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3006B1 - 에프엠 수신기 및 이것에 이용되는 신호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에프엠 수신기 및 이것에 이용되는 신호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3006B1
KR100203006B1 KR1019960009119A KR19960009119A KR100203006B1 KR 100203006 B1 KR100203006 B1 KR 100203006B1 KR 1019960009119 A KR1019960009119 A KR 1019960009119A KR 19960009119 A KR19960009119 A KR 19960009119A KR 100203006 B1 KR100203006 B1 KR 100203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isplay
program
unit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9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6353A (ko
Inventor
가즈히로 기무라
시게아끼 하야시베
유따가 히라꼬소
다까히꼬 마스모또
무네히로 스까
시즈까 이시무라
도시유끼 오자와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960036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6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3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30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1646Circuits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stereophonic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신 방송국 변경시에 표시를 계속한다.
어플리케이션 마이크로컴퓨터(40)프로그램 구성용 RAM(42)에 수신한 프로그램 데이타를 기억하지만, 하나의 프로그램을 구성할 수 있는 데이타가 프로그램 구성용RAM(42)에 기억될 때마다 이 데이타를 프로그램 보유용 RAM(46)으로 전송해 둔다. 그리고, 선국 마이크로컴퓨터(22)에 의해 수신 방송국을 변경했을 경우에는, 표시 전환 제어부(48)가 프로그램 구성용 RAM(42)에서 프로그램의 구성이 완료하기까지의 기간 프로그램 보유용 RAM(46)의 데이타를 표시기(44)로 공급하여 표시를 계속한다.

Description

FM 수신기 및 이것에 이용되는 신호 처리 장치.
제1도는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제2도는 RAM 전환을 위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제3도는 각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챠트.
제4도는 다중 데이타의 프레임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튜너 20 : 선국 키
22 : 선국 마이크로컴퓨터 30 : 대역 통과 필터
32 : FM 다중 디코더 40 : 어플리케이션 마이크로컴퓨터
42 : 프로그램 구성용 RAM 44 : 표시기
46 : 프로그램 보유용 RAM 48 : 표시 전환 제어부
본 발명은 FM 라디오 수신기 및 이것에 이용되는 신호 처리 장치의 구성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문자 정보 등의 데이타가 다중화된 FM 다중 방송의 수신 기능을 갖고 있는 것에 관한 것이다.
최근, FM 방송에 문자 정보를 다중화하여 방송하는 FM 다중 방송이 개시되었다. 이 FM 다중 방송에서는 문자 정보를 부호화하여 RM 스테레오 신호로 다중화하고, 현재는 뉴스 등의 프로그램이 방송되고 있다. 또, 자동차의 네비게이션 시스템 등에 유용한 도형 정보나 정체 정보 등의 프로그램 방송에 대해서도 검토가 진행되고 있다.
FM 스테레오 신호로 다중화하여 방송되는 FM 다중 데이타는, 예를 들면 DARC(Data Radio Channel)규격일 경우,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88×272 비트의 프레임 구성을 갖고 있고, 각 행(블럭)마다의 패리티 외에 종 방향의 패리티도 갖고 있다. 또, 블럭의 선두에는 블럭 식별 부호가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블럭 식별 부호에 의해 블럭의 선두를 인식할 수 있으면, 그 블럭의 데이타를 인식할 수 있다. 또, 1프레임의 데이타가 얻어지면, 종 방향의 오류 정정도 행하여 보다 정확한 데이타 내용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소정 수의 블럭(동일 데이타 그룹의 블럭)의 데이타를 얻음으로써 문자 데이타 등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FM 다중 방송을 수신하는 중에 방송국을 변경하면, 새롭게 선택한 방송국으로부터의 다중 데이타를 얻기까지 어느 정도의 시간을 필요로 한다. 즉, 수신 주파수를 변경하여, 새로운 방송국의 전파를 수신하기까지의 시간과, 새로운 방송국으로부터의 수신 데이타와의 블럭 동기가 취해지기까지의 시간, 수신 데이타를 표시 가능한 만큼 정리하는 시간이 적어도 필요하다. 이 때문에, 수신 방송국을 변경했을 때 표시가 행해지지 않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데이타 그룹 도중에 데이타가 얻어져도 표시를 행하지 않아, 데이타 그룹의 선두로부터의 데이타가 얻어지기까지 표시를 행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을 과제로 한 것으로,수신 방송국의 변경시에도 다중 데이타에 의한 표시를 중단하는 일 없이 행할 수 있는 FM 수신기 및 이것에 이용되는 신호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데이타가 다중화된 FM 다중 방송을 수신하는 FM 수신기에 있어서, 수신 신호로부터 다중 데이타를 복조하는 다중 데이타 복조부와, 복조된 소정 시간의 다중 데이타로부터 표시 데이타를 구성하고, 이것을 표시하는 통상 표시 수단, 상기 통상 표시 수단에 의해 구성된, 수신 방송국 변경 전에 미리 구성되어 있는 표시 데이타를 보유하여 수신 방송국의 변경시에 보유하고 있던 표시 데이타를 표시하는 수신 방송국 변경시 표시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데이타가 다중화된 FM 다중 방송을 수신하는 FM 수신기에 있어서, 수신 방송국의 변경을 요구하는 국 변경 신호에 따라 수신 주파수를 변경하고, 수신 방송국을 변경하는 선국부와, 수신 신호로부터 다중 데이타를 복조하는 데이타 복조부, 복조된 다중 데이타를 순차 축적함과 동시에, 축적된 다중 데이타로 구성된 화면 표시용 표시 데이타를 기억하는 프로그램 구성용 기억부, 프로그램 구성용 기억부로부터 전송된 표시 데이타를 기억하는 프로그램 보유용 기억부, 프로그램 구성용 기억부 및 프로그램 보유용 기억부 중 어디에 기억되어 있는 표시 데이타를 선택할 것인지를 전환하는 전환부, 전환부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표시를 행하는 표시부, 선국부에 의해 수신 방송국 전환 후의 소정 시간은 프로그램 보유용 기억부로부터의 데이타에 기초하여 표시를 행하도록 전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신 신호로부터 다중 데이타를 복조함과 동시에, 복조된 다중 데이타로부터 표시 데이타를 순차 구성하고, 구성된 표시 데이타에 기초한 표시를 행하는 FM 수신기에 이용되는 신호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성된 표시 데이타를 기억하는 프로그램 보유용 기억부와, 수신 방속국의 변경시에 순차 구성되는 표시 데이타 대신 프로그램 보유용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표시 데이타를 출력하는 보유용 데이타 출력 수단을 갖고 있고, 수신 방송국의 변경시에 표시를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FM 수신기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고, 다중 데이타 복조부가 수신 신호 중에 포함되어 있는 다중 데이타를 복조한다. 통상 표시 수단은 다중 데이타로부터 표시 데이타(프로그램)를 구성하고, 이것에 의해 표시를 행한다. 한편, 수신 방송국 변경시 표시 수단은 통상 표시 수단에 의해 얻어진 표시 데이타를 기억해 두고, 수신 방송국의 변경시에 보유하고 있는 표시 데이타에 의해 표시를 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프로그램 구성용 기억부에 있어서, 수신한 다중 데이타를 순차 기억하고, 통상시는 이 프로그램 구성용 기억부의 데이타에의해 표시를 행한다. 이 프로그램 구성용 기억부의 데이타를 프로그램 보유용 기억부로 전송해 둔다. 그리고, 수신 방송국의 전환시에는 프로그램 보유용 기억부의 데이타에 의해 표시를 행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신호 처리 장치에서는, 수신 방송국 변경시에 프로그램 보유용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표시 데이타를 출력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FM 수신기의 구성]
제1도는 실시예의 FM 라디오 수신기의 주요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안테나에 의해 수신한 방송 전파는 튜너(10)로 공급된다. 튜너(10)는 희망국의 주파수에 대해 10.7MHz 만큼 시프트한 주파수의 신호를 안테나로 수신한 전파에 혼합하고, 희망국의 신호를 중간 주파수(IF = 10.7 MHZ)로 변환하여 추출한다.
추출된 희망국의 신호는 IF 증폭 검파 회로(12)로 증폭, 검파되어 검파 신호가 이 IF 증폭 검파 회로(12)로부터 출력한다.
IF 증폭 검파 회로 (12)로부터 검파 신호는 다음에 MPX(14)로 공급되고, 통상의 스테레오 신호는 이 MPX(14)에서 스테레오 복조된다. 그리고, 앰프(16)를 통해 L 신호 및 R 신호로서 스피커(18)로 공급되어 스피커(18)로부터 출력된다.
또, 희망 방송국의 선택은 조작자가 선국 키(20)를 조작함으로써 행해지고, 이것에 따라 선국 마이크로컴퓨터(22)가 선택된 국에 대응하는 선국 데이타를 튜너(10)에 공급하여, 튜너(10)가 수신 방송국을 변경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IF 증폭 검파 회로(12)의 출력측에 FM 다중 데이타의 반송 주파수인 76kHz의 신호를 통과시키는 대역 통과 필터(BPF: 30)와, BPF(30)에 의해 추출된 FM 다중 데이타를 복호하는 FM 다중 디코더(3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BPF(30)는 76kHz 대역의 신호를 추출하고, LMSK 변조에 의해 검파 신호에 중첩되어 있는 FM 다중 데이타(LMSK 신호)를 추출한다. 추출된 LMSK 신호는 FM 다중 디코더(32)로 공급되고, 여기서 1, 0인 디지탈 데이타로 복조된다.
또, FM 다중 디코더(32)는 복조된 디지탈 데이타로부터 블럭 식별 부호(BIC) 등을 검출하고, 이것에 기초하여 프레임 동기 및 블럭 동기를 취하여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다중 데이타의 프레임의 구성을 재생한다.
얻어진 디지탈 다중 데이타는, 176 비트의 데이타 패킷 후에 이어 CRC 및 패리티, 특히 프레임 후반에 얻어지는 프레임의 종 방향의 오류 정정용 패리티를 이용하고, 대응하는 데이타 패킷에 대한 오류 정정이 행해진다. 또, 1 블럭 및 프레임 종 방향의 오류가 11 비트 정도이면 정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다중 데이타는 어플리케이션 마이크로컴퓨터(40)의 제어에 의해 프로그램 구성용 RAM(42)에 순차 기억되거나,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기(44)에 표시된다. 또, 한자 폰트 ROM(47)은 다중 데이타가 문자 정보일 경우에, 코드 데이타를 표시용 데이타로 변화할 때에 참조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그램 구성용 RAM(42)대신, 프로그램 보유용 RAM(46)을 갖고 있다. 그리고, 수신 방송국을 변경할 때에는 이 프로그램 보유용 RAM(46)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타에 기초하여 표시기(44)에서의 표시가 행해진다.
[표시를 위한 구성]
여기서, 프로그램 구성용 RAM(42)과 프로그램 보유용RAM(46)의 전환을 위한 구성에 대해서 제2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어플리케이션 마이크로컴퓨터(40)는 FM 다중 디코더(32)로부터 공급되는 다중 데이타를 한자 폰트ROM(47)의 데이타 등을 참조하여 표시용 데이타를 프로그램 구성용 RAM(42)에 순차 기억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한다. 즉, 1화면분의 표시 데이타를 얻는다. 예를 들면, 일기 예보의 표시이면, 이것을 표시기(44)에 표시하기 위한 데이타가 프로그램 구성용 RAM(42)에 축적된다. 이 프로그램 구성용 RAM(42)의 출력 라인에는 전환 제어 회로(50)가 접속되어 있음과 동시에, 기록 제어부(52)를 통해 프로그램 보유용 RAM(46)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마이크로컴퓨터(40)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기록 제어부(52)가 프로그램 구성용 RAM(42)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타를 프로그램 보유용 RAM(46)로 전송하여 여기에 기억시킨다. 여기서, 프로그램 보유용 RAM(46)의 출력 라인도 전환 제어 회로(50)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전환 제어 회로(50)에는 프로그램 구성용 RAM(44)과 프로그램 보유용 RAM(46)의 양쪽 데이타가 공급되다. 전환 제어 회로(50)의 출력측은 표시기(44)에 접속되어 있고, 전환 제어 회로(50)가 프로그램 구성용 RAM(42) 또는 프로그램 보유용 RAM(46)중 어느 하나의 기억 내용을 표시기(44)에 공급하여 표시를 행한다. 또, 표시 전환 제어부(48)는 전환 제어 회로(50)의 전환을 제어하는 것으로, 어플리케이션 마이크로컴퓨터(40)로부터의 신호 및 선국 마이크로컴퓨터(22)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전환 제어 회로(50)의 전환을 제어한다.
[수신국 변경시의 동작]
다음에, 수신국 변경시의 동작에 대해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선국 키(20)가 조작되면, 제3(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국 지령 신호가 상승하고, 이것에 따라 선택 마이크로컴퓨터(22)가 튜너(10)의 수신국을 변경한다. 이 예에서는, 제3(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튜너(10)의 수신 주파수를 A국에서 B국으로 변경한다. 이 변경에 의해, FM 다중 디코더(32)에서는, 블럭 식별 부호를 인식할 수 없게 되어, 제3(c)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데이타 동기 신호가 L(에러: NG)로 된다. 그리고, 튜너(10)로, 변경 후의 국으로부터의 방송파를 수신 가능하게 하면, FM 다중 디코더(32)에서 블럭 식별 부호를 검출할 수 있게 되어 데이타 동기 신호가 상승한다.
또, 튜너(10)에서, 동기 주파수를 변경하면, 이 시점에서 다중 데이타를 복조할 수 없게 되어, 제3(d)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마이크로컴퓨터(40)는 프로그램 완료 신호를 L로 한다. 이 때부터, 프로그램 구성용 RAM(42)의 기억 내용은 부정(不定)으로 된다. 그리고, FM 다중 디코더(32)에서 블럭 동기가 취해져 데이타가 얻어지기 시작하면, 이것이 프로그램 구성용 RAM(42)에 축적되고, 프로그램이 구성될 수 있는 다중 데이타(예를 들면, 1 데이타 그룹 데이타)가 얻어지는 단계에서 표시기(44)에서의 표시가 행해지는 데이타 프로그램 구성용 RAM(42)에서 얻어진다. 그래서, 어플리케이션 마이크로컴퓨터(40)는 프로그램 완료 신호를 상승시킨다. 또, 데이타 그룹은 데이타 블럭마다 포함되어 있는 데이타 그룹 번호를 인식하는 등에 의해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송국 A가 프로그램 a를 방송하고 있을 때, 수신국이 방송국B로 변경되었을 경우, 프로그램 구성용 RAM(42)의 기억 내용은 제3(e)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a 프로그램 ∼ 부정 ∼ b 프로그램과 같이 변화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그램 보유용 RAM(46)을 갖고 있고, 정기적으로 프로그램 구성용 RAM(42)내의 데이타를 프로그램 보유용 RAM(46)으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마이크로컴퓨터(40)가 1 프로그램분의 데이타를 프로그램 구성용 RAM(42)에 기록했을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 마이크로컴퓨터(40)가 기록 제어부(52)를 제어하여 프로그램 구성용 RAM(42)의 데이타를 프로그램 보유용 RAM(46)에 기입한다. 그래서, 이 프로그램 보유용 RAM(46)에는 제3(f)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항상 표시 가능한 데이타가 보유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 전환 제어부(48)는, 제3(g)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마이크로컴퓨터(40)에서의 프로그램 구성 완료 신호의 L인 기간만 전환 제어 회로(50)에 의해 프로그램 구성용 RAM(46)으로부터의 데이타를 표시기(44)에 공급하도록 전환한다. 따라서, 프로그램 구성용 RAM(42)의 내용이 부정인 기간은 프로그램 보유용 RAM(46)으로부터의 데이타에 의해 표시기(44)에 표시가 행해진다. 그래서, 제3(h)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로그램 구성용 RAM(42)의 내용이 부정인 기간 a 프로그램의 표시가 계속되고, 그후 b 프로그램이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수신 방송국의 변경에 의해 다중 데이타를 수신 할 수 없게 되어도 그 기간 직전에 수신한 다중 데이타에 기초로 표시를 계속할 수 있어 표시가 중단되지 않는다.
또 한, 프로그램 보유용 RAM(46)의 일부에는 「프로그램 구성 중」 등의 문자를 소거되지 않도록 기록할 수 있고, 프로그램 보유용 RAM(46)으로부터 판독된 데이타가 표시기(44)에 표시될 때에는, 이 문자가 자동적으로 표시되도록 해도 좋다.
또, 제2도에 있어서, 표시 RAM 전환 제어부(48)와, 기록 제어부(52)등을 독립한 블럭으로하여 기재했지만,어플리케이션 마이크로컴퓨터(40)가 이들 기능을 모두 실행 하고 있다.
또한, 표시 데이타는 화면 표시 자체(즉, 화면 이미지에 대한 데이타)을 의미하지만, 화면 제어용의 각종 데이타를 포함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신국을 변경하여, 다중 데이타의 수신이 중단 되었을 경우에도 표시를 계속할 수 있다.

Claims (3)

  1. 데이타가 다중화된 FM 다중 방송을 수신하는 FM 수신기에 있어서, 수신 신호로부터 다중 데이타를 복조하는 다중 데이타 복조부; 복조된 소정 시간의 다중 데이타로부터 표시 데이타를 구성하고, 이것을 표시하는 통상 표시 수단; 및 상기 통상 표시 수단에 구성된, 수신 방송국 변경 전에 미리 구성되어 있는 표시 데이타를 보유하여 수신 방송국의 변경시에 보유하고 있는 표시 데이타를 표시하는 수신 방송국 변경시 표시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M 수신기.
  2. 데이타가 다중화된 FM 다중 방송을 수신하는 FM 수신기에 있어서, 수신 방송국의 변경을 요구하는 국 변경 신호에 따라 수신 주파수를 변경하여, 수신 방송국을 변경하는 선국부; 수신 신호로부터 다중 데이타를 복조하는 데이타 복조부; 복조된 다중 데이타를 순차 축적함과 동시에, 축적된 다중 데이타로 구성된 화면 표시용 표시 데이타를 기억하는 프로그램 구성용 기억부; 프로그램 구성용 기억부로부터 전송된 표시 데이타를 기억하는 프로그램 보유용 기억부; 프로그램 구성용 기억부 및 프로그램 보유용 기억부 중 어디에 기억되어 있는 표시 데이타를 선택할 것인지를 전환하는 전환부; 전환부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표시를 행하는 표시부; 및 선국부에 의한 수신 방송국 전환 후의 소정 시간 동안 프로그램 보유용 기억부로부터의 데이타에 기초하여 표시를 행하도록 전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M 수신기.
  3. 수신 신호로부터 다중 데이타를 복조함과 동시에, 복조된 다중 데이타로부터 표시 데이타를 순차 구성하고, 구성된 표시 데이타에 기초한 표시를 행하는 FM 수신기에 이용되는 신호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성된 표시 데이타를 기억하는 프로그램 보유용 기억부; 및 수신 방송국의 변경시에 순차 구성되는 표시 데이타를 대신하여 프로그램 보유용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표시 데이타를 출력하는 보유용 데이타 출력 수단을 갖고, 수신 방송국의 변경시에 표시를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KR1019960009119A 1995-03-30 1996-03-29 에프엠 수신기 및 이것에 이용되는 신호 처리 장치 KR1002030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072960 1995-03-30
JP7072960A JPH08274669A (ja) 1995-03-30 1995-03-30 Fm受信機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信号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6353A KR960036353A (ko) 1996-10-28
KR100203006B1 true KR100203006B1 (ko) 1999-06-15

Family

ID=13504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9119A KR100203006B1 (ko) 1995-03-30 1996-03-29 에프엠 수신기 및 이것에 이용되는 신호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8274669A (ko)
KR (1) KR100203006B1 (ko)
CN (1) CN108829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7611B2 (ja) * 1996-02-07 2001-05-21 三洋電機株式会社 Fm多重放送システム
JP5480148B2 (ja) 2007-10-16 2014-04-23 中国石化揚子石油化工有限公司 マグネシウム化合物担持非メタロセン触媒およびその製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6239A (zh) 1996-11-20
JPH08274669A (ja) 1996-10-18
KR960036353A (ko) 1996-10-28
CN1088295C (zh) 200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312563A (ja) Rdsデータ受信表示方法及び装置
KR100203006B1 (ko) 에프엠 수신기 및 이것에 이용되는 신호 처리 장치
KR100213956B1 (ko) Fm 수신기 및 이것에 이용되는 신호 처리 장치
US20010018343A1 (en) Paging service using broadcasting
CA2181437C (en) Process for finding the receivability of radio signals in a radio system
KR19980074989A (ko) 알디에스방송수신용 카오디오의 이오엔정보저장처리방법
JP2007074085A (ja) ラジオ受信機
KR0173551B1 (ko) Fm 수신기 및 이것에 이용되는 신호 처리 장치
JP3231188B2 (ja) Fm多重放送受信機
JP3164462B2 (ja) Fm多重放送受信機
JP3568267B2 (ja) Fm多重放送受信装置
JPH06216720A (ja) Fm多重受信機の自動追従方法
JP3065445B2 (ja) Fm多重受信機
JP3231177B2 (ja) Fm多重放送受信機
JPH08162985A (ja) Fm多重受信機
EP0961433A2 (en) Receiver for receiving Digital Audio Broadcast programmes comprising a means for selecting a service from a plurality of preselected services
JP3243090B2 (ja) データ多重放送受信機
KR19980064014A (ko) 문자다중 방송 수신기
KR20000011598A (ko) 문자방송수신용수신기
JP3205473B2 (ja) Fm多重放送受信機
JP2883471B2 (ja) ラジオ受信機
JP3466794B2 (ja) Fm多重放送受信装置
JP3710600B2 (ja) 多重放送受信装置
JP3578427B2 (ja) 多重放送受信機
JP2001308732A (ja) ラジオ放送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