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0654B1 - 공조케이스의 도어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공조케이스의 도어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0654B1
KR100200654B1 KR1019950054685A KR19950054685A KR100200654B1 KR 100200654 B1 KR100200654 B1 KR 100200654B1 KR 1019950054685 A KR1019950054685 A KR 1019950054685A KR 19950054685 A KR19950054685 A KR 19950054685A KR 100200654 B1 KR100200654 B1 KR 100200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door
air conditioning
conditioning cas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4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4622A (ko
Inventor
한성석
Original Assignee
신영주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주,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영주
Priority to KR1019950054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0654B1/ko
Publication of KR970034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4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0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06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57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means connecting the initiating means, e.g. control lever, to the damper do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조케이스에 설치된 도어들을 구동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공조케이스의 도어 구동장치는, 각 도어의 회동중심축에고정된 아암들에 절제부를 형성하고, 외주면에 대해 돌출된 복수의캠부를 가지는 캠축을 공조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복수의캠부가 아암들의 절제부에 각각 끼워지도록 하여, 캠축의 회동시 캠부들에 의해 아암들 및 도어들이 회동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도어들의 회동을 위한 부품수가 감소되어 원가절감 및 생산성향상에 크게 기여하게 된다.

Description

공조케이스의 도어 구동장치
제1도는 공조케이스의 도어를 보이는 개략적 구성도.
제2도는 종래 공조케이스의 도어 구동장치의 개략적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공조케이스의 도어 구동장치의 일 실시예의개략적 분리사시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도어 구동장치의 결합 평면도.
제5도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캠부들의 개략적 전개도.
제6도는 제4도에 도시된 캠축이 소정각도 회동된 상태의 개략적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도어 11 : 제1도어의 회동중심축
20 : 제2도어 12 : 제2도어의 회동중심축
30 : 캠축 31 : 제1캠부
32 : 제2캠부 33a : 결합부
40 : 지지브라켓 80 : 컨트롤케이블
90 : 공조케이스 91 : 캠축지지부
본 발명은 공조케이스의 도어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그 구성이 단순화되어 조립작업의 단순화 및 비용절감이 가능한 공조케이스의 도어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 냉난방을 위한 공조시스템에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열교환기가 내장된 공조케이스가 마련된다. 이 공조케이스의 내부에는 또한 공기 유입구와 복수의 공기 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데, 공기 유출구를 통해 공조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와 선택적으로 열교환을 행하여 상기 공기 유출구들을 통해 자동차 실내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상기 공기유출구들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의 도어들(10,20)이 그 회동중심축들(11,21)을 중심으로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도어들(10,20)의 회동에 의해 공조케이스(9)내의 공기유출구들(1,2)이 선택적으로 개폐되게 된다. 제1도에 있어서 괄호 내의 참조부호 90은 본 발명의 도어 개폐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부여된 부호이다.
제2도에는 상기 복수의 도어(10,20)를 회동 구동하기 위한 종래 도어 구동장치의 일 예가 개략적 평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이 제2도를 제1도와 함께 참조하면, 내부에 도어들(10,20)이 설치된 공조케이스(9)의 외부에는, 한 쌍의 캠홈(3a,3b)을 가지는 캠부재(3) 및 레버부재들(4,9)이 소정각도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캠부재(3)의 캠홈들 중 제1캠홈(3a)에는 레버부재들(4)의 일단에 형성된 돌기부(4a)가 구속되어 있다. 레버부재들(4)의 타단에는 제1링크(5a)의 일단이 결합되어 있으며, 제1링크(5)의 타단은 상기 제1도어(10)의 회동중심축(11)에 고정결합된 제1아암(6a)의 자유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캠부재(3)의 제2캠홈(3b)에는 레버부재들(9)의 일단에 형성된 돌기부(4a)가 구속되어 있다. 레버부재(9)의 타단에는 제2링크(5b)의 일단이 결합되어 있으며, 제2링크(5b)의 타단은 상기 제2도어(20)의 회동중심축(21)에 고정결합된 제2아암(6b)의 자유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참조부호 8은 일단이 캠부재(3) 에 형성된 걸림부(3d)에 결합된 컨트롤케이블이며, 이 컨트롤케이블의 타단은 자동차의 크래쉬 패드 전면에 설치되어 승차자에 의해 수동조작되는 노브(미도시)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 도어 구동장치에 있어서, 승차자의 노브조작에 상기 컨트롤케이블(80)이 이동되어, 캠부재(3)를 그 회동 포인트(3c)를 중심으로 예를들어 화살표(A) 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레버부재(4)가 그 회동포인트(4c)를 중심으로 화살표(B)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링크(5a)가 화살표(C)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아암(6a)을 화살표(D) 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이 때, 제1아암(6a)에 고정된 제1도어(10)가 화살표(E)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공기 유출구(1)를 개방 또는 폐쇄하게 된다. 그리고, 캠부재(3)의 화살표(A) 방향 회동에 의해 레버부재들(9)가 그 회동포인트(9c)를 중심으로 화살표(K)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링크(5b)가 화살표(F) 방향으로 이동하며 제2아암(6b)을 화살표(G) 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이 때, 그 제2아암(6b)에 고정결합된 제2도어(20)가 화살표(H) 방향으로 회동하여 공기 유출구(2)를 폐쇄 또는 개방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공조케이스의 도어 구동장치는 복수의 도어를 회동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부품을 필요로 하므로 비용이 상승하며, 설계 및 조립작업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구성 부품수가 감소되어 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설계 및 조립작업이 용이한 공조케이스의 도어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조케이스의 도어 구동장치는, 자동차용 공조케이스 내의 공기유출구들의 개폐를 위해 그 공조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도어를 회동 구동시키기 위한 것에 있어서,
각각의 일측단부는 상기 각 도어의 회동중심축에 고정되고 타측단부에는 절제부가 형성된 복수의 아암부재와, 상기 공조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외주에는 상기 각각의 아암부재의 절제부에 끼워져 구속되는 복수의 캠부가 돌출 형성된 캠축을 구비하여,상기 캠축의 회동시에 상기 각 캠부에 의해 그 캠부가 끼워져 구속된 아암 및 그 아암에 고정된 도어가 회동 구동되도록 된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공조케이스의 도어 구동장치를 보이는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며,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도어 구동장치의 개략적 결합평면도이다. 그리고, 제5도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제1캠부와 제2캠부의 개략적 전개도이다.
제3도 내지 제5도를 상기 제1도를 함께 참조하면, 내부에 복수의 공기유출구(1,2)를 가지는 공조케이스(90)에는 상기 공기유출구들(1,2)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들(10,20)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중 제1도어(10)의 회동중심축(11)에는 제1아암(61)의 일단부가 고정되어 있으며, 제2도어(20)의 회동중심축(21)에는 제2아암(62)의 일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제1아암(10)과 제2아암(20)의 자유단부에는 그 단부의 선단으로부터 소정폭으로 절제된 절제부(61a,62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공조케이스(90)의 외측에는 캠축(30)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캠축(30)의 중앙부에는 돌출부(33)가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부(33)의 단부에는 컨트롤케이블(80)의 일단이 결합되는 결합부(33a)가 형성되어 있다. 컨트롤케이블(80)의 타측단부는, 자동차의 크래쉬패드 전면에 설치되어 승차자에 의해 조직되는 노브(미도시)에 결합되어 있다.
캠축(30)의 양 단부에는 한 쌍의 캠부(31,32)가 형성되어 있다. 각 캠부(31,32)는 캠축(30)의 외주에 대해 소정폭으로 돌출 형성된 것으로, 이 중 제1캠부(31)는 제1아암의 절제부(61a)에 끼워지고 제2캠부(32)는 제2아암의 절제부(62a)에 끼워지게 된다.
상기 제1캠부(31)는 제1부(31a), 제2부(31b) 및 이들 제1부(31a)와 제2부(31b)를 이어주는 경사부(31c)로 구성되어 있는데, 제1부(31a)는 캠축(30)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로부터 소정거리(D1)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2부(31b)는 캠축(30)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제1부까지의 거리(D1)보다 짧은 거리(d1)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제2캠부(32)는 한쌍의 제1부(32a,32b)와 이 제1부들(32a,32b) 사이에 위치하는 제2부(32c)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1부들(32a,32b)을 제2부(32c)와 이어주는 경사부들(32d,32c)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제2캠부(32)에 있어서, 제1부(32a,32b)는 캠축(30)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로부터 소정거리(D2)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2부(32c)는 캠축(30)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제1부까지의 거리(D2)보다 짧은 거리(d2)에 위치하고 있다. 제3도 내지 제5도에 있어서는, 제1캠부(31)의 상기 제1아암의 절제부(61a)에 끼워진 부위는 경사부(31c)이며, 제2캠부(32)의 상기 제2아암(62)의 절제부(62a)에 끼워진 부위는 제2부(32c)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참조부호 91은 공조케이스(90)에 일체로 성형되어 캠축(30)의 양단을 각각 지지하는 캠축지지부이며, 92는 캠축(30)의 중앙부를 받치는 받침부로서 그 상면에 나사공(92a)을 구비하고 있다. 참조부호 40은 캠축지지부(91)와 받침부(92)에 놓여져 지지되는 캠축(30)이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위치고정부재이다. 이 위치고정부재(40)를 관통하여 상기 받침부(92)의 나사공(92a)에 체결되는 나사(50)에 의해, 위치고정부재(40)는 받침대(92)에 고정되어 캠축(30)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구동장치에 의해 도어들(10,20)이 구동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4도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승차자가 상기 크래쉬패드에 설치된 노브를 조작하여 컨트롤케이블(80)을 화살표(A1)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캠축(30)은 화살표(B1) 방향으로 회동되어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된다. 즉, 제1캠부(31)는, 캠축(30)의 회동에 의해 제1아암(61)의 절제부(61a)에 끼워지는 부위가 상기 경사부(31c)에서 제2부(31b)로 바뀌어지면서 제1아암(61)을 회동시키게 되고, 제2캠부(32) 역시 캠축(30)의 회동에 의해 제2아암(62)의 절제부(62a)에 끼워지는 부위가 상기 제2부(32c)에서 경사부(32e)를 거쳐 제1부(32b)로 바뀌면서 제2아암(62)을 회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제1아암(61)에 고정된 제1도어(10) 및 제2아암(62)에 고정된 제2도어(20)는, 제4도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즉 제6도에서 가상선으로 도시된 상태로부터, 제6도에 점선으로 도시한 상태로 회동되게 된다.
한편, 제6도에 도시된 상태에서, 승차자의 노브조작에 의해 컨트롤케이블(80)을 화살표(A2) 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되면, 캠축(30)이 화살표(B2)방향으로 회동된다. 이에 따라, 제1아암(61)의 절제부(61a)에는 제1캠부(31)의 경사부(31c)를 거쳐 제1부(31a)가 끼워지게 되므로, 제1아암(31) 및 제1도어(10)는 제6도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2아암의 절제부(62a)에는 제2캠부(32)의 경사부(32e)와 제2부(32c) 및 경사부(32d)를 거쳐 제1부(32a)가 끼워지게 된다. 이에 따라 제2아암(62) 및 제2도어(20)는, 제2아암(62)의 절제부(62a)에 제2캠부(32)의 경사부(32e)를 거쳐 제2부(32c)가 끼워지는 동안에는 제6도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그 후 경사부(32d)를 거쳐 제1부(32a)가 끼워지는 동안에는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설명 및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도어를 회동 구동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구성요소는, 상술한 종래 도어구동장치의 구성요소에 비하여 상당히 단순하다. 즉, 제2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종래 도어 구동장치가 복수의 캠홈(3a,3b)을 가지는 캠부재(3), 레버부재들(4,5), 복수의 링크(5a,5b) 및 이 부재들을 상호 결합하기 위한 수단(미도시) 등 다수의 부품을 필요로 하는 것과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는 케이스(9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면 복수의 캠부(31,332)를 가지는 캠축(30)과 이 캠축의 고정을 위한 수단만 구비하면 된다. 따라서, 부품비가 절감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작업성이 향상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캠축(30)의 회동에 의해 두 개의 도어(10,20)를 구동하는 것에 대해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예를 들어 다른 하나의 도어를 더 회동구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캠축의 적절한 위치에 제3캠부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추가되는 도어의 회동중심축에 절제부를 가지는 제3아암을 고정한 후, 상기 제3캠부가 제3아암의 젤제부에 끼워지도록 하면 됨을 쉽게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도 내지 제6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캠축(30)을 상기 컨트롤케이블(80)에 의해 회동 구동하였으나, 모터(미도시) 등의 액튜에이터를 사용하여 캠축을 회동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조케이스의 도어 구동장치는, 각 도어의 회동중심축에 고정된 아암들에 절제부를 형성하고, 외주면에 대해 돌출된 복수의 캠부를 가지는 캠축을 공조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복수의 캠부가 아암들의 절제부에 각각 끼워지도록 하여, 캠축의 회동시 캠부들에 의해 아암들 및 도어들이 회동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도어들의 회동을 위한 부품수가 감소되어 원가절감 및 생산성향상에 크게 기여하게 된다.

Claims (1)

  1. 자동차용 공조케이스 내의 공기유출구들의 개폐를 위해 그 공조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도어를 회동 구동시키기 위한 공조케이스의 도어 구동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일측단부는 상기 각 도어의 회동중심축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에는 절제부가 형성된 복수의 아암부재와, 상기 공조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외주에는 상기 각각의 아암부재의 절제부에 끼워져 구속되는 복수의 캠부가 돌출 형성된 캠축을 구비하여, 상기 캠축의 회동시에 상기 각 캠부에 의해 그 캠부가 끼워져 구속된 아암 및 그 아암에 고정된 도어가 회동 구동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구동장치.
KR1019950054685A 1995-12-22 1995-12-22 공조케이스의 도어 구동장치 KR100200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4685A KR100200654B1 (ko) 1995-12-22 1995-12-22 공조케이스의 도어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4685A KR100200654B1 (ko) 1995-12-22 1995-12-22 공조케이스의 도어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4622A KR970034622A (ko) 1997-07-22
KR100200654B1 true KR100200654B1 (ko) 1999-06-15

Family

ID=19443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4685A KR100200654B1 (ko) 1995-12-22 1995-12-22 공조케이스의 도어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065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4622A (ko) 1997-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28475A (en) Air flow control valve for a HVAC module
EP0296555B1 (en) Drum-shaped distributor for motor vehicle air-conditioning systems
GB2168786A (en) An air distribution valve for an air heater
KR100200654B1 (ko) 공조케이스의 도어 구동장치
JPH10297247A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のドア作動装置
JP2527559Y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の制御ドア
US5025711A (en) Simultaneous temperature and mode selector for heating and cooling
KR10142999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932627B1 (ko) 차량의 공조장치용 캠과 액츄에이터 결합구조
KR200145276Y1 (ko) 자동차용 공기 조화 케이스
JPH0525291Y2 (ko)
JP3351027B2 (ja) 車両用ヒータ装置のレバー支点構造
JP3323717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のダンパ駆動機構
KR200215263Y1 (ko) 송풍기
WO2015083752A1 (ja) 車両用空調装置のダンパ開閉機構
WO2023203946A1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0158728Y1 (ko) 공기조화장치용 인렛 덕트
KR20000034121A (ko) 자동차 공조장치의 송풍전환용 도어 조립체
KR100594843B1 (ko) 자동차 공조장치의 송풍모드 전환장치
KR20040102529A (ko) 공기조화장치용 도어 구동유닛
JPH0616807Y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KR100845263B1 (ko) 자동차 공조장치의 도어조작용 캠기구
KR20020078821A (ko) 차량의 공조장치
KR930002805Y1 (ko) 자동차용 공조기의 공기 분배장치
KR200147328Y1 (ko) 자동차의 에어밴트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