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8910B1 - 테이프 로딩 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로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8910B1
KR100198910B1 KR1019900021284A KR900021284A KR100198910B1 KR 100198910 B1 KR100198910 B1 KR 100198910B1 KR 1019900021284 A KR1019900021284 A KR 1019900021284A KR 900021284 A KR900021284 A KR 900021284A KR 100198910 B1 KR100198910 B1 KR 100198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arrow
loading
spring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1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3142A (ko
Inventor
쯔요시 나가사와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10013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3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8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89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 G11B15/6653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 G11B15/665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using two-sided extraction, i.e. "M-ty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Landscapes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 Cables (AREA)
  • Conveying Record Carriers (AREA)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Discharge By Other Mean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복동 위치에서 왕동 위치로 왕동되는 로딩 수단에 의하여 테이프를 카셋트내에서 인출하여 테이프 주행로에 로딩시키는 테이프 로딩 장치에서, 로딩 및 언로딩 모드의 변환과 로딩 및 언로딩 구동을 함께 고속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여 로딩 완료까지의 시간을 감소시키고, 캡스턴 모터에서 로딩 및 언로딩의 구동 모터를 겸용함으로써, 로딩 및 언로딩의 구동 전용 모터는 불필요하고 테이프 로딩 장치의 소형화를 위하여, 캡스턴을 구동시키는 정, 역회전 가능한 캡스턴 모터와, 로딩 및 언로딩의 모드 변환을 위한 기계적 트리거를 발생시키는 모드 모터와, 상기 모드 모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기계적 트리거에 의하여 로딩 모드와 언로딩 모드로 변환되고, 상기 캐스턴 모터의 정, 역회전에 의하여 상기 로딩 수단을 복동 위치와 왕동 위치 사이로 왕복 구동시켜, 테이프의 로딩 및 언로딩을 행하는 구동 기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테이프 로딩 장치
제1도는 테이프 로딩 장치 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2도는 테이프 로딩 장치 전체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3a도 및 제3b도는 테이프 로딩 장치 전체의 구동 기구의 개요를 설명하는 평면도.
제4a도 및 제4b도는 메인 로딩 수단의 구동 기구를 설명하는 평면도.
제5a도 내지 제5d도는 테이프 권취측의 서브 로딩 수단의 구동기구를 설명하는 평면도.
제6a도 내지 제6d도는 테이프 공급측의 서브 로딩 수단의 구동 기구를 설명하는 평면도.
제7a도 및 제7b도는 텐션 검출핀 및 핀치 로울러의 구동 기구를 설명하는 평면도.
제8a도 및 제8b도는 슬라이드 판의 구동 기구를 설명하는 평면도.
제9a도 및 제9b도는 트리거 기구의 개요를 설명하는 평면도.
제10a도 내지 제10d도는 트리거 기구의 상세를 설명하는 평면도.
제11도는 트리거 기구의 측면도.
제12도는 블록화 구조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
제13도는 불록화 구조의 단면도.
제14도는 메인 로딩 수단의 가이드 구조를 설명하는 평면도.
제15도는 제14도의 XV-XV 표시에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 캡스턴 9 : 카셋트
10 : 자기 테이프 16,17 : 메인 로딩 수단
18,19 : 서브 로딩 수단 22 : 캡스턴 모터
24 : 구동 기어 26 : 모드 모터
29 : 트리거 기구 30 : 결치 기어
32 : 슬라이드 판
본 발명은 카셋트 식의 디지털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등의 카셋트식 기록 및 재생장치에서, 특히 소형의 것에 적용하는데 최적의 테이프 로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동(復動) 위치에서 왕동(往動)위치로 왕동되는 로딩 수단에 의하여 테이프를 카셋트 내에서 인출하여 테이프 주행로에 로딩하는 테이프 로딩 장치에서, 모드 모터에 의하여 로딩과 언로딩(unloading)을 위한 기계적 트리거를 발생시켜 캡스턴 모터의 정, 역회전에 의하여 로딩 수단을 왕복 구동하여, 테이프의 로딩 및 언로딩을 행하도록 구성함으로서 테이프의 로딩 및 언로딩의 고속화를 하면서 소형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부터 소형의 카셋트식 기록 및 재생 장치의 테이프 로딩 장치로서, 1개의 로딩 전용 모터에 의하여 로딩 및 언로딩의 모드를 변환한 후, 그 다음 모터에 의하여 로딩 수단을 복동 위치와 왕동 위치 사이에서 왕복 구동하여 테이프의 로딩 및 언로딩을 행하도록 한 것이 있다.
그러나, 1개의 모터에서, 모드의 변환과, 로딩 및 언로딩의 구동을 행하는 구조에서는 대용량의 모터를 저속으로 구동하지 않으면 안된다.
즉, 로딩 수단을 복동위치와 왕동 위치 사이에서 간단히 왕복 구동한 것이면, 모터의 큰 역량은 필요하지 않지만, 테이프의 로딩 앤드로서, 로딩 수단을 왕동 위치의 위치 결정 수단에 리미터 스프링에 저항하여 압압되어 위치 결정할 때에, 모터의 큰 역량이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모터의 큰 역량을 확보하기 위하여는 대용량의 모터를 저속으로 구동하지 않으면 안되고, 모드의 변환 동작도 천천한 동작으로 된다.
따라서 종래의 테이프 로딩 장치는 1개의 모터로서, 모드의 변환과, 로딩 및 언로딩의 구동을 행하여 있으므로, 모드의 변환과, 로딩 및 언로딩의 구동의 양측을 고속으로 행할 수 없고, 카셋트의 장착에서 테이프의 로딩 완료까지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로딩 및 언로딩 모드의 변환과, 로딩 및 언로딩의 구동을 함께 고속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테이프 로딩 장치는 제3a도 및 제3b도에 나타나듯이, 테이프 주행로중에 배치된 캡스턴(7)을 구동하는 정, 역회전 가능한 캡스턴 모터(22)와, 로딩 및 언로딩의 모드 변환을 위한 기계적 트리거를 발생시키는 모드 모터(25)와, 상기 모드 모터(25)에 의하여 발생되는 기계적 트리거에 의하여 로딩 모드와 언로딩 모드로 변환되고, 상기 캡스턴 모터(22)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로딩 수단(16 내지 19)을 복동 위치와 왕동 위치 사이로 왕복 구동되어, 테이프(10)의 로딩 및 언로딩을 행하는 구동 기구를 구비시킨 것이다.
본 발명의 테이프 로딩 장치는 로딩 및 언로딩의 모드 변환 동작을, 그 전용의 모드 모터에 의하여 고속으로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로딩 수단을 왕복 구동하는 로딩 및 언로딩의 구동을 캡스턴 모터의 정,역회전에서 고속으로 행할 수 있다.
이때, 캡스터 모터는 플라이휘일 효과에 의하여 큰 역량을 가짐으로, 테이프의 로딩 앤드로서, 로딩 수단을 왕동 위치의 위치 결정 수단에 리미터 스프링에 저항하여 압압되어 위치 결정할 때에, 큰 역량을 발휘한다. 캡스턴 모터에서 로딩 및 언로딩의 구동 모터를 겸용함으로서, 로딩 및 언로딩의 구동 전용 모터는 불요하다.
이하, 본 발명을 카셋트식의 디지털 테이프 레코더에 적용한 테이프 로딩 장치의 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G1우선, 제1도 및 제2도에 의하여 테이프 로딩 장치의 전체의 개요를 설명한다.
메인 샤시(1)의 상부에서 1단측에 공급릴대(2) 및 권취릴대(3)가 배치되고, 타단측에는 회전 헤드 드럼(4), 탠션 검출핀(5), 테이프 가이드(6)및 캡스턴(7)등에 의하여 구성된 테이프 주행로가 배치되어 있다.
카셋트(9)내에는 자기 테이프(10)가 공급릴(11) 및 권취릴(12)에 권장되어 수납되고, 이 자기 테이프(10)는 공급릴(11) 및 권취릴(12)에 권장되어 수납되고, 이 자기 테이프(10)는 카셋트(9)의 앞덮개(9a)의 내측에 따라 한 쌍의 테이프 가이드(13,14)사이에 패스되어 있다.
그리고, 이 카셋트(9)는 카셋트 장착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양 릴대(2,3)상에 상측에서 수평으로 장착되어, 양 릴(11,12)이 양 릴대(2,3)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카셋트 장착에 의하여, 카셋트(9)의 앞덮개(9a)가 상측으로 회동되어 열게 되고, 양 테이프 가이드(13,14) 사이에서 자기 테이프(10)의 내측에 복수의 로딩 수단(16 내지 19) 및 핀치 로울러(20)가 하측에서 상대적으로 삽입된다. 또한 복수의 로딩 수단은 공급측과 권취 측에 배치된 한쌍의 메인 로딩 수단(16,17)과 서브 로딩 수단(18,19)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카셋트 장착후에, 복수의 로딩 수단 (16내지 19) 및 핀치 로울러(20)가 제1도에 1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카셋트(9)내의 복동 위치에서 제1도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카셋트(9)외의 왕동 위치로 각각 화살표(a,b,c,d,e)방향으로 왕동된다. 그리고, 이들 복수의 로딩 수단(16 내지 19)에 의하여 자기 테이프(10)가 공급릴(11)에서 나오게 되어 카셋트(9)외에 인출되어 제1도에 실선으로 나타나듯이 테이프 주행로에 로딩된다.
또한 이때 , 양 메인 로딩 수단(16,17)은 회전 헤드 드럼(4)에 대한 테이프 공급측과 테이프 권취측인 양측으로 왕동되어, 자기 테이프(10)가 회전 헤드 드럼(4)의 주면에 소정의 감은 각에 나선상으로 감겨진 상태에 로딩된다. 테이프 공급측의 서브 로딩 수단(18)은 자기 테이프(10)의 공급측(10a)을 텐션 검출핀(5)으로 패스되고, 테이프 권취측의 서브 로딩 수단(19)은 자기 테이프(10)의 권취측(10b)을 테이프 가이드(6) 및 캡스턴(7)으로 패스된다.
그리고, 상기 테이프 로딩 후에 기록, 재생 모드에 변환되면, 핀치 로울러(20)가 제1도에서 1점 쇄선과 같이 자기 테이프(10)를 캡스턴(7)에 압착되고, 텐션 검출핀(5)이 자기 테이프(10)에 압압된다. 그리고, 권취릴대(3)에 의하여 권취릴(12)이 회전 구동됨으로서, 자기 테이프(10)가 공급릴(11)에서 공급되어, 권취릴(12)에 감기는 테이프 주행로를 화살표(f)방향으로 정속 주행된다. 그리고, 회전 헤드 드럼(4)에 의하여 자기 테이프(10)가 디지털 신호에 의하여 기록, 재생된다.
그리고, 이 기록 재생시에, 텐션 검출핀(5)에서 자기 테이프(10)의 텐션을 검출하여, 자기 테이프(10)의 백텐션을 정텐션 상태로 제어한다.
또한, 테이프 로딩은, 상기 테이프 로딩의 역동작이고, 자기 테이프(10)는 공급릴(11)에 감겨져 카셋트(9)내에 돌아가게 된다.
G2다음에 제3a도 및 제3b도에 의하여, 테이프 로딩 장치 전체의 구동 기구의 개요를 설명한다.
캡스턴(7)을 구동하는 정, 역회전 가능한 캡스턴 모터(22)는 기어 트레인(23)을 거쳐 구동 기어(24)를 화살표(g,g') 방향으로 정, 역회전 구동한다.
모드 모터(25)는 기어 트레인(26)을 거쳐 모드 변환용의 캠 기어(27)를 회전 제어하고, 캠 기어(27)는 링크 기구(28)를 거쳐 트리거 기구(29)의 결치 기어(30)를 화살표(h,h') 방향으로 회전 제어한다.
결치 기어(30)상에 설치된 구동핀(31)이 화살표(i,i') 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유로운 로딩 및 언로딩용의 슬라이드 판(32)에 설치된 장공(33)내에 삽입되어 있다.
양 메인 로딩 수단(16,17)은 한쌍의 가이드릴(34,35)에 따라 화살표(a,b)방향 및 화살표(a',b')방향으로 왕복 동 자유롭게 구성되고, 양 서브 로딩 수단(18,19) 및 핀치 로울러(20)는 각각 지점축(36,37,38)을 중심으로 화살표 (c,d,e)방향 및 화살표(c',d',e')방향으로 왕복동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테이프 로딩 동작은 제3a도에 나타내는 언로딩 상태에서 개시된다.
즉, 로딩 지령 신호에 의하여, 캡스턴 모터(222)가 정회전 구동되고, 기어 트레인(23)을 거쳐 구동 기어(24)를 화살표 (g)방향으로 정회전 구동하고, 모드 모터(25)가 정회전 구동되고, 기어 트레인(26)을 거쳐 캠 기어(27)를 정방향으로 회전 구동한다.
그러면, 즉시 구동 기어(24)에 의하여 결치 기어(30)가 화살표(h)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 구동되어, 구동핀(31)에 의하여 장공(33)을 거쳐 슬라이드판(32)이 구동되고, 이 슬라이드판(32)이 제3a도의 언로딩 위치(P1)에서 제3b도의 로딩 위치(P2)까지 화살표(i)방향으로 슬라이드 (왕동)된다.
그러면 슬라이드판(32)상에 설치된 한쌍의 구동핀(40,41)이 양 메인 로딩 수단(16,17)을 구동하는 한쌍의 신축 자유로운 링크 기구(44,45)를 구동하고, 슬라이드판(32)상에 설치된 다른 한쌍의 구동핀(42,43)이 서브 로딩 수단(19) 및 핀치 로울러(20)의 회동 레버(47,48)를 구동한다.
이 결과, 양 메인 로딩 수단(16,17)이 링크 기구(44,45)에 의하여 구동되어, 양 가이드 릴(34,35)에 따라 복동 위치에서 왕동 위치까지 화살표(a,b)방향으로 슬라이드 방식에서 왕동되고, 서브 로딩 수단(10)과 핀치 로울러(20)가 양 회동 레버(46,47)에 의하여 구동되어, 복동 위치에서 왕동 위치까지 화살표(d,e)방향으로 회동방식으로 양동된다.
또한, 서브 로딩 수단(18)은 메인 로딩 수단(16)에 의하여 눌러져, 복동 위치에서 왕동 위치로 회동 레버(46)에 의하여 회동되어 양동된다.
이상에 의하여, 테이프 로딩 동작이 완료하여, 제3b도의 상태로 된다.
다음에 테이프 로딩 동작은 제3b도에 나타내는 로딩 상태에서 개시된다.
즉, 언로딩 지령 신호에 의하여 캡스턴 모터(22)가 역회전 구동되어, 구동 기어(24)가 화살표 (g')방향으로 역회전 구동되고, 모드 모터(25)가 역회전 구동되어, 캠 기어(27)가 역방향으로 회전 제어된다.
그러면, 트리거 기구(29)의 기계적 트리거에 의하여 결치 기어(30)가 화살표(h')방향으로 회전되어, 구동 기어(24)에 치합되고, 언로딩 모드로 된다.
그러면, 즉시 구동 기어(24)에 의하여 결치 기어(30)가 화살표(h')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 구동되어, 구동핀(31)에 의하여 슬라이드 판(32)이 제3b도의 로딩 위치(P2)에서 제3a도의 언로딩 위치(P1)까지 화살표(i')방향으로 슬라이드(복동)된다.
그러면, 슬라이드판(32)상의 구동핀(40,41,42,43)에 의하여 양 링크 기구(44,45)및 양 회동 레버(47,48)가 구동되어 양 메인 로딩 수단(16,17)서브 로딩 수단(19) 및 핀치 로울러(20)가 왕복 위치에서 복동 위치까지 각각 화살표(a',b',c',d',e') 방향으로 복동된다.
또한 서브 로딩 수단(18)은 메인 로딩 수단(16)에 추종하여 복동 위치에서 왕동 위치까지 화살표(c')방향으로 복동된다.
이상에 의하여, 테이프 로딩 동작이 완료하여, 제3a도의 상태로 복귀한다.
그런데, 이 테이프 로딩 장치 전체의 구동 기구에 의하면, 로딩 및 언로딩의 모든 변환 동작을 그 전용의 모드 모터(25)에 의하여 고속으로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로딩 수단(16 내지 19)을 왕복 구동하는 로딩 및 언로딩의 구동을 캡스턴 모터(22)의 정, 역 회전에서 고속으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카셋트(9)의 장착에서 자기 테이프(10)의 로딩 완료까지의 시간이 매우 짧다.
또한, 캡스턴 모터(22)는 플라이휘일 효과에 의하여 큰 역량을 가짐으로, 자기 테이프(10)의 로딩 앤드로서, 제4b도에 나타나듯이 로딩 수단(16,17)을 왕동 위치의 위치 결정 수단인 스토퍼(66)에 리미터 스프링(62)에 저항하여 압압되어 위치 결정할 때에 큰 역량을 발휘한다. 캡스턴 모터(22)에서 로딩 및 언로딩의 구동 모터를 겸용하므로, 로딩 및 언로딩의 구동 전용 모터는 불요하다.
G3다음에 제4a도 및 제4b도 에 의하여 슬라이드판(32)에 의한 양 메인 로딩 수단(16,17)의 구동 기구의 상세를 설명한다.
양 메인 로딩 수단(16,17)은 각각 슬라이더(51)상에 회전 로울러로서 구성된 테이프 가이드(52)와 고정핀으로 구성된 경사 가이드(53)를 대칭상으로 장치하고, 슬라이더(51)의 하부에 돌출된 한쌍의 가이드 축(54,55)을 각 가이드 릴(34,35)에서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테이프 가이드(52)는 슬라이더(51)의 상측에 관통하여 수직으로 돌출된 가이트 축(54)의 상단의 외주에 회전 자유롭게 장치되어 있다.
상술했듯이, 양 릴대(2,3)상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카셋트(9)의 하부에 슬라이드판(32)이 배치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판(32)은 메인 샤시(1)상에서 특수의 가이드핀(57)및 가이드 구(58)에 의하여 안내되어, 카셋트(9)의 좌우 방향 (양 릴(11,12)을 잇는 방향)과 평행의 방향인 화살표(i,i')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
신축 자유로운 양 링크 기구(44,45)는 각각 리미터용 링크(59)와 한쌍의 연결용 링크(60,61)와, 리미터 스프링(62)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양 링크(59,60)가 메인 샤시(1)상에 설치된 지점축(63)을 중심으로 화살표(j,j')방향에 회동 자유롭게 구성되고, 양 링크(60,61)가 연결핀(64)에 의하여 연결되고, 링크(61)가 각 슬라이터(51)의 가이트 핀(55)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 리미터 스프링(62)이 지점축(63)의 외주에 감장되고, 그 양단 (62a,62b)이 양 링크(59,60)에 설치된 돌기(59a,60a)에 당접되고, 그 리미터 스프링(62)에 의하여 링크(60)가 링크(59)의 돌기(59b)에 화살표(j)방향에서 당접되어 있다.
슬라이드판(32)상에 설치된 한쌍의 구동핀(40,41)이 각 링크(59)에 설치된 거의 L형의 장공(65)내에 유감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판(32)의 1단측에 설치된 장공(33)은 그 슬라이드 방향 화살표 (i ,i') 방향에 대하여 직각이고, 메인 샤시(1)상에서 양 메인 로딩 수단(16,17)의 왕동 위치에는 한쌍의 스토퍼(66)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테이프 로딩시에는 상술했듯이 결치 기어(30)의 구동핀(31)에 의하여 슬라이드판(32)이 제4a도의 언로딩 위치(P1)에서 제4b도의 로딩 위치(P2)까지 화살표(i) 방향으로 슬라이드 된다. 그리고, 양 구동핀(40,.41)이 양 링크 기구(44,45)의 각 링크(59)의 각 장공(65)의 1단 (65a)을 화살표(i)방향으로 누른다.
그러면, 각 링크(59)가 각 리미터 스프링(62)을 거쳐 각 링크(60)를 지점축(63)을 중심으로 화살표(j)방향으로 회동되고, 각 링크(61)를 거쳐 양 메인 로딩 수단(16,17)의 각 슬라이더(51)에 화살표(a,b)방향으로의 슬라이드 힘이 부여된다.
즉, 양 링크 기구(44,45)의 한쌍의 링크(60,61)가 제4a도에 나타나듯이 V자상으로 접게 된 상태에서, 제4b도에 나타나듯이 직선상에 차례로 전개되고, 이것에 의하여 각 슬라이더(51)가 각 가이드 릴(34,35)에 따라 제4a도의 복동 위치에서 제4b도의 왕동 위치로 화살표(a,b)방향으로 왕동된다.
그리고, 양 메인 로딩 수단(16,17)의 각 테이프 가이드(52) 및 경사 가이드(53)에 의하여 제1도에 나타나듯이, 자기 테이프(10)가 카셋트(9)내에서 인출되어,회전 헤드 드럼(4)의 주면에 감기어진다. 또한, 이때, 양 메인 로딩 수단(16,17)의 양 경사 가이드(53)에 의하여, 회전 헤드 드럼(40)에 대한 자기 테이프(10)의 감은각 및 나선각이 규제된다.
그리고, 제4b에 나타나듯이, 양 메인 로딩 수단(16,17)이 왕동 위치까지 왕동되면, 각 슬라이드(51)의 전단면에 설치된 위치 결정용의 V구(67)가 핀에서 구성된 각 스토퍼(66)에 화살표(a,b)방향에서 각 리미터 스프링(62)에 의하여 압착(압압)되어 위치 결정되고, 슬라이드판(32)의 양 구동핀(40,41)이 각 링크(59)의 각 장공(65)의 타단(65b)에 인입한 상태로 되어, 테이프 로딩 동작이 완료된다.
다음에, 테이프 언로딩시에는 상술했듯이, 결치 기어(30)의 구동핀(31)에 의하여 슬라이드판(32)이 제4b의 로딩 위치(P2)에서 제4a의 언로딩 위치(P1)까지 화살표(i)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그리고, 양 구동핀(40.,41)이 양 링크 기구(44,45)의 각 링크(59)를 각 장공(65)를 거쳐 화살표(j')방향으로 누른다.
그러면, 각 링크(59)의 돌기(59b)에 의하여, 각 링크(60)가 지점축(63)을 중심으로 화살표(j')방향으로 회동되고, 각 링크(61)를 거쳐 양 메인 로딩 수단(16,17)의 각 슬라이터(51)에 화살표(a'b'방향으로의 슬라이드 힘이 부여된다.
즉, 양 링크 기구(44,45)의 한쌍의 링크(60,.61)가 제4b에 나타나듯이 직선상으로 전개된 상태에서 제4a에 나타나듯이 V자상으로 차례로 접게 되고, 이것에 의하여, 각 슬라이더(51)가 각 가이드 릴(34,35)에 따라 왕동 위치에서 복동 위치로 화살표(a',b') 방향으로 왕동된다.
그리고, 제4a도에 나타나듯이, 양 메인 로딩(16,17)이 복동 위치까지 복동되고, 슬라이드판(32)의 양 구동판(40,41)이 각 링크(59)의 각 장공 (65)의 1단(65a)에 인입한 상태로 되어, 테이프 언로딩 동작이 완료한다.
그런데, 이 슬라이드판(32)에 의한 양 메인 로딩 수단(16,17)의 구동 기구에 의하면, 캡스턴 모터(22)에 의하여 왕복동되는 슬라이드판(32)에서 한쌍의 신축 자유로운 링크 기구(44,45)를 거쳐 한쌍의 메인 로딩 수단(16,17)을 한쌍의 가이드 릴(34,35)에 따라 왕복 구동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부품 점수 및 조립 공수가 적고, 구조가 매우 간단하다. 슬라이드판(32)에 의하여 구동되는 한쌍의 신축 자유로운 링크 기구(44,45)는 한쌍의 가이드릴(34,35)에 따라 왕복동 되는 한쌍의 메인 로딩 수단(16,17)의 위상에 따라 자유롭게 신축할 수 있으므로, 한쌍에 메인 로딩 수단(16,17)을 한쌍의 가이드 릴(34,35)에 따라 스무스하게 왕복구동할 수 있고, 캡스턴 모터(22)에 걸리는 부하도 작게 할 수 있다. 슬라이드판(32)을 카셋트(9)의 하부로서 왕복동할 수 있으므로, 카셋트(9)와 회전 헤드 드럼(4) 사이의 격간(l1)을 매우 작게 할 수 잇고, 테이프 로딩 장치 전체의 소형화를 할 수 있다.
G4다음에 제5a도 내지 제5d도에 의하여 테이프 권취측의 서브 로딩 수단(19)의 구동 기구를 상세히 설명한다.
서브 로딩 수단(19)은 회전 로울러(3)에서 구성된 테이프 가이드(69)를 가지고, 이 테이프 가이드(69)는 거의 V자상을 이루는 회동 레버(47)의 1단(47a)상에 가이드 축(70)을 거쳐 회전 자유롭게 장치되어 있다. 회동 레버(47)는 메인 샤시(1)상에 설치된 지점축(37)을 중심으로 화살표(d,d')방향에 회동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
상술했듯이, 캡스턴 모터(22)에 의하여 언로딩 위치(복동 위치) P1와 로딩 위치(왕동 위치)P2사이로 왕복 구동되는 구동 수단을 구성하는 슬라이드판(32)과, 서브 로딩 수단(19)의 회동 레버(47) 사이에는 여유를 가지는 계합부(71)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계합부(71)는 슬라이드판(32)상에 설치된 구동핀(42)과, 회동 레버(47)의 양단(47a,47b) 사이에 설치된 오목부(72)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회동 레버(47)상에서 지점축(37)을 끼워 테이프가이드(69)는 반대측의 위치에 스프링 당접핀(73)이 설치되어 있다. 복귀 코일 스프링에서 구성된 스프링(74)이 메인 샤시(1)상에 설치된 스프링 장치축(75)에 감장되어 장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프링(74)의 가동단(74a)이 스프링 당접핀(73)에 당접되고, 고정단(74b)은 메인 샤시(1)에 고정되어 있다.
서브 로딩 수단(19)의 왕동 위치에서 메인 샤시(1)상에는 스토퍼(76)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제5a도는 테이프 언로딩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슬라이드판(32)의 구동핀(42)이 언로딩 위치(P1)에 복동되고 있다. 그리고 스프링 당접핀(73)을 화살표 (k)방향에서 압압하고 있는 스프링(74)의 가동단(74a)에 의하여, 회동 레버(47)가 지점축(37)을 중심으로 복동 방향인 화살표(d')방향으로 회동 부세되어 회동 레버(47)의 타단(47b)이 구동핀(42)에 화살표 방향(d')방향에서 당접되어, 서브 로딩 수단(19)의 테이프 가이드 (69)가 복동 위치로 복동되어 잇다.
다음에, 테이프 로딩시에는 상술했듯이 슬라이드판(32)의 구동핀(42)이 제5a도의 언로딩 위치(P1)에서 제5c도의 로딩 위치(P2)까지 화살표(i)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그리고 구동핀(42)이 회동 레버(47)의 타단(47b) 을 화살표(d)방향으로 누른다.
그러면, 회동 레버(47)가 지점축(37)을 중심으로 화살표(d)방향으로 회동되어 서브 로딩 수단(19)의 테이프 가이드(69)가 제5a도의 복동 위치에서 제5c도의 왕동 위치까지 화살표(d)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 제5b도에 나타나듯이, 회동 레버(47)와 일체로 화살표(d)방향으로 회동되는 스프링 당접핀(73)이 스프링(74)의 가동단(74a)를 화살표(k')방향으로 누른다. 그리고, 스프링 당접핀(73)이 스프링(74)의 가동단(74a)에 대하는 사점 (지점축37과 스프링 당접핀(73)의 중심을 잇는 직선이 가동단(74a)에 대하여 수직으로 되는 위치) P3를 화살표(d)방향으로 초과한 순간에, 제5c도에 나타나듯이, 스프링 당접핀(73)을 화살표(k)방향에서 압압하고 있는 스프링(74)의 가동단(74a)에 의하여 스프링 당접핀(73)에 화살표(d)방향의 회동력이 부여된다.
즉, 회동레버(47)가 상기 시점(P3)을 화살표(d)방향으로 초과한 순간에 스프링(74)의 가동단(74a)에 의한 회동 레버(47)의 회동 부세 방향이 변환되어, 스프링 (74)의 가동단 (74a)은 회동 레버(47)를 제5a도와는 반대로 왕동 방향인 화살표(d) 방향으로 회동 부세한다.
그리고, 제5c도에 나타나듯이, 회동 레버(47)가 스프링(47)의 가동단(74a)에 의하여 화살표(d)방향으로 회동되고, 테이프 가이트(69)가 왕동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에, 회동 레버(47)가 스토퍼(76)에 스프링(74)의 가동단(74a)에 의하여 압착되어, 테이프 로딩 동작이 완료한다.
또한 이때, 슬라이드판(32)의 구동핀(42)은 회동 레버(47)의 타단(47b)에서 이간되어 1단 (47a)에 근접되고, 오목부(72)내를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서브 로딩 수단(19)의 테이프 가이드(69)에 의하여, 제1도에 나타나듯이 자기 테이프(10)의 권취측(10b)이 카셋트(9)내에서 인출되어, 테이프 가이드(6)및 캡스터(7)에 패스된다.
다음에, 테이프 언로딩시에는 상술했듯이, 슬라이드판(32)의 구동핀(42)이 제5c도의 로딩 위치(P2)에서 제5a도의 로딩 위치(P1)까지 화살표(i')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그리고, 구동핀(42)이 회동 레버(47)의 1단 (47a)을 화살표(d')방향으로 누른다.
그러면, 회동 레버(47)가 지점축(37)을 중심으로 화살표(d')방향으로 회동되어, 서브 로딩 수단(19)의 테이프 가이드(69)가 제5c도의 복동 위치에서 제5c도의 왕동 위치까지 화살표(d')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 제5d도에 나타나듯이, 회동 레버(47)와 일체로 화살표(d) 방향으로 회동되는 스프링 당접핀(73)이 스프링(74)의 가동단(74a)을 화살표(k')방향으로 누른다.
그리고, 스프링 당접핀(73)이 스프링(74)의 가동단(74a)에 대한 사점(P3)을 화살표(d')방향으로 초과한 순간에, 제5b도에 나타나듯이, 스프링 당접핀(73)을 화살표(k)방향에서 압압하고 있는 스프링 (74)의 기동단(74a)에 의하여, 스프링 당접핀(73)에 화살표(d')방향의 회동력이 부여된다.
즉, 회동 레버(47)가 상기 사점(P3)을 화살표(d')방향으로 초과한 순간에, 스프링(74)의 가동단(74a)에 의한 회동레버(47)의 회동 부세 방향이 변환되어, 스프링(74)의 가동단(74a)에 의한 회동 레버(47)를 제5c도와는 반대로 왕동 방향인 화살표(d')방향으로 회동 부세한다.
그리고, 제5a도에 나타나듯이, 회동 레버(47)가 스프링(74)의 가동단(74a)에 의하여 화살표(d')방향으로 회동되고, 테이프 가이드(69)가 복동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에, 회동 레버(47)의 1단(47a)이 슬라이드판(32)의 구동핀(42)에 화살표(d')방향에서 당접되어, 테이프 언로딩 동작이 완료된다.
그런데, 이 서브 로딩 수단(19)의 구동 기구에 의하면, 구동 수단인 슬라이드판(32)에 의한 서브 로딩 수단(19)의 지점축(37)을 중심으로 한 화살표(d,d')방향의 왕복 구동도중이고, 스프링(74)에 의한 서브 로딩 수단(19)의 지점축(37)을 중심으로 한 회동 부세 방향(화살표 d,d' 방향)을 자동적으로 반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서브 로딩 수단(19)은 왕동 위치로서, 상기 반전된 스프링 (74)에 의하여 스토퍼(76)에 압압(압착)되어 위치 결정되고, 슬라이드판(32)을 구동하는 캡스턴 모터(22)의 역량에 의하여 서브 로딩 수단(19)을 왕동 위치로서 스포터(76)에 압압(d압착)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지점축(37)의 주변에, 구동핀(42)과 회동 레버(47)의 스토로크 차를 흡수하고, 서브 로딩 수단(19)을 스토퍼(76)에 압착하기 위한 리미터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모두 없고, 구동 가구 전체를 심플하게 구성할 수 있다.
서브 로딩 수단(19)을 왕동 위치로서 스토퍼(76)에 압압(압착)시켰을때에 캡스턴 모트(22)에 부하가 모두 가하여지지 않으므로 이 캡스턴 모터(22)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단 캡스턴 모터(22)에는 제4a도 및 제4b도에 나타낸 양 메인 로딩 수단(16,17)을 스토퍼(66)에 압착되었을 때의 부하는 가하여 진다.
G5다음에 제6a 내지 제6d도에 의하여, 테이프 공급측의 서브 로딩 수단(18)의 구동 기구의 상세를 설명한다.
서브 로딩 수단(18)은 회전 로울러에서 구성된 테이프 가이드(78)을 가지고, 이 테이프 가이드(78)는 거의 V자상을 이루는 회동 레버(46)의 1단(46a)상에 가이드 축(79)을 거쳐 회전 자유롭게 장치되어 있다. 회동 레버(46)는 메인 샤시(1)상에 설치된 지점축(36)을 중심으로 화살표(c,c')방향에 회동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
상술했듯이, 캡스턴 모터(22)에 의하여 복동위치와 왕동위치 사이에서 왕복 구동되는 구동 수단을 구성하는 테이프 공급측의 메인 로딩 수단(16)과, 서브 로딩 수단(18)의 회동 레버(46) 사이에는 눌림을 가지는 계합부(8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계합부(80)는 슬라이더(51) 및 테이프 가이드(52)와, 회동 레버(46)의 양단(46a,46b) 사이에 설치된 오목부(81)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회동 레버(46)의 1단(46a)상에서 지점축(36)과 테이프 가이드(8) 사이에 스프링 당접핀(82)이 설치되어 있다. 복귀 코일 스프링에서 구성된 스프링(83)이 메인 샤시(1)상에 설치된 스프링 장치축(84)에 감장되어 장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프링(83)의 가동단(83a)이 스프링 당접핀(82)에 당접되고, 고정단(83b)이 메인 샤시(1)에 고정되어 있다.
서브 로딩 수단(18)의 종동 위치에서 메인 샤시(1)상에는 스토퍼(85)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제6a도는 테이프 언로딩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메인 로딩 수단(16)이 복동 위치에 복동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링 당접핀(82)을 화살표(m)방향에서 압압하고 있는 스프링(83)의 가동단(83a)에 의하여, 회동 레버(46)가 지점축(36)을 중심으로 화살표(c')방향으로 회동 부세되어, 회동 레버(46)의 1단(46a)이 슬라이더(51)의 전단부(51a)에 당접되어 서브 로딩 수단(18)의 테이프 가이드(78)가 복동 위치에 복동되어 있다.
다음에, 테이프 로딩시에는 제6b도에 나타나듯이, 상술과 같이 슬라이더(51)가 가이드 릴(34)에 따라 화살표(a)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그리고, 슬라이더(51)의 전단(51a) 에 의하여, 회동 레버(46)가 스프링(83)에 저항하여 화살표(c)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스프링 당접핀(82)이 스프링(83)의 가동단(83a)에 대한 사점(지점축(36)과 스프링 당접핀(82)의 중심을 잇는 직선이 가동단(83a)에 대하여 수직한 위치) P4를 화살표(c)방향으로 초과한 순간에, 제6c도에 나타나듯이, 스프링 당접핀(82)을 화살표(m)방향에서 압압하고 있는 스프링(83)의 가동단(83a)에 의하여 스프링 당접핀(82)에 화살표(c)방향의 회동력이 부여된다.
따라서, 이후는 제6c도에 나타나듯이, 회동 레버(46)가 스프링(83)의 가동단(83a)에 의하여 화살표(c)방향으로 회동되고, 테이프 가이드(78)가 왕동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에, 회동 레버(46)가 스토퍼(85)에 스프링(83)의 가동단(83a)에 의하여 압착되어, 테이프 로딩 동작이 완료한다.
또한, 이것과 함께 슬라이더(51)는 회동 레버(46)에서 이간되어 가이드 릴(34)에 따라 왕동 위치까지 화살표(a)방향으로 왕동된다.
그리고, 서브 로딩 수단(18)의 테이프 가이드(78)에 의하여 제1도에 나타나듯이, 자기 테이프(10)의 공급측(10a)이 카셋트(9)내에서 인출되어, 텐션 검출핀(5)으로 패스된다.
다음에, 테이프 언로딩시에는 제6c도에 나타나듯이, 상술했듯이, 슬라이더(51)가 가이 드릴(34)에 따라 화살표(a')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그리고 제6d도에 나타나듯이, 슬라이더(51)상의 테이프 가이드(52)의 기부가 회동 레버(46)의 타단(46b)에 화살표(a')방향에서 당접하여 회동 레버(46)를 스프링(83)에 저항하여 화살표(c')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스프링 당접핀(82)이 스프링(83)의 가동단(83a)에 대한 사점(P4)을 화살표(c') 방향으로 초과한 순간에, 제6a도에 나타나듯이, 스프링 당접핀(82)을 화살표(m)방향에서 압압하고 있는 스프링(83)의 가동단(83a)에 의하여 스프링 당접핀(82)에 화살표(c')방향의 회동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이후는 제6a도에 나타나듯이, 회동 레버(46)가 스프링(83)의 가동단(83a)에 의하여, 화살표(c')방향으로 회동되고, 회동 레버(46)의 1단(46a)이 슬라이더(51)의 전단부(51a)에 당접된다. 그리고 슬라이더(51)와 함께 테이프 가이드(78)가 복동 위치로 복동되어, 테이프 언로딩 동작이 완료한다.
이 서브 로딩 수단(18)의 구동 기구도 제5a도 제5d 도에 나타낸 서브 로딩 수단(19)의 구동 기구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G6다음에, 제7a도 및 제7b도에 의하여 텐션 검출핀(5) 및 핀치 로울러(20)의 구동 기구를 설명한다.
텐션 검출핀(5)은 회전 로울러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텐션 검출 레버(87)의 선단장에 로울러 축(88)을 거쳐 회전 자유롭게 장치되어 있다. 그리고, 탠션 검출 레버(87)는 메인 샤시(1)상에 설치된 지점축(89)을 중심으로 활살표(n,n')방향에 회동 자유롭게 구성되고, 복귀 코일 스프링에서 되는 스프링(90)에 의하여 화살표(n)방향으로 회동 부세되어 있다.
핀치 로울러(20)는 핀치 로울러 레버(91)의 선단상에 지축(92)을 거쳐 회전 자유롭게 장치되어 있다.
그리고, 핀치 로울러 레버(91)는 메인 샤시(2) 상에 설치된 지점측(38)을 중심으로 화살표(d,d')방향에 회전 자유롭게 구성되고, 복귀 코일 스프링에서 되는 스프링(94)에 의하여 화살표(d')방향으로 회동 부세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판(32)상에 설치된 구동핀(43)이 핀치 로울러 레버(91)에 설치된 오목부에서 되는 계합부(94)에 화살표(i,i')방향에서 계합, 이탈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모드 모터(25)에 의하여 회전 제어되는 캠 기어(27)와 캠 축(97)을 거쳐 일체로 회전 제어되는 캠 기어(98)가 메인 샤시(1)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 캠 기어(98)의 캠 구(99)에 의하여 캠 종동핀(100)을 거쳐 화살표(o,o') 방향으로 슬라이드 구동되는 스톱 및 포워드용의 슬라이드판(101)이 메인 샤시(1)상에 장치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판(101)의 1단상에 설치된 핀(102)에 텐션 레버(87)가 스프링(90)에 의하여 화살표(n) 방향에서 당접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판(101)의 타단상에는 리미터판(103)이 지점축(104)을 거쳐 화살표(r,r')방향에 회동 자유롭게 장치되고, 리미터판(103)은 리미터 스프링(105)에 의하여 화살표(r)방향으로 회동 부세되고, 스토퍼(106)에서 슬라이드판(101)의 측면에 당점되어 잇다. 그리고, 리미터판(103)의 선단상에 설치된 구동핀(106)이 핀치 로울러 레버(91)의 아암(91a)에 화살표(o,o')방향에서 계합, 이탈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제7a도는 테이프 로딩 완료 상태이고, 슬라이드판(32)이 언로딩 위치(P1)에서 로딩 위치(P2)까지 화살표(i)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면, 구동핀(43)이 핀치 로울러 레버(91)의 계합부(95)내에 계합하여, 핀치 로울러 레버(91) 및 핀치 로울러(20)를 1점 쇄선의 복동 위치에서 실선의 왕동 위치까지 스프링(94)에 저항하여 회동된다.
다음에, 제7b도는 기록, 재생 모드 상태이고, 모드 모터(25)에 의하여 정방향(화살표 s 방향)으로 회전 제어되는 캠 기어(98)의 캠 구(99)에 의하여 캠 종동핀(100)을 거쳐 슬라이드판(101)이 제7a도의 스톱 위치에서 제 7b도의 포워드 위치까지 화살표(o)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그러면, 핀(102)에 당접되어 있는 탠션 검출 레버(87)가 스프링(90)에 의하여 화살표(n) 방향에 회동되어 텐션 검출핀(5)이 그 스프링(90)에 의하여 제1도에 실선으로 나타나듯이 자기 테이프(10)의 공급축(10a)에 압압된다.
이것과 동시에, 리미터판(103)의 구동핀(106)이 핀치 로울러 레버(91)의 아암(91a)에 리미터 스프링(105)에 저항하여 화살표(o)방향에서 압압되어 핀치 로울러 레버(91)가 화살표(d)방향으로 회동되어 핀치 로울러(20)가 리미터 스프링(20)에 의하여 제1도에 1점 쇄선으로 나타나듯이 자기 테이프(10)의 권취측(10b)을 캡스턴(7)에 압착한다. 또한 이때, 구동핀(43)은 계합부(95)내에 휴지 상태에 있다.
그리고, 기록 재생시에는 자기 테이프(10)의 탠션의 변화에 따라 텐션 검출핀(5)이 제7b 도에서 화살표(n,n')방향에 스프링(90)에 저항하여 회동되고, 탠션 검출 레버(87)가 제1도에 나타낸 공급릴대(2)의 소프트 브레이크(도시하지 않음)를 제어하여, 자기 테이프(10)의 백텐션을 정탠션 상태로 제어한다.
또한, 스톱 모드로 변환되면, 제7a도에 나타나듯이, 역방향(화살표s'방향)에 회전 제어되는 캠기어(98)에 의하여 슬라이드판(101)이 스톱 위치까지 화살표(o')방향으로 슬라이드되고, 리미터판(103)의 구동핀(106)이 핀치 로울러 레버(91)의 아암(91a) 에서 화살표(o')방향으로 이간되어, 펀치 로울러 레버(91) 및 핀치 로울러(20)가 제 7a도에서 실선의 위치까지 화살표(d')방향으로 복귀된다.
G7다음에, 제8a도 및 제8b도에 의하여 슬라이드판(32)의 구동 기구를 설명한다.
우선, 제8a도에 나타나듯이, 로딩 지령 신호에 의하여 캡스턴 모터(22)가 정회전 구동되어, 기어 트레인(23)을 거쳐 구동 기어(24)가 화살표(g)방향으로 정회전 구동된다. 그리고, 결치 기어(30)가 실선의 위치에서 1점 쇄선의 위치까지 화살표(h)방향으로 회전 제어되면, 그 결치 기어(30)의 1단(30a)이 구동기어(24)에 치합되어, 로딩 모드로 된다.
또한, 이 사이에 결치 기어(30)상에 설치된 구동핀(31)은 슬라이드판(32)의 장공(33)의 1단의 1측면에 절결되어 있는 상기 치합을 위한 도피용 절결(33a)내를 화살표(h) 방향으로 회동하여 장공(33)내에 진입한다.
그리고, 상기 치합의 순간에서, 구동기어(24)에 의하여 결치 기어(30)가 화살표(h)방향으로 약 250°회전 구동되고, 그 회전각의 약 180°분으로, 구동핀(31)에 의하여 장공(33)을 거쳐 슬라이드판(32)이 제8a도의 언로딩 위치(P2)에서 제8b도의 로딩 위치(P )까지 화살표(i)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그리고, 결치 기어(30)는 이 회전 후에. 제8b도에 나타나듯이 구동 기어(24)에서 이탈한 상태로서 정지된다.
다음에, 제8b 도에 나타나듯이 언로딩 지령 신호에 의하여 캡스턴 모터(22)가 역회전 구동되어, 기어 트레인(23)을 거쳐 구동기어(24)가 화살표(g')방향으로 역회전 구동된다. 그리고, 결치 기어(30)가 실선의 위치에서 1점 쇄선의 위치까지 화살표(h')방향으로 회전 제어되면, 그 결치 기어(30)의 타단(30b)이 구동기어(24)에 치합되어, 언로딩 모드로 된다.
또한, 이 사이에 구동핀(31)은 슬라이드판(32)의 장공(32)의 1단의 타측면에 절결되어 있는 상기 치합을 위한 도피용 절결(33b)내를 화살표(h')방향으로 회동하여 장공(33)내에 진입한다.
그리고, 상기 치합의 순간에서, 구동기어(24)에 의하여 결치 기어(30)가 화살표(h')방향으로 약 250 회전 구동되고, 그 회전각의 약 180 분으로 구동핀(31)에 의하여 장공(33)을 거쳐 슬라이드판(32)이 제8b도의 로딩 위치(P2)에서 제8a도의 언로딩 위치(P1)까지 화살표(i)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그리고, 결치 기어(30)는 이 회전 후에, 제8b도에 나타나듯이 구동 기어(24)에서 이탈한 상태로서 정지된다.
G8다음에, 제9a도 및 제9b도에 의하여, 트리거 기구(29)의 개요를 설명한다.
결치 기어(30)의 회전측(108)의 근방에 트리거 래버(109)가 배치되고, 이 트리거 래버(109)는 지점축(110)을 중심으로 화살표(t,t')방향에 요동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 링크 기구(28)는 서로 연결되어 지점축(11,12)을 중심으로 요동되는 한쌍의 링크(112,113)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캠 기어(27)에 설치된 캠 구(115)에 계합된 캠 종동핀(116)이 한쪽의 링크(113)에 설치되고, 다른쪽의 링크(114)가 트리거 레버(109)에 연결되어 잇다.
그리고, 제9a도에 나타나듯이 로딩 지령 신호에 의하여 모드 모터가 정회전 구동되어 기어 트레인(26)을 거쳐 캠 기어(27)가 화살표(s)방향으로 정회전 제어되면, 링크 기구(28)을 거쳐 트리거 래버(109)가 화살표(t)방향으로 요동구동된다.
이 트리거 래버(109)에 의한 기계적 트리거에 의하여 결치 기어(30)가 화살표(h)방향으로 회전 제어되며, 화살표(g)방향으로 회동 제어되는 구동 기어(24)에 결치 기어(30)의 1단 (30a)이 화살표(h)방향에서 치합되어 로딩 모드로 된다.
다음에, 제9b도에 나타나듯이, 언로딩 지령 신호에 의하여, 모드 모터가 역회전 구동되어, 기어 트레인(26)을 거쳐 캠 기어(27)가 화살표(s')방향으로 역회전 제어되면, 링크 기구(28)를 거쳐 트리거 레버(109)가 화살표(t')방향으로 요동구동된다. 이 트리거 레버(109)에 의한 기계적 트리거에 의하여, 결치 기어(30)가 화살표(h')방향으로 회전 제어되어 화살표(g')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있는 구동 기어(24)에 결치 기어(30)의 타단(30b)이 화살표(h')방향에서 치합되어 언로딩 모드로 된다.
G9다음에 제10a도 내지 제11도에 의하여 트리거 기구(29)의 상세를 설명한다.
결치 기어(30)의 회전측(108)의 외주에서, 그 결치 기어(30)의 하면에 트리거용 돌기(118)와, 한쌍의 위치 결정용 돌기(119a,119b)가 상하 2단상으로 서로 일체 성형되어 있다. 트리거 레버(109)의 지점축(110)의 외주에 복귀 코일 스프링에서 되는 트리거용 스프링(120)과 위치 결정용 스프링(121)이 상하 2단으로 장치되어 있다.
그리고, 트리거용 스프링(120)의 한쌍의 스프링 아암(120a),(120b)이 트리거 레버(109)의 양단부(109a,109b)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양 스프링 아암(120a,120b)은 트리거용 돌기(118)를 교대로 압압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용 스프링(121)의 가동단(121a)이 양 위치 결정용 돌기(119a,119b)에 교대로 압압되도록 구성되고, 고정단(121b)은 트리거 레버(109)의 스프링 계지부(122)에 계지되어 있다.
다음에 동작을 설명한다.
제10a도는언로딩 상태이고, 위치 결정용 스프링 (121)의 회동단(121a)이 한쪽의 위치 결정용 돌기(119a)에 화살표V방향에서 압압되고, 트리거용 돌기(118)가 트리거용 스프링(120)의 한쪽 스프링 아암(120a)에 화살표(h')방향에서 압압되어 있다. 이 결과, 결치 기어(30)가 화살표(h')방향으로 회전 부세되어, 그 결치 기어(30)의 1단(30a)이 구동 기어(24)에서 화살표(h')방향으로 이탈된 상태에 유지되어 있다.
다음에, 이 언로딩 상태에서, 제10b도에 나타나듯이, 트리거 레버(109)가 화살표(t)방향으로 요동 구동되면, 트리거용 스프링(120)의 한쪽 스프링 아암(120a)이 트리거용 돌기(118)를 화살표(t)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압압한다.
그러면, 결치 기어(30)가 화살표(h)방향에 탄성적으로 회전 부세되어, 그 결치 기어(30)의 1단(30a)이, 화살표(g)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있는 구동기어(24)에 화살표(h)방향에서 치합되는 기계적 트리거 동작이 행하여진다.
또한, 이후, 결치 기어(30)는 구동 기어(24)에 의하여 화살표(h)방향으로 약 250°회전 구동되고, 제10c도에 나타나듯이 구동 기어(24)에서 이탈하여, 로딩 상태에서 정지된다.
그리고, 제10c도에 나타내는 로딩 상태에서는 위치 결정용 스프링(121)의 가동단(121a)이 다른 쪽의 위치 결정용 돌기(119b)에 화살표 V방향에서 압압되고, 트리거용 돌기(118)가 트리거용 스프링(120)의 다른쪽 스프링 아암(120b)에 화살표(h)방향에서 압압되어 있다.
이 결과 결치 기어(30)가 화살표(h) 방향으로 회전 부세되어, 그 결치 기어(30)의 타단(30b)이 구동기어(24)에서 화살표(h)방향으로 이탈된 상태에 유지되어 있다.
다음에, 이 로딩 상태에서, 제10d도에 나타나듯이, 트리거 레버(109)가 화살표(t')방향으로 요동 구동되면, 트리거용 스프링(120)의 다른쪽 스프링 아암(120b)이 트리거용 돌기(118)를 화살표(t')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압압한다.
그러면, 결치 기어(30)가 화살표 (h')방향에 탄성적으로 회전 부세되어, 그 결치 기어(30)의 타단(30b)이, 화살표(g')방향으로 회동 구동되어 있는 구동 기어(24)에 화살표(h')방향에서 치합되는 기계적 트리거 동작이 행하여 진다.
또한, 이후 결치 기어(30)는 구동기어(24)에 의하여 화살표(h')방향으로 약 250°회전 구동되고, 제10a도에 나타나듯이, 구동 기어(24)에서 이탈한 언로딩 상태로 복귀하여 정지된다.
그런데, 이 트리거 기구(29)에 의하면, 트리거 레버(109)의 정역 방향(화살표 t,t'방향)의 요동에 의하여, 한쌍의 스프링 아암(120a,120b)에 의하여 결치 기어(30)를 정역 방향(화살표 h,h'방향)에 탄성적으로 그대로 회전 부세되어, 이 결치 기어(30)의 양단(30a,30b)을 구동기어(24)에 정역방향(화살표 h,h'방향)에서 탄성적으로 치합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결치 기어(30)의 양단 (30a,30b)을 구동 기어(24)에 교대로 치합될 때에, 이들 기어의 산끼리가 충돌했을 때에 발생하는 충격을 한쌍의 스프링 아암(120a,.120b)에서 완충될 수 잇다.
따라서, 결치 기어(30)와 구동 기어(24)가 산끼리로서 충돌했을 때의 충격에 의하여, 이들의 기어(30,24)의 산이 파손하여 버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결치 기어(30)를 구동 기어(24)에 항시 스무스하게 치합하고, 자기 테이프(10)의 로딩 및 언로딩을 위한 트리거 동작을 항시 안정하고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잇다.
1개의 트리거용 스프링(120)의 양단인 한쌍의 스프링 아암(120a,120b)을 트리거 레버(109)의 양단부(109a,109b) 사이에 설치하는 것으로 좋고, 구조가 매우 간단하다.
G10다음에 제12도 및 제13도에 의하여 블록화 구조를 설명한다.
제1 블록(124)은 메인 샤시(1)상에 회전 헤드 드럼(4), 텐션 검출핀(5), 테이프 가이드(6) 및 캡스턴(7)에 의하여 구성된 테이프 주행로를 형성하고, 메인 샤시(1)상에 양 메인 로딩 수단(16,17) 및 양 서브 로딩 수단(18,19) 및 핀치 로울러(20)를 장치함으로써 구성되어 잇다.
제2블록(125)은 메인 샤시(1)의 하부에 복수의 나사(129)에 의하여 장치된 서브 샤시(130)의 하부에 로딩계 구동 기구(131)를 장치함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로딩계 구동 기구(131)는 양 메인 로딩 수단(16,17) 및 양 서브 로딩 수단(18,19)이나 핀치 로울러(20)등을 구도하기 위한 구동 기구이고, 제8a도 및 제8b도에 나타낸 기어 트레인(23)및 구동 기어(24), 제9a도 및 제9b도에 나타낸 모드 모터(25), 기어 트레인(26), 캠 기어(27), 링크 기구(28), 트리거 기구(29) 및 결치 기어(30)등이다. 또한, 캡스턴 모터(22)는 메인 샤시(1)의 하부에 장치되어 있다.
제3블록(126)은 서브 샤시(130)의 하부에 배치되어, 메인 샤시(1)의 하부에 복수의 나사(134)에 의하여 장치된 릴대 샤시(135)에, 한쌍의 릴대(2,3)와, 그것을 구동하는 릴대계 구동 기구(136)를 장치함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릴대계 구동 기구(136)는 캠 기어(27)에 의하여 모드가 변환되어 캡스턴 모터(22)에 의하여 양 릴대(2,3)를 선택적으로 회전 구동하는 기어 기구에 양 릴대(2,3)를 선택적으로 회전 구동하는 기어기구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4블록(127)은 서브 샤시(130)의 하부에 접착등으로서 장치되어, 서브 샤시(130)와 릴대 샤시(135) 사이에 배치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132)에 상기 로딩계 및 릴대계 구동 기구(131,136)나 그외에 복수의 센서(133)를 장치함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복수의 센서(133)는 캠 기어(27)의 위상을 검출하는 모드 변환용 엔코더, 결치 기어(30)의 위상을 검출하는 로딩 및 언로딩 검출용 엔코더, 한쌍의 릴대(2,3)의 FG 센서, 자기 테이프(10)의 양단의 앤드 센서, 카셋트(9)의 장착 검출 센서등이다. 또한 양 릴대(2,3)는 플렉시를 프린트 기판(132), 서브 샤시(130)및 메인 샤시(1)에 설치된 각 한쌍의 관통공(137,138,139)을 관통하여 메인 샤시(1)의 상측에 돌출되어 있다.
제5블록(128)은 릴대 샤시(135)의 하부에 배치되어 메인 샤시(1)의 하부에 배치되어, 메인 샤시(1)의 하부에 복수의 나사(140)에 의하여 장치된 메인 프린트 기판(141)에, 상기 로딩계 구동기구(131)및 릴대계 구동 기구(136)의 제어 회로(142)를 형성하고,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141)의 복수의 접속단(143)이 상기 제어 회로(142)에 복수의 콘택터(144)를 거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내지 제5블록(124,128)에 블록화된 구조에 의하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132)을 제2블록(125) 및 제3블록(126)사이에 배치하였으므로, 이들 제2, 제3블록(125,126)에 장치되어 있는 로딩계 및 릴대계 구동 기구(131,136)의 복수의 센서(133)를 1개의 플렉시를 프린트 기판(132)에 장치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렉시를 프린트 기판(132)의 접속단(143)을 제어 회로(142)가 형성되어 있는 메인 프린트 기판(141)의 콘택터(144)에 접속할 뿐이고, 모든 배선을 행할 수 있으므로, 로딩계 및 릴대계 구동 기구(131,136)와 메인 프핀트 기판(141)사이에 다수의 하네스를 배선할 필요가 모두 없다.
따라서, 배선이 매우 간단하고, 다수의 하네즈를 배선하기 위한 여분의 스페이스를 취할 필요가 없으므로, 테이프 로딩 장치 전체의 박형화가 가능하다. 제1 제5블록(124 내지 128)을 각각 개별로 조립한 후에, 제1블록(124)에 제2 내지 제5블록(125 내지 128)을 순차 조립하면 양호하므로, 테이프 로딩 장치 전체의 조립 및 분해를 매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G11다음에, 제14도 및 제15도에 의하여, 양 메인 로딩 수단(16,17)의 가이드 구조를 설명한다.
메인 샤시(1)는 판 두께(T1)가 약 0.6mm정도의 판금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양 가이드 릴(34,35)은 메인 샤시(1)에 가이드 구(147)를 형성하고, 이 가이드 구(147)의 양 측연부(148)를 메인 샤시(1)의 상면(1a)에서 상측으로 약 0.3 mm 정도의 높이(T2)에 반발 가공에 의하여 돌출시켜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양 측연부(148)의 상측으로 반정도 빠짐 가공에 의하여 동시에 메인 샤시(1)의 하면(1b)에 상기 높이(T2)와 동치수의 오목구(149)를 가이드 구(147)의 양측에 따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양 메인 로딩 수단(16,17)의 슬라이더(51)의 단면 형상을 거의 자상으로 형성하여, 이 슬라이더(51)의 하면에 설치한 한쌍의 슬라이면(51b)을 양 측연부(148)에 걸쳐서 샤시(1)의 상면(1a)상에서 슬라이드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슬라이더(51)의 하부에 돌출된 한쌍의 가이드 축(54,55)을 가이드 구(147)에 상측에서 삽입되고, 이들의 가이드 축(54,55)의 하단 외주에 일체로 형성한 한쌍의 발지링(149)을 상기 오목구(150)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 메인 로딩 수단의 가이드 구조에 의하면, 메인 샤시(1)에 반정도 빠짐 가공된 양 측연부(148)에서 보강용 리브가 형성되고, 메인 샤시(1)를 가이드 구(147)의 양측에 따라 보강할 수 있으므로, 양 메인 로딩 수단(16,17)의 슬라이더(51)를 양 측연부(148)를 과하여, 상기 평면도가 높은 메인 샤시(1)의 상면 (1a)상을 한쌍의 슬라이드면(51a)에 의하여 소접촉 면적으로 접촉하여 접동됨으로, 슬라이더(51)의 접동 저항을 매우 작게 하고, 양 메인 로딩 수단(16,17)을 메인 샤시(1)상에서 스무스하게 왕복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양 메인 로딩 수단(16,17)을 구동하는 캡스턴 모터(22)의 부하를 작게 할 수 잇고, 캡스턴 모터(22)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가이드 축(54,55)의 하단 외주에 설치한 양쪽 빠짐 방지링(150)을 메인 샤시(1) 의하면 (1b)에 가이드구(147)의 양측에 다라 형성된 오목구(149)내에서 이동되었으므로 양족 빠짐 방지링(150)이 메인샤시(1)의 하면(1b)에서 하측으로 크게 돌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샤시(1)의 하면(1b)에 서브 샤시(130)등을 매우 근접시켜 장치할 수 있고, 전체의 박형화를 할 수 있다.
가이드 구(147)의 양 측연부(148)를 메인샤시(1)의 상측으로 반정도 빠짐 가공할 뿐으로, 그 메인 샤시(1)의 상측에 돌출된 양 측연부(148)에서 메인 샤시(1)의 보강용 리브를 형성함과 동시에, 메인 샤시(1)의 하면(1b)에 가이드 구(147)의 양측에 다른 오목구(149)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가공 공수도 매우 적고, 저가격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이상에 의하여, 각종의 유효한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로딩 및 언로딩의 모드 변환과, 로딩 및 언로딩의 구동을 함께 고속으로 행할 수 있으므로, 카셋트의 장착에서 테이프의 로딩 완료까지의 시간을 종래에 비하여 대폭으로 단축할 수 있다.
캡스턴 모터에서 로딩 및 언로딩의 구동 모터를 겸용함으로, 로딩 및 언로딩의 구동 전용 모터는 불필요하고, 테이프 로딩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Claims (1)

  1. 복동 위치에서 왕동 위치로 왕동되는 로딩 수단에 의하여 테이프를 카셋트내에서 인출하여 테이프 주행로에 로딩시키는 테이프 로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주행로중에 배치된 캡스턴을 구동시키는 정, 역회전 가능한 캡스턴 모드와, 로딩 및 언로딩의 모드 변환을 위한 기계적 트리거를 발생시키는 모드 모터와, 상기 모드 모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기계적 트리거에 의하여 로딩 모드와 언로딩 모드로 변환되고, 상기 캡스턴 모터의 정, 역 회전에 의하여 상기 로딩 수단을 복동 위치와 왕동 위치로 왕복 구동시켜, 테이프의 로딩 및 언로딩을 행하는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로딩 장치.
KR1019900021284A 1989-12-26 1990-12-21 테이프 로딩 장치 KR1001989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7002 1989-12-26
JP1337002A JP2730237B2 (ja) 1989-12-26 1989-12-26 テープローディン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142A KR910013142A (ko) 1991-08-08
KR100198910B1 true KR100198910B1 (ko) 1999-06-15

Family

ID=18304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1284A KR100198910B1 (ko) 1989-12-26 1990-12-21 테이프 로딩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151832A (ko)
EP (1) EP0435207B1 (ko)
JP (1) JP2730237B2 (ko)
KR (1) KR100198910B1 (ko)
AT (1) ATE131306T1 (ko)
AU (1) AU639508B2 (ko)
DE (1) DE6902403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1180A (en) * 1991-03-14 1994-11-01 Sharp Kabushiki Kaisha Simplified cassette loading mechanism for a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EP0513548B1 (en) * 1991-04-17 1998-09-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agnetic recording/playback apparatus
DE4319929A1 (de) * 1992-06-17 1994-01-05 Gold Star Co Deckmechanismus für magnetische Aufzeichnungs- und Wiedergabegeräte
JP2980499B2 (ja) * 1993-10-29 1999-11-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テープローディング装置
US6016235A (en) * 1994-01-17 2000-01-18 Funai Electric Company Co., Ltd. Tape recorder and play-back device having upper and lower ring gears
JP3038352B2 (ja) * 1994-02-03 2000-05-0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
KR0162213B1 (ko) * 1995-01-14 1998-12-15 김광호 테이프레코더의 로딩장치
KR200160727Y1 (ko) * 1995-03-29 1999-11-15 전주범 비디오카세트플레이어
KR0183710B1 (ko) * 1995-05-18 1999-04-15 김광호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데크 메카니즘
US5697958A (en) * 1995-06-07 1997-12-16 Intermedics, Inc. Electromagnetic noise detector for implantable medical devices
JP3203156B2 (ja) * 1995-07-25 2001-08-27 三洋電機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KR100207688B1 (ko) * 1996-09-10 1999-07-15 윤종용 테이프 레코더의 데크메카니즘
US6396655B1 (en) * 2000-07-26 2002-05-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ape loading apparatus
US7032852B2 (en) * 2002-10-24 2006-04-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Tape loading device for a tape recorder
KR100485784B1 (ko) * 2002-10-24 2005-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테이프 레코더의 자기테이프 인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8609A (en) * 1984-10-19 1988-11-29 Clarion Co., Ltd. Driving power switching mechanism for cassette tape reproducing apparatus
JPH061584B2 (ja) * 1985-03-27 1994-01-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磁気記録再生装置
DE3718970A1 (de) * 1986-06-13 1987-12-17 Clarion Co Ltd Bandlademechanismus fuer ein magnetbandaufzeichnungs- und wiedergabegeraet
JPS6348643A (ja) * 1986-08-14 1988-03-01 Clarion Co Ltd 駆動力分岐ギヤ機構
JP2650906B2 (ja) * 1987-04-01 1997-09-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磁気記録および/または再生装置のテープローディング機構
JPH0834022B2 (ja) * 1987-05-29 1996-03-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磁気テ−プ装置
JPS63298852A (ja) * 1987-05-29 1988-12-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テ−プ装置
JPS643849A (en) * 1987-06-25 1989-01-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agnetic tape device
JPH071584B2 (ja) * 1988-02-27 1995-01-11 三洋電機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024034T2 (de) 1996-06-05
JP2730237B2 (ja) 1998-03-25
AU639508B2 (en) 1993-07-29
EP0435207A1 (en) 1991-07-03
JPH03198253A (ja) 1991-08-29
ATE131306T1 (de) 1995-12-15
EP0435207B1 (en) 1995-12-06
US5151832A (en) 1992-09-29
KR910013142A (ko) 1991-08-08
DE69024034D1 (de) 1996-01-18
AU6772290A (en) 1991-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8910B1 (ko) 테이프 로딩 장치
US5699208A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deck mechanism with component operating slide member between main deck and sub-deck
US4752845A (en) Positive motion cam mechanism for performing tape loading functions in cassette tape recorder
US5535957A (en) Reel table driving apparatus for a video cassette recorder
US4430680A (en) Reciprocating member control mechanism in tape player
KR910000110B1 (ko) 테이프 레코더의 모드전환장치
KR0176551B1 (ko) 자기 기록/재생장치
KR0166349B1 (ko) 편심 캠 기구
US5465921A (en) Brake device for video cassette tape recorder
EP0372250A2 (en) Magnetic recording/playback apparatus
JP2926814B2 (ja) テープローディング装置
JP2926815B2 (ja) テープローディング装置
EP0691646A2 (en) Automatic-reverse tape player
JPS634273Y2 (ko)
US5005091A (en) Cassette loading apparatus with single switch control
US6971603B2 (en) Reel brake assembly for a magnetic recording/reading apparatus
JPH03198247A (ja) テープローディング装置
JPH03198255A (ja) テープローディング装置
KR940004783Y1 (ko) V.c.r용 데크의 브레이크 구동장치
KR100195427B1 (ko) 테이프 레코더
JPH03198256A (ja) テープローディング装置
JPH05135451A (ja) 磁気記録及び再生機のデツキ機構
JPS63127455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0119510Y1 (ko)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가이드 장치
KR0133702Y1 (ko) 핀치롤러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