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4185B1 - 다수의 트랩 주파수를 가진 트랩회로용 압전 공진기 - Google Patents

다수의 트랩 주파수를 가진 트랩회로용 압전 공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4185B1
KR100194185B1 KR1019950004657A KR19950004657A KR100194185B1 KR 100194185 B1 KR100194185 B1 KR 100194185B1 KR 1019950004657 A KR1019950004657 A KR 1019950004657A KR 19950004657 A KR19950004657 A KR 19950004657A KR 100194185 B1 KR100194185 B1 KR 100194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zoelectric
fingers
trap
pair
electr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4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5056A (ko
Inventor
미찌꼬 카도타
쥰야 아고
카즈히꼬 모로즈미
Original Assignee
무라타 야스타까
무라타 매뉴팩쳐링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34415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19155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67427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254892B2/ja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야스타까, 무라타 매뉴팩쳐링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타 야스타까
Publication of KR950035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5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4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41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125Driving means, e.g. electrodes, coils
    • H03H9/145Driving means, e.g. electrodes, coils for networks using surface acoustic waves
    • H03H9/14517Means for weighting
    • H03H9/1452Means for weighting by finger overlap length, apodis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02535Details of surface acoustic wave devices
    • H03H9/02637Details concerning reflective or coupling arrays
    • H03H9/02669Edge reflection structures, i.e. resonating structures without metallic reflectors, e.g. Bleustein-Gulyaev-Shimizu [BGS], shear horizontal [SH], shear transverse [ST], Love waves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125Driving means, e.g. electrodes, coils
    • H03H9/145Driving means, e.g. electrodes, coils for networks using surface acoustic waves
    • H03H9/14517Means for weighting
    • H03H9/14526Finger withdrawa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46Filters
    • H03H9/64Filters using surface acoustic waves
    • H03H9/6423Means for obtaining a particular transfer characteristic
    • H03H9/6433Coupled resonator filters
    • H03H9/644Coupled resonator filters having two acoustic tracks
    • H03H9/6456Coupled resonator filters having two acoustic tracks being electrically coupled
    • H03H9/6459Coupled resonator filters having two acoustic tracks being electrically coupled via one connecting electrode
    • H03H9/6463Coupled resonator filters having two acoustic tracks being electrically coupled via one connecting electrode the tracks being electrically cascad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urface Acoustic Wave Elements And Circuit Networks Thereof (AREA)

Abstract

SH 형 표면파를 사용하는 단일칩 압전공진기는 압전기판위에 형성된 인터 디지털 변환기를 가진다. 인터디지털 변환기는, 예를들어 서로쪽으로 내뻗는 상호 맞얽힌 핑거를 가지는 한쌍의 딘-아우트 빗살형 전극을 사용함으로서, 두개 또는 다수의 공진특성을 가지도록 설계된다. 그러한 인터디지털 변환기는 변화된 그들의 상호 포인팅 핑거(pointing finger)의 길이를 가진 한쌍의 빗살형 전극을 사용함으로써 또한 형성될 수 있다. 충분히 분리된 두개의 트랩주파수와 이들 두개의 트랩주파수에서 개선된 감쇠특성을 가지는 트랩회로는 두개의 공진특성을 가지는 각각 두개의 공진장치를 제공하기 위해서 단일 압전기판위에 앞서 기술된 종류의 두개의 인터디지털 변환기를 사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앞서 기술된 종류의 두개의 압전공진기는 두개의 공진특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평행하게 접속될 수 있다. 감쇠특성은 인터디지털 변환기 사이에 연결된 인덕터 및/또는 인터디지털 변환기중의 하나인 신호수신단자와 신호가 트랩회로에 수신되기 위한 입력단자 사이에 다른 인덕터를 삽입함으로써 더 개선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수의 트랩 주파수를 가진 트랩회로용 압전 공진기
제1도는 두개의 트랩을 가진 트랩회로의 감쇠-주파수 특성을 도시한 도면.
제2도는 자유-에지(free-edge) 표면반사를 활용한 종래 기술의 BGS 파 공진기의 사시도.
제3a도 및 제3b도는 제2도에 도시된 표면파의 감쇠-주파수 및 임피던스-주파수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전 공진기의 평면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압전 공진기의 사시도.
제6도는 제4 및 5도에서 도시된 압전 공진기의 감쇠-주파수 특성에 대한 그래프.
제7도는 제4 및 5도에 도시된 압전 공진기의 임피던스-주파수 특성에 대한 그래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압전 공진기의 평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압전 공진기에 대한 평면도.
제10도는 개선된 감쇠특성을 가지는 트랩회로를 형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압전 공진기에 대한 평면도.
제11도는 제10도에서 도시된 압전 공진기를 사용한 트랩 회로에 대한 회로도.
제12도는 제11도에서 도시된 트랩 회로의 감쇠-주파수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
제13도는 제10도에서 도시된 압전 공진기를 사용한 다른 트랩 회로에 대한 회로도.
제14도는 제13도에 도시된 트랩 회로의 감쇠-주파수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
제15도는 제10도에 도시된 압전 공진기를 사용한 또 다른 트랩 회로에 대한 회로도.
제16도는 제15도에 도시된 트랩 회로의 감쇠-주파수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BGS 파 공진기 2 : 압전기판
2a : 상부기판 p : 분극방향
11, 58, 59 : 압전 공진기 12, 52 : 압전 기판
13, 14 : 빗살형 전극 13a-13d, 14a-14i : 전극핑거
15 : 인터디지털 변환기 21 : 다른 압전 공진기
25 : IDT 53 : 제1 IDT
54 : 제2 IDT 55 : 제1접속기
50 : 공통 접속기 전극 57 : 제2접속기 전극
61-64 : 저항기 65 : 인덕터
본 발명은 SH형 표면파를 사용한 압전 공진기, 특히 다수의 공진 특성을 가진 압전 공진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SH형 표면파를 사용한 압전 공진기를 포함한 트랩회로에 관한 것이며, 특히 다수의 트랩 주파수 뿐만아니라 개선된 감쇠 특성을 가진 트랩회로에 관한 것이다.
제1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특성을 가진 트랩회로는 인접 채널 사이의 혼선 때문에 발생한 맥놀이(beat)를 막기 위해서, 텔레비전 비디오 수신기 및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상에서 중간 화상 주파수 구간에 대해 사용된다. 바꾸어 말하면, 신호는 인접 채널 화상 반송파 주파수(fap) 및 인접 채널 음향 반송파 주파수(fap)(미합중국의 국제텔레비전 시스템 위원회(NTSC)에 따라 각각 39.75MHZ 및 47.25MHZ)에서 충분히 감쇠되야 한다.
이와같은 트랩 특성을 얻기 위해서, 인접 채널 화상 반송파 주파수(fap) 및 인접 채널 음향 반송파 주파수(fap)에서 각각 감쇠 극점을 가지는 두개의 트랩을 통상적으로 이용하며, 각각의 트랩은 LC 공진회로 또는 압전 공진기에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사용된 압전 공진기로서, BGS(Bleustein-Gulyaev-Shimizu)파와 같은 SH형 표면파를 사용하는 압전 공진기에 주의가 집중되고 있다. 제2도는 프리에지(free-edge) 표면반사를 활용하며, 지르콘 티탄산 납계 압전 세라믹, 또는 LiNbO3또는 LiTaO3의 압전 단결정체로 이루어지며, 사각형 평면모양을 가지는 압전 물질의 압전기판(2)을 포함하는, BGS 파 공진기(1)를 도시한다. 만일 그것이 압전 세라믹 물질로 만들어진다면, 그것은 화살표(P)의 방향으로 분극처리된다. 서로에 대해 맞물리게 뻗는 다수의 핑거(3a)-(3c) 및 (4a)-(4c)를 각각 가지는 한쌍의 빗살형 전극(3) 및 (4)은 인터디지털(interdigital) 변환기 역활을 하기 위하여 압전기판(2)의 상부 표면위에 형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프리에지 표면 반사형을 활용한 BGS 파 공진기에 있어서, BGS파는 AC 전압이 빗살형 전극(3) 및 (4)에 인가되는 경우에 여기된다. BGS 파는 화살표(X)에 의하여 도시된 방향으로 전파되고 압전기판(2)의 단부표면에 의하여 반사된다. 만일 인터디지털 변환기에 의해 결정된 주파수 스펙트럼 및 단부 표면 사이의 크기에 의해 결정된 주파수 스펙트럼이 정합된다면, 표면파공진기(1)에서 유용한 공진특성을 얻을 수 있다. 제3a도는 이 단부 표면 반사형 표면파 공진기의 감쇠-주파수 특성을 도시하며, 제3b도는 그것의 임피던스-주파수 특성을 도시한다. 제3a도 및 제3b도는 종래 기술인 LC 공진회로 및 다른 종류의 압전공진기 처럼, 제2도에 도시된 단부 표면 반사형 표면파 공진기가 단일 공진 특성을 가지는 것을 명확하게 도시한다.
결과적으로, 제1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트랩 특성을 얻기 위해서 두개의 공진회로 또는 압전 공진기를 제공하여 연결하는 것이 필요하나, 비록 두개의 공진회로 또는 압전 공진기가 동시에 연결될지라도, 감쇠는 각각의 트랩 주파수에서 충분하지 않다.
레일레이(Rayleigh)파를 사용하며 두개의 공진 특성을 가지는 단일 표면 음향파 공진기가 알려져 있다. 예를들어, Kanada, 등(Kokusai Denki Giho, No. 16, pages 7-7(1992))은 영차 수직 모드(기본 모드) 및 이차 수직 모드를 사용하는 이중 모드 공진기로서 적합한, 레일레이파를 사용하는 표면파 공진 필터를 개시한다. 그러나, 두개의 공진 특성을 얻기 위해서, 이 이중모드 공진기는 두개의 이상의 인터디지털 변환기 및 하나의 이상의 반사기를 필요로 한다. 그것의 공진 특성은 반사기의 반사-주파수 특성에 의해 결정되나, 그 반사가 좁은 주파수 범위에서만 크기 때문에 두 개의 공진 주파수간의 거리는 1MHz 이하이다. 바꾸어말하면, 제1도에서 도시된 것과 같은 특성을 가진 트랩필터는 상기 이중모드 공진기만으로 형성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 칩에 의해서 다수의 감쇠 극점을 제공할 수 있는 SH형 표면파를 사용하는 압전 공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트랩 주파수에서 충분히 큰 감쇠를 제공할 수 있는 트랩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구현하며 앞서 기술된 목적을 실현할 수 있는, SH형 표면파를 사용한 압전 공진기는 압전기판과 압전기판위에 형성되며 적어도 두개의 공진특성을 가지는 인터디지털 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은 인터디지털 변환기는 서로에 맞물려 뻗는 핑거 모양의 부분을 가진 한쌍의 딘-아우트(thinned-out) 빗살형 전극, 또는 표면파가 여기될 수 있는, 핑거 사이의 영역의 길이를 바꿀 수 있도록, 바꿀 수 있는 핑거의 길이를 가진 한쌍의 빗살형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압전 공진기는 약 8MHz 정도로 분리되는 공진 주파수를 가진 두 개의 공진 특성을 가진다. 이것은 인터디지털 변환기에 의해 결정된 메인로브 주파수 및 단부표면 사이의 분리에 의해 결정된 주파수가 더 멀리 분리되도록 공진기를 설계할 수 있기 때문이고, 또는 다수의 메인로브를 설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이 단일 칩에 의해서 제1도에서 도시된 것처럼 다수의 트랩 주파수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소자의 수 및 이들 소자의 조립 비용은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을 구현한 트랩회로는 SH형 표면파를 사용하며, 압전기판 및 두 개의 공진 특성을 가진 병렬로 연결된 두개의 공진장치로서 적절한 두개의 상호 연결된 인터디지털 변환기를 포함하는 압전 공진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르면, 두개의 트랩 주파수를 갖는 트랩 회로를 형성하기 위해서 단지 단일 압전 공진기가 필요하다. 이같은 트랩회로가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 사이에 연결될때, 인덕터는 이들 두개의 공진장치 및/또는 입력단자 사이에 삽입될 수 있으며, 여기서 두개의 공진장치는 인접 채널 화상 및 음향 반송파 주파수에서 보다 큰 감쇠를 얻기 위해서 동시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두개의 압전 공진기는 두개의 트랩 주파수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부분으로 첨부된 첨부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며 그리고,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에 적절하다.
여러 도면에서 동일부재는 동일부호를 가진다.
본 발명을 기술함에 있어서, 본 발명은 실시예로 설명되나, 이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제4도 및 제5도는 직사각형 평면을 가지며 지르콘 티탄산 납계 압전 세라믹과 같은 적당한 압전물질로 이루어진 압전기판(12)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전 공진기(17)를 도시한다. 압전기판(12)은 그것의 주표면에 그리고 이하에 기술된 전극 핑거가 뻗치는 방향에 평행하게, 화살표(P)에 의해 도시된 방향으로 분극처리된다. 한쌍의 상호 맞얽힌 딘아우트 빗살형의 전극(13) 및 (14)을 포함하는 인터디지털 변환기(15)(이후에는 IDT로 줄여씀)는 압전기판(12)의 상부표면상에 형성된다. 빗살형전극(13) 및 (14)은 (P) 방향과 (P)의 반대방향으로 다수의 전극 핑거(13a)-(13d) 및 (14a)-(14i)를 가진다. 비록 이들 전극 핑거(13a)-(13d) 및 (14a)-(14i)가 서로 맞얽혀 형성될지라도, 전극(13)으로부터 뻗는 상기 (13a)-(13d)와 다른 전극(14)에서 뻗는 상기(14a)-(14i)가 핑거의 확장 방향에서 가로로 위치를 옮기면서 상호 교대로 나타나도록 설계되지 않는 것이 제4도 및 제5도에 나타난다. 다시 말해서, IDT(15)는 그곳에서 뻗는 핑거가 본래 선택적으로 배열되도록 서로 맞얽힌 두개의 규칙적인 빗살형의 전극에서 몇몇의 핑거가 딘-아우트(제거)되게 형성되는 것으로써 기술될 수 있다.
더 상세히 기술하면, 제4도 및 제5도에서 도시된 것과 같은 전극(13)은 상호 인접한 두개의 핑거 사이의 영역의 핑거(14c) 및 (14g) 사이에서 딘-아우트된 그것의 핑거를 가질 것이며, 다른 전압사이에 연결된 두개의 핑거 사이의 영역에서 1로 나타내며 동일 전압 사이에 연결된 두개의 핑거 사이의 영역에서 0으로 나타난다. 다시말해서, 전압이 두 개의 빗살형 전극(13) 및 (14)에 인가될 때, 영역 1은 BGS 파가 여기된 곳이며 영역 0은 BGS 파가 여기되지 않은 곳이다. 압전 공진기(11)의 핑거(14a) 및 (14i) 사이의 12개 영역은 1, 1, 1, 1, 0, 0, 0, 0, 1, 1, 1, 1 로써 순차적으로 표시된다.
핑거(13a)-(13d) 및 (14a)-(14i)는 핑거의 상호 인접 쌍 사이의 각각의 영역이 여기된 BGS파의 λ/4와 동일한 폭을 가지며, 가장 외부의 핑거(14a) 및 (14i)을 제외한 모든 핑거의 폭이 λ/4이며, 가장 외부의 핑거폭이 λ/8이 되도록 설계된다. 가장 외부의 핑거(14a) 및 (14i)는 상부 표면의 모서리에 형성되며 압전기판(12)의 상호 반대측면에 놓인 단부 표면(12a) 및 (12b)상에 형성된다. 앞서 기술된 빗살형 전극은, 예를들어, 요구된 압전기판(12) 보다 넓은 압전 기판의 λ/4인 여러 핑거를 형성하며, 가장 외부의 전극(14a) 및 (14i)의 폭이 2등분되도록 압전기판을 사각 모양으로 자름으로써 제조된다.
앞서 기술된 것처럼, 압전 공진기(11)는 AC 전압이 전극(13) 및 (14)을 통해 압전 공진기에 인가될때, 그것의 빗살형 전극(13) 및 (14)의 핑거(13a)-(13d) 및 (14a)-(14i)의 뻗는 방향에 수직하게 전파하는 BGS파를 여기시킨다. 이들 BGS파는 모서리 표면(12a) 및 (12b) 사이에서 반사된다. 다시 말해서, 압전 공진기(11)는, 제2도에서 도시된 종래 기술의 공진기(1)처럼, BGS파를 사용한 단부 표면 반사형인 표면파 공진기이다. 그것의 감쇠-주파수 특성 및 임피던스-주파수 특성이 각각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다. 제6도 및 제7도는 압전 공진기(11)가 두개의 공진 주파수(fr1및 fr2), 즉 두개의 공진 특성을 가지는 것을 명확하게 도시한다. 그것은 IDT(15)가 딘-아우트 전극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두개의 메인 로브는 이같은 IDT(15)에 의해 결정되어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두개의 공진 주파수(fr1및 fr2) 사이의 주파수 차이는 약 8MHz이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은 앞서 기술된 레일레이파를 사용한 이중 모드 공진기 필터의 경우보다 매우 큰 주파수 차이를 가진 두개의 공진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이것은 아마 IDT에 의해 결정된 주파수 스펙트럼의 두 개의 메인 로브가 공급될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딘-아우트 전극의 모양 및 IDT의 핑거에 대한 크기외에, 압전 기판의 재료 및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상대적으로 크고 적절한 주파수 차이를 가진 두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압전 공진기를 제공할 수 있다. 간단하게 말해서, 압전 공진기(11)는 텔레비전 수신기 또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대한 중간 화상 주파수 구간에서 트랩 필터로써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그것은 두개의 트랩 주파수를 가진 단일 트랩칩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제8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른 압전 공진기(21)를 도시한다. 그것은 두개의 딘-아우트 빗살형 전극(23) 및 (24)로 형성된 IDT(25)를 가진다. 그것은 딘-아우트가 실행되는 방법을 제외하고 앞서 기술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다. 다음에 있어서, 단지 IDT(25)의 구조가 기술될 것이며, 동일 부호로 기술된 제1실시예와 같은 소자로 설명될 것이다.
전극(23) 및 (24)는 각각 상호 인접한 핑거의 쌍(23a), (23b) 및 (24a)-(24i)사이에 한정되는 전체 열개의 영역을 가진, 두개의 핑거(23a)-(23b) 및 아홉개의 핑거(24a)-(24i)를 가진다. 이들 영역의 형태는 한쪽 끝에서 다른쪽 끝까지 순차적으로 0, 0, 0, 1, 1, 1, 1, 0, 0, 0 이다.
압전 공진기(21)를 설계함에 있어서, IDT(25)에 의해 결정된 메인 로브의 주파수 및 두개의 측면 모서리 표면(12a) 및 (12b) 사이의 거리에 의해 결정된 주파수는 더 큰 차이를 가지도록 압전 공진기(21)를 설계하여 두개의 공진 주파수 외에 그들의 차이 8.0MHz가 되도록 결정된다. 비록 두개의 공진 주파수 사이의 차이가 빗살형 전극에서 핑거를 딘-아우트되게 하는 방법외에 측면 모서리 표면(12a) 및 (12b) 사이의 거리 압전기판의 재료 그리고 핑거의 크기와 같은 다른 요소에 의존하기 때문에 일정하게 결정될 수 없을지라도, 두개의 공진 주파수 사이의 차이는 IDT(25)를 형성한 두개의 빗살형 전극(23) 및 (24)에서 핑거를 다르게 딘-아우트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그러나, 공진기가 사용되는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상기 요소를 조절할 수 있다.
제9도는 압전 공진기의 측면 모서리 표면(32a) 및 (32b)에 반사된 BGS파를 사용하는 표면파 공진기를 형성하기 위해 사각형 평면 표면을 가진 압전 기판(32)을 사용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른 압전 공진기(31)를 도시한다. 압전 기판(32)은 화살표(P)의 방향으로 일정하게 분극되며 한쌍의 빗살형 전극(33) 및 (34)는 앞서 기술된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에 따라 그것의 사각형 평면 표면위에 형성된다.
제3실시예는, 빗살형 전극(33) 및 (34)의 어느쌍도 그것의 핑거 딘-아우트를 가지지 않으며, 두개의 전극(33) 및 (34)의 핑거가 서로에 직접 일직선으로 뻗으며, 상호 인접한 한쌍의 다른 전극(33) 및 (34)(표면파가 여기됨) 사이에 각각 끼워넣은 영역의 길이가(핑거의 방향에서) 표면파의 전파방향으로 변하도록 이들 핑거의 길이를 다르게 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와 구별된다. 또한, 이같이 구성된 압전 공진기는 두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다. 두 개의 공진 주파수 사이의 차이가 약 9.2MHz인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압전 공진기의 감쇠-주파수 및 임피던스-주파수 특성은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다.
비록 본 발명이 예시된 SH형 표면파를 실시예로서 BGS파를 사용할지라도, 그것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IDT를 형성함으로써 또는 표면파가 여기된 딘-아우트 전극을 가진 영역의 길이를 바꿈으로써 다수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 공진기는 러브파(Love Wave)와 같은 다른 SH형 표면파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앞서 기술된 것과 같은 압전 공진기에 있어서, 인접 채널 화상 반송파 주파수(fap) 및 인접 채널 음향 반송파 주파수(fas)에서의 감쇠는 각각 약 13dB 및 15dB이다. 추가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압전 공진기를 사용하며 개선된 감쇠 특성을 가진 트랩 회로에 관한 것이다. 제10도는 개선된 감쇠 특성을 가진 트랩 회로를 형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압전 공진기(51)를 도시한다.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여 앞서 기술된 공진기처럼, 이 압전 공진기(51)는 지르콘 티탄산 납계 압전세라믹 또는 LiNbO3또는 LiTaO3의 압전 단결정과 같은 압전물질의 직사각형 압전 기판(52)을 또한 포함한다. 만일 압전기판이 압전 세라믹 물질로 만들어진다면, 압전기판은 화살표(P)의 방향으로 분극처리된다. 한쌍의 IDT(제1 IDT(53) 및 제2 IDT(54)로서 언급됨)는 압전기판(52)의 상부 표면상에 형성된다. IDT 각각은(P)의 방향 또는(P)의 반대 방향으로 뻗는 다수의 핑거를 가지는 한쌍의 빗살형 전극을 포함한다. 제1 IDT(53)의 빗살형 전극쌍 중 하나는 다수의 핑거(53a) 및 압전기판(52)의 측면 모서리 중의 하나를 따라 형성된 제1접속 전극(55)을 포함한다. 제1 IDT(53)에 대한 빗살형 전극쌍의 다른 것은 공통 접속기 전극(56)에 모두 접속된 다수의 핑거(53b)를 포함한다. 또 다른 다수의 핑거(54a)는 제1접속기 전극(55)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공통 접속기 전극(56)에서 뻗으며 제2 IDT(54)의 빗살형 전극쌍 중 하나인 중앙 접속기 전극(50)과 동시에 형성된다. 제2 IDT(54)의 빗살형 전극쌍 중 다른 것은 제1접속기 전극(55)의 반대편에 있는 압전기판(52)의 측면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제2접속기 전극(57)에 모두 접속된 다수의 핑거(57b)를 포함한다. 이들 세개의 접속기 전극(55), (50) 그리고 (57)은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서 단자(a), (b), (c)에 각각 접속된다.
비록 두개의 IDT(53) 및 (54)를 형성한 핑거(53a), (53b), (54a) 및 (56b)가 단지 제10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될지라도, 그것의 각각의 IDT에 대한 핑거는 제4도 및 제5도에 관련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처럼 형성되고 이해되어질 것이다. 다시 말해서, 예를들어 핑거(53a), (53b), (54a) 및 (54b)는, 각각의 IDT(53) 및 (54) 중에 가장 외부에 있는 것이 λ/8와 동일한 폭을 가지는 것을 제외하고, λ/4와 동일한 폭을 각각 가지며 압전 기판(52)의 λ/4 피치에 배열되며, 여기서 λ는 여기된 표면 파의 파장을 나타낸다.
두개의 IDT(53) 및 (54)에 의해 형성된 각각의 두개의 공진장치는 두개의 공진특성을 가지고, 앞서 기술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전공진기처럼 기능을 한다. 다시 말해서, 그것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공진기가 중앙에서 핑거에 대해 가로로 놓이는 중앙 접속기 전극(56)을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진기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IDT에서 핑거의 길이는 IDT(53) 및 (54)가 두개의 공진 특성을 각각 가지도록 조절된다.
제11도에서 도시된 것처럼, 텔레비전 비디오 수신기에 대한 트랩회로는 입력단자(IN) 및 출력단자(OUT) 사이에 제70도의 단자(a) 및 (c) 그리고 접지인 단자(b)를 접속함으로써 형성된다. 제11도에 있어서, 부호(58)및 (59)는 두 개의 IDT(53) 및 (54)에 의해 형성된 공진장치를 나타낸다. 제1저항기(61)는 전술된 압전공진기(51)와 입력단자(IN) 사이에 삽입된다. 제2저항기(52)는 접지전위와 입력단자(IN)와 제1저항기(61) 사이의 하나의 노드점 사이에 삽입된다. 제3저항기(63)는 압전공진기(51)와 출력단자(OUT) 사이에 삽입된다. 제4저항기(64)는 접지전위와 출력단자(OUT) 및 제3저항기 사이의 하나의 노드점 사이에 삽입된다. 이같이 구성된 트랩회로의 감쇠-주파수 특성에 대한 그래프인 제12도는 두 개의 트랩이 두개의 주파수(fap및 fas)에서 형성되며 감쇠가 이들 주파수에서 15dB 및 17dB 만큼 큰 것을 명확하게 도시한다. 그러나, 감쇠가, 제12도에서 도시된 것처럼, 두개의 트랩주파수 fap및 fas사이에 놓으며 보다 높은 주파수에서 트랩주파수에 근접한 화상반송파 fp주위에서 크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다음에, 인덕터(65)는 본 발명을 구현한 다른 트랩회로를 형성하기 위해서 제10도에서 파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단자(a) 및 (c)와 제13도에서 도시된 것처럼 접지전위에 접속된 단자(b) 사이에 삽입된다. 다시말해서, 이 트랩회로는 인덕터(55)의 삽입을 제외하고 제11도에 기술된 것과 동일하다. 이같이, 제11도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부호는 제13도의 트랩회로의 대응소자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된다. 제14도는 이같이 형성된 트랩회로의 감쇠-주파수 특성에 대한 그래프이며, 두개의 트랩주파수(fap및 fas)에서 각각 22dB와 27.5dB의 감쇠를 도시한다. 이것은 압전공진기(51)의 단자(a) 및 (c) 사이에 인덕터(65)의 삽입이 인접채널화상 및 음향주파수에서 9dB 및 12.5dB 만큼의 감쇠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짐을 명확하게 도시한다. 더욱이, 제12도 및 제14도의 그래프를 비교함으로써 이해될 수 있는 것처럼, 인덕터(55)의 삽입은 화상반송파 주파수에서 감쇠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며, 화상반송파 주파수에서 감쇠가 커지는 것을 막는다.
다른 인덕터(50)가 단자(a) 및 입력단자(IN) 사이에 삽입된다는 점에서 제13도에 도시된 회로와 다르게, 또다른 트랩회로가 제15도에서 도시된 것처럼 형성된다. 제16도는 이같이 형성된 트랩회로의 감쇠-주파수 특성에 대한 그래프이며, 두개의 트랩주파수(fap및 fas)에서 각각 26dB 및 33dB의 감쇠를 도시한다. 이것은 단자(a) 및 입력단자(IN) 사이에 인덕터(60)의 삽입이 인접채널 화상 및 음향주파수에서 감쇠를 더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것을 명확하게 도시한다. 표 1은 인접채널 화상 및 음향반송파 주파수(fap및 fas)에서(각각 제10-12도, 제13-14도 및 제15-10도와 관련하여 앞서 기술된 각각 세개의 트랩회로에 의한 감쇠의 크기를 도시한다.
비록 단지 세개의 트랩회로가 본 발명을 구현한 것처럼 앞에서 도시됐을 지라도,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많은 수정 및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가능하다. 예를들어, 또다른 트랩회로는 공진기(51)의 단자(a) 및 (c) 사이에 삽입되는 인덕터(제13도 또는 제15도에 도시된 인덕터(65) 처럼)가 없는 제11도에 도시된 회로의 단자(a) 및 입력단자(IN) 사이에 추가된 인덕터(제15도에 도시된 인덕터(60)처럼)로 형성되며, 그것은 감쇠가 인접채널화상 및 음향반송주파수(f및 f)에서 각각 21dB 및 24dB 인 트랩회로를 사용함으로써 알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4도에 실시예로서 도시된 두개의 압전공진기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압전공진기(51) 대신에 앞에서 주어진 실시예로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앞서 기술된 두개의 압전공진기(11)는 제11도, 제13도 및 제15도에 도시된 두 개의 공진장치(58) 및 (59), 공진장치 사이에(제13도 및 제15도에 도시된 인덕터(55)처럼) 및/또는 제15도에 도시된 인덕터(60)처럼 다른것 사이에 연결된 인덕터로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두개의 트랩 주파수에서의 감쇠는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다른 공진기의 사용이 회로 구조가 단일칩으로 형성된 공진장치로 간단하기 때문에 유리할지라도, 그것은 종래 기술 LC 공진회로를 가지고 가능한 더욱 큰 감쇠를 가진 트랩회로를 형성하기 위해서 SH 형 표면파를 사용한 두개의 공진기를 사용한 본 발명에 따라 실행할 수 있다.
앞에서 논의된 것처럼, 두개의 공진기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단일 공진기(51) 대신에 사용될때, 이 두개의 공진기는 제4도 및 제5도에 기술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진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 다른 트랩회로는 제11도를 참조하여 앞서 기술된 것과 유사하게 형성되나 제17도의 두개의 공진장치(58) 및 (59)로 적절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두개의 공진기(31)를 사용하며, 그리고 그것은 두개의 공진주파수 사이의 차가 약 8MHz로 증가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요약하면, 당업자에 의한 이같은 모든 수정 및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될 수 있다.

Claims (6)

  1. 압전기 기판; 및 상기 압전기판상에 형성되고, 적어도 두 개의 공진특성을 가지며, 한쌍의 딘-아우트 빗살형 전극을 구비하는 인터디지털 변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한쌍의 딘-아우트 빗살형 전극은 다른 전극쪽으로 뻗는 다수의 핑거를 각각 가지며, 상기 한쌍의 전극으로부터 뻗는 상기 핑거는 상호 맞얽히도록 형성되며, 상기 한쌍의 전극으로부터 뻗는 상기 핑거는 상호 맞얽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극중 한 전극의 적어도 하나의 상호 인접하는 쌍의 핑거는 상기 전극중 다른 전극의 두개 또는 다수의 다른 핑거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압전기판 및 상기 인터디지털 변환기는 프리-에지 표면반사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공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기판의 양쪽단부에 있는 핑거를 제외한 상기 각각의 핑거는 상기 핑거사이의 영역에서 여기된 표면파의 사분의 일 파장과 동일한 폭을 가지며, 상호 인접한 쌍의 상기 핑거는 상기 사분의 일 파장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공진기.
  3. 제1항에 있어서, 두개의 공진특성을 각각 가지는 두개의 공진장치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압전기판상에 형성되어 서로에 접속되는 두개의 인터디지털 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공진기.
  4. 압전기판; 및 상기 압전기판상에 형성되며, 적어도 두개의 공진특성을 가지며, 한쌍의 빗살형 전극을 구비하는 인터디지털 변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한쌍의 빗살형 전극은 각각 서로 다른 전극쪽으로 평행하게 뻗는 다수의 핑거들을 가지며, 상기 전극중 한 전극으로부터 뻗는 각각의 핑거는 다른 전극으로부터 뻗는 핑거중 한 핑거와 일렬로 정렬되며, 상기 전극에 전압을 인가할때 표면파가 여기될 수 있는 영역의 상기 각각의 핑거의 길이는 변화될 수 있으며, 상기 압전기판 및 상기 인터디지털 변환기는 프리-에지 표면반사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공진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기판의 양쪽단부에 있는 핑거를 제외한 상기 각각의 핑거는 상기 핑거사이의 영역에서 여기된 표면파의 사분의 일 파장과 동일한 폭을 가지며, 상호 인접한 쌍의 핑거는 상기 사분의 일 파장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공진기.
  6. 제4항에 있어서, 두개의 공진특성을 각각 가지는 두개의 공진장치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압전기 기판상에 형성되어 서로에 접속되는 두개의 인터디지털 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공진기.
KR1019950004657A 1994-03-04 1995-03-04 다수의 트랩 주파수를 가진 트랩회로용 압전 공진기 KR1001941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4-34415 1994-03-04
JP03441594A JP3191551B2 (ja) 1994-03-04 1994-03-04 圧電共振子
JP06742794A JP3254892B2 (ja) 1994-04-05 1994-04-05 トラップ回路
JP1994-67427 1994-04-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5056A KR950035056A (ko) 1995-12-30
KR100194185B1 true KR100194185B1 (ko) 1999-06-15

Family

ID=26373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4657A KR100194185B1 (ko) 1994-03-04 1995-03-04 다수의 트랩 주파수를 가진 트랩회로용 압전 공진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767603A (ko)
KR (1) KR100194185B1 (ko)
CN (1) CN1089968C (ko)
GB (1) GB2287580B (ko)
TW (1) TW2569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6924B2 (ja) * 1995-08-31 2000-11-0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表面波共振子
JP3233087B2 (ja) * 1997-01-20 2001-11-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弾性表面波フィルタ
TW404091B (en) * 1997-05-16 2000-09-01 Murata Manufacturing Co Ladder filter having edge-reflection type resonators
JP3171144B2 (ja) * 1997-07-07 2001-05-2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表面波装置
JP3206548B2 (ja) * 1998-05-14 2001-09-1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表面波フィルタ、共用器、通信機装置
JP3341709B2 (ja) 1998-06-01 2002-11-0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表面波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通信装置
JP3269466B2 (ja) * 1998-08-21 2002-03-2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表面波共振子、表面波フィルタ、共用器、通信機装置
US6384698B1 (en) * 1999-04-28 2002-05-07 Seiko Epson Corporation Transverse double mode saw filter
JP3412621B2 (ja) * 2001-03-02 2003-06-0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弾性表面波装置
US6873226B2 (en) * 2001-03-19 2005-03-29 Murata Manufacturing Co., Ltd. Edge-reflection surface acoustic wave filter
US6879224B2 (en) 2002-09-12 2005-04-12 Agilent Technologies, Inc. Integrated filter and impedance matching network
EP1944867B1 (en) * 2005-11-01 2011-08-24 Murata Manufacturing Co., Ltd. Elastic wave filter apparatus
CN101895271B (zh) * 2006-03-17 2013-02-27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弹性波谐振器
DE102007028291B4 (de) 2007-06-20 2013-04-25 Epcos Ag Mit akustischen Oberflächenwellen arbeitendes Transversalfilter
DE102007037896A1 (de) * 2007-08-10 2009-02-26 Enocean Gmbh System mit Anwesenheitsmelder, Verfahren mit Anwesenheitsmelder, Anwesenheitsmelder, Funkempfänger
CN101316099B (zh) * 2008-07-04 2010-06-16 无锡市好达电子有限公司 双通道声表面波滤波器
CN113315539A (zh) * 2021-06-29 2021-08-27 桂林航天工业学院 一种用于抑制混频器本振泄漏的陷波器电路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1248A (en) * 1969-03-26 1971-05-25 Zenith Radio Corp Acoustic filters
FR2085588B1 (ko) * 1970-02-06 1976-09-03 United Kingdom Government
US4006290A (en) * 1974-08-12 1977-02-01 Gte Sylvania Incorporated Surface wave frequency selective device
DE2524649C3 (de) * 1975-06-03 1980-11-06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Fernseh-ZF-Filter nach dem Oberflächenwellenprinzip
GB2000409A (en) * 1977-04-07 1979-01-04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Resonators employing surface skimming bulk waves
US4162465A (en) * 1977-09-14 1979-07-24 University Of Illinois Foundation Surface acoustic wave device with reflection suppression
GB2009546A (en) * 1977-11-16 1979-06-13 Plessey Co Ltd Television receiver IF and detector arrangement
GB2030407B (en) * 1978-09-22 1982-12-08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Acustic wave resonators and filters
US4206380A (en) * 1978-12-22 1980-06-03 Hitachi, Ltd. Piezoelectric surface acoustic wave device with suppression of reflected signals
US4384264A (en) * 1979-04-24 1983-05-17 Murata Manufacturing Company Ltd. Surface acoustic wave device
JPS564916A (en) * 1979-06-25 1981-01-19 Murata Mfg Co Ltd Elastic surface wave filter
GB2056810B (en) * 1979-08-14 1984-02-22 Clarion Co Ltd Surface-acoustic-wave device
JPS57184316A (en) * 1981-05-08 1982-11-13 Hitachi Ltd Surface acocustic wave device
US4453242A (en) * 1982-07-13 1984-06-05 Rca Corporation Surface acoustic wave cutterhead for disc recording having a circular transducer
US5077545A (en) * 1990-05-02 1991-12-31 Sawtek, Inc. Surface acoustic wave waveguide-coupled resonator notch filter
JPH0426211A (ja) * 1990-05-21 1992-01-29 Murata Mfg Co Ltd 表面波装置
KR0126909B1 (ko) * 1991-01-11 1998-10-01 무라따 야스따가 표면파 장치
JPH04284713A (ja) * 1991-03-14 1992-10-09 Murata Mfg Co Ltd トラップ回路
JPH05145369A (ja) * 1991-11-19 1993-06-11 Murata Mfg Co Ltd 表面波装置
US5220234A (en) * 1992-03-02 1993-06-15 Hewlett-Packard Company Shear transverse wave device having selective trapping of wave energy
JP3250252B2 (ja) * 1992-04-09 2002-01-2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表面波装置
CA2069370C (en) * 1992-05-25 1995-12-05 Robert C. Peach Interdigital transducer for use in a surface acoustic wave filter
TW241397B (ko) * 1993-01-14 1995-02-21 Murata Manufacturing C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5056A (ko) 1995-12-30
GB9503524D0 (en) 1995-04-12
GB2287580A (en) 1995-09-20
TW256966B (ko) 1995-09-11
CN1114799A (zh) 1996-01-10
GB2287580B (en) 1998-04-01
US5767603A (en) 1998-06-16
CN1089968C (zh) 2002-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4185B1 (ko) 다수의 트랩 주파수를 가진 트랩회로용 압전 공진기
EP0633660B1 (en) Surface acoustic wave filter
US5694096A (en) Surface acoustic wave filter
US5790000A (en) Cascaded surface wave device filters providing balanced and unbalanced signal connections
US6621380B2 (en) Longitudinally coupled resonator type surface acoustic wave filter having narrow electrode finger pitch sections
US7646266B2 (en) Surface acoustic wave resonator and surface acoustic wave filter using the same
US7479855B2 (en) Longitudinally-coupled-resonator-type elastic wave filter device
US20090002097A1 (en) Duplexer
KR20010098702A (ko) 종결합 공진자형 탄성표면파 필터
KR100493215B1 (ko) 탄성 표면파 필터
US5793147A (en) Surface wave resonator having single component including a plurality of resonant units
US6462633B1 (en) Surface acoustic wave device including parallel connected main and sub-filters
KR100352393B1 (ko) 탄성표면파 장치
US7482895B2 (en) Surface acoustic wave filter
US6720847B2 (en) Longitudinally-coupled resonator surface acoustic wave filt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JP3196499B2 (ja) 表面波共振子
KR19980019102A (ko) 탄성표면파 공진자 필터(Surface acoustic wave resonator filter)
KR100599244B1 (ko) 단면반사형 탄성표면파 필터
KR100208210B1 (ko) 표면파 공진자
JP3191551B2 (ja) 圧電共振子
KR100483833B1 (ko) 종결합 공진자형 표면파 장치
JP3254892B2 (ja) トラップ回路
JP3526125B2 (ja) 表面波共振子
JP3068035B2 (ja) 弾性表面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0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