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4899B1 - 스포츠모드형 오토메틱차량의 디턴트유니트 - Google Patents

스포츠모드형 오토메틱차량의 디턴트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4899B1
KR100204899B1 KR1019960061814A KR19960061814A KR100204899B1 KR 100204899 B1 KR100204899 B1 KR 100204899B1 KR 1019960061814 A KR1019960061814 A KR 1019960061814A KR 19960061814 A KR19960061814 A KR 19960061814A KR 100204899 B1 KR100204899 B1 KR 100204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racket
unit
push button
automatic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1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3835A (ko
Inventor
이상주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61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4899B1/ko
Publication of KR19980043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3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4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48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4Ratio selector apparatus
    • F16H59/044Ratio selector apparatu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F16H2059/0282Lever handles with lock mechanisms, e.g. for allowing selection of reverse gear or releasing lever from park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포츠모드형 오토메틱차량의 디턴트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상기 브라켓트(10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멍(211)이 형성된 하우징(21)과, 이 하우징의 전면에 스톱퍼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접차된 고무(220)와, 이 고무(220)와 하우징(210)에 끼워져 앞뒤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푸쉬보턴(230)과, 이 푸쉬보턴(230)의 이동을 탄발력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된 압축스프링(240)과, 이 압축스프링(24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210)에 체결된 베이스(250)로 이루어져 상기 브라켓트(100)의 좌우측에 대칭되는 각도로 설치됨과 더불어 브라켓트(100)에 힌지결합된 변속레버(300)가 중립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스포츠모드형 오토메틱차량의 디턴트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변속레버(300)의 조작에 의해 압축스프링(240)에 대향하여 전후로 작동되는 푸쉬보턴(230)의 돌기부(231)를 매개로 베이스(250)에 설치된 차속변경감지센서(400)가 트랜스밋션유니트에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된 구조로, 오토메틱차량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조립공정도 단순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조립 또는 운반도중 센서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스포츠모드형 오토메틱차량의 디턴트유니트
본 발명은 스포츠모드형 오토메틱차량의 디턴트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토메틱차량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조립공정도 단순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조립 또는 운반도중 센서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스포츠모드형 오토메틱 차량의 디턴트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포츠모드형 오토메틱차량은 변속레버를 자동변속기의 상태로 조작하여 운전하다가 운전자의 필요에 의해 현재의 단에서 1속을 감속 또는 감속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이다.
종래 디턴트유니트가 설치된 스포츠모드형 오토메틱차량은 도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브라켓트(100)의 좌우측에 대칭되는 각도로 디턴트유니트(200)가 설치되고, 이 디턴트유니트(20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브라켓트(100)에 변속레버(300)가 힌지결합되는 한편, 상기 브라켓트(100)의 소정위치에 상기 변속레버(300)가 디턴트유니트(200)를 가압한 상태에서 감지되도록 차속변경감지센서(40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디턴트유니트(2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트(10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멍(211)이 형성된 하우징(210)과, 이 하우징의 전면에 스톱퍼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접착된 고무(220)와, 이 고무(220)와 하우징(210)에 끼워져 앞뒤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선 푸쉬보턴(230)과, 이 푸쉬보턴(230)의 이동을 탄발력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된 압축스프링(240)과, 이 압축스프링(24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210)에 체결된 베이스(250)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변속레버(300)의 모드를 변경한 상태로 전후방향에 설치된 디턴트유니트(200)의 푸쉬보턴(230)를 압축스프링(240)에 대향하여 밀어부친 상태로 유지하면 상기 차속변경감지센서(400)가 이를 감지하여 현재의 차속에서 1속 감속 또는 가속되어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디턴트유니트(200)의 고유역할은 상기 변속레버(300)가 압축스프링(240)과 푸쉬보턴(230)에 의해 중립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디턴트유니트(200)는 단지 변속레버(300)의 위치를 중립에 있도록 하는 역할이외에는 없기 때문에 상기 차속변경감지센서(400)가 별도로 설피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조립공정이 많음은 물로, 조립과 운반시 차속변경감지센서(400)가 파손되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속변경 감지센서가 디턴트유니트에 배설되어 변속레버의 조작에 의해 작동되어 트랜스밋션 유니트에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설치된 구조로, 오토메틱차량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조립공정도 단순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조립 또는 운반도중 센서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스포츠모드형 오토메틱차량의 디턴트유니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디턴트유니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설명도.
제2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디턴트유니트의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턴트유니트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브라켓트 200 : 디턴트유니트
210 : 하우징 220 : 고무
230 : 푸쉬보턴 231 : 돌기부
240 : 압축스프링 300 : 변속레버
400 : 차속변경감지센서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브라켓트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된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전면에 스톱퍼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접착된 고무와, 이 고무와 하우징에 끼워져 앞뒤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푸쉬보턴과, 이 푸쉬보턴의 이동을 탄발력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된 압축스프링과, 이 압축스프링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체결된 베이스로 이루어져 상기 브라켓트의 좌우측에 대칭되는 각도로 설치됨과 더불어 브라켓에 힌지결합된 변속레버가 중립에 위치하도록 설피된 스포츠모드형 오토메틱차량의 디턴트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변속레버의 조작에 의해 압축스프링에 대향하여 전후로 작동되는 푸쉬보턴의 돌기부를 매개로 베이스에 설치된 차속변경감지센서가 트랜스밋션유니트에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디턴트유니트의 단면도로서, 종래 기술을 설명하는 도1 및 도2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브라켓트(10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멍(211)이 형성된 하우징(210)과, 이 하우징의 전면에 스톱퍼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접착된 고무(220)와, 이 고무(220)와 하우징(210)에 끼워져 앞뒤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선 푸쉬보턴(230)과, 이 푸쉬보턴(230)의 이동을 탄발력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된 압축스프링(240)과, 이 압축스프링(24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210)에 체결된 베이스(250)로 이루어져 상기 브라켓트(100)이 좌우측에 대칭되는 각도로 설치됨과 더불어 브라켓트(100)에 힌지결합된 변속레버(300)가 중립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스포츠모드형 오토메틱차량의 디턴트유니트(200)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변속레버(300)의 조작에 의해 압축스프링(240)에 대향하여 전후로 작동되는 푸쉬보턴(230)의 돌기부(231)를 매개로 베이스(250)에 설치된 차속변경감지센서(400)가 트랜스밋션유니트에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260은 상기 푸쉬보턴(230)이 앞뒤로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이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과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변속레버(300)의 모드를 변경한 상태로 전후방향에 설치된 디턴트유니트(200)의 푸쉬보턴(230)를 압축스프링(240)에 대향하여 밀어부친 상태로 유지하면 상기 푸쉬보턴(230)를 돌기부(231)가 차속변경감지센서(400)를 가압하여 접속함으로써 현재의 차속에서 1속 감속 또는 가속되어 고정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브라켓트(100)에 별도로 차속변경감지센터(400)가 조립되지 않아 스포츠모드형 오토메틱차량의 조립이 간단하고, 조립시나 운반도중 센서가 파손되는 경우가 없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포츠모드형 오토메틱차량의 디턴트유니트에 의하면, 차속변경감지센서가 디턴트유니트에 배설되어 변속레버의 조작에 의해 작동되어 트랜스밋션유니트에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설치된 구조로, 오토메틱차량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조립공정도 단순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조립 또는 운반도중 센서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상기 브라켓트(10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멍(211)이 형성된 하우징(210)과, 이 하우징의 전면에 스톱퍼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접착된 구무(220)와, 이 고무(220)와 하우징(210)에 끼워져 앞뒤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선 푸쉬보턴(230)과, 이 푸쉬보턴(230)의 이동을 탄발력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된 압축스프링(240)과, 이 압축스프링(24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210)에 체결된 베이스(250)로 이루어져 상기 브라켓트(100)의 좌우측에 대칭되는 각도로 설치됨과 더불어 브라켓트(100)에 힌지결합된 변속레버(300)가 중립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스포츠모드형 오토메틱차량의 디턴트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변속레버(300)의 조작에 의해 압축스프링(240)에 대향하여 전후로 작동되는 푸쉬보턴(230)의 돌기부(231)를 매개로 베이스(250)에 설치된 차속변경감지센서(400)가 트랜스밋션유니트에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모드형 오토메틱차량의 디턴트유니트.
KR1019960061814A 1996-12-05 1996-12-05 스포츠모드형 오토메틱차량의 디턴트유니트 KR100204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1814A KR100204899B1 (ko) 1996-12-05 1996-12-05 스포츠모드형 오토메틱차량의 디턴트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1814A KR100204899B1 (ko) 1996-12-05 1996-12-05 스포츠모드형 오토메틱차량의 디턴트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835A KR19980043835A (ko) 1998-09-05
KR100204899B1 true KR100204899B1 (ko) 1999-06-15

Family

ID=19485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1814A KR100204899B1 (ko) 1996-12-05 1996-12-05 스포츠모드형 오토메틱차량의 디턴트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489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835A (ko) 199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3041997A3 (en) Tension sensing assembly
EP0692904A3 (en) Device with a scanning type carrier
JP2009518221A (ja) シフトモジュール
KR100204899B1 (ko) 스포츠모드형 오토메틱차량의 디턴트유니트
KR950011190A (ko) 자동변속 조작기구
KR101571454B1 (ko) 전자식 변속레버
US5561279A (en) Multiple switch assembly including operating knob articulation piece
JPH09210188A (ja) チェンジレバーユニット
KR102565335B1 (ko) 차량용 변속레버의 끼임 방지 장치
US5923011A (en) Chatter preventing switching device having movement detector with contact piece for turning on/off electric contact
KR102348086B1 (ko) 변속위치 검출장치
KR20080044399A (ko) 자동변속기의 스포츠 모드 업/다운 스위치
KR100877959B1 (ko) 이중 디텐트핀
KR200162152Y1 (ko) 변속 레버의 소음 저감형 인디케이터 어셈블리
US5862712A (en) Front panel of an electronic apparatus, provided with a push-button
JP3636840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操作入力装置
JPH10123164A (ja) 衝撃検出装置
KR100425436B1 (ko) 씨디-롬(cd-rom)드라이브
JP2000272371A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レバー装置
JPH0995154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KR0137523Y1 (ko) 자동차용 백램프스위치 취부구조
KR970010274A (ko) 자동변속기용 시프트레버의 로킹장치
JPH0754975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KR200162560Y1 (ko) 후진등 스위치 구조
KR960007936Y1 (ko) 자동변속기의 변속 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2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12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2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3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4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4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5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2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0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8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