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1365B1 - 네거시트 집적장치 - Google Patents

네거시트 집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1365B1
KR100201365B1 KR1019950006340A KR19950006340A KR100201365B1 KR 100201365 B1 KR100201365 B1 KR 100201365B1 KR 1019950006340 A KR1019950006340 A KR 1019950006340A KR 19950006340 A KR19950006340 A KR 19950006340A KR 100201365 B1 KR100201365 B1 KR 100201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sheet
negative
navigator
car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6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1841A (ko
Inventor
마스오 가와구치
Original Assignee
니시모토 칸이치
노리쯔 고오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모토 칸이치, 노리쯔 고오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시모토 칸이치
Publication of KR950031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1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1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13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DAPPARATUS FOR PROCESSING EXPOSED PHOTOGRAPHIC MATERIALS; ACCESSORIES THEREFOR
    • G03D15/00Apparatus for treating processed material
    • G03D15/10Mounting, e.g. of processed material in a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38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ovable piling or advancing arms, frames, plates, or like members with which the articles are maintained in face contact
    • B65H29/46Members reciprocated in rectilinear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6Auxiliary devices for retaining articles in the pi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Pile Receivers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Photographic Developing Apparatuses (AREA)
  • Photographic Processing Devices Using Wet Method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네거시트를 필름병치방향으로 송출하는 반출부로부터 송출된 네거시트를 매달린 자세로 유지하는 유지부와, 이 유지부에 구비되어서 반출부의 근처에 있어서 네거시트 반송방향으로 늘어서는 상태로 배치되어, 네거시트의 반송방향 후단부를 끼움하는 2개의 끼움부와, 유지부에 구비되어 있고 2개의 끼움부의 각각을 끼움작용자세와 끼움해제자세로 전환구동하는 끼움용 구동수단와를 구비함과 동시에, 끼움용 구동수단이, 반출부로 부터 송출되는 네거시트를 받아들이는 경우에 한쪽의 끼움만을 끼움 해제자세로 하고, 네거시트를 받아들인 후에, 한쪽의 끼움부를 끼움 해제자세로부터 끼움작용자세로 전환하여, 동시에 다른 쪽의 끼움부를 끼움작용자세로부터 끼움해제자세로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네거시트 집적장치.

Description

네거시트 집적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에 관한 외관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장치의 제어구성도.
제3도는 제1도의 장치의 네거시트를 도시하는 도면.
제4도는 제1도의 장치의 요부외관 사시도.
제5도는 제1도의 장치의 요부개략 구성도.
제6도는 제1도의 장치의 요부구성도.
제7도~제13도는 제1도의 장치의 작동설명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별도실시예에 관한 요부 개략구성도.
제15도는 제14도의 장치의 요부구성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더욱더 별도 실시예의 장치에 관한 요부개략 구성도.
제17도는 제16도의 장치에 관한 요부구성도.
제18도 (a)~(f)는 제16도의 장치에 관한 작동설명도.
제19도 (a), (b), (c), (d)는 종래기술의 작동설명도이다.
[발명의 배경]
[발명의 분야]
이 발명은 네거티브 시트(negative sheet ; 이하 네거시트라 함) 집적장치에 관한 것이고, 상세히는, 복수의 장방형의 필름을 필름가로폭방향으로 나열한 상태에서 수납하는 네거시트를, 필름병치방향으로 송출하는 반출부로부터 송출되는 네거시트를 집적하는 네거시트 집적장치에 관한 것이다.
[관련기술의 설명]
이와같은 네거시트 집적장치는, 제3도에 도시하는 네거시트(3)의 각단에, 현상처리한 4화면 또는 6화면으로 이루어지는 장방형의 필름(2)을 삽입하여, 적당한 단수마다(일반으로 1오더마다) 잘라 나누인 것을 집적한다.
종래, 상기의 네거시트(3)을 집적하는 방법 및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실공소 62-39000호 공보에서 개시도어 있는 것과 같은 기술이 있다.
즉, 제19도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네거시트(3)의 좌우양측을 지지하는 가이드(150)가, 필름을 삽입한 네거시트(3)를 송출부로부터 받으면, 무단벨트(151)를 구동하여 네거시트(3)를 확장한 상태로 끌어들이다. 이 끌어들이기가 완료하면, 제19도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승강봉(152)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네거시트93)를 수평자세의 집적트레이(153) 상에 잡아당겨 떨어뜨린다. 그후, 제19도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승강봉(152)을 다음의 네거시트(3)를 받는 자세로 복귀하도록 구성하여, 네거시트(3)을 혹장한 상태에서 집적하는 것이 고안되어 있다. 더욱, 상기 공보에서는, 네거시트(3)를 자중으로 매끄럽게 움직이게 하고 있지만, 제19도에 있어서는, 무단벨트(151)로, 네거시트(3)를 강제로 반송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의 구성에서는, 네거시트를 확장한 상태로 동시에 수평자세로 집적하기 때문에, 네거시트의 이송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분의 치수의 집적트레이가 필요로 된다.
그 결과 집적장치의 치수가 커지는 단점이 있고, 개선이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제1의 목적은, 네거시트를 집적하기 위하여 필요로 되는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는 네거시트 집적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네거시트를 집적하기 위한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하면서, 상기 제1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네거시트를 집적장치를 안정동작시키는 것을 확보하면서, 상기 제1 또는 제2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있다.
[발명의 개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네거시트 집적장치의 특징구성은, 복수의 장방형의 필름을 필름가로폭 방향으로 나열한 상태에서 수납하는 네거시트를 필름병치방향으로 송출하는 반출부로부터 송출된 상기 네거시트를 매달린 자세로 계속 유지하는 유지부가 설치되고, 그 유지부에, 상기 반출부의 근처에서 네거시트 반송방향으로 나열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네거시트의 반송방향 후단부를 끼워두는 2개의 끼움부와, 상기 2개의 끼움부의 각각을 끼움작용자세와 끼움 해제자세로 전환구동하는 끼움용구동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끼움용 구동수단은, 상기 반출부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네거시트를 받아들일 때에, 한쪽의 끼움부만을 끼움해제자세로 하고, 상기 네거시트를 받아들인 후에, 그 끼움부를 끼움해제 자세로부터 끼움작용 자세로 전환하여 동시에, 다른 쪽의 끼움부를 끼움작용자세에서 끼움해제자세로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필름을 수납한 네거시트가 반출부로부터 유지부에 송출되면, 유지부에서는 네가시트 반송방향으로 늘어서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2개의 끼움부중 한쪽이 끼움해제자세로, 다른 편이 끼움 작용자세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송출되는 네거시트를 받아들인다.
네거시트를 받아들인 후, 끼움용 구동수단은 끼움해제자세에 있던 끼움부를 끼움작용자세로 전환하여, 그 끼움부는 받아들인 네거시트의 반송방향 후단부를 끼워둔다.
즉, 받아들인 네거시트를 끼워두어 매달린 자세로 유지하는 것이다.
네거시트를 받아들인 시점에서는, 끼움작용자세로서 있는 측의 끼움부는 받아들인 네거시트를 끼움하는 일은 없고, 네거시트를 받아들인 후에 끼움해제자세로 전환됨으로서, 받아들인 네거시트의 끼움 또는 다음에 받아들이는 네거시트의 끼움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즉, 2개의 끼움부와 양쪽 동시에 끼움해제자세로 되지 않도록 하여, 각각이 끼움작용자세와 끼움해제자세로 전환함으로서, 반출부로부터 차례차례 송출되는 네거시트를, 그 네거시트 반송방향 후단부를 끼움하여, 매달린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다.
그 결과, 네거시트 반송방향 후단부를 끼움하여, 매달린 상태로 유지함으로, 네거시트를 집적하기 위하여 필요로 되는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는 네거시트 집적장치를 제공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구성으로서, 상기 2개의 끼움부 중 네거시트 반송방향 하류측의 끼움부는, 상기 네거시트의 두께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네거시트 반송방향 상류측의 끼움부는, 반송방향 상류측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끼움 작용자세와 끼움 해제자세로 각각 전환 가능으로 구성되고, 상기 끼움용 구동수단은, 상기 반출부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네거시트를 받아들일 경우에, 상기 네거시트 반송방향 하류측의 끼움부를 끼움 해제자세로 하고, 상기 네거시트를 받아들인 후에, 상기 네거시트 반송방향 하류측의 끼움부를 끼움 해제자세로부터 끼움 작용자세로 전환하고, 동시에 상기 네거시트 반송방향 상류측의끼움부를 끼움 작용자세로부터 끼움해제자세로 전환하도록 구성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지부가 반출부로 부터 송출되는 네거시트를 받아들이는 경우, 네거시트 반송방향 하류측의 끼움부는 네거시트의 두께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끼움해제자세에 있고, 반출부로 부터 송출된 네거시트는 그의 끼움해제자세에 있는 끼움부로 잠입할 수가 있다.
네가시트를 받아들인 후, 끼움해제자세에 있던 끼움부는 끼움 작용자세로 전환되고, 받아들인 네거시트를 끼움하여, 네거시트를 매달린 상태에서 유지한다.
그의 한쪽에서 네거시트를 받아들일 때에, 끼움작용 자세에 있던 네거시트 반송방향 상류측의 끼움부는, 네거시트를 받아들인 후, 끼움해제자세로 전환되고, 받아들인 네거시트의 끼움 또는 다음에 받아들이는 네거시트의 끼움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즉, 네거시트 반송방향 하류측의 끼움부는, 네거시트 반송 방향상류측의 끼움부 보다도 네거시트의 중심 근처의 위치를 끼움하는 것으로 되므로, 그 끼움부가 이미 유지하고 있는 네거시트와 새로이 반출부로부터 받아들인 네거시트에 끼워져 버리는 구성에서는, 예를 들면, 그 끼움부를 네거시트 반송경로밖으로 앞지르는 것과 같이 구성할 필요가 있고, 기움용 구동수단의 구성이 복잡하게 되어 버리는데 대하여, 끼움부를 네거시트 두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뿐의 단순한 구성으로 받아들인 네거시트를 정확히 끼움할 수 있다.
게다가, 네거시트 반송방향 상류측의 끼움부는, 네거시트 반송방향 하류측의 끼움부와 비교하여, 보다 네거시트의 후단측을 끼워두는 것을 이용하여, 반송방향 상류측으로 이동하는 것뿐으로, 새롭게 받아들인 네거시트의 끼움이 가능한 상태로 되는 것이다.
그 결과 네거시트 반송방향 하류측의 끼움부는 네거시트 두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뿐, 네거시트반송방향 상류측의 끼움부는 반송방향 상류측으로 이동하는 것뿐의 단순한 움직임으로, 각각의 끼움부의 끼움 작용자세와 끼움해제자세로 전환할 수 있으므로, 두개의 끼움부를 구동하는 끼움부용 구동수단의 구성의 간소화도 도모할 수가 있다.
더욱, 본 발명의 상기 유지부에, 상기 끼움부로 끼움되는 상기 네거시트를 지지하는 네거시트 받이대가, 네거시트 반송방향 하류측 만큼 아래쪽에 위치하는 경사자세로 설치되도록 되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반출부로 부터 받아들인 네거시트를 지지하는 네거시트 받이대는 경사자세로 하여 있으므로, 네거시트를 매어단 상태로 유지할 때, 끼움부로 끼움하여 네거시트의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경사자세의 네거시트 받이대로도 네거시트의 하중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끼움부만으로 네거시트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과 비교하여, 끼움부의 끼움힘을 상대적으로 약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끼움부의 끼움힘을 상대적으로 약한 것으로 할 수가 있어서, 끼움부를 구동하는 끼움부용 구동수단의 구성을 더욱 간소하게 할 수 있다.
더욱 상기 네거시트 받이대가, 상기 2개의 끼움부에 대향하는 부분에 있어서, 거의 수평자세로 형성되고, 상기 네거시트 받이대의 수평부분이, 평면에서 보아, 상기 반출부에 포개지는 상태에서, 상기 반출부의 아래측 개소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같이 하면, 네거시트 받이대의 수평부분이, 반출부와 평면에서 보아 포개지는 상태로, 반출부의 아래측 개소에 위치함으로, 평면에서보아 장치치수를 작게할 수 있다.
게다가, 네거시트 받이대의 수평분에 대향하여 끼움부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네거시트 받이대에 수평부분을 설치하지 않는 구성에 비교하여, 끼움부의 상방으로의 돌출이 억제되어 측면에서 보아 장치치수까지도 작게할 수 있다.
그 결과, 평면에 의한 장치치수를 작게할 수 있고, 더욱 측면에 의한 장치치수까지도 작게할 수 있으므로, 네거시트를 집적하기 위한 필요로되는 스페이스를 더욱더 작게할 수 있다.
더욱, 본 발명의 구성으로서, 상기 반출부가 상기 네거시트를 받아내는 네거시트 지지체를 구비하는 것이고, 그 네거시트 지지체가 네거시트 반송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로이 구성되고, 상기 네거시트 지지체를 네거시트 반송방향 하류측 개소에서 반송되는 상기 네거시트를 지지하는 지지위치와 네거시트 반송방향 상류측 개소에서 상기 네거시트의 지지를 해제하는 해제위치로 전환구동하는 반출부용 구동수단이 설치되어 그 반출부용 구동수단은, 상기 네거시트의 반송방향후단부가 네거시트 지지체상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네거시트 지지체를 상기 지지위치로부터 상기 해제위치로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반출부로부터 네거시트가 송출되는 경우 네거시트의 반송방향 후단부가 네거시트 지지체상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네거시트 지지체가 지지위치로부터 해제위치로 전환하면, 네거시트의 반송방향 후단부가 네거시트 받이대의 수평부분에 낙하한다.
반출부는, 평면에 있어서, 네거시트 받이대의 수평부분과 포개지는 상태이므로, 반출부로 부터 네거시트의 반송방향 후단부까지를 완전히 송출하는 구성으로 하여서는 반출부로 부터 낙하한 네거시트의 반송방향 후단부가 꺾여져버려, 네거시트 받이대의 수평부분에 대항하여 배치되어 있는 끼움부의 설치 개소에 적정히 낙하하지 않을 염려가 있지만, 네거시트 지지체를 해제위치로 전환하여 네거시트의 반송방향 끝부를 낙하시키는 것으로, 적정히 끼움부의 설치개소에 낙하시킬 수가 있다.
그 결과, 네거시트를 적정히 끼움부의 설치개소에 낙하시킬 수 있으므로, 확실히 네거시트를 끼움할 수 있어, 네거시트 집적 장치를 안정동작시키는 것을 확보할 수 있다.
더욱, 상기 끼움용 구동수단 및 상기 반출용 구동수단이 하나의 액추에이터와, 상기 끼움부와 상기 네거시트 지지체와를 연계하는 기계적 연동기구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같이 구성하면, 하나의 액추에이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기계적 연동기구를 통하여 2개의 끼움부 및 네거시트 지지체를 연동구동함으로, 2개의 끼움부 및 네거시트 지지체의 구동을 위하여 각각 별도로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것과 비교하여,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 결과, 네거시트 집적장치의 구성의 간소화를 한층더 간소화할 수가 있다. 더욱 본 발명의 상기 기계적 연동기구가 외이어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같이 하면, 기계적 연동기구가 와이어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기어 등의 조합에 의한 기계적 연동기구와 비교하여,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 결과, 네거시트 집적장치의 구성을 한층더 간소화할 수 있다.
상기 기계적 연동기구가 캠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같이 되어 있으면, 장기간에 걸쳐서 기계적 연동기구의 변형등이 적고, 장기간에 걸쳐서 2개의 끼움부나 네거시트 지지체를 확실히 동작시킬 수가 있다.
그 결과, 네거시트 집적장치를 안정동작시키는 것을 확보할 수 있다라는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더욱, 상기 반출부용 구동수단과 상기 끼움용 구동수단과를 구동하는 공통의 액추에이터가 설치되고, 상기 액추에이터의 구동과 네거시트 지지체의 위치전환동작과를 기계적으로 연계시키는 제1링크기구와, 상기 액추에이터의 구동과 끼움부의 자세전환동작과를 기계적으로 연계시키는 제2링크기구와 각각 별도로 설치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추에이터의 구동과 네거시트 지지체의 위치전환 동작 및 액추에이터의 구동과 기움부의 자세전환동작이 어느 것이든지, 링크기구로 기계적으로 연계되어 있으므로, 이들을 와이어 등으로 연계하거나, 전기적으로 제어하여 연계하거나 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네거시트 지지체의 위치전환동작과 끼움부의 자세전환동작과를 소정의 전환타이밍에 설정하는 상태에서 맞붙기 쉽다.
게다가, 반출부용 구동수단과 끼움용 구동수단과를 구동하는 공통의 액추에이터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네거시트 지지체의 위치전환동작과 끼움부의 자세전환동작과의 상호전환타이밍을 그 공통의 액추에이터를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고, 게다가 액추에이터의 구동과 네거시트 지지체의 위치전환동작과를 연계시키는 제1링크기구와, 액추에이터의 구동과 끼움부의 자세전환동작과를 연계시키는 제2링크기구가 각각 별도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1 도는 제2링크기구 중 한쪽의 링크기구에 의한 전환타이밍을 조정하더라도, 그 조정이 다른 쪽의 링크기구에 의한 전환타이밍에 영향을 줄 염려가 적다.
이 구성에 의하면, 네거시트 지지체의 위치전환동작과 끼움부의 자세전환동작과를 소정의 전환타이밍에 설정하는 상태에서 맞붙기 쉽고, 게다가, 그 전환타이밍을 조정하기 쉬우므로, 제작 및 유지를 한층더 용이하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이하, 본 발명의 네거시트 집적장치를, 필름자동 삽입장치에 적용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 필름자동 삽입장치(1)는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네거필름 등의 사진용의 필름(2)의 현상된 것을 4화면 또는 6화면으로 이루는 장방형으로 절단하여, 필름가로폭 방향으로 늘어선 상태에서, 네거시트(3)에 삽입하기 위한 장치이다. 그의 구성은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필름위치결정 반송부(F) 및 네거시트 위치 결정반송부(S) 및 네거시트를 집적하여 유지하는 유지부(1)와, 제2도에 도시하는 제어부(C)와를 구비한다.
필름위치결정 반송부(F)는 도시를 생략하지만, 현상처리되어 롤상으로 감겨진 필름(2)을 유지하는 필름유지부와, 필름유지부로부터 필름(2)을 꺼내어 반송하는 반송용롤러와, 광센서로 이루어지고 반송되는 필름(2)의 화면부분을 검출하는 화면검출기와, 필름(2)을 그 반송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절단하는 필름커터를 구비한다.
필름유지부에 현상된 필름(2)이 롤상으로 공급되면, 화면검출기의 검출정보에 의거하여 반송한 화면수를 계수하면서, 6화면분 혹은 4화면분을 반송하여 일단반송을 정지하여, 필름커터로 화면사이의 여백부분을 절단한다.
절단된 필름(2)은, 네거시트 위치결정 반송부(S)에 도달할 때까지 더욱 반송된다.
네거시트 위치결정반송부(S)는 롤상의 네거시트(3)를 유지하는 네거시트공급부(6)와, 네거시트공급부(6)로부터 네거시트(3)를, 그 필름의 병치방향으로 꺼내어 반송하는 반송용 롤러(4)와, 네거시트(3)의 필름(2)을 수납하는 각단의 중간부분에 설치된 네거시트마크(3a)를 검출하는 네거시트 마크검출기(5)와, 네거시트(3)의 필름(2)을 수납하는 각단의 중간부분을 절단하는 네거시트 커터(7)와, 네거시트커터(7)를 통과한 네거시트(3)를 유지부(I)로 반송하는 반송벨트(8)를 구비한다. 따라서, 반송벨트(8)의 네거시트 반송방향 하류측 끝부가 네거시트(3)를 그 필름 병치방향으로 송출하는 반출부(O)로 된다.
반송벨트(8)는,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조의 좌우한쌍의 롤러(16)에 놓여지고, 네거시트 반송방향 상류측의 롤러(16)를 구동벨트를 통하여 회전운동 구동하는 모터(M2)에 의하여 구동된다. 그리고,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네거시트(3)의 후단을 검출하는 후단검출센서(17)가 반송벨트(8)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어, 네거시트(3)를 반출부(O)로부터 완전히 송출하기 전에 모터(M2)의 구동을 정지하여 네거시트(3)의 반송을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더욱, 반출부(O)에는 반송되는 네거시트(3)를 하측에서 지지하여 반송벨트(8)에 누르는 네거시트 지지체(9)가 케이스(12)측에 고정된 도시하지 않는 가이드에 따라 네거시트 반송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로이 설치되어 있다. 네거시트 지지체(9)는 틀체(9a)의 4모퉁이에 종동롤러(9b)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네거시트(3)는 반송벨트(8)와 종동롤러(9b)에 끼워진 상태에서 반송된다.
롤상으로 공급되는 네거시트(3)는 반송용롤러(4)로 반송된다. 상측의 반송용 롤러(4a)와 하측의 반송용롤러(4b)와의 중간개소에 있어서, 필름위치 결정반송부(F)로부터 반송되어온 필름(2)이 네거시트(3)의 각단에 측방에서 삽입된다. 필름(2)이 삽입된 네거시트(3)는 1오더마다 네거시트커터(7)로 절단된다. 더욱 네거시트 위치결정반송부(S)에 있어서 네거시트 반송로는, 네거시트 이송방향에서 보아 앞의 아래가 쳐지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4도~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네거시트 반송방향 상류측에 배치된 제1끼움부(10) 및 네거시트 반송방향 하류측에 배치된 제2끼움부(11)의 2개의 끼움부(10,12)가 반출(O)의 가까이에서 네거시트 반송방향으로 늘어서는 상태로 유지부(I)에 설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끼움부(10,11)는, 유지부(I)의 케이스(12)의 상부수평면(12a)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고, 제1 및 제2기움부(10,11)가 상부수평면(12a)에 눌리는 상태에서, 양끼움부(10,11)와 상부수평면(12a)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네거시트(3)를 끼워둔다.
양끼움부(10,11)로 끼움되는 네거시트(3)는, 상부수평면(12a)과 그의 상부수평면(12a)의 네거시트 반송방향 하류측에 계속하고, 네거시트 반송방향 하류측만큼 하방에 위치하는 경사면(12b)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케이스(12)의 상부수평면(12a) 및 경사면(12b)은, 양끼움부(10,11)로 끼움되는 네거시트(3)를 지지하는 네거시트 받이대(R)로서 가능한다.
제1끼움부(10)는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동축심(α) 둘레로 요동이 자유로이 케이스(12)측에 장치된 판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완충재(10a)가 네거시트(3)와 접촉하는 선단부분에 장치되어 있다.
제2끼움부(11)는 네거시트(3)의 가로폭 보다 긴 봉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끼움부(11)의 가로폭방향 양단은 측판(11a)으로 유지되어 있다. 그 측판(11a)은 지지체(11b)에 대하여 네거시트(3)의 두께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로이 지지되어 있다. 접속용수철(11c)이 측판(11a)와 지지체(11b)와의 연결부에 설치되어 있어 제2끼움부(11) 및 축판(11a)을 지지체(11b)에 가압하고 있다.
지지체(11b)는 지지체(11b)를 관통하는 한쌍의 가이드봉(13)을 따라 슬라이딩이 자유로 되어 있다. 제2끼움부(11), 측판(11a) 및 지지체(11b)는 전체로서 네거시트(3)의 두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자유로 되어 있다.
상기의 제1 및 제2끼움부(10,11)는 반출부(O)에 구비되어 있는 네거시트지지체(9)와 함께, 케이스(12)내에 구비된 하나의 액추에이터인 모터(M1)에 의하여, 기계적 연동기구(M)를 통하여 연동구동된다.
기계적 연동기구(M)는 모터(M1)의 회전축에 장치된 구동풀리(20)와, 한끝을 케이스(12)측에 고정된 용수철(21a)에 의하여 매달린 독립으로 회전운동 자유로운 2개의 종동풀리(21b,21c)와를 구비하고 있는 동활차(21)와, 케이스(12)측에 회전운동이 자유로이 고정되어 있는 제1~제7의 종동풀리(22a,22b,22c,22d,22e,22f,22g)와, 제2끼움부(11)와 연결하고 있는 지지체(11b)의 하방에 위치하고, 지지체(11b)와 꼭같이 가이드봉(13)에 따라 슬라이딩 자유의 연결판(14)과, 구동풀리(20)에 일단이 고정되고, 동활차(21)의 종동풀리(21b) 및 제1종동풀리(22a)를 경유하여, 다른 끝이 제2끼움부(11)와 연결하고 있는 지지체(11b)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는 제1와이어(23a)와, 연결판(14)에 한끝을 고정되고, 제2종동풀리(22b), 제3종동풀리(22c) 및 제4종동풀리(22d)를 경유하여, 타단이 네거시트지지체(9)의 틀체(9a)의 네거시트 반송방향 상류측 끝부에 고정되어 있는 제2와이어(23b)와, 케이스(12)측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핀(15)에 일단이 고정되고, 동활차(21)의 종동풀리(21c), 제5종동풀리(22e), 제6종동풀리(22f) 및 제7종동풀리(22g)를 경유하여, 다른 끝이 제1끼움부(10)와 연결된 조작편(10b)의 상면측에 고정된 제3와이어(23c)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구성의 기계적 연동기구(M) 중, 제2종동풀리(22b)는 직경이 다른 풀리가 복수단으로 포개어진 것이고, 제2와이어(23b)는 그 직경이 다른 풀리의 2개의 단으로 각각 별도로 접속되어, 연결판(14)의 이동량이 확대된 상태에서 네거시트 지지체(9)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엄밀히는 제2와이어(23b)는 제2종동풀리(22b)의 개소에서 분리된 것이지만, 동작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제5도 및 제6도에 있어서는 제2 와이어(23b)는 1개의 와이어에 의하여 구성되고, 제2종동풀리(22b)는 단일경의 풀리인 것으로 간략화하여 표시하여 있다.
제2와이어(23b)와 접속하고 있는 네거시트 지지체(9)는, 복귀용수철(9c)에 의하여 네거시트 반송방향 하류측에 복귀가압되어 있다. 제1끼움부(10)는, 한끝을 케이스(12)측에 고정된 개폐용수철(10c)에 의하여, 제1끼움부(10)가 시계회전방향으로 요동하는 측에 가압되어 있다.
제2끼움부(11)와 연결하고 있는 지지체(11b) 및 지지체(11b)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연결판(14)은, 도시하지 않는 용수철에 의하여 상방측으로 복귀가압되어 있다.
이하, 상기 구성의 필름 자동삽입장치(1)의 제어부(C)의 제어에 의한 작동을 개략설명한다.
필름위치 결정반송부(F)에 현상된 필름(2)이 장전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4화면 또는 6화면마다 절단되어 반송된다. 절단된 필름은, 네거시트 위치결정 반송부(S)로 반송되는 네거시트(3)에 삽입된다. 여기서 반송용롤러(4)는, 네거시트(3)의 각단에 필름(2)이 삽이될 때마다. 네거시트(3)를 1단분 반송한다.
필름(2)이 삽입된 상태의 네거시트(3)는 더욱 반송벨트(8)로 반송되어 유지부(I)에 도달한다.
1오더분의 필름(2)의 삽입이 종료하여, 1오더분의 네거시트(3)의 후단부분이 네거시트 커터(7)의 설치위치에 도달하면, 네거시트커터(7)를 작동시켜 네거시트(3)를 절단한다.
1오더분으로 절단된 네거시트(3)가 더욱더 반송되어, 네거시트(3)의 후단을 후단검출센서(17)가 검출되면, 모터(M2)을 정지시켜 네거시트(3)의 반송을 정지한다. 이 시점에서는, 네거시트(3)의 후단이 반출부(O)로부터 송출되기 전에 반송을 정지하고, 네거시트 지지체(9)는 복귀용수철(9c)의 가압력에 의하여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하는 위치에 있다. 네거시트(3)의 후단은 반송벨트(8)와 네거시트 지지체(9)로 끼움되어 있다. 즉, 네거시트 지지체(9)는 네거시트(3)을 지지하는 지지위치에 있다.
유지부(I)에서 이 반출부(O)로부터 송출되는 네거시트(3)를 받아들이는 경우는,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끼움부(10)가 케이스(12)의 상부수평면(12a)을 누르는 끼움 작용자세로 되어 있고, 제2끼움부(11)가 네거시트 두께방향 상방측에 이동한 끼움해제 자세로 되어 있다.
네거시트(3)를 반출부(O)로부터 받아들인 후, 모터(M1)을 제5도중 화살표시(A)의 방향으로 회전을 개시시켜, 제1와이어(23a)의 감기를 개시시킨다.
제1와이어(23a)가 감김에 따라, 제2끼움부(11)에 연결한 지지체(11b)를 도시하지 않는 용수철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끌어내리다. 그 결과,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끼움부(11)도 끌어내려, 네거시트(3)를 케이스(12)의 상부수평면(12a)에 누르는 끼움 작용자세로 된다.
모터(M1)가 더욱더 제1와이어(23a)의 감기를 계속하면, 제2끼움부(11)에 대하여 상호이동가능한 지지체(11b)가 더욱더 끌어내려, 연결판(14)를 눌러내리는 것으로 된다. 연결판(14)이 눌러내려지면, 제2와이어(23b)를 끌어내려, 제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제4종동풀리(22b,22c,22d)를 통하여 네거시트 지지체(9)를 네거시트 반송방향 상류측으로 끌어당겨 이동시켜, 네거시트(3)의 지지를 해제하는 해제위치로 위치시킨다.
그 결과, 반송벨트(8)와 네거시트 지지체(9)로 끼움되어 있는 네거시트(3)의 후단부는, 끼움작용 자세로 되어 있는 제1끼움부(10) 위로 낙하한다.
모터(M1)가 더욱 제1와이어(23a)의 감기를 계속하면, 동활차(21)가 용수철(21a)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끌어내려진다. 동활차(21)가 끌어내려지면, 제1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와이어(23c)의 텐션이 느슨해지고, 제1끼움부(10)는, 조작편(10b)에 장치된 개폐용수철(10c)의 가압력에 의하여 요동축심(α) 둘레로 시계 회전방향으로 요동한다. 즉, 제1끼움부(10)는 네거시트 반송방향 상류측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끼움작용자세로 부터 끼움해제 자세로 전환한다. 이 시점에서는, 제1끼움부(10)의 위에 낙하한 네거시트(3)는, 제1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12)의 상부수평면(12a) 상에 낙하한다.
제1끼움부(10)의 시계회전 방향의 요동에 따라, 제6도에 도시하는 개폐검출센서(27)가 조작편(10b)을 검출하면, 모터(M1)를 정지시켜, 그 회전방향을 역전시킨다.
모터(M1)의 회전방향이 역전하면, 동활차(21)가 용수철(21a)의 가압력에 의하여 상승을 개시하여, 제3와이어(23c)를 끌어당긴다. 그리고, 제1끼움부(10)가 반시계회전방향으로 요동하여 끼움 작용자세로 되고, 제1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12)의 상부수평면(12a) 상의 네거시트(3)를 눌러, 끼움한다.
모터(M1)가 더욱더 역전을 계속하면, 제2끼움부(11)에 연결하고 있는 지지체(11b)가 상승하여, 그에 수반하여 연결판(14)이 상승한다.
연결판(14)이 상승하면, 제2와이어(23b)의 텐션이 느슨해져서, 네거시트 지지체(9)는 복귀용수철(9c)의 가압력에 의하여, 제12도에 도시하는 네거시트 반송방향 하류측의 위치, 즉 네거시트(3)을 지지하는 지지위치로 이동한다.
더욱더, 지지체(11b)가 상승하면, 제1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끼움부(11)가 네거시트(3)의 두께방향으로 상승하고, 끼움 작용자세로부터 끼움 해제자세로 전환한다.
모터(M1)의 역전은 제6도에 도시하는 대기위치센서(28)가 지지체(11b)에 장치된 도시하지 않는 검출편을 검출하면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 새로이 반출부(O)로부터 반출되는 네거시트(3)의 받아들임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모터(1) 및 기계적 연동기구(M)는, 제1 및 제2끼움부(10,11)을 끼움 작용자세와 끼움해제자세로 전환하는 끼움용 구동수단(G)으로서 기능함과 동시에, 네거시트 지지체(9)를 지지위치와 해제위치로 전환하여 구동하는 반출부용 구동수단(H)으로서도 기능한다.
이하, 별도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실시예에서는, 제1, 제2끼움부(10,11) 등을 연동시키기 위한 기계적 연동기구(M)을, 제1~제3와이어(23a,23b,23c)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지만, 제14도 및 제1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계적 연동기구(M)을 캠을 구비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즉, 하나의 액추에이터로서의 모터(M1)의 회전축에 제1~제3캠(30a,30b,30c)이 장치되어 있다. 이들의 캠(30a,30b,30c)은, 모터(M1)로서 일체로 회전운동 구동된다.
제1캠(30a)은, 제2끼움부(11)을 네거시트(3)의 두께방향으로 상하동 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1캠(30a)은, 제1캠(30a)의 캠면에 걸어맞춤하고, 동시에 제1캠(30a)의 회전운동에 동반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캠롤러(31a) 및 제1연결암(32a)을 통하여 지지체(11b)에 연결하고 있다.
제2캠(30b)은, 제1기움부(10)을 요동축심(α) 둘레로 요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2캠(30b)은 제2캠(30b)의 캠면에 걸어맞춤하고 동시에 제2캠(30b)의 회전운동에 동반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캠롤러(31b), 제2연결암(23b) 및 제2연결암(32b)의 상단부에 대하여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이 자유로이 구비된 연결로드(33)를 통하여, 제1끼움부(10)에 연결하고 있다.
더욱, 제2연결암(32b)과 연결로드(33)와는, 상단을 제2연결암(32b)의 상단부에, 하단을 연결로드(33)의 하단부에 각각 고정된 용수철(34)로 접속되어 있다. 제1끼움부(10)위 네거시트 반송방향 상류측 끝부에는, 상단을 케이스(12)측에 고정한 용수철(35)의 하단부가 고정되고, 용수철(35)은 제1끼움부(10)을 요동축심(α)둘레의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제3캠(30c)은 네거시트 지지체(9)를 네거시트 반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고, 제3캠(30c)의 캠면에 걸어맞춤하고 동시에 제3캠(30c)의 회전운동에 동반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제3캠롤러(31c), 제3연결암(32c), 제3연결암(32c)의 상단부에 형성된 래크와 맞물리는 피니온(36), 피니온(36)과 일체로 회전하는 제1기어(37a), 제1기어(37a)에 맞물리는 제2기어(37b), 및 제2기어(37b)에 맞물리고 동시에 네거시트 지지체(9)의 하면의 일부에 형성된 레크와 맞물리는 제3기어(37c)를 사이에 두고, 네거시트 지지체(9)에 연결되어 있다.
이하, 상기 구성의 기계적 연동기구(M)의 개략작동을 설명한다.
우선, 초기상태로서, 제7도와 꼭같이, 제1끼움부(10)가 끼움작용자세, 제2끼움부(11)가 끼움 해제자세로 되어 있다.
네거시트 지지체(9)가 반송벨트(8)와 함께 네거시트(3)의 후단을 끼움하는 지지위치에 있는 상태로 반송을 모터(M2)을 정지시켜, 네거시트(3)의 반송을 정지한 후, 모터(M1)의 회전을 개시시켜, 제1~제3캠(30a, 30b,30c)을 회전시킨다.
이 회전에 동반하여, 우선 제1캠(30a)의 제1캠롤러(31a)가 하강한다.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체(11b)에 연결한 제2끼움부(11)가 하강하여 끼움 작용자세로 되고, 케이스(12)의 상부수평면(12a)에 네거시트(3)를 누름하여 끼움한다.
그 사이 제2 및 제3캠롤러(30b, 30c)는 모터(M1)의 회전축에 대하여 일정간격을 유지하고 있다.
모터(M1)가 더욱 회전을 계속하면, 제3캠(30c)의 제3캠롤러(31c)가 상승하고, 제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네거시트지지체(9)를 네거시트 반송방향 상류측의 해제위치로 이동시킨다.
그 사이 제1 및 제2캠롤러(30a, 30b)는 모터(M1)의 회전축에 대하여 일정간격을 유지하고 있다.
모터(M1)가 더욱더 회전을 계속하면, 제2캠(30b)의 제2캠롤러(31b)가 하강하고, 제1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수철(35)등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제1끼움부(10)를 시계회전방향으로 요동하여, 끼움작용자세로 된다. 그후 모터(M1)가 회전을 계속하면, 제2캠롤러(31b)가 상승으로 변하고, 제1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끼움부(10)가 반시계회전방향으로 요동하여 끼움작용자세로 되고, 네거시트(3)의 후단부를 케이스(12)의 상부수평면(12a)에 누름하여 끼움한다. 그사이 제1 및 제3캠롤러(31a,31b)는 모터(M1)의 회전축에 대하여 일정간격을 유지하고 있다.
모터(M1)가 더욱더 회전을 계속하면, 제3캠(30c) 의 제3캠롤러(31c)가 하강하고, 제1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네거시트지지체(9)가 네거시트 반송방향 하류측의 지지위치로 이동한다. 그사이, 제1 및 제2캠롤러(31a,31b)는 모터(M1)의 회전축에 대하여 일정간격을 유지하고 있다.
모터(M1)가 더욱더 회전을 계속하면, 제1캠(30a)의 제1캠롤러(31a)가 상승하고, 제1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끼움부(11)가 상승하고, 끼움작용자세로부터 끼움해제자세로 전환한다. 그사이, 제2 및 제3캠롤러(31b,31c)는 모터(M1)의 회전축에 대하여 일정간격을 유지하고 있다.
제1~제3캠(30a,30b,30c)의 캠면의 형상은, 그들을 일체로 장치한 모터(M1)의 회전축이 1회전하는 사이에, 제7도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제13도에 도시하는 상태까지 변화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더욱더 별도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6도, 제17도는, 반출부용 구동수단(H)과 끼움용 구동수단(G)이 링크기구(51,52,53)을 설치하여 구성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반출부용 구동수단(H)은, 네거시트 지지체(9)를 지지위치와 지지해제위치로 전환하는 제1링크기구(51)를 구비한다. 끼워둠용 구동수단(G)은, 제2끼움부(11)를 끼움작용자세와 끼움해제자세로 전환하는 제2링크기구(52)와, 제1끼움부(10)을 끼움작용자세와 끼움해제자세로 전환하는 제3링크기구(53)와를 각각 별도로 구비한다.
상기 제1링크기구(51)는 그 액추에이터로서의 제 1모터(M1)의 구동과, 네거시트지지체(9)의 위치전환 동작과를 기계적으로 연계시키는 것이고, 제1모터(M1)의 회전축(54)으로 고정한 제1기어(55)와, 제1기어(55)로 고정한 제1크랭크핀(56)과 케이스(12)측에 고정하여 있는 제1요동축(57) 주위에서 요동이 자유로이 지지한 제1링크부재(58)와, 네거시트지지체(9)에 연결고정한 제1암(59)과를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1크랭크핀(56)은, 제1링크부재(58)의 일단측에 형성한 제1링크장공(60)에 들어간다.
제1링크부(58)의 일단측에 고정한 제1링크핀(61)은, 제1암(59)에 형성한 제1암장공(62)에 들어간다.
상기 제2링크기구(52)는, 그의 액추에이터로서의 제1모터(M1)의 구동과 제2끼움부(11)의 자세전환동작과를 기계적으로 연계시키는 것이고, 제1기어(55)와의 맞물림으로 당해 제1기어(55)와 동일회전수로 역방향으로 회전축(85) 주위로 회전하는 제2기어(63)와, 제2기어(63)에 고정한 제2회전암(64)과, 제2회전암(64)에 고정한 제2크랭크핀(65)과, 제2기움부(11)의 양단을 제2요동축(67)주위로 요동이 자유로이 연결하고 있는 좌우 1쌍의 요동판(68)과, 제2링크핀(66)에 요동이 자유로이 지지한 제2링크부재(69)와, 제2끼움부(11)을 끼움 작용자세로 전환하기 위하여 가압하는 인장코일용수철(70)과를 구비한다. 제2크랭크핀(65)는 제2링크부재(69)의 일단측에 형성한 제2링크장공(71)에 계입되어 있다.
따라서 제1모터(M1)가, 반출부용 구동수단(H)을 구성하고 있는 제1링크기구(51)와 끼움용 구동수단(G)을 구성하고 있는 제2링크기구(52)와를 구동하는 공통의 액추에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3링크기구(53)는, 그의 액추에이터로서의 제3모터(M3)의 구동과, 제1끼움부(10)의 자세전환동작과를 기계적으로 연계시키는 것이고, 제3모터(M3)의 회전축(72)에 고정한 제3회전암(73)과, 제3회전암(73)에 고정한 제3크랭크핀(74)과, 케이스(12)측에 고정하여 있는 제3요동축(75) 주위에서 요동자유로이 지지한 제3크랭크부재(76)와, 제1끼움부(10)에 고정한 제3암(77)과, 제3암(77)에 고정되어 요동축심(α)주위에서 요동하는 요동핀(78)과, 제1끼움부(10)을 끼움 작용자세로 전환하기 위하여 가압하는 비틀림코일 용수철(82)과를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3크랭크핀(74)은, 제3링크부재(76)의 일단측에 형성한 제3링크장공(79)에 계입되어 있다. 요동핀(78)은 제3링크부재(76)의 타단측에 형성한 직사각형 구멍(80)에 계입되어 있다.
다음에, 제1, 제2, 제3링크기구(51,52,53)의 작동을 제17도, 제18도 (a)~(f)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7도는, 제3링크부재(76)의 요동에 추종하여 요동핀(78)이 비틀림코일 용수철(82)의 가압력으로 요동하고, 제1끼움부(10)가 기움 작용자세로 전환되어 선행하여 송출된 선행네거시트(81)가 이 제1끼움부(10)에 매어달음 자세로 끼움되어 있는 초기상태를 도시한다. 이 초기상태에서는, 제2끼움부(11)는, 인장코일 용수철(70)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제2링크부재(69)에 의한 녹아웃에 의하여 끼움 해제자세로 전환되어 있다. 네거시트지지체(9)는, 제1암장공(62)에 계입한 제1링크핀(61)에 의한 누름에 의하여, 네거시트 반송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지지위치로 전환되어 있다. 제1, 제3모터(M1, M3)는 어느 것이던 그의 구동이 정지되어 있다.
그리고, 후속하는 1오더분의 필름(2)을 수납한 네거스트(3)가 네거시트커터(7)로 절단되면, 그 절단완료가 도면외의 시트커트 센서로 검출되고, 그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제2모터(M2)가 구동되어, 그 네거시트(3)는 반송벨트(8)로 반송된다. 후단 검출센서(17)가 그 후단을 검출하면, 제2모터(M2)의 구동이 정지되어, 네거시트(3)는 제18 (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후단이 네거시트지지체(9)와 반송벨트(8)에 끼워지는 상태에서 매달리게 된다.
제2모터(M2)의 구동이 정지되면, 제1모터(M1)의 구동이 개시된다.
제1, 제2기어(55,63)가 회전하여 제1, 제2크랭크핀(56,65)이 회전운동하고, 제18 (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링크부재(58)가 요동하여 그 제1링크핀(61)이 제1암장공(62)의 타단측까지 이동한다. 그것과 동시에, 제2링크부재(69)가 인장코일 용수철(70)의 가압력으로 하강이동하고, 제2끼움부(11)는 끼움 작용자세로 전환된다.
더욱, 제1, 제2기어(55,63)가 회전하여, 제1, 제2크랭크핀(56,65)이 회전운동하면 제18 (c)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링크부재(58)가 더욱더 요동하여 제1링크핀(61)이 제1암장공(62)의 타단면을 누른다. 그리고 네거시트지지체(9)가 네거시트반송방향 상류측에 위치하는 지지해제 위치로 전환되어, 네거시트(3)의 후단측이 받이대(R)측의 제1기움부(10)상을 낙하함과 동시에, 제2크랭크핀(65)이 제2링크장공(71)에 따라 회전운동한다. 제1센서(S1)가 제2회전암(64)의 설편(83)을 감지하여, 제2크랭크핀(65)이 초기상태에서 180°회전운동한 것을 검출하면, 그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제1모터(M1)의 구동이 정지되어, 제3모터(M3)의 구동이 개시된다.
제3모터(M3)의 구동이 개시되면, 제3크랭크핀(74)이 회전운동하여, 제3링크부재(76)가 요동한다. 제18 (d)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동핀(78)이 비틀림 코일용수철(82)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누름되어 제1끼움부(10)가 끼움해제자세로 전환되고, 네거시트(3)의 후단측이 받이대( R)상에 낙하한다.
더욱, 제3크랭크핀(74)이 회전운동하면, 제18 (e)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링크부재(76)가 복귀요동하여, 제1끼움부(10)가 끼움작용자세로 전환된다. 제3링크부재(76)에 설치한 설편(84)을 제3센서(S3)가 감지하여, 제3크랭크핀(74)이 1회전한 것을 검출하면, 제3모터(M3)의 구동이 정지됨과 동시에, 제1모터(M1)의 구동이 재개된다.
제1모터(M1)의 구동이 개시되면 제1크랭크핀(56)과 제2크랭크핀(65)이 회전운동한다. 제18 (f)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링크부재(58)가 요동하여 제1링크핀(61)이 제1암장공(62)의 일단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제2크랭크핀(65)이 제2링크장공(71)에 따라서 이동한다.
제1크랭크핀(56)과 제2크랭크핀(65)이 다시 더 회전운동하면, 제1링크부재(58)가 더욱더 요동하여 제1링크핀(61)이 제1암장공(62)의 일단측을 누름한다. 그리고, 네거시트지지체(9)가 네거시트반송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지지위치로 전환됨과 동시에, 제2크랭크핀(65)이 인장코일용수철(70)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제2링크부재(69)를 녹아웃하여, 제2끼움부(11)는 끼움해제 자세로 전환된다. 제2회전암(64)의 설편(83)을 제2센서(S2)가 감지하여 제2크랭크핀(65)이 1회전한 것을 검출하면, 제1모터(M1)의 구동이 정지되어, 제17도에 도시하는 초기상태로 복구하여, 다음의 1오더분의 네거시트(3)가 반송되어 올때까지 그 초기상태로 대기한다.
제2링크부재(69)에 형성한 제2링크장공(71) 및 제3링크부재(76)에 형성한 직사각형 구멍(80)은, 제1끼움부(10) 혹은 제2끼움부(11)에 의한 끼움두께가, 네거시트(3,81)의 매수에 의하여 변화하는 것을 고려하여, 그들이 끼움작용자세로 전환되어 있는 상태로, 제2링크부재(69) 혹은 요동핀(78)이 그의 끼움두께의 변화에 대응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지만, 만일, 작업자의 손가락이 제1끼움부(10) 혹은 제2끼움부(11)에 끼워졌을 경우의 안전대책도 겸하고 있다.
더욱, 도면중의 S4는, 제1끼움부(10)가 끼움작용자세로 전환될때마다 온(ON)되는 리밋스위치이다. 이 리밋스위치(S4)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제1끼움부(10)에 끼움되어 있는 네거시트(3,81)의 매수를 카운트하고, 그 매수가 설정매수로 되면, 도시하지 않는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기타의 구성은 다른 실시예와 꼭같다.
(1) 상기 실시예에서는, 반출부(O)에 있어서 네거시트(3)를 지지하는 네거시트지지체(9)를 네거시트반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하여, 네거시트(3)의 후단을 반출하였을 경우에, 적정하게 제1끼움부(10) 위에 낙하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동가능한 네거시트지지체(9)를 설정하지 않고, 반출부(O)로부터 반출한 네거시트(3)의 후단을 네거시트 반송방향 상류측으로 밀어되돌리는 부재를 설치하여, 네거시트(3)의 후단이 적정하게 제1끼움부(10)상에 낙하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2끼움부(11)를 회전구동가능하게 구성하고, 반출부(O)로부터의 네거시트(3)의 후단이 반출됨에 따라, 끼움작용자세에 있는 제2끼움부(11)를 회전구동하여 네거시트(3)를 반송하고, 네거시트(3)의 후단이 적정하게 제1끼움부(10)상에 낙하하도록 하여도 좋다.
(2) 상기 실시예에서는, 네거시트 반송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제2끼움부(11)가 끼움해제자세일때에 네거시트(3)를 반송하여 유지부(I)가 네거시트(3)를 받아들이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제2끼움부(11)를 네거시트(3)의 두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없고, 반송방향의 좌우 어느 것엔가로 출퇴가능하게 구성하든가, 또는, 좌우한쌍의 누름부재가 좌우 각각으로 출퇴가능하게 구성하여, 제2끼움부(11)가 끼움작용자세로, 동시에 네거시트 반송방향 상류측으로 위치하는 제1끼움부(10)가 끼움해제자세일때에 반출부(O)로부터 네거시트(3)를 받아들여, 받아들인 후에 제1끼움부(10)를 끼움작용자세로 전환하여, 동시에, 제2끼움부를 끼움해제자세로 전환하도록 하여도 좋다.
(3) 상기 실시예에서는 유지부(I)가 반출부(O)로부터 네거시트(3)를 받아들이는 경우에, 특정의 끼어둠부가 끼움해제자세로 되도록하고 있지만, 네거시트(3)를 받아들이는 경우에 끼움해제자세로 되는 끼움부가 교대로 교체되도록 하여도 좋다.
(4) 끼움용 구동수단(G)을 제1끼움부(10) 및 제2끼움부(11)를 각각 별도로 구동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5) 상기 실시예에서도, 끼움부(10,11) 모두, 상방에서 네거시트(3)를 누름하여 끼움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상하 양측에서 누름하여 끼움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6) 상기 실시예에서는, 모터(M1) 및 기계적 연동기구(M)가 제1 및 제2끼움부(10,11)를 끼움 작용자세와 끼움 해제자세로 전환하는 끼움용 구동수단(G)으로서 가능함과 동시에, 네거시트지지체(9)를 지지위치와 해제위치로 전환구동하는 반출용 구동수단(H)으로서도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지만, 끼움용 구동수단(G)와 반출부용 구동수단(H)과를 각각 별체로 설치하여도 좋다.

Claims (16)

  1. 복수의 장방형의 필름(2)을 필름가로폭방향으로 늘어선 상태에서 수납하는 네거시트(3)를 필름병치방향으로 송출하는 반출부(O)로부터 송출된 상기 네거시트(3)를 매달린 자세로 유지하는 유지부(I)와, 상기 유지부(I)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반출부(O) 근처에 있어서, 네거시트반송방향으로 늘어서는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네거시트(3)의 반송방향 후단부를 끼움하는 두개의 끼움부(10),(11)와, 상기 유지부(I)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두개의 끼움부(10),(11)의 각각을 끼움작용자세와 끼움해제자세로 전환구동하는 끼움용 구동수단(G)으로 구성되고, 여기에서 상기 끼움용 구동수단(G)은 상기 반출구(O)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네거시트(3)를 받아들일때에, 한쪽의 끼움부(11)만으로 끼움해제자세로 하고, 상기 네거시트(3)를 받아들인후에, 상기 한쪽의 끼움부(11)를 끼움해제자세로부터 끼움작용자세로 전환하고, 동시에 다른쪽의 끼움부(10)을, 끼움작용자세로부터 끼움해제자세로 전환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거시트 집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끼움부(10),(11) 중의 네거시트반송방향 하류측의 끼움부(11)는 상기 네거시트(3)의 두께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네거시트 반송방향 상류측의 끼움부(10)는, 반송방향 상류측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끼움작용자세와 끼움해제자세로 각각 전환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끼움부 구동수단(G)은, 상기 반출부(O)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네거시트(3)를 받아들이는 경우에, 상기 네거시트 반송방향 하류측의 끼움부(11)를 끼움해제자세로 하고, 상기 네거시트(3)를 받아들인 후에, 상기 네거시트 반송방향 하류측의 끼움부(11)를 끼움해제자세로 부터 끼움 작용자세로 전환하고, 동시에, 상기 네거시트 반송방향 상류측의 끼움부(10)를 끼움작용자세로부터 끼움해제자세로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거시트 집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출부(O)가, 상기 네거시트(3)을 받아내는 네거시트 지지체(9)를 구비하고, 이 네거시트 지지체(9)가 네거시트 반송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로이 구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네거시트 지지체(9)를, 네거시트 반송방향 하류측 개소에 있어서 반송되는 상기 네거시트(3)를 지지하는 지지위치와 네거시트 반송방향 상류측 개소에 있어서 상기 네거시트(3)의 지지를 해제하는 해제위치로 전환구동하는 반출부용 구동수단(H)이 설치되어 있어, 그 반출부용 구동수단(H)은, 상기 네거시트(3)의 반송방향 후단부가 네거시트 지지체상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네거시트 지지체(9)를 상기 지지위치로부터 상기 해제위치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거시트 집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용 구동수단(G) 및 상기 반출부용 구동수단(H)이 하나의 액추에이터(M1)와, 상기 끼움부(10),(11)와 상기 네거시트 지지체(9)와를 연계하는 기계적 연동기구(M)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거시트 집적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출부용 구동수단(H)과 상기 끼움용 구동수단(G)과를 구동하는 공통의 액추에이터(M1)가 설치되어 있어, 이 액추에이터(M1)의 구동과 네거시트 지지체(9)의 위치전환동작과를 기계적으로 연계시키는 제1링크기구(51)와 상기 액추에이터(M1)의 구동과 끼움부(11)의 자세전환동작과를 기계적으로 연계시키는 제2링크기구(52)가 각각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거시트 집적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기구(51)가, 상기 액추에이터(M1)의 회전축(54)에 고정한 제1기어(55)와, 이 제1기어(55)에 고정한 제1크랭크핀(56)과, 요동자유로이 지지한 제1링크부재(58)와, 상기 네거시트 지지체(9)에 연결고정한 제1암(59)과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제2링크기구(52)가 상기 제1기어(55)와의 맞물림으로 이 제1기어(55)와 동일회전수로 역방향으로 회전축(85) 주위로 회전하는 제2기어(63)와, 이 제2기어(63)에 고정한 제2회전암(64)과, 이 제2회전암(64)에 고정한 제2크랭크핀(65)과, 상기 한쪽의 끼움부(11)의 양단과 제2링크핀(66)의 양단과를 제2요동축(67) 주위로 요동 자유로이 연결하여 있는 좌우한쌍의 요동판(68)과, 상기 제2링크핀(66)에 요동이 자유로이 지지한 제2링크부재(69)와, 상기 한쪽의 끼움부(11)를 끼움 작용자세로 전환하기 위하여 가압하는 인장코일용수철(70)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거시트 집적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I)에, 상기 끼움부(10),(11)로 끼움시키는 상기 네거시트(3)를 지지하는 네거시트 받이대(R)가, 네거시트 반송방향 하류측만큼 아래로 위치하는 경사자세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거시트 집적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네거시트 받이대(R)가, 상기 2개의 끼움부(10),(11)에 대향하는 부분에 있어서, 거이 수평자세로 형성되고, 상기 네거시트 받이대(R)의 수평부분이 평면에서보아, 상기 반출부(O)에 포개지는 상태에서 상기 반출부(O)의 하방측 개소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거시트 집적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출부(O)가, 상기 네거시트(3)을 받아내는 네거시트지지체(9)를 구비하고, 이 네거시트 지지체(9)가 네거시트 반송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로이 구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네거시트지지체(9)를, 네거시트 반송방향 하류측 개소에서 반송되는 상기 네거시트(3)를 지지하는 지지위치와 네거시트 반송방향 상류측 개소에 있어서 상기 네거시트(3)의 지지를 해제하는 해제위치로 전환구동하는 반출부용 구동수단(H)이 설치되어 있고, 그 반출부용 구동수단(H)은, 상기 네거시트(3)의 반송방향 후단부가 네거시트 지지체상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네거시트지지체(9)를 상기 지지위치로부터 상기 해제위치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거시트 집적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출부용 구동수단(H)과 상기 끼움용 구동수단(G)과를 구동하는 공통의 액추에이터(M1)가 설치되고, 상기 액추에이터(M1)의 구동과 네거시트지지체(9)의 위치전환동작과를 기계적으로 연계시키는 제1링크기구(51)와, 상기 액추에이터(M1)의 구동과 끼움부(11)의 자세전환동작과를 기계적으로 연계시키는 제2링크기구(52)와가 각각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네거시트 집적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기구(51)가, 상기 액추에이터(M1)의 회전축(54)에 고정한 제1기어(55)와, 제1기어(55)에 고정한 제1크랭크핀(56)과, 요동자유로이 지지한 제1링크부재(58)와, 상기 네거시트지지체(9)에 연결고정한 제1암(59)과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제2링크기구(52)가, 상기 제1기어(55)와의 맞물림으로 이 제1기어(55)와 동일회전수로 역방향으로 회전축(85) 주위로 회전하는 제2기어(63)와, 이 제2기어(63)에 고정한 제2회전암(64)과, 이 제2회전암(64)에 고정한 제2크랭크핀(65)과, 상기 한쪽의 기움부(11)의 양단과 제2링크핀(66)의 양단과를 제2요동축(67) 주위로 요동이 자유로이 연결하고 있는 좌우한쌍의 요동판(68)과, 상기 제2링크핀(66)에 요동이 자유로이 지지한 제2링크부재(69)와, 상기 한쪽의 끼움부(11)을 끼움 작용자세로 전환하기 위하여 가압하는 인장코일용수철(70)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네거시트 집적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용 구동수단(G) 및 상기 반출부용 구동수단(H)이, 하나의 액추에이터(M1)와, 상기 끼움부(10),(11)와, 상기 네거시트 지지체(9)와를 연계하는 기계적 연동기구(M)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네거시트 집적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연동기구(M)가 와이어(23a,23b,23c)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네거시트 집적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23a,23b,23c)가, 상기 액추에이터(M1)의 회전축에 장치된 구동풀리(20)에 일단이 고정되고, 다른 끝이 상기 한쪽의 끼움부(11)와 연결하여 있는 지지체(11b)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는 제1와이어(23a)와, 상기 지지체(11b)의 하방에 위치하고, 이 지지체(11b)와 꼭같이 가이드봉(13)에 따라 슬라이딩 자유로운 연결판(14)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네거시트지지체(9)의 틀체(9a)의 네거시트 반송방향 상류측 끝부에 고정되어 있는 제2와이어(23b)와, 장치 케이스(12)측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핀(15)에 한끝을 고정되고, 다른끝이 상기 다른 쪽의 끼움부(10)와 연결된 조작편(10b)의 상면측에 고정된 제3와이어(23c)로부터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거시트 집적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연동기구(M)가, 캠(30a,30b,30c)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거시트 집적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캠(30a,30b,30c)이 액추에이터(M1)의 회전축에 장치되어 액추에이터(M1)에서 일체로 회전운동 구동되는, 제1캠(30a)고, 제2캠(30b)과 제3캠(30c)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캠(30a)은 상기 한쪽의 끼움부(11)를 상기 네거시트(3)의 두께방향으로 상하동시키고, 상기 제2캠(30b)은 상기 다른쪽의 끼움부(10)를 요동축심(α)주위로 요동시키며, 상기 제3캠(30c)은 상기 네거시트 지지체(9)를 네거시트 반송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네거시트 집적장치.
KR1019950006340A 1994-03-24 1995-03-24 네거시트 집적장치 KR1002013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53384 1994-03-24
JP5338494 1994-03-24
JP02037795A JP3384473B2 (ja) 1994-03-24 1995-02-08 ネガシート集積装置
JP95-20377 1995-0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841A KR950031841A (ko) 1995-12-20
KR100201365B1 true KR100201365B1 (ko) 1999-06-15

Family

ID=26357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6340A KR100201365B1 (ko) 1994-03-24 1995-03-24 네거시트 집적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662322A (ko)
EP (1) EP0674222B1 (ko)
JP (1) JP3384473B2 (ko)
KR (1) KR100201365B1 (ko)
CN (1) CN1084887C (ko)
CA (1) CA2144787C (ko)
DE (1) DE6952787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57574C2 (de) * 1999-02-25 2003-04-17 Nexpress Gmbh Vorrichtung zum Ablegen von Bogen auf einen Stapel
JP4353123B2 (ja) * 2005-03-30 2009-10-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記録装置
US7520505B2 (en) * 2005-09-29 2009-04-21 Xerox Corporation High speed vertical reciprocating sheet trail edge stacking assistance system
JP4801992B2 (ja) * 2005-12-28 2011-10-26 ニスカ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
JP5224788B2 (ja) * 2007-11-15 2013-07-03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記録媒体収納装置及び記録媒体の収納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386A (en) * 1894-03-13 Printing machine
US4068839A (en) * 1977-03-04 1978-01-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heet stacking apparatus
DE2856237C2 (de) * 1978-12-27 1982-06-16 Herbert Kannegiesser Gmbh + Co, 4973 Vlotho Vorrichtung zum Verkleben textiler Flächengebilde
JPS6239000A (ja) * 1985-08-15 1987-02-19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ナビゲ−タ−
JPH0273254A (ja) * 1988-09-08 1990-03-13 Fuji Photo Film Co Ltd カツターソーター
US5098079A (en) * 1990-07-10 1992-03-24 Ark, Inc. Apparatus for stacking pieces of limp material
US5159385A (en) * 1990-07-11 1992-10-27 Fuji Photo Film Co., Ltd. Total photofinishing laboratory system
JPH0656327A (ja) * 1992-08-06 1994-03-01 Ricoh Co Ltd シート状搬送物のスタック装置
JPH06156844A (ja) * 1992-11-25 1994-06-03 Sanyo Electric Co Ltd 紙幣収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144787C (en) 2000-04-25
CA2144787A1 (en) 1995-09-25
DE69527871D1 (de) 2002-10-02
KR950031841A (ko) 1995-12-20
EP0674222A3 (en) 1995-12-27
CN1115406A (zh) 1996-01-24
US5662322A (en) 1997-09-02
DE69527871T2 (de) 2003-04-30
EP0674222B1 (en) 2002-08-28
CN1084887C (zh) 2002-05-15
JP3384473B2 (ja) 2003-03-10
EP0674222A2 (en) 1995-09-27
JPH07309505A (ja) 1995-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1365B1 (ko) 네거시트 집적장치
US7044056B2 (en) Interleaf removal apparatus, plate feed apparatus and image recording system
JPH03162347A (ja) シート給送装置
JPH03152027A (ja) シートカバー貼着・剥離装置
JPH03162345A (ja) シート給送装置
JP2702039B2 (ja) 結束紙幣振分収納装置
JP2761154B2 (ja) 結束紙幣振分収納装置
CN218859593U (zh) 一种制糖包装线皮带启停控制装置
JPH01197283A (ja) 折り装置
JPH0585675A (ja) 紙葉類処理装置
JP4461248B2 (ja) シート状商品の自動払出装置におけるシート状商品の自動払出方法
JP3740302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2003040509A (ja) 大容量単票スタッカ
JPH06298212A (ja) 硬貨包装機
JP2665654B2 (ja) ラックに対するプリント配線板の受取機及び投入機
JP2817729B2 (ja) ソータ
JP4210726B2 (ja) シート状商品の自動払出装置
JP2720092B2 (ja) 自動粘着力測定装置
JP2677480B2 (ja) フィルム集積装置用移動機構
JPH05120538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送装置
JP3109686B2 (ja) フイルム集積装置
EP0113286A1 (fr) Table vibrante pour réception d'articles en feuilles notamment liasses de feuilles de papier
JPH0734054Y2 (ja) 紙幣搬送回収装置
JPH083414Y2 (ja) シート集積搬送装置
JP2013240455A (ja) 薬剤払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