6202A KR930016202A (ko) 1993-08-26
KR100205163B1 true KR100205163B1 (ko) 1999-07-01

Family

ID=27277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0540A KR100205163B1 (ko) 1992-01-17 1993-01-16 플레이트 재료 처리 기계용 작업 테이블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442985A (ko)
EP (1) EP0552103B1 (ko)
KR (1) KR100205163B1 (ko)
DE (1) DE69304935T2 (ko)
FI (1) FI930168A (ko)
TW (1) TW2390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42590B2 (ja) * 1995-11-20 2003-09-02 株式会社アマダ パンチング加工機およびその加工方法
CH691806A5 (fr) * 1997-04-29 2001-10-31 Kustner Ind Sa Transporteur.
PL204386B1 (pl) * 2001-10-30 2010-01-29 Silgan Holdings Inc Urządzenie przenośnikowe oraz sposób przenoszenia płyt
EP1741525A1 (de) * 2005-07-06 2007-01-10 Trumpf Werkzeugmaschinen GmbH + Co. KG Vorrichtung zur Aufnahme von plattenförmigen Materialien
JP5380785B2 (ja) * 2007-04-25 2014-01-08 村田機械株式会社 板材加工システム
DE102007028417A1 (de) * 2007-06-20 2008-12-24 Grenzebach Maschinenbau Gmbh Trennvorrichtung für eine fließbandähnliche Fertigungslinie
TWI398307B (zh) * 2009-07-09 2013-06-11 Chan Li Machinery Co Ltd Detection and screening device and its detection and screening method
US8833546B2 (en) * 2009-09-09 2014-09-16 Chan Li Machinery Co., Ltd. Web product sorting machine
CN104511546B (zh) * 2013-10-08 2017-06-09 中山市东凤镇金荣峰精密模具厂 一种全自动散片高速冲压机械手
KR20170104459A (ko) * 2014-11-28 2017-09-15 마렐 아/에스 식재료 제품들을 소형의 식재료 제품들로 절단하기 위한 나이프를 구비한 콘에이어 시스템
CN107052593A (zh) * 2017-06-09 2017-08-18 吴振泉 动态激光切割系统
CN111360431A (zh) * 2020-05-14 2020-07-03 国机铸锻机械有限公司 连续切割的激光加工设备跟随输送装置
CN116428476B (zh) * 2023-06-14 2023-09-19 深圳市易天自动化设备股份有限公司 对位平台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41574A (en) * 1936-12-23 1938-12-27 Wamser Heinrich Paper-cutting appliance
US3037548A (en) * 1956-07-17 1962-06-05 Goodrich Co B F Belt conveyor apparatus
US3088581A (en) * 1961-04-12 1963-05-07 Young Brothers Company Conveyor belt control device
US3413916A (en) * 1966-06-14 1968-12-03 Friz Gmbh Adolf Feeding device for presses or the like
US4090391A (en) * 1977-02-22 1978-05-23 Industrial Steel Construction, Incorporated Press construction
DE2924755C2 (de) * 1979-06-20 1986-12-04 Miele & Cie GmbH & Co, 4830 Gütersloh Vorrichtung zum Transportieren von Blechformteilen in Stufenpressen
DE3004894C2 (de) * 1980-02-09 1985-10-10 Continental Gummi-Werke Ag, 3000 Hannover Vorrichtung zum Schneiden von plastisch verformbaren Warenbahnen in Einzelabschnitte
US4821870A (en) * 1984-12-17 1989-04-18 Nabisco Brands, Inc. Automatic direct soft cookie loading apparatus
DE3821806A1 (de) * 1988-06-28 1990-01-04 Fraunhofer Ges Forschung Umformvorrichtung mit automatischem beschickungs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304935T2 (de) 1997-03-27
KR930016202A (ko) 1993-08-26
US5442985A (en) 1995-08-22
FI930168A0 (fi) 1993-01-15
TW239090B (ko) 1995-01-21
EP0552103A1 (en) 1993-07-21
DE69304935D1 (de) 1996-10-31
FI930168A (fi) 1993-07-18
EP0552103B1 (en) 1996-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5163B1 (ko) 플레이트 재료 처리 기계용 작업 테이블 장치
US6145424A (en) Punching machine and method thereof
US525350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ending and forming sheet material
CN1097506C (zh) 板材加工设备
EP1918037A1 (en) Bending machine with bending tool length adjusting mechanism
GB2221863A (en) Plate processing machine
JP3183735B2 (ja) 板材加工機のワークテーブル装置
JP2019529120A (ja) 板状工作物の加工のための工具および工具機械並びに方法
JP3143199B2 (ja) 板材加工機
JP3285916B2 (ja) 板材加工機のワークテーブル装置
KR100352789B1 (ko) 레이저용접용 판재 고정장치
EP1738883B1 (en) Cardboard working machine
EP0920933B1 (en) Improved punching machine for metal sheet panels
KR100195830B1 (ko) 트랜스퍼 피더
JP3115614B2 (ja) 板材加工機
JP3988031B2 (ja) 連続プレス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JPH02142633A (ja) 曲げ装置
JP2578463Y2 (ja) 板材加工機のワークテーブル装置
JPH05192724A (ja) 板材加工機のワークテーブル装置
CN220005569U (zh) 一种新型拉延模具
JPH05285571A (ja) パンチング加工機のワークテーブル装置
JPH05192722A (ja) 板材加工機のシュータ付きワークテーブル装置
JPH05285570A (ja) パンチング加工機のワークテーブル装置
JP2569150Y2 (ja) 板材加工機のワークテーブル装置
JPWO2020227224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