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3614B1 - 외부버튼 스위치 장착 구조체 - Google Patents

외부버튼 스위치 장착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3614B1
KR100203614B1 KR1019960011938A KR19960011938A KR100203614B1 KR 100203614 B1 KR100203614 B1 KR 100203614B1 KR 1019960011938 A KR1019960011938 A KR 1019960011938A KR 19960011938 A KR19960011938 A KR 19960011938A KR 100203614 B1 KR100203614 B1 KR 100203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button switch
external
external button
moun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1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쯔루 구로다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408242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20361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3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36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Structure Of Receiv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케이스의 하우징은 그 내부에 성형된 외부 버튼 스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한쌍의 리브 및 구멍을 갖는다. 외부 버튼 스위치에는 내부 압력 버튼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작동 섹션, 작동 섹션을 이동시키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는 아암 섹션 및 리브 쌍들 사이에 끼워진 지지 섹션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외부 버튼 스위치 장착 구조체
제1도는 종래의 전자 설비용 외부 버튼 스위치 장착 구조체의 주요 부분의 종 단면도.
제2도는 내부 신호 수신기에 사용하기 위한 외부 버튼 스위치 장착 구조체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내부 신호 수신기 하부의 확대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외부 버튼 스위치 장착 구조체의 확대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 부분의 확대 사시도.
제5a도는 내부 신호 수신기 상부면의 단면도이고,
제5b도는 섹션 A-A를 따라 취한 횡단면도.
제6도는 내부 버튼 스위치의 주요 부분의 확대도.
제7a도는 하우징의 외부 단면도이고,
제7b도는 섹션 B-B를 따라 취한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커버 2, 14 : 기판
3, 20 : 내부 압력 버튼 스위치 4, 21 : 외부 버튼 스위치
5, 24 : 아암 6 : 돌출부
11 : 케이스 13 : 배터리 커버
22 : 작동 섹션 25 : 리브
26, 27, 28 : 판 리브 29 : 리세스 섹션
30 ; 개방 섹션 31, 32, 33 : 직사각형 섹션 리브
35 : 액정 표시 섹션 36 : 진동기
본 발명은 외부 버튼 스위치 장착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형 전자 설비용 하우징을 통해 위치되는 외부 버튼 스위치 장착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외부 버튼 스위치가 사용자에 의해 가압될 때 종래 기술의 외부 버튼 스위치는 내부 압력 버튼 스위치가 하향 가압되는 방식으로 내부 압력 버튼 스위치의 상부면의 측면에 위치된다. 이러한 형태의 외부 버튼 스위치에는 케이스의 하부에 제공된 돌출부와 자유 회전 방식으로 맞물리는 아암 섹션이 제공된다. 이러한 형태의 외부 버튼 스위치 장착 구조체는 예를 들어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 소60-172246호와 일본국 특허 공개 평2-247922호에 개시되어 있다.
아암 섹션을 돌출부에 고착시키기 위해서는, 돌출부가 아암 섹션의 팁 근방에 제공된 구멍 내에 끼워지고, 돌출부의 상부 단부가 열 변형에 의해 신속히 용접된다.
그러나, 상술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신속한 용접을 위한 특정 장치가 필요하게 되고, 이러한 것은 장치에 있어서의 투자 및 장치의 장착을 위한 장소가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장치의 장착을 위한 노동 시간(man-hour) 및 이들의 작동을 위한 비용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외부 스위치 및 아암 섹션이 경화 폴리아세탈로 일체 성형되므로, 외부 버튼 스위치가 페이저(pager)에 사용되는 경우 내부 압력 버튼 스위치와 접촉하여 착신을 알리기 위해 진동할 때 소음을 내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극복하는 개선된 외부 버튼 스위치 장착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 버튼 스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임의의 특정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은 외부 버튼 스위치 장착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착신을 알리기 위해 진동이 일어날 때 소음을 내지 않는 외부 버튼 스위치 장착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 버튼 스위치 장착 구조체는, 상호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리브를 갖는 요소와 개방 섹션을 포함하는 케이스와, 내부 압력 버튼 스위치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개방 섹션 내로 삽입될 수 있는 작동 섹션을 포함하는 외부 스위치 버튼과, 상기 작동 섹션의 이동을 허용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아암 섹션과, 폭이 상기 소정 간격보다 크고 상기 작동 섹션을 지지하도록 상기 리브 쌍과 맞물리며 상기 아암 섹션의 단부에 마련되는 지지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스위치 버튼은 상기 지지 섹션을 상기 리브 쌍 사이에 억지 끼움함으로써 상기 케이스에 고정된다.
리세스 섹션은 지지 섹션의 단부가 리세스 섹션과 맞물리는 방식으로 리브 쌍 사이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 섹션은 연질의 발광 수지로 구성되고, 아암 섹션과 지지 섹션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리브 쌍이 지지 섹션을 측벽과 리브 쌍 사이에 억지 끼움시키도록 부재의 측벽 근방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섹션은 테이퍼지거나 또는 직사각형인 것을 바람직하다.
끼워진 리브의 탄성에 의해 제공된 힘이 본 발명에 따른 외부 버튼 스위치를 보유하는 데 이용되므로, 스위치를 보유하기 쉬워진다.
또한, 연질의 발광 수지로 외부 버튼 스위치의 작동 섹션을 구성하면 진동으로 인한 소음을 막을 수 있으며 어두운 곳에서도 잘 알아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가리킨다.
먼저, 본 발명의 이해가 쉽도록, 제1도는 참조하여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전자 설비용 종래 외부 버튼 스위치 장착 구조체의 주요 부분의 종 단면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외부 버튼 스위치(4)와 일체로 성형되고 폴리아세탈 수지로 이루어진 아암 섹션(5)의 팁은 케이스 커버(1)의 하부에 제공된 돌출부(6)와 맞물리고, 돌출부의 팁은 용접으로 고정된다. 외부 버튼 스위치(4)는 케이스 커버(1)의 구멍(7)을 통해 돌출한 상부면과, 기판(2) 상에 위치된 압력 버튼 스위치(3)로부터 거리 C를 두고 위치한 내부 하부면을 갖는다. 외부 버튼 스위치(4)가 사용자에 의해 하향 가압되면, 외부 버튼 스위치(4)의 하부면은 이어서 내부 압력 버튼 스위치(3)를 하향 가압한다.
이러한 형태의 외부 스위치 장착 구조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아암 섹션을 돌출부에 고정시키는 용접 장치를 필요로 한다. 또한, 경화 폴리아세탈 수지가 구조체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면, 소음이 진동 등에 의해 발생한다.
이제부터, 본 발명을 제2도 내지 제7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는 내부 신호 수신기에 사용하기 위한 외부 버튼 스위치 장착 구조체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내부 신호 수신기 하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제2도에 있어서, 내부 신호 수신기는 케이스(11), 커버(12) 및 배터리 커버(13)를 포함한다. 케이스(11) 및 커버(12)는 기판(14)을 내장하도록 서로 나사(15)로 체결된다. 기판(14)에는 배터리(16)의 양극 및 음극 단자와 접촉이 일어나는 양극단자(17) 및 음극 단자(18)가 제공된다. 안테나(19)는 기판(14)에 고정된다. 기판(14)에는 또한 내부 압력 버튼 스위치(20)가 구비된다.
외부 버튼 스위치(21)는 기판(14) 상에 장착되는 내부 버튼 스위치(20)와의 접촉을 허용하는 위치에 위치된다.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외부 버튼 스위치(21)가 설치된 구조체의 확대 사시도이다.
제3도에 있어서, 외부 버튼 스위치(21)에는 작동 섹션(22), 돌출 섹션(23), 아암 섹션(24), 리브(25) 미더욱판 리브(26)가 설치된다. 아암 섹션(24)은 외부 버튼 스위치(21)의 평면과 거의 동일 평면이고, 아암 섹션의 단부에는 판 리브들(27, 28) 사이의 공간(a1)보다 약간 더 큰 크기(a2)의 테이퍼진 리브(25)가 제공된다. 테이퍼진 리브(25)의 돌출 섹션(23)의 측면에는, 한쪽 면이 리브(27, 28)쌍과 접촉하고 폭이 a2보다 더 크며, 수지를 성형하여 일체로 구성되는 판 리브(26)가 위치된다.
외부 버튼 스위치(21)가 설치된 구조체의 작동 섹션(22)은 연질의 발광 수지재료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마련된다. 발광 수지 재료는, 예를 들어, 탄성 중합체, 바람직하게는 판덱스 티-1690[PANDEX T-1690(DAINIPPON INK CHEMICALS, INC.의 상품명)]이다. 케이스(11) 외부로 돌출한 작동 섹션(22)의 표면에는 표식 및 마크(notes and marks)들이 포함되고, 대향 표면에는 내부 압력 버튼 스위치(20)를 작동시키기 위한 돌출 섹션(23)이 구비된다.
외부 버튼 스위치(21)가 설치된 구조체의 아암 섹션(24), 돌출 섹션(23) 및 판리브(26)는 경화 폴리카보네이트, 바람직하게는 판라이트 엘-1225제트[PANLITEL-1225Z(TEIJIN CHEMICALS LTD.의 상품명)]으로 구성된다.
외부 버튼 스위치(21)가 설치된 구조체는 두 종류의 성형(two-tone molding)으로 알려진 다른 2종류의 수지로부터 일체 성형된다. 외부 버튼 스위치(21)가 설치된 이러한 구조체는 작동 섹션(22)의 발광으로 인해 쉽게 인지될 수 있으므로, 내부 신호 수신기가 어두운 곳(dark place)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도 스위치의 작동성은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외부 버튼 스위치(21)가 설치된 구조체의 작동 섹션(22)이 연질의 발광 수지로 구성되므로, 진동에 의한 착신을 알리기 위한 진동기(도시되지 않음)가 작동될 때조차도, 작동 섹션(22)의 돌출 섹션(23) 및 내부 압력 버튼 스위치(5) 사이의 접촉에 의해 야기되는 진동으로 인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케이스(11)가 판 리브(27, 28) 쌍, 리세스 섹션(29) 및 구멍(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소정의 적절한 간격이 구비된 테이퍼진 판 리브(27, 28) 쌍은 수지를 성형함으로써 케이스와 일체로 구성된다. 테이퍼진 리브(26)를 삽입하기 위한 리세스 섹션(29)은 판 립(27, 28)들 사이에 제공된다. 구멍(30)은 외부 버튼 스위치(21)가 설치된 구조체의 작동 섹션(22)을 삽입하기 위한 구멍이다.
케이스(11) 내부에 외부 버튼 스위치(21)가 설치된 구조체를 합체함으로써 케이스(11)의 구멍(30) 내에 작동 섹션(22)이 장착되고, 케이스(10) 외부면의 구조체와 거의 동일한 높이로 작동 섹션(22)의 하부면이 위치된다. 테이퍼진 리브(25)는 판리브(27, 28)쌍들 사이에 압입 끼워 맞춤된다. 여기서, 판 리브(27, 28)쌍들 사이의 공간이 테이퍼진 리브(25)의 폭보다 약간 더 크므로, 테이퍼진 리브(25)는 판 리브(27, 28)쌍의 탄성에 기인한 가압 하에서 리세스 섹션(29)내에 내장된다.
테이러진 리브(25)가 삽입된 판 리브(27, 28) 쌍의 탄성에 의하여 제공되는 안정력(strength of stability)에 의해 고정되므로, 외부 버튼 스위치(21)가 설치된 구조체가 이러한 방식으로 케이스(11)내에서 합체되면, 외부 버튼 스위치(21)가 빠져 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탄성에 의해 제공되는 안정력은 판 리브 쌍 사이의 간격, 테이퍼진 리브의 폭 등을 조절함으로써 양호하게 조절될 수 있다.
사용자가 작동 섹션(22)을 하향 가압하면 아암 섹션(24)의 단부 주위에 토크(torque)가 발생된다. 여기서, 판 리브(26)의 동일한 표면이 판 리브(27, 28) 쌍과 접촉하게 되므로, 작동 섹션(22)의 하향 가압으로 인한 외부 버튼 스위치(21)의 부유 또는 이탈은 방지될 수 있다.
제4도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테이퍼진 리브를 직사각형 단면의 리브로 대체하여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제4도에 도시된 실시예는 직사각 단면 리브(31, 32, 및 33)가 사용된 점에서 제3도에 도시된 것과는 다르다. 두 실시예가 다른 점에서는 동일하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전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5(a)도는 내부 신호 수신기 상부면의 단면도이고, 제5(b)도는 섹션 A-A를 따라 취한 횡단면도이다.
제5(a)도와 제5(b)도에 있어서, 액정 표시 섹션(35)은 내부 신호 수신기의 하우징(34) 표면에 제공된다. 마크(33)는 외부 버튼 스위치(21)의 작동 섹션(22) 상에 마련된다. 진동기(36)는 하우징(34) 내부에 고정된다.
리브(25)는 인쇄 기판(38)과 케이스(11) 사이에 기워져서 고정되고, 커버(12)의 돌출 섹션(37)에 대항하여 가압된다.
제6도와, 제7(a)도 및 제7(b)도는 추가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제6도는 외부 버튼 스위치의 주요 부분의 확대도이고, 제7(a)도는 하우징의 외관도이고, 제7(b)도는 섹션 B-B를 따라 취한 횡단면도이다.
내부 신호 수신기의 케이스(47)는 제1하우징(48)과 제2하우징(49)을 포함하고, 그 내부에 진동기(52), 인쇄 기판(53) 및 액정 표시 섹션(54)을 갖고 있다. 외부 버튼 스위치(40)는 내부 압력 버튼 스위치(51)와 접촉이 일어난다.
평행한 탄성 변형 가능한 리브(45) 쌍은, 외부 버튼 수위치(40)가 설치된 구조체의 작동 섹션(41)이 이동하도록 하향 가압되는 개방 섹션(46)을 갖는 측벽으로부터 소정 간격(b1) 이격되어 케이스(47) 내부에 제공된다. 외부 버튼 스위치(40)가 설치된 구조체는 원통형 작동 섹션(41)의 플랜지형 하부(42)를 갖는다. 아암 섹션(43)은 탄성 변형을 허용하기에 충분하며 하부 섹션(42)의 외주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하부 섹션(42)을 둘러싸기에 충분할 만큼 길며, 케이스(47)의 측벽과 리브(45) 사이의 간격(b1)보다 약간 더 큰 폭(b2)을 갖는다. 기부 섹션(44)은 아암 섹션(43)의 단부들 사이를 연결시키고, 대략 리브(45) 쌍 사이의 간격(b3)과 거의 동일한 폭(b4)을 갖는다.
외부 버튼 스위치(40)가 설치된 구조체를 케이스(47) 내에 합체시키면, 케이스(47)의 개방 섹션(46) 내에 작동 섹션(41)을 장착시키게 되고, 케이스(47) 외부면의 구조체와 거의 동일한 높이로 작동 섹션(41)의 하부면을 위치시키게 된다. 아암 섹션(43)의 폭(b2)의 간격(b1)보다 약간 더 크므로, 아암 섹션(43)이 케이스의 측벽과 간격(b1)을 두고 이격된 리브 쌍 사이로 강제 가압되면, 리브 쌍의 탄성은 아암 섹션(43) 상에 가해지는 힘을 발생시킨다. 기부 섹션(44)은 기부 섹션(44)의 하부면을 케이스의 내부 하부면과 접촉시킴으로써 간격(b3)을 두고 이격된 리브 쌍 사이에 고정된다.
아암 섹션(43)이 끼워진 판 리브 쌍의 탄성에 의하여 제공되는 안정력에 의해 고정되므로, 외부 버튼 스위치(40)가 설치된 구조체가 이러한 방식으로 케이스(47) 내에서 합체되면, 외부 버튼 스위치(40)가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탄성에 기인한 안정력은 리브 쌍 사이의 간격, 아암 섹션의 폭 등을 조절함으로써 적당하게 조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작동 섹션(41)을 하향 가압하는 것은 아암 섹션(43)의 단부 주위에 토크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기부 섹션(44)의 하부면이 케이스(47)와 접촉하게 되므로, 작동 섹션(41)을 하향 가압하는 것에 기인하여 외부 버튼 스위치(40)가 부유 또는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특히 내부 신호 수신기에 관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만 한정되지 않고 다른 소형 전자 설비에 적용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라면 많은 변형, 개조 및 실시예를 알 수 있을 것이므로, 따라서, 이러한 모든 변형 개조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주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Claims (6)

  1. 외부 버튼 스위치 장착 구조체에 있어서, 상호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리브를 갖는 요소와 개방 섹션을 포함하는 케이스와, 내부 압력 버튼 스위치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개방 섹션 내로 삽입될 수 있는 작동 섹션을 포함하는 외부 스위치 버튼과, 상기 작동 섹션의 이동을 허용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아암 섹션과, 폭이 상기 소정 간격보다 크고 상기 작동 섹션을 지지하도독 상기 리브 쌍과 맞물리며 상기 아암 섹션의 단부에 마련되는 지지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스위치 버튼은 상기 지지 섹션을 상기 리브 쌍 사이에 억지 끼움함으로써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버튼 스위치 장착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리세스 섹션이 상기 지지 섹션의 단부가 상기 리세스 섹션과 맞물리는 방식으로 리브 쌍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버튼 스위치 장착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작동 섹션이 연질의 발광 수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버튼 스위치 장착 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아암 섹션과 지지 섹션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버튼 스위치 장착 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외부 버튼 스위치 장착 구조체가 수신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버튼 스위치 장착 구조체.
  6. 제1항에 있어서, 지지 섹션은 외부 스위치 버튼이 케이스에 고정되었을 때 리브 쌍과 인접하는 판 리브를 포함하고, 판 리브가 지지 섹션의 상기 폭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버튼 스위치 장착 구조체.
KR1019960011938A 1995-04-19 1996-04-19 외부버튼 스위치 장착 구조체 KR1002036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093441A JP2723820B2 (ja) 1995-04-19 1995-04-19 携帯用受信機
JP95-93441 1995-04-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03614B1 true KR100203614B1 (ko) 1999-06-15

Family

ID=14082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1938A KR100203614B1 (ko) 1995-04-19 1996-04-19 외부버튼 스위치 장착 구조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5788060A (ko)
JP (1) JP2723820B2 (ko)
KR (1) KR100203614B1 (ko)
CN (1) CN1042467C (ko)
GB (1) GB2300074B (ko)
SG (1) SG483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5949B2 (ja) * 1997-03-31 2001-03-12 静岡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のスイッチ構造
US5813520A (en) * 1997-07-17 1998-09-29 Ericsson, Inc. Housing and actuator button assembly
US6002093A (en) * 1998-08-21 1999-12-14 Dell Usa, L.P. Button with flexible cantilever
US6054662A (en) * 1999-04-26 2000-04-25 Dell Usa L.P. Torsion enhanced return device for electronic system push button
TW449236U (en) * 1999-07-02 2001-08-01 Hon Hai Prec Ind Co Ltd Knob device
JP2001345030A (ja) * 2000-05-31 2001-12-14 Tokai Rika Co Ltd スイッチノブ及びスイッチノブの製造方法
US6555774B1 (en) * 2000-07-28 2003-04-29 Microsoft Corporation Lever keyswitch
US6504119B1 (en) * 2000-10-17 2003-01-07 Spx Corporation Infrared on/off button for computing apparatus
US6570112B2 (en) * 2000-12-28 2003-05-27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Push button assembly
DE10142503A1 (de) * 2001-08-30 2003-03-20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Elektrisches Küchengerät
WO2004103879A1 (en) * 2003-05-19 2004-12-0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ll button with tactile feedback
US6867384B1 (en) * 2003-09-19 2005-03-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witching apparatus
KR101065039B1 (ko) * 2004-03-02 2011-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푸시버튼 구조
KR101100155B1 (ko) * 2004-06-01 2011-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의 버튼 조립체
KR20060022001A (ko) * 2004-09-06 2006-03-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카오디오 버튼 설치구조
DE102004049435B4 (de) * 2004-10-08 2006-11-16 Zf Friedrichshafen Ag Taste mit Seilzug
CN2842688Y (zh) * 2005-10-24 2006-11-2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按键装置
TWM286988U (en) * 2005-10-27 2006-02-01 Inventec Appliances Corp Improved structure of reciprocated-type switch
JP4598721B2 (ja) * 2006-05-22 2010-12-15 シャープ株式会社 操作キー部品
JP4839969B2 (ja) * 2006-06-08 2011-12-21 ヤマハ株式会社 鍵盤装置
US7381919B1 (en) * 2007-02-22 2008-06-03 Inventec Corporation Lever button of electronic product
CN102193663A (zh) * 2010-03-15 2011-09-2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
US8724433B1 (en) * 2010-09-02 2014-05-13 Jim Buc Timed vibrating system for reminders and habit programming
JP6039331B2 (ja) * 2012-09-20 2016-12-07 三洋テクノソリューションズ鳥取株式会社 押しボタンユニットの取付構造及びそれを使用した電子機器
US9713274B2 (en) * 2013-09-18 2017-07-18 Sony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TWI697924B (zh) * 2018-12-04 2020-07-01 群光電子股份有限公司 按鍵裝置及鍵盤裝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474829A (fr) * 1968-03-29 1969-06-30 Microprec Electronics S A Commutateur électrique comprenant un organ d'actionnement constitué par un poussoir
GB1305896A (ko) * 1969-02-07 1973-02-07
US4029916A (en) * 1975-04-18 1977-06-14 Northern Electric Company Limited Multi-contact push-button switch and plural embodiment for keyboard switch assembly
FR2498005A1 (fr) * 1981-01-12 1982-07-16 Oreor Electronique Clavier de commande et procede de realisation de clavier de commande
US4387282A (en) * 1981-03-06 1983-06-07 Motorola Inc. Electrical switch assembly
US4468145A (en) * 1982-03-18 1984-08-28 Oak Industries, Inc. Keyboard space bar stabilizer
JPS5920530U (ja) * 1982-07-30 1984-02-08 オムロン株式会社 押ボタンスイツチ
JPS60172246A (ja) * 1984-02-16 1985-09-05 有限会社橋本農場 ストツクの栄養系品種
US4638151A (en) * 1984-05-25 1987-01-20 Canon Kabushiki Kaisha Keyboard of an electronic apparatus
US4582967A (en) * 1984-10-22 1986-04-15 Tec, Inc. Key switch assembly
US4772769A (en) * 1987-02-06 1988-09-20 Burr-Brown Corporation Apparatus for selective backlighting of keys of a keyboard
JPH02247922A (ja) * 1989-03-20 1990-10-03 Toshiba Corp スイッチボタンの取付構造
CN2132271Y (zh) * 1992-06-05 1993-05-05 安徽电力建设第二工程公司 一种防潮、自检终端开关
US5749457A (en) * 1996-12-23 1998-05-12 Motorola Inc. Electronic device with switch and pivotable actuat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723820B2 (ja) 1998-03-09
US5788060A (en) 1998-08-04
GB2300074A (en) 1996-10-23
US5990432A (en) 1999-11-23
JPH08293806A (ja) 1996-11-05
SG48377A1 (en) 1998-04-17
CN1042467C (zh) 1999-03-10
GB9607931D0 (en) 1996-06-19
CN1152180A (zh) 1997-06-18
GB2300074B (en) 1997-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3614B1 (ko) 외부버튼 스위치 장착 구조체
US6169256B1 (en) Panel switch and method of mounting the same
KR100384993B1 (ko) 이엘램프 내장 일체형 키패드
KR20070112895A (ko) 스위치 통합 케이싱 및 이 케이싱을 가진 전자기기
US8089772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with side button module
KR100400598B1 (ko) 전자기기에 있어서의 플렉시블 시트의 부착구조
US6195141B1 (en) Hand-held control device
KR200326795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입력부
KR200184577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사이드키 어셈블리 고정구조
JPH0526789Y2 (ko)
KR930012130B1 (ko) 키입력장치
JP2003157740A (ja) 回路部品用ガスケットコネクタ及びその接続構造
JP2008305694A (ja) 携帯電子機器のスイッチ作動用ゴムキーの保持構造
JP3216187B2 (ja) 多接点スイッチ装置
JP3717763B2 (ja) 携帯電話装置
JP2852203B2 (ja) ボタン構造
JP3583958B2 (ja) 表示モジュール及び表示装置
CN112038143B (zh) 按键帽支撑结构、按键和电子设备
JPH08161970A (ja) リモコン装置
JP2006066157A (ja) キー入力装置構造及びこの構造を有する携帯用通信機器
JPH06152492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JP3268617B2 (ja) 携帯無線通信機等におけるキーパッド保持構造
KR900004309Y1 (ko) 전자기기의 푸쉬 버튼
KR100382282B1 (ko) 무선단말기의 진동모터 설치 구조
JP3368405B2 (ja) 押釦スイッチ用キート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