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7498B1 - 자동차의 클러치 페달 답력 경감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클러치 페달 답력 경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7498B1
KR100197498B1 KR1019960065004A KR19960065004A KR100197498B1 KR 100197498 B1 KR100197498 B1 KR 100197498B1 KR 1019960065004 A KR1019960065004 A KR 1019960065004A KR 19960065004 A KR19960065004 A KR 19960065004A KR 100197498 B1 KR100197498 B1 KR 100197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clutch
clutch pedal
cylinder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5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6623A (ko
Inventor
박철훈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60065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7498B1/ko
Publication of KR19980046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6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7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74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ain transmission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clu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클러치 페달 답력 경감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은, 대시 패널에 장착된 클러치 브래키트(2)에 상부가 힌지연결된 클러치 페달(1)의 답력을 경감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클러치 페달(1)에 힌지점 하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클러치 페달(1)과 소정 각도를 이루며 상향, 연장된 페달 브래키트(10); 상기 페달 브래키트(10)의 타단에 피봇연결된 제1스프링 시트(21); 상기 제1스프링 시트(21)에 의해 전진 및 후퇴되는 로드(41)가 구비된 실린더(40); 상기 실린더(40)의 타단이 중앙에 연결되고, 양측부는 클러치 브래키트(2)에 힌지연결되어, 상기 실린더(40)와 함께 회전되는 레버(50); 상기 실린더(40)의 외주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제1스프링 시트(21)와 소정 간격으로 대향, 배치된 제2스프링 시트(22); 및 상기 제1 및 제2스프링 시트(21,22)사이의 로드(41) 외주에 끼워져, 상기 제1스프링 시트(21)에 의해 선택적으로 신축되는 코일 스크링(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클러치 페달 답력 경감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클러치 페달 답력 경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변속전에 엔진의 동력을 단속하기 위한 클러치를 작동시키는 클러치 페달을 밟는 힘을 경감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클러치는 플라이 휠과 변속기의 입력축 사이에 설치되어, 변속기로 전달되는 기관의 동력을 필요에 따라 단속하는 역할을 하며, 기관을 기동시킬 때 또는 변속기의 기어를 변속할 때에는 기관과의 연결을 끊고, 발진할 때에는 기관의 동력을 서서히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변속기는 엔진에 클러치를 통하여 연결된 입력축과, 구동륜에 연결된 출력축 사이에서 자동차의 주행상태의 변화에 따라 엔진의 회전력을 증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변속기는 운전자가 임의로 속도단을 선택하고, 변속레버를 조작함에 의하여 변속이 이루어지는 수동변속기와, 유체의 압력을 이용해서 일정 속도별로 자동적으로 변속이 이루어지는 자동변속기로 대별된다. 물론, 자동변속기는 변속시마다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을 밟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매우 편리하지만, 그 설치비용이 매우 고가인 것이 단점이다. 따라서, 아직까지는 대부분의 차량이 수동변속기를 채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수동변속기는 자동변속기와는 달리 변속레버를 조작하여 기어변속을 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엔진의 동력이 변속기내로 전달되는 것을 끊어야 하기 때문에 클러치 페달을 밟아서 엔진의 동력을 단속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변속기로의 엔진 동력 전달을 단속하도록 클러치를 작동시키는 클러치 페달은 운전석 하부에 가속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과 함께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그 상부가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또한 운전자가 왼발로 밟은 후,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리턴 스프링에 의해 탄력지지되어 있다.
즉, 운전자가 왼발로 클러치 페달을 밟으면, 클러치가 작동되어 엔진과 변속기 사이의 동력 전달을 끊게 되고, 변속레버를 조작하여 변속시킨 후, 클러치 페달에서 발을 떼면, 리턴 스프링에 의해 클러치 페달이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므로써, 엔진의 동력이 변속기로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클러치 페달을 밟아서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리턴 스프링의 탄성려보다 강한 힘으로 클러치 페달을 밟아야 하기 때문에, 변속을 자주 하게 되는 주행상황에서 상기와 같은 힘을 왼발에 실어서 클러치 페달을 자주 밟아야만 되었고, 이로 인하여 장시간 운전을 하게 되면 왼발에 심한 피로감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클러치 페달로 인해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클러치 페달을 밟는 힘을 줄여서, 장시간 운전에 의해서도 왼발에 심한 피로감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자동차의 클러치 페달 답력 경감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페달 답력 경감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1도는 측면도.
제2도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클러치 페달 2 : 클러치 브래키트
10 : 페달 브래키트 11 : 피봇핀
21 : 제1스프링 시트 22 : 제2스프링 시트
30 : 코일 스프링 40 : 실린더
41 : 로드 50 : 레버
60 : 지지축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대시 패널에 장착된 클러치 브래키트에 상부가 힌지연결된 클러치 페달의 답력을 경감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클러치 페달에 힌지점 하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클러치 페달과 소정 각도를 이루며 상향,연장된 페달 브래키트; 상기 페달 브래키트의 타단에 피봇 연결된 제1스프링 시트; 상기 제1스프링 시트에 의해 전진 및 후퇴되는 로드가 구비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타단이 중앙에 연결되고, 양측부는 클러치 브래키트에 힌지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와 함께 회전되는 레버; 상기 실린더의 외주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제1스프링 시트와 소정 간격으로 대향, 배치된 제2스프링 시트; 및 상기 제1 및 제2스프링 시트 사이의 로드 외주에 끼워져, 상기 제1스프링 시트에 의해 선택적으로 신축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버에 회전동작을 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레버의 일측 하단에 지지축의 일단이 힌지연결되고, 상기 지지축의 타단은 클러치 페달에 한지점 상부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클러치 페달이 회전함에 의해 코일 스프링이 제1스프링 시트에 의해 초기에는 압축되었다가, 클러치 페달과 레버의 각 힌지점을 연결하는 선상에 페달 브래키트가 회전하면, 그 이후부터 코일 스프링이 신장되어, 클러치 페달을 회전방향으로 밀게 되므로써, 클러치 페달의 답력이 경감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페달 답력 경감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1도은 측면도, 제2도는 평면도이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 명세서의 서두에서 설명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반복설명은 생략하고 개선된 부분만을 주로하여 설명하며, 또한 동일부번을 사용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 페달(1)의 상부에 힌지핀(3)이 설치되고, 이 힌지핀(3)은 운전석의 대시 패털에 장착된 클러치 브래키트(2)에 연결된다. 클러치 브래키트는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부분만이 개구된 형상을 갖는다.
페달 브래키트(10)의 일단이 클러치 페달(1)의 상부에 고정, 본 실시예에서는 용접으로 고정되는데, 그 위치는 클러치 페달(1)의 힌지점, 즉 힌지핀(3)이 설치된 부분의 하부이다. 페달 브래키트(10)의 타단은 클러치 페달(1)과 소정각도를 이루며 상향으로 연장되는데, 그 각도는 90°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스프링 시트(21)의 일단이 피봇핀(11)으로 페달 브래키트(10)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실린더(40)가 제1스프링 시트(21)의 길이방향과 동일선상에 배치되고, 실린더(40)의 로드(41)가 제1스프링 시트(21)의 타측면에 연결된다. 즉, 제1스프링 시트(21)의 타측면에는 로드(41)의 일단이 삽입되는 홈(21a)이 형성되고, 로드(41)의 타단은 실린더(40)의 일단에 형성된 구멍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실린더(40)의 타단인 헤드부(42)를 지지하는 레버(50)는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부분이 개구된 형상으로서, 클러치 브래키트(2)내에 수용된 상태로 있게 된다. 레바(50)는 실린더(40)의 헤드부(41)가 삽입되는 홈을 이루는 돌출부(51)가 중앙에 차량 후방을 향해 형성되고, 그 양측부가 클러치 브래키트(2)의 양측 내면에 힌지핀(52)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스프링 시트(21)와 소정간격을 두고 대향,배치된 제2스프링 시트(22)가 실린더(40)의 외주에 끼워져 고정되는데, 특히 실린더(40)의 외주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이 나사부에 너트(24)가 체결되고, 너트(24)에 제2스프링 시트(22)가 지지된다. 또한, 로드(41)의 외주에도 나사부가 형성되고, 이 나사부에 너트(23)가 체결되어, 제1스프링 시트(21)도 너트(23)에 의해 지지를 받게 된다.
클러치 페달(1)의 답력을 경감시키는 코일 스프링(30)이 제1 및 제2스프링 시트(21,22) 사이의 로드(41) 외주에 끼워진다. 코일 스프링(30)은 제1스프링 시트(21)의 회전동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신장 또는 압축되면서, 클러치 페달(1)을 탄력지지하여 답력을 경감시키게 된다.
한편, 레버(50)의 회전동작중 요동되지 않도록 레버(5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축(60)이 레버(50)와 클러치 페달(1) 사이에 연결된다. 즉 지지축(60)의 일단은 레버(50)의 일측 하단에 힌지핀(53)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클러치 페달(1)에 고정되는데, 그 위치는 클러치 페달(1)의 힌지핀(3)설치위치보다 상부가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1)을 왼발로 밟으면, 클러이 페달(1)은 힌지핀(3)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클러치 페달(1)에 직교하게 연결된 페달 브래키트(1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페달 브래키트(10)에 피봇핀(11)으로 연결된 제1스프링 시트(21)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1스프링 시트(21)에 로드(41)와 실린더(40)로 연결된 레버(50)도 힌지핀(52)을 중심으로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실린더(40)는 헤드부(41)가 레버(50)에 연결되어 뒤로 밀려날 수 없으므로,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스프링 시트(21)가 로드(41)를 실린더(40)내로 후퇴시키면서 코일 스프링(30)을 압축하게 된다. 즉, 클러치 페달(1)을 밟는 초기에는, 운전가가 코일 스프링(30)을 압축시킬 정도로 약간 강하게 밟아주어야 된다.
상기와 같이 코일 스프링(30)이 압축되다가, 클러치 페달(1)이 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되어 제1스프링 시트(21)와 페달 브래키트(10)사이의 피봇핀(11)이 클러치 페달(1)과 레버(50)의 각 힌지핀(3,52)을 연결하는 선상인 S점에 도달하면, 이 S점 이후부터 페달 브래키트(10)는 제1스프링 시트(21)을 밀지 않고 클러치 페달(1)의 회전방향으로 당기게 된다. 이때, 압축되었던 코일 스프링(30)이 강하게 신장되면서 제1스프링 시트(21)을 밀게 되고, 페달 브래키트(10)가 클러치 페달(1)을 회전하려는 방향으로 밀게 되므로써, 클러치 페달(1)에 강한 힘을 주지 않아도 클러치 페달(1)은 시계 방향으로 손쉽게 회전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클러치 페달(1)의 답력이 경감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클러치 페달(1)의 회전동작중에, 지지축(60)은 레버(50)의 하단을 강하게 밀게 되므로써, 레버(50)의 회전동작이 보다 용이하게 진행되도록 하고, 회전중에 레버(50)의 요동을 방지하게 된다.
반대로, 클러치 페달(1)에서 발을 떼면, 리턴 스프링에 의해 클러치 페달(1)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페달 브레이크(10)는 시계 반대방향, 레버(50)는 시계 방향인 상기된 방향과는 역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된 동작이 역순으로 진행되어, 페달 브래키트(10)와 레버(50)는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클러치 페달(1)을 밟는 힘을 경감시킬 수가 있게 되므로써, 장시간 운전중 클러치 페달(1)을 자주 밟게 될 때, 왼발에 부담을 덜 수가 있게 되어, 운전자가 왼발에 심한 피로감을 느끼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대시 패널에 장착된 클러치 브래키트에 상부가 힌지연결된 클러치 페달의 답력을 경감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크러치 페달에 힌지점 하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클러치 페달과 소정 각도를 이루며 상향,연장된 페달 브래키트; 상기 페달 브래키트의 타단에 피봇 연결된 제1스프링 시트; 상기 제1스프링 시트에 의해 전진 및 후퇴되는 로드가 구비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타단이 중앙에 연결되고, 양측부는 클러치 브래키트에 힌지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와 함께 회전되는 레버; 상기 실린더의 외주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제1스프링 시트와 소정 간격으로 대향,배치된 제2스프링 시트; 및 상기 제1 및 제2스프링 시트 사이의 로드 외주에 끼워져, 상기 제1스프링 시트에 의해 선택적으로 신축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클러치 페달 답력 경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회전동작을 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레버의 일측 하단에 지지축의 일단이 힌지연결되고, 상기 지지축의 타단은 클러치 페달에 힌지점 상부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클러치 페달 답력 경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 브래키트는 클러치 페달과 직교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클러치 페달 답력 경감장치.
KR1019960065004A 1996-12-13 1996-12-13 자동차의 클러치 페달 답력 경감장치 KR100197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5004A KR100197498B1 (ko) 1996-12-13 1996-12-13 자동차의 클러치 페달 답력 경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5004A KR100197498B1 (ko) 1996-12-13 1996-12-13 자동차의 클러치 페달 답력 경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623A KR19980046623A (ko) 1998-09-15
KR100197498B1 true KR100197498B1 (ko) 1999-06-15

Family

ID=19487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5004A KR100197498B1 (ko) 1996-12-13 1996-12-13 자동차의 클러치 페달 답력 경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74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998B1 (ko) 2013-12-03 2015-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클러치페달의 답력 저감장치
KR102098116B1 (ko) 2014-11-14 2020-04-07 현대자동차(주) 페달 조작 기구
KR101620227B1 (ko) 2014-12-03 2016-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페달 조작 기구
KR101628576B1 (ko) * 2014-12-24 2016-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페달 답력 조절 장치
KR102610319B1 (ko) * 2018-03-22 2023-1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프링 답력 방식 페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623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132362A (ja) 前後調節可能な車両用ペダル装置
KR100197498B1 (ko) 자동차의 클러치 페달 답력 경감장치
US6913121B2 (en) Auxiliary system for an automobile parked on a slope
WO2009124457A1 (zh) 一种离合踏板机构
US4372178A (en) Operating force transmitting apparatus
JPH03248929A (ja) 産業車両におけるインチング制御装置
JPH08169320A (ja) 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のケーブル自動調整機構
JP3419890B2 (ja) 前後調節可能な操作ペダル装置
JPH10109626A (ja) ブレーキペダルの支持構造
KR0144470B1 (ko) 클러치 기능이 부설된 가속페달
KR100224180B1 (ko) 버튼식 주차브레이크 시스템
KR200188713Y1 (ko) 차량용 클러치레버에 구비된 점화 및 크루저스위치 겸용 복합스위치
KR100511857B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페달 시스템
US7743680B1 (en) Internally articulated parking brake assembly for automotive vehicle
KR100223471B1 (ko) 장애자용 제동 및 가속페달 조정장치
KR100384531B1 (ko) 자동차용 자동식 주차제동장치
KR910007143B1 (ko) 휘발유 절약형 자동차 자동트랜스 밋션장치
KR200267319Y1 (ko) 자동차용 클러치 조작시스템
JP3772387B2 (ja) 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KR100372460B1 (ko) 자동차용 페달 높낮이 조절 장치
KR200374880Y1 (ko) 자동차 가속페달용 급조작 방지 장치
KR100207203B1 (ko) 클러치 페달 조작구조
FR2826915A1 (fr) Dispositif de commande d'une boite de vitesses pour vehicule automobile
JP2597966Y2 (ja) デセル装置
JPH06331024A (ja) パワーシフ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