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2071Y1 - 탄탈 프레임 가이드 - Google Patents

탄탈 프레임 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2071Y1
KR200152071Y1 KR2019960054726U KR19960054726U KR200152071Y1 KR 200152071 Y1 KR200152071 Y1 KR 200152071Y1 KR 2019960054726 U KR2019960054726 U KR 2019960054726U KR 19960054726 U KR19960054726 U KR 19960054726U KR 200152071 Y1 KR200152071 Y1 KR 2001520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urface
surface portion
tantalum
tantalum fram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47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1633U (ko
Inventor
김근배
Original Assignee
왕중일
대우전자부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중일, 대우전자부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왕중일
Priority to KR20199600547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2071Y1/ko
Publication of KR199800416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16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20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20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3/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apacitors;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apaci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G4/00 - H01G11/00
    • H01G13/006Apparatus or processes for apply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08Terminals
    • H01G9/012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solid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탄탈 프레임의 이송시 이송되는 탄탈 프레임의 규격에 따라 안내로의 크기와 기준위치를 조정해줄 수 있도록 해주므로써 탄탈 프레임 제조에 따른 검사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도록 해주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주며, 탄탈 프레임의 하측변을 지지하는 평면부와 평면부에 대략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1벽면부를 갖고 소정 위치에 고정된 고정부재, 제1벽면부와 소정 간격 이격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벽면부를 구비하여 제1벽면부와 함께 하부 안내로를 형성하고 고정부재와 간격조정 가능한 제1이동부재, 제1벽면부 위쪽으로 제1벽면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3벽면부를 갖고 고정부재와 간격조정 가능한 제2이동부재, 제3벽면부와 소정 간격 이격하여 마주보고 배치되는 제4벽면부를 구비하여 제3벽면부와 함께 상부 안내로를 형성하고 제2이동부재와 간격조정 가능한 제3이동부재 및 제1~제3이동부재를 전,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탄탈 프레임 가이드에 관한 고안.

Description

탄탈 프레임 가이드
본 고안은 탄탈 프레임 가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탄탈 콘덴서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탄탈 프레임을 소정 위치까지 자동으로 이송시 탄탈 프레임의 크기에 따라 안내로와 기준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한 탄탈 프레임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탄탈 콘덴서의 제작에는 탄탈 프레임이 사용된다. 탄탈 프레임은 긴 띠 모양을 하고 있는데 이 탄탈 프레임에 순서대로 칩을 부착한 다음 불필요한 부분을 절단하므로써 리드를 갖는 탄탈 콘덴서가 만들어진다. 이러한 탄탈 콘덴서의 제조과정 중에는 탄탈 콘덴서가 제기능을 발휘하는지를 검사하는 검사공정이 필요하다. 검사공정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자동화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규격의 탄탈 프레임을 소정의 위치까지 이송시켜 주어야 하는 공정이 필요하다.
제1도는 일반적인 탄탈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탈 프레임(10)은 긴 띠 모양을 하고 있으며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다수의 구멍(1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폭 방향으로는 일정 형상의 개구(14)가 형성되어 있고, 각 개구(14)들에는 리드(16)가 마주보고 각각 설치되어 있다. 마주보는 두 리드(16)는 그 끝단이 소정 간격 이격하여 있다. 이러한 두 리드(16) 사이에 탄탈 콘덴서를 구성하는 칩이 용접부착되게 된다. 칩이 용접된 후에는 소정의 검사과정을 거쳐 각 리드(16)들을 적당한 길이로 절단한다. 그러면 탄탈 콘덴서가 완성된다.
이러한 탄탈 콘덴서의 제조과정 중 검사공정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 졌다. 즉, 종래에는 칩이 용접되어 있는 탄탈 프레임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검사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검사기구를 이용해 콘덴서의 용량 등을 검사하였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탄탈 콘덴서 제조에 따른 생산성이 떨어졌다.
본 고안의 목적은 탄탈 프레임의 이송시 이송되는 탄탈 프레임의 규격에 따라 안내로의 크기와 기준위치를 조정해줄 수 있도록 해주므로써 탄탈 프레임 제조에 따른 검사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도록 해주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탄탈 프레임 가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탄탈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탄탈 프레임 가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3도는 제2도 I-I에 따른 단면도.
제4도는 탄탈 프레임이 안내로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5a도와 제5b도는 기준위치 조정부재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탄탈 프레임 12 : 구멍
14 : 개구 16 : 리드
18 : 칩 20 : 고정부재
22 : 평면부 24 : 제1벽면부
30 : 제1이동부재 32 : 제2벽면부
40 : 안내로 42 : 하부 안내로
44 : 상부 안내로 52 : 제1실린더 기구
54 : 제2실린더 기구 56 : 제3실린더 기구
58 : 제4실린더 기구 60 : 제2이동부재
62 : 제3벽면부 70 : 제3이동부재
72 : 제4벽면부 80 : 홈
90 : 기준위치 조정부재 92 : 오목홈
93 : 내면 94 : 돌출부
95 : 표면
본 고안의 목적은 탄탈 프레임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탄탈 프레임 가이드에 있어서, 탄탈 프레임의 하측변을 지지하는 평면부와 평면부에 대략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1벽면부를 갖고 소정 위치에 고정된 고정부재, 제1벽면부와 소정 간격 이격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벽면부를 구비하여 제1벽면부와 함께 하부 안내로를 형성하고 고정부재와 간격조정 가능한 제1이동부재, 제1벽면부 위쪽으로 제1벽면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3벽면부를 갖고 고정부재와 간격조정 가능한 제2이동부재, 제3벽면부와 소정 간격 이격하여 마주보고 배치되는 제4벽면부를 구비하여 제3벽면부와 함께 상부 안내로를 형성하고 제2이동부재와 간격조정 가능한 제3이동부재 및 제1~제3이동부재를 전,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탈 프레임 가이드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탄탈 프레임 가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3도는 제2도 I-I에 따른 단면도이다. 제2도, 제3도에는 고정부재(20)가 도시되어 있다. 이 고정부재(20)는 탄탈 프레임 검사장치의 일측에 고정되는 것으로,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탄탈 프레임(10)의 하측변을 지지하는 평면부(22)를 구비하고 있다. 탄탈 프레임(10)은 통상 매거진에 세워진 상태로 장착되어 제2도, 제3도 가이드의 측면까지 공급되고, 그 상태에서 에어 등으로 불어서 가이드 쪽으로 취출되게 한다. 즉, 평면부(22)는 탄탈 프레임(10)의 하측변을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평면부(22)의 일측으로는 제1벽면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제1벽면부(24)는 평면부(22)에 대략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다.
고정부재(20)의 맞은 편에는 제1이동부재(30)가 설치되어 있다. 제1이동부재(30)는 고정부재(20)의 제1벽면부(24)와 소정 간격 이격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벽면부(3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2벽면부(32)는 제1벽면부(24)와 함께 하부 안내로(42)를 형성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제1이동부재(30)에는 제1실린더 기구(52)가 연결되어 있어 고정부재(20)와 간격조정 가능하다. 즉, 제1실린더 기구(52)로 하부 안내로(42)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고정부재(20) 바깥쪽으로는 제2이동부재(6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2이동부재(60)는 제1벽면부(24) 위쪽으로 제1벽면부(24)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3벽면부(62)를 갖는다. 이 제2이동부재(60)에는 제2실린더 기구(54)가 연결되어 있어 고정부재(20)와 간격조정 가능하다.
제1이동부재(30) 바깥쪽으로는 제3이동부재(70)가 설치되어 있다, 제3이동부재(70)는 제3벽면부(62)와 소정 간격 이격하여 마주보고 배치되는 제4벽면부(7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4벽면부(72)는 제3벽면부(62)와 함께 상부 안내로(44)를 형성한다. 이러한 제3이동부재(70)에는 제3실린더 기구(56)가 연결되어 있어 제2이동부재(60)와 간격조정 가능하다. 즉, 제3실린더 기구(56)로 상부 안내로(44)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제2이동부재(60)와 제3이동부재(70)의 끝단에는 폭 방향으로 소정 길이의 홈(80)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80)에는 기준위치 조정부재(90)가 횡이동 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이 기준위치 조정부재(90)에는 제4실린더 기구(58)가 연결되어 있다. 즉, 기준위치 조정부재(90)는 제4실린더 기구(58)에 의해 소정 거리 횡이동 가능하다. 이 기준위치 조정부재(90)는 대략 ㄷ자 모양의 오목홈(92)과 오목홈(92) 양측의 돌출부(94)를 구비하고 있으며, 탄탈 프레임(10)의 규격에 따라 횡이동하면서 상부 안내로(44) 또는 하부 안내로(42)의 일측을 차단하거나 열어주므로써 탄탈 프레임(10)의 기준위치를 결정하여 주기 위한 것이다.
제4도는 탄탈 프레임이 안내로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20)의 제1벽면부(24)와 제1이동부재(30)의 제2벽면부(32)는 하부 안내로(42)를 형성하고 있고, 제2이동부재(60)의 제3벽면부(62)와 제3이동부재(70)의 제4벽면부(72)는 상부 안내로(44)를 형성하고 있다.
제4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탄탈 프레임(10)에는 칩(18)이 부착되어 있어, 그 부분은 폭이 넓게 되어 있다. 즉, 칩(18)이 부착된 부분은 상부 안내로(44)가 안내하고 칩(18)의 아래쪽 부분은 하부 안내로(42)가 안내한다.
칩(18)의 폭이 큰 경우에는 제2이동부재(60)와 제3이동부재(70)를 서로 멀어지게 이동시키므로써 상부 안내로(44)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또한, 탄탈 프레임(10)의 두께가 큰 경우에는 제1이동부재(30)를 고정부재(20)에서 떨어지게 하므로써 하부 안내로(42)의 폭을 넓힐 수 있다.
즉, 탄탈 프레임(10)의 규격에 따라 안내로(40)의 크기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제5a도와 제5b도는 기준위치 조정부재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제5a도에서 기준위치 조정부재(90)는 오목홈(92)와 안내로(40)가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탄탈 프레임(10)의 끝단은 오목홈(92) 내면(93)까지 삽입되어 있다. 이 경우 오목홈(92)의 내면(93)이 탄탈 프레임(10)의 기준위치가 되며, 상대적으로 규격이 큰 탄탈 프레임(10)의 안내시에 적용된다. 탄탈 프레임(10)의 규격에 따라 기준위치를 달리해 주어야 하는 것은 탄탈 프레임(10)의 중심위치와 탄탈 프레임(10)을 잡는 에어 척 등의 중심위치가 일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중심위치가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탄탈 프레임을 검사지그의 정확한 위치에 안착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제5b도에서 기준위치 조정부재(90)는 오목홈(92)과 안내로(40)가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안내로(40)는 기준위치 조정부재(90)의 돌출부(94)가 막고 있다. 이에 따라 탄탈 프레임(10)의 끝단은 돌출부(94) 표면(95)까지만 삽입되어 있다. 이 경우 돌출부(94)의 표면(95)이 탄탈 프레임(10)의 기준위치가 되며, 상대적으로 규격이 작은 탄탈 프레임(10)의 안내시에 적용된다.
즉, 탄탈 프레임(10)의 규격에 따라 기준위치를 조정해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탄탈 프레임 가이드는 탄탈 프레임의 규격에 따라 안내로의 크기와 기준위치를 조정해줄 수 있어 탄탈 프레임 검사공정의 자동화를 가능케 해주고 또한 탄탈 프레임 검사에 필요한 시간을 줄여 준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탄탈 프레임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탄탈 프레임 가이드에 있어서, 탄탈 프레임의 하측변을 지지하는 평면부와 평면부에 대략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1벽면부를 갖고 소정 위치에 고정된 고정부재; 상기 제1벽면부와 소정 간격 이격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벽면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벽면부와 함께 하부 안내로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재와 간격조정 가능한 제1이동부재; 상기 제1벽면부 위쪽으로 상기 제1벽면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3벽면부를 갖고 상기 고정부재와 간격조정 가능한 제2이동부재; 상기 제3벽면부와 소정 간격 이격하여 마주보고 배치되는 제4벽면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3벽면부와 함께 상부 안내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2이동부재와 간격조정 가능한 제3이동부재; 및 상기 제1~제3이동부재를 전,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탈 프레임 가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3이동부재 끝단에는 상기 탄탈 프레임의 규격에 따라 횡이동하면서 상기 안내로의 일측을 차단하거나 열어주므로써 상기 탄탈 프레임의 기준위치를 결정하여 주는 기준위치 조정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탈 프레임 가이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위치 조정부재는 대략 ㄷ자 모양을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탈 프레임 가이드.
KR2019960054726U 1996-12-23 1996-12-23 탄탈 프레임 가이드 KR2001520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4726U KR200152071Y1 (ko) 1996-12-23 1996-12-23 탄탈 프레임 가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4726U KR200152071Y1 (ko) 1996-12-23 1996-12-23 탄탈 프레임 가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633U KR19980041633U (ko) 1998-09-25
KR200152071Y1 true KR200152071Y1 (ko) 1999-07-15

Family

ID=19482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4726U KR200152071Y1 (ko) 1996-12-23 1996-12-23 탄탈 프레임 가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207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633U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25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igning a machine tool
KR101030291B1 (ko) 기판 처리 장치
US6164634A (en) Adjustable tooling pins
KR200152071Y1 (ko) 탄탈 프레임 가이드
US4174847A (en) Precision centering device
US5467803A (en) Outer lead bending apparatus for a semiconductor package device having a package and outer leads extending from the package
US6055894A (en) Support apparatus for positioning a workpiece
JP2564131Y2 (ja) リードフレームマガジン
KR20010036660A (ko) 수치 제어 가공용 지그
KR0119298Y1 (ko) 카세트 플레이트 가이드장치
JP3020190B2 (ja) リードフレーム押え装置
JP3240111B2 (ja) 位置決め装着装置
US20210100142A1 (en) Clamping mechanism and transferring apparatus
KR200274131Y1 (ko) 반도체 패키지 제조장비
KR200489385Y1 (ko) 판넬 지지봉 클립 고정용 지그
KR200152067Y1 (ko) 탄탈 프레임 이송장치
KR200152065Y1 (ko) 탄탈 프레임 취출장치
KR100223970B1 (ko) 반도체 웨이퍼 캐리어의 위치정렬용 공구
KR200152066Y1 (ko) 탄탈 프레임 검사용 지그
KR200153152Y1 (ko) 반도체 건식식각설비의 캐소우드 정렬공구
KR0119728Y1 (ko) 테이프 부착 장치
JPS6018506B2 (ja) トランサ−のワ−ク送り装置の位置決め治具
JPS6034463Y2 (ja) 位置決め装置
KR100196648B1 (ko) 탄탈 프레임 검사용 이재장치
KR100202854B1 (ko) 음극선관 튜브의 양코너 게이징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