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2853B1 - 음극선관 튜브의 양측면 게이징방법 및 그장치 - Google Patents

음극선관 튜브의 양측면 게이징방법 및 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2853B1
KR100202853B1 KR1019950014000A KR19950014000A KR100202853B1 KR 100202853 B1 KR100202853 B1 KR 100202853B1 KR 1019950014000 A KR1019950014000 A KR 1019950014000A KR 19950014000 A KR19950014000 A KR 19950014000A KR 100202853 B1 KR100202853 B1 KR 100202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gauging
gauging device
cylinder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4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2819A (ko
Inventor
김태식
Original Assignee
김영남
오리온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남, 오리온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남
Priority to KR1019950014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2853B1/ko
Publication of KR960042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2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2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28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4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specially adapted for cathode ray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펀넬의면에 다그액을 도포하기 위한 튜브의 양측면 게이징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라인에 들어선 튜브를 리프터가 들어올리는 단계; 그 튜브의 관종을 식별하는 단계; 스트로크설정장치의 실린더가 구동되어 관종에 맞는 스톱퍼를 정위치에 수직 이동시키는 단계; 게이징장치의 실린더가 구동되어 게이징장치를 수평 이동시키는 단계; 게이징장치의 쇽압소바가 스트로크설정장치의 의 스톱퍼에 접촉되므로서 게이징장치가 세팅되는 단계 및 반대편의 고정장치가 이동되어 세팅된 게이징장치와의 사이에 놓인 튜브를 밀착시켜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이한 관종이 투입되더라고 별도의 라인이 필요없이 하나의 라인에서 도포작업이 고르게 수행할 수 있는 등으로 작업의 효율성과 원가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음극선관튜브의 양측면 게이징방법 및 그 장치
제1도는 종래의 아웃다그(OUT DAG) 게이징(gauging)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제2도는 관종에 따른 게이징위치의 상이함을 설명하기 위한 튜브들의 비교 정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아웃다그 게이징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상태에 의해 게이징되는 장치의 작동도.
제5도는 24와이드비젼관을 예로 한 게이징방법 및 그 장치의 작동도로서, (a)는 스트로크 설정장치의 수직이동을 도시하며, (b)는 게이징장치의 수평이동을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 : 게이징장치 11 : 고정장치
12 : 패드(pad) 13,16 : 가이드 레일
14 : 레일 지지대 15 : 가압헤드
21 : 스트로그 설정장치 22 : 쇽 압소바(shock Absorber)
23 : 스톱피 설치대 24 : 실린더 지지프레임
ℓ1-ℓ4 : 센터와의 거리 T,T1-T4 : 실린더
Sb1-Sb4: 스톱피
본 발명은 펀넬외면에 다그액을 도포하기 위한 튜브의 양측면 게이징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관종이 투입되더라도 튜브가 항상 일정한 도포기준점으로 게이징되어 하나의 라인에서도 다관종의 작업이 가능하며, 일정한 도포규격으로 도포할 수 있는 음극선관 튜브의 아웃다그(out dag)를 위한 양측면 게이징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브라운관의 제조공정중 아웃다그 코팅공정에서는 펀넬(funnel)외면에 다그를 도포한다.
튜브의 펀넬외면에 다그를 도포시키는 까닭은 펀넬내면에 도포되는 인너다그(inner dag)와 함께 콘덴서를 형성하여 고전압에 함유된 리플(ripple)을 제거하므로서 튜브내의 전자빔을 안정화시키기 위해서다.
이러한 목적의 아웃다그도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라인에 투입된 튜브를 안정되게 고정하며, 일정한 도포기준점에 위치하도록 장치에 의해 양측면이 게이징되어져야 한다.
제1도에는 그 양측면 게이징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게이징장치(10)는 튜브(T)의 일측을 지지하는 패드(12), 상기 패드(12)를 이동시키는 실린더(1), 상기 패드(12)를 안내하는 양 가이드 레일(13)를 포함하며, 튜브(T)의 다른 일측에는 튜브(T)를 패드(12)에 가압접촉시키는 고정장치(11)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장치(11)는 실린더(4)와 가압헤드(15) 및 가이드레일(16)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징장치에의한 게이징방법 및 게이징장치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튜브(T)가 라인에 투입되어 도포지점에 다달으게 되면, 리프터가 구동하여 상기 튜브(T)를 업(up)시킨다.(도시생략됨)
이러한 상태에서 실린더(C1)가 구동하여 패드(12)를 튜브(T)일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패드(12)는 가이드레일(13)을 따라 이동되어 튜브(T)일측에 셋팅되어 도포기준점을 정한다.
이후 고정장치(11)의 실린더(4)가 구동하여 가압헤드(15)를 튜브(T)의 다른 일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동된 가압헤드(15)는 튜브(T)를 가압하여 게이징장치(10)의 패드(12)에 밀착접촉시키게 된다.
그러므로서 튜브(T)는 패드(12)와 가압헤드(15)사이에서 고정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튜브가 게이징되면 도시되지 않은 로보트설비가 작동하여 지정된 튜브(T)의 펀넬외면에 다그액을 도포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게이징장치에 크기가 다른 다른관종이 투입될 경우에는 일정한 도포기준점에 게이징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뒤따르게 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튜브(T)의 종류는 다양하다.
예를들면, 24와이드비젼(T1)는 센터와의 거리 ℓ1을 이루며, 25튜브(T2)는 ℓ2.28와이드비젼튜브(T3)는 ℓ3.29튜브(T4)는 ℓ4의 센터와의 거리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즉, 크기가 상이한 다른 관종이 라인의 일정한 도포기준점에서 리프팅되더라고 게이징장치(10)는 일정한 스트로크로 이동되어 셋팅되어지기 때문에 상기 리프팅된 튜브가 게이징장치(10)의 패드(12)에 접촉되지 않게 되거나 접촉점을 뛰어넘게 되는 상태에서 놓여지기 때문이다.
이때에는 게이징장치(10)의 스트로크를 재세팅하거나, 튜브가 패드(12)에 접촉되도록 고정장치(11)에 의해 튜브를 패드(12)에 접촉되도록 이동시켜야만 한다.
그러나, 게이징장치(10)의 스트로크는 항상 일정한 까닭에 조정이 불가능하게 되며, 고정장치(11)에의한 튜브의 이동은 튜브가 도포기준점을 이탈하게 되어진다.
튜브가 도포기준점으로부터 벗어난 상태로 게이징되면, 펀넬외면에 스프레이되는 다그의 도포는 펀넬의 각 부위별로 고르지 못한 도포가 일어나게 된다.
그것은, 다그코팅장치인 로브트설비 역시 튜브기준점에 위치 및 셋팅되어져 작동하기 때문이다.
불균일한 도포가 행해지게 되면 튜브를 아웃다그코팅하게 되는 본래의 목적을 제대로 달성할 수 없게 되며, 심하게 되면 불량처리되어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지 못해 종래에는 관종에 따른 아웃다그코팅라인을 별도로 설치 사용하여야 하였다.
즉, 관동이 3종이면 3개의 라인을, 4종이면 4개의 라인을 각각 설치하여 1개의 라인에서는 1종의 도포작업만을 수행하게 하였다.
따라서, 설치의 부담 및 작업의 비효율성을 가져오게되며, 작업인원 또한 더 요구되는 등의 제반문제점을 안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게이징장치가 안고 있는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다관종이 투입되더라도 관종에 따른 별도의 라인이 요구됨이 없이 하나의 라인에서의 작업이 가능하며, 일정한 도포를 이루게 하는 등의 작업의 효율성을 가져오게 하는 음극선관튜브의 아웃다그를 위한 게이징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게이징방법은, 라인에 들어선 튜브를 리프터가 들어올리는 단계; 그 튜브의 관종을 식별하는 단계; 스트로크설정장치의 실린더가 구동되어 관종에 맞는 스톱퍼를 정위치에 수직 이동시키는 단계; 게이징장치의 실린더가 구동되어 게이징장치를 수평 이동시키는 단계; 게이징장치의 쇽압소바가 스트로크설정장치의 의 스톱퍼에 접촉되므로서 게이징장치가 세팅되는 단계 및 반대편의 고정장치가 이동되어 세팅된 게이징장치와의 사이에 놓인 튜브를 밀착시켜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튜브의 양 측면게이징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는, 선단에 튜브측부를 지지하기 위한 패드 및 가이드레일; 상기 패드를 이동시키기 위한 실린더 및 상기 가이드레일 후단에 쇽압소바를 구비한 게이징장치와; 상기 게이징장치의 하부에 게이징장치와의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길이가 각기 다르며 상기 게이징장치의 쇽압소바와 대향되는 다수의 스톱퍼, 상기 스톱퍼들을 지지하는 스톱퍼설치대, 상기 스톱퍼설치대를 수직방향의 전후로 이동시키는 실린도를 포함한 스트로크 설정장치로 구성되어 스톱퍼수에 따른 다관종을 게이징할 수 있으며, 게이징되는 튜브의 기준점을 일정하게 하여 로보트설비에 의한 튜브의 아웃다그도포가 일정하게 수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튜브의 양측면 게이징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물품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제3도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게이징장치는 튜의 일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게이징장치(20)와, 상기 게이징장치(20)의 스트로크를 관총에 따라 설정시키는 스트로크설정장치(21)로 구성된다.
게이징장치(20)는 패드(12), 가이드레일(13), 레일지지대(14), 쇽압소바(22) 및 실린더(C1)를 포함한다.
상기 패드(12)는 실린더(C1)에 연결되며, 쇽 압소바(22)는 가이드레일(13)의 후단에 설치된 레일지지대(14)의 안쪽방향으로 구비된다.
스트로크설정장치(21)는 상기 게이징장치(20)의 하부에 설치하되, 게이징장치(20)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스톱퍼설치대(23), 스톱퍼(Sb1)(Sb2)(Sb3)(Sb4), 실린더(C2)(C3) 및 실린더지지프레임(24)을 포함한다.
상기 스톱포(Sb1-Sb4)는 스톱퍼설치대(23)에 돌출되게 설치되며, 각각의 길이가 상이하도록 차례로 설치된다.
또한 스톱퍼의 방향을 게이징장치(20)에 구비된 쇽압소바(22)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이동시 각각의 스톱퍼는 쇽압소바(22)와 일직선상에 놓여지게 한다.
실린더(C2)(C3)는 서로 대향하여 각각이 독립적인 작동을 일으키며, 또한 상이한 스트로크를 갖는 일체형 실린더이다.
상기 양방향 방식의 일체형 실린더(C2)(C3)는 그 일단이 스톱퍼설치대(23)에 연결되며, 타단은 실린더지지프레임(24)에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의 게이징장치에 의한 튜브의 게이징방법 및 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이렇게 제3도에 도시된 장치의 구성상태는 본 발명에서 예시한 튜브중 가장 큰 29의 튜브(T4)를 모델로 한 것이다.
따라서, 29의 튜브(T4)를 게이징하는 방법 및 장치의 작동을 먼저 설명한다.
이때에는 스트로크설정장치(21)의 양실린더(C2)(C3)가 모두 전진상태에 있게 되므로서, 스톱퍼설치대(23)는 최대의 스트로크 전진된 상태이며, 이에 설치된 스톱퍼(Sb1-Sb4)중 가장 길게 돌출된 스톱퍼(Sb4)가 쇽압소바(22)와 일직선상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게이징장치(20)만을 수평이동시키면 된다.
즉, 실린더(C1)가 구동되어 패드(12)를 튜브(T4)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튜브(T4)는 이미 라인상에 튜입되어 도포기준위치에서 리프팅된 상태의 튜브이다.
패드(12)는 가이드 레일(13)에 안내되어 전진이동되는데 쇽압소바(22)가 스톱퍼(Sb4)에 접촉차단될 때까지 이동된 후 스톱된다.
즉, 가장 짧은 스트로크(S4)를 이동한 것이다.
상기 스트로크(S4)는 패드(12)의 접촉면과 튜브(T4)일측면과의 거리가 됨을 물론이다.(제4도에 도시)
다음으로 튜브(T4)의 다른 일측으로는 고정장치(11)가 작동하여 튜브(T4)를 밀어 패드(12)에 밀착고정시키게 된다.(제1도에 도시)
따라서 튜브(T4)는 도포기준지점에서 벗어남이 없이 고정되어 안정된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후, 도포기준점상에 셋팅된 로보트설비가 작동하여 도포기준점상에 고정된 튜브, 즉 펀넬의 외면에 다그액을 스프레이 하여 도포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게이징장치가 설치된 라인에 관종이 다른, 예를들면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서 예시한 튜브중 제일 작은 튜브인 24와이드비젼의 튜브(T1)가 튜입될 경우의 장치의 작동 및 게이징방법을 설명한다.
제5도(a)에 따르면, 라인상에 투입된 튜브(T1)가 리프팅된 상태에서 먼저 스트로크설정장치(21)가 작동하게 된다.
즉, 튜브(T1)에 맞는 스트로크를 지닌 스톱퍼(Sb1)를 쇽압소바(22)의 일직선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양방향실린더(C2)(C3)가 모두 후퇴구동하게 된다.
따라서, 이에 연결된 스톱퍼설치대(23)는 최대의 스트로크로 후퇴하게 되며, 스톱퍼(Sb1)는 쇽압소바(22)와 일직선상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번에는 제5도(b)에서와 같이, 게이징장치(20)가 작동한다.
실린더(C1)가 작동하여 패드(12)를 전진이동시키게 되며, 패드(12)의 이동에 따라, 쇽압소바(22)역시 전진이동하다가 일직선상에 셋팅된 스톱퍼(Sb1)에 의해 차단된다.
이때에는 이미 패드(12)가 튜브(T1)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이동을 이룬상태이다.
따라서, 스톱퍼(Sb1)와 쇽압소바(22)사이의 스트로크(S1)는 패드(12)의 접촉면과 튜브(T1)사이의 거리가 되는 것이다.
결국, 이러한 관종이 다른 튜브(T1)가 투입되었더라도 튜브(T1)는 스톱퍼(Sb1)에 의해 도포기준지점을 벗어남이 없이 게이징되어져 아웃다그의 도포작업이 고르게 수행될 수 있게 된 것이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스톱퍼(Sb2)를 쇽압소바(22)와 일직선상으로 이동하여 셋팅하게 할 경우에는 상술한 작동 및 방법과 동일하게 25의 튜브인 튜브(T2)를 도포기준점의 이탈없이 게이징시킬 수 있게 되며, 스톱퍼(Sb3)를 쇽압소바(22)와 일직선상으로 이동하여 셋팅하게 할 경우에는 28의 와이드비젼튜브인 튜브(T3)를 도포기준점의 벗어남이 없이 게이징 및 일정한 도포를 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게이징장치는 상이한 관종이 투입되더라고 별도의 라인이 필요없이 하나의 라인에서 도포작업이 고르게 수행할 수 있는 등으로 작업의 효율성과 원가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예를 들면 관종이 늘어남에 따라 스톱퍼의 수를 그만큼 더 구비하게 한다든가, 또는 스톱퍼를 볼트방식으로 하여 스톱퍼의 나사 조절에의한 스트로크조정을 이루게 한다든지 드의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음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4)

  1. 라인에 들어선 튜브를 리프터가 들어올리는 단계; 그 튜브의 관종을 식별하는 단계; 스트로크설정장치의 실린더가 구동되어 관종에 맞는 스톱퍼를 정위치에 수직 이동시키는 단계; 게이징장치의 실린더가 구동되어 게이징장치를 수평 이동시키는 단계; 게이징장치의 쇽압소바가 스트로크설정장치의 의 스톱퍼에 접촉되므로서 게이징장치가 세팅되는 단계 및 반대편의 고정장치가 이동되어 세팅된 게이징장치와의 사이에 놓인 튜브를 밀착시켜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튜브의 양측면게이징방법.
  2. 선단에 튜브측부를 지지하기 위한 패드 및 가이드레일; 상기 패드를 이동시키기 위한 실린더 및 상기 가이드레일 후단에 쇽압소바를 구비한 게이징장치와; 상기 게이징장치의 하부에 게이징장치와의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길이가 각기 다르며 상기 게이징장치의 쇽압소바와 대향되는 다수의 스톱퍼, 상기 스톱퍼들을 지지하는 스톱퍼설치대, 상기 스톱퍼설치대를 수직방향의 전후로 이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한 스트로크 설정장치로 구성되어 스톱퍼수에 따른 다관종을 게이징할 수 있으며, 게이징되는 튜브의 기준점을 일정하게 하여 로보트설비에 의한 튜브의 아웃다그도포가 일정하게 수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튜브의 양측면 게이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크설정장치의 실린더는 스트로크가 상이한 양방향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튜브의 양측면 게이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실린더는 양실린더가 동시에 후퇴구동하여 24의, 작은 스트로크의 실린더가 후퇴구동하여 25의, 큰 스트로크의 실린더의 후퇴구동으로 28의, 양 실린더의 동시적인 전전구동으로 29의 튜브를 게이징 되도록 스톱퍼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튜브의 양측면 게이징장치.
KR1019950014000A 1995-05-31 1995-05-31 음극선관 튜브의 양측면 게이징방법 및 그장치 KR100202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4000A KR100202853B1 (ko) 1995-05-31 1995-05-31 음극선관 튜브의 양측면 게이징방법 및 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4000A KR100202853B1 (ko) 1995-05-31 1995-05-31 음극선관 튜브의 양측면 게이징방법 및 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2819A KR960042819A (ko) 1996-12-21
KR100202853B1 true KR100202853B1 (ko) 1999-06-15

Family

ID=19415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4000A KR100202853B1 (ko) 1995-05-31 1995-05-31 음극선관 튜브의 양측면 게이징방법 및 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285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2819A (ko) 199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418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f-conforming support system
CN1680067B (zh) 用于板状工件的激光加工设备
US6223967B1 (en) Extended travel wire bonding machine
CN110560912B (zh) 一种激光雕刻机
DE4403552C2 (de) Elektronencyclotron-Resonanzvorrichtung
KR100202853B1 (ko) 음극선관 튜브의 양측면 게이징방법 및 그장치
JP6469164B2 (ja) フレキシブル基板ベンディング装置
JP2006167639A (ja) 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
US3776082A (en) Apparatus for cutting a tube into segments
US6089937A (en) Cathode-ray tube dividing apparatus and cathode-ray tube dividing method
CN105645088A (zh) 一种后视镜自动送料机
KR200184907Y1 (ko) 쇽업소버 외경 파이프 자동 펀칭장치
KR100202854B1 (ko) 음극선관 튜브의 양코너 게이징방법 및 그 장치
CN215967294U (zh) 一种自动化拼框设备的可调式工装
JPH0694092B2 (ja) フープフレームの搬送および位置決め機構
KR100368626B1 (ko) 와이어본딩방법 및 장치
CN215942036U (zh) 一种自动化拼框设备的固定工装
KR100188332B1 (ko) 플릿 그래스 도포방법
CN210704173U (zh) 一种钢刷机的丝杆驱动装置
CN215145607U (zh) 点焊设备
CN216883529U (zh) 一种型材夹紧装置
KR102374186B1 (ko) 로봇을 이용한 박스 손잡이 장착 장치
CN217194949U (zh) 一种工业自动化设备用高抗性硅胶缓冲治具
KR0121110Y1 (ko) 음극선관 애노드단자 삽입장치
KR0121112Y1 (ko) 캐소드 스트랩 성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