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9977B1 - 자동제빙기의 이빙모터 제어회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제빙기의 이빙모터 제어회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9977B1
KR100199977B1 KR1019960058359A KR19960058359A KR100199977B1 KR 100199977 B1 KR100199977 B1 KR 100199977B1 KR 1019960058359 A KR1019960058359 A KR 1019960058359A KR 19960058359 A KR19960058359 A KR 19960058359A KR 100199977 B1 KR100199977 B1 KR 100199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motor
switching transistor
moving moto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8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빈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9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99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 H02H7/08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against excessive load
    • H02H7/0851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against excessive load for motors actuating a movable member between two end positions, e.g. detecting an end position or obstruction by overload sign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4Producing ice by using stationary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2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 F25C2305/0221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rotating ice mou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제빙기의 이빙모터 제어회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제어회로는 이빙모터에 걸리는 부하전압을 검출하는 부하전압검출부와, 부하전압을 소정의 기준전압과 비교하는 비교부와, 비교부의 비교결과 상기 부하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클 때 이빙모터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이빙모터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이빙모터 및 관련 메카니즘을 파손으로부터 보호하여 자동제빙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제빙기의 이빙모터 제어회로 및 그 제어방법
본 발명은, 자동제빙기용 이빙모터 제어회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과부하의 발생시 이빙모터 및 관련 소자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제빙기의 이빙모터 제어회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의 냉동실에 설치되는 자동제빙기는 일반적으로, 얼음으로 될 물을 수용하는 얼음트레이와, 이 얼음트레이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와, 얼음트레이를 반전회전 및 복귀회전시킬 수 있는 이빙모터, 및 얼음트레이의 하부에 설치되어 얼음을 수용하는 얼음용기를 구비한다. 이러한 자동제빙기에서는, 먼저 얼음트레이가 수평으로 된 상태에서 급수장치에 의해 물을 공급하고 제빙을 실행한다. 제빙이 종료되면 이빙모터를 통해 얼음트레이를 반전시켜 비틀어, 얼음이 얼음트레이로부터 분리되어 얼음용기에 떨어지도록 한다. 얼음이 분리되면 얼음트레이를 다시 원위치로 복귀회전시켜 제빙수평위치로 되면, 급수 및 제빙작업을 재개한다. 이러한 이빙모터에 의한 얼음트레이의 반전회전과 복귀회전의 양은 이빙모터의 동작시간에 기초하여 제어되며, 기구적으로는 얼음트레이의 반전 및 복귀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제빙을 위한 수평위치에 대응하여 얼음트레이의 복귀회전을 멈춤시키는 복귀회전스톱퍼와, 반전제한위치에 대응하여 얼음트레이의 반전회전을 멈춤시키는 반전회전스톱퍼가 마련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자동제빙기에 있어서는, 냉장고의 최초 설치시 혹은 정전이나 전원플러그의 빠짐 등에 의해 전원이 차단된 후의 재기동시 얼음트레이의 수평위치를 설정할 때, 얼음트레이가 복귀회전스톱퍼 혹은 반전회전스톱퍼에 걸려 더 이상 회전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이빙모터가 계속 작동하여 과부하가 걸릴 수 있다. 또, 얼음트레이에 과도한 물이 공급되어 얼음의 양이 과도히 많은 경우에도, 이빙동작시에 이빙모터에 과부하가 걸릴 수 있다. 이러한 과부하가 발생하면, 이빙모터가 손상되거나 이빙모터제어부내의 소자들이 파괴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얼음트레이 등의 자동제빙기내 기구적 요소들이 파손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빙모터의 과부하 발생여부에 따라 이빙모터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관련 요소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제빙기의 이빙모터 제어회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자동제빙기의 요부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자동제빙기의 측단면도,
도 3은 개략적 제어블록도,
도 4는 이빙모터제어부와 과부하검출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평검출스위치 2 : 만빙검출스위치
3 : 마이크로컴퓨터 4 : 이빙모터
5 : 이빙모터제어부6 : 급수모터
7 : 급수모터제어부8 : 하우징
9 : 워엄기어13 : 최종기어
14 : 멈춤돌기15 : 복귀회전스톱퍼
16 : 얼음트레이17 : 제 1검지캠
17a : 제빙위치검출홈17b : 반전위치검출홈
18 : 반전회전스톱퍼19 : 제 2검지캠
20 : 작용아암21 : 만빙검출레버
22 : 만빙검출레버축25 : 트레이회전축
26 : 이빙온도센서27 : 얼음용기
33, 36 : 제어트랜지스터
31, 32, 34, 35 : 스위칭트랜지스터
46 : 비교기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얼음트레이와, 상기 얼음트레이를 반전회전 및 복귀회전시키는 이빙모터와, 상기 이빙모터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이빙모터제어부를 구비한 자동제빙기용 이빙모터 제어회로에 있어서, 상기 이빙모터에 걸리는 부하전압을 검출하는 부하전압검출부와, 상기 부하전압을 소정의 기준전압과 비교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의 비교결과 상기 부하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클 때 상기 이빙모터의 작동을 중단시키도록 상기 이빙모터제어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빙기용 이빙모터 제어회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얼음트레이를 반전회전 및 복귀회전시키는 이빙모터를 구비한 자동제빙기의 이빙모터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빙모터에 걸리는 부하전압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부하전압을 소정의 기준전압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결과 상기 부하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클 때 상기 이빙모터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빙기의 이빙모터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자동제빙기의 요부정면도이다. 이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얼음으로 만들어질 물을 수용하는 얼음트레이(16)는 트레이회전축(25)을 통해 하우징(8)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얼음트레이(16)의 저부에는 얼음트레이(16)의 온도를 감지하여 이빙시기를 판단하기 위한 온도신호를 발생하는 이빙온도센서(26)가 부착되어 있고, 얼음트레이(16)의 하부에는 얼음트레이(16)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진 얼음을 수용하는 얼음용기(27)가 마련되어 있다. 하우징(8)에는 또한, 만빙검출레버(21)가 만빙검출레버축(22)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만빙검출레버(21)는 얼음용기(27)내의 얼음양에 따라 승강회동하며, 얼음용기(27)이 만빙상태일 때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회동하여 후술할 만빙검출스위치를 작동시켜 만빙상태임을 알린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자동제빙기의 측면단도이다. 하우징(8)내에는, 얼음트레이(16)의 수평위치 검출용의 수평검출스위치(1)와, 얼음용기(27)의 만빙검출용의 만빙검출스위치(2)가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이들 수평검출스위치(1)와 만빙검출스위치(2)는 각각 마이크로스위치로 구성되어 있고, 도면상 상방으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작동조작되는 스위치레버(1a, 1b)를 각각 가지고 있다. 또한, 하우징의 일측에는 얼음트레이(16)를 정역회전시키기 위한 이빙모터(4)가 설치되어 있고, 이빙모터(4)는 워엄기어(9)와 제 1, 제 2 및 제 3기어(10, 11, 12)로 이루어진 감속기어열을 통하여 감속된 회전력을 최종기어(13)에 제공한다. 최종기어(13)의 중심에는 트레이회전축(25)이 일체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어, 이빙모터(4)의 정역회전에 의해 얼음트레이(16)는 정역회전하게 된다.
얼음트레이의 제빙수평위치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최종기어(13)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얼음트레이의 회전축과 일체회전하는 멈춤돌기(14)가 마련되어 있다. 이 멈춤돌기(14)는, 얼음트레이(16)의 제빙수평위치에 대응하여 마련된 복귀회전스톱퍼(15)에 맞닿아, 최종기어(13)가 얼음트레이(16)의 제빙수평위치를 넘어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는 한편, 이빙모터(4)에 부착된 반전회전스톱퍼(18)에 맞닿아 최종기어(13)가 반전회전방향에서 과도히 회전하는 것을 저지한다.
최종기어(13)에는 또한, 수평검출스위치(1)와 함께 얼음트레이(16)의 수평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제 1검지캠(17)이 일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 1검지캠(17)은 대체로 원형의 캠프로파일을 가지며, 제빙수평위치와 반전위치에 대응하여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된 제빙위치검출홈(17a)과 반전위치검출홈(17b)이 형성되어 있다. 수평검출스위치(1)의 스위치레버(1a)는 제 1검지캠(17)의 캠프로파일에 접촉하며, 스위치레버(1a)가 제 1검지캠(17)의 원형캠프로파일의 구간에 접촉할 때에는 가압되어 수평검출스위치(1)가 온작동상태로 되고, 스위치레버(1a)가 제빙위치검출홈(17a) 혹은 반전위치검출홈(17b)에 해당하는 구간에 접촉할 때에는 가압해제되어 수평검출스위치(1)는 오프작동상태로 된다.
제 1검지캠(17)에 부가하여 제 2검지캠(19)이 최종기어(13)와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 2검지캠(19)은, 제 1검지캠(17)의 제빙위치검출홈(17a)에 대응하는 원주구간의 양측에서는 작은 반경을 가지고, 반전위치검출홈(17b)에 대응하는 원주구간의 양측에서는 큰 반경을 갖는다. 제 2검지캠(19)의 캠프로파일에는 작용아암(20)이 접촉하여 제 2검지캠(19)의 회전에 따라 승강한다. 작용아암(20)은 만빙검출레버(21)의 만빙검출레버축(22)에 편심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작용아암(20)의 승강운동에 따라 만빙검출레버(21)도 승강회동하게 되며, 그 역도 성립한다. 작용아암(20)이 하강회동하면 작용아암(20)의 표면에 마련된 작용리브(23)가 만빙검출스위치(2)의 스위치레버(2a)에 작용하여 만빙검출스위치(2)를 온작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만빙검출스위치(2)는 얼음용기(27)의 만빙에 따른 만빙검출레버(21)의 상승회동에 의해서 뿐만아니라, 작용아암(20)이 제 2검지캠(19)의 회동에 기인하여 하강회동함에 의해서도 온작동되게 된다. 도 1 및 도 2의 자동제빙기에서 이빙모터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는 경우, 이빙모터를 과부하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제어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자동제빙기의 제어를 위한 개략적 제어블록도이다. 제어부로서 기능하는 마이크로컴퓨터(3)는, 수평위치검출스위치(1), 만빙검출스위치(2) 및 이빙온도센서(26)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으며, 이빙모터제어부(5)를 통해 이빙모터(4)를 제어하는 한편 급수모터제어부(7)를 통해 급수모터(6)를 제어한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3)는 과부하검출회로(40)로부터도 신호를 입력받는다.
과부하검출회로(40)는, 최종기어(13)의 멈춤돌기(14)가 복귀회전스톱퍼(15)에 맞닿아 제빙수평위치를 넘어 회전하지 못하게 될 때, 이때 발생하는 과부하 즉 복귀회전멈춤부하를 검출하여 마이크로컴퓨터(3)에 제공하며, 마이크로컴퓨터(3)는 이 신호에 기초하여 얼음트레이(16)가 제빙수평위치에 있음을 판단하는 동시에 이빙모터(4)의 작동을 중단시킨다. 동시에, 과부하검출회로(40)는, 최종기어(13)의 멈춤돌기(14)가 반전회전스톱퍼(18)에 맞닿아 회전저지될 때, 이때 발생하는 과부하 즉 반전회전멈춤부하를 검출하여 마이크로컴퓨터(3)에 제공하며, 마이크로컴퓨터(3)는 이 신호에 기초하여 이빙모터(4)의 반전회전구동을 중단시킨다.
도 4는 도 3의 이빙모터제어부(5)와 과부하검출회로(40)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이 회로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빙모터제어부(5)는 구동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전압(V2)을 적절히 스위칭하여 이빙모터(4)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제 1 내지 제 4스위칭트랜지스터(31, 32, 34, 35)와, 마이크로컴퓨터(3)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제 1 내지 제 4스위칭트랜지스터(31, 32, 34, 35)들의 스위칭동작을 제어하는 한쌍의 제 1 및 제 2제어트랜지스터(33, 36)를 가진다. 스위칭트랜지스터(31, 32, 34, 35)들중 제 2 및 제 4스위칭트랜지스터(32, 35)는 이빙모터(4)와 접지단자 사이를 단속하고, 나머지 제 1 및 제 3스위칭트랜지스터(31, 34)는 구동전원과 이빙모터(4) 사이를 단속한다.
그리하여, 이빙모터(4)에는 두가지의 전원공급라인이 형성된다. 즉 구동전원 - 제 1스위칭트랜지스터(31) - 이빙모터(4) - 제 4스위칭트랜지스터(35) - 저항(41) - 접지단자를 따르는 제 1전원공급라인과, 구동전원 - 제 3스위칭트랜지스터(34) - 이빙모터(4) - 제 2스위칭트랜지스터(32) - 저항(42) - 접지단자를 따르는 제 2전원공급라인이 형성된다. 이들 두 전원공급라인은 이빙모터(4)에 상호 반대방향의 구동전압을 제공하여, 이빙모터(4)를 정방향 혹은 역방향으로 구동한다.
이러한 이빙모터제어부(5)의 구성에 의해, 마이크로컴퓨터(3)의 제 1출력단자(OUT1)와 제 2출력단자(OUT2)에서 각각 로직 로우의 제어신호가 출력되어 제어트랜지스터(33, 36)의 베이스단자에 인가되면, NPN형으로 구성된 제어트랜지스터(33, 36)들은 턴오프상태로 되게 된다. 이들 제어트랜지스터(33, 36)가 턴오프됨에 따라, 각 컬렉터단자에 제공된 정전압(V1)은 제어트랜지스터(33, 36)들에 의해 차단되게 되며, 그에 따라 접지단자측 스위칭트랜지스터(32, 35)들의 베이스단자는 로직 로우의 상태로 된다. 베이스단자가 로직 로우의 상태이면 NPN형으로 구성된 스위칭트랜지스터(32, 35)는 턴오프상태로 되어, 두 전원공급라인이 모두 차단되어 구동전압(V2)이 이빙모터(4)에 공급되지 못하므로 이빙모터(4)는 정지상태로 있게 된다.
다음, 마이크로컴퓨터(3)의 제 1출력단자(OUT1)에 로직 로우의 제어신호가 출력되고 제 2출력단자(OUT2)에서 로직 하이의 제어신호가 출력되어 각 해당 제어트랜지스터(33, 36)의 베이스단자에 인가되면, 제 1제어트랜지스터(33)는 턴오프상태로 되는 한편 제 2제어트랜지스터(36)는 턴온되게 된다. 제 1제어트랜지스터(33)가 턴오프됨에 따라, 컬렉터단자에 제공된 정전압(V1)은 제 1제어트랜지스터(33)에 의해 차단되어, 제 2스위칭트랜지스터(32)의 베이스단자는 로직 로우의 상태로 된다. 이에 따라 제 2스위칭트랜지스터(32)는 턴오프상태로 되어, 제 2스위칭트랜지스터(32)를 포함한 제 2전원공급라인이 차단되게 된다. 제 2제어트랜지스터(36)가 턴온되면, 정전압(V1)이 제 4스위칭트랜지스터(35)의 베이스단자에 인가되므로, NPN형의 제 4스위칭트랜지스터(35)는 턴온되게 되며, 이에 따라 제 4스위칭트랜지스터(35)의 컬렉터단자는 그라운드레벨로 전환되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제 1스위칭트랜지스터(31)의 베이스전위는 로직 로우의 상태로 되게 된다. 제 1스위칭트랜지스터(31)는 PNP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베이스전위가 로우이면 턴온되게 된다. 이에 따라, 구동전원 - 제 1스위칭트랜지스터(31) - 이빙모터(4) - 제 4스위칭트랜지스터(35) - 저항(41) - 접지단자를 연결하는 제 1전원공급라인이 형성되게 된다. 그리하여, 구동전원으로부터 제공된 구동전압(V2)은 이빙모터(4)를 일정방향 예를 들어 이빙을 위한 반전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이빙모터(4)에 기어열을 통하여 작동적으로 연결된 얼음트레이(16)는 반전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마이크로컴퓨터(3)의 제 1출력단자(OUT1)에 로직 하이의 제어신호가 출력되고 제 2출력단자(OUT2)에서 로직 로우의 제어신호가 출력되어 각 해당 제어트랜지스터(33, 36)의 베이스단자에 인가되면, 제 1제어트랜지스터(33)는 턴온상태로 되는 한편 제 2제어트랜지스터(36)는 턴오프되게 된다. 제 2제어트랜지스터(36)가 턴오프됨에 따라, 그 컬렉터단자에 제공된 정전압(V1)은 제 2제어트랜지스터(36)에 의해 차단되어, 제 4스위칭트랜지스터(35)의 베이스단자는 로직 로우의 상태로 된다. 이에 따라 제 4스위칭트랜지스터(35)는 턴오프상태로 되어, 제 4스위칭트랜지스터(35)를 포함한 제 1전원공급라인이 차단되게 된다. 제 1제어트랜지스터(33)가 턴온되면, 정전압(V1)이 제 2스위칭트랜지스터(32)의 베이스단자에 인가되므로, 제 2스위칭트랜지스터(32)는 턴온되게 되며, 이에 따라 제 2스위칭트랜지스터(32)의 컬렉터단자는 그라운드레벨로 전환되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제 3스위칭트랜지스터(34)의 베이스전위는 로직 로우의 상태로 되게 된다. 제 3스위칭트랜지스터(34)는 PNP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베이스전위가 로우이면 턴온되게 된다. 이에 따라, 구동전원 - 제 3스위칭트랜지스터(34) - 이빙모터(4) - 제 2스위칭트랜지스터(32) - 저항(42) - 접지단자를 연결하는 제 2전원공급라인이 형성되게 된다. 그리하여, 구동전원으로부터 제공된 구동전압(V2)은 이빙모터(4)를 전술의 반대방향 즉 이빙후의 복귀를 위한 복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한편, 과부하검출회로(40)는, 제 4스위칭트랜지스터(35)의 에미터단자에 접속되어 이빙모터(4)가 정회전할 때 이빙모터(4)에 걸리는 전압 즉 부하전압을 검출하는 전류검출저항(41)과, 제 2스위칭트랜지스터(32)의 에미터단자에 접속되어 이빙모터(4)가 역회전할 때 이빙모터(4)에 걸리는 전압을 검출하는 전류검출저항(42)과, 정전압(V1)을 인가받아 소정 크기의 기준전압으로 분압하는 한쌍의 분압저항(43, 44)를 가진다. 전류검출저항(41, 42)에 의해 검출된 부하전압은 비교기(46)의 반전단에 입력되고, 두 분압저항(43, 44)을 통해 얻어진 기준전압은 비교기(46)의 비반전단에 입력되어 상호 비교된다. 비교기(46)에서 비교된 결과는 마이크로컴퓨터(3)의 입력단자(IN1)에 제공된다.
이빙모터(4)는 정회전과 역회전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선택적으로 구동되므로, 비교기(46)의 반전단에는 전류검출저항(41, 42)중 어느 하나에 의해 검출된 하나의 부하전압만이 입력되게 된다. 그리고, 기준전압값은 이빙모터(4)에 허용되는 최대의 부하에 대응하는 전압값으로서, 검출된 부하전압이 초과하여서는 아니되는 값으로 설정된다.
이러한 과부하검출회로(40)의 구성에 의하여, 이빙모터(4)가 전원의 공급에 의해 정회전 혹은 역회전하면, 이빙모터(4)에는 구동전압(V2)에 비례하는 구동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 전류는 전류검출저항(41, 42) 및 저항(45)에 의해 모터부하에 대응하는 소정의 부하전압값으로 변환되어 비교기(46)의 반전단에 입력된다. 비교기(46)에 입력된 부하전압은 분압저항(43, 44)을 통해 비반전단으로 입력된 기준전압과 비교된다.
부하전압이 기준전압보다 작을 경우, 즉 이빙모터(4)에 걸리는 부하가 허용범위내에 있을 경우에는, 비교기(46)로부터 로직 하이의 신호가 마이크로컴퓨터(3)의 입력단자(IN1)에 입력되며, 마이크로컴퓨터(3)는 비교기(46)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 이빙모터(4)가 과부하없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만약 이빙모터(4)에 과부하가 걸린 경우, 예를 들어 얼음트레이(16)에 얼음이 너무 많아 이빙시의 비틀림부하가 크거나 혹은 얼음트레이(16)를 반전 혹은 복귀회전시키는 중이 멈춤돌기(14)가 복귀회전스톱퍼(15) 혹은 반전회전스톱퍼(18)에 부딪혀 회전멈춤된 경우에는, 검출된 부하전압이 증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부하전압이 기준전압을 초과하게 된다. 그러면, 비교기(46)에서는 로직 로우의 신호가 출력되어 마이크로컴퓨터(3)에 입력되게 된다. 그러면, 마이크로컴퓨터(3)는 이빙모터(4)에 과부하가 걸렸음을 인지하고 두 출력단자(OUT1, OUT2)를 통해 로직 로우의 신호를 내보내어 이빙모터(4)의 작동을 중단시킨다.
따라서, 이빙모터(4)에 과부하가 발생하면 이빙모터(4)는 자동적으로 정지하게 되므로 과부하에 기인한 이빙모터(4)의 손상이나 관련 소자의 파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서 R1 내지 R11은 바이어스저항들이고, D1 내지 D4는 역류방지다이오드들이다.
과부하검출회로(40)로부터의 과부하 신호에 따라 이빙모터(4)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컴퓨터(3)는, 수평위치검출스위치(1) 및/또는 만빙검출스위치(2)로부터의 신호를 조합하여 이빙모터(4)를 적절히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이빙모터(4)가 복귀회전하여 제빙수평위치에 도달한 이후에, 과부하검출회로(40)에 의해 과부하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난 경우에는, 얼음트레이(16)의 멈춤돌기(14)가 복귀회전스톱퍼(15)에 걸리어 있는 상태에 있는 것이므로, 이빙모터(4)의 작동을 중단시킨 다음 급수후 제빙동작에 들어가면 된다. 또, 얼음트레이(16)가 이빙을 위한 반전동작중 과부하가 발생한 경우에는, 얼음트레이(16)가 반전제한범위까지 반전되었거나 혹은 과잉결빙에 의해 얼음트레이(16)의 뒤틀림부하가 큰 경우를 말하므로, 이빙모터(4)를 역전시키는 등의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서는 경보수단(미도시)을 통해 경보를 발생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빙모터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이빙모터 및 관련 메카니즘을 파손으로부터 보호하여 자동제빙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얼음트레이와, 상기 얼음트레이를 반전회전 및 복귀회전시키는 이빙모터와, 상기 이빙모터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이빙모터제어부를 구비한 자동제빙기용 이빙모터 제어회로에 있어서,
    상기 이빙모터에 걸리는 부하전압을 검출하는 부하전압검출부와,
    상기 부하전압을 소정의 기준전압과 비교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의 비교결과 상기 부하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클 때 상기 이빙모터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빙기용 이빙모터 제어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빙모터제어부는 구동전압을 스위칭하여 이빙모터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스위칭트랜지스터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상기 스위칭트랜지스터부의 스위칭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트랜지스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빙기용 이빙모터 제어회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트랜지스터부는 제 1 내지 제 4스위칭트랜지스트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전압은, 상기 제 1스위칭트랜지스터, 상기 이빙모터, 상기 제 4스위칭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4스위칭트랜지스터의 에미터단자에 접속된 저항을 통해 접지에 이르게 되는 제 1전원공급라인과, 상기 제 3스위칭트랜지스터, 상기 이빙모터, 상기 제 2스위칭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2스위칭트랜지스터의 에미터단자에 접속된 저항을 통해 접지에 이르게 되는 제 2전원공급라인을 따라, 상기 제어트랜지스트부의 스위칭동작에 의해 상기 이빙모터의 회전방향 및 중단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빙기.
  4. 얼음트레이를 반전회전 및 복귀회전시키는 이빙모터를 구비한 자동제빙기의 이빙모터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빙모터에 걸리는 부하전압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부하전압을 소정의 기준전압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결과 상기 부하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클 때 상기 이빙모터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빙기의 이빙모터 제어방법.
KR1019960058359A 1995-11-30 1996-11-27 자동제빙기의 이빙모터 제어회로 및 그 제어방법 KR1001999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50045707 1995-11-30
KR101995045707 1995-11-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99977B1 true KR100199977B1 (ko) 1999-06-15

Family

ID=19437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8359A KR100199977B1 (ko) 1995-11-30 1996-11-27 자동제빙기의 이빙모터 제어회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735130A (ko)
JP (1) JPH09178313A (ko)
KR (1) KR100199977B1 (ko)
CN (1) CN108086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347B1 (ko) * 2007-02-12 2008-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제빙장치
JP2010197015A (ja) * 2009-02-27 2010-09-09 Nidec Sankyo Corp 自動製氷機の駆動ユニット
CN102472547B (zh) * 2009-07-01 2015-02-25 汉克斯克拉福特公司 用于自动制冰机的控制模块
CN103162484A (zh) * 2011-12-09 2013-06-19 上海酒店设备股份有限公司 具有供电电压超低保护功能的制冰机
DE102012223628A1 (de) * 2012-12-18 2014-06-1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einem Eisbereiter-Temperatursensor
MX357171B (es) * 2013-09-06 2018-06-28 Hankscraft Inc Sistema ahorrador de energía de productor de hielo y módulo de control.
JP6760361B2 (ja) * 2018-12-27 2020-09-2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製氷機の運転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46633A (en) * 1955-01-14 1958-08-05 Theodore K Banks Protection device for motor driven equipment
US4123792A (en) * 1977-04-07 1978-10-31 Gephart Don A Circuit for monitoring the mechanical power from an induction motor and for detecting excessive heat exchanger icing
US4426851A (en) * 1982-08-26 1984-01-24 Reynolds Products Inc. Ice maker diagnostic system
JPH0733943B2 (ja) * 1989-11-15 1995-04-12 株式会社東芝 自動製氷装置
KR950025378A (ko) * 1994-02-15 1995-09-15 김광호 제빙기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735130A (en) 1998-04-07
JPH09178313A (ja) 1997-07-11
CN1080864C (zh) 2002-03-13
CN1153890A (zh) 1997-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2125B1 (ko) 자동제빙기 및 자동제빙기의 얼음트레이 위치제어방법
KR100199977B1 (ko) 자동제빙기의 이빙모터 제어회로 및 그 제어방법
US4942346A (en) Circuit for controlling rotational direction and rotational speed of an electric motor
US4341364A (en) Device for detecting irregular operative situations, particularly for tape decks
KR0182735B1 (ko) 자동제빙장치의 동력제어방법
US20030231116A1 (en) Safety system for an electrically driven medical delivery device and a computer-readable medium
KR980003352A (ko) 자동제빙기의 오동작 방지방법
KR100583901B1 (ko) 문서세단기의 터보 구동방법 및 장치
US7359166B2 (en) Method and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JPH0516846Y2 (ko)
JP3713965B2 (ja) 遠心分離機
KR100231150B1 (ko) 자동제빙기의 이빙모드 제어방법 및 그 장치
JPH0677689B2 (ja) 循環式精米機の始動装置
KR0115906Y1 (ko) 세탁기의 세탁모터 오동작 방지회로
KR890005906Y1 (ko) 모타의 과부하시 전원 차단회로
US6337523B1 (en) Automated operation of silicon controlled rectifier switches using sensors such as Schmitt devices
KR0134244Y1 (ko) 에어블로우시 주축회전 제어회로
JPH0932736A (ja) 送水ポンプの運転制御方法
RU202265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разгрузки тяжелых фракций из отсадочной машины
JPH0433636A (ja) 食器洗い機
JPS6210168B2 (ko)
KR890001715Y1 (ko) 모우터의 과부하 자동개폐회로
KR970028271A (ko) 제빙기의 이빙동작 제어장치
JPH06178772A (ja) 透視撮影台の姿勢制御装置
KR890000763Y1 (ko) 자동 제빙기 제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