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9532B1 - 충전기의 세정장치 - Google Patents

충전기의 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9532B1
KR100199532B1 KR1019930001377A KR930001377A KR100199532B1 KR 100199532 B1 KR100199532 B1 KR 100199532B1 KR 1019930001377 A KR1019930001377 A KR 1019930001377A KR 930001377 A KR930001377 A KR 930001377A KR 100199532 B1 KR100199532 B1 KR 100199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receiver
filling nozzle
connecto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1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7807A (ko
Inventor
미치오 우에다
다카오 미키
데쯔야 이우치
요시후미 미키
Original Assignee
미치오 우에다
시고쿠 가고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155956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19953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미치오 우에다, 시고쿠 가고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치오 우에다
Publication of KR930017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7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9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95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01Cleaning of filling devices
    • B67C3/002Cleaning of filling devices using cups or dummies to be placed under the filling heads
    • B67C3/004Cleaning of filling devices using cups or dummies to be placed under the filling heads permanently attached to the filling machine and movable between a rest and a work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7/00Concurrent cleaning, filling, and closing of bottles; Processes or devices for at least two of these operations

Landscapes

  • Filling Of Jars Or Cans And Processes For Cleaning And Sealing Jar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충전기의 세정장치는 충전액 탱크(13) 내부에 세정액을 공급하는 공급수단과, 탱크(13) 내부에 공급된 세정액을 충전 노즐(15)를 통하여 회수하는 회수수단을 갖추고 있다. 회수 수단은 충전 노즐(15)의 토출구에 접속되는 수용구(113)을 지니는 수액기(111)과 수액기(111)의 측벽에 수액기(111)의 내부와 연통하여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있는 측방 돌출형 도관(112)와, 일단부에 도관(112)의 선단부가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또 반대쪽단부가 회수 파이프(49)에 접속되어 있는 원통형 컨넥터(212)와, 도관(112)와 컨넥터(212)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충전 노즐(15)의 토출구에 수구(113)이 착탈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도록 컨넥터(212)를 충전 노즐(15)의 측방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지지수단과, 충전 노즐(15)의 토출구에 수액기(113)이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탱크(15)와, 수액기(111)를 착탈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는 연결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충전기의 세정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충전기 전체의 파쇄 단면을 포함하는 정면도.
제2도는 동 충전기의 충전액 탱크의 일부 확대 단면도.
제3도는 동 충전기의 충전 노즐의 수직 종단면도.
제4도는 동 충전기의 세정 장치의 수직 종단면도.
제5도는 동 세정 장치의 평면도.
제6도는 동 충전액 탱크내의 흡인 동작의 설명도.
제7도는 동 세정 장치에 의한 세정 동작의 설명도.
제8도는 동 세정 장치에 의한 다른 세정 동작의 설명도.
제9도는 동 세정 장치에 의한 또 다른 세정 동작의 설명도.
제10도는 동 세정 장치에 의한 또 다른 세정 동작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기본대 12 : 회전 지지축
13 : 충전액 탱크 15 : 충전 노즐
16 : 수용대 17 : 어댑터
21 : 개구부 24 : 밀봉링
28 : 슬립링 33 : 세정 파이프
61 : 노즐 본체 62 : 공기 배출관
62a : 하방 돌출부 64 : 토출관
66 : 스프링 82 : 상부 대경부
83 : 하부 소경부 85 : 아암
91,92 : 플랜지 94,95 : 캡너트
96,97 : 스러스트 와셔 111 : 수액기
112 : 도관 113 : 수용구
115 : 브래킷 117 : 플랜지
118 : 삽입부 212 : 커넥터
213 : 수평 핀
본 발명은 쥬스와 같은 액체를 용기에 충전하는 충전기(充塡機)의 세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장치로서는 예컨대 JP-B-52-23309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승강이 자유로운 충전액 탱크와, 이 탱크의 바닥벽에 매달린 상태로 부착된 충전 노즐을 갖춘 충전기를 세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탱크내에 세정액을 공급하는 공급수단과, 탱크내에 공급된 세정액을 충전 노즐을 통하여 회수하는 회수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회수 수단은 충전 노즐의 토출구에 접속되는 수용구를 지니는 수액기와, 입구 단부에 있어서 수액기의 측벽에 수액기의 내부와 연통하여 일체형으로 설치되고 또 출구 단부가 세정액 회수 파이프에 접속되어 있는 측방 돌출형 도관과, 충전 노즐의 토출구의 수직 하부로 수용구가 진퇴할 수 있도록 도관을 수평이동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있는 지지 수단과, 충전 노즐의 토출구와 이것의 수직 아래로 진입한 수용구가 착탈 자유롭게 접속되도록 충전 노즐과 함께 충전액 탱크를 승강시키는 승강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장치에서는, 충전 노즐과 수액기를 접속하기 위해서 충전 노즐을 탱크와 함께 승강시키고 또 수액기를 수평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양자의 접속 작업이 번거럽고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양자를 이동시키는 기구가 복잡하다는 문제점도 있다. 특히 탱크는 부피가 커지는 외에 중량도 크기 때문에 이것을 승강시키기 위하여는 대규모 장치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충전 노즐과, 이로 부터 세정액을 회수하기 위한 회수 파이프를 간단하고도 단시간에 접속할 수 있는 세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충전기의 세정 장치는 충전액 탱크와 이의 바닥벽에 매달린 모양으로 부착된 충전 노즐을 구비한 충전기를 세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탱크(13)내에서 세정액을 공급하는 공급수단과, 탱크(13)내에 공급된 세정액을 충전노즐(15)을 통하여 회수하는 회수 수단을 갖추고 있는 세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수 수단은 충전 노즐의 토출구에 접속되는 수용구를 지니는 수액기와, 입구 단부에 있어서 수액기의 측벽에 수액기의 내부와 연통하여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측방 돌출형 도관과, 일단부에 도관의 출구 단부가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또 반대쪽 단부가 회수 파이프의 입구 단부에 접속되어 있는 원통형 커넥터와, 도관과 커넥터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충전 노즐의 토출구에 수용구가 착탈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도록 커넥터를 충전 노즐의 측방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지지 수단과, 충전 노즐의 토출구에 수용구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탱크와 수액기를 착탈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는 연결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충전기의 세정 장치에서는 회수 수단이 충전 노즐의 토출구에 접속되는 수용구를 지니는 수액기와, 입구 단부에 있어서 수액기의 측벽에 수액기의 내부와 연통하여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있는 측방 돌출상 도관과,일단부에 도관의 출구 단부가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또 반대쪽 단부가 회수 파이프의 입구 단부에 접속되어 있는 원통형 커넥터와, 도관과 커넥터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충전 노즐의 토출구에 수용구가 착탈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도록 커넥터를 충전 노즐의 측방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지지 수단과, 충전 노즐의 토출구에 수용구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탱크와 수액기를 착탈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는 연결 수단으로 구성되므로, 커넥터의 일단부에 도관의 출구 단부를 연결하고, 탱크에 수액기를 연결하면 충전 노즐의 토출구와 회수 파이프의 입구 단부가 접속된다.
따라서, 충전 노즐과, 이로부터 세정액을 회수하기 위한 회수 파이프를 접속하는 데에는 커넥터에 도관을 연결하고, 탱크에 수액기를 연결하기만 하면 되므로, 간단하고도 단시간에 충전 노즐과 회수 파이프를 접속할 수 있으며, 더욱이 접속 작업에 있어서 탱크를 승강시킬 필요도 없으므로 대규모의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에 설명한다.
회전식 진공 충전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본대(11)에 세워져 있는 수직 회전 지지축(12)과, 지지축(12)의 상단에 바닥벽이 수용되어 있는 충전액 탱크(13)와, 탱크(13)의 바닥벽에서 아래쪽으로 소정 거리를 두고 지지축(12)의 높이의 중간 정도에 고정되어 있는 용기 반송 테이블(14)과, 탱크(13)의 바닥벽 주연부(周緣部)에 일정 간격으로 부착되어 있는 복수 개의 충전 노즐(15)과, 모든 충전 노즐(15)의 바로 아래에 각각 위치하도록 용기 반송 테이블(14)의 주연부에 부착되어 있는 승강 용기 수용대(16)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두개씩의 충전 노즐(15)에 대하여 회수 파이프 접속용 어댑터(17)가 하나씩 구비되어 있다.
탱크(13)의 정벽(頂壁) 중앙부에는 상방 돌출 원통형 개구부(21)가 설치되어 있다. 개구부(21)의 상단 개구에는 뚜껑(22)이 설치되어 있다. 개구부(21)의 외면에는 환형의 세정액 회수용 통(23)이 설치되어 있다.
제2도를 참조하면, 개구부(21)의 상면과 뚜껑(22)의 하면 사이에는 이것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경질의 합성수지로 된 슬립링(28)이, 이것의 내측에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된 밀봉링(24)이 개재되어 있다. 슬립링(28) 상면의 복수의 적소에는 오목부(28a)가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28a)에는 뚜껑을 들어 올리는데 사용하는 편심륜(偏心輪)(25)이 배치되어 있다. 편심륜(25)에는 뚜껑(22)에 회전가능하게 부착한, 손잡이(26)가 달린 회전 조작축(27)이 연결되어 있다.
편심륜(25)을 오목부(28a)의 바닥에 당접시켜서 그 편심부를 아래로 향하도록 회전시킴으로써, 뚜껑(22)이 들어 올려져서 슬립링(28)과 뚜껑(22) 사이에 세정액 회수용 간극이 생기도록 되어 있다(제2b도에 도시한 상태).
다시 제1도를 참조하면, 뚜껑(22)의 중앙부에 상방 돌출 접속 원통형부(31)가 설치되어 있다. 접속 원통형부(31)의 정벽에는 이것을 관통하도록 하단 스프레이 노즐(32)이 달린 수직 세정 파이프(33)가 부착되는 동시에, 접속 원통형부(31)의 우측에는 수직 급액 파이프(34)가, 그 좌측에는 수직봉형 레벨 센서(35)가 각각 관통형으로 부착되어 있다.
세정 파이프(33)의 상단 개구에는 3방향 급액용 절환 밸브(36)의 하나의 통로가 접속되어 있다. 3방향 급액용 절환 밸브(36)의 나머지의 두 통로의 한 쪽에는, 일단부를 도시하지 않은 송액 펌프에 접속한 제1 송액파이프(37)의 타단부가 접속되고, 다른 쪽에는 하나의 통로를 급액 파이프(34)의 상단 개구에 접속한 제1개폐 밸브(38)의 나머지 하나의 통로가 접속되어 있다.
충전액 탱크(13)에는 흡입 송풍기(39) 및 기액(氣液) 분리 탱크(40)가 구비되어 있다. 송풍기(39)의 흡입구에는 3방향 회수용 절환 밸브(41)의 하나의 통로가 접속되어 있다. 기액 분리 탱크(40)의 정벽에는 두개의 제2 개폐 밸브(42) 및 제3 개폐 밸브(43)의 각각 하나의 통로가 접속되는 동시에, 기액 분리 탱크(40)의 바닥벽에 제4 개폐 밸브(44)의 하나의 통로가 접속되어 있다. 3방향 회수용 절환 밸브(41)의 나머지 두 통로의 한쪽에는, 일단부를 도시하지 않은 회수 펌프에 접속한 제1 회수 파이프(45)의 타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3방향 회수용 절환밸브(41)의 나머지 하나의 통로에는 제1 흡입파이프(46)의 일단부가 접속되고, 그 타단부는 제2 개폐 밸브(42)의 나머지 하나의 통로에 접속되어 있다. 제3 개폐 밸브(43)의 나머지 하나의 통로에는 제2 접속 파이프(47)의 일단부가 접속되고, 그 타단부는 충전액 탱크(13)의 접속 원통형부(31)에 접속되어 있다. 제4 개폐 밸브(44)의 나머지 하나의 통로에는, 일단부를 도시하지 않은 송액 펌프에 접속한 제2 송액파이프(48)가 접속되어 있다.
용기 반송 테이블(14) 상면의 내외 중간부에 환형의 제2 회수 파이프(49)가 고정되어 있다. 제2 회수 파이프(49)의 일부에는 수직 아래로 J자형의 접속 파이프(50)가 설치되고, 이 접속 파이프는 도시하지 않은 수단에 의해 회수 펌프에 접속된다.
충전 노즐(15)은, 제3도에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탱크(13)내에 상단 개구를 접속시키도록 탱크(13) 바닥벽에 매달려 있는 수직 원통형 노즐 본체(61)와, 노즐 본체(61)내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배치 고정되고, 또 노즐 본체(61)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된 하방 돌출부(62a)를 지니는 수직 공기 배출관(62)과, 하방 돌출부(62a)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토출관(64)과, 공기 배출관(62)의 하단부 외면에 공기 배출관(62)과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또 토출관(64)을 수용하고 있는 시이트 링(63)과, 토출관(64)을 하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는 압축 코일 스프링(66)과, 노즐 본체(61)와 토출관(64)에 걸쳐서 부착되어 있는 원통형 패킹(67)을 갖추고 있다.
노즐 본체(61)는 상단부(71: 上段部)를 통하여 상하로 이어지는 상부 대경부(72) 및 상부 소경부(73)로 구성된다. 상부 대경부(72)의 내면 상단에는 선단에 공기 배출관 부착통(74)을 지니는 스테이(75: stay)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 대경부(72)의 외면 하단부에는 상부 숫나사(76)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소경부(73)에는 6개의 종방향으로 긴 슬릿 형태의 창(77)이 상부 소경부 원주방향으로 같은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이들 창(77)을 통하여 상부 소경부(73)와 패킹(67) 사이에 세정액이 출입하도록 되어 있다.
공기 배출관(62)의 높이의 중간 정도에는 단부(78: 段部)가 설치되는 동시에 단부(78)에서 상방으로 부착통(74)의 높이에 상당하는 거리를 두고 환형홈(79)이 형성되어 있다. 단부(78)를 부착통(74)의 하면에 당접시키기 위해 공기 배출관(62)의 단부(78)보다 위쪽의 부분을 부착통(74)으로 통과시키고 환형홈(79)에 고정구(80)를 끼움으로써 노즐 본체(61)에 공기 배출관(62)이 고정된다.
토출관(64)은 하단부(81: 下段部)를 통하여 상하로 연결되는 하부 대경부(82) 및 하부 소경부(83)로 이루어진다. 하부 대경부(82)는 피충전 용기의 입구연부에 당접될 수 있는 외경을 지니고, 하부 소경부(83)는 상기 용기의 입구 연부내에 삽입될 수 있는 외경을 지니고 있다. 하부 대경부(82)의 상면 외주연의 레벨은 상부 소경부(73)의 하면 레벨과 동일하다. 하부 대경부(82) 내면에는 내부로 향한 아암(85)이 설치되는 동시에, 그 선단에 공기 배출관 가이드 통(84)이 설치되고, 이것이 공기 배출관(62) 둘레에 끼워져 있다. 아암(85)의 상면 레벨은 하부 대경부(82)의 상면 외주연의 레벨보다 약간 낮아서, 아암(85)의 상면 기부(基部)가 상부 소경부(73)의 하단면에 대한 당접면(85a)으로 되어 있고, 이 당접면(85a)과 상부 소경부(73)의 하단면의 사이가 토출관(64)을 승강시킬 수 있는 간극 C로 되어 있다. 하부 대경부(82) 외면 상단부에는 하부 숫나사(86)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 소경부(83)에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에 의하여 형성된 용기의 입구연 당접링(65)이 그 상면을 하단부에 당접시키도록 끼워 덮혀져 있다.
스프링(66)은 노즐 본체(61)와 공기 배출관(62)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스테이(75)와 아암(85) 사이에 끼워져 있다.
패킹(67)은 고무와 같은 탄성재로 신축가능하게 형성된 것으로서, 양단에 상, 하의 플랜지(91,92)가 있고 또 중간에 횡단면이 C자형인 환형 신축 여유부(93)가 있다. 패킹(67)이 상부 소경부(73)에 덮힌 상태에서, 상부 플랜지(91)를 상단부(7)에 밀어붙이도록 상부 숫나사(76)에는 상부캡 너트(94)가 나사 결합되어 있고 하부 플랜지(92)를 하단부(81)에 밀어붙이도록 하부 숫나사(86)에는 하부 캡너트(95)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상, 하의 플랜지(91),(92)와 캡너트(94),(95) 정벽의 사이에는 상, 하의 금속제 스러스트 와셔(96),(97)가 각각 끼워지고, 이들 스러스트와셔(96),(97)에 의하여, 캡너트(94),(95)를 체결할 때 패킹(67)이 캡너트(94),(95)와 함께 회전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회수 파이프 접속용 어댑터(17)는 제4도와 제5도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편평(編平)하고 중공(中空) 형태이며 횡으로 긴 상자형 수액기(111)와, 수액기(111)의 내부와 연통하여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측방 돌출형 도관(112)과, 일단부에 도관(112)의 선단부가 착탈(장착 및 이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원통형 커넥터(212)로 구성된다.
수액기(111)의 정벽에는 두개의 충전 노즐(15)의 토출구를 각각 접속하기 위한 수용구(113)가 횡으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다. 수용구(113)의 상면 연부에는 밀봉링(114)이 부착되어 있다.
도관(112) 선단에는 소정 거리를 둔 외면에는 플랜지(117)가 설치되고, 이 플랜지(117)로부터 선단 부분까지 차입구부 즉, 삽입부(118)가 설치되어 있다. 삽입부(118) 외면에는 0링(119)이 부착되어 있다.
수액기(111)의 측벽에는 L자판 모양으로 매달린 브래킷(115)이 고착되어 있다. 브래킷(115)의 상단부에는 버클(buckle)자물쇠(116)가 부착되어 있다. 버클 자물쇠(116)에는 계합 아암(121) 및 레버(122)가 구비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레버(122)를 들어 올린 상태에서 계합 아암(121)을 탱크(13)의 훅(123: hook)에 걸어 맞추고, 레버(122)를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로 이동시키면 브래킷(115)이 끌어올려진 상태에서 탱크(13)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커넥터(212)의 일단부에는 삽입부(118)에 대응하는 수용구부(211)가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212)의 반대쪽 단부는 파이프 접속구(221)로 되고, 이것이 유연한 파이프(222)를 개재하여 제2 회수 파이프(49)에 접속되어 있다.
커넥터(212)의 길이의 중간 정도에는 한쌍의 지지편(213)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고, 이들 핀(213)은,자 모양의 브래킷(214)를 개재하여 탱크(13)의 바닥벽에 매달린 지지 블록(21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충전 작업시는, 흡인송풍기(39)의 작동에 의하여 제6도중 화살표로 나타내는 경로에 따라서 탱크(13)내의 공기가 흡인됨으로써 탱크(13)내는 부압(負壓)으로 유지되고 있다. 한편, 레벨 센서(35)의 출력 신호에 의거하여 탱크(13)내에는 제1송액 파이프(37)를 통하여 보내지는 충전액이 일정 레벨로 담겨져 있다.
지지축(12)의 회전에 수반하여 탱크(13) 및 테이블(14)은 회전하지만, 뚜껑(22)은 회전하지 않는다. 이 경우 슬립링(28; 제2도 참조)은 탱크(13)와 함께 뚜껑(22)에 대하여 접동하면서 회전하고, 탱크(13)는 원활하게 회전된다.
용기 수용대(16)상에 용기가 공급되면 용기 수용대(16)가 상승하여, 그 입구 연부가 당접링(65)에 당접하고, 이것을 밀어올림으로써 당접링(65)과 함께 토출관(64)이 밀려 올라간다. 그렇게 하면, 토출관(64)의 하단부가 시이트링(63)에서 떨어져서 토출구가 개방되고, 한편 용기내의 공기가 공기 배출관(62)을 통하여 배출됨으로써, 용기내가 탱크(13) 내부와 같은 부압으로 되고, 토출구에서 충전액이 용기내로 토출된다. 용기내의 액면 레벨이 공기 배출관(62)의 하단 레벨과 같게 되면, 더 이상 용기내로 충전액이 토출되는 일은 없고, 토출되는 충전액은 공기 배출관(62) 내부를 상승하여 공기 배출관(62) 내부의 액면 레벨이 탱크(13) 내부의 액면 레벨과 같게 되면 노즐(15)로부터의 충전액의 토출이 정지된다. 이후 용기 수용대(16)가 하강하여 용기도 하강하게 도면 토출관(64)이 하강하고, 그 하단이 시이트링(63)에 당접하면 토출구가 폐쇄된다. 이때, 공기 배출관(62) 내부에는 충전액이 잔존하는데, 탱크(13) 내부의 부압에 의하여 잔존한 충전액은 탱크(13) 내부로 빨아 올려진다.
다음에 충전기의 세정작업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세정의 준비작업으로서, 충전 노즐(15)에 어댑터(17)를 설치한다. 그렇게 하려면, 충전 노즐(15)에서 당접링(65)을 떼어내고, 제4도중 일점쇄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212)를 하부로 경사진 방향으로 한 상태에서 그 수용구부(211)에 도관(112)의 삽입부(118)를 끼워 넣고, 브래킷(115)을 들어올려서 버클자물쇠(116)로 탱크에 고정한다. 이것에 의하여, 토출관(64)이 들어 올려지고, 토출구는 개방된 상태로 된다. 다음에, 전술한 바와 같이 편심륜(25)을 회전시켜서 뚜껑(22)을 들어올리고 슬립(밀봉)링(24)과 뚜껑(22) 사이에 간극을 만든다. 그리고 제2 회수 파이프(49)의 접속 파이프(50)를 회수 펌프에 접속한다.
이렇게 해서 준비 작업이 완료하면, 다음의 5개 단계들을 차례로 행한다.
제7도를 참조하여, 제1단계에서는 제2 개폐 밸브(42) 및 제4 개폐 밸브(44)를 열고 3방향 회수용 절환 밸브(41)를 제1 회수 파이프(45)와 제1 흡입 파이프(46)가 접속되도록 절환하고, 송액 펌프 및 회수 펌프를 운전하면 제7도중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세정액은 제2 송액 파이프(48)을 통하여 기액 분리 탱크(40) 및 제1 흡입 파이프(46)내에 공급되고 제1 회수 파이프(45)를 통하여 회수된다.
제8도를 참조하여, 제2 단계에서는 제2 개폐 밸브(42)를 닫고, 제3 개폐 밸브(43)를 열고, 제1단계와 같이 기액 분리 탱크(40)에 세정액을 공급하면, 이번에는 세정액이 제2 흡입 파이프(47) 내부에서 흐르고, 그 후 충전액 탱크(13) 내부로 유입한다. 탱크(13) 내부로 유입된 세정액은 충전 노즐(15) 내부를 흘러 내려 그 토출구로부터 수액기(111) 내부로 유입하고 도관(112) 및 커넥터(212) 내부를 흘러서 제2 회수 파이프(49)를 통하여 회수된다.
제9도를 참조하여 제3 단계에서는 3방향의 급액용 절환 밸브(36)를 제1 송액 파이프(37)와 제1 개폐 밸브(38)가 접속되도록 절환하고, 제1 개폐 밸브(38)를 열어서 제1 송액 파이프(37)을 통하여 세정액을 공급하면 공급된 세정액은 급액 파이프(34) 내부를 흘러 내려서 탱크(13) 내부로 유입한다. 유입된 세정액은 제2 단계와 동일하게 회수된다.
제10도를 참조하여, 제4 단계에서는 3방향의 급액용 절환 밸브(36)를 제1 송액 파이프(37)와 세정 파이프(33)가 접속되도록 절환하고, 동일하게 제1 송액 파이프(37)을 통하여 세정액을 공급하면, 세정액 파이프(33) 내부를 세정액이 흘러 내리고, 그 세정액은 노즐(32)에서 스프레이된다. 이것에 의하여 탱크(13) 내부의 전체가 세정되는 동시에 뚜껑(22)과 개구부(21)의 사이도 세정된다.
제5 단계에서는 회수 펌프를 정지하고, 제3 단계 때와 같이 3방향의 급액용 절환 밸브(36)를 절환하고 제1 개폐 밸브(38)를 열어 세정액을 제1 송액 파이프(37) 및 급액 파이프(34)를 통하여 탱크(13)에 공급한다. 탱크(13) 내부의 액면(液面) 레벨이 공기 배출관(62)의 상단 레벨을 초과할 때까지 상승하면 회수 펌프를 운전한다. 그렇게 하면, 탱크(13) 내부의 세정액이 충전 노즐(15) 내부를 힘차게 연속하여 흘러 내려가고, 이로 인하여 충전 노즐(15) 내부 전체, 특히 공기 배출관(62)의 내부가 세정된다.
이상 설명한 5개의 단계들은 여러 종류의 세정액을 예컨대 온수, 알칼리 등으로 바꾸면서 반복 실행한다.
상기 순서가 완료하면 최후에 세정액으로서 물을 사용하고, 제5단계에 준하여 회수 펌프를 정지한 상태에서 급액 파이프(34)를 통하여 탱크(13)내에 물을 공급한다. 물은 탱크(13)를 넘쳐 흐를 때까지 계속 보낸다. 넘쳐 흐른 물은 통(23)에 의하여 회수된다.
이상에 의하여 세정 작업이 완료된다. 그렇게 되면 뚜껑(22)을 닫고, 어댑터(17)를 전술한 설치 공정과는 반대의 순서로 충전 노즐(13)에서 떼어내면 충전 작업 준비가 완료된다.

Claims (5)

  1. 충전액 탱크(13)와, 이 탱크(13)의 바닥벽에 매달린 모양으로 부착된 충전 노즐(15)을 구비한 충전기를 세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탱크(13) 내부에 세정액을 공급하는 공급 수단과, 탱크(13) 내부에 공급된 세정액을 충전 노즐(15)을 통하여 회수하는 회수 수단을 갖추고 있는 세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수단은, 충전 노즐(15)의 토출구에 접속되는 수용구(113)를 지니는 수액기(111)와, 입구 단부에 있어서 수액기(111)의 측벽에 수액기(111)의 내부와 연통하여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측방 돌출형 도관(112)과, 일단부에 도관(112)의 출구 단부가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또 타단부(他端部)가 회수 파이프(49)에 접속되어 있는 원통형 커넥터(212)와, 도관(112)과 커넥터(212)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수용구(113)가 충전 노즐(15)의 토출구에 착탈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도록 커넥터(212)를 충전 노즐(15)의 측방에 있어서 상, 하 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지지 수단과, 충전 노즐(15)의 토출구에 수용구(113)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탱크(13)와 수액기(111)를 착탈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는 연결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의 세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도관(112)의 선단 근처에 외면에는 플랜지(117)가 설치되고, 플랜지(117)로부터 선단 부분까지 삽입부(118)가 설치되며, 삽입부(118)에 대응하는 수용구부(211)가 커넥터(212)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의 세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은 커넥터(212)의 주벽(周壁) 외면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수평 핀(213)과, 이들 수평 핀(21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 탱크(13) 바닥벽에 매달린 모양으로 고정되어 있는 지지 블록(215)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의 세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수액기(111) 측벽에 세워진 모양으로 고정되고 또 충전 노즐(15)의 토출구에 수용구(113)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단이 탱크(13)의 바닥벽에 도달하고 있는 브래킷(115)과, 브래킷(115)의 상단부를 탱크(13)의 바닥벽에 부착시키는 버클 자물쇠(116)로 이루어지고, 상기 버클자물쇠(116)는 탱크(13)의 바닥벽에 고정되어 있는 훅(123)과, 브래킷(115) 측부에 부착되어 있는 계합 아암(121) 및 레버(122)로 구성되며, 레버(122)를 들어 올린 상태에서 훅(123)에 계합 아암(12)을 걸어 맞추고 레버(122)를 밀어 내리면 브래킷(115)은 끌어올려진 상태에서 탱크(13)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의 세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탱크(13)가 수직 회전 지지축(12)의 상단에 고정되고, 지지축(12)의 높이의 중간 정도에 용기 반송 테이블(14)이 고정되고, 용기 반송 테이블(14)에 회수 파이프(49)가 고정되고, 커넥터(212)와 회수 파이프(49) 사이에 유연한 파이프(222)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세정 장치.
KR1019930001377A 1992-02-03 1993-02-02 충전기의 세정장치 KR1001995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2003517U JP2582559Y2 (ja) 1992-02-03 1992-02-03 充填機の洗浄装置
JP92-3517 1992-0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807A KR930017807A (ko) 1993-09-20
KR100199532B1 true KR100199532B1 (ko) 1999-06-15

Family

ID=11559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1377A KR100199532B1 (ko) 1992-02-03 1993-02-02 충전기의 세정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568121B1 (ko)
JP (1) JP2582559Y2 (ko)
KR (1) KR100199532B1 (ko)
DE (1) DE69303759T2 (ko)
DK (1) DK0568121T3 (ko)
TW (1) TW28474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265B1 (ko) * 1996-12-26 2005-09-05 시코쿠 가코키 가부시키가이샤 충전기에있어서의충전노즐내세척액회수장치
KR101076836B1 (ko) 2010-10-15 2011-10-25 (주)대성후드텍 순환용 가압펌프를 구비하는 현장세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20733B1 (fr) * 1994-06-02 1996-07-19 Serac Sa Dispositif de remplissage comportant un collecteur de nettoyage fixé à un conduit de distribution.
US5584324A (en) * 1994-09-30 1996-12-17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Automated product draining method for a packaging machine
IT1280743B1 (it) * 1995-12-22 1998-02-06 Procomac Spa Falsa bottiglia per ciclo di sanificazione in macchina riempitrice
FR2788047B1 (fr) * 1999-01-06 2001-01-26 Sidel Sa Machine de remplissage comportant des moyens perfectionnes de nettoyage
FR2791338B1 (fr) * 1999-03-26 2002-07-12 Serac Group Dispositif de remplissage de recipients equipe d'un dispositif de nettoyage integre
US6338370B1 (en) 2000-05-31 2002-01-15 Fogg Filler Company Fill valve assembly for filler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JP4622142B2 (ja) * 2001-04-18 2011-02-02 澁谷工業株式会社 充填機の洗浄装置
US6786248B2 (en) 2001-10-11 2004-09-07 Fogg Filler Company Fill valve assembly for filler device
ES2216666B1 (es) * 2002-01-30 2006-01-16 Irundin, S.L. Dispositivo de limpieza mejorado para caños de maquinas embotelladoras.
US6889482B2 (en) 2002-10-10 2005-05-10 Fogg Filler Company Filler device sub-assembly
ITPN20040021A1 (it) * 2004-03-19 2004-06-19 Servizi Tecnici Avanzati S R L "impianto di riempimento di bottiglie con valvola di riempimento perfezionata"
ITMN20050031A1 (it) 2005-05-20 2006-11-21 Weightpack Srl Macchina riempitrice di contenitori mediante prodotto liquido
DE102005037127B4 (de) * 2005-08-06 2007-09-06 Khs Ag Füllelement mit Spülkappe
US8002900B2 (en) * 2005-08-08 2011-08-23 Etienne Le Roux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ed cleaning of bottling equipment
ITPD20060365A1 (it) 2006-10-04 2008-04-05 Mbf Spa Macchina riempitrice rotativa isobarica per il riempimento di contenitori con liquidi
ITPR20120034A1 (it) * 2012-05-28 2013-11-29 Gea Procomac Spa Riempitrice e metodo per sanificare, in una riempitrice, una linea di alimentazione di una bevanda
DE102017109873A1 (de) * 2017-05-08 2018-11-08 Haver & Boecker Ohg Reinigungsvorrichtung zum Reinigen einer rohrförmigen Innenwand eines Behälters von Schüttgutpartikeln
CN110422353B (zh) * 2019-07-31 2024-06-28 邹忠强 一种适用于流体物料的立式辊筒包装机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2110B2 (ja) * 1977-04-20 1984-12-18 「渋」谷工業株式会社 充填機のノズル洗滌装置
FR2540754A1 (fr) * 1983-02-15 1984-08-17 Serac Sa Dispositif permettant le nettoyage d'une tete de remplissage sans demontage de celle-ci
US4559961A (en) * 1984-04-16 1985-12-24 Anderson Frank E Sanitizer system for beverage can filler machine
EP0162968B1 (en) * 1984-05-26 1987-12-02 Shikoku Kakoki Co., Ltd. Packaging machine
JPS61152593A (ja) * 1984-12-27 1986-07-11 株式会社深尾鉄工所 充填機における洗滌装置
DE3722495C2 (de) * 1987-07-08 1994-04-07 Holstein & Kappert Maschf Füll- und Verschließmaschine für Gefäß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265B1 (ko) * 1996-12-26 2005-09-05 시코쿠 가코키 가부시키가이샤 충전기에있어서의충전노즐내세척액회수장치
KR101076836B1 (ko) 2010-10-15 2011-10-25 (주)대성후드텍 순환용 가압펌프를 구비하는 현장세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303759T2 (de) 1996-12-12
DE69303759D1 (de) 1996-08-29
TW284743B (ko) 1996-09-01
JPH0562497U (ja) 1993-08-20
DK0568121T3 (da) 1996-08-26
EP0568121A1 (en) 1993-11-03
KR930017807A (ko) 1993-09-20
JP2582559Y2 (ja) 1998-10-08
EP0568121B1 (en) 1996-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9532B1 (ko) 충전기의 세정장치
US525572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pless filling of containers
US3430639A (en) Cleaning means for liquid dispensers
EP0554951B1 (en) Filling nozzle
US3513024A (en) Method for cleaning automatic liquid filling machine valves
US5009241A (en) Apparatus for washing narrow neck bottles
US5875800A (en) Device for cleaning utensils and removable chamber into which the utensils are disposed
US1977138A (en) Receptacle cleaning and filling apparatus
CN217550696U (zh) 批量洗瓶机
EP0103484A2 (en) Filling machine for foaming liquids
CN115501670A (zh) 一种应用于啤酒生产过程中的过滤装置
CN210280077U (zh) 一种密封采样管管口残液清理装置
CN214310166U (zh) 一种抗体及抗原的快速检测装置
GB1233356A (ko)
JPH0930597A (ja) 食品充填バルブの洗浄方法及び装置
US354889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receptacles
JPH09216693A (ja) 充填バルブとその洗浄装置
JPH0894641A (ja) 血液等の検査装置における分注ノズルの洗浄装置
CN221673485U (zh) 一种药品检验液液萃取设备
GB2306303A (en) Detergent dispenser
CN219383061U (zh) 一种用于多工位带嘴塑料袋灌装机灌装嘴清洗装置
CN217471879U (zh) 一种地毯清洗机
CN219233338U (zh) 一种用于阀门的阀门清理装置
US1789440A (en) Bottle-washing device
CN112858274B (zh) 一种抗体及抗原的快速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