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2854B1 - 음극선관 튜브의 양코너 게이징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음극선관 튜브의 양코너 게이징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2854B1
KR100202854B1 KR1019950013999A KR19950013999A KR100202854B1 KR 100202854 B1 KR100202854 B1 KR 100202854B1 KR 1019950013999 A KR1019950013999 A KR 1019950013999A KR 19950013999 A KR19950013999 A KR 19950013999A KR 100202854 B1 KR100202854 B1 KR 100202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gauging
rollers
cylinde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3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2838A (ko
Inventor
김태식
Original Assignee
김영남
오리온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남, 오리온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남
Priority to KR1019950013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2854B1/ko
Publication of KR960042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2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2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28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46Machines having sequentially arranged operating stations
    • H01J9/48Machines having sequentially arranged operating stations with automatic transfer of workpieces between operat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다관종의 튜브에 적용시킬 수 있게 한 음극선관 튜브의 베이스 삽입을 위한 양코너 게이징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2쌍의 롤러에 의해 가로와 세로의 길이비가 상이한 2종의 튜브를 게이징하는 방법에 있어서; 튜브의 종류를 식별하는 단계, 식별된 튜브의 가로와 세로의 비에 맞추어 각 쌍의 롤러중 하나를 제1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합치시키는 단계, 그리고 제2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가로와 세로의 비가 결정된 한 쌍의 롤러를 전진시켜 튜브를 게이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극선관튜브의 양코너 게이징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가로와 세로의 길이비가 상이한 2종의 튜브를 게이징하기 위해 튜브를 지지하는 2쌍의 롤러, 각 쌍의 롤러를 지지하는 한쌍의 롤러지지대, 각 롤러지지대와 연결되어 한쌍의 롤러를 이동시키는 제1 실린더, 그 제 1실린더에 의해 함께 이동되고, 그 각 쌍의 롤러중 각각 하나의 롤러를 이동시키는 제2실린더를 포함한 음극선관튜브의 양코너 게이징 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일측 롤러의 조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각선비가 다른 관종일지라도 이에 맞는 게이징을 이룰 수 있어 다수의 관종 모두에 적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Description

음극선관 튜브의 양코너 게이징방법 및 그 장치
제1도는 종래의 게이징장치의 한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상이한 게이징을 설명하기 위한 튜브 코너부의 비교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게이징 장치의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정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작동도로서, 일반 튜브를 게이징하는 방법 및 작동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작동도로서, 와이드 비젼 튜브를 게이징 하는 방법 및 작동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간략화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 게이징 장치 21, 22 : 롤로 지지대
23 : 스톱퍼 볼트 설치대 24 : 스톱퍼 볼트
R1, R2: 롤러 T1, T2, T3, T4: 튜브
C1, C2: 실린더 S : 스톱퍼
F : 프레임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제조공정중 튜브를 게이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로와 세로의 비가 다른 2종의 튜브에 적용시킬 수 있게 한 음극선관 튜브의 양코너 게이징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브라운관의 제조공정중 예를 들면 튜브의 넥크 끝부분에 실(seal) 작업이 끝나면 마운트 핀(pin)을 보호하기 위해 베이스를 삽입하는 공정이 진행된다.
이때에는 로보트동작에 의해 베이스가 정확히 삽입되어질 수 있도록 튜브를 정위치에 정확히 게이지 시켜야 한다.
종래의 이러한 게이징 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다.
게이징장치(10)는 튜브의 코너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양 롤러(R1)(R2)와 양 롤러(R1)(R2)를 지지하는 프레임(11)을 포함한다.
이러한 양 롤러를 구비하는 프레임(11)은 실린더에 의해 튜브의 대각선 양방향으로 각각이 대향 전진하므로서 튜브의 게이징을 하게된다.
그러나, 튜브가 그 대각선비를 각각 달리하게 되는 경우에는 그러한 튜브를 게이징방법이 일치하지 못하게 된다.
제1도에는 다관종의 튜브가 시도된다.
예를들면 T1은 29인치이며, T2는 25인치로서 대각선비가 같은 통상의 씨티피(CTP) 튜브이며, T3과 T4는 각각 24인치와 28인치로서 대각선비가 상이한 와이드 비젼 튜브이다.
따라서 25인치 튜브(T2), 29인치 튜브(T1)와 같이 대각선비가 같은 씨피티 튜브일 경우에는 사이즈에 상관없이 동일한 게이징장치(10)에 의해 일정한 게이징을 수행할 수 있게된다.
그것은 게이징장치(10)가 튜브의 대각선 방향의 양방향으로 진행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각선비가 상이한 24인치 와이드비젼 튜브(T4), 28인치 튜브(T3)의 경우에는 동일한 게이징장치 (10)에 의한 게이징이 이루어지지 않게된다.
즉,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CTP튜브(T1)(T2)를 게이징하는 게이징장치(10)에 의해 와이드비젼튜브(T3)(T4)를 게이징하게 될 경우에는 게이징장치(10)의 양 롤러 중 롤러(R1)이 먼저 튜브의 단변측면에 와 닿기 때문에 다른 롤러(R2)은 거리(ℓ)만큼 이격된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게이징장치(10)를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계속 전진시키게 될 경우에는 먼저 접촉된 롤러(R1)을 중심으로 튜브가 회전하게 되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튜브가 회전하게 될 경우에는 베이스 삽입위치가 변화되는 까닭에 로보트 작동에 의한 베이스 삽입이 정확해질 수가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은 거리(ℓ)만큼 미치지 못하게 되는 일측의 롤러(R2)을 거리(ℓ)만큼 보상해 주는 방법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게이징장치의 일측 롤러의 길이를 조정가능하게 하므로서 다관종에 적용시킬 수 있게 한 양코너 게이징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2쌍의 롤러에 의해 가로와 세로의 길이비가 상이한 2종의 튜브를 게이징하는 방법에 있어서; 튜브의 종류를 식별하는 단계, 식별된 튜브의 가로와 세로의 비에 맞추어 각 쌍의 롤러중 하나를 제1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합치시키는 단계, 그리고 제2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가로와 세로의 비가 결정된 한 쌍의 롤러를 전진시켜 튜브를 게이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튜브의 양코너 게이징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로와 세로의 길이비가 상이한 2조의 튜브를 게이징하기 위해, 튜브를 지지하는 2쌍의 롤러, 각 쌍의 롤러를 지지하는 한 쌍의 롤러지지대, 각 롤러지지대와 연결되어 한 쌍의 롤러를 이동시키는 제1실린더, 그 제1실린더에 의해 함께 이동되고, 그 각 쌍의 롤러중 각각 하나의 롤러를 이동시키는 제2 실린더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튜브의 양코너 게이징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게이징장치가 튜브에 베이스를 삽입하기 위해 튜브를 게이징하며, 상기 2종의 튜브가 와이드비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의해 대각선비가 다른 관종일지라도 튜브의 게이징이 가능하게 되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한다.
제3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게이징장치(20)는 고정롤럴(R2)부와 이동롤러(R1)부로 구성된다.
고정롤러부는 롤러지지대(22)에 롤러 (R2)가 고정된다.
이동롤러부는 롤러(R1), 롤러지지대(21), 스톱퍼볼트설치대(23) 및 스톱퍼롭트(24) 및 실린더(C2)와 상기 스톱퍼롤트(24)와 대향되는 스톱퍼(S) 및 실린더(C1)를 포함한다.
롤러(R1)는 롤러지지대(21)에 연결되며, 롤러지지대(21)는 스톱퍼롭트설치대(23) 마쳐씨 스톱퍼볼트(24)가 구비되어 실린더(C1)에 연결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게이징장치(20)는 또 다른 메인 실린더에 의해 전후진 작동한다.
상기 게이징장치(20)의 작동을 설명한다.
제3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상태, 즉 실린더(C1)의 구동없이 롤러(R1) 및 스톱퍼(S)의 전진이 없는 고정된 상태에서는 대각선비가 같은 씨피티(CPT)튜브, 즉 25인치, 29인치의 일반 튜브를 게이징하게 된다.
그러나, 대각선비가 상이한 와이드비젼 튜브는 상기 게이징장치(20)의 상태를 변경시켜야만 한다. 제5도는 와이드비젼튜브인 28인치 튜브를 게이징하기 위한 장치의 작동도이다.
제5도에 따르면 먼저 실린더(C1)를 구동시켜 스톱퍼(S)를 X방향으로 소정의 스트로크를 전진시킨다.
이후 실린더(C2)를 구동 시켜 롤러 지지대(21)를 Y방향으로 전진시킨다.
롤러지지대(21)의 전진으로 이에 연결된 롤러(R1) 및 스톱퍼볼트(24)가 동시에 전진된다.
상기 롤러(R1)은 스톱퍼볼트(24)의 스톱퍼볼트(24)의 스톱퍼(S)에 의한 스톱에 의하여 멈춰지므로서 셋팅된다.
이러한 상태의 게이징장치(20) 자체는 도시되지 않는 메인 실린더에 의해 이동하여 튜브의 대각선부를 밀착지지 시키게 된다.
따라서 롤러(R1)(R2)는 튜브의 대각선의 양 측면에 동시에 밀착되므로서 튜브는 요동됨이 없이 안정된 고정으로 게이징이 완료되는 것이다.
제6도는 또 다른 와이드비젼튜브인 24인치 튜브를 게이징하는 장치의 작동도이다.
이때에는 스톱퍼(S)를 전진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실린더(C2)의 구동에 의해 롤러지지대(21)만을 풀 전진시킨다.
따라서 롤러(R1)은 최대의 스트로크로 전진되고 그 전진은 스톱퍼(S)에 스톱퍼볼트(24)가 접촉차단 될 때까지 진행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보다 큰 길이(ℓ)의 보상을 요하는 24인치 와이드비젼 튜브를 게이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게이징장치는 일측 롤러의 조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각선비가 다른 관종일지라도 이에 맞는 게이징을 이룰 수 있어 4관종 모두에게 적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위에서 스톱퍼를 이용한 게이징방법과 장치가 설명되었으나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와 같은 스톱퍼를 이용함이 없이 하나의 실린더(C1)만을 상술한 롤러(R1)에 부착하여 대각선비를 바꾸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으로부터 당업자라면 여러 가지 응용과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2쌍의 롤러에 의해 가로와 세로의 길이비가 상이한 2종의 튜브를 게이징하는 방법에 있어서; 튜브의 종류를 식별하는 단계, 식별된 튜브의 가로와 세로의 비에 맞추어 각 쌍의 롤러중 하나를 제1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합치시키는 단계, 그리고 제2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가로와 세로의 비가 결정된 한 쌍의 롤러를 전진시켜 튜브를 게이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튜브의 게이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2종의 튜브가 와이드 비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튜브의 게이징 방법.
  3. 가로와 세로의 길이비가 상이한 2종의 튜브를 게이징하는 장치에 있어서; 튜브를 지지하는 2쌍의 롤러, 각 쌍의 롤러를 지지하는 한 쌍의 롤러지지대, 각 롤러지지대와 연결되어 한 쌍의 롤러를 이동시키는 제1실린더, 그 제1 실린더에 의해 함께 이동되고, 그 각 쌍의 롤러중 각각 하나의 롤러를 이동시키는 제2실린더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튜브의 게이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징장치가 튜브에 베이스를 삽입하기 위해 튜브가 게이징되며, 상기 2종의 튜브가 와이드비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튜브의 게이징장치.
KR1019950013999A 1995-05-31 1995-05-31 음극선관 튜브의 양코너 게이징방법 및 그 장치 KR100202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3999A KR100202854B1 (ko) 1995-05-31 1995-05-31 음극선관 튜브의 양코너 게이징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3999A KR100202854B1 (ko) 1995-05-31 1995-05-31 음극선관 튜브의 양코너 게이징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2838A KR960042838A (ko) 1996-12-21
KR100202854B1 true KR100202854B1 (ko) 1999-07-01

Family

ID=19415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3999A KR100202854B1 (ko) 1995-05-31 1995-05-31 음극선관 튜브의 양코너 게이징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285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2838A (ko) 199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2854B1 (ko) 음극선관 튜브의 양코너 게이징방법 및 그 장치
US6106353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lor cathode ray tube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for
US6645346B2 (en) Workpiece holding device for a bonding apparatus
JP3736800B2 (ja) ワーク搬送位置決め装置
KR0136280Y1 (ko) 브라운관의 편향요크 고정기구
CN214481511U (zh) Pcb板定位台
KR0124133Y1 (ko) 다관종 브라운관 고정장치
KR100202853B1 (ko) 음극선관 튜브의 양측면 게이징방법 및 그장치
KR0122495Y1 (ko) 브라운관의 전자총 링용 와이어 이송장치
KR0119649Y1 (ko) 음극선관의 마스크-프레임 홀더용 코인
KR200152071Y1 (ko) 탄탈 프레임 가이드
KR0137991Y1 (ko) 다관종 마운트의 실링장치
KR0121110Y1 (ko) 음극선관 애노드단자 삽입장치
KR200275185Y1 (ko) 필라멘트 얼라인용 필라멘트 클렘프
KR920004639B1 (ko) 편향요크 위치 조정방법
JPH0356489Y2 (ko)
JP2977403B2 (ja) ガラス板用曲げ型の支持具の位置決め装置
JP2549341Y2 (ja) 側縁部切欠切断装置
KR920000569Y1 (ko) 반도체 부품 테이핑기의 부품 리드 굽힘 불량 교정장치
KR19980050719U (ko) 판넬의 위치결정장치
KR100189415B1 (ko) 음극선관의 패널과 프레임 중심점 조정방법
JPS60133941A (ja) 半導体装置のリ−ド曲げ加工装置
KR0121112Y1 (ko) 캐소드 스트랩 성형장치
GB231731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cathode-ray tube displays
KR200205140Y1 (ko) 리드프레임 매거진용 스페이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