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4515B1 - 박스형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용 로우얼레일 차체구조 - Google Patents

박스형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용 로우얼레일 차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4515B1
KR100204515B1 KR1019950022317A KR19950022317A KR100204515B1 KR 100204515 B1 KR100204515 B1 KR 100204515B1 KR 1019950022317 A KR1019950022317 A KR 1019950022317A KR 19950022317 A KR19950022317 A KR 19950022317A KR 100204515 B1 KR100204515 B1 KR 100204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door
roller
rail
bracket
door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2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5742A (ko
Inventor
민치영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50022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4515B1/ko
Publication of KR970005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4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45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18Details of fastening means or of fixed retaining means for the ends of bars
    • E05C9/1825Fastening means
    • E05C9/1833Fastening means performing sliding movements
    • E05C9/185Fastening means performing sliding movements parallel with actuating bar
    • E05C9/1858Fastening means performing sliding movements parallel with actuating bar of the roller bol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60J5/062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for utility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78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balls or floatin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스형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용 로우얼레일 차체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저면을 형성하는 스텝사이드플레이트(70)의 저면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브라켓(40)의 일측부가 취부되고, 상기 브라켓(40)의 타측부는 수납부(15)와 걸림부(12)가 형성되는 슬라이딩도어레일(10:Sliding door rail)의 일측면에 취부되며, 상기 슬라이딩도어레일(10:Sliding door rail) 수납부(15)와 걸림부(12)에 의해 회동이 이루어 지는 제1롤러(22) 제2롤러(21)가 형성되는 지지구(20)의 타측단부는 절곡되어 슬라이딩도어(30:sliding door)의 일측하단부에 취부되며, 상기 제2롤러(21)는 로우얼스텝사이드(60)의 상부에 접하며 설치되어 지는 것은 종래와 같다. 단, 본 발명은 상기 슬라이딩도어레일(10:sliding door rail)의 일측면에 취부되는 브라켓(40)의 일측단부를 절곡연장하여 걸림턱(55)을 형성하고, 제2롤러(21)가 접하는 로우얼스텝사이드(60)의 상부에 상부로 절곡되어 걸림턱(55)이 형성되는 별도의 제1브라켓(50)을 취부하여, 슬라이딩도어(30:sliding door)의 개폐시에 발생되는 자체하중이나, 측부충돌 또는 접촉사고에 의하여 슬라이딩도어(30:sliding door)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슬라이딩도어레일(10:sliding door rail)로 부터 슬라이딩도어(30:sliding door)의 일측면 하단부에 취부된 지지구(20)의 제1롤러(22)와 제2롤러(21)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박스형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용 로우얼레일 차체구조이다.

Description

박스형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용 로우얼레일 차체구조
제1도는 일반적인 박스형자동차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종래 슬라이딩도어레일 차체구조를 보인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슬리이딩도어레일 차체구조를 보인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슬라이딩도어레일 12 : 걸림부
15 : 수납부 20 : 지지구
21 : 제2롤러 22 : 제1롤러
30 : 슬라이딩도어 40 : 브라켓
50 : 제1브라켓 55 : 걸림턱
본 발명은 박스형동차의 슬라이딩도어용 로우얼레일 차체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슬라이딩도어가 슬라이드 되어지며 개폐가능 하도록 하는 로우어롤러가 차체로 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내에 탑승한 승원의 안전성이 향상 되도록 하는 박스형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용 로우얼레일 차체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박스형자동차의 차체구조는 제1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차체의 상단부에 루프레일(1)이 설치되고, 상기 루프레일(1)의 좌우 양측단부에는 폐단면이 형성되어 충격을 흡수 하도록 하는 사이드프레임(2)이 설치되며, 상기 사이드프레임(2)의 하단부에는 슬라이딩도어(30:sliding door)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롤러가 취부되어 슬라이딩도어레일(10:sliding door rail)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종래 박스형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용 로우얼레일 차체구조는, 제2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차량의 저면을 형성하는 스텝사이드플레이트(70)의 저면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브라켓(40)의 일측부가 취부되고, 상기 브라켓(40)의 타측부는 수납부(15)와 걸림부(12)가 형성되는 슬라이딩도어레일(10:sliding door rail)의 일측면에 취부되며, 상기 슬라이딩도어레일(10:sliding door rail)의 수납부(15)와 걸림부(12)에 의해 회동이 이루어 지는 제1롤러(22) 제2롤러(21)가 형성되는 지지구(20)의 타측단부는 절곡되어 슬라이딩도어(30:sliding door)의 일측하단부에 취부되며, 상기 제2롤러(21)는 로우얼스텝사이드(60)의 상부에 접하며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박스형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용 로우얼레일 차체구조는 차량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딩도어(30:sliding door)가 스텝사이드플레이트(70)의 저면에 걸림부(12)와 수납부(15)를 갖으며 취부된 슬라이딩도어레일(10:sliding door rail)에 상기 슬라이딩도어 (30:sliding door)의 일측에 설치되는 지지구(20)의 제1롤러(22)가 수납부(15)로 삽입되고, 상기 수납부(15) 삽입된 제1롤러(22)는 걸림부(12)와 접하며 슬라이딩 되고, 상기 지지구(20)의 일측단부에 차체된 제2롤러(21)는 슬라이딩도어레일(10:sliding door rail)의 걸림부(12)에 일측면이 접하고, 저면은 로우얼스텝사이드(60)에 접하는 것에 의해 회동이 이루어 지면서 슬라이딩도어(30:sliding door)의 개폐가 이루어 지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박스형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용 로우얼레일 차체구조는, 슬라이딩도어(30:sliding door)의 하단부에 취부되는 지지구(20)의 제1롤러(22)와 제2롤러(21)가 스텝사이드플레이트(70)의 저면에 취부되는 슬라이딩도어레일(10:sliding door rail)의 수납부(15)와 걸림부(1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아무런 구조도 갖고 있지 못하여, 슬라이딩도어(30:sliding door)의 개폐시에 발생되는 슬라이딩도어(30:sliding door)자체의 하중은 물론, 충돌사고 등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딩도어(30:sliding door)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지지구(20)의 제1롤러(22)와 제2롤럴(21)가 슬라이딩도어레일(10:sliding door rail)로 부터 이탈되고, 상기와 같이 지지구(20)의 제1롤러(22)와 제2롤러(21)가 슬라이딩도어레리(10:sliding door rail)로 부터 이탈되는 것에 의해 파손되 슬라이딩도어(30:sliding door)가 쉽게 실내쪽으로 침입되어 승원의 안전이 위협받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슬라이딩도어레일과 로우얼스텝사이드의 상부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브라켓을 취부하여, 도어의 개폐시에 발생되는 도어자체의 하중이나,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제1롤러와 제2롤러가 형성되는 지지구가 슬라이딩도어레일(sliding door rail)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 하도록 하는 박스형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용 로우얼레일 차체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박스형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용 로우얼레일 차체구조도 제3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차량의 저면을 형성하는 스텝사이드플레이트(70)의 저면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브라켓(40)의 일측부가 취부되고, 상기 브라켓(40)의 타측부는 수납부(15)와 걸림부(12)가 형성되는 슬라이딩도어레일(10:sliding door rail)의 일측면에 취부되며, 상기 슬라이딩도어레일(10:sliding door rail)의 수납부(15)와 걸림부(12)에 의해 회동이 이루어 지는 제1롤러(22) 제2롤러(21)가 형성되는 지지구(20)의 타측단부는 절곡되어 슬라이딩도어(30:sliding door)의 일측하단부에 취부되며, 상기 제2롤러(21)는 로우얼스텝사이드(60)의 상부에 접하며 설치되어 지는 것은 종래와 같다. 단, 본 발명은 상기 슬라이딩도어레일(10:sliding door rail)의 일측면에 취부되는 브라켓(40)의 일측단부를 절곡연장하여 걸림턱(55)을 형성하고, 제2롤러(21)가 접하는 로우얼스텝사이드(60)의 상부에 상부로 절곡되어 걸림턱(55)이 형성되는 별도의 제1브라켓(50)이 취부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스텝사이드플레이트(70)의 저면에 취부되는 슬라이딩도어레일(10:sliding door rail)의 수납부(15)에 삽입되는 제1롤러(22)는 상기 스텝사이드플에이트(70)의 저면에 일측부가 취부되고, 타측면은 브라켓(40)의 외측 일측면에 걸림턱(55)을 형성하며 취부되어, 상기 브라켓(40)의 수납부(15)에 삽입된 제1롤러(22)가 브라켓(40)에 형성된 수납부(15)의 외부로 나오는 것을 방지하며, 제2롤러(21)는 로우얼플레이트()의 상면에 일측부가 상부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걸림턱(55)에 의해 분리되는 방지하여 주게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슬라이딩도어(30:sliding door)의 개폐시에 발생되는 자체하중이나, 측부충돌 또는 접촉사고에 의하여 슬라이딩도어(30:sliding door)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슬라이딩도어레일(10:sliding door rail)로부터 슬라이딩도어(30:sliding door)의 일측면 하단부에 취부된 지지구(20)의 제1롤러(22)와 제2롤러(21)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슬라이딩도어레일(10:sliding door rail)로 부터 슬라이딩도어(30:sliding door)의 하단부에 취부된 지지구(20)가 개폐시에 발생되는 자체의 하중은 물론,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슬라이딩도어레일(10:sliding door rail)로 부터 지지구(20)에 형성된 제1롤러(22)와 제2롤러(21)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 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차량의 저면을 형성하는 스텝사이드플레이트(70)의 저면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브라켓(40)의 일측부가 취부되고, 상기 브라켓(40)의 타측부는 수납부(15)와 걸림부(12)가 형성되는 슬라이딩도어레일(10:sliding door rail)의 일측면에 취부되며, 수납부(15)와 걸림부(12)에 의해 회동이 이루어 지는 제1롤러(22) 제2롤러(21)가 형성되는 지지구(20)의 타측단부는 절곡되어 슬라이딩도어(30:sliding door)의 일측하단부에 취부되며, 상기 제2롤러(21)는 로우얼스텝사이드(60)의 상부에 접하며 설치되어 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도어레일(10:sliding door rail)의 일측면에 차체되는 브라켓(40)의 일측단부를 절곡연장하여 걸림턱(55)을 형성하고, 제2롤러(21)가 접하는 로우얼스텝사이드(60)의 상부에 상부로 절곡되어 걸림턱(55)이 형성되는 별도의 제1브라켓(50)이 취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용 로우얼레일 차체구조.
KR1019950022317A 1995-07-26 1995-07-26 박스형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용 로우얼레일 차체구조 KR100204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2317A KR100204515B1 (ko) 1995-07-26 1995-07-26 박스형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용 로우얼레일 차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2317A KR100204515B1 (ko) 1995-07-26 1995-07-26 박스형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용 로우얼레일 차체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742A KR970005742A (ko) 1997-02-19
KR100204515B1 true KR100204515B1 (ko) 1999-06-15

Family

ID=19421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2317A KR100204515B1 (ko) 1995-07-26 1995-07-26 박스형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용 로우얼레일 차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451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742A (ko) 1997-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81321A (en) Vehicles provided with slide door
EP0357542A1 (en) Vehicle construction of automobile provided with slide door
CN101456344A (zh) 用于车辆滑动门的约束结构
KR100204515B1 (ko) 박스형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용 로우얼레일 차체구조
JPH0315576B2 (ko)
JPH019236Y2 (ko)
JP2522656Y2 (ja) オープンカー
JPH0116646Y2 (ko)
KR200144265Y1 (ko) 자동차 도어의 밀림방지구조
KR200142386Y1 (ko) 컨버터블형 차량의 도어처짐 방지장치
KR200146032Y1 (ko) 자동차 도어 체커의 장착구조
KR0128341Y1 (ko)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도어 변형 방지구조
KR200142632Y1 (ko) 자동차의 도어 충격흡수구조
JPS61244678A (ja) 車両後側面部側へのスペアタイヤ取付構造
JPS6347652B2 (ko)
KR100278201B1 (ko) 자동차 본네트의 이탈방지 보강구조
JPS5914292Y2 (ja) 自動車の安全ベルト装置
US6951364B2 (en) Locking device for a removable top
KR970006750A (ko) 박스형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용 레일 취부구조
KR100216818B1 (ko) 박스형 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용 취부구조
KR0126072Y1 (ko) 차량의 테일게이트 처짐방지를 위한 브라켓 설치구조
KR200147649Y1 (ko) 자동차용 슬라이드도어의 중앙지지대
JPS5942266Y2 (ja) 車両用シ−ト
KR200142019Y1 (ko) 자동차의 리어도어 멤버구조
JPH072273Y2 (ja) 自動車のド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