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8997B1 -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물질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물질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8997B1
KR100198997B1 KR1019950052680A KR19950052680A KR100198997B1 KR 100198997 B1 KR100198997 B1 KR 100198997B1 KR 1019950052680 A KR1019950052680 A KR 1019950052680A KR 19950052680 A KR19950052680 A KR 19950052680A KR 100198997 B1 KR100198997 B1 KR 100198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secondary battery
organic
lithium secondary
s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2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4741A (ko
Inventor
강성구
장순호
장기호
Original Assignee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정선종
Priority to KR1019950052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8997B1/ko
Publication of KR970054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4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8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89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51/00Compounds of cobalt
    • C01G51/40Cobaltates
    • C01G51/42Cobaltates containing alkali metals, e.g. LiCoO2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40Electric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 2차전지용 양극물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튬 2차전지에 있어서 양극 활성물질로 사용되는 LiCoO2와 LiCoyNi1-yO2화합물을 시트르산(citric acid), 숙신산(succnic acid), 말산(malic acid), 옥살산(oxalic acid),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푸마르산(fumaric acid)과 같은 유기산을 이용한 졸-겔법에 의해서 저온에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기산 졸을 만드는 1단계; 진공하에서 가열하므로 용매를 증발시켜 고체상의 유기금속착물을 만드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의 유기금속착물을 가열하므로 분해하여 LiCoO2또는 LiCoyNi1-yO2(0y1)의 전구물질을 만드는 제3단계; 및 상기 제3단계의 전구물질을 어닐링하는 제4단계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물질 제조방법
제1도는 LiCoO2화합물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제2도는 유기산을 이용한 졸-겔법에 의해 LiCoO2와 LiCoyNi1-yO2를 저온에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흐름도.
제3도는 유기산을 이용한 졸-겔법(a)과 고상반응법(b)에 의해 저온 제조한 LiCoO2의 X-선 회절 분석 패턴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리튬 2차전지용 양극물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튬 2차전지에 있어서 양극 활성물질로 사용되는 LiCoO2와 LiCoyNi1-yO2화합물을 시트르산(citric acid), 숙신산(succnic acid), 말산(malic acid), 옥살산(oxalic acid),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푸마르산(fumaric acid)과 같은 유기산을 이용한 졸-겔법에 의해서 저온에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4V용 리튬 2차전지의 양전극 물질인 LiCoO2와 LiCoyNi1-yO2화합물은 암염(rocksalt) 초격자 구조의 하나인 α-NaFeO2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들 화합물의 이상적인 구조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방조밀쌓임(cubic close packing)을 하고 있는 산소의 팔면체 자리(octahedral site)에 Li이온과 Co(또는 Ni)이온이 위치하고, 이들 MO2층(M=Co(또는 Ni))과 Li층이 반복되는 층상구조이다.
그러나 Li층에 Co이온(또는 Ni)이 들어가게 되면 [Li1-ZM3+ Z][M3+ 1-ZLi+ Z]O2(또는 [Li1-ZM2+ Z][M3+M2+ Z]O2)의 비화학양론적인 화합물(nonstoichiometric compound)을 형성시켜 이차원적 구조가 삼차원적 구조로 바뀌어진다.
이처럼 Li+이온 자리에 Co이온(또는 Ni)이 자리하고 있으며 Li이 삽입(intercalation)되기 위한 자리가 줄고 확산이 어려워진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구조의 무질서(disorder)는 작동전, 충방전 용량등의 전투극성에 영향을 미친다.
상기 화합물을 고상반응법(solid state reaction)을 이용해 저온(400℃)에서 제조하면, LiCoO2의 경우 약 6% 정도의 Co이온이 Li층에 존재하며 전기화학 반응도 이상 반응(two-phase reaction)으로 진행되어 결과적으로 전극 특성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기산을 이용한 졸-겔법에 의해서 리튬 2차전지의 양극무질인 LiCoO2와 LiCoyNi1-yO2(0y1)화합물을 저온 제조하면, 이온과 Li이온간의 혼합이 일어나지 않아 종래의 고상반응법에 의해 저온 제조한 것보다 이차원적 구조가 잘 발달되어 전극 특성이 개선된 리튬 2차전지용 양극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리튬 2차전지의 양극활성물질인 LiCoO2또는 LiCoyNi1-yO2(0y1)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유기산 졸을 만드는 1단계; 진공하에서 가열하므로 용매를 증발시켜 고체상의 유기금속착물을 만드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의 유기금속착물을 가열하므로 분해하여 LiCoO2또는 LiCoyNi1-yO2(0y1)의 전구물질을 만드는 제3단계; 및 상기 제3단계의 전구물질을 어닐링하여 LiCoO2또는 LiCoyNi1-yO2(0y1)를 만드는 제4단계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리튬 2차전지용 양극물질의 제조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시트르산(citric acid), 숙신산(succnic acid)을 이용한 졸-겔법에 의해서 LiCoO2와 LiCoyNi1-yO2(0y1)를 저온 제조하는 과정을 상술하겠다.
LiCoO2의 경우에는 Li2Co3, Co(NO3)2·6H2O, C6H8O7(또는 C4H6O4)을 1:1:2의 몰 비로 섞고, LiCoyNi1-yO2(0y1)의 경우에는 Li2Co3, Co(NO3)2·6H2O, C6H8O7(또는 C4H6O4)을 1:y:(1-y):3의 몰 비로 섞은 후 증류수에 녹여 용액을 만든다.
이 용액을 aq. NH4OH를 사용하여 pH=2∼6으로 조절하면 시트르산(citric sol), 숙신산(succnic sol)이 된다.
이 스트르산 졸(또는 숙신산 졸)을 진공하(10∼20 mmHg)에서 80∼95℃의 온도로 18∼20시간 가열하면 용매가 증발되어 시트르산 졸(또는 숙신산 졸)은 겔화를 거쳐 고체상의 유기금속착물이 된다.
이 유기금속착물을 300∼350℃에서 3∼4시간 가열하여 유기물을 분해하여 LiCoO2와 LiCoyNi1-yO2(0y1)화합물의 전구물질(precursor)을 얻는다.
이 전구물질을 380∼400℃에서 96∼120시간 어닐링(annealing)하여 LiCoO2와 LiCoyNi1-yO2(0y1)화합물을 얻는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유기산을 이용한 졸-겔법과 종래의 고상반응법에 의해 저온 제조한 LiCoO2의 X-선 회절 분석 패턴을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LiMO2(M은 V, Cr, Fe, Ni)에서 각각의 층(layer)에 위치한 Li이온과 M이온은 산소 음이온(oxygen anion)이 입장조밀도임(cubic close packing)된 팔면체 자리(octahedral site)에 위치한다.
만약 Li층의 팔면체 자리에 M이온이 위치하면 X-선 회절 분석 패턴의 (003) 피크의 상대 세기가 줄어든가.
즉, 강한 세기의 (003) 피크는 LiMO2의 이차원적 구조가 잘 발달되었음을 의미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르산을 이용해 제조한 화합물에서는 (003) 피크의 세기가 (104) 피크의 세기보다 큰 반면에, 고상반응법으로 합성한 화합물의 경우는 (003) 피크의 세기가 (104) 피크의 세기보다 작다.
이는 고상반응법으로 합성한 화합물에서는 Co이온과 Li이온간의 혼합(mixing)이 일어난 반면에, 시트르산을 이용해 합성한 화합물에서는 이들 두 이온간의 혼합이 거의 일어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또한 시트르산을 이용해 합성한 화합물의 c/a값은 4.90(a=2.862Å, c=13.85Å)으로 계산되었는데, 이는 상기 화합물이 이차원 구조가 잘 발달되었음을 뒷받침 해준다.
따라서 LiCoO2와 LiCoyNi1-yO2를 제조함에 있어 기존의 고상반응법보다 시트르산을 사용해 제조하면 Li이온과 Co이온(또는 Ni이온)간의 혼합이 일어나지 않아 이차원 특성이 강화된 화합물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라, 시트르산과 유기산을 이용해 LiCoO2와 LiCoyNi1-yO2을 저온 제조하는 것이 기존의 다른 방법들에 의하여 저온 제조하는 경우보다 얻어지는 화합물의 이차원적 구조가 잘 발달되는 것으로부터, 상기 물질을 실제 전지에 응용할 경우 작동전압, 충방전 용량 등의 전극 특성이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2)

  1. 리튬 2차전지의 양극활성물질인 LiCoO2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유기산 졸을 만드는 1단계; 진공하에서 가열하므로 용매를 증발시켜 고체상의 유기금속착물을 만드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의 유기금속착물을 가열하므로 분해하여 LiCoO2의 전구물질을 만드는 제3단계; 및 상기 제3단계의 전구물질을 어닐링하여 LiCoO2을 만드는 제4단계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2차전지용 양극물질의 제조방법.
  2. 상기 제1단계는 Li2Co3, Co(NO3)2·6H2O, M(M은 유기산에 따라 다른 화합물)을 1:1:x의 몰 비로 섞고, 증류수에 녹여 용액을 만드는 제1과정; 및 상기 제1과정의 용액을 pH=2∼6으로 조절하여 유기산 졸을 만드는 제2과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2차전지용 양극물질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으로 시트르산(citric acid), 숙신산(succnic acid), 말산(malic acid), 옥살산(oxalic acid),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푸마르산(fumaric acid)으로 형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2차전지용 양극물질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제1단계의 유기산 졸을 진공하(10∼20mmHg)에서 80∼95℃의 온도로 18∼20시간 가열하므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2차전지용 양극물질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제2단계의 유기금속착물을 300∼350℃에서 3∼4시간 가열하여 유기물을 분해하므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2차전지용 양극물질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제3단계의 전구물질을 380∼400℃에서 96∼120시간 어닐링(annealing)하므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2차전지용 양극물질의 제조방법.
  7. 리튬 2차전지의 양극활성물질인 LiCoyNi1-yO2(0y1)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유기산 졸을 만드는 1단계; 진공하에서 가열하므로 용매를 증발시켜 고체상의 유기금속착물을 만드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의 유기금속착물을 가열하므로 분해하여 LiCoyNi1-yO2(0y1)의 전구물질을 만드는 제3단계; 및 상기 제3단계의 전구물질을 어닐링하여 LiCoyNi1-yO2(0y1)을 만드는 제4단계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2차전지용 양극물질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Li2Co3, Co(NO3)2·6H2O, Ni(NO3)2·6H2ON(N은 유기산에 따라 다른 화합물)을 1:y:(1-y):x의 몰 비로 섞고, 증류수에 녹여 용액을 만드는 제1과정; 및 상기 제1과정의 용액을 pH=2∼6으로 조절하여 유기산 졸을 만드는 제2과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2차전지용 양극물질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으로 시트르산(citric acid), 숙신산(succnic acid), 말산(malic acid), 옥살산(oxalic acid),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푸마르산(fumaric acid)으로 형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2차전지용 양극물질의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제1단계의 유기산 졸을 진공하(10∼20mmHg)에서 80∼95℃의 온도로 18∼20시간 가열하므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2차전지용 양극물질의 제조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제2단계의 유기금속착물을 300∼350℃에서 3∼4시간 가열하여 유기물을 분해하므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2차전지용 양극물질의 제조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제3단계의 전구물질을 380∼400℃에서 96∼120시간 어닐링(annealing)하므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2차전지용 양극물질의 제조방법.
KR1019950052680A 1995-12-20 1995-12-20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물질 제조방법 KR100198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2680A KR100198997B1 (ko) 1995-12-20 1995-12-20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물질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2680A KR100198997B1 (ko) 1995-12-20 1995-12-20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물질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4741A KR970054741A (ko) 1997-07-31
KR100198997B1 true KR100198997B1 (ko) 1999-06-15

Family

ID=19441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2680A KR100198997B1 (ko) 1995-12-20 1995-12-20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물질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89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1560B1 (ko) * 1999-02-03 2006-03-16 제일모직주식회사 유기산을 이용한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KR100510862B1 (ko) * 1999-02-03 2005-08-26 제일모직주식회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4741A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3692B2 (en) Production of a layered lithium-manganese-nickel-cobalt oxide material
EP1689011B1 (en) Positive electrode material for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producing positive electrode material for secondary battery
Oh et al. Improvement of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LiNi0. 5Mn1. 5O4 spinel material by fluorine substitution
EP1603177B1 (en) Positive electrode material for a secondary batter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Wen et al. Effects of magnesium and fluorine co-doping on the structural and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the spinel LiMn2O4 cathode materials
DE4142370A1 (de) Elektrochemische zell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olchen
EP0914683B1 (en) Positive electrode for lithium battery
Wang et al. Mitigation of layer to spinel conversion of a lithium-rich layered oxide cathode by substitution of Al in a lithium ion battery
KR0119287B1 (ko)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물질 제조방법
KR100198997B1 (ko)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물질 제조방법
Martinez-Cruz et al. Improving the structural reversibility of LiNiO2 by incorporation of Cu, an electrochemical and in-situ XRD study
KR101951699B1 (ko) LNO 매트릭스 내 Li-O-P 화합물이 고르게 분포된 리튬-니켈 복합 산화물
JP3532139B2 (ja) ニッケル含有酸化物電極材料の製造方法及びその電極材料を用いる電池
Periasamy et al. Electrochemical performance behavior of combustion-synthesized LiNi0. 5Mn0. 5O2 lithium-intercalation cathodes
KR101963251B1 (ko) 양극 활물질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KR101844774B1 (ko) 3차원 리튬 확산이 가능한 올리빈계 양극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26645A (ko) 양극 활물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이차전지
US20040105809A1 (en) Method of preparing layered lithium-chromium-manganese oxides for lithium batteries
CN115312331B (zh) 横向和纵向异质结构(v2o3@vpo4-nc)、制备方法、全固态微型电容器
US20220384789A1 (en) Surface-stabilized linio2 as high capacity cathode for li ion batteries
KR102119667B1 (ko) 에너지 저장 장치용 양극 소재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070174B1 (ko) 전극 활물질인 음이온 부족형 리튬 전이금속 인산화합물,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전기화학 소자
KR101653504B1 (ko) 복합금속 산화물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3151553A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正極材の製造方法、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正極材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100280196B1 (ko) 리튬이차전지의 리튬니켈계 정극재료제조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