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4314B1 - 코아 적층용 금형 및 코아 적층방법 - Google Patents

코아 적층용 금형 및 코아 적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4314B1
KR100194314B1 KR1019960033734A KR19960033734A KR100194314B1 KR 100194314 B1 KR100194314 B1 KR 100194314B1 KR 1019960033734 A KR1019960033734 A KR 1019960033734A KR 19960033734 A KR19960033734 A KR 19960033734A KR 100194314 B1 KR100194314 B1 KR 100194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core
steel sheet
silicon steel
co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3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4651A (ko
Inventor
김명득
Original Assignee
김명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득 filed Critical 김명득
Priority to KR1019960033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4314B1/ko
Publication of KR19980014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4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4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4314B1/ko

Links

Landscapes

  • Manufacturing Cores, Coils, And Magn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아 적층용 금형 및 코아 적층방법에 관한 것으로, 연속적으로 피이딩되는 박판의 규소강판재를 이용해 E형, I형 코아를 성형하는 코아 적층용 금형에 있어서, 다이 상면 일측에 단차로 형성되며, 상기 규소강판재에 I형 코아가 블랭킹되어 서로 대칭되게 새겨진 E형 코아부위가 안착되는 제1 및 제2 안착부와, 펀치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안착부상에 피이딩되는 상기 규소강판재로부터 복수개의 E형 코아를 동시에 절단성형하는 복수개의 E형 커팅펀치와, 상기 복수개의 E형 커팅펀치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안착부에 안착되는 E형 코아를 연속적으로 누적시켜 상기 펀치에 적층시키는 E형 코아적층 가이드부를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코아 적층용 금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코아 적층용 금형 및 코아 적층방법
본 발명은 코아 적층용 금형 및 코아 적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규소강판의 박판재를 사용해 트랜스포머코아, 조명등코아, 등기구코아, 모터코아 등에 내장되는 E형, I형 코아를 성형시 스크랩(SCRAP)없이 E형, I형 코아의 적층이 가능하며, 후속공정 없이 낱장의 코아를 소정매수로서 적층시킬 수 있도록 한 코아 적층용 금형 및 코아 적층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 의한 금형을 이용해 E형, I형 코아를 성형함을 나타낸 도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펀치(1) 저면 일측에 대향되게 형성된 I형 코아(2)가 공용 I자형 가압편(3)과 이에 대응되게 다이(4) 상면 일측에 형성된 요홈(5)에 의해 연속적으로 피이딩(FEEDING)되는 박판의 규소강판재(6)에 블랙킹홀(7)이 길이 방향으로 천공되며, 이때 성형되는 I형 코아(2)는 요홈(5)을 통해 다이(4) 하방으로 이동되어져 소정위치에 안착되어진다. 펀치(1) 저면 타측에 형성된 E형 커팅펀치(8)와 이와 대응되게 다이(4) 상면에 형성된 절단홈(9)에 의해 블랙킹홀(7)이 천공된 규소강판재(6) 소정위치를 절단함에 따라 2개의 E형 코아가 동시에 성형되는 것이며, 즉, 전방측 E형 코아(10)는 미도시된 가이드를 통해 다이(4) 전방측으로 이동되며, 이와 동시에 후방측 E형 코아(11)는 절단홈(9)을 통해 다이(4) 하방으로 이동되어져 소정위치에 안착되어진다.
그러나, 규소강판재(6)로부터 절단성형되어 다이(4)의 요홈(5)을 통해 다이(4) 하방으로 이동되는 I형 코아(2)와, 펀치(1)의 E형 커팅펀치(8)에 의해 절단성형되는 E형 코아(10)을 각각 소정매수로서 증착하기 위해서는, 이들을 규소강판재(6)로부터 절단성형후 아르곤 용접작업 등의 추후공정이 필요하게 됨에 따라 작업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또한, 규소강판재(6)로부터 절단성형되어 누적되는 I형 코아(2)와 E형 코아(11)를 증착하는 경우 값비싼 규소강판재(6)의 일부가 스크랩으로 버려져 손실됨에 따라 원가비용이 상승되며, 이로인해 E형, I형 코아가 내장되는 제품의 경쟁력이 약화되는 문제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규소강판재로부터 E형, I형 코아를 절단성형후 적층시 발생되는 스크랩으로 인해 규소강판재의 손실됨을 방지하여 원가비용을 낮출 수 있도록 한 코아 적층용 금형 및 코아 적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E형, I형 코아를 절단성형후 소정매수로서 증착하는 별도의 후속 작업공정이 불필요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코아 적층용 금형 및 코아 적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기술에 의한 금형을 이용하여 E형, I형 코아를 성형하는 개략적인 분리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해 E형, I형 코아를 성형하는 금형의 개략적인 분리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해 적층된 상태의 E형 코아의 개략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해 적층되는 E형, I형 코아의 성형 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펀치 101 : 규소강판재
102 : 적층용 가압봉 103 : 블랭킹 홀
104 : I형 코아 105 : I형 펀치
106 : E형 코아 107, 108 : E형 커팅펀치
109 : E형 코아 적층가이드 109A : E형 코아 적층부
110 : 실린더 및 솔레노이드 장치 111 : 다이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연속적으로 피이딩되는 박판의 규소강판재를 이용해 E형, I형 코아를 성형하는 코아 적층용 금형에 있어서, 다이 상면 일측에 단차로 형성되며, 상기 규소강판재에 I형 코아가 블랙킹되어 서로 대칭되게 새겨진 E형 코아부위가 안착되는 제1 및 제2 안착부와, 펀치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안착부에 피이딩되는 상기 규소강판재로부터 복수개의 E형 코아를 동시에 절단성형하는 복수개의 E형 커팅펀치와, 상기 복수개의 E형 커팅펀치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안착부에 안착되는 E형 코아를 연속적으로 누적시켜 상기 펀치에 적층시키는 E형 코아적층 가이드부를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코아 적층용 금형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I형 코아가 절단되어 블랙킹홀이 형성된 규소강판재의 소정위치를 절단함에 따라 성형되는 E형 코아를 적층시키는 코아 적층방법에 있어서, 상기 규소강판재가 다이 소정위치에 안착되어 펀치의 E형 커팅펀치에 의해 성형되는 복수개의 E형 코아중 하나의 E형 코아를 다이 상면에 안착시키는 제1단계, 상기 다이 상면에 안착된 E형 코아를 펀치의 하강 동작시 E형 코아 적층 가이드에 순차적으로 누적시켜 적층시키는 제2단계, 상기 E형 코아 적층 가이드에 소정매수로서 적층완료된 E형 코어의 셋트를 E형 코아 적층 가이드로부터 이탈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아 적층방법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형, I형 코아를 성형하는 금형의 개략적인 분리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의해 적층된 상태의 E형 코아의 개략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 의해 적층되는 E형, I형 코아의 성형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펀치(100) 저면 일측에 박판의 규소강판재(101)에 피어싱(PIERCING) 부(P)를 성형하는 절단날이 각각 형성된 수개의 적층용 가압봉(102)이 배치되며, 적층용 가압봉(102) 일측으로 규소강판재(101)로부터 I형 코아(104)를 성형함에 따라 규소강판재(101)에 블랙킹홀(103)을 천공하는 I자형 가압편(105)이 대향되게 형성되며, 가압편(105) 일측으로 블랙킹홀(103)이 천공된 규소강판재(101) 소정위치를 절단함에 따라 복수개의 E형 코아(106)를 성형하는 E형 커팅펀치(107)(108)가 대향되게 형성되며, 이들 E형 커팅펀치(107)(108) 사이에 복수개의 E형 코아(106)중 하나를 순서적으로 누적시켜 소정매수로서 적층하는 E형 코아 적층 가이드(109)가 대향되게 형성된다. E형 코아 적층 가이드(109) 일측에 E형 코아 적층 가이드(109)에 E형 코아(106)의 적층완료됨을 감지하는 미도시된 센서에 연결되어 신장시 적층완료된 E형 코아(106)의 셋트를 E형 코아 적층 가이드(109)로부터 이탈시키는 공압실린더(110)가 설치된다.
다이(111) 상면 일측에 펀치(100)의 적층용 가압봉(102)과 대응되는 다수의 요홈(112)이 형성되며, 요홈(112)일측으로 펀치(100)의 가압편(105)과 대응되는 절단홈(113)이 형성되며, 절단홈(113)일측으로 블랙킹홀(103)이 천공되어 E형 코아 형상이 대칭으로 새겨진 규소강판재(101)의 소정위치가 안착될 때 펀치(100)의 E형 커팅펀치(107)(108) 하강에 의해 규소강판재(101)로부터 복수개의 E형 코아(106)를 성형하는 단차 형상의 제1 및 제2 안착부(114)(115)가 형성되며, 제1 안착부(114)와 접하게 펀치(100)의 E형 커팅펀치(107) 하강시 연동되는 지지판(116)이 탄설된다.
미설명부호 111A는 다이(111)상에 피이딩되는 규소강판재(101)의 이동됨을 방지하는 스토퍼이며, 111B는 규소강판재(101)에 형성된 피어싱부(P)가 E형 코아(106) 절단시 펴지는 것을 방지하는 요홈이며, 114A는 펀치(100)의 E형 커팅펀치(107)(108)에 의해 E형 코아(106) 절단시 E형 코아 적층 가이드(109)가 삽입되는 요홈이며, 109A는 규소강판재(101)로부터 절단성형되는 E형 코아(106)가 적층되는 공간부이다.
위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금형을 이용해 E형, I형 코아의 성형 및 적층방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소정두께(통상적으로 0.5㎜ 또는 0.3-0.35㎜임)의 규소강판재(101)가 다이(111)상에 피이딩됨에 따라 펀치(100) 저면에 형성된 다수의 적층용 가압봉(102)과 이와 대응되게 다이(111) 상면에 형성된 요홈(112)에 의해 규소강판재(101)에 피어싱부(P)가 성형되며, 규소강판재(101)의 이동으로 펀치(100)의 가압편(105)과 다이(111)의 절단홈(113)에 의해 규소강판재(101)로부터 I형 코아(104)가 성형되며, 이로인해 규소강판재(101)에 블랙킹홀(103)이 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규소강판재(101)에 대칭으로 형성된 E형코아 형상부가 다이(111)의 제1 및 제2 안착부(114)(115)상에 안착되며, 펀치(100)의 E형 커팅펀치(107)(108) 하강에 의해 규소강판재(101)의 소정위치를 절단함에 따라 복수개의 E형 코아(106)가 동시에 성형되는 것이다.
이때, 절단 성형완료된 복수개의 E형 코아(106) 중 다이(111)의 제1 안착부(114)상에 안착되어지는 후방측 E형 코아(106A)는 펀치(100)의 하강시 이의 E형 코아 적층 가이드(109)에 누적되어지며, E형 코아(106) 중 전방측 E형 코아(106B)는 제2 안착부(115)에 누적되어진다.
따라서, 펀치(100)의 E형 코아 적층 가이드(109)에 E형 코아(106A)가 연속적으로 누적됨에 따라 소정매수로서 적층형성되는 것이며, 이때, E형 코아(106A)는 이의 상면 가장자리에 형성된 수개의 피어싱부(P)에 의해 연속적으로 적층시 유동됨이 없이 적층되어지는 것이다.(도3에 도시됨)
한편, E형 코아 적층 가이드(109)에 E형 코아(106A)가 누적되어 소정매수로서 단위셋트를 형성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는 센서와 연결되며 E형 코아 적층 가이드(109)일측에 형성된 실린더(110) 신장으로 셋트로 적층된 E형 코아가 E형 코아 적층 가이드(109)로부터 이탈되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코아 적층용 금형 및 코아 적층방법은, 박판의 규소강판재로부터 성형되는 E형, I형 코아를 적층시 스크랩으로 인해 버려지는 고가의 규소강판재의 손실됨을 방지함에 따라 E형, I형 코아가 내장되는 제품의 원가비용을 낮추며, 규소강판재로부터 성형되는 E형, I형 코아를 적층하기 위한 별도의 후속공정작업이 불필요해 작업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Claims (2)

  1. 연속적으로 피이딩되는 박판의 규소강판재를 이용해 E형, I형 코아를 성형하는 코아 적층용 금형에 있어서, 다이 상면 일측에 단차로 형성되며, 상기 규소강판재에 I형 코아가 블랭킹되어 서로 대칭되게 새겨진 E형 코아부위가 안착되는 제1 및 제2 안착부와, 펀치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안착부상에 피이딩되는 상기 규소강판재로부터 복수개의 E형 코아를 동시에 절단성형하는 복수개의 E형 커팅펀치와, 상기 복수개의 E형 커팅펀치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안착부에 안착되는 E형 코아를 연속적으로 누적시켜 상기 펀치에 적층시키는 E형 코아적층 가이드부를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코아 적층용 금형.
  2. I형 코아가 절단되어 블랙킹홀이 형성된 규소강판재의 소정위치를 절단함에 따라 성형되는 E형 코아를 적층시키는 코아 적층방법에 있어서, 상기 규소강판재가 다이 소정위치에 안착되어 펀치의 E형 커팅펀치에 의해 성형되는 복수개의 E형 코아중 하나의 E형 코아를 다이 상면에 안착시키는 제1단계, 상기 다이 상면에 안착된 E형 코아를 펀치의 하강 동작시 E형 코아 적층부에 순차적으로 누적시켜 적층시키는 제2단계, 상기 E형 코아 적층부에 소정매수로서 적층완료된 E형 코어의 셋트를 E형 코아 적층부로부터 이탈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아 적층방법.
KR1019960033734A 1996-08-14 1996-08-14 코아 적층용 금형 및 코아 적층방법 KR100194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3734A KR100194314B1 (ko) 1996-08-14 1996-08-14 코아 적층용 금형 및 코아 적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3734A KR100194314B1 (ko) 1996-08-14 1996-08-14 코아 적층용 금형 및 코아 적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651A KR19980014651A (ko) 1998-05-25
KR100194314B1 true KR100194314B1 (ko) 1999-06-15

Family

ID=66251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3734A KR100194314B1 (ko) 1996-08-14 1996-08-14 코아 적층용 금형 및 코아 적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43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308A (ko) * 2002-10-24 2004-04-30 김명득 코어 철심의 제조방법 및 적층구조
KR100669989B1 (ko) * 2005-03-31 2007-01-17 김명대 코어철심 성형용 금형 및 코어철심 성형방법
KR100972732B1 (ko) * 2008-05-09 2010-07-27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코어 적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651A (ko) 199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0312B2 (en) Die assembly for manufacturing lamina stacks that include formed features
KR100194314B1 (ko) 코아 적층용 금형 및 코아 적층방법
JP2001300653A (ja) 打ち抜き金型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部品の製造方法
US7739780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using a die to produce a machined part
JPH0375247B2 (ko)
JP6422607B1 (ja) インサート加工方法およびインサート加工装置
JP4797455B2 (ja) プレス順送金型装置およびモータ又はイグニッション用のコア
KR200387589Y1 (ko) 코어철심 성형,적층용 금형
KR101875524B1 (ko) 펜슬코어 제조장치
KR19980066503A (ko) 모터용 코어의 금형 및 그 제조방법
JPH0366415A (ja) 曲げ型装置
KR102321345B1 (ko) 좁은 홀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1919548B1 (ko) 블랭크패널 분리장치
US7032293B2 (en) Process for producing bundles of laminated sheet metal for magnet cores
KR920008572B1 (ko) 성형금형
KR950008388B1 (ko) 발전기스테이터코어의 제조방법
CN214556639U (zh) 一种自制倒钩斜楔冲孔机构
JPS62282731A (ja) 絞り成形型装置
CN218982877U (zh) Ip安装支架落料冲孔成型侧翻边冲孔侧冲孔连续模具
JP2008062272A (ja) 積層体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JPH0522346Y2 (ko)
KR890009041Y1 (ko) 밴딩 및 해밍가공용 복합금형
KR100669989B1 (ko) 코어철심 성형용 금형 및 코어철심 성형방법
JP2002178061A (ja) 積層成形型
KR20000043504A (ko) 선별 포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