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0514B1 - 자동 집진 칠판 지우개 및 그에 따른 충전대 - Google Patents

자동 집진 칠판 지우개 및 그에 따른 충전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0514B1
KR100200514B1 KR1019970007770A KR19970007770A KR100200514B1 KR 100200514 B1 KR100200514 B1 KR 100200514B1 KR 1019970007770 A KR1019970007770 A KR 1019970007770A KR 19970007770 A KR19970007770 A KR 19970007770A KR 100200514 B1 KR100200514 B1 KR 100200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lt
dust collecting
roller
eraser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7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2806A (ko
Inventor
임익수
Original Assignee
강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민수 filed Critical 강민수
Priority to KR1019970007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0514B1/ko
Publication of KR19980072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2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0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0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21/00Blackboard or slate cleaning devices
    • B43L21/02Blackboard or slate cleaning devices with means for absorbing the chalk d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43L19/0006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motor-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43L19/0056Holders for era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43L19/04Fibrous erasers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자동 집진 칠판 지우개 및 충전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자동 집진 칠판 지우개는 몸체(10)내의 펠트구동롤러(41), 종동롤러(42) 및 가이드롤러(43)로 안내되어 이송가능하게 설치된 무한 궤도형 펠트(20)와, 상기 무한 궤도형 펠트(20)의 내측면을 연속적으로 타격하여 탈진(脫塵)시키는 돌개비(71)와, 전기모터(4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펠트구동롤러(41) 및 돌개비(71)를 회전시키는 탈진구동부와, 돌개비(71)에 의해 탈진된 분필가루를 집진통(30) 안으로 이송하여 저장하기 위한 집진구동부와, 전기모터(4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으로 구성되고, 본 발명의 충전대(100)는 지우개(1)가 장착되는 장착부(110)와, 상기 장착부에 구비된 복수개의 접속단자(113a)∼(113c)와, 상기 접속단자(113a)∼(113c)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탈진 및 충전상태에 따라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콘트롤부(120)로 구성된다.
따라서 칠판 표면에 쓰여진 분필적(粉筆跡)을 지우고 난후 지우개에 묻은 분필가루를 자동으로 집진하여 청소하는 것이 용이하고 동력원인 2차전지의 충전이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 집진 칠판 지우개 및 그에 따른 충전대
본 발명은 자동 집진 칠판 지우개 및 그에 따른 충전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칠판 표면에 쓰여진 분필적(粉筆跡)을 지우고 난후 지우개에 묻은 분필가루를 자동으로 집진하여 청소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동력원인 전지의 충전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을 편리하도록 한 자동 집진 칠판 지우개 및 그에 따른 충전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칠판에 쓰여진 분필적을 지울 때 스폰지 또는 솜등이 내장되어 헝겁으로 만들어진 칠판 지우개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통상의 칠판 지우개는 헝겊의 표면적이 작기 때문에 많은 양의 분필적을 지울 경우 지우개의 표면에 분필가루가 쉽게 포화상태가 되므로 칠판 표면에 지우개가 지나간 자리에 분필가루가 남게 되어 칠판 표면이 매우 지저분하게 되었으며, 분필가루가 칠판 주위로 떨어지거나 대기로 날아 다니게 되므로 교육환경을 저해하였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칠판을 지움으로써 발생된 분필가루를 자동으로 집진하여 제거를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분필가루가 날리는 것을 방지하여 교육환경을 개선시키고, 사용자가 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크기의 단일품으로 제작하여 이동을 자유롭게 함으로써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자동 칠판 지우개를 개발하였고, 1996년 특허출원공고 제 13413 호에 개재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자동 칠판 지우개는 분필가루가 자동으로 집진되어 사용이 편리하나, 무한 궤도형 펠트가 회전할 경우 구동장력으로 무한 궤도형 펠트와 미끄럼 방지판등과의 마찰저항에 의한 회전부하가 과도하게 증가되므로 전력소모량이 증가함과 동시에 무한 궤도형 펠트의 회전속도가 감소되어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무한 궤도형 펠트에 묻은 분필가루를 탈진함에 있어서도 무한 궤도형 펠트와의 마찰저항이 커지므로 그 만큼 전기모터의 용량이 증가되어 칠판 지우개의 몸체가 커지고 무거워지게 되며, 더욱이 브러쉬, 블레이드 드럼 및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무한 궤도형 펠트로부터 제거된 분필가루를 집진통까지 이동시켜 제거하는 방식이므로 분필가루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날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스크류는 회전하면서 분진을 한쪽방향으로 이송시킨 후 스크류에 구비된 블레이드로 집진통내에 밀어 넣도록 된 것이므로 그 집진속도와 분진 이송효과의 미비로 성능이 저하되었다.
그리고 전기공급을 위해 1차전지(건전지)를 사용하므로 매번 교체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비용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무한 궤도형 펠트의 구동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마찰저항을 감소시켜 무한 궤도형 펠트의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력소모량을 감소시키고 탈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기모터의 용량을 감소시켜 몸체의 전체 크기 및 무게를 줄일 수 있는 자동 집진 칠판 지우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우 간단한 구조로 무한 궤도형 펠트에 묻은 분필가루를 효과적으로 털어내어 집진통으로 집진시킴으로써 집진성능을 향상시키고 부품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집진통내의 분필가루 청소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자동 집진 칠판 지우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공급을 충전식 2차전지로 대체하고 필요시 충전할 수 있도록 하여 건전지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고, 지속적으로 소요되는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는 자동 집진 칠판 지우개의 충전대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집진 칠판 지우개 및 충전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집진 칠판 지우개의 좌측커버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집진 칠판 지우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F-F선 확대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대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G-G선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H-H선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대의 우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우개 9, 11 : 좌,우측커버
9a : 후크돌기 10 : 몸체
10a : 반구형홈 12, 117 : 바닥판
13, 14 : 내부좌,우판 13a, 14a : 내부좌,우후판
13b : 후크홀더 15 : 내부후판
20 : 무한 궤도형 펠트 21 : 스폰지
22 : 미끄럼방지판 30 : 집진통
31 : 배출커버 32 : 힌지핀
33 : 걸림돌기 34 : 후크레버
35, 61 : 인장코일스프링 36 : 투시창
41 : 펠트구동롤러 42 : 종동롤러
43 : 가이드롤러 44 : 전기모터
45 : 모터풀리 46 : 돌개비풀리
47, 53 : 벨트 48, 49, 50 : 감속기어군
51, 52 : 풀리 54a : 고정판
54b : 홈부 54c : 고정핀
54, 57 : 레버 55, 58 : 상,하부장력롤러
56 : 토션스프링 59 : 기어
60 : 회동레버 60a : 기어부
60b : 경사부 60c : 돌출편
62, 125, 128 : 버튼 70 : 돌개비기어
71 : 돌개비 72 : 전달기어
73, 74 : 상,하부집진롤러 75, 76 : 종동기어
77 : 중계기어 78 : 푸쉬롤러
79 : 지지축 81 : 2차전지
82a∼82c : 단자 100 : 충전대
110 : 장착부 111 : 지지벽
112 : 가이드레일 113a∼113c : 접속단자
114 : 홀더 115 : 볼
116, 131a : 스프링 118 : 슬라이드판
119 : 고정대 120 : 콘트롤부
121 : 회로기판 122 : 어뎁터
124 : 충전스위치 126, 127 : 램프
129 : 솔 130 : 스위치
131 : 잠금버튼
상기의 목적은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의 후방부에 연이어 형성된 집진통과, 상기 몸체내의 전, 후방측에 회전자유롭게 설치된 펠트구동롤러, 종동롤러 및 가이드롤러로 안내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부가 몸체의 하부로 노출된 무한 궤도형 펠트와, 상기 집진통에 근접한 몸체내에 회전자유롭게 설치되어 무한 궤도형 펠트의 내측면을 연속적으로 타격하여 탈진시키는 돌개비와, 상기 몸체내에 설치된 전기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펠트구동롤러 및 돌개비를 회전시키는 탈진구동부와, 상기 몸체와 집진통 사이에 설치되어 돌개비에 의해 탈진된 분필가루를 집진통 안으로 이송시켜 저장하기 위한 집진구동부와, 상기 전기모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재충전이 가능한 2차전지, 상기 2차전지 및 전기모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외부로 일부 노출되도록 설치된 복수개의 충전용 및 전기모터구동용 단자로 이루어진 전원공급수단을 포함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집진 칠판 지우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우개의 양측벽을 지지하는 지지벽, 지우개 바닥면의 양측 가장자리부가 일정높이 이격되어 안내되는 가이드레일, 지우개의 하부로 노출된 무한 궤도형 펠트가 접촉되지 않도록 깊이를 설정한 바닥판으로 이루어진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지우개가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지우개의 충전용 및 전기모터구동용 단자와 대향하도록 장착부의 가이드레일 상에 구비한 복수개의 접속단자와, 상기 장착부의 일측에 연이어 구비된 것으로 상기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지우개의 전기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충전 전원을 지우개의 2차전지로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충전스위치와 그 상면으로 노출되어 충전스위치를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된 버튼을 구비하는 콘트롤부를 포함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집진 칠판 지우개의 충전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집진 칠판 지우개 및 그의 충전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집진 칠판 지우개의 좌측커버를 분리하여 무한 궤도형 펠트의 교환과정을 나타낸 것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집진 칠판 지우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지우개(1)는 크게 몸체(10)와, 이 몸체(10)의 하부로 일부 노출되어 칠판에 쓴 분필적을 지우기 위한 무한 궤도형 펠트(20)와, 상기 무한 궤도형 펠트(20)에 묻은 분필가루를 집진하기 위한 집진통(30)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무한 궤도형 펠트(20)를 구동하고 무한 궤도형 펠트(20)에 묻은 분필가루를 털어내기 위한 탈진구동부와, 무한 궤도형 펠트(20)로부터 털어진 분필가루를 집진통(30)으로 모이게 하는 집진구동부와, 2차전지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수단을 몸체(10) 내부에 구비한다.
상기 몸체(10)는 한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갖는 좌측 및 우측커버(9)(11)와 바닥판(12)으로 이루어지고, 좌측 및 우측커버(9)(11) 내부에는 각종 구동부품들을 설치하기 위한 내부좌판(13), 내부우판(14), 내부좌후판(13a), 내부우후판(14a) 및 내부후판(15)이 형성되며, 집진통(30)은 내부후판(15)을 사이에 두고 몸체(10)의 후방에 연이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좌측커버(9)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커버(11)와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에 설치된 무한 궤도형 펠트(20)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된 것으로, 내부좌판(13)의 일측벽에 형성된 후크홀더(13b)에 좌측커버(9)의 내측벽에 형성된 후크돌기(9a)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좌측커버(9)의 또 다른 일측벽에 스프링(131a)으로 탄력설치된 잠금버튼(131)이 우측커버(11)의 대향측벽에 걸림유지되어 분리 결합가능하게 되어 있다.
무한 궤도형 펠트(20)는 상기 내부좌판(13)과 내부우판(14) 사이에 위치하고, 일부가 바닥판(12)을 관통하여 몸체(10)의 하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도 4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2)과 무한 궤도형 펠트(20)의 내측면 사이에 완충역할을 하는 스폰지(21)가 개재되고, 스폰지(21)와 무한 궤도형 펠트(20) 사이에는 무한 궤도형 펠트(20)의 좌, 우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저면에 요철을 형성한 미끄럼방지판(22)이 개재되어 있다.
탈진구동부는, 무한 궤도형 펠트(20)를 몸체(10) 내의 전방 및 후방에서 각각 걸어지지하는 펠트구동롤러(41) 및 종동롤러(42)와, 몸체(10)의 후방 하측에 설치된 가이드롤러(43)로 이루어지고, 펠트구동롤러(41), 종동롤러(42) 및 가이드롤러(43)는 내부좌판(13)과 내부우판(14)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설치된다.
상기 펠트구동롤러(41)는 전기모터(44)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으로, 전기모터(44)로부터 펠트구동롤러(41)까지의 동력전달구성은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모터(44)의 축에 모터풀리(45)를 설치하고, 펠트구동롤러(41)의 하부에 위치하여 양단이 내부좌판(13)과 내부우판(14)에 회전자유롭게 지지된 돌개비(71)의 내부좌판(13)측 일단에 돌개비풀리(46)를 설치하여 모터풀리(45)와 돌개비풀리(46)를 벨트(47)로 연결함으로써 전기모터(44)의 동력이 돌개비(71)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돌개비(71)의 내부우판(14)측 일단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개비기어(70)를 설치하고 작은기어와 큰기어가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 1감속기어군(48)을 이맞물림시키며, 제 1감속기어군(48)은 연속하여 제 2감속기어군(49) 및 제 3감속기어군(50)과 이맞물림시킴으로써 전기모터(44)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킨다.
또한 상기 펠트구동롤러(41)의 내부우판(14)측 일단과 상기 제 3감속기어군(50)의 축에 각각 풀리(51)(52)를 설치하고 벨트(53)로 연결함으로써 전기모터(44)의 동력이 제 1 내지 제 3감속기어군(48)∼(50)을 통해 감속되어 펠트구동롤러(41)로 전달되며, 이로써 무한 궤도형 펠트(20)가 펠트구동롤러(41)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회전되는 무한 궤도형 펠트(20)의 회전경로상에 무한 궤도형 펠트(20)의 회전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상부 장력조절수단과, 무한 궤도형 펠트(20)가 정지된 상태에서 칠판을 지울 때 무한 궤도형 펠트(20)를 바닥판(12)에 밀착시켜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하부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다.
상부 장력조절수단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펠트구동롤러(41)와 근접된 위치의 내부우판(14)에 레버(54)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레버(54)의 자유단부에 상부장력롤러(55)를 회전자유롭게 설치하며, 레버(54)의 회전축에는 토션스프링(56)을 설치하여 항상 상부장력롤러(55)가 무한 궤도형 펠트(20)를 가압하게 함으로써 펠트구동롤러(41)와 무한 궤도형 펠트(20)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구동력을 높이도록 되어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54)의 타측에 고정판(54a)이 형성되고, 이 고정판(54a)에 홈부(54b)가 형성되며, 내측우판(14)에는 고정핀(54c)이 설치되어 무한 궤도형 펠트(20)의 교체시 상부장력롤러(55)가 상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하부 장력조절수단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동롤러(42)와 인접한 내부우판(14)에 레버(57)를 회동가능하게 압축스프링(57a)로 탄력설치하고, 레버(57)의 자유단부에 하부장력롤러(58)를 회전자유롭게 설치하며, 레버(57)의 회전축에는 기어(59)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기어(59)는 내부우판(14)에 회전자유롭게 설치된 회동레버(60)의 기어부(60a)와 이맞물림되어 연동되고, 회동레버(60)의 일측에는 인장코일스프링(61)이 설치된 것으로, 인장코일스프링(61)은 하부장력롤러(58)가 항상 무한 궤도형 펠트(20)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회동레버(60)에 탄성력을 제공하게 되며, 이로써 무한 궤도형 펠트(20)의 정지시에는 하부장력롤러(58)가 항상 무한 궤도형 펠트(20)를 눌러 가압함으로써 무한 궤도형 펠트(20)가 바닥판(12)쪽으로 당겨져 밀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하부 장력조절수단에는 도 4의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장력롤러(58)를 무한 궤도형 펠트(20)로부터 선택적으로 이격시켜 장력을 완화함으로써 무한 궤도형 펠트(20)의 구동시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도록 하는 장력해제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장력해제수단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레버(60)의 일측에 형성된 경사부(60b)와 돌출편(60c)으로 이루어지고, 경사부(60b)는 몸체(10)의 우측커버(11)로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된 버튼(62)에 의해 연동되며, 돌출편(60c)은 우측커버(11)의 하부를 관통하여 몸체(10)의 하방으로 일부 노출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버튼(62)의 푸쉬조작에 따라 버튼(62)의 일측이 회동레버(60)의 경사부(60b)를 누르게 되면 경사부(60b)의 경사진 부분에 의해 회동레버(60)가 도 5의 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하게 되므로 기어(59)가 이와 연동하여 하부장력롤러(58)를 도 4의 가상선 상태와 같이 회동시켜 무한 궤도형 펠트(20)로부터 이격시키게 되고, 또한 우측커버(11)의 하부로 노출된 돌출편(60c)을 누르게 되면 회동레버(60)가 역시 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하므로 버튼(62)의 푸쉬조작과 마찬가지로 하부장력롤러(58)가 무한 궤도형 펠트(20)로부터 이격되어 무한 궤도형 펠트(20)에 작용하던 장력이 제거된다.
이때 상기 버튼(62)은 전기모터(44)의 구동을 온, 오프시키기 위한 것으로, 버튼(62)의 일단이 전기모터(44)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내부의 온, 오프 스위치(3)를 조작하도록 되어 버튼(62)을 누를 때 전기모터(44)가 구동되어 탈진기능이 수행됨과 동시에 하부장력롤러(58)를 무한 궤도형 펠트(20)로부터 이격시켜 무한 궤도형 펠트(2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고, 누르고 있던 버튼(62)을 누름해제하여 원위치 시키면 전기모터(44)의 구동이 정지되어 무한 궤도형 펠트(20)의 회전이 정지됨과 동시에 인장되었던 인장코일스프링(61)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하부장력롤러(58)가 무한 궤도형 펠트(20)를 다시 눌러 장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집진구동부는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펠트구동로울러(41)의 내부좌판(13)쪽에 전달기어(72)를 설치하고, 이 전달기어(72)를 통해 전기모터(44)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게 된다.
즉 몸체(10)와 집진통(30) 사이의 내부후판(15)에 소정크기의 개구를 형성하고, 이 개구위치에 상부집진롤러(73)와 하부집진롤러(74)를 설치하되, 양단이 내부좌후판(13a)과 내부우후판(14a)에 회전지지되도록 설치하고, 상부집진롤러(73)와 하부집진롤러(74)의 내부좌후판(13a)쪽 일단에 각각 종동기어(75)(76)를 설치하여 상호 이맞물림시킨다.
또한 상기 전달기어(72)와 상부집진롤러(73)의 종동기어(75) 사이의 내부좌후판(13a)에 중계기어(77)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전달기어(72)와 종동기어(75)에 각각 이맞물림시켜 전달기어(72)의 회전동력이 중계기어(77)를 통해 종동기어(75)에 전달되어 상부 및 하부집진롤러(73)(74)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며, 상부 및 하부집진롤러(73)(74)는 분필가루가 이송할 수 있는 약간의 틈새가 있도록 직경을 설정함과 동시에 상부집진롤러(73)는 무한 궤도형 펠트(20)와 충격간섭예방을 위한 약간의 여유틈새가 있도록 하고, 상부집진롤러(73)의 상부에는 솔(129)을 설치하여 미쳐 털리지 않은 분필가루를 쓸어내리도록 한다.
그리고 하부집진롤러(74)에 푸쉬롤러(78)를 설치하여 하부집진롤러(74)와 일정틈새가 유지되도록 하고, 푸쉬롤러(78)의 양단은 내부좌후판(13a)과 내부우후판(14a)에 회전지지되도록 하며, 푸쉬롤러(78)의 원주면이 무한 궤도형 펠트(20)에 밀착되어 일정량 압박하도록 설치한다.
이때 펠트구동롤러(41)의 하부에 설치된 돌개비(71)는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으로 복수개의 날개를 갖고 각각의 복수개의 날개는 원주방향으로 일정각도 위상차를 갖도록 배열설치된 것으로, 회전시 그 끝단이 무한 궤도형 펠트(20)의 내측을 타격하도록 길이가 설정되고, 상부집진롤러(73)와 푸쉬롤러(78) 사이지점을 타격하도록 되어 있으며, 펠트구동롤러(41)와 돌개비(71) 사이거리를 단축시키기 위해 돌개비(71)의 회전시 간섭되는 펠트구동롤러(41)의 일부분이 삽입된 구성이다.
따라서 돌개비(71)의 회전으로 무한 궤도형 펠트(20)를 연속적으로 타격하므로 표면의 분필가루가 이탈되어 상부집진롤러(73) 및 푸쉬롤러(78) 사이로 떨어지게 되고, 상부집진롤러(73)와 하부집진롤러(7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분필가루는 상부 및 하부집진롤러(73)(74)에 의해 집진통(30)으로 이송되어 쌓이게 되며, 하부집진롤러(7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푸쉬롤러(78)는 무한 궤도형 펠트(20)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이들 사이로 집진통(30)내의 분필가루가 역류되지 않는다.
또한 집진통(30)내에 하부집진롤러(74)와 선접촉하는 지지축(79)을 설치하여 하부집진롤러(74)의 표면에 묻은 분필가루가 지지축(79)과 선접촉하는 과정에서 제거되어 집진통(30)으로 완전히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집진구동부에 의해 분필가루가 집진되는 집진통(30)은,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통(30)내의 분필가루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커버(31)와, 상기 배출커버(31)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잠금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배출커버(31)는 분필가루를 배출시키는 것이 용이하도록 집진통(30)의 하부에 형성하고, 일단을 힌지핀(32)으로 회전자유롭게 설치하여 개폐가능하게 한다.
또한 잠금수단은 배출커버(31)의 일측에 걸림돌기(33)를 형성하고, 집진통(30)측에는 상기 걸림돌기(33)로부터 선택적으로 걸림유지되는 후크레버(34)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여 외부에서 후크레버(34)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후크레버(34)에 인장코일스프링(35)을 설치하여 후크레버(34)가 항상 배출커버(31)의 걸림돌기(33)에 걸림유지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후크레버(34)의 조작에 의해 배출커버(31)가 개폐되도록 하고, 집진통(30)의 후방측면의 일부는 투명재질의 투시창(36)을 형성하여 집진통(30) 내부에 집진된 분필가루의 양을 확인하여 배출시기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탈진구동부 및 집진구동부는 전기모터(44)의 구동력으로 구동되고, 전기모터(44)는 2차전지(8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으로, 2차전지(81)의 충전수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우판(14)측 하부에 설치된 3개의 단자(82a)∼(82c)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3개의 단자(82a)∼(82c)중, 예를 들면 제 1 단자(82a)는 공통의 접지로 사용하고, 제 2 단자(82b)는 2차전지(81)로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용으로 사용하며, 제 3 단자(82c)는 전기모터(44)로 전원을 공급하여 탈진구동부 및 집진구동부의 구동시 전기모터구동용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3개의 단자(82a)∼(82c)는 2차전지(81) 및 전기모터(4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지며, 후술되어질 충전대에 의해 2차전지(81)를 충전하고, 전기모터(44)를 구동시켜 탈진기능을 수행할 때 사용되어진다.
이러한 구성의 자동 칠판 지우개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한 궤도형 펠트(20)의 구동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칠판에 적힌 분필적을 지우게 된다. 이와 같이 무한 궤도형 펠트(20)의 구동이 정지된 상태에서는 하부장력롤러(58)가 인장코일스프링(61)의 탄성력에 의해 무한 궤도형 펠트(20)를 눌러 바닥판(12)쪽으로 밀착시키고 있으며, 바닥판(12)과 무한 궤도형 펠트(20) 사이에 구비된 미끄럼방지판(22)의 요철에 의해 칠판 표면과의 마찰시 무한 궤도형 펠트(20)의 유동 및 좌, 우 미끄러짐이 방지되는 것이고, 이로써 칠판을 효율적으로 지울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칠판을 지움으로써 무한 궤도형 펠트(20)에 묻은 분필가루는 지우개(1)의 측면으로 노출된 버튼(62)을 조작하여 탈진구동부 및 집진구동부를 동작시킴으로써 제거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62)을 누르게 되면 일단이 내부의 온,오프 스위치(3)를 온시켜 전기모터(44)를 구동시키게 되고, 전기모터(44)의 회전력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47)로 연결된 모터풀리(45) 및 돌개비풀리(46)를 통해 돌개비(71)를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돌개비(71)로 전달된 회전력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개비(71)의 다른 일단에 설치된 돌개비기어(70) 및 이와 연속적으로 이맞물림된 제 1 내지 제 3기어군(48)∼(50)을 통해 감속되어지고, 벨트(53)로 연결된 풀리(51)(52)에 의해 펠트구동롤러(41)가 회전됨으로써 무한 궤도형 펠트(20)가 구동되는 것이다.
이때 무한 궤도형 펠트(20)는 펠트구동롤러(41)로부터 종동롤러(42) 및 가이드롤러(43)를 경유하여 회전되어지고, 상부장력롤러(55)가 토션스프링(56)의 탄성력으로 항상 무한 궤도형 펠트(20)를 누르고 있는 것이므로 펠트구동롤러(41)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무한 궤도형 롤러(20)의 구동력이 커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62)을 푸쉬조작하는 것에 의해 버튼(62)의 일단이 회동레버(60)의 경사부(60b)를 누르게 되므로 회동레버(6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회동레버(60)의 기어부(60a)와 하부장력롤러(58)의 기어(59)가 이맞물림된 것이므로 하부장력롤러(58)가 도 4의 가상선 상태와 같이 무한 궤도형 펠트(20)로부터 이격되는 것이며, 이로써 무한 궤도형 펠트(20)의 장력이 약화되어 회전이 원활해진다.
이와 같이 무한 궤도형 펠트(20)가 원활하게 회전되어지면 몸체(10)와 집진통(30) 사이에 구비된 탈진구동부 및 집진구동부에 의해 무한 궤도형 펠트(20)에 묻은 분필가루가 제거되는 것으로,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개비(71)가 회전되어 회전하는 무한 궤도형 펠트(20)의 내측을 연속적으로 타격하게 되면, 무한 궤도형 펠트(20)의 표면에 묻은 분필가루가 이탈되어 상부집진롤러(73)과 푸쉬롤러(78) 사이로 떨어지게 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펠트구동롤러(41)의 전달기어(72) 및 중계기어(77)를 통해 상, 하부집진롤러(73)(74)의 종동기어(75)(76)로 회전력이 전달되므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집진롤러(73)와 하부집진롤러(74)는 각각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여 무한 궤도형 펠트(20)로부터 이탈된 분필가루를 집진통(30) 내부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때 푸쉬롤러(78)와 솔(129)은 무한 궤도형 펠트(20)에 밀착된 것이므로 분필가루가 다른쪽으로 빠져나갈 염려가 없으며, 솔(129)은 회전하는 무한 궤도형 펠트(20) 표면에 묻어 있는 일부 분필가루를 쓸어 내리게 되고, 하부집진롤러(74)와 회전하지 않는 지지축(79)은 선접촉된 것이므로 하부집진롤러(74)의 표면에 묻은 분필가루가 지지축(78)에 의해 분리되어 집진통(30)으로 떨어져 쌓이게 된다.
상기와 같이 분필가루가 집진통(30)에 쌓이게 되면 사용자는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통(30)에 형성된 투시창(36)을 통해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므로 쌓인 분필가루의 양을 확인한 후 배출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분필가루의 배출은 집진통(30)의 후크레버(34)를 외부에서 소정각도 회전시키면 인장코일스프링(35)이 인장되면서 후크레버(34)에 걸림유지된 배출커버(31)의 걸림돌기(33)가 걸림해제되는 것이고, 이로써 배출커버(31)는 도 4의 가상선 상태와 같이 힌지핀(3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열리게 되므로 내부의 분필가루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며, 배출커버(31)가 집진통(30)의 하부에 위치한 것이므로 분필가루의 배출이 매우 용이하다.
분필가루의 배출을 마친다음 다시 배출커버(31)를 닫으면, 배출커버(31)의 걸림돌기(33)가 인장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항상 걸림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후크레버(34)에 걸림유지되어 닫힌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3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집진 칠판 지우개의 충전대를 나타낸 것으로, 충전대는 지우개 장착부(110)와 콘트롤부(120)로 이루어지고, 장착부(110)는 지우개(1)의 양측벽을 지지하는 지지벽(111)과, 지우개(1)의 하부로 노출된 무한 궤도형 펠트(20)의 양쪽 가장자리부의 바닥판(12)이 놓여지는 가이드레일(112)과, 상기 지지벽(111)의 내측면에는 충전대(100)에 장착된 지우개(1)를 위치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하며, 지우개(1)의 충전용 및 전기모터구동용 단자(82a)∼(82c)와 대응하는 가이드레일(112)의 상면에는 충전용 및 전기모터구동용 단자(82a)∼(82c)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3개의 접속단자(113a)∼(113c)를 구비하고 있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은 홀더(114)에 의해 장착부(110)의 지지벽(111)에 설치된 복수개의 볼(115)로 이루어지고, 이 볼(115)은 스프링(116)에 의해 항상 지지벽(111)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이와 대응하는 지우개(1)의 양측벽에는 상기 볼(115)이 삽입되는 반구형홈(10a)을 형성하여 볼(115)이 반구형홈(10a)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지우개(1)가 충전대(100)의 장착부(1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장착부(110)에는 지우개(1)로부터 누출된 분필가루가 하부로 떨어져 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바닥판(117)이 구비되어 있고, 바닥판(117)의 일측에는 슬라이드판(118)이 결합되어 바닥판(117)에 떨어진 분필가루의 청소를 용이하도록 되어 있으며, 슬라이드판(118)의 끝단은 바닥판(117)의 표면보다 높게 형성하여 분필가루의 누출을 방지할 뿐만아니라 장착부(110)로부터 슬라이드판(118)을 분리하여 쌓인 분필가루를 청소하고 다시 조립할 수 있도록 하며, 지지벽(111)의 일측에 고정대(119)를 설치하여 칠판 등의 고정대상물에 충전대(1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3개의 접속단자(113a)∼(113c)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130)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이 스위치(130)는 외부로 노출된 버튼(128)에 의해 조작되도록한 것으로, 지우개(1)를 장착부(110)에 장착할 때 지우개(1)의 하부가 버튼(128)을 눌러 스위치(130)를 온 시킬 수 있도록 하여 탈진기능이 장착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수행되도록 한다.
그리고 3개의 접속단자(113a)∼113c)는 콘트롤부(120)의 회로기판(121)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회로기판(121)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뎁터(122)를 연결하여 전원이 어뎁터(122)와 회로기판(121)을 통해 3개의 접속단자(113a)∼(113c)에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지우개(1)를 장착부(110)에 장착할 때 자동으로 탈진기능을 수행하며, 콘트롤부(120)의 회로기판(121)에는 충전스위치(124)를 구비하여 상면으로 노출된 버튼(125)을 이용하여 조작하도록 함으로써 충전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콘트롤부(120)의 상면에 적색 및 녹색으로된 2개의 점등램프(126)(127)를 설치하여 내부의 회로기판(121)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적색의 점등램프(126)는 어뎁터(122)를 전원공급원에 접속 및 단락시킬 때 점, 소등되도록 하고, 녹색의 점등램프(127)는 충전기능이 수행될 때 점등되고 충전이 완료되면 자동적으로 소등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의 충전대는 도 1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우개(1)를 충전대(100)의 장착부(110)에 장착하게 되면, 스프링(116)으로 탄력설치된 지지벽(111)의 볼(115)이 지우개(1)의 양측면에 형성된 반구형홈(10a)에 삽입되므로 지우개(1)는 장착부(110)에 유동없이 고정된다.
또한 지우개(1)의 우측커버(11)를 관통하여 하부로 노출된 회동레버(60)의 돌출편(60c)은 지우개(1)를 충전대(100)의 장착부(110)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가이드레일(112)에 위치한 버튼(128)의 상면을 누르게 되므로 도 11의 스위치(130)가 온되고, 지우개(1)의 장착과 동시에 지우개(1)에 구비된 3개의 단자(82a)∼(82c)가 장착부(110)의 가이드레일(112)에 구비된 3개의 접속단자(113)∼(113c)와 밀접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진다.
한편, 회동레버(60)의 돌출편(60c)이 위로 눌려지게 되면 인장코일스프링(61)이 인장되면서 회동레버(60)가 소정각도 회동하게 되는 것이고, 이로써 기어(59)를 통해 하부장력롤러(58)가 무한 궤도형 펠트(20)로부터 이격되어 장력을 완화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지우개(1)를 충전대(100)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무한 궤도형 펠트(20)의 장력을 완화시킴으로써 탈진기능수행시 무한 궤도형 펠트(20)의 회전이 원활해진다.
상기 상태에서는 스위치(130)에 의해 자동적으로 전기접속이 이루어져 탈진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콘트롤부(120)의 상면으로 노출된 버튼(125)을 조작하게 되면, 내부의 충전스위치(124)가 동작되어 충전모드가 되면서 충전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으로, 탈진기능 수행시에는 전원이 전기모터구동용 단자를 통해 지우개(1)의 전기모터(44)로 공급되어 펠트구동부 및 탈진구동부를 구동시키게 되고, 충전기능 수행시에는 전원이 충전용 단자를 통해 지우개(1) 내의 2차전지(81)에 공급되어 충전된다.
지우개(1)의 탈진 또는 충전기능을 마친후 지우개(1)를 충전대(100)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스프링(116)이 압축되면서 볼(115)이 후진하므로 지우개(1)의 분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장착부(110)의 가이드레일(112) 상면에 돌출편(60c)이 눌려 소정각도 회동되어 있던 회동레버(60)는 인장코일스프링(61)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되므로 하부장력롤러(58)는 다시 원위치되어 무한 궤도형 펠트(20)의 장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그리고 지우개(1)를 탈진하는 과정에서 무한 궤도형 펠트(20)에 붙어있는 분필가루가 장착부(110)의 바닥판(117)과 슬라이드판(118) 상에 떨어지는 경우 도 12의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드판(118)을 장착부(110)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바닥판(117)상의 분필가루를 청소하기가 용이해진다.
이와 같이 탈진기능 및 충전기능이 구비된 지우개(1)의 무한 궤도형 펠트(20)를 장기간 사용하여 훼손되었을 경우, 상기 무한 궤도형 펠트(20)를 교환할 수 있다.
즉,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우개(1)의 잠금버튼(131)을 누르고 좌측커버(9)를 뒤쪽으로 이동시키면, 후크돌기(9a)와 후크홀더(13b)가 걸림해제되면서 몸체(10)와 분리되어 무한 궤도형 펠트(20)가 노출된다.
이때 하부장력롤러(58)의 레버(57)를 축방향으로 눌러 기어(59)를 기어부(60a)와의 이맞물림으로부터 이탈시킨 후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시키고 놓으면, 압축스프링(57a)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기어(59)와 기어부(60a)가 이맞물림 상태가 되고, 하부장력롤러(58)는 무한 궤도형 펠트(20)와 이격되어 일정한 상방향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부장력롤러(55)의 레버(54)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도 5에 도시된 고정판(54a)의 홈부(54b)가 고정핀(54c)에 삽입되어 상부장력롤러(55)가 일정한 상방향위치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이때 훼손된 무한 궤도형 펠트(20)를 좌방향으로 인출하고 새로운 무한 궤도형 펠트(20)로 교환하여 끼워 넣을 수 있게 된다.
무한 궤도형 펠트(20)의 교환후 상부장력롤러(55)와 하부장력롤러(58)는 상기한 방식의 역순으로 각각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돌려서 무한 궤도형 펠트(20)와 밀접시킴으로써 장력을 유지시키고, 좌측커버(9)의 잠금버튼(131)을 누르고 좌측커버(9)를 전방으로 밀면, 후크돌기(9a)와 후크홀더(13b)가 걸림유지되면서 몸체(10)와 결합되어 궤도형 펠트(20)의 교환이 완료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집진 칠판 지우개 및 그에 따른 충전대에 의하면, 탈진구동시에는 무한 궤도형 펠트의 장력이 약화되어 회전이 원활하게 됨으로써 전력소비가 줄고 탈진기능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며 칠판을 지울때에는 무한 궤도형 펠트의 장력이 증가되어 무한 궤도형 펠트의 유동이 방지됨으로써 사용이 매우 편리한 것이고, 탈진후 분필가루를 집진통으로 이송시키는 동작이 매우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집진성능이 향상되고 분필가루가 구동부내에 잔류하거나 다른 부분으로 누출되지 않아 항상 청결한 상태가 유지되며 집진통내의 분필가루 청소가 매우 편리한 것이고, 지우개의 구동에 사용되는 전원이 충전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충전대에 의해 충전작업이 용이하게 됨으로써 전지를 자주 교환해야하는 번거로움과 지속되는 비용부담이 해소된다.
또한 훼손된 무한 궤도형 펠트만을 교환해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기존 재래식 지우개와 비교하여 무한 궤도형 펠트의 수명이 길고 비용도 저렴하여 사용유지비용이 크게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5)

  1.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10), 상기 몸체(10)의 후방부에 연이어 형성된 집진통(30), 상기 몸체(10)내의 전, 후방측에 회전자유롭게 설치된 펠트구동롤러(41), 종동롤러(42) 및 가이드롤러(43)로 안내되어 이송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부가 몸체(10)의 하부로 노출된 무한 궤도형 펠트(20), 상기 집진통(30)에 근접한 몸체(10)내에 회전자유롭게 설치되어 무한 궤도형 펠트(20)의 내측면을 연속적으로 타격하여 탈진시키는 돌개비(71), 상기 몸체(10)내에 설치된 전기모터(4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펠트구동롤러(41) 및 돌개비(71)를 회전시키는 탈진구동부, 상기 몸체(10)와 집진통(30) 사이에 설치되어 돌개비(71)에 의해 탈진된 분필가루를 집진통(30) 안으로 이송하여 저장하기 위한 집진구동부 및 상기 전기모터(4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모터(4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재충전이 가능한 2차전지(81)와, 상기 2차전지(81) 및 전기모터(4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외부로 일부 노출되도록 설치된 복수개의 충전용 및 전기모터구동용 단자(82a)∼(82c)로 이루어진 전원공급수단을 포함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집진 칠판 지우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한 궤도형 펠트(20)를 가압하여 펠트구동롤러(41)와 무한 궤도형 펠트(20)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는 상부 장력조절수단과, 무한 궤도형 펠트(20)의 정지시 무한 궤도형 펠트(20)를 가압하여 장력을 증대시키고 무한 궤도형 펠트(20)의 회전시 무한 궤도형 펠트(20)로부터 이격되어 장력을 완화시키는 하부 장력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동 집진 칠판 지우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장력조절수단은, 펠트구동롤러(41)와 근접된 위치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레버(54)와, 상기 레버(54)의 끝단에 회전자유롭게 설치된 상부장력롤러(55)와, 상기 상부장력롤러(55)가 무한 궤도형 펠트(20)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토션스프링(56)과, 상부장력롤러(55)를 무한 궤도형 펠트(20)와 이격시켜 일정한 높이에 고정시키는 고정판(54a)의 홈부(54b) 및 고정핀(54c)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동 집진 칠판 지우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장력조절수단은, 종동롤러(42)와 근접된 위치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레버(57)와, 상기 레버(57)의 끝단에 회전자유롭게 설치되어 무한 궤도형 펠트(20)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하부장력롤러(58)와, 상기 레버(57)의 축에 고정된 기어(59)와, 상기 기어(59)에 기어부(60a)가 이맞물림되어 일축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에 경사부(60b)와 외부로 노출된 돌출편(60c)이 형성된 회동레버(60)와, 몸체(10)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회동레버(60)의 경사부(60b)를 눌러 회동레버(60)를 소정각도 회전시키기 위한 버튼(62)과, 상기 하부장력롤러(58)이 항상 무한 궤도형 펠트(20)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회동레버(6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인장코일스프링(61)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동 집진 칠판 지우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진구동부는, 전기모터(44)의 축에 고정된 모터풀리(45)와, 돌개비(71)의 일단에 고정된 돌개비풀리(46)와, 상기 모터풀리(45)와 돌개비풀리(46)를 연결하는 벨트(47)와, 상기 돌개비(71)의 타단에 고정된 돌개비기어(70)와, 상기 돌개비기어(70)에 이맞물림되고 작은기어와 큰기어가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 1감속기어군(48)과, 상기 제 1감속기어군(48)로부터 차례로 이맞물림되어 감속시키기 위한 제 2 및 제 3감속기어군(49)(50)과, 상기 제 3감속기어군(50)의 동축에 고정된 풀리(51)와, 펠트구동롤러(41)의 축에 고정된 풀리(52)와, 상기 풀리(51)(52)를 연결하는 벨트(5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동 집진 칠판 지우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구동부는, 몸체(10)와 집진통(30) 사이에 회전자유롭게 설치되어 무한 궤도형 펠트(20)와 일정 틈새 이격되어 설치된 상부집진롤러(73)와, 상기 상부집진롤러(30)의 하부에 회전자유롭게 되고 상부집진롤러(73)와 일정 틈새가 유지되도록 설치된 하부집진롤러(74)와, 상기 하부집진롤러(74)의 하부에 회전자유롭게 설치되어 하부집진롤러(74)와 일정 틈새 유지되고 무한 궤도형 펠트(20)를 압박하여 마찰구동하는 푸쉬롤러(78)와, 상기 상부집진롤러(73) 및 하부집진롤러(74)의 축에 각각 설치되어 상호 이맞물림된 종동기어(75)(76)와, 펠트구동롤러(41)의 축에 설치된 전달기어(72)와, 상기 상부집진롤러(73)의 종동기어(75)와 펠트구동롤러(41)의 전달기어(72) 사이에 상호 이맞물림되어 전달기어(72)의 회전력을 상부집진롤러(73)의 종동기어(75)에 전달하는 중계기어(7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동 집진 칠판 지우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돌개비(71)는, 복수개의 날개를 축방향으로 다수개 구비하고 각각의 복수개의 날개는 원주방향으로 일정각도 위상차를 갖도록 형성되며, 회전시 복수개의 날개가 상부집진롤러(73)와 푸쉬롤러(78) 사이지점을 지나는 무한 궤도형 펠트(20)의 내측면을 연속적으로 타격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동 집진 칠판 지우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한 궤도형 펠트(20)의 노출부분과 몸체(10) 사이에 스폰지(21)를 개재하고, 스폰지(21)와 무한 궤도형 펠트(20) 사이에는 요철형상을 갖는 미끄럼방지판(22)을 개재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동 집진 칠판 지우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통(30)은, 하부에 힌지핀(32)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는 배출커버(31)와, 상기 배출커버(31)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잠금수단을 구비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동 집진 칠판 지우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배출커버(31)에 형성된 걸림돌기(33)와, 상기 집진통(3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걸림돌기(33)에 선택적으로 걸림유지되는 후크레버(34)와, 상기 후크레버(34)가 걸림돌기(33)에 걸림유지되는 방향으로 항상 탄성력을 제공하는 인장코일스프링(35)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동 집진 칠판 지우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한 궤도형 펠트(20)는, 일정폭의 넓이로된 원형 형상과 헝겊재질이고, 지우개(1)의 좌측커버(9)를 몸체(10)로부터 분리한 후 좌우방향으로 인출하고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동 집진 칠판 지우개.
  12. 지우개(1)의 양측벽을 지지하는 지지벽(111)과, 지우개(1) 바닥면의 양측 가장자리부가 일정높이 이격되어 안내되는 가이드레일(112)과, 지우개(1)의 하부로 노출된 무한 궤도형 펠트(20)가 접촉되지 않도록 깊이를 설정한 바닥판(117)과 청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분해조립이 가능한 슬라이드판(118)으로 이루어진 장착부(110), 상기 장착부(110)에 장착된 지우개(1)가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 상기 지우개(1)의 충전용 및 전기모터구동용 단자(82a)∼(82c)와 대향하도록 장착부(110)의 가이드레일(112)상에 구비한 복수개의 접속단자(113a)∼113c), 상기 접속단자(113a)∼113c)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지우개(1)의 장착시 전기모터(44)로 탈진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스위치(130), 상기 지우개(1)의 장착시 지우개의 저면에 눌리는 것에 의해 상기 스위치(130)를 동작시키도록 된 버튼(128) 및 상기 장착부(110)의 일측에 연이어 구비된 것으로, 상기 접속단자(113a)∼(113c)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탈진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고 충전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충전스위치(124)와, 상면으로 노출되어 상기 충전스위치(124)를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된 버튼(125)을 구비하는 콘트롤부(120)를 포함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집진 칠판 지우개의 충전대.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홀더(114)에 의해 장착부(110)의 지지벽(111)에 설치된 복수개의 볼(115)과, 상기 볼(115)을 지지벽(111)으로부터 탄력적으로 출몰가능하게 하는 스프링(116)과, 상기 볼(115)과 대향하는 위치의 지우개(1) 양측면에 형성되어 볼(115)이 걸림유지되는 반구형홈(10a)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동 집진 칠판 지우개의 충전대.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임의 고정대상물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대(119)를 더 포함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동 집진 칠판 지우개의 충전대.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부(120)는, 콘트롤부(120)에 전원이 인가되었음을 인식하기 위한 램프(126)와, 지우개(1)의 2차전지(81)에 대한 충전기능 수행시 점등되고 충전완료시 소등되는 램프(127)를 더 구비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동 집진 칠판 지우개의 충전대.
KR1019970007770A 1997-03-07 1997-03-07 자동 집진 칠판 지우개 및 그에 따른 충전대 KR100200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7770A KR100200514B1 (ko) 1997-03-07 1997-03-07 자동 집진 칠판 지우개 및 그에 따른 충전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7770A KR100200514B1 (ko) 1997-03-07 1997-03-07 자동 집진 칠판 지우개 및 그에 따른 충전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2806A KR19980072806A (ko) 1998-11-05
KR100200514B1 true KR100200514B1 (ko) 1999-06-15

Family

ID=19499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7770A KR100200514B1 (ko) 1997-03-07 1997-03-07 자동 집진 칠판 지우개 및 그에 따른 충전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05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94084A (zh) * 2016-09-28 2017-02-15 广西大学 一种扫描、吸尘黑板擦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45136B (zh) * 2018-01-10 2023-09-26 西安航空学院 一种新型黑板擦
CN109130641B (zh) * 2018-10-22 2024-03-26 赵嘉瑞 一种自清洁黑板擦
CN114043814B (zh) * 2021-12-07 2024-03-08 南京亭宣文化传媒有限公司 一种教育用多功能教育设备及教育用多功能教育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94084A (zh) * 2016-09-28 2017-02-15 广西大学 一种扫描、吸尘黑板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2806A (ko)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5172B1 (en) Sweeper
CN103027633B (zh) 机器人吸尘器
US20060260092A1 (en) Vacuum eraser for blackboards
CN115736713A (zh) 基站和机器人清洁系统
US20060242775A1 (en) Electric cleaning sweeper
US20110154588A1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JPS6379623A (ja) ブラシクリ−ナ
KR100200514B1 (ko) 자동 집진 칠판 지우개 및 그에 따른 충전대
EP1806239A1 (en) Eraser
CN113040674A (zh) 一种清洁系统
CN211324791U (zh) 一种尘盒及包括该尘盒的移动机器人及清洁系统
CN211251997U (zh) 一种自动换向的集尘黑板擦
CN107900913B (zh) 一种轴承加工用抛光机
CN218792101U (zh) 清洁机器人系统
KR20120121027A (ko) 무동력 간편청소기구
CN110128178A (zh) 一种动物粪便处理方法
CN208945782U (zh) 一种自动给料地面抛光设备
JP2004329618A (ja) 手動清掃具
US20050066467A1 (en) Manually-powered floor sweeper with vacuum port
CN210277082U (zh) 一种清洁装置
JP2002125899A (ja) コードレス電気掃除機および充電兼用集塵装置
CN109261336B (zh) 一种废旧皮革的回收设备
CN208677288U (zh) 自移动清洁机器人
CN1124130A (zh) 除尘器
CN111772540B (zh) 一种移动式高效两用落发清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