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4417B1 -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를 이용한 고정장치 링 볼륨 조절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를 이용한 고정장치 링 볼륨 조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4417B1
KR100194417B1 KR1019960051154A KR19960051154A KR100194417B1 KR 100194417 B1 KR100194417 B1 KR 100194417B1 KR 1019960051154 A KR1019960051154 A KR 1019960051154A KR 19960051154 A KR19960051154 A KR 19960051154A KR 100194417 B1 KR100194417 B1 KR 100194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ring
data
portable device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1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1597A (ko
Inventor
류영무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51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4417B1/ko
Publication of KR19980031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1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4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4417B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를 이용한 고정장치 링 볼륨 조절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종래에는 고정장치의 링 볼륨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슬라이스 스위치 또는 볼륨 조절버튼을 구비하여야 하였으며, 조절된 볼륨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확인 동작이 필요하였다.
다.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휴대장치는 볼륨 레벨을 조절한 후 상기 조절된 볼륨 레벨을 볼륨 데이터로 변환하여 송출하며, 고정장치는 수신된 볼륨 데이터에 따라 볼륨 레벨을 설정한 후 상기 설정된 레벨에 따라 링음을 발생하는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를 이용한 고정장치 링 볼륨 조절방법.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무선전화기.

Description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를 이용한 고정장치 링 볼륨 조절방법
본 발명은 무선전화기를 구성하는 고정장치의 링 볼륨을 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전화기를 구성하는 휴대장치를 이용하여 고정장치에서 발생되는 링 볼륨의 레벨을 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무선전화기를 구성하는 고정장치는 숫자버튼, 기능 조작버튼을 포함하는 키판넬을 구비한 복합형과 스위치 및 버튼을 전혀 구비하지 않는 단순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분되는 고정장치에서 종래 링 볼륨 조절은 상기 복합형 고정장치에서는 슬라이드 스위치 또는 볼륨 조절버튼을 이용하여 링 볼륨을 조절하였으며. 상기 단순형 고정장치에서는 제품 출하시 설정된 링 볼륨을 사용하였다. 또한, 종래에는 조절된 볼륨은 링 착신시에 확인이 가능하거나 별도의 확인 동작이 필요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고정장치의 링 볼륨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슬라이스 스위치 또는 볼륨 조절버튼을 구비하여야 하였으며, 조절된 볼륨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확인 동작이 필요한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장치의 볼륨을 휴대장치를 이용하여 조절한 후 조절된 볼륨을 확인 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 블록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 블록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장치의 제어 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장치의 제어 흐름도.
제5a도와 제5b는 제3도 수행에 따라 휴대장치의 표시창에 표시된 볼륨 레벨표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화기를 구성하는 단순형 고정장치의 구성을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110)는 메모리(122)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무선전화기의 통화기능을 포함하는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반적 동작을 제어한다. 통화회로부(112)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아 전화라인으로 송, 수신되는 톤신호 통화 음성신호 등을 인터페이싱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아 각 부를 스위칭 연결한다. 훅크릴레이(130)는 송수화기의 들림에 의해 스위칭되며, 상기통화회로부(112)와 전화라인간에 통화루프를 형성하거나 차단한다. RF부(114)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아 휴대장치와의 채널을 형성하며, 형성된 채널을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링검출부(120)는 전화라인을 통해 착신되는 링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110)에 링 감지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메모리(118)는 제어 프로그램과 상기 무선전화기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톤검출부(116)는 수신되는 각종 톤신호를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상기 제어부(110)에 제공한다. 스피커(122)는 공중전화망을 통해 수신되는 전기적 음성신호 또는 휴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전기적 음성신호를 가청음으로 출력한다. 마이크(124)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전기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링음발생부(126)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아 설정된 볼륨 레벨의 크기로 링음을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화기를 구성하는 휴대장치의 구성을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210)는 메모리(222)의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휴대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RF부(212)는 상기 제어부(210)의 제어를 받아 고정장치와의 채널을 형성하며, 형성된 채널을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메모리(222)는 제어 프로그램과 상기 휴대장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표시부(220)는 상기 제어부(210)의 제어를 받아 고정장치의 링 볼륨 레벨을 표시하는 등 휴대장치의 현재 동작상태를 표시한다. 키입력부(218)는 사용자의 키 눌림에 따른 휴대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키 명령어 및 키 데이터를 발생한다. 상기 키입력부(218)는 고정장치의 볼륨 조절을 요구하는 링 볼륨 설정 버튼과 링 볼륨을 조절하는 업(up), 다운(down) 버튼을 구비한다. 송신부(214)는 상기 제어부(210)의 제어를 받아 상기 RF부(212)를 통해 송신할 음성신호 및 각종 데이터를 처리한다. 수신부(216)는 상기 제어부(210)의 제어를 받아 상기 RF부(212)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 및 각종 데이터를 처리한다. 스피커(226)는 수신되는 전기적 음성신호를 가청음으로 출력한다. 마이크(224)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휴대장치에서 수행되는 고정장치의 링 볼륨 조절과정을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링 볼륨 설정 요구가 있으면 현재 설정된 고정장치의 링 볼륨 레벨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링 볼륨을 조절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설정 요구가 있으면 상기 표시된 볼륨 레벨을 데이터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제3도에 따라 고정장치에서 링 볼륨을 조절하는 과정을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휴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볼륨데이타의 레벨로 조절하여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볼륨 레벨로 링음을 발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제3도 수행에 따라 조절된 볼륨 레벨을 막대(510)로 휴대장치의 표시창에 표시된 일 예를 제5a도에 보여 주고 있다. 상술한 제3도 수행에 따라 조절된 볼륨 레벨을 숫자(512)로 휴대장치의 표시창에 표시된 일 예를 제5b도에 보여 주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장치의 링 볼륨을 조절하기 위해 휴대장치의 제어과정과, 고정장치의 제어과정을 제3도와 제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휴대장치의 제어부(220)는 310단계에서 고정장치의 링 볼륨 조절을 요구하는 버튼이 키입력부(218)로부터 입력되는 가를 감지한다. 상기 링 볼륨 설정버튼의 입력이 감지되면 31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어부(210)는 표시부(220)를 제어하여 현재 고정장치에 설정된 링 볼륨 레벨을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210)는 현재 설정된 링 볼륨을 표시한 후 314단계와 316단계에서 상기 표시된 링 볼륨 레벨에 응답하여 볼륨 조절버튼이 상기 키입력부(218)로부터 입력되는 가를 감지한다. 상기 볼륨 조절버튼은 링 볼륨 레벨을 키우기 위한 업 버튼과, 링 볼륨 레벨을 작게 하기 위한 다운 버튼으로 구성된다.
상기 314단계에서 업 버튼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210)는 320단계로 진행하여 볼륨 레벨을 한 스텝 올려 상기 표시부(220)에 표시한다. 한편, 상기 316단계에서 다운(dwon) 버튼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210)는 318단계로 진행하여 볼륨 레벨을 한 스텝 내려 상기 표시부(220)에 표시한다. 예컨대 상기 314단계 또는 316단계에서 조절된 볼륨 레벨이 5 스템인 경우 318단계 또는 320단계에서는 제5a도 또는 제5b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220)에 표시한다. 상기 제5a도는 볼륨레벨을 표시막대(510)로 표시한 일 실시 예이며, 제5b도는 볼륨 레벨을 숫자로 표시한 다른 실시 예이다. 실질적으로 볼륨 레벨이 조절되는 동작은 상술한 314단계, 316단계, 318단계 및 320단계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210)는 볼륨 레벨의 조절이 이루어진 후 322단계에서 상기 조절된 볼륨 레벨의 설정을 요구하는 버튼이 상기 키입력부(218)로부터 입력되는 가를 감지한다. 상기 설정 요구가 없으면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314단계로 리턴하여 볼륨 조절을 계속 수행한다. 상기 322단계에서 설정 요구에 해당하는 버튼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210)는 324단계로 진행하여 설정된 볼륨 레벨을 무선 통신을 위한 볼륨 데이터로 변환하여 RF부(212)를 통해 송출한다.
상기 RF부(212)를 통해 송출된 볼륨 데이터는 고정장치의 RF부(114)에 수신된다. 고정장치의 제어부(110)는 410단계에서 볼륨 데이터의 수신이 감지되면 412단계로 진행하여 링 볼륨 레벨을 수신된 볼륨 데이터에 설정된 볼륨 레벨로 조정하여 설정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링 볼륨이 상기 조정된 볼륨 레벨로 조정하여 설정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링 볼륨이 상기 조정된 볼륨 레벨로 설정되면 414단계로 진행하여 볼륨 데이터의 수신을 확인하는 확인 데이터를 상기 RF부(114)를 통해 송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확인 데이터를 송출한 후 416단계에서 사용자가 설정된 링 볼륨을 확인 할 수 있도록 링음발생부(216)를 제어하여 상기412단계에서 설정된 볼륨 레벨로 링음을 발생한다.
한편, 상기 송출된 확인 데이터는 휴대장치의 RF부(212)를 통해 수신된다. 휴대장치의 제어부(210)는 상기 확인 데이터의 수신이 326단계에서 감지되면 328단계로 진행하여 고정장치의 링 볼륨 조절과정을 종료하고 대기상태로 전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정장치의 링 볼륨을 휴대장치에서 조절하도록 하여 고정장치를 간소화 할 수 있으며, 조절된 링을 신속히 확인 할 수 있는 효과같다.

Claims (4)

  1. 일정한 규정에 의해 무선 통신하는 고정장치와 휴대장치로 구성된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를 이용한 고정장치의 링 볼륨을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장치에 구비된 버튼을 이용하여 볼륨 레벨을 조절한 후 상기 조절된 볼륨 레벨을 무선 통신을 위한 볼륨 데이터로 변화하여 상기 고정장치로 송출하는 링 볼륨 조절과정과, 상기 볼륨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고정장치는 수신된 볼륨 데이터에 설정된 볼륨 레벨로 링 볼륨을 설정한 후 상기 설정된 레벨에 따라 링음을 발생하는 링 볼륨 확인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를 이용한 고정장치 링 볼륨 조절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2과정은, 상기 볼륨 데이터가 수신되면 확인 데이터를 상기 휴대장치로 송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를 이용한 고정장치 링 볼륨 조절방법.
  3. 일정한 규정에 의해 무선 통신하는 고정장치와 휴대장치로 구성된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를 이용한 고정장치의 링 볼륨을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링 볼륨 설정 요구가 있으면 상기 고정장치의 현재 링 볼륨레벨을 표시하는 제1과정과, 상기 표시된 볼륨 레벨을 볼륨 조절버튼의 입력에 따라 조절하여 상기 조절된 볼륨 레벨을 표시하는 제2과정과, 사용자에 의한 설정 요구가 있으면 상기 표시된 볼륨 레벨을 무선 통신을 위한 볼륨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고정장치로 송출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를 이용한 고정장치 링 볼륨 조절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제3과정에 의해 송출된 볼륨 데이터가 수신되면 확인데이터를 송출한 후 상기 수신된 볼륨 데이터에 대응되는 볼륨 레벨의 링음을 발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를 이용한 고정장치 링 볼륨 조절방법.
KR1019960051154A 1996-10-31 1996-10-31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를 이용한 고정장치 링 볼륨 조절방법 KR100194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1154A KR100194417B1 (ko) 1996-10-31 1996-10-31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를 이용한 고정장치 링 볼륨 조절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1154A KR100194417B1 (ko) 1996-10-31 1996-10-31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를 이용한 고정장치 링 볼륨 조절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597A KR19980031597A (ko) 1998-07-25
KR100194417B1 true KR100194417B1 (ko) 1999-06-15

Family

ID=66519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1154A KR100194417B1 (ko) 1996-10-31 1996-10-31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를 이용한 고정장치 링 볼륨 조절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441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597A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96450B2 (ja) 携帯無線電話装置
JPH06315005A (ja) 無線電話装置
JP2002094619A (ja) 補聴器、携帯情報端末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100194417B1 (ko)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를 이용한 고정장치 링 볼륨 조절방법
JP3062836B2 (ja) 無線電話装置
JPH0482331A (ja) 携帯電話機
KR10081928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 및 단축키를 이용한 모드 전환 방법
JPH09107328A (ja) コードレスボタン電話システム
JPH08163209A (ja) 携帯無線装置
JP3097137B2 (ja) 携帯通信端末
KR100241896B1 (ko)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 이용 톤/펄스 전환방법.
KR0175587B1 (ko) 휴대장치에서 현재시간 표시 가능한 무선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781759B2 (ja) 無線電話装置
KR960003104B1 (ko) 키폰시스템의 착신 호 연결 방법
JPH08163627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KR0148466B1 (ko) 무선전화기에서 고정장치의 스피커폰을 이용하여 통화형성하는 방법
KR100241779B1 (ko) 씨티-2 단말기에서 직접통화 서비스 접속방법
KR100251727B1 (ko) 차세대 디지탈 무선 전화기에서 통화 실패 원인 표시 방법
KR10049500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고정장치
KR100480255B1 (ko) 마이크를 가지는 키폰전화기를 구비하는 키폰시스템에서룸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0326728B1 (ko) 통신채널이 절체되는 무선휴대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329631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송/수신제어장치
KR20000041982A (ko) 이동전화에서의 음성인식에 의한 텔레비전 리모콘 기능 구현 방법
KR19980046093A (ko)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간 내선통화방법
KR980013040A (ko) 휴대장치에서 현재시간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무선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