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3664B1 - 콘크리트 교량 시공용 비계보 이동방법 및 롤러현수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교량 시공용 비계보 이동방법 및 롤러현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3664B1
KR100203664B1 KR1019940009150A KR19940009150A KR100203664B1 KR 100203664 B1 KR100203664 B1 KR 100203664B1 KR 1019940009150 A KR1019940009150 A KR 1019940009150A KR 19940009150 A KR19940009150 A KR 19940009150A KR 100203664 B1 KR100203664 B1 KR 100203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ffold
roller
suspension device
moving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9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8801A (ko
Inventor
이상태
이홍균
Original Assignee
하진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해규
삼성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진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해규, 삼성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진규
Priority to KR1019940009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3664B1/ko
Publication of KR950028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8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3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36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01D2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by translational movement of the bridge or bridge s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비계보 이동방법은 콘크리트 교량 상부 구조물(B)에 현수되는 현수봉(12)의 하단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며, 상부에는 현수봉(12)에 고정되는 고정부(14)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힌지축(16)에 의해 힌지고정된 롤러블록(15)이 형성되고, 상기 롤러블록(15)에는 롤러가이드(1d)의 내측상단에 접하며, 롤러가이드를 따라 활주하는 다수의 롤러(17)가 설치되고, 중간의 중간축(18)상에는 스페이서(19) 및 이동휠(20)이 설치된 롤러현수 장치를 사용하여 비계보의 이동시 3조의 교각브래킷을 사용하지 않고 2조의 교각브래킷을 사용하여 비계보를 전진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교각브래킷을 비계보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하므로서 교각브래킷의 교량에의 분리 및 재설치 작업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교각브래킷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장비 및 인력이 필요하지 않아 비용 및 공기가 단축되고 특히 교각이 높거나 교하 조건이 나쁠경우에도 아무런 어려움이 없이 비계공법을 실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교량 시공용 비계보 이동방법 및 롤러현수장치
[기술분야]
본 발명은 프리스트레이트 콘크리트 교량 시공용 비계보를 이동시키는 비계보의 이동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실현시키는 롤러현수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비계보를 이동시킴과 아울러 비계보 상을 활주하는 상태로 교각브래킷도 이동시킬 수 있어서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교량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비계보의 이동방법 및 롤러현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일반적으로 비계공법에 따라 콘크리트 교량을 시공할 때 사용되는 비계보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잭(2) 및 와이어 로프(3)에 의해 이동시키거나,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속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한 롤러휠(4)의 구동에 의해 이동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비계보(1)의 이동을 위해서 교각(5) 위에 설치되는 교각브래킷(6)을 3조씩 사용하며, 항상 2조의 교각브래킷(6)이 비계보(1)를 지지하고, 나머지 1조의 교각브래킷(6)은 진입될 비계보(1)를 지지하기 위하여 미리 전방의 교각(5)에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사용이 끝난(즉, 교량 상판이 설치된) 1조의 교각브랫킷(6)을 전방의 교각(5)에서 분리하여 비계보(1)가 진입하게 될 후방의 교각(5)에 부착하여야 하므로 교각브랫킷(6)을 이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비 및 인력이 소요되므로 시공비용이 고가로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교각이 아주 높거나 교하 조건이 열악하여 장비의 진입이 곤란할 경우에는 교각브래킷의 설치 및 분리가 대단히 어려워 과다하게 비용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 상기한 종래의 비계보 이동장치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계보의 이동시 3조의 교각브래킷을 사용하지 않고 2조의 교각브래킷을 사용하여 비계보를 전진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교각브래깃이 비계보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교각브랫킷의 교량에의 분리 및 재설치 작업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교각브랫킷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장비 및 인력이 필요하지 않아 비용 및 공기가 단축되고, 특히 교각이 높거나 교하 조건이 나쁜 경우에도 아무런 어려움이 없이 비계공법을 실시할 수 있는 비계보 이동방법 및 롤러현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비계보 이동장치를 사용하는 시공작업의 개략도.
제2도는 종래의 다른 비계보 이동장치를 사용하는 시공작업의 개략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비계보 이동장치를 사용하는 시공작업의 개략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비계보 이동방법에 따른 비계보의 이동 순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현수장치의 정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현수장치의 측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현수장치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비계보 1d : 롤러가이드
6' : 전방 교각브래킷 6'' : 후방 교각브래킷
10 : 전방현수장치 11 : 롤러현수장치
12 : 현수봉 14 : 고정부
15 : 롤러블록 16 : 힌지축
17 : 롤러 18 : 중간축
19 : 스페이서 20 : 이동휠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전방교각브랫킷과 전방현수장치에 의해 비계보를 지지한 상태에서 비계보 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전방현수장치를 해제하고 상기 비계보의 무게중심이 상기 전방교각브랫킷의 후방에 근접되게 상기 비계보를 전진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비계보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상기 전방현수장치와 후방의 롤러현수장치를 콘크리트 교량 상부구조에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비계보를 따라 상기 전방 및 후방교각브랫킷을 한 경간씩 이동시켜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방현수장치를 해제하고 상기 비계보를 전진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교량 시공용 비계보 이동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콘크리트 교량 시공용 비계보 이동방법에 사용되는 롤러현수장치는, 콘크리트 교량의 교량의 상부구조물에 현수되는 현수봉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 고정부, 및 힌지축에 의해 힌지 고정된 2개의 롤러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롤러블록은, 상기 비계보의 트러스트부의 롤러가이드를 따라 활주하며 상기 비계보의 하중을 지지하는 다수의 롤러, 스페이서와 이동휠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현수장치가 상기 현수봉으로부터 해제되었을 때 상기 현수장치가 상기 롤러가이드의 상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중간축, 및 상기 롤러의 파손시 상기 현수장치가 정지되도록 상기 롤러들 사이에 설치된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계보 이동방법 및 롤러현수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비계보 이동장치를 사용하는 시공작업의 개략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비계보 이동방법에 따른 비계보의 이동 순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현수장치의 정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현수장치의 측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현수장치의 단면도이다.
제3도와 제4도를 참조하여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교량 시공용 비계보 이동방법을 설명하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계보(1)의 상부에는 크로스빔(7)과 외부 거푸집(8)이 설치되어 있고, 비계보(1)의 중간부는 비계보의 하중을 지지하는 박스거더(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후방에는 트러스트부(1b)(1c)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비계보(1)의 후방트러스트부(1c) 상에는 T형의 롤러가이드(1d)가 형성되어 있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비계보(1)는 전방현수장치(10)와 전방교각브랫킷(6')에 의하여 지지된다(제4도(a)). 따라서 비계보(1)의 하중은 도면에 일점쇄선의 원으로 나타낸 하중지점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전방현수장치(10)와 전방교각브랫킷(6') 상에 걸리게 된다.
콘크리트의 타설이 완료되어 비계보(1)를 이동할 때에는, 먼저 비계보(1)에 결합된 전방현수장치(10)를 비계보(1)에서 해제하고 비계보(1)를 거리 L1 만큼 전진 이동시켜 무게중심(G)이 전방교각브래킷(6')의 직후방에 오게 한다(제4도(b)). 이 단계에서 비계보(1)의 하중은 전방 및 후방교각브래킷(6')(6'')에 의해 지지된다.
이와 같이 비계보(1)가 이동하여 무게중심이 이동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교량 상부구조물(B)에 현수되는 전방현수장치(10)와 후방의 롤러현수장치(11)를 비계보(1)에 결합시켜 비계보(1)의 하중이 전방현수장치(10)와 후방의 롤러현수장치(11)에서 지지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전방 및 후방교각브래킷(6')(6'')에 비계보의 하중이 전혀 걸리지 않으므로 전방 및 후방교각브래킷(6')(6'')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제4도(c)).
이어서, 상기 전방 및 후방교각브래킷(6')(6'')을 비계보(1)를 따라 각기 1경간(S) 이동시키고, 전방현수장치(10)를 비계보(1)에서 해제시켜 비계보(1)의 하중을 후방 롤러현수장치(11)와 후방교각브래킷(6'')에 걸리도록 한다(제4도(d)). 이때에도 무게중심의 위치는 이동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비계보(1)를 전방으로 전진 이동시키면 비계보(1)는 후방의 롤러현수장치(11)에 지지되면서 전진 이동하고 무게중심(G)이 후방교각브래킷(6'')을 통과할 때까지 비계보(1)가 전진 이동되면, 이때 비계보(1)는 후방의 롤러 현수장치(11)를 지나 그 하중이 전방 및 후방 교각브래킷(6',6'')에 걸리게 되는 위치를 갖는다(제4도(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연의 과정이 본 발명에 따른 비계보 이동방법의 1사이클이며 이러한 사이클을 반복하면서 비계보를 전진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2조의 교각브래킷을 사용하여 비계보를 전진 이동시키므로 교각브래킷의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해지며 교량설치비용이 저렴하게 된다.
본 발명에 다른 콘크리트 교량 시공용 비계보 이동방법은, 제5도 내지 제7도를 참조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하는 비계보(1)의 바중을 지지하면서도 비계보(1)가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갖는 후방의 롤러현수장치(11)에 의하여 가능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롤러현수장치(11)는 콘크리트 교량 상부구조물(B)에 현수봉(12)을 통해 현수되는 현수봉(12) 하단의 해제너트(13)에 의해 현수봉(1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롤러현수장치(11)의 상부에는 현수봉(12)에 고정되는 고정부(14)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2개의 롤러블록(15)이 힌지축(16)에 의해 힌지 고정되어 있다.
상기 롤러블록(15)에는 후방트러스트부(1c) 상이 T형 롤러가이드(1d)의 내측 상단에 접하여 롤러가이드(1d)를 따라 활주하는 다수의 롤러(17)가 설치되어 있고, 중간축(18)에는 스페이서(19) 및 이동휠(2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동휠(20)은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롤러블록(15) 당 그 수량을 2개로 최소화되어 있으며, 롤러현수장치(11)가 현수봉(12)으로부터 해제될 때 롤러현수장치(11)가 롤러가이드(1d)의 상면을 따라 굴러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롤러블록(15)에는 롤러(17)의 파손시 롤러현수장치(11)가 정지되도록 롤러(17)의 사이에 스토퍼(21)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롤러현수장치(11)는, 롤러(17)가 롤러가이드(1d)의 내측 상단을 협지한 상태로 지지되므로 교량 상부구조물(B)에 현수된 상태에서 비계보(1)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으며, 롤러(17)에 의헤 비계보(1)의 전진 이동이 가능하게 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비계보 이동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롤러현수장치(11)가 해제되었을 때에는, 해제된 롤러현수장치가 중간축(18) 상에 설치된 이동휠(20)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으며, 롤러(17)의 파손시 스토퍼(21)의 상부면(21a)이 롤러가이드(1d)의 내측 상단에 접하게 되어 롤러현수장치가 정지되므로 장치의 안정성이 보장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교량 시공용 비계보 이동방법 및 롤러현수장치는 비계보의 이동시 2조의 교각브래킷을 사용하지 않고 2조의 교각브래킷을 사용하여 비계보를 전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교각브래킷을 비계보에서 분리함이 없이 비계보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교각 사이에 교각브래킷을 별도로 이동 및 재설치하기 위한 장비가 필요하지 않아 비용 및 공기가 단축되고 특히 교각이 높거나 교하 조건이 나쁠 경우에도 수월하게 실시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전방교각브래킷(6')과 전방현수장치(10)에 의해 비계보(1)를 지지한 상태에서 비계보(1) 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전방현수장치(10)를 해제하고 상기 비계보(1)의 무게중심이 상기 전방교각브래킷(6')의 후방에 근접되게 상기 비계보(1)를 전진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비계보(1)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상기 전방현수장치(10)와 후방의 롤러현수장치(11)를 콘크리트 교량 상부구조(B)에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비계보(1)를 따라 상기 전방 및 후방교각브래킷(6',6'')을 한 경간씩 이동시켜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방현수장치(10)를 해제하고 상기 비계보(1)를 전진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호 하는 콘크리트 교량 시공용 비계보 이동방법.
  2. 콘크리트 교량 시공시 비계보를 현수하는 현수장치에 있어서, 콘크리트 교량의 상부구조물(B)에 현수되는 현수봉(12)의 하단에 착탁 가능하게 형성된 고정부(14), 및 힌지축(16)에 의해 힌지 고정된 2개의 롤러블록(15)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롤러블록(15)은, 상기 비계보(1)의 트러스트부(1c)의 롤러가이드(1d)를 따라 활주하며 상기 비계보(1)의 하중을 지지하는 다수의 롤러(17), 스페이서(19)와 이동휠(2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현수장치(11)가 상기 현수봉(12)으로부터 해제되었을 때 상기 현수장치(11)가 상기 롤러가이드(1d)의 상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중간축(18), 및 상기 롤러(17)의 파손시 상기 현수장치(11)가 정지되도록 상기 롤러들(17) 사이에 설치된 스토퍼(2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현수장치.
KR1019940009150A 1994-04-28 1994-04-28 콘크리트 교량 시공용 비계보 이동방법 및 롤러현수장치 KR100203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9150A KR100203664B1 (ko) 1994-04-28 1994-04-28 콘크리트 교량 시공용 비계보 이동방법 및 롤러현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9150A KR100203664B1 (ko) 1994-04-28 1994-04-28 콘크리트 교량 시공용 비계보 이동방법 및 롤러현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8801A KR950028801A (ko) 1995-11-22
KR100203664B1 true KR100203664B1 (ko) 1999-06-15

Family

ID=19381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9150A KR100203664B1 (ko) 1994-04-28 1994-04-28 콘크리트 교량 시공용 비계보 이동방법 및 롤러현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36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77082A (zh) * 2017-01-25 2017-05-17 中铁大桥局武汉桥梁特种技术有限公司 一种自锚式斜拉桥无轴力中间铰偏移的校正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77082A (zh) * 2017-01-25 2017-05-17 中铁大桥局武汉桥梁特种技术有限公司 一种自锚式斜拉桥无轴力中间铰偏移的校正方法
CN106677082B (zh) * 2017-01-25 2018-07-03 中铁大桥局武汉桥梁特种技术有限公司 一种自锚式斜拉桥无轴力中间铰偏移的校正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8801A (ko) 1995-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98973B2 (ja) 橋梁張り出し架設装置と架設方法
CN107338727B (zh) 一种整体拆、装防撞墙模板及其步履式轨道吊移系统
US3571835A (en) Apparatus for concreting multiple section structures, particularly bridge supports of reinforced or prestressed concrete
JPS6024247B2 (ja) 鉄筋コンクリ−トまたは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ト製の多径間橋梁構造を区分毎に片持張出架設するための装置
JP2009299418A (ja) 片持架設用移動作業車の後退撤去方法および後退装置
GB1446446A (en) Apparatus for the construction of bridge support systems
CN107201719B (zh) 高架桥防撞墙模板吊装转运机及防撞墙施工方法
CN206784172U (zh) 高架桥防撞墙模板吊装转运机
KR100203664B1 (ko) 콘크리트 교량 시공용 비계보 이동방법 및 롤러현수장치
US3608670A (en) Scaffold tender
JP2539150B2 (ja) 橋梁架設装置
JP2005023623A (ja) 橋梁用吊り足場のための吊下装置、及びこれを使用した吊り足場の組立工法
US4087220A (en) Apparatus for building a concrete bridge superstructure
JPH09256323A (ja) 橋桁架設装置
CN113882286A (zh) 桥梁拆建一体机及其过跨方法、桥梁拆除方法及新建方法
KR100202038B1 (ko) 콘크리트 교량시공용 비계보 이동장치
JPH07247702A (ja) 橋梁の撤去・解体時の引戻し工法
JP2552997B2 (ja) 橋桁架設工法およびその装置
JPS58523B2 (ja) キヨウリヨウトウノ ジヨウブコウゾウコウチクソウチ
JP2000087314A (ja) 床版の構築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0087315A (ja) 床版の構築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218880595U (zh) 一种适用于现浇混桥梁施工的一体式钢结构挂篮
CN220927536U (zh) 一种用于桥梁施工的行走挂篮
JPH0689527B2 (ja) Pc斜張橋用架設作業車
CN216305423U (zh) 一种单跨式防护棚架横梁安拆用的提升移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