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4507B1 - 분리형 백미러 장착브래킷 - Google Patents
분리형 백미러 장착브래킷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194507B1 KR100194507B1 KR1019930703135A KR930703135A KR100194507B1 KR 100194507 B1 KR100194507 B1 KR 100194507B1 KR 1019930703135 A KR1019930703135 A KR 1019930703135A KR 930703135 A KR930703135 A KR 930703135A KR 100194507 B1 KR100194507 B1 KR 1001945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tton
- flange
- segment
- bracket
- fixing flang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분리형 브래킷은 차량의 앞쪽 유리 내면상의 버튼에 백미러를 장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브래킷은 기저부분을 가진 스프링 클립과,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대향된 탄성측면 플랜지와, 그 기저부분에서 형성되는 탄성고정플랜지를 포함한다. 그 측면츨랜지는 요홈을 가지며, 그 고정플랜지는 탭을 가져 그 브래킷이 그 버튼에 장착될 때 그 요홈은 텅 및 요홈식으로 그 버튼의 측면을 받아드리며, 그 탭은 그 버트의 저부면과 견고하게 결착된다.
Description
첨부 도면에 따라 이 발명을 아래에 설명한다.
제1도는 이 발명에 의한 브래킷을 사용한 자동차의 앞쪽유리(windshield)에 장착한 백미러 조립체의 부분절단 측면도.
제2도는 이 발명을 사용한 장착 브래킷과 스프링클립을 나타낸 확대도.
제3도는 제2도에 나타내는 장착브래킷과 스프링클립을 조립한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4-4선 단면도.
제5a도는 제5b도와 같은 동일평면에서의 단면도이나 제5b도의 완전고정위치에서 간격을 둔 버튼(button)에 대한 위치에서의 장착브래킷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5b는 제4도의 5-5 단면도.
제6도는 제5b의 동일한 단면도이나 그 버튼에서 부분적으로 슬라이딩(sliding)을 한 장착브래킷의 단면도.
제7도는 스프링클립과 장착브래킷의 변형을 나타내는 조립사시도.
제8도는 제5b와 동일하나 제7도의 실시예에 의한 단면도.
제1도는 종래의 자동차 앞쪽유리(12)의 내측면에 부착된 백미러조립체(rearview mirror assembly)(10)을 나타낸다. 그 앞쪽유리(12)는 수평에 대하여 통상적으로 경사지게 나타내며, 미러조립체(10)는 자동차 앞쪽유리 횡방향중심주의에 그리고 앞좌석(front seat) 착석자전방에 통상적으로 그 내부면에 부착되어 있다.
버튼으로 이 공업분야에서 통상알려져 있는 베이스멤버(14)는 PVB로 알려진 폴리비닐 부티랄등 통상공지된 금속/유리 접착제에 의해 자동차 앞쪽 유리(12)내면에 영구부착되어 있다. 채널 마운트(channel mount)로 알려져 브래킷(16)은 버튼 (14)상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게 받아드려 캔틸레버식(cantilevered fashion)으로 백미러(20)와 백미러장착암(rearview mirror mounting arm)(18)을 조정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어 운전자가 사용할 때 승객실로 돌출시킨다.
주요한 장착암(18)에는 이 발명의 어느부분도 형성되지 않더라도 각 단부에 플라스틱 제 볼컵(ball cups)(24, 26) 한쌍을 포위한 튜브형상케이싱(swaged, one-piece tubular)(22)이 있다. 그 볼컵(24, 26)은 케이싱 압축스프링(28)에 의해 외방으로 지지되어 있다. 볼 멤버(30)는 브래킷(16)에서 돌출되어 있는 볼컵(24)에서 받아드린다.
동일하게, 볼 멤버(32)는 백미러(20)에서 돌출되고 볼컵(26)에서 받아드린다. 이 구조의 더블볼조인트(double ball joints)는 미러(20)와 앞쪽유리(12)사이에 일반접속(universal connection)을 형성하여 운전자가 뒤를 가장 잘 볼 수 있게 조절할 수 있다. 또, 그 백미러(20)를 브래킷(16)에 장착하는 데 있어 여러 가지의 장착차이가 전시계적으로 볼 때 통상사용시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그 중 어느 하나라도 그 브래킷(16)과 사용하는데 적합하게 할 수 있다.
예로서, 유럽에서 통용되고 있는 바와같이, 단일암(single arm)은 백미러(20)와 함께 직접 그 단부에 볼 및 소켓접속을 한 브래킷(16)에서 돌출 시킬 수 있다.
제2도 내지 제8도는 장착브래킷(116)과 스프링클립(172)을 나타낸 것이다. 그 장착브래킷(116)은 단일체(one-piece body)(150)을 구성하며, 볼 멤버(130)는 단일체(150)에서 외방향으로 돌출되어있다.
그 단일체(150)는 버튼(114)의 상부면(140)(제5A. 5B 및 6도)과 거의 일치하도록 곡명으로 된 상부단(top end)(152)을 가진다.
그 장착브래킷(116)에는 측벽(154)에 의해 구성된 내부리세슬(158)를 포함하며, 그 측벽(154)은 개방단(open end)(156)(157)의 대향단과 앞쪽 유리 대향에지(wind shield facing edges)(160)에서 종료된다.
그 내부리세스(158)에는 스프링클립(172)의 장착면(155)를 구성하는 다수의 리빙(ribbing)(153)이 있다. 한쌍의 돌설되어 있는 장착포스트(upstanding mountion)(159)가 그 단일체(150)의 종방향 중심영역에서 장착면(155)으로부터 상방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리빙(153)의 상방향대향면(155)은 일반적으로 공편면이다.
다수의 돌출버튼지지부재(161)는 그 장착면 (155)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평탄면(flat surface)(162)의 상부단에서 종료되며, 그 평탄면 각각은 일반적으로 서로 공편면에 있고 그 장착면(155)에 평행하다. 그 돌출버튼 지지부재(161)일부는 웨브 부재(web member)(163)에 의해 측벽 (154)에 접속되어 있다. 그 개방단(156)과 대향하는 평탄면(162)의 에지는 장착면(155)쪽 하방으로 부호 164에서와 같이 경사면으로 되어있어(bevel), 저부대향면을 구성한다.
스프링 클립(172)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재질도 구성되어 있다. 그 스프링클립에는 한쌍의 구멍(174)이 있는 평편한 기저부분(base portion)(173)을 구성하며, 그 기저부분은 제3,5B 및 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포스터(mounting post)(159)를 받아 드리도록 되어있다. 탄력있는 변형할 수 있는 한쌍의 측벽(172)이 그 기저부분(173)의 측면에지에서 상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각 측벽은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저부분(173)의 평면에 수직으로 된 돌출 부분(177)을 가진다. 그 측벽(177)의 상부단은 안쪽으로 경사진 세그멘트 (178)에서 종료되고, 그 내향면(179)은 그 버튼(114)의 외방으로 향한 경사면(181)과 결착하도록 한다.
즉, 그 측벽(176) 각각은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튼(114)의 측면단부(182)를 받아드리도록 한 요홈을 구성한다. 또, 각 측벽(176)은 다수의 구멍(183)을 가지며, 그 구멍 수는 단일체(150)상의 돌출버튼지지부재(161)수에 해당한다. 그 구멍각각은 일반적으로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T형상을 형성한다.
그 T형상의 스텝(stem)을 웨브(163)를 받아 드리도록 하며 반면에 그 T형상의 횡부분은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버튼지지부재(161)를 받아드리도록 한다.
스프링클립(172)에는 기저부분(173)의 일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탄성 고정플랜지(184)가 있다. 더 자세하게 말하면, 그 고정플랜지(184)는 기저부분(173)과 이웃한 제1 세그멘트(first segment)(18)를 포함하며, 그 기저부분(173)의 평면에서 10도 내지 20도 범위의 각으로 그 기저부분의 일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세그멘트(186)의 밑단부는 상방향돌출부(187)에서 종료되며 그 돌출부(187)는 이 실시예에서는 반경방향의 둥근 형상으로 되어 있다. 고정플랜지(184)의 제2 세그멘트(188)는 상방향돌출부(187)의 상부단과 연속되어있고 제1 세그멘트(186)와 오버랩핑(overlapping)한 상방향돌출부에서 스프링클립(172)의 측벽(176)중간 위치로 형성 되어 있다. 제2 세그멘트(188)의 상부면(189)은 한쌍의 돌출탭(sustanding tab)(191)을 가지며, 그 탭(191)은 고정프램지(184)의 제2 세그멘트(188)의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제3도와 제5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스프링클립을 단일체(150)에 조립한 상태에서, 제2 세그멘트의 상부면은 기저부분(173)에 대하여 약간 경사진 평면내에 초기에 위치된다. 따라서 제2 세그멘트(188)는 그 기저부분(173)의 평면에서 이탈된다.
이 설정의 목적을 아래의 설명에서 알 수 있다.
필요할 경우, 그 고정플램지(184)는 중심선단부(central untont portion)(190)를 구성하여 여기에 가한 힘으로 그 고정플랜지(184)를 더 용이하게 변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버튼 정지구조(button rest construction)(192)는 스프링클립(172)의 대향단부에 구성되고 기저부분(193)은 그 측면단부에서 연속된 한쌍의 돌출측벽(194)를 가진다. 그 돌출 측벽(194)의 상부단부는 그 스프링클립이 제3도와 제5B 도에 나타낸 조립상태에 있을 때 각 버튼지지 부재 (161) 각각의 상부단에 표면(163)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제1 및 제2 에지부분(first and second edges surface portions)(196)(197)에서 종료된다.
제1 에지면부분(196)은 또 10도 내지 30도의 범위의 각도에서 기저부분(173)의 평면에서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있다.
제2 에지면부분(197)은 제1 에지면부분(196)에서 그 에지면부분(196)에 약 140도 내지 160도의 각도로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구성되어 있다.
그 스프링클립이 그 단일체(15)의 내부리세스(158)내로 내려갈 때 그 스프링클립(172)의 구멍(174)은 위에서와 같이 직접 포스트(159)를 받아드린다. 그 버튼정지구조(192)가 그 개방단부(157)내에 들어가게 되고 고정플랜지(184)가 개방단부(15)에서 외방향으로 돌출된다. 그 직립포스트(159)는 스프링클립(172)의 구멍(174)를 통하여 돌출되고 프레스피트(press fit) 또는 회전(spin over)시켜 리벳 형상 접속부(rivet-like connection)(195)를 구성한다.
조립할 때, 제5a도와 제5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브래킷(116)의 단일체(150)는 처음에 그 버튼의 외방향 대향측면(181)을 스트래들링(straddling)하는 스프링클립(172)의 측벽 (176)과 버튼(14)의 상부단부(140)에 인접하여 설정되고 제5a도의 위치의 그 앞쪽 유리면(197)에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한다. 이 위치에서 그 장착브래킷(116)의 외방향대향측면(181)을 완전하게 그립핑(gripping)되지 않는다. 그 결과, 고정플랜지(184)의 탄력은 제2 세그멘트(188)와 제1 세그멘트(186)사이의 상태굽힘운동(relative flexin movement)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정도로 강력하다. 이 탄력에 의해 그 장착브래킷(116), 특히 그 측벽(154)의 단부(160)(제2도)를 포함한 평면이 제5a도에 나타낸 그 앞쪽유리의 내측대향면(199)의 평면에 3도 내지 5도의 각도φ로 경사지게 구성하도록 한다.
이 운동이 초기 단계에 있을 때, 제2 세그멘트(188)의 돌출탭(191)은 버튼(114)의 후면(rear curface)(138)에 따라 슬라이딩을 한다. 이 운동을 할 때, 버튼지지부재(161)의 면(162)은 버튼(114)의 후면 (138)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그 면(164)은 버튼(114)상에서 단일체(150)의 원활한 이동을 하도록 한다.
그 앞쪽유리(199)에 평향한 방향에서 제5a도의 우측방향의 장착브래킷(116)을 연속이동하여 결국 제5A 도의 위치로 그 장착브래킷(116)을 정지시킨다. 제5a도의 위치에서, 그 장착브래킷(116)의 측벽(154)의 단부(16)가 그 앞쪽유리면(199)에 대하여 아직도 경사지게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스프링클립(172)의 측벽(176)이 그 버튼(114)의 외방향대향측면(181)과 더 완전하게 결착되어 있으므로, 그 단부(160)를 그 앞쪽유리면(199)과 평행하게 할려는 더 큰힘이 스프링클립(172)의 측벽(176)에 의해 가하여진다.
그러고 고정플랜지(184)의 제2 세그멘트(188)가 제2 세그멘트(186)쪽으로 약간 구브러져 있으나 충분한 탄력이 그 고정플랜지에 남아있어 그 장착브래킷의 모멘트가 제5b도의 위치로 이동할때까지 그 에지(160)와 앞쪽유리면사이에 완전한 평행관계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제5b도의 위치에서 고정플랜지(184)의 제2 세그멘트(188)의 면(189)에 있는 그 탭(191)은 고정플랜지(184)의 제1 세그멘트(186)에서 탄력으로 작동되어 그 고정플랜지에지(198A)에 스냅핑(snapping)되고 그 버튼(114)의 저부면(198)에 인접되어 있다.
그 고정 플랜지(184)의 제2 세그멘트(188)가 이와같은 최종운동을 할 때 그 장착 브래킷이 통상의 상태하에서 그 버튼상에의 완전고정 및 고정 가능한 유지를 나타내는 단일가정클릭(신호)(audible click)을 발생한다. 그 버튼(114)의 상부단부(140)는 그 버튼 정지구조(192)의 측벽에서 그 면(196)과 그 면(197)사이의 접속을 결착한다. 또, 버튼(114)의 외방향대향측면(181)의 대응되는 수렴테이퍼(convergent taper)와 스프링클립(172) 측벽 (176)의 내방향경사로 인하여 그 버튼(114)는 스프링(172)으로 밀어넣어 고정시킨다.
그 단일청각신호가 발생하는 순간 바로, 그 에지(160)는 앞쪽 유리면(199)과 평행하게 돌발적으로 작동한다.
인접한 조립조작에서 발생하는 소음으로 설정자가 그 단일가정신호를 듣지 못하게 되더라도, 그 버튼(114)상에서 장착브래킷(116)의 완전한 고정이 되는 것을 설정자에게 수동을 신호를 내보내는 손가락의 돌발적인 펄스로서 설정자에 의해 그 장착브래킷의 일단체(150)의 돌발적 작동이 감지한다.
그 상호간의 접속은 견고하여 정상인 사용시에 그 백미러는 그 장착임에 의해 필요한 위치로 그 운전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으며, 주행중에 그 미러의 진동을 최소화시킨다.
또, 소정의 힘이 그 장착브래킷(116)에 대하여 어느 방향으로 진행될 때 그 버튼(114)을 스냅(snap)시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 장착을 중지하도록 서로간의 탄력접속을 한다.
이와 같은 힘이 장착브래킷(116)에 가하여 질 때, 그 장착브래킷(116)은 제6도에서와 같이 이 버튼(114)는 하방향의 우측방향으로 더 진행시킨다. 그 버튼(114)의 상부단부(140)는 그 버튼 정지부분(192)의 면(197)으로 슬라이딩하며 그 측벽(176)을 들어올려 버튼(114)의 외방향 대향측면(118)과 각각 결착시킨다.
그 장착브래킷(116)이 강제로 충격을 받아 그 버튼(114)에서 이탈될 때, 그 버튼의 노출단주는 제4도 내지 제6도에서와 같이 모두 원형으로 되어있다. 그 버튼 상의 원형단부는 그 차량의 승객이 버튼상의 뾰족한 모서리(corner)또는 에지와의 접촉을 하지 못하게 한다.
헤드충격(head impact)을 가할 때 버튼(114)에서 강제적으로 이탈되는 그 미러가 바람직하지 않게 된 상태에서(EEC테스트), 제7도의 스프링클립(172A)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스프링클립(172A)의 구조는 사실상 스프링클립(172)과 동일하다. 따라서, 제2도 내지 제6도에 나타낸 구조에 일치한 구조 설명에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나. 첨가부호 A를 각 부호에 가한다. 제2도 내지 제6도의 구조와 일치하는 제7도 내지 제8도의 구조는 위에서 설명했기 때문에 필요가 없다.
제7-8도의 실시예와 제2-6도의 실시예사이에 있는 중요한 기술적차이에 대하여 다음에 설명하면, 버튼정지부분(192A)에는 기저부분(193A)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있는 한쌍의 돌출측벽(194A)에는 기저부분(193A)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있는 한쌍의 돌출측벽(194A)이 있다. 이 실시예에서, 한쌍의 면(196A)(197A)이 구성되어, 그 면(196A)은 위에서 설명한 면(196)과 같이 버튼지지부재(161)의 상부단에서 그 면(162A)대하여 경사져 있다. 그면(197A)은 그면 (106A)에 100도∼120도의 각도로 모난 모서리(sharp corner)를 통하여 형성되며 제8도에 나타낸 버튼(114)의 상부단부(140)와 동일높이로 결착되도록 한다.
제2도 내지 제6도에서, 그 장착 브래킷(116)이 제5b도에 나타낸 위치로 조립할 때, 그 장착 브래킷의 저면단부, 여기서는 우측단부가 갭(201)에 의해 그 앞쪽유리(199)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그 고정플랜지(184)의 재질에 의한 발생한 탄력은 그 버튼(114)에 대하여 반시계방향으로 그 장착 브래킷(116)의 고정을 다소 방지하는데 충분히 강한 힘이 되지 못하여 그 갭(201)의 크기를 감소한다. 일부예로서, 그 장착브래킷(116)의 진도을 차량이 구동될 때 발생할 가능이 있다. 이 진동을 제거하기 위하여, 그 고정플랜지(184A)를 스트래딩(straddling)시키는 직립버튼지지부재(161A')가 구성되어 그 탭(191A)과 버튼정지부(192A)사이의 영역에 형성된 표면 구성요소(202)를 구비하여 그 고정플랜지에지(198)에 인접한 버튼(114)의 저면부는 제8도에 나타낸 표면구성요소(202)에 의해 지지된다. 그 스프링클립(172A)의 측벽(176A)의 그립핑작동은 버튼(114)의 후면(138)과 단단히 결착시켜 그 면(162A)(202)을 지지시키는데 충분하여, 버튼 (114)에 대한 장착브래킷(116)의 상대운동을 방지한다.
또, 개방단부(156A)에 인접한 양단부의 측벽(154A)(제7도)은 부호 203에서와 같이 안쪽으로 구부러져 그 장착 브래킷(116)이 버튼(114)에서 이탈될 경우 둥금모서리가 구성되어 있어 그 장착브래킷(116)이 덜 위험하게 된다. 이것은 특히 그 단일체(150A)가 제2도 내지 제6도의 실시예에서 사용될 때 실현된다.
이 발명은 도면에 나타낸 2개의 버튼이외에 각종의 서로 다른 타입의 채널 마운트 타입에 적용할 수 있다.
예로서, 이 발명은 미국특허 제4,936,533호(1990. 6. 26 특허취득)에 기재된 버튼에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발명은 정상적은 사용중에 최소의 진동을 가진 안전성있는 위치에서 그 미러 구성요소를 유지하며, 코스트가 저렴한 기존의 기준이 있는 버튼과 함께 사용하도록 하고, 소정크기의 충격을 받을 때 그 버튼에서 용이하게 분리되는 내부백미러 마운트(interior rearview mirror mount)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발명의 범위내에서 벗어남이 없이 첨부도면과 그 설명의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할 수 있다.
이 발명은 차량의 앞쪽유리의 내부버튼(button)에 장착한 내부백미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내부앞쪽 유리에 장착한 백미러는 전세계적으로 제작하여 판매되는 거의 모든 차량에 공통적으로 사용되었다. 서로 다른 마운트(mounts)는 차량을 달리하여 설계되었고, 각 나라의 시행법령에 따라 자동차와 이와 유사한 차량을 달리 제작하였다.
예로서,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자동차 앞쪽 유리에 장착한 종래의 백미러의 지지대는 주로 자동차 앞쪽 유리 내측면에 부착한 버튼(button)으로 통상 알려진 베이스 멤버(base member)를 구성하였다.
그 버튼은 레일(rail)을 형성하는 에지(edges)를 수직으로 설정한다. 그 레일은 각 에지상에서 베벨(bevel)에 의해 형성시킬 수 있다. 채널 마운트(channel mount)로서 산업분야에서 알려진 지지부재는 그 버튼상에 슬라이딩할 수 있게 부착됨으로써 그 채널마운트의 측면은 그 버튼의 레일과 결착되어있다. 그 채널마운트에는 차량의 운전자에 의해 사용되는 차량콤파트멘트(운전실)내에 백미러를 현수하는 암(arm), 볼조인트(ball joint) 또는 다른 구조등의 장착수단(mounting means)를 포함한다.
미국 차량에서의 주요한 장착조립체에는 여러 가지 위치에서 자동차 앞쪽 유리에 대하여 미러를 조절하는 더블 볼 조인트(double ball joint)를 가진 링크(linkage)가 있다. 주로, 채널마운트는 고정스크루(set screw)를 사용하여 버튼에 지지되어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셋스크루의 사용은 차량조립에 있어서 제조 및 유지에서 여러 가지의 문제를 발생하였다.
예로서, 셋 스크루는 주로 스크루나사에서 허용오차(tolerance)가 낮은 저가품으로 구입되었다.
이와 같은 나사에서는 그 구멍(aperture)내에 스크루를 횡방향 나사고정(cross tareading)을 할 때 결과적으로 일치하지 않게 된다. 경우에 다라서, 자동스크루 드라이브는 그 지지체가 버튼에 견고하게 결착되지 않더라도, 프리세트 스톨토크(preset stoll torque)에서 조기에 정지된다.
또 그 스크루가 너무 경사지게 고정되어 토크가 없다. 그리고 셋스크루는 그 스크루자체의 나사의 약화(weakness) 또는 그 셋스크루 소켓의 부적합한 크기(sizing)때문에 과도한 밀착(tightening)에 의해 이탈(stripping) 될 때가 종종 있다.
셋 스크루를 사용하지 않고 내부미러 마운트(interior mirror mounts)를 설계하는 시도가 종래에 있었다.
미국 특허 제4,936,533(Adams 등, 1990. 6 26 특허취득)를 한예로 들 수 있다.
이 특허에서는 그 버튼면상에서 대향되어 있는 돌출 립(rib)을 결착 및 그립핑(gripping)하도록 하는 차넬마운트에 스프링 리테이너(spring retainer)를 구성하는 차량부속품 장착조립체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특허는 특별히 구성된 버튼을 필요로 하며 특수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는 분해가 사실상 불가능한 몇가지의 문제점이 있다.
각 정부기관은 내측백미러 조립체에 제조에 대하여 일정한 기준, 테스트 공정, 테스트 조건, 기록 및 기록양식(recording formats)을 설정하였다.
미국 연방정부의 현행안정기준은 승용차, 다목적, 승객용차량, 트럭 및 버스에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준설정의 목적은 차량의 운전자가 후면으로 명백하게 그리고 알맞게 걸림이 없는 보임(view)을 갖고 있지 않을 때 발생하는 사상자 수를 감소시키는데 있다.
각 승용차는 단위크기(unit magnification)의 내측 백미러를 구비하여 그 미러가 특정의 보임(view)제공을 필요로 한다.
그 미러장착(mounting)은 그 미러의 안정한 지지체의 구성을 필요로 한다. 수평 방향과 수직방향에서의 경사(tilting)에 의해 미러조정(mirror adjustment)을 제공해야 한다. 또, 미러 조립체가 헤드충격영역(head impact area)에 위치될 경우, 그 마운트(mounting)는 차량의 전면종방향에서 45도 이하인 전방향에서 90파운드의 힘을 그 미러의 반사면이 받을 때 첨예한 에지(sharp edges)없이 휘어지거나(deflect), 충돌되거나 또는 분리되는 것을 필요로 한다.
그 분리의 특징은 증가되는 승객측면 에어백(passenger-side air bags)사용을 생각할 때 특히 중요하다.
승객측면 에어백이 팽창될 때, 자동차 앞쪽 유리에 장착한 백미러에 충격을 가하여 그 미러 마운트를 파괴하거나 또는 자동차 앞쪽 유리를 균일시키기에 충분한 힘으로 그 미러를 휘어지게 할 수 있다. 두 경우에서 파괴결과 얻어진 예리한 에지(edges)는 그 에어백을 조기에 수축(deflate)시키기에 충분하다. 따라서, 그 에어백은 효과가 없다.
제안되는 앞으로서의 기준은 90파운트 미만의 힘을 예리한 에지없이 그 장착(mounting)에서 분리되는 자동차 앞쪽 유리에 장착한 미러를 필요로 한다.
미국특허 제4 254 931(Aikens 등, 1981. 3. 10 특허취득)에서는 내부 백미러 장착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는 바, 여기서 장착 멤버(mounting member)의 스프링클립이 자동차 앞쪽 유리의 버튼에서 슬라이딩되어 분리형 마운트를 구성한다.
그 버튼은 그 내면에서 다수의 세레이션(serrations)를 가진다. 스프링클립은 즉 스프링(lock spring)을 가져 그 즉 스프링은 버튼에서 마운트 멤버의 용이한 슬라이딩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세레이션을 결착한다. 위에서 인용한 미국특허 제4 254 931호의 마운트는 현재 사용중에 있는 버튼과 다른 특수버튼을 필요로 한다. 또 다수의 그 세레이션은 그 마운트가 버튼에 완전고정되는지에 대한 폴스임프레이션(false impression)을 나타낸다.
유럽공동체(EEC)는 현행차량의 시행령을 갖고 있는 바, 이 시행령에서는 백미러 조립체가 파괴될 경우 유리파편이 분리됨이 없이 중량있는 지지체를 포함하는 소정의 정하중(static load)에 견딜 수 있는 것을 필요로 한다. 결과적으로, 분리형미러 마운트는 장기간 유럽에서 사용되었다. 대부분의 유럽미러마운트는 백미러를 가진 단일의 볼-조인트 접속(ball-joint connection)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백미러마운트의 한예를 호헤회사(Hohe KG)에 의해 제조되었으며, 이 백미러마운트는 상보형상 채널 마운트(complementary-shaped channel mount)를 스프링리테이너(spring retainer)로 받아들이도록 한 특수하게 구성된 버튼을 구성한다.
그러나, 그 채널 마운트는 그 버튼상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게 장착하기 보다 그 버튼상에 위치 시킨 다음 60도 내지 90도에서 어디에서나 회전시켜 그 마운트를 자동차 앞쪽 유리버튼에 고정시킨다. 그 버튼은 디텐트(detent)를 구비하여, 그 디텐트는 그 채널마운트가 고정위치로 회전될 때 채널마운트상의 탭(tap)을 받아드리도록 한다. 이 바람직하지 않은 운동이 그 차량의 조립 중에 설치시간을 증가 시킴을 알 수 있다. 내부 백미러 마운트의 각종 분리형 구성에 대처하는 기술적인 곤란성중 하나는 차량주행중 그 미러의 진동을 최소화 하는데 있다. 그 미러마운트가 자동차앞쪽유리상의 버튼에 단단히 고정되지 않으면 그 미러는 그 미러에서의 영상(images)을 흐리게 하는 (blur)진동을 받는다. 따라서, 미러 마운트는 사용중에 부과된 정상하중을 견디는 데 충분히 견고해야 한다.
또, 마운트는 실시되는 온도범위에서 적합한 작동특성을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완전한 위치에서 미러구성요소를 유지시킬 수 있고, 자동차 앞쪽 유리 영역, 경사각 및 곡율반경을 변화시키며 소정크기의 충격을 가할 때 버튼에서 용이하게 분리되고 대치할 때 쉽게 이탈할 수 있으며, 외관이 불쾌하지 않게 대부분의 차량에 유용하게 구성되며 제작코스트를 감소시켜 다량의 제조를 할 수 있는 내부 백미러 마운트가 필요하다.
Claims (13)
- 차량의 앞쪽 유리 내면에 고정된 후면(rear surface)를 가지며, 외측면, 상부면, 저부면, 상부면과 저부면 사이에 형성하고 그 앞쪽유리의 내면에서 떨어져 대향되며 그 앞쪽유리의 내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전면(front surface)와, 그 전면과 저부면의 결합점에 있는 첨예한 고정플랜지에지(sharp locking flange edge)에 레일(rails)를 형성하는 대향측면을 가진 버튼(button)에 백미러(rearview mirror)를 장착하도록 한 분리형브래킷(breakaway)에 있어서, 장착면(mounting surface)를 가진 본체(body)와, 그 장착면에 고정할 수 있게 장착시킨 스프링클립을 구성시켜, 그 스프링클립은 탄성변경이 가능한 스프링재로 구성되고 기저부분에서 상방량으로 돌출되어있는 대향된 탄성측면플랜지를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기저부분(base portion)을 가지며, 그 측면 플랜지의 각각은 텅(touque) 및 요홈식으로 그 버튼측면레일(button side surface rails)중 대응되는 레일 슬라이딩할 수 있게 받아드리도록 하는 요홈을 구성하고, 탄성고정플랜지(resilient locking flange)가 그 기저부분중 일단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세그멘트(first segment)를 포함하는 기저부분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그 고정 플랜지의 상방향 돌출부분은 제1세그멘트의 말단부에서 형성되고, 제1세그멘트와 연속되며 제1세그멘트와 오버래핑(over lapping)되게 형성되나 제1세그멘트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제2세그멘트를 포함하며, 제2세그멘트는 그 측면플랜지가 측면레일과 완전히 결합될 때 그 상방향 돌출부분에 의해 구성된 축을 중심으로 하여 제1세그멘트와 기저부분의 평면에 대하여, 그리고 그 측면플랜지가 버튼측면과 같이, 그리고 전면(front surface)상의 고정플랜지의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발생되는 가철클릭음 없이 완전 결착되어 그 버튼의 고정플랜지에지상에서 스냅(snap)되어 저부면과 견고하게 결착시킴과 동시에 그 버튼상에서의 완전고정시킨 명백한 감지표시를 나타낼 때 그 탄성변형이 가능한 스프링에 의해 발생한 탄력에 대하여 탄성변형할 수 있게 작동함으로써 그 브래킷은, 버튼이 스프링클립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게 받아드리나 소정의 크기의 힘이 가하여질 경우 그 앞 쪽 유리에서 떨어진 방향으로 그 버튼을 스냅(snap)시킬 때 통상의 상태에서 그 버튼상에 고정할 수 있게 유지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위 분리형 브래킷.
- 제1항에 있어서, 그 명백한 감지표시는 단일청각클릭(single audible click)임을 특징으로 하는 위 분리형 브래킷.
- 제1항에 있어서, 그 전면(front surface)은 완전하게 평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위 분리형 브래킷.
- 제1항에 있어서, 그 버튼의 저부면과 단단히 결착하도록 한 고정플랜지 부분은 제1세그멘트에서 떨어진 일측면상의 제2세그멘트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방향돌출탭(tab)을 포함하며, 그 탭상의 면(surface)은 그 브래킷이 그 버튼에 완전히 고정될 때 그 버튼의 저부면과 단단히 결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위 분리형 브래킷.
- 제1항에 있어서, 그 탄성고정플랜지는 그 기저부분의 제1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버튼정지(button rest) 구성수단을 구성시켜 제1단부에 대향한 기저부분의 제2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구성되며, 그 버튼정지구성수단에서 그 측면플랜지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평면에 위치한 돌출면(upstanding surface) 구성수단을 포함하며, 그 측면플랜지에 대하여 그 버튼의 에지가 고정할 수 있도록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위 분리형 브래킷.
- 제1항에 있어서, 그 탄성고정플랜지는 그 기저부분의 제1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버튼정지구성수단이 구성되어 제1단부에 대향한 기저부분의 제2단주에서 길이방향으로 구성되며, 그 버튼정지구성수단은 그 기저부분을 포함하는 평면에 경사지게 구성되는 제1 면과, 그 제1 면과 둔각을 구성하는 평면에 위치한 상방향으로 경사진 제2 면을 구성하고, 그 버튼은 제1 면과 제2 면중 적어도 하나에 설정하도록 하나 그 단일체가 외력에 의해 충격을 받을 때 제2 면과 슬라이딩할 수 있게 결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위 분리형 브래킷.
- 제6 항에 있어서, 제2세그멘트의 상부면은 그 기저부분에 경사짐을 특징으로 하는 위 분리형 브래킷.
- 제7 항에 있어서, 그 단일체에는 그 단일체의 측면 각각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돌출버튼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그 장착면에서 상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측면플랜지 각각은 각 버튼지지부재를 받아드리는 구멍을 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그 버튼 지지부재의 상부단부는 그 기저부분에 평행한 버튼 지지면에 종료됨을 특징으로 하는 위 분리형 브래킷.
- 제8 항에 있어서, 다수의 돌출버튼지지부재는 그 단일체의 각 측면(side)에 따라 구성되며, 적어도 한쌍의 버튼지지부재는 그 고정플랜지와 스트래들딩(straddling)을 함을 특징으로 하는 위 분리형 브래킷.
- 그 고정플랜지를 각각 스트래들링(straddling)하는 그 한쌍의 버튼지지부재는 그 버튼정지형성수단과, 그 버튼저부면과 단단히 결착하도록 하는 고정플랜지 부분사이의 영역으로 형성되는 표면 세그멘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위 분리형 브래킷.
- 제1항에 있어서, 그 스프링클립의 측면플랜지가 버튼측면레인과 완전결착을 할 때 그 고정 플랜지의 부분은 그 단일체 부재가 제1경사위치를 그 앞쪽유리에 적합하도록 하며, 그 버튼의 저부면을 단단히 결착하는 위치로 그 고정플랜지의 돌발적인 이동에 의해 그 단일체 부재가 그 버튼상에서 최종적으로 경사지고 완전고성된 제2 위치로 동시에 돌발적인 이동을 함으로써 명백한 감지표시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위 분리형 브래킷.
- 제1항에 있어서, 그 고정프랜지는 그 브랫킷이 그 버튼상에서 만족스럽게 장착될 때 그 버튼의 저부면과 단단히 결착하는 면을 가진 탭(tap)을 구성하는 제1수단과, 그 고정플랜지 에지상에서 스냅핑(snapping)하는 탭에 대응하는 단일 청각 클릭(single audible click)을 발생하는 버튼의 저면과 충돌하는 제2수단을 구성하며, 그 청각클릭은 그 브래킷이 버튼상에 완전고정되는 명백한 감지표시임을 특징으로 하는 위 분리형 브래킷.
- 제13항에 있어서, 제2수단은 그 브래킷이 그 버튼상에 완전고정될 때 그 버튼의 전면에 평행하게 위치되고 결착하는 평편한 면임을 특징으로 하는 위 분리형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84087092A | 1992-02-25 | 1992-02-25 | |
US7/840,870 | 1992-02-25 | ||
PCT/US1993/001889 WO1993016900A1 (en) | 1992-02-25 | 1993-02-19 | Breakaway rearview mirror mounting bracke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194507B1 true KR100194507B1 (ko) | 1999-06-15 |
Family
ID=25283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30703135A KR100194507B1 (ko) | 1992-02-25 | 1993-02-19 | 분리형 백미러 장착브래킷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EP (1) | EP0590111B1 (ko) |
JP (1) | JP2788349B2 (ko) |
KR (1) | KR100194507B1 (ko) |
AU (1) | AU666534B2 (ko) |
BR (1) | BR9304277A (ko) |
CA (1) | CA2106867C (ko) |
DE (1) | DE69309828T2 (ko) |
WO (1) | WO1993016900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09386B1 (ko) * | 2020-02-14 | 2020-05-12 | (주)경덕산업 | 차량 룸미러 고정 브라켓용 인써트 및 브라켓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820097A (en) * | 1997-01-10 | 1998-10-13 | Donnelly Corporation | Breakaway accessory mounting assembly for vehicles and windshield mounted button therefor |
DE10005684B4 (de) * | 2000-02-09 | 2005-06-16 | Leopold Kostal Gmbh & Co Kg | Innenrückblickspiegel für Kraftfahrzeuge |
US6877709B2 (en) | 2000-12-21 | 2005-04-12 | Donnelly Corporation | In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with polymeric components |
JP4713386B2 (ja) | 2006-03-31 | 2011-06-29 | 株式会社村上開明堂 | 車室内アクセサリ保持装置 |
DE102007028162A1 (de) | 2007-06-20 | 2008-12-24 |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 Befestigungseinrichtung für einen Innenrückblickspiegel von Kraftfahrzeugen an einer Innenseite einer Windschutzscheibe |
JP5017048B2 (ja) | 2007-10-12 | 2012-09-05 | 株式会社村上開明堂 | インナーミラーの取付構造 |
CN111727136B (zh) * | 2018-01-31 | 2023-08-22 | 株式会社村上开明堂 | 旋转安装式的挡风玻璃安装型车载装置的安装构造和安装基座 |
WO2021183593A1 (en) * | 2020-03-10 | 2021-09-16 | Gentex Corporation | Ramps for rearview assembly mounts |
DE102023202734A1 (de) * | 2023-03-27 | 2024-10-02 |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 Anordnung und Fahrzeug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131251A (en) * | 1958-06-09 | 1964-04-28 | Libbey Owens Ford Glass Co | Mirror mounting assembly |
US3367616A (en) * | 1965-10-15 | 1968-02-06 | Standard Mirror Co Inc | Support for rear vision mirror |
FR2452402A1 (fr) * | 1979-03-28 | 1980-10-24 | Zipperle Wolfgang | Retroviseur interieur pour vehicules automobiles |
US4254931A (en) * | 1979-06-25 | 1981-03-10 | Standard Mirror Company, Inc. | Rear view mirror mount for interior of automobile |
US4632348A (en) * | 1985-12-12 | 1986-12-30 | General Motors Corporation | Mounting arrangement for a mirror |
DE3700098C2 (de) * | 1987-01-03 | 1995-12-14 | Bernhard Mittelhaeuser | Innenspiegel für Kraftfahrzeuge mit einem auf eine Halterung aufschiebbaren Spiegelfuß |
DE8716620U1 (de) * | 1987-12-17 | 1988-03-17 | Mittelhäuser, Bernhard, 3002 Wedemark | Innenspiegel für Kraftfahrzeuge |
US4936533A (en) * | 1988-11-15 | 1990-06-26 | Donnelly Corporation | Mounting assembly for vehicle accessories |
US5058851A (en) * | 1989-04-14 | 1991-10-22 | Donnelly Mirrors Limited | Mounting assembly for rearview mirror |
JPH0523412Y2 (ko) * | 1989-07-14 | 1993-06-15 |
-
1993
- 1993-02-19 EP EP93906287A patent/EP0590111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3-02-19 JP JP5515125A patent/JP2788349B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3-02-19 CA CA002106867A patent/CA2106867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3-02-19 AU AU37377/93A patent/AU666534B2/en not_active Ceased
- 1993-02-19 WO PCT/US1993/001889 patent/WO1993016900A1/en active IP Right Grant
- 1993-02-19 DE DE69309828T patent/DE69309828T2/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3-02-19 KR KR1019930703135A patent/KR10019450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3-02-19 BR BR9304277A patent/BR9304277A/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09386B1 (ko) * | 2020-02-14 | 2020-05-12 | (주)경덕산업 | 차량 룸미러 고정 브라켓용 인써트 및 브라켓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AU666534B2 (en) | 1996-02-15 |
DE69309828T2 (de) | 1997-12-04 |
EP0590111A1 (en) | 1994-04-06 |
CA2106867C (en) | 1999-07-06 |
JP2788349B2 (ja) | 1998-08-20 |
CA2106867A1 (en) | 1993-08-26 |
JPH06507364A (ja) | 1994-08-25 |
EP0590111B1 (en) | 1997-04-16 |
BR9304277A (pt) | 1994-08-02 |
DE69309828D1 (de) | 1997-05-22 |
WO1993016900A1 (en) | 1993-09-02 |
EP0590111A4 (en) | 1994-07-06 |
AU3737793A (en) | 1993-09-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377948A (en) | Breakaway rearview mirror mounting bracket | |
US4524941A (en) | Rearview mirror support bracket | |
US4254931A (en) | Rear view mirror mount for interior of automobile | |
KR910004515B1 (ko) | 자동차의 조향기둥(Steering Column) 부착구조물 | |
EP0830990B1 (en) | Airbag inflator with snap-on mounting attachment | |
KR100194507B1 (ko) | 분리형 백미러 장착브래킷 | |
EP1058634B1 (en) | Air bag module mechanism and method of mounting an air bag | |
US7096638B2 (en) | Low insertion effort U-base retainer | |
US4850773A (en) | Clip | |
GB2324991A (en) | A breakaway mounting assembly for mounting vehicular accessories on a windshield | |
US6783150B2 (en) | Snap together mounting of an air bag module and a vehicle steering wheel | |
EP1105933B1 (en) | Anti-theft antenna | |
US5788205A (en) | Rearview mirror mount | |
JPH0631327U (ja) | 自動車用電気接続箱の取付構造 | |
JP3353646B2 (ja) | エアバッグ装置の取付構造 | |
JP2599101Y2 (ja) | 接着式ウインドガラスの留め具 | |
KR20220169235A (ko) |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차용 마운팅 클립 | |
KR200146381Y1 (ko) | 트럭의 시트 벨트 연결부 구조 | |
JPH0446991Y2 (ko) | ||
EP1186474A1 (en) | Device for fixing a mirror holder to an adjustment mechanism | |
KR200149688Y1 (ko) | 자동차용 키 리테이너 구조 | |
JP2508784Y2 (ja) | 自動車用車輪のホイ―ルキャップ取付構造 | |
JPH0731561U (ja) |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 |
JPH09193831A (ja) | 自動車用車体構造 | |
JPH10325116A (ja) | 車止め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