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8479B1 - 명암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명암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8479B1
KR100198479B1 KR1019910020428A KR910020428A KR100198479B1 KR 100198479 B1 KR100198479 B1 KR 100198479B1 KR 1019910020428 A KR1019910020428 A KR 1019910020428A KR 910020428 A KR910020428 A KR 910020428A KR 100198479 B1 KR100198479 B1 KR 100198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trip
adhesive
attached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0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9611A (ko
Inventor
뵘 미켈
뷔틱히 카우레 독토르
Original Assignee
알로이스 플라인르, 호오스트 뵈트게
게아오게젤샤프트퓨어오토마 찌온운트오가니자 찌온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로이스 플라인르, 호오스트 뵈트게, 게아오게젤샤프트퓨어오토마 찌온운트오가니자 찌온엠베하 filed Critical 알로이스 플라인르, 호오스트 뵈트게
Publication of KR920009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8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84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40Agents facilitating proof of genuineness or preventing fraudulent alteration, e.g. for security paper
    • D21H21/42Ribbons or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55Security threads

Landscapes

  • Paper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Holo Graphy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이 표면에 부착한 입체사진, 회절이나 간섭구조의 형태로 깊히 박힌 보호 요소, 좋기는 광학적으로 변하기 쉬운 요소를 갖는 명암지와 그 명암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 명암지는 광학적으로 변하기 쉬운 요소의 표면에 의하여 평면을 형성하는 종이 표면을 가진 명암지에 광학적으로 변하기 쉬운 요소를 깊이 박는 사실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명암지 및 그 제조방법
제1도는 매몰된(embedded) 홀로그램요소를 가진 명암지의 단면도.
제2도 내지 제9도는 본 발명의 광학적 가변요소의 부착을 위한 원통형 기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명암지 12 : 광학적 가변요소
14 : 홀로그램 16 : 스트립
17 : 릴 18 : 배트
22 : 펠트 24 : 펄프
25 : 롤러 26 : 종이층
30 : 노즐 32 : 제거장치
33 : 편향롤러 34 : 롤러
35 : 실리콘지 41∼44 : 롤러
50 : 접착제
본 발명은 매몰된 보안요소(embedded security element), 바람직하게는 종이 표면에 부착되는 홀로그램(hologram), 회절체(diffraction structures) 또는 간섭체(interference structures)의 광학적 가변요소(optically variable element)를 가지는 명암지(paper of value)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그 명암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칼라복사기에 의한 모조를 방지하기 위해서, 광학적 가변 보안요소, 특히 홀로그램을 내장시킨 명암지가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위조의 예방은, 칼라복사기에는 상기 보안요소의 광학적 특성을 재생시킬 수 있는 능력이 불충분하다는 점에 기초한 것이다.
명암지에 광학적 가변요소를 부착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이들은 보통 3개의 가테고리 즉, 접착, 전사 및 엠보싱으로 나누어진다.
접착방법으로는, 처음에 실리콘지에 미리 천공된 접착라벨을, 예를 들어 종이기지(substrate)에 옮긴다. 그 접착라벨은 적어도, 접촉 접착층, 광학적으로 활성인 층(예를 들어 회절격자를 가진)의 자기지지필름(self-supporting film) 및 그 위에 위치하는 보호층을 갖는다. 접착라벨의 두께는 전형적으로 50㎛의 범위이며, 두께의 주된 부분은 매개필름(carrier film)이 차지한다.
또한 핫스탬핑(hot stamping)으로도 알려진 전사(transfer printing)에서는 광학적 가변요소를 전사밴드(transfer band) 위에 미리 조립하고 이후의 작업공정에서 기지에 전사시킨다. 종이에 전사된 구조는 전형적으로 수㎛ 범위의 두께를 가진다. 홀로그램의 경우 보안요소의 통상적인 층구조는 가열밀봉층(heat-sealing layer), 엠보싱된 래커층, 알루미나층 및 투명 덮개 보호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층구조는 초기에는 전사호일(transfer foil)에 위치하며, 박리층(예를 들어 왁스층)에 의하여 호일에 고정된다. 기지 위 가열봉합층과 함께 밴드를 놓고 가열된 다이 상에서 캘린더가공(calendering)하여 가열봉합층을 활성화시켜 밴드를 전사함으로써 보안요소가 기지와 결합된다. 동시에, 분리층이 녹음으로써 전사밴드로부터 홀로그램이 분리된다. 이 전사원리는 오늘날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이며 특히 종래에 플라스틱 신용카드에 홀로그램을 부착하는데도 사용된다.
엠보싱방법은 주로 홀로그램과, 광학격자(optical grids)와 같은 회절체에 적합하다. 경화래커층이, 바람직하게는 극히 얇은 반사금속면이 부착된 기지에 접착된다. 다음 압출다이는 래커층 내에 회절양각구조(diffraction relief structure)를 엠보싱하는데 사용된다. 래커가 경화된 뒤 보호래커층으로 구조를 덮는다 완성된 보안요소는 금속층을 가지는 래커층과 양각층과 보호래커층이 연속되는 층구조를 가진다.
공지된 방법들과 그 결과로 생기는 제품들은 각각 자체의 특유한 장점과 단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접착라벨은 기술적으로 제조하기 쉽고 원하는 기지에 아무 어려움 없이 전사시킬 수 있다. 그러나 명암지 분야에 대하여, 접착용 접착 라벨은 전체 보안요소가 기지로부터 분리되어 위조제품에 전사될 수 있다는 점이 큰 단점이다. 이런 이유 때문에 명암지 접착용으로는, 전사된 보안요소와 엠보싱 된 보안요소가 바람직하다.
전사된 보안요소와 엠보싱된 보안요소는 명암지 분야에서 위조의 예방에 관한 필요사항을 거의 만족시키고 있으나, 명암지와 관련된 많은 제조공정 상의 문제를 안고 있다.
통상적으로 명암지는 고도의 보안인쇄패턴을 갖고 있고; 이들 패턴은 대부분 강철음각인쇄(steel intaglio printing)에 의하여 부착됨을 고려하여야 한다. 강철음각인쇄 및 관련 방법들은 잉크가 양호하게 결합되도록 비교적 높은 거칠기(high roughness)의 기지가 요구된다. 그러나, 거친 표면은 안정성이 적은 광학적 가변 보안요소의 접착에는 극히 부적절하다. 민감한 홀로그램의 품질은 거친 표면구조에 의해 매우 불리한 영향을 받는다.
명암지는 강철음각인쇄 중에 그 전체 표면에 매우 높은 압력부하를 받게 된다는 것을 더욱 주의하여야 한다. 이는 통상 인쇄 전에 부착된 임의의 광학요소의 광학효과를 감소시키며; 심지어 보안요소들은 기지(paper base)로부터 눌려서 종이의 거칠기에 의해 손상되거나 완전히 파괴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광학적 가변요소를 가진 명암지를 제조할 때는, 먼저 명암지에 인쇄된 패턴을 부여하고, 다음 단계의 방법 중 하나로 홀로그램을 부착하거나, 또는 보안요소의 부착을 단일 단계로 나누어서, 인쇄 전에 강철음각인쇄에 의한 위해가 없도록 조치를 취하는 하나의 단계와, 그후의 다른 단계로 나눈다.
따라서 지금까지는 한편으로는, 이와 같이 인쇄 공정에서의 직접 결합에 의해, 인쇄되지 않은 광학적 가변 명암지를 적정 재고를 유지하는 방식(비축 생산)으로 미리 제조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광학적 가변요소의 부착을 위해 적당한 기계(전사기계 등)가 인쇄라인마다 필요하게 된다는 불이익을 감수하였다.
인쇄라인마다 필요로 하는 특수한 기계들은 원가상승 및 기계에 필요한 공간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각각의 생산능력이 다름에 따라 각 인쇄라인의 마지막에 병목현상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며, 이는 기계를 추가하여야만 보상될 수 있다.
유럽특허출원 제338378호에는 인쇄된 패턴과 광학적 회절체를 모두 가지는 종이제품의 생산을 위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연속적인 공정으로 먼저 종이를 공지된 인쇄 장치에서 인쇄한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엠보싱방법에서와 같이 열경화래커(radiation hardenable lacquer)를 부착하고 한번의 조작으로 회절체를 제공한다. 이어지는 공정에서 상기 회절체를 반사금속층으로 진공피복하여 보호래커층을 제공한다.
또 다른 공지시스템에서는 홀로그램을 부착하는 공정이 둘로 나뉘어 있다. 제지공정에 이어, 첫 단계로 래커를 종이의 표면에 부착한다. 종이는 인쇄된 뒤 다음 단계에서 광학격자가 엠보싱된다.
이와 같은 두 갈래 방법의 변형이 미국특허 제4,420,515호에 설명되어 있다.
상부에 접착층을 가지는 금속층이 준비된 표면이 있는 플라스틱 전사밴드에 우선 부착된다. 이들 2개의 층들은 장차 보호효소가 될 하부구조(substructure)를 이룬다. 제1단계로 2개의 층이 기지에 적층됨으로써, 적층작업에서의 가열 및 압력 작용 하에서 보안요소들의 하부구조가 전사밴드의 표면 성질을 띤다. 두 번째 단계로는 인쇄패턴과 광학적으로 작용하는 양각체가 기지에 부착된다.
광학적으로 유효한 층이나 광학적으로 유효한 구조물을 인쇄하고 부착하는 무리한 순서로 인해,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많은 중대한 불이익이 초래된다.
공지된 방법의 또 다른 단점은 이들 방법을 통합하여 일련의 조직적인 보안요소 인쇄공장으로 하는 것이다. 이는 보안을 위해, 인쇄공정을 위한 명암지 제조, 특히 명암지의 출하전 마지막 제조공정인 일련번호의 인쇄에서 실질적으로 필요 불가결한 것이다. 따라서 보안요소 인쇄공장에서 워터마크(watermarks), 보호트레드(safeguarding threads) 및 기타 광학요소와 같은 상응하는 보안상의 특징을 종이와 예비 조립한 다음, 인쇄하는 것은 기정 사실화된 관습이다. 이러한 제조순서는 공지된 방법으로는 가능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은 보안요소, 특히 광학적 가변요소를 가진 명암지와, 명암지, 특히 강철양각인쇄에 의해 광학적 가변요소를 손상시키지 않고 인쇄할 수 있는 명암지 제조방법을 언급하는 문제에 기초한다. 명암지에 광학적 가변요소를 부착하는 공정은 비교적 신속한 작업이 가능한 릴기계(reeling machine)가 사용될 수 있는 방법으로 제지공정에 통합되어야 한다. 최종적으로, 광학적 가변요소의 부착은 현존하는 기계를 가능한 한 바꾸지 않는 방법으로 제조 공정 중에 통합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문제는, 본 발명에 따라 청구범위 제1항, 제10항 및 제16항의 특징적 부분에서 언급된 특징에 의하여 해결된다. 종속항들은 유익한 개선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광학적 가변요소와 종이가 극히 상이한 성질을 가진 두 가지 물질이라는 것과, 원하는 기능에 따라 이들 두 가지 물질에 서로 다른 요구가 생긴다는데 대한 발견에 기초한다. 종이, 특히 명암지는 여러 성질 중에서도, 어떤 촉감(touch)을 가져야 하며, 또한 잉크를 흡수하여 결합할 수도 있어야 한다. 이런 성질들은 특수한 형태의 종이, 바람직하게는 넝마지(rag paper)를 선택하여 일정한 표면거칠기와 구조를 형성시켜 얻어진다. 반대로 광학적 가변요소들은 가능한 한 효과적인 광학적 성질을 가져야 한다. 이 목적을 위해서는 물리법칙상, 무엇보다도 높은 평활도(smoothness)와 편평도(flatness)로 특징되는 표면구조가 요구된다.
따라서 광학요소가 종이에 부착될 때, 경우에 따라 매우 민감한 평면요소의 층에 엠보싱되는 종이의 표면이 거칠게 되어, 손상시키거나 심지어는 파괴할 위험이 늘 존재한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그와 같은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표면성질 사이의 균형을 깨트릴 필요가 있다.
광학적 가변요소가, 항상 적절한 생산 후에만 명암지에 엠보싱되고 접착되거나 전사되었던 종래의 공정과는 대조적으로 본 발명은, 제지 공정 중, 더욱 상세하게는 명암지가 여전히 비교적 습분을 함유하고 부드러우며 초벌칠이 안되었거나 캘린더롤러에 걸지 않았을 때, 명암지와 광학적 가변요소를 미리 결합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종이가 건조 및 경화된 상태와는 달리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감압식(pressure-sensitive)의 광학적 가변요소를 종이에 압착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생성물 내의 높은 수분함량은 압력 보정효과(pressure-compensatimg effect)를 가지며, 상기 요소가 종이에 균일하게 매몰될(embedded)수 있게 한다.
광학적 가변요소의 민감층(sensitive layer)은, 이를 차후에 부착할 때와 같이 종이의 표면거칠기에 의해 엠보싱되지 않는다. 대신 여전히 유연한 종이의 섬유는, 반대쪽 면은 캘린더롤러(calendar roller)의 부드러운 표면에 의해 지지되는 광학적 가변요소의 부드러운 밑면에 부착된다.
이에 따라 종이에 광학적 가변요소가 매몰되고 따라서 종이의 표면은 광학적 가변요소의 표면과 같은 높이가 된다. 발생하는 높은 압력이 명암지 표면에 매몰된 광학적 가변요소에 과잉부하를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이후 광학적 가변요소 영역에도 쉽게 인쇄할 수 있다.
특히 광학적 가변요소가 공지의 보호트레드(safeguarding threads)와 같은 스트립 형태이면 본 발명의 실시에 특히 유리하다. 상기 보호트레드와 달리, 시트(sheet) 형성이 완료되거나 거의 완료된 후, 형성된 종이층에 매개물(carrier material)이 광학적으로 활성인 구조로 배치된다. 그러므로 종이층이 완전히 형성된 후, 스트립이 펄프 바깥의 형성배트(forming vat)로 오도록, 즉 형성배트가 남겨진 후 종이층에 놓이도록 하거나 또는 스트립이, 예를 들어 90%의 최종 종이두께가 존재하는 이후에, 펄프의 노즐에 의하여 형성배트로 옴으로써, 요소와 종이의 두께의 합은 인접 부위의 종이 두께와 거의 일치한다. 캘린더링, 접착, 건조 등과 같은 이후 방법의 공정은 통상적인 공정과 일치한다. 매개 스트립을 명암지 내에 단단히 고착시킨다. 매개 스트립의 종이쪽 층에는 종이가 건조될 때 경화되는 접착제층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업자는 실시예, 즉 스트립의 폭, 강도, 부착시간 등에 따라 시판되는 접착제 중 특히 적합한 접착제를 선택하면 된다. 특히 적합한 접착제는 접촉접착제(contact adhesives)와 수용성 접착제 또는 열용융 접착제(hot-melt adhesive)인 것으로 보인다. 적절한 자외선이나 적외선에 의해 접착제의 경화를 도울 수도 있다.
무한 매개 스트립(endless carrier strip)이 사용되지 않는다면, 각각의 광학적 가변요소는 접착라벨(adhesive label)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들 접착라벨은 나중에, 즉 라벨이 종이에 고착된 후 제거될 무한전사밴드(endless transfer band)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로그램 부착은 종이를 감는 단계(reel stage of paper)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작업속도를 높일 수 있다.
인쇄공정가 홀로그램 부착의 독립으로 보안요소 인쇄공장에서 통상적인 제조과정을 유지할 수 있는 또 다른 이점을 얻게 된다. 그래서 종이는 워터마크, 보호트레드, 광학적 가변요소 등과 같은 모든 보안요소와 함께 미리 조립되거나 필요하다면 저장될 수 있다. 보안에 있어 특히 중요한 인쇄공정은 보통 마지막 단계를 이룬다.
물론 본 발명의 생산방법이 민감한 광학적 가변요소를 가지는 명암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마이크로인쇄 혹은 네카티브인쇄에 의한 보호트레드와 같은 다른 보안요소도 앞서 설명된 방법으로 명암지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안요소에 의해 종이 재료나 처리에 요구되는 조건이 줄어들며, 이들은 광학적 가변요소에 비하여 높은 저항 때문에 제지 공정 중 원하는 시점에서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안요소를 85% 종이 축적 후 형성배트로 가져올 수 있어, 이들은 제지공정의 마지막 또는 최종 두께의 종이 직전에 자신들을 둘러싸는 나머지 15%에 매몰되어 잘 보호된다.
아래에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매몰된 보안요소, 바람직하게는 광학적 가변요소(12)를 갖는 명암지(10)의 단면을 나타낸다. 광학적 가변요소는 스트립의 형태로 종이재료에 연속적으로 매몰되며, 표면은 종이의 표면과 동일한 높이로 된다. 광학적 가변요소의 표면 바람직하게는 홀로그램구조(14)를 가진 요소의 표면은 바깥쪽에서 그 전체 표면을 볼 수 있으므로 그 광학적 효과를 점검하기가 쉽다. 이것은 반드시 공지된 창문보호 트레드(window safeguardinh threads)를 가진 경우는 아니다. 왜냐하면 트레드물질이 보이도록 하는 작은 표면은 광학적으로 큰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광학적 가변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얇은 자기지지필름스트립(self-supporting film strip, 16)으로 존재한다. 그러나 종이스트립, 금속스트립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에 의하여 광학적 가변층을 제공할 수도 있다. 제2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트립(16)은 제지기에 공급되어, 이미 형성된 종이섬유층(paper fiber layer, 26)에 놓인다. 그럼으로써 스트립(16)은 형성배트(18)를 떠나면서 픽업펠트(pickup felt, 22)와 종이섬유층 사이에 도입된다. 스트립(16)을 공급릴(17)에서 제거한다.
종이층은 공지된 방법으로 형성배트(18) 상에 형성된다. 액체는 형성배트(18)의 내부(20)를 통하여 펄프(24)로부터 제거되므로 종이섬유는 형성배트에 침전된다.
펠트(22)와 종이층(26) 사이로 매개 스트립(16)을 도입함으로써, 매개 스트립(16)을 특히 양호하게 안내하고 정밀하게 배치할 수 있게 된다. 광학적 가변요소를 가진 스트립이 종이층(26)의 다른 쪽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예를 들면, 롤(25)과 종이층(26) 사이의 간격으로 도입될 수도 있다.
트레드를 도입하는 다른 가능한 방법이 제4도에, 특히 좁은 트레드에 대해서 나타나 있다. 이 경우에 광학적 가변요소를 운반하는 스트립(16)은 제지공정 전에 형성배트에 미리 부착된다. 이런 가능성은 특히 트레드의 폭이 종이섬유길이의 범위이거나 더 작은 경우에 특히 적합하다. 이는 트레드 자체에 침전되는 섬유는 없지만, 트레드 바로 주위의 배트에 침전된 섬유는 트레드와 겹쳐, 펄프가 떠날 때 트레드 영역에 이와 같은 방식으로 종이베이스(paper base)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종이웹(web)과 면하는 스트립(16)의 측면에 접착층을 부착함으로써 스트립을 종이 표면에 더욱 강력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접착층을 수용성 습식접착제나 열용융 접착제로 구성할 수 있다. 종이웹이 건조되면 접착제는 활성화 및/또는 경화된다. 그럼으로써 스트립은 종이에 견고하게 고착된다.
1개의 형성배트만을 가지는 기계와 관련하여 보안요소의 공급을 명확하게 하고자 이하에 설명한다. 그러나 이 방법을 이중층 제품을 만드는 기계에 전용하는데 문제는 없다. 이 경우 트레드는 종이두께의 대부분을 만드는 배트에 공급된다.
제5도 내지 제9도는 뒤에, 예를 들어 최종 종이두께의 90%가 존재하게 되는 뒤에, 펄프(24)내의 매개 스트립(16)을 형성배트(18)로 가져오기 위한 여러 가지 가능한 방법을 나타낸다.
제5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홀로그램트레드(16)는 통상의 보호트레드와 같이 노즐(30)에 의해 종이(26)에 부착되는데, 노즐(30)은 충분한 종이가 형성되는 장소에 도달하기까지 펄프(24)내로 가라앉아 있다. 스트립(16)의 정면에서 종이는, 스트립(16)이 충분히 넓거나, 종이가 충분히 최종두께에 도달했으면 가라앉지 않게 되는데, 이는 트레드가 종이와 배트의 투수성(swter permeability)을 그 접촉구역에서 방지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 방법에서 홀로그램 트레드(16)는, 예를 들어 열용융 접착제로 피복될 수 있으며, 제지기의 열건조부에서 종이와 견고하게 결합된다. 불리한 점은, 처음에는 접착제(예를 들어, 열용융 접착제)를 접착할 때 최소한의 접착력만을 가질 수도 있다는 것인데, 이는 이와 같이 하지 않으면 스트립(16)이 접착노즐(30)에 접착되기 때문이다. 우선 스트립(16)은 습윤지(moist paper, 26)의 고유접착력(inherent adhesive power)에 의해서, 즉 접착에 의해서만 고정된다. 더 넓고, 더 두껍고 보다 강한 매개물을 얻기 위해서는 다음에 설명된 방법이 보다 적합하다.
제5도는 통상적인 경우와 같이 강한 접촉접착제로 피복하고 그 피복된 쪽을 보호하는 실리콘지(35)를 갖춘 홀로그램트레드(16)를 부착하도록 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홀로그램 매개 스트립916)과 실리콘지(35)를 포함하는 이 이중스트립은 현재까지와 같이 공급릴(17)에서 제거되고 편향롤러를 경유하여 형성배트(18)로 이송된다. 동일 장소에 실리콘지(35) 제거장치(32)가 있는데, 이는 제거된 실리콘지를 저장롤러(31)에 공급하는 편향롤러를 실질적으로 포함한다.
스카치 테이프와 같은 약한 접촉접착제가 사용되면 형성배트(18)로 이송 중에 접착제로 피복된 스트립(16)의 측면을 덮기에 충분하므로 이 경우에 홀로그램 트레드(16)만이 분배롤러(dispensing roller, 17)상에 나타난다. 제7도는 자체 포함한 실리콘피복 매개밴드(40)가 보호덮개로 사용되는 방법을 나타낸다. 이 밴드는 편향롤러(41) 내지 (43)에 의해 정해지는 통로를 커버하고 있으므로, 편향롤러(44)와 (41) 사이의 영역에서 홀로그램 스트립(16) 상면의 접착제를 커버하고 있다.
이것은 접착 피복층에 가라앉은 펄프 내에 함유된 종이섬유나 기타 물질을 보호하고 있으므로 습윤 판상물질에의 접착력을 감소시킨다.
제6도 및 제7도에 나타난 방법은 제8도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결합되어, 실리콘지(35)에 접촉접착제로 피복한 홀로그램 스트립(16)을 쉽게 감아 올릴 수 있다.
실리콘지(35)는 배분롤러(dispensing roller, 17) 바로 뒤의 편향롤러(33)를 경유하여 스트립(16)으로부터 제거된다. 스트립(16)의 노출된 접착제 피복층은, 상기 설명된 방법과 똑같이, 순환하는 실리콘피복필름(40)에 의하여 습윤 종이웹에 더욱 이송되는 중 보호된다.
접촉접착제로 피복된 홀로그램 스트립을 도입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언급한 방법의 또 다른 대체방법이 제9도에 나타나 있다. 이 경우 홀로그램 스트립(16)은 제지기에 도입되기 직전에 접착제(50)로 피복되고 순환하는 실리콘밴드(40)의 도움으로 공지된 방법에 의하여 형성배트로 이송된다.
어느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는가와 관련, 열부착식 및 접촉식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기타의 접착제, 이를테면 복합성분 접착제나 수중에서 활성을 띄는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접착제 혼합물을 사용하여 스트립을 우선 일시적으로 고정하고 이후의 생산단계에서(예를 들어, 가열작용 하에서 건조 및 캘리더링 공정중) 종이와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것이 또한 유리하다.
홀로그램 스트립이 종이층에 부착된 후 그 종이층을 제지기의 다음 처리 부분을 통하여 일반적인 방법으로 처리된다. 캘린더링공정 중에 스트립은 제1도에 나타난 방법으로 부드러운 종이층에 압착됨으로써 종이섬유는 보안요소의 부드러운 표면과 결합된다.
무한스트립이 부착되지 않고 오히려 각각의 보안요소들이 부착되면, 전사밴드는 상기 요소들이 종이에 고착된 후 다시 제거되어야 한다. 이는 종이가 건조되었을 때, 하지만 어떤 경우에나 접착 단계 전에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한스트립이 전사방법에 의하여 부착된다거나 낮은 고유안정성(inherent stability)을 가지는 얇은 필름이 종이 표면에 고정된다면 동일한 공정이 필요하다.
품질검사 후 종이웹은 인쇄될 준비가 되며, 감기장치로 감겨 저장되거나 인쇄장치에 직접 도입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원통형 기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무한 와이어기계(endless wire machine)에서 홀로그램 스트립은, 원통형 기계에 관하여 설명한 동일한 방법으로 종이섬유층이 배트를 떠나기 직전 또는 직후에 공급될 수 있다.

Claims (22)

  1. 종이 표면에 부착되어 매몰되는 보안요소(security element)를 가지는 명암지(paper of value)에 있어서, 상기 보안요소(12)가 접착제 표면층(surface layer of glue) 밑의 명암지(10)에 매몰되며(embedded), 상기 표면은 연속된 평활하고, 굴곡이 없는 면(ridgeless plane)을 형성하며, 상기 보안요소가 얇은 자기지지 필름스트립(self-supporting film strip)으로 존재하는 명암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요소는 광학적 가변요소인 명암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요소는 광학적 가변요소가 부착되는 매개스트립(carrier strip)으로 구성되는 명암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적 가변요소(16)가 부착된 매개 스트립은 무한스트립(endless strip)으로 이루어지는 명암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이 수 밀리미터 내지 수 센티미터의 폭을 가지는 명암지.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적 가변요소가 홀로그램(hologram), 회절체(diffraction structures) 또는 간섭체(interference structures)인 명암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홀로그램이 약 10 내지 5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인 명암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요소(12)가 명암지(10)에 연속적으로 매몰되는 명암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 스트립(자기지지 필름스트립)이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명암지.
  10. 홀로그램, 회절체 떠는 간섭체로서 표면에 부착되는 매개물질(carrier material) 형태의 광학적 가변요소를 가지는 명암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가) 무한스트립의 형태로 매개물질을 제공하며 나) 종이제조 공정 중, 종이웹(paper web)을 제지기의 배트(vat)로부터 취하기 직전이나 직후에 습윤종이웹(web paper web)에 상기 스트립을 공급하고 다) 상기 종이웹의 표면에 놓인 매개 스트립과 함께 제지기 내에서 상기 종이웹을 캘린더가공(calendering)하며 라) 상기 종이웹을 건조, 경화 및 선택적으로 접착하고 마) 라)에서 언급된 과정 중 한 단계에서 전사밴드(transfer band)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명암지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 스트립이 각개 라벨의 형태로 무한전사밴드(endless transfer band)에 배치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 스트립이 종이쪽 면이 접착제로 피복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가 수용성 습윤 접착제나 열용융 접착제인 것에 특징이 있는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 스트립이, 형성배트(forming vat)를 떠나는 펠트웹(felt web)과 종이웹(paper seb) 사이의 원통형 기계(cylinder machine)에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 스트립이 캘린더롤러 앞의 습윤펠트(set felt)로부터 떨어지는(facing away) 종이웹의 측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홀로그램, 회절체 또는 간섭체로서 표면에 부착되는 매개물질 형태의 광학적 가변요소를 가지는 명암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가) 무한스트립의 형태로 매개 물질을 제공하고 나) 스트립 두께와 종이 두께의 합이 인접 영역의 종이의 두께와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최후에 제지기 내에서 접착제로 피복되는 스트립을 종이재료(paper stuff) 내의 습윤종이웹에 공급하고 다) 상기 종이웹의 표면에 놓이는 매개 스트립과 함께 제지기 내에서 종이웹을 캘린더가공하며 라) 상기 종이웹을 건조, 경화 및 선택적으로 접착하고 마) 라)에서 언급한 과정 중 한 단계에서 전사 필름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명암지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매개 스트립이 각개 라벨의 형태로 무한전사밴드상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접착제층을 보호하는 실리콘지에의해 매개 스트립이 미리 배분롤러(dispensing roller)에 피복되며, 상기 실리콘지는 습윤종이웹과 접촉하기 직전에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접착제로 피복된 측면을 커버하는 순환하는 실리콘 피복 매개웹(carrier web)의 도움으로 매개 스트립을 종이웹에 이송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배분롤러 바로 뒤에서 제거되는 보호 실리콘지가 매개 스트립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 스트립이 제지기에 도입되기 직전에 접착제가 매개 스트립에 부착됨에 특징이 있는 방법.
  22. 제16항에 있어서, 적어도 90%의 종이 두께가 존재하자마자 스트립을 공급하는 방법.
KR1019910020428A 1990-11-16 1991-11-16 명암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1984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036637A DE4036637A1 (de) 1990-11-16 1990-11-16 Wertpapie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P4036637.5 1990-1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611A KR920009611A (ko) 1992-06-25
KR100198479B1 true KR100198479B1 (ko) 1999-06-15

Family

ID=6418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0428A KR100198479B1 (ko) 1990-11-16 1991-11-16 명암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567276A (ko)
EP (1) EP0486065B1 (ko)
KR (1) KR100198479B1 (ko)
AT (1) ATE125016T1 (ko)
BR (1) BR9104957A (ko)
CA (1) CA2055621C (ko)
DE (2) DE4036637A1 (ko)
FI (1) FI109041B (ko)
NO (1) NO176579C (ko)
PL (1) PL1707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41267A1 (de) * 1990-12-21 1992-06-25 Gao Ges Automation Org Verfahren zum seitenrichtigen aufbringen von sicherheitselementen
ES2064238B1 (es) * 1992-11-24 1997-08-01 Nacional Moneda Timbre Procedimiento para la obtencion de papel de seguridad.
AU5558094A (en) * 1992-12-14 1994-07-04 Bank Of Canada Thin film security device (tfsd) application process and adhesive therefor
DE4243905A1 (de) * 1992-12-23 1994-06-30 Gao Ges Automation Org Sicherheitselement zum Schutz von Sicherheitsdokumenten gegen Reproduktion
FR2705107B1 (fr) * 1993-05-12 1995-06-23 Arjo Wiggins Sa Feuille de sécurité comportant des éléments de sécurité protégés et son procédé de fabrication.
DE69713225T2 (de) * 1996-03-12 2003-01-23 Tokushu Paper Mfg Co Ltd Blatt zur verhinderung von fälschungen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5961152A (en) * 1997-05-29 1999-10-05 The Standard Register Company Security paper having an embedded and deformed security thread and a process for making the security paper
US5944927A (en) * 1997-05-29 1999-08-31 The Standard Register Company Security paper having an embedded security thread and a process for making the security paper
ES2222036T3 (es) * 1998-06-16 2005-01-16 Whd Elektronische Pruftechnik Gmbh Sustancias caracterizantes para caracteristicas de seguridad y procedimiento para su integracion en la banda de pasta de papel asi como procedimiento de ensayo.
AU2342000A (en) 1998-09-11 2000-04-17 Loquitor Technologies Llc Generation and detection of induced current using acoustic energy
GB9828770D0 (en) * 1998-12-29 1999-02-17 Rue De Int Ltd Security paper
DE10008851A1 (de) * 2000-02-25 2001-08-30 Giesecke & Devrien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laserbeschriftbarer Datenträger und damit hergestellte Datenträger
FI116086B (fi) * 2000-06-08 2005-09-15 Avantone Oy Varmistusmerkitty paperi- tai kartonkituote ja varmistusmerkitty pakkaus
FR2827986B1 (fr) * 2001-07-30 2004-04-02 Arjo Wiggins Sa Procede de fabrication d'un article comportant une couche fibreuse et au moins une puce electronique, et article ainsi obtenu
DE10243653A1 (de) * 2002-09-19 2004-04-01 Giesecke & Devrient Gmbh Sicherheitspapier
GB2395959B (en) * 2002-12-05 2004-11-10 Rue De Int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fibrous substrate incorporating an el ongate element
FI119391B (fi) * 2004-01-05 2008-10-31 Stora Enso Oyj Menetelmä tunnistemerkintöjen tuottamiseksi paperiin tai kartonkiin sekä menetelmällä aikaansaatu merkitty materiaali
ITVR20040104A1 (it) * 2004-06-16 2004-09-16 Cartiere Fedrigoni & C Spa Apparecchiatura per la produzione di carta di sicurezza e relativo procedimento
WO2006117804A2 (en) * 2005-03-22 2006-11-09 Arrow Coated Products Ltd High security paper and process of manufacture
FR2907136B1 (fr) * 2006-10-12 2010-01-15 Arjowiggins Ruban de securite, feuille et document de securite le comportant et procede d'incorporation
JP4961944B2 (ja) 2006-10-24 2012-06-27 凸版印刷株式会社 表示体及び印刷物
RU2011100165A (ru) * 2008-06-12 2012-07-20 Крейн Энд Ко., Инк. (Us) Способ улучшения адгезии между защитным элементом и волокнистым листовым материалом
US9708773B2 (en) 2011-02-23 2017-07-18 Crane & Co., Inc. Security sheet or document having one or more enhanced watermarks
AU2012299113B2 (en) 2011-08-19 2015-05-07 Visual Physics, Llc Optionally transferable optical system with a reduced thickness
ES2555952T5 (es) * 2011-09-26 2023-06-19 Crane Security Tech Inc Método para producir una banda compuesta y dispositivos de seguridad preparados a partir de la banda compuesta
CA2881826C (en) 2012-08-17 2021-03-30 Visual Physics, Llc A process for transferring microstructures to a final substrate
EP2969585B1 (en) 2013-03-15 2019-04-24 Visual Physics, LLC Optical security device
US9873281B2 (en) 2013-06-13 2018-01-23 Visual Physics, Llc Single layer image projection film
US10766292B2 (en) 2014-03-27 2020-09-08 Crane & Co., Inc. Optical device that provides flicker-like optical effects
BR112016021736A2 (pt) 2014-03-27 2017-08-15 Visual Physics Llc Dispositivo ótico que produz efeitos óticos de tipo cintilante
MX2017000681A (es) 2014-07-17 2018-03-12 Visual Physics Llc Un material de lamina polimerica mejorada para su uso en la fabricacion de documentos de seguridad polimericos tales como billetes de banco.
KR102497982B1 (ko) 2014-09-16 2023-02-09 크레인 시큐리티 테크놀로지스, 인크. 보안 렌즈 층
BR112017017113B1 (pt) 2015-02-11 2022-09-27 Crane & Co., Inc Material de folha fibrosa e método para a aplicação à superfície de um dispositivo de segurança em um material de folha fibrosa
CN110582412B (zh) 2017-02-10 2022-08-30 克瑞尼股份有限公司 机器可读光学安全器件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26922A (en) * 1935-05-27 1938-08-16 Robinson F Warner Method of making paper products
US4437935A (en) * 1981-06-03 1984-03-20 Crane An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curity features in paper
US4420515A (en) * 1981-08-21 1983-12-13 Sicpa Holding, S.A. Metallization process for protecting documents of value
US4547002A (en) * 1983-11-10 1985-10-15 U.S. Banknote Corporation Credit and identification cards having pieces of diffraction grating therein
US4534398A (en) * 1984-04-30 1985-08-13 Crane & Co. Security paper
DE3601114A1 (de) * 1986-01-16 1987-07-23 Gao Ges Automation Or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ichrheitspapier mit eingelagertem sicherheitsfaden
JPH0615760B2 (ja) * 1987-01-17 1994-03-02 大蔵省印刷局長 識別性を付与した、セキュリティスレッド入り証券用紙
US4933120A (en) * 1988-04-18 1990-06-12 American Bank Note Holographics, Inc. Combined process of printing and forming a hologram
GB8912750D0 (en) * 1989-06-02 1989-07-19 Portals Ltd Security paper
US5020581A (en) * 1990-09-24 1991-06-04 Charlesworth Overseas Limited Process for inserting rigid segments in security pa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170719B1 (pl) 1997-01-31
FI915401A (fi) 1992-05-17
CA2055621A1 (en) 1992-05-17
US5567276A (en) 1996-10-22
NO914476D0 (no) 1991-11-15
ATE125016T1 (de) 1995-07-15
BR9104957A (pt) 1992-06-23
NO914476L (no) 1992-05-18
EP0486065A1 (de) 1992-05-20
PL292420A1 (en) 1992-06-15
DE59105978D1 (de) 1995-08-17
FI915401A0 (fi) 1991-11-15
FI109041B (fi) 2002-05-15
CA2055621C (en) 1999-10-12
EP0486065B1 (de) 1995-07-12
NO176579B (no) 1995-01-16
NO176579C (no) 1995-04-26
DE4036637A1 (de) 1992-05-21
KR920009611A (ko) 1992-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8479B1 (ko) 명암지 및 그 제조방법
US5248544A (en) Paper of value having an optically variable security element
US7128272B2 (en) Method for making an article comprising a sheet and at least an element directly mounted thereon
KR100334028B1 (ko) 안전서류및그의제조방법
CA2046711C (en) Multilayer optically variable element
CA2185358C (en) Holographic document and method for forming
JP4064449B2 (ja) 窓を有する有価証書
KR100309649B1 (ko) 위조방지용종이
EP2527159B1 (en) Security strip and security paper
US20090186205A1 (en) Material in sheet form having a window,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security document comprising it
US7632380B2 (en) Article formed from at least a fibrous material jet comprising at least a null thickness zone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H0378278B2 (ko)
JPH09508330A (ja) 電子モジュールを備えたデータ媒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18422A (ko) 섬유상 시트재와 보안 요소 간에 접착을 증가시키는 방법
KR100221454B1 (ko) 면이 제 위치에 있도록 하여 보안요소를 부착하는 유가증서의 제조방법
HU222741B1 (hu) Eljárás többrétegż biztonsági termék elżállítására és így elżállított termék
JP2001510405A (ja) 機密保護テープおよび機密保護スレッドの製造方法
CA2289470A1 (en) Security paper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CA2604149C (en) Method for making an article comprising a sheet and at least an element directly mounted thereon
JP4593195B2 (ja) スレッドの製造方法及びicチップ入りシートの製造方法
SI9111801A (sl) Vrednostni papir in postopek za izdelavo le-teg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