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3460B1 - 도난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도난방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193460B1 KR100193460B1 KR1019950701683A KR19950701683A KR100193460B1 KR 100193460 B1 KR100193460 B1 KR 100193460B1 KR 1019950701683 A KR1019950701683 A KR 1019950701683A KR 19950701683 A KR19950701683 A KR 19950701683A KR 100193460 B1 KR100193460 B1 KR 1001934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theft
- alarm
- pin
- alarm soun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14—Mechanical actuation by lifting or attempted removal of hand-portable articl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14—Mechanical actuation by lifting or attempted removal of hand-portable articles
- G08B13/1445—Mechanical actuation by lifting or attempted removal of hand-portable articles with detection of interference with a cable tethering an article, e.g. alarm activated by detecting detachment of article, breaking or stretching of cable
- G08B13/1454—Circuit arrangements thereof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14—Mechanical actuation by lifting or attempted removal of hand-portable articles
- G08B13/1445—Mechanical actuation by lifting or attempted removal of hand-portable articles with detection of interference with a cable tethering an article, e.g. alarm activated by detecting detachment of article, breaking or stretching of cable
- G08B13/1463—Physical arrangements, e.g. housing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14—Mechanical actuation by lifting or attempted removal of hand-portable articles
- G08B13/1472—Mechanical actuation by lifting or attempted removal of hand-portable articles with force or weight detectio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게에 전시되는 상품 등에 장치되어 사용되고 떼내어지면 경보를 발하는 도난장치장치에 관한다.
종래, 경보를 위한 정보를 출력하는 경보출력수단으로서 경보음을 발생하는 스피커가 설치되기도 하였지만, 복수의 도난방지장치가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으면 어느 장치로부터 경보음이 발생되고 있는가를 즉석에서 판별할 수 없다라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도난방지대상물(E)에 장치되는 광체(2)에 도난의 예비행위를 검출하는 검출수단(P)과, 그 검출수단(P)의 검출정보에 의거하여 경보를 위한 정보를 출력하는 경보출력수단(Q)이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광체(2)내에 상기 검출수단(P)의 검출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광체(2) 밖으로 향하여 발광하는 광발생수단(20)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예컨대 복수의 도난방지장치가 근접하여 설치되더라도 어느 도난방지장치가 광을 발하고 있는가를 봄으로서 어느 도난방지장치가 경보를 위한 정보를 출력하고 있는가를 즉석에서 판별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도난방지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도난방지장치의 개략구성도.
제2a,b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도난방지장치의 외관설명도.
제3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보텀케이스 구성부품 설명사시도.
제4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톱케이스 구성부품 설명사시도.
제5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톱케이스 평면도.
제6a,b,c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스위치 설명도.
제7a,b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스피커 하우징 외관설명도.
제8a,b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터미널부 외관설명도.
제9도는 LED 윈도우 사시도.
제10a,b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잭유니트 외관설명도.
제11a,b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세트버튼핀의 구성설명도.
제12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잭유니트 단면설명도.
제13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주요부 사시도.
제14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슬라이더 외관설명도.
제15a,b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주요부 단면도.
제16a,b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주요부 단면도.
제17a,b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주요부 단면도.
제18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걸어맞춤해제용 키의 외관도.
제19도는 발신기의 외관사시도.
제2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개략구성도.
제21a,b도는 제20도의 실시예에 관한 외관도.
제22a,b도는 제20도의 실시예에 관한 주요부 단면도.
제23a,b도는 제20도의 실시예에 관한 주요부 단면도.
제24a,b도는 제20도의 실시예에 관한 주요부 단면도.
제25도는 제20도의 실시예에 관한 주요부 단면도.
제26도는 제20도의 실시예에 관한 주요부 단면도.
제27a,b,c도는 제20도의 실시예에 관한 슬라이더의 확대도.
제28a,b도는 제20도의 실시예에 관한 전원세트용 지그의 확대도.
제29도는 제20도의 실시예에 관한 코일의 확대도.
제30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개략구성도.
제31a,b도는 제30도의 실시예에 관한 외관도.
제32도는 제30도의 실시예에 관한 주요부 단면도.
제33도는 제30도의 실시예에 관한 주요부 단면도.
제34도는 제30도의 실시예에 관한 주요부 단면도.
제35도는 제30도의 실시예에 관한 주요부 단면도.
제36도는 제30도의 실시예에 관한 주요부 단면도.
제37도는 제30도의 실시예에 관한 세트레버의 주요부 사시도.
제38도는 제30도의 실시예의 걸어맞춤해제용 키의 외관도.
제39a,b도는 제30도의 실시예에 관한 슬라이더의 외관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 분야]
본 발명은 도난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히는, 도난방지대상물에 부착되는 광체에 도난의 예비행위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그 검출수단의 검출정보에 의거하여 경보를 위한 정보를 출력하는 경보출력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도난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 기술]
이와 같은 도난방지장치는 예를 들면 가게에 전시되어 있는 상품 등의 도난방지대상물에 부착된 상태로 사용되는 것이고, 그 도난방지대상물에 대하여 도난의 예비행위가 행해지면 경보를 위한 정보를 출력하는 것으로 된다.
상기 도난의 예비행위란, 이와 같은 도난방지장치를 부착한 도난방지대상물을 가게밖으로 훔치려는 행위, 또는 이와 같은 도난방지장치를 도난방지 대상물로부터 뗄려고 하는 행위 등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도난방지장치의 광체에는 상기 도난의 예비행위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그 검출수단의 검출정보에 의거하여 경보를 위한 정보를 출력하는 것으로 된다.
상기 도난의 예비행위를 검출하는 형태로서는, 일반으로 가게의 출입구 부근에 설치된 송신기로부터 발하는 전파를 수신함으로서 도난방지장치를 부착한 도난방지대상물을 가게밖으로 훔치려고하는 행위를 검출하는 혹은, 도난방지장치에 도난방지대상물로부터 떼어낸다던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구를 설치하여 두고, 그 검출구에 의하여 도난방지장치를 도난방지대상물로부터 떼어낸 행위를 검출하는 등의 구성이 고려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경보를 위한 정보를 출력하는 형태로서는 종래에는 도난방지장치 자신에 스피커(버져)등을 구비하여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하거나, 혹은 도난방지장치로부터 전파신호를 발신하여 소정개소(도난방지장치 외)에 설치된 수신장치가 그의 전파신호를 수신하면 경보음 등을 발하는 등의 구성이 고려되고 있다. 즉, 경보를 위한 정보를 출력하는 경보출력수단으로서 종래에는 경보음을 발생하는 스피커, 혹은 전파신호를 구성에서는 복수의 도난방지장치가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으면, 어느 도난방지장치로부터 경보음을 발하고 있는가, 혹은 어느 도난방지장치로부터 전파신호를 발하고 있는 것인가를 즉석에서 판별할 수 없다라는 문제가 있고, 개선이 요망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어느 도난방지장치가 경보를 위한 정보를 출력하고 있는가를 즉석에서 판별할 수 있는 도난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더욱, 본 발명의 목적은 오동작이 적고 도난방지장치가 떼어졌는가의 여부를 확실히 검지할 수 있고, 동시에 제조이익율이 높은 도난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도난방지장치의 특징구성은 도난방지대상물에 부착되는 광체에 도난의 예비행위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그 검출수단의 검출정보에 의거하여 경보를 위한 정보를 출력하는 경보출력수단이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광체내에 상기 검출수단의 검출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광체밖으로 향하여 발광하는 광발생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도난의 예비행위가 행해지면 경보출력수단이 경보를 위한 정보(경보음, 또는 전파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광발생수단이 광체밖으로 향하여 광을 발한다.
그 결과, 예를 들어 복수의 도난방지장치가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더라도 어느 도난방지장치가 광을 발하고 있는가를 봄으로서 어느 도난방지장치가 경보를 위한 정보를 출력하고 있는가를 즉석에서 판별할 수가 있다.
더욱, 본 발명의 상기 광체의 각부(角部)에 상기 광발생수단으로부터의 광을 방출하는 광창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광을 발하는 광창이 광체의 각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광창밖으로 향하여 발한 광을 복수의 방향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창(34)을 광체(2)의 각부에 설치하면, 광창(34)은 광체(2)의 측면(2a)과 측면(2e)에 접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되어 예를 들면 측면(2d)측이 도난방지대상물 등에 의거하여 숨겨 있더라도 측면(2e) 측에서 광창(34)을 볼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예를 들어 한방향이 막혀 있더라도 기타의 방향에서 광을 볼 수가 있어 한층 더 편리한 도난방지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더욱, 상기 광창에 하나의 상기 광발생수단으로부터의 광을 상기 광창이 접하는 상기 광체의 측면방향으로 분광하는 분광수단이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하나의 광발생수단으로부터 발하는 광은 분광수단에 의하여 광창이 접하는 광체의 측면방향(복수면)에 분광된다. 즉, 하나의 광발생수단에서 발하는 광을 복수의 방향으로 방출할 수가 있다. 그 결과, 복수의 방향으로 방출하기 위하여 복수의 광발생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광을 복수의 방향으로 방출하는 특징을 유지하면서도 전력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되었다.
더욱, 본 발명의 상기 검출수단이 특정개소에 설치된 발신기로부터 발생하는 정보전달용의 매체를 수신하는 상기 광체에 설치된 수신수단인 동시에, 상기 경보출력수단이 상기 수신수단의 검촐정보에 의거하여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 출력수단이다라고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도난의 예비행위가 행해지는 경우, 경보음 및 경보신호가 출력되므로 확실히 도난예비행위를 알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경보음 출력수단이 상기 발신기로부터 발신하는 정보전달용의 매체를 발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한층 더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경보음 출력수단이 작동하여 경보음을 발하더라도 특정개소에 설치된 발신기로부터 발신하는 정보전달용의 매체와 같은 매체를 발하지 않으므로, 예로 각 도난방지장치가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어도 경보음 출력수단의 작동에 의하여 다른 도난방지장치의 수신수단을 오동작시켜 버리는 일은 없다. 그 결과, 도난방지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어 도난방지장치의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었다.
그리고 또, 상기 경보음 출력수단이 압전형 버저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경보음 출력수단에 압전형 버저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경보음 출력 수단을 얇게 동시에 가볍게 할 수가 있다. 그 결과, 도난방지장치의 더 한층의 박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었다.
그리고 또, 상기 경보음 출력수단이 압전형 버저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경보음 출력수단에 압전형 버저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경보음 출력 수단을 얇게 동시에 가볍게 할 수가 있다.
그 결과, 도난방지장치의 더 한층의 박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었다.
더욱 또, 상기 광체내에 상기 경보음 출력수단으로의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와 상기 경보음 출력수단이 대향하여 설치되고 상기 전지의 전극에 접속하는 단자와 상기 경보음 출력수단의 전극에 접속하는 단자를 구비한 평판상의 터미널부가, 상기 전지와 상기 경보음 출력수단과의 사이에 설치되게 있게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지(버튼형, 주화형 등)와 압전형 버저를 대향하여 설치하고, 그 전지와 압전형 버저와의 사이에 전지의 전극에 접속하는 단자와 압전형 버저 전극에 접속하는 단자를 구비한 평판상의 터미널부를 설치하여 있으므로 2종류의 평판상의 부품(전지, 압전형 버저, 터미널부)을 중첩한 상태로 광체내에 배설할 수가 있다. 그 결과, 도난방지장치의 더 한층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었다.
더욱 또, 상기 경보음 출력수단이 경보음으로서 간헐음을 출력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도난방지장치의 경보음을 인식하기 쉬운 것으로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도난방지장치의 소비전력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도난방지장치의 보다 더 한층의 효율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그 결과, 점원 등이 경보음을 인식하는데 더하여 경보음을 인식하기 쉽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수시 경보음을 출력하는 것과 비교하여 도난방지장치의 소비전력을 억제할 수 있었다.
그리고 또, 상기 경보음 출력수단으로부터 출력한 경보음을, 상기 광체의 외부에 방출하기 위하여 음방출용의 개구부가 상기 광체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경보음 출력수단에서 출력한 경보음이 광체의 측면의 개구부로부터 방출되므로 경보음 방출용의 개구부를 광체 정면 혹은 밑면에 설치하는 것과 비교하여 개구부를 막기 어려운 것으로 될 수 있다. 즉 도난방지장치의 박형화를 도모하면 광체정면 및 밑면에 비교하여 광체 측면은 폭이 좁은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으로 되지만, 경보음 방출용의 개구부를 광체 정면 혹은 밑면에 설치하면, 손가락 등으로 간단히 개구부를 막을 수(이와 같은 행위에 의하여 경보음을 내지 않도록 한다)있지만, 개구부를 광체 측면에 설치함으로써 개구부를 막기 어려운 것으로 될 수 있다. 그 결과, 개구부를 손가락 등으로 막아 경보음을 나지 않도록 하여 도난방지대상물을 가게밖 등으로 갖고 사라지려고 하는 도난예비행위를 극력 방지할 수 있었다.
더욱 또, 상기 광체내에 그 광체내의 부품이 상기 개구부로부터 외부에 노출하는 것을 차폐하는 차폐벽이 설치되어 있게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광체내의 부품이 경보음 방출용의 개구부로부터 외부에 노출하는 것을 차폐하는 차폐벽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개구부로부터 삽입된 이물질의 광체내로의 진입을 상기 차폐벽에 의하여 방지할 수 있다. 더욱 광체내에서 발생한 경보음은 차폐벽을 우회하여 개구부에로 유도되어 광체밖으로 방출되는 것으로 된다. 그 결과, 개구부에 이물질을 삽입하여 광체내의 부품을 파괴하려고 하는 도난예비행위를 극력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더욱 또, 본 발명은 그 수신수단이 특정개소에 설치된 발신기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함에 동반하여 경보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도난방지장치용 공진안테나이고, 코일, 콘덴서 및 저항기를 병렬접속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되어 있으면, 코일과 콘덴서를 병열접속한 것에 더욱 저항기를 병렬접속함으로서 이 공진안테나는 소위 공진기의 Q치가 저하하여 공진안테나의 주파수선택성이 저하함으로 코일이나 콘덴서의 제품분산 등에 의하여 회로정수가 분산하여 공진주파수가 다소 변화하더라도 공진안테나의 수신감도는 그다지 변화하지 않는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공진안테나마다의 수신감도의 분산을 가급적 저감할 수 있어, 도난방지장치용 공진안테나의 제조이익율을 향상할 수 있다라는 효과를 발휘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난방지장치로서의 센서택(1)은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체(2)의 상면(맞닿음면)(2c)을 도난방지대상물(E)에 맞닿게 부착하는 것이다. 더욱 제2a도는 센서택(1)의 사시도, 제2b도는 센서택(1)의 배면(2n을 도시한다.
센서택(1)에는 맞닿음면(2c)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위치(W)로 복귀가압된 요동식의 피조작부(3a)를 구비한 스위치(3)가 설치되어 있다. 그 스위치(3)는 피조작부(3a)를 구비한 스위치(3)가 설치되어 있다. 그 스위치(3)는 피조작부(3a)의 요동조작에 의하여 ONㆍOFF 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스위치(3)의 피조작부(3a)가 도난방지대상물(E)의 존재여부에 의하여 요동조작되어 스위치(3)가 ONㆍOFF 되므로서 센서택(1)이 도난방지대상물(E)로부터 떼내어졌는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센서택(1)의 광체(2)내에는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발생수단으로서의 LED 램프(팁 LED)(20)와, 압전버저(21)와, 코일(L), 콘덴서(C) 및 저항기(R)로 이루어지는 공진안테나(22)와, 공진안테나(22)가 수신상태로 되면 수신신호를 출력하는 안테나 입력회로(23)와, 스위치(3)가 OFF 상태로 되면 그 상태를 표시하는 OFF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입력회로(24)와, 안테나 입력회로(23)로부터의 수신신호 또는 스위치 입력회로(24)로부터의 OFF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회로(25)와, 스위칭회로(25)로 부터의 제어신호가 입려가면 펄스발진을 개시하는 발진회로(26)와, 스위칭회로(25)로부터의 제어신호가 입력하면 발진호로(26)의 발진펄스수의 카운트를 개시하고 설정카운트수를 초과하면 카운트 완료신호를 출력하는 카운터(27)와, 카운터(27)의 카운트 완료신호가 입력되면 스위칭회로(25)를 상기 수신신호 또는 상기 OFF 신호가 입력된 상태로 유지하는 래치회로(28)와, 카운터(27)의 카운트 완료신호가 입력되면 LED 램프(20)를 점등시켜 동시에 압전버저(21)를 울리는 버저ㆍLED 드라이버(29)와, 광체(2) 내의 각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평판상의 전지(V)와, 전지(V)로부터 각 회로도의 전력공급을 ONㆍOFF 하는 전원스위치(6)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회로는 전원스위치(6)가 ON 조작된 상태에서 스위치(3)가 OFF된 경우나, 센서택(1)이 예를 들면 점포의 출입구의 양측에 설치되는 제1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1쌍의 패널상의 발신기(0)의 설치개소를 통과한 경우에 광체(2)에 수납되어 있는 압전버저(21)가 울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욱 제2도중, 10은 압전버저(21)로부터의 음을 광체(2) 밖으로 방출하기 위한 개구부이고, 광체(2)의 측면(2n)에 설치되어 있다.
이하, 압전버저(21)가 소리나기까지의 과정을 간단히 설명한다.
스위치(3)가 ON 상태로 되도록 도난방지대상물(E)을 부착하고, 동작상태로 세트(스위치 6을 ON 조작) 한 센서택(1) 이 도난방지대상물(E)로부터 떼내어지면 스위치(3)가 OFF 상태로 되고, 그 OFF 상태를 스위치입력회로(24)가 검출한다.
스위치입력회로(24)는 스위치(3)의 OFF 상태를 검출하면, 스위칭회로(25)에 그의 OFF 신호를 출력한다.
스위칭회로(25)는 스위치입력회로(24)로부터의 OFF 신호를 받고 있는 동안, 발진회로(26) 및 카운터(27)에 제어신호를 보내고, 그 제어신호를 받고 있는 동안, 발진회로(26)는 펄스발진하고, 카운터(27)는 발진회로(26)의 발진펄스수를 카운트한다. 그리고, 제어신호가 정지하면 발진회로(26)는 펄스발진을 정지하고 카운터(27)는 카운트를 정지하고 펄스카운트수를 리세트한다.
카운터(27)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펄스수의 카운트를 완료할때마다 래치회로(26) 및 버저ㆍLED 드라이버(29)에 대하여 카운트완료신호로서 1개의 펄스신호를 보낸다. 버저ㆍLED 드라이버(29)는 이 카운트완료신호를 받고 있는 동안, 압전버저(21)를 울림과 동시에 LED 램프(20)을 발광시킨다.
한편 래치회로(28)는 카운터(27)의 카운트완료신호를 받아, 스위칭회로(25)를 상기 OFF 신호를 받은 상태에서 유지하고 이로서 스위칭회로(25)는 발진회로(26) 및 카운터(27)에 제어신호를 계속 보낸다. 즉, 버저ㆍLED 드라이버(29)는 스위칭회로(25)가 OFF 신호를 받은후, 카운터(27)가 설정 펄스수의 카운트를 완료한후, 압전버저(21)를 울리고 LED 램프(20)를 발광시킨다. 이로서 OFF 신호를 일정시간 계속하여 받지 않으면 압전부저(21) 및 LED 램프(20)는 동작하지 않고, 노이즈 등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고 있다.
일단, 카운터(27)가 카운트완료신호를 송출한 후에는 와이어유니트 입력회로(24)로부터의 OFF 신호의 유무에 불구하고 스위칭회로(25)는 제어신호를 계속 보냄으로 전원스위치(6)가 OFF 조작될때까지 압전버저(21)는 카운터(27)의 카운트완료신호와 동기하여 간헐음을 계속 내고, LED 램프(20)는 카운터(27)의 카운트완료신호와 동기하여 점멸을 계속한다.
한편 센서택(1)이 발신기(0)의 설치개소를 통과한 경우에는, 공진안테나(22)가 발신기(0)로부터의 전파에 의하여 가전력이 생겨, 안테나입력회로(23)는 그 기전력을 검출하여 스위칭회로(25)에 수신신호를 출력한다. 스위칭회로(25)가 수신신호를 받은 뒤의 각 회로의 동작은 상기의 스위치(3)가 OFF 상태로 된 경우와 꼭같고,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스위치(3) 및 공진안테나(22)는 도난의 예비행위를 검출하는 검출수단(P)으로서 기능한다. 압전버저(21) 및 LED 램프(20)는 상기 검출수단(P)의 검출정보에 의거하여 경보를 위한 정보를 출력하는 경보출력수단(Q)으로서 기능한다. 즉, 공진안테나(22)는 특정개소에 설치된 발진기(0)로부터 발신하는 정보전달용의 매체(전파)를 수신하는 수신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압전버저(21)는 수신수단(공진안테나(22))의 수신정보에 의거하여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 출력수단으로서 기능함과 동시에 특정개소에 설치된 발진기(0)로부터 발신하는 정보전달용의 매체(전파)를 발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각 부품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광체(2)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텀케이스(2a)와 톱케이스(2b)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보텀케이스(2a)에는 스위치(3), LED 램프(20), 공진안테나(22) 및 여러가지 전자부품을 탑재한 회로기판(30)과, 잭유니트(4), 전지(V)의 플러스전극접속용의 단자(31), 전지(V)가 수용되어 있다. 톱케이스(2b)에는 압전버저(21)를 수납하는 스피커하우징(32)과 압전버저(21)와, 평판상의 터미널부(33)와, LED 램프(20)로부터의 광을 방출하는 LED 윈도우(광창)(34)와, 슬라이더(5)가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각 부품을 구비한 보텀케이스(2a)와 톱케이스(2b)를 초음파접착함으로서 제2도에 도시하는 센서택(1)이 구성되어 있다. 전지(V)와 압전버저(21)와는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어 전지(V)와 압전버저(21)와의 사이에 터미널부(33)가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3)는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지 등의 비도전성 재료에 의하여 가로 일측면이 개구한 광체모양으로 형성된 틀체(3A)와 3각형상의 피조작부(3a)와 상기 개구를 닫도록 틀체(3A)에 장착되는 거의 C 자 모양의 금속제의 제1단자(3b)와, 틀체(3A)의 내면에 맞붙여진 금속제의 제2단자(3c)와, 틀체(3A)에 형성된 보스부에 가로축심 X 주위로 회전운동이 자유로이 지지된 코일스프링(3d)으로부터 고성되어 있다. 스위치(3)의 피조작부(3a)는 코일스프링(3d)의 중앙부(q)에서 양측으로 길어지는 양단측부분에서 상반하는 2방향(e1,e2)에 요동이 자유로이, 동시에 맞닿음면(2c)로부터 돌출하는 돌출위치(W)로 복귀가압된 상태에서 틀체(3A)와 코일스프링(3d) 사이에 협지되어 지지되어 있다.
더욱 코일스프링(3d)은 스위치(3)의 제1단자(3b)와 제2단자(3c)를 단속시키는 접속편으로서 기능한다. 즉, 코일스프링(3d)의 중앙부(q)는 단자(3b)에 항상 접촉하고 있고, 피조작부(3a)가 코일스프링(3d)의 끝부(r)를 눌러 밑으로 내리면, 코일스프링(3d)의 끝부(r)가 단자(3c)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욱, 제6a도는 스위치(3)의 사시도, 제6b도는 스위치(3)의 단면도, 제6c도는 스위치(3)의 회로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스피커하우징(32)은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전버저(21)와 제8도에 도시하는 터미널부(33)를 압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압전버저(21)로부터 발생시킨 음은 개구부(32a)로부터 외부에 방출되도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중, 32b는 광체(2) 내의 부품이 개구부(10)로부터 외부로 노출하는 것을 차폐하는 즉 개구부(10)로부터 이물질의 삽입을 방지하는 차폐벽이다. 터미널부(33)에는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피커하우징(32)에 압입되었을 경우에 압전버저(21)의 전극(+, -)에 접속되는 단자(33a,33b)와, 보통케이스(2a)와 톱케이스(2b)를 초음파 접착하였을 경우에 전지(V)의 마이너스 전극에 접속되는 단자(33c)를 구비하고 있다.
더욱, 제7a도는 스피커하우징(32)의 사시도, 제7b도는 스피커하우징(32)의 배면도, 제8a도는 터미널부(33)의 사시도, 제8b도는 터미널부(33)의 저면도이다. 광체(2)의 각부에 설치되어 있는 LED 윈도우(34)에는 제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나의 LED 램프(20)로부터의 광을, LED 윈도우(34)가 접하는 광체(2)의 측면(2d,2e) 방향으로 분광하는 경사면(34a,34b)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경사면(34a,34b)은 하나의 LED 램프(20)로부터의 광을 광체(2)의 측면(2d,2e)방향으로 분광하는 분광수단(Y)으로서 기능한다.
잭유니트(4)에는 제1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해제용 키(K)(제18도 참조)의 랙부(K1)를 삽입하는 키삽입구멍(41)과, 키(K)의 톨출핀(K2)을 삽입하는 세트버튼핀 삽입구멍(42)이 설치되어 있다. 키삽입구멍(41)에는 제1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랙부(K1)의 키삽입구멍(41)에의 삽입에 동반하여 회전운동 조작되는 피니온기어(43)와 세트버튼핀 삽입구멍(42)에 구비된 세트버튼핀(45)(제11도 참조)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이동저지스프링(44)이 구비되어 있다. 피니온기어(43)는 일부가 키삽입구멍(41)에 돌출하여 타의 일부가 잭유니트(4)의 외부에 돌출하는 상태에서 잭유니트(4) 본체에 회전운동 자유로이 피봇지지되어 있다.
더욱, 제10a도는 잭유니트(4)의 사시도, 제10b도는 잭유니트(4)의 측면도이다.
세트버튼핀 삽입구멍(42)에는 세트버튼핀 삽입구멍(42)내를 슬라이딩 자유롭게 세트버튼핀(45)이 배치되어 있다. 세트버튼핀 삽입구멍(42)의 끝부에는 세트버튼핀(45)에 눌러 조작되어 상하요동하는 금속제의 콘택트스프링(46)이 설치되어 있다. 세트버튼핀(45a)은 제1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체(2)의 외부로부터 누름조작되는 피조작부(45a)와, 세트버튼핀(45)을 세트버튼핀 삽입구멍(42)내의 특정개소에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부(45b)와, 세트버튼핀(45)을 세트버튼핀(45)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복귀가압하는 코일스프링(47)을 수납하는 스프링수납부(45c)와, 콘택트스프링(46)을 상하요동시키는 콘택트스프링(46)을 누름조작하는 끝부(45g)로 이루어진다.
더욱, 제11a도는 세트버튼핀(45)의 평면도, 제11b도는 세트버튼핀(45)의 단면도이다.
스프링수납부(45c)와 세트버튼핀 삽입구멍(42)의 내벽으로 형성되는 공간내에는 제1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트버튼핀 삽입구멍(42)의 내벽으로부터 돌출하는 상태에서 세트버튼핀(45)의 슬라이딩 방향에서의 이동을 규제하는 돌출부(42)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 코일스프링(47)은 제1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프링수납부(45c)의 내벽과 돌출부(42a)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세트버튼핀(45)을 세트버튼핀(45)의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복귀가압시키는 것으로 된다. 세트버튼(45)의 위치결정부(45b)에는 위치결정용 볼록부(45d)가 그 돌출방향으로 출퇴 가능하게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세트버튼핀(45)이 누름조작된 상태에서 위치결정용 볼록부(45d)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용 오목부(42b)가 세트버튼핀 삽입구멍(42)의 내벽에 설치되어 있다. 세트버튼핀(45)이 누름조작된 상태에서는 세트버튼핀(45)의 끝부(45g)가 콘택트스프링(46)에 맞닿고, 콘택트스프링(46)을 상하요동시킨다. 이 요동에 의하여, 콘택트스프링(46)의 유단(遊端) 측의 끝부는 회로기판(30)에 접촉하여 그 결과, 회로기판(30)상의 2단자를 단락시키는 것으로 된다.
이의 2단자의 단락에 의하여, 전지(V)로부터의 광체(2)내의 각 회로도의 통전이 실행되므로 이 콘택트스프링(46)이 제1도에 있어서 전원스위치(6)에 상당하는 것으로 된다. 잭유니트(4)에는 제12도 및 제1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저지스프링(44)이 설치되어 있다. 이동저지스프링(44)은 미세한 금속봉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하여 있고, 일단부를 키삽입구멍(41)의 일측부에 고정하여 기단측으로 하고, 타단부를 탄성변형에 의하여 요동이 자유로운 유단측(44a)으로 하고 있다. 이동저지스프링(44)의 유단측단부(44a)는 제1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트버튼핀(45)이 누름된 상태에서는 세트버튼핀(45)의 스프링수납부(45c)의 외면에 형성한 걸어 맞춤부(45e)에 대하여 이동저지스프링(44)의 탄성작용에 의하여 누름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저지스프링(44)의 기단측단부와 유단측단부(44a)의 도중부분(44b)은 키삽입구멍(41)을 가로지르는 상태로 하고 있다. 톱케이스(2b)에는 잭유니트(4)의 피니온기어(43)와 맞물림하는 랙부(5a)를 구비한 슬라이더(5)(제14도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더(5)는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의 거부(5b)가 톱케이스(2b)의 내벽에 설치된 가이드부(2f)와 슬라이드 이동 자유로이 걸어맞춤하고, 화살표 a,b로 표시하는 쌍방향에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롭다. 또, 랙부(5a)와 기부(5b) 사이의 도중부분에서 연출하는 탄성변형 가능한 연출부(5c)의 선단부분을 톱케이스(2b)의 걸림부(2g)에 걸림시키는 구성으로서 연출부(5c)의 탄성작용에 의하여 화살표 a 방햐으로 복귀가압시키고 있다.
더욱, 도면중 2h 및 2i는 슬라이더의 경사방지용의 돌출편이다. 2j는 스피커하우징(32) 유지용의 돌출편이다. 2k는 단자(33a,33b)와 회로기판(30) 상의 단자의 접촉을 보강하기 위한 돌출편이다. 그리고 보통케이스(2a)와 톱케이스(2b)를 초음파용접으로 접착하였을 때 돌출편(2k)으로 단자(33a,33b)를 회로기판측으로 누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센서택(1)의 작동을 개시시키기 위하여, 걸어맞춤해제용 키(K)의 돌출핀(K2)으로 세트버튼핀(45)을 누름조작하여 전원스위치(6)를 ON 조작하여 그 ON 조작된 상태에서 전원스위치(6)를 유지하는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당초, 세트버튼핀(45)은 이동저지스프링(44)의 유단측단부가 세트버튼핀(45)의 걸어맞춤부(45f)에 걸어맞춤한 상태에서 제15도에 도시하는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걸어맞춤용 키(K)의 돌출핀(K2)으로 잭유니트(4) 내의 세트버튼핀(45)의 피조작부(45a)를 안으로 밀어넣으면, 제1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트버튼핀(45)의 단부(45g)가 콘택트스프링(46)에 맞닿아서, 콘택트스프링(46)을 하측으로 요동시킨다. 이 요동에 의하여 콘택트스프링(46)의 유단측의 단부는 회로기판에 접촉하고 회로기판상의 2개의 단자를 단락시킨다.
이로서, 전원스위치(6)가 ON 조작되고, 전지(V)로부터 본체케이스내의 각 회로에로의 통전이 개시된다. 이때 세트버튼핀(45)이 밀어넣어지면, 코일스프링(47)이 압축되어 세트버튼핀(45)을 광체(2)의 바깥측(세트버튼핀(45)의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누름복귀작용한다. 그러나, 세트버튼핀(45)의 걸어맞춤용 볼록부(45d)와 세트버튼핀 삽입구멍(42)의 걸어맞춤용 오목부(42d)가 걸어맞춤함과 동시에, 키 삽입구멍(41)로부터 길어지는 이동저지스프링(44)의 유단측선단부(44a)가 스프링수납부(45c)의 외면의 걸어맞춤부(45e)와 걸어맞춤한다. 그 결과, 코일스프링(47)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그 위치를 유지시키는 것으로 된다. 다음에, 센서택(1)의 작동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전원스위치(6)를 OFF 조작하는 조작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6도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어서, 키삽입구멍(41)에 랙(K1)을 삽입하면, 랙부(K1)에 의하여 키삽입구멍(44)을 가로지르는 상태에서 설치되어 있는 이동저지스프링(44)을 누름과 동시에, 랙부(K1)와 맞물리는 피니온기어(43)를 회전시킨다.
랙부(K1)로 이동저지스프링(44)의 도중부분(44b)을 누름하면 이동저지스프링(44)의 도중부분(44b)은 키삽입구멍(41)의 벽부에서 눌려진다. 그 결과, 이동저지스프링(44)의 유단측단부(44a)가 아래측으로 유동되어, 그 유단측단부(44a)와 세트버튼핀(45)의 걸어맞춤부(45e)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랙부(K1)로 피니온기어(43)를 회전니키면 제1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니온기어(43)의 회전에 의하여 피니온기어(43)와 맞물리는 랙부(5a)를 구비한 슬라이더(5)가 화살표(b)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슬라이더(5)에는 슬라이더(5)의 화살표(b)의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에 동반하여 세트버튼핀(45)의 단부(45g)에 맞닿는 누름부(5d)가 구비되어 있다. 누름부(5d)가 세트버튼핀(45)의 단부(45g)를 누르면 세트버튼핀(45)이 광체(2) 바깥측(세트버튼핀(45)의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고, 세트버튼핀(45)의 걸어맞춤용 볼록부(45d)와 세트버튼핀 삽입구멍(42)의 걸어맞춤용 오목부(42b)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그 결과, 스프링수납부(45c) 내의 코일스프링(47)의 복귀가압력에 의하여 세트버튼핀(45)은 돌출핀(K2)이 삽입되기전의 상태(제15도의 상태)로 복귀되고, 콘택트스프링(46)은 회로기판상의 두개의 단자와 이간하고, 전지(V)로부터 광체(2)내의 각 회로에의 통전이 정지하는 것으로 된다.
더욱 화살표(b)의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한 슬라이더(5)는 랙부(K1)가 키삽입구멍(42)으로부터 빠짐조작됨에 따라, 연출부(5c)의 탄성작용에 의하여 화살표(a) 방향으로 복귀가압되어 처음위치(제15도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더욱 제15도, 제16도 및 제17a도의 평면시에 있어서 단면도, 제15도, 제16도 및 제17b도는 측면시에 있어서 단면도이다.
① 상기 실시예에서는 LED 램프(20)를 점등시켜 압전버저(21)를 올리는 것으로 경보를 위한 정보를 출력하고 있지만 광체(2)내에 전파를 송신하는 송신장치를 구비하여 어느곳인가의 개소에 그 송신장치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여 경보음 등을 발하는 장치를 구비시킨 구성으로, 센서택(1)이 도난방지대상물(E)로부터 떼내어졌을때에 LED 램프(20)를 접등시킴과 동시에 송신장치로부터 전파를 송신하는 것으로 경보를 위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여도 좋다.
② 상기 실시예에서는, LED 윈도우(34)를 광체(2)의 측면(2d)과 측면(2e)에 접하도록 설치하여 있지만, 기타의 면에 접하는 위치에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측면(2c)과 측면(2e)에 접하도록, 측면(2c)과 측면(2d)과 측면(2e)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각부에, LED 윈도우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더욱, 이때에는, LED 윈도우에 하나의 LED 램프(20)로부터 광을 3 방향으로 분광하는 3개의 경사면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③ 상기 실시에에서는 경보음 출력수단으로서, 압전버저(압전형 버저)(21)가 설치되어 있지만, 압전형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정전형 등, 기타의 방식의 버저(단, 전파를 발하지 않는 것)로 구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④ 상기 실시예에서는, 개구부(10)가 광체(2)의 측면(2h)에 설치되어 있지만, 타의 측면(예를 들면 측면(2d))에도 경보음방출용의 개구부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로서, 간단히 개구부를 막을 수 있게 되고, 경보음이 울리지 않도록 하여 도난방지대상물을 가게 밖으로 훔치려고 하는 도난예비행위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21a도의 평면도 및 제21b도의 측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난방지장치로서의 센서택(1)은 광체(2)를 도난방지대상물인 상품 등에 부착하는 부착구인 부착핀(13)을 구비한다. 부착핀(13)은 제22b도 및 제23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제의 봉상부(13A)와 그 일단을 유지하는 수지제의 머리부(13B)로 이루어진다. 봉상부(13A)의 머리부(13B)에 유지되는 측의 단부에는 머리부(13B)에 덮여지고 동시에 봉상부(13A)와 직교하는 상태에서 원판상의 와셔(13a)가 부착되어 있다. 봉상부(13A)의 선단부분에는 광체(2)와 걸어맞춤하기 위하여 걸어맞춤용 오목부(13b)가 형성되어 있다.
광체(2)는 예를 들면 의류 등의 상품에 부착할때, 제23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핀(13)의 봉상부(13A)를 복지(F)를 통하여 광체(2)에 접속하여 장치한다.
광체(2) 내에는 제2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ED 램프(20)와 압전버저(21)와 코일(L), 콘덴서(C) 및 저항(R)로 이루어지는 공진안테나(22)와 공진안테나(22)가 수신상태로 되면 수신신호를 출력하는 안테나입력회로(23)와, 부착핀(13)의 끼우고떼기에 동반하여 ONㆍOFF하는 검지스위치(3')와 이 검지스위치(3')가 OFF 상태일때에 부착핀이탈신호를 출력하는 장착핀 입력회로(24')와, 안테나입력회로(23)로부터의 수신신호 또는 부착핀입력회로(24')로부터의 부착핀이탈신호가 입력되면 제어신호가 출력하는 스위칭회로(25)와, 스위칭회로(25)로부터의 제어신호가 입력하면 펄스발진을 개시하는 발진회로(26)와, 스위칭 회로(25)로부터의 제어신호가 입력하면 발진회로(26)의 발진펄스수의 카운트를 개시하여 설정카운트수를 초과하면 카운트완료신호를 출력하는 카운터(27)와, 카운터(27)의 카운트 완료신호가 입력되면 스위칭회로(25)를 상기 수신신호 또는 상기 와이어절단신호가 입력된 상태로 유지하는 래치회로(28)와, 카운터(27)의 부착핀이탈신호가 입력되면 LED 램프(20)르 점등시켜 동시에 압전버저(21)를 울리는 버저ㆍLED 드라이버(29)와, 광체(2) 내의 각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V)와, 전지(V)로부터 각 회로로의 전력공급을 ONㆍOFF 하는 전원스위치(6)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회로는 전원스위치(6)가 ON 조작된 상태에서 부착핀(13)이 광체(2)로 부터 뽑아내어져 이탈한 경우나, 센서택(1)이 예를 들면 점포의 출입구의 양측에 설치되는 제19도에 도시하는 한쌍의 패널상의 발신기(0)의 설치개소를 통과한 경우에, 광체(2)에 수납되어 있는 압전버저(21)가 울리고 경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부착핀(13)과 검지스위치(3')와 공진안테나(22)는 도난의 예비행위를 검출하는 검출수단(P)으로서 기능한다. 압전부자(21) 및 LED 램프(20)는 상기 검출수단(P)의 검출정보에 의거하여 경보를 위한 정보를 출력하는 경보출력수단(Q)으로서 기능한다. 더욱, 발진기(0)로서 상기의 한쌍의 패널상의 컷중의 한쪽편을 출입구의 한쪽측에 설치하여도 좋고, 또 출입구의 바닥면상에 설치하여도 좋은 것은 상기 실시예와 꼭같다.
공진안테나(22)는 상기 한쌍의 발진기(0)의 예상되는 설치간격에 따라 미리 그의 수신감도를 조정한다. 이 수신감도의 조정은 두가지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그중 한쪽은, 공진안테나(22)의 수신감도는 저항기(R)의 저항치의 증대에 따라 단조 증가하므로 저항기(R)을 적당한 저항치를 갖는 것과 적당히 교환함으로서 행한다. 저항기의 저항치를 설정변경하면 그 저항치에 따라 공진안테나의 Q치가 변화하고, 그에 동반하여 공진안테나의 수신감도가 변화한다.
한편, 저항기의 저항치를 설정변경하더라도 공진안테나의 공진주파수는 변화하지 않으므로, 공진주파수의 변화에 의한 수신감도의 변화는 고려할 필요가 없다. 이 방법에 의하면, 공진안테나의 수신감도를 조정할때에, 공진주파수의 변화에 의한 수신감도의 변화를 고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용이하게 공진안테나의 수심감도를 조정할 수 있다.
다른편은, 코일(L)을 제2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드럼형 코어(L1)를 갖는 것으로 구성하고 있다. 공진안테나(22)의 수신감도는 드럼형 코어(L1)의 플랜지직경(d)의 증대에 따라 단조증가함으로 플랜지직경(d)을 적당한 값을 갖는 것으로 적당히 교환함으로서 행해진다. 더욱 플랜지직경(d)을 바꾸어도 코일(L)의 인덕턴스는 거의 일정치가 되도록 한다. 코일의 드럼형 코어의 플랜지직경을 설정변경하면, 코일에 의한 자속의 접속효과가 변화하고, 이에 동반하여 공진안테나의 수신감도가 변화한다.
한편, 상기 플랜지직경을 변화시키더라도 코일의 인덕턴스치를 일정치로 하여 두는 것으로 공진안테나의 공진주파수는 변화하지 않고 공진주파수의 변화에 의한 수신감도의 변화는 고려할 필요가 없다. 이 방법에 의하면 공진안테나의 수신감도를 조성할 경우에 공진주파수의 변화에 의한 수신감도의 변화를 고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용이하게 공진안테나의 수신감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도난방지장치가 부정하게 취급되었을 경우에 압전버저(21)가 울리기 까지의 과정을 간단히 설명한다.
우선, 부착핀(13)이 광체(2)로부터 이탈하여 검지스위치(3')가 ON 상태에서 OFF 상태로 되면, 부착핀입력회로(24')는 스위칭회로(25)에 부착핀이탈신호를 출력한다. 스위칭회로(25)는, 장치핀이탈신호를 받고 있는 동안, 발진회로(26) 및 카운터(27)에 제어신호를 보낸다. 그의 제어신호를 받고 있는 동안, 발진회로(26)는 펄스발진하고, 카운터(27)는 발진회로(2)의 발진펄스수를 카운트한다. 그리고 제어신호가 정지하면, 발진회로(26)는 펄스발진을 정지하고, 카운터(27)는 카운트를 정지하고 펄스카운트수를 리세트한다. 카운터(27)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펄스수의 카운트를 완료할때마다 래치회로(26) 및 버저ㆍLED 드라이버(29)에 대하여 카운트완료신호로서 1개의 펄스신호를 보낸다. 버저ㆍLED 드라이버(29)는 카운트완료신호를 받고 있는 동안, 압전버저(21)를 울림과 동시에 LED 램프(20)를 발광시킨다.
한편, 래치회로는 카운터(27)의 카운트완료신호를 받아서 스위칭회로(25)를 상기 부착핀 이탈신호를 받은 상태로 유지하고, 이로서 스위칭회로(25)는 발진회로(26) 및 카운터(27)에 제어신호를 계속 보낸다.
즉, 버저ㆍLED 드라이버(29)는 스위칭회로(25)가 부착핀이탈신호를 받은후, 카운터(27)가 설정펄스수의 카운트를 완료한후, 압전버저(21)를 울리고, LED 램프(20)를 발광시킨다. 이로서, 부착핀이탈신호를 일정시간 계속하여 받지 않으면 압전버저(21) 및 LED 램프(20)는 동작하지 않고, 노이즈 등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고 있다.
일단 카운터(27)가 카운트완료신호를 송출한 후는 부착핀입력회로(24')로부터의 부착핀 이탈신호의 유무에 불구하고, 스위칭회로(25)는 제어신호를 계속 보내므로 전원스위치(6)가 OFF 조작될때까지 압전버저(21)는 카운터(27)의 카운트완료신호와 동기하여 간헐음을 계속하여 내고, LED 램프(20)는 카운트(27)의 카운트완료신호와 동기하여 점멸을 계속한다.
센서택(1)이 발신기(0)의 설치개소를 통과한 경우는 공진안테나(22)가 발신기(0)로부터의 전파에 의하여 기전력이 생기고 안테나입력회로(23)는 그 기전력을 검출하여 스위칭회로(25)에 수신신호를 출력한다. 스위칭회로(25)가 수신신호를 받은후의 각 회로의 동작은 상기의 부착핀(13)이 이탈한 경우와 꼭같고,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안테나입력회로(23), 스위칭회로(25), 발신회로(26), 카운터(27), 래치회로(28), 버저ㆍLED 드라이버(29), LED 램프(20) 및 압전버저(21)는 공진안테나(22)의 신호를 받아 작동하는 경보수단(A)으로서 기능한다.
이하, 부착핀(13)의 광체(2)로의 장치구조를 설명한다.
부착핀(13)은 제22도 내지 제2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체(2)의 내벽에 접하여 설치된 잭유니트(4)의 핀삽입구멍(40)에 삽입된 상태에서 광체(2)에 부착된다. 잭유니트(4)에는 제22도 내지 제2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핀삽입구멍(40)에 삽입된 부착핀(13)과 걸어맞춤하여 빠짐방지를 하는 낚싯바늘모양의 록스프링(14)이 설치되어 있다. 록스프링(14)의 부착핀(13) 삽입방향의 안쪽개소에는 검지스위치(3')가 설치되어 있다. 록스프링(14)의 재질은 금속으로 그 양단부(14a,14b)가 접근 또는 이간하는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다. 록스프링(14)은 그 굴곡부(14c)에 있어서 잭유니트(4)의 본체로부터 돌출하는 스프링걸림용 볼록부(49)에 걸림되고, 록스프링(14)의 단부(14a)는 잭유니트(4)의 본체에 고정되어 있다. 록 스프링(14)의 또 한쪽의 단부(14b)와 굴곡부(14c)와의 중간부부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부착핀(13)의 걸어맞춤용 오목부(13b)와 걸어맞춤하는 볼록부(14d)가 핀삽입구멍(40)에 출퇴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검지스위치(3')은 제2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이한 직경의 통을 2단으로 중첩형상으로 하고 있다. 부착핀(13) 삽입방향의 안측의 단부에는 턱(48a)이 형성되어 있다. 검지스위치(3')의 내부에는 턱(48a)의 내측의 면에 일단을 고정된 코일스프링(48b)과 코일스프링(48b)의 타단측을 유지하는 금속판(48c)과, 금속판(48c)에 있어서 코일스프링(48b)의 단부를 유지하는 면과 반대측의 면에 일단을 고정된 코일스프링(48d)와 코일 스프링(48d)의 타단측을 유지하는 수지판(48e)이 구비되어 있다.
금속판(48c)은 광체(2)에 삽입된 부착핀(13)의 선단의 테이퍼부(13c)와 접촉하지 않도록 중앙부가 원형으로 절제되어 있다. 또 수지판(48e)은 부착핀(13)의 선단의 테이퍼부(13c)를 지지하도록 중앙부가 원형으로 절제되어 있다. 금속판(48c)은 검지스위치(3')의 측벽부를 관통하여 돌출하고 있고, 검지스위치(3')의 측벽부는 그 돌출한 부분의 부착핀(13) 끼우고떼기 방향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부분적으로 절제되어 있다.
잭유니트(4)본체에 있어서 검지스위치(3')의 부착면(4a)에는 2분할된 전극단자(4b,4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전극단자(4b,4c)는 제2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광체(2)내에 구비된 부착핀입력회로(24')에 접속되어 있다.
핀삽입구멍(40)의 인접부에는 핀삽입구멍(40)의 핀삽입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잭유니트(4)를 관통하는 상태로 뻗어있는 세트버튼핀 삽입구멍(42)이 설치되어 있다. 세트버튼핀 삽입구멍(42)내에는 세트버튼핀 삽입구멍(42)내를 슬라이딩 자유로운 세트버튼핀(45)이 배치되어 있다.
세트버튼핀 삽입구멍(42)의 광체(2) 내방측 단부의 개구에는 세트버튼핀(45)에 누름조작 되어 요동하는 금속제의 콘택트스프링(46)이 일단을 잭유니트(4)에 고정된 상태에서 구비되어 있다. 세트버튼핀(45)은 제11a도 및 동도면에 있어서 E-E 단면을 도시하는 제28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니트(2)의 외부로부터 누름조작되는 피조작부(45a)와 누름조작 되었을때에 세트버튼핀(45)을 세트버튼핀 삽입구멍(42)내의 특정개소에 위치결정하는 위치 결정부(45b)와, 세트버튼핀(45)을 세트버튼핀(45)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복귀가압하는 코일스프링(47)을 수납하는 스프링수납부(45c)로 이루어진다.
스프링수납부(45c)는 제2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쪽면이 개방한 상자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스프링수납부(45c)와 세트버튼핀 삽입구멍(42)의 내벽으로 형성되는 공가내에 세트버튼핀 삽입구멍(42)의 내벽에서 돌출하는 상태로 돌출부(42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자모양의 스프링수납부(45c)의 밑부에는 후술의 이동저지스프링(44)의 선단부분과 걸어맞춤하기 때문에 세트버튼핀(45)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나열한 2개의 걸어맞춤부(45e,45f)가 형성되어 있다.
코일스프링(47)은 스프링수납부(45c)에 있어서 광체(2) 바깥측의 내벽과 돌출부(42a) 사이에 배치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세트버튼핀(45)을 세트버튼핀(45)의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복귀가압한다.
세트버튼핀(45)의 위치결정부(45b)에는 위치결정용 볼록부(45d)가 그 돌출방향으로 출퇴가능하게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세트버튼핀(45)이 광체(2) 내방측에 누름조작된 상태에서 위치결정용 볼록부(45d)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용 오목부(42b)가 세트버튼핀 삽입구멍(42)의 내벽에 설치되어 있다.
세트버튼핀(45)이 광체(2) 내방측으로 누름조작된 상태에서는 세트버튼핀(45)의 광체(2) 내방측의 단부가 콘택트스프링(46)에 맞닿고, 콘택트스프링(46)을 요동시킨다. 이 요동에 의하여 콘택트스프링(46)의 유단측의 단부는 회로기판과 접촉하고, 제23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기판상에 형성된 2개의 전극단자(6a,6b)를 단락시킨다. 이로서 전지(V)로부터 광체(2)내의 각 회로에 통전되는 것이고, 이 콘택트스프링(46) 및 2개의 전극단자(6a,6b)가 제20도에 있어서 전원스위치(6)에 상당한다.
세트버튼핀 삽입구멍(42)의 핀삽입구멍(40)과 반대측개소에는 후술하는 부착핀(13)의 걸어맞춤해제용 키(K)를 삽입하는 키삽입구멍(41)이 설치되어 있다. 키삽입구멍(41)에는 제1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해제용 키(K)의 키삽입구멍(41)에의 삽입에 동반하여 회전운동 조작되는 피니온기어(43)와, 세트버튼핀 삽입구멍(42)에 구비된 세트버튼핀(45)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이동저지스프링(45)이 구비되어 있다.
피니온기어(43)는 그 기어가 걸어맞춤해제용 키(K)의 삽입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뻗어있는 방향으로 잭유니트(4) 본체측에 회전운동 자유로이 피봇지지되고 동시에 일부가 키삽입구멍(41)에 돌출하여, 타의 일부가 잭유니트(4)의 외부에 돌출하는 상태로 하고 있다.
이동저지스프링(45)은 미세한 금속봉으로 탄성변형 가능으로 형성되어 있고, 일단부를 키삽입구멍(41)의 개구부근의 일부측에 고정하고, 탄성변형에 의하여 요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이동저지스프링(45)의 유단측단부는 세트버튼핀(45)의 슬라이딩 방향에 있어서 위치에 따라 세트버튼핀(45)의 걸어맞춤부(4e,45f)의 어느것과 이동저지스프링(44)의 탄성작용에 의하여 누름된 상태에서 걸어맞춤하고, 코일스프링(47)의 가압력에 의하여 세트버튼핀(45)이 광체(2) 바깥측에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고 있다. 더욱 제26도에서는 걸어맞춤부(45f)에 대하여 걸어맞춤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동저지스프링(44)의 기단측단부와 유단측단부와의 도중부분은 키삽입구멍(41)을 가로지르는 상태로 하고 있다.
잭유니트(4)의 광체(2) 내방측 개소에는 제27a도 및 제27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5)가 설치되어 있고, 제12도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잭유니트(4)의 피니온기어(43)와 맞물리는 랙부(5a)를 구비한다.
슬라이더(5)는 그 기부(5b)가 광체(2)의 내벽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가이드부와 슬라이드 이동 자유로이 걸어맞춤하고, 제22도 내지 제24도에 있어서 화살표(Z)로 표시하는 방향 즉 걸어맞춤해제용 키(K)의 끼우고빼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로이 되어 있다. 또 랙부(5a)와 기부(5b) 사이의 도중부분에서 연출하는 탄성변형 가능한 연출부(5c)의 선단부분을 광체(2) 측으로 걸림시키는 구성으로 연출부(5c)의 탄성작용에 의하여 광체 내방측으로 복귀가압하고 있다. 더욱 제22도 내지 제24도에서는 도면을 보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연출부(5c)를 생략하고 있다.
다음에 부착핀(13)과 광체(2)와의 걸어맞춤 및 걸어맞춤의 해제, 더욱 전지(V)로부터 광체(2)내의 각 회로에의 통전의 ONㆍOFF 의 변화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부착핀(13)과 광체(2)를 걸어맞춤하는 경우는 제22도에 도시하는 장착핀(13)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의류의 복지(F)등에 부착된 부착핀(13)을 통하여 제23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부착핀(13)을 잭유니트(4)의 핀삽입구멍(40)에 삽입한다. 부착핀(13)을 핀삽입구멍(40)에 설치된 코일스프링(48b,48d)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삽입하면, 부착핀(13)의 걸어맞춤용 오목부(13b)에 록스프링(14)의 핀삽입구멍(40)내에 돌출한 볼록부(14d)가 걸어맞춤한다. 이로서 코일스프링(48b,48d)의 가압력에 의하여 부착핀(13)이 해제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여 걸어맞춤상태를 유지한다.
부착핀(13)의 걸어맞춤용 오목부(13b)와 록스프링(14)의 볼록부(14d)가 걸어맞춤하기까지의 삽입도중에 있어서는 부착핀(13) 선단의 테이퍼부(13c)가 잭유니트(4) 측의 수지판(48e)에 맞닿는다. 그리고 코일스프링(48b,48d)의 가압력에 항거하여 다시 부착핀(13)이 삽입되면 금속판(48c)이 광체(2) 내방측으로 이동하고, 검지스위치(3')의 부착면(4a)에 형성된 2 분할된 전극단자(4b,4c)에 맞닿아서 단락한다. 이 상태에서 제20도에 도시하는 검지스위치(3')가 OFF 상태에서 ON 상태로 이행한 것으로 된다.
금속판(48c)이 2 분할된 전극단자(4b,4c)를 단락시킨 시점에서는 코일스프링(48b,48d)에는 아직 수축여유가 있다. 더욱 부착핀(13)이 삽입되어 상기의 부착핀(13)과 록스프링(14)이 걸어맞춤하는 상태로 된다.
이로서, 센서택(1)의 상품에로의 부착이 완료되고 다음에 센서택(1)을 작동개시시킨다.
센서택(2)의 작동을 개시시키는데는 제28a,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전원세트지그(D)를 사용하여 행한다.
전원세트용 지그(D)의 돌출핀(D)으로 잭유니트(4)의 세트버튼핀(45)의 피조작부(45a)를 안으로 밀어넣으면 세트버튼핀(45)의 광체(2) 내방측의 단부(45g)가 콘택트스프링(46)에 맞닿아서 콘택트스프링(46)을 요동시킨다. 이 요동에 의하여 콘택트스프링(46)의 유단측의 단부는 회로기판에 접촉하고 회로기판상의 2개의 전극단자(6a,6b)을 단락시킨다. 이로서 전지(V)로부터 광체(2)내의 각 회로에 통전이 개시된다. 더욱 세트버튼핀(45)이 밀어넣어져 있지 않는 상태에서는 세트버튼핀(45)의 광체(2) 외방측 단부에 있는 피조작부(45a)가 세트버튼핀 삽입구멍(42)의 광체(2) 외방측의 개구보다 약간 몰입한 개소에 위치하도록 스프링수납부(45c)의 위치결정부(45b) 측의 단부에 맞닿는 위치결정 단부(42c)가 세트버튼핀 삽입구멍(42)의 내벽에 형성되어 있다.
이 세트버튼핀(45)이 누름조작되면 이동저지스프링(44)의 유단측의 선단부가 세트버튼핀(45)의 걸어맞춤부(45e)와 걸어맞춤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2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트버튼핀(45)의 걸어맞춤부(45f)와 걸어맞춤하는 상태로 변환한다.
세트버튼핀(45)이 콘택트스프링(46)의 유단측의 단부를 회로기판측에 요동시키는 위치에서는 코일스프링(47)이 압축된다. 그리고 세트버튼핀(45)을 광체(2)의 외방측에 눌러 복귀하려고 작용하지만, 상기와 같이 이동저지스프링(45)의 유단측의 선단부와 세트버튼핀(45)의 걸어맞춤부(45f)와 걸어맞춤에 의하여 세트버튼핀(45)의 슬라이딩 이동을 저지함과 동시에, 세트버튼핀(45)의 위치결정용 볼록부(45a)와 세트버튼핀 삽입구멍(42)의 걸어맞춤용 오목부(42b)와의 걸어맞춤홈에 의하여서도 세트버튼핀(45)의 슬라이딩 이동을 저지한다.
다음에, 제23도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부착핀(13)과 잭유니트(4)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할때에는 제18도에 도시하는 걸어맞춤해제용 키(K)를 사용한다.
걸어맞춤해제용 키(K)는 잭유니트(4)의 피니온기어(43)에 맞물림하는 랙부(K1)를 구비하고 있다. 제23도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어서, 키삽입구멍(41)에 랙부(K1)를 삽입하면, 랙부(K1)와 피니온기어(43)가 맞물림하여 랙부(K1)의 삽입에 동반하여 피니온기어(43)가 회전한다. 이 피니온기어(43)의 회전에 의하여 피니온기어(43)와 맞물리는 랙부(5a)를 구비한 슬라이더(5)가 제24도에 있어서 일점쇄선으로 도시하는 위치로부터 실선을 도시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또, 걸어맞춤해제용 키(K)의 랙부(K1)가 키삽입구멍(41)에 삽입되면 키삽입구멍(41)을 가로지르는 상태에서 설치되어 있는 이동저지스프링(44)을 가압하여 이동저지스프링(45)을 키삽입구멍(41)의 벽부로 누른다. 이로서, 이동저지스프링(45)의 유단측의 단부가 요동하여 그 유단측의 단부와 세트버튼핀(45)의 걸어맞춤부(45f)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슬라이더(5)에는 상기의 슬라이더(5)의 슬라이드 이동에 동반하여 록스프링(14)의 단부(14b)에 맞닿는 제1누름부(5d)와 세트버튼핀(45)의 광체(2) 내방측 단부에 맞닿는 제2누름부(5e)가 구비되어 있다. 제2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누름부(5d)가 록스프링(14)의 단부(14b)를 누르면 록스프링(14)의 블록부(14d)가 핀삽입구멍(40)을부터 인퇴하는 상태로 요동한다. 이리하여 부착핀(13)의 걸어맞춤용 오목부(13b)와 록스프링(14)의 볼록부(14d)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고, 부착핀(13)은 검지스위치(3')의 코일스프링(48b,48d)의 가압력에 의하여 광체(2) 외방측에 압축된다.
한편, 슬라이더(5)의 제2누름부(5e)가 세트버튼핀(45)의 광체(2) 내방측 단부를 누르면, 세트버튼핀(45)이 광체(2) 외방측으로 이동하고 세트버튼핀(45)의 위치결정용 볼록부(45d)와 세트버튼핀 삽입구멍(42)의 걸어맞춤용 오목부(42b)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그 결과, 스프링수납부(45c)내의 코일스프링(47)의 복귀가압력에 의하여 세트버튼핀(45)은 조작부(45a)가 밀어넣어지기 전의 상태로 복귀한다. 그리고, 콘택트스프링(46)은 회로기판상의 2개의 단자와 이간하고 전지(V)로부터 광체(2)내의 각 회로로의 통전을 정지한다.
이 통전이 정지되는 타이밍은 부착(13)의 걸어맞춤용 오목부(13b)와 록스프링(14)의 볼록부(14d)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이간하는 타이밍보다 약간 늦어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걸어맞춤해제용 키(K)의 조작에 의하여 부착핀(13)을 핀삽입구멍(40)으로부터 빼낼때, 일순간 압전버저(21)가 울리도록 되어 있으므로 이 빼기조작과 동시에 전지(V)의 배터리체크를 행할 수 있다.
⑥ 상기 실시예에서는 경보수단(A)은 공진안테나(22)의 신호를 받아 압전버저(21)를 울림과 동시에 LED 램프(20)를 점등시켜 경보를 발하고 있지만 공진안테나(22)의 신호를 받아 전파신호를 발신하도록 하여 그 전파신호를 수신하여 경보음 등을 발하는 장치를 별체로 설치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⑦ 상기 실시예에서는 공진안테나(22)의 수신감도를 저항기(R)의 저항치를 설정변경하여 조정하는 경우 저항기(R)를 적당한 것으로 교환하는 것으로 조정하고 있지만, 저항기(R)에 가변저항기를 사용하여 그 가변저항기의 저항치를 조정하는 것으로 공진안테나의 수신감도를 조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⑧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난방지장치로서 도난방지장치의 광체(2)를 부착핀(13)으로 도난방지대상물에 부착하는 형식의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양단이 광체(2)에 대하여 붙이고 떼기가 가능한 와이어에 의하여 장치하는 형식의 도난방지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하여도 좋다.
즉, 이 도난방지장치는 제31a도의 평면도 및 제31b도의 측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센서택(1)이 직방체상의 광체(2)와, 광체(2)를 도난방지의 대상인 상품등에 부착하는 부착구로서의 와이어유니트(103)로 이루어져 있다.
이 와이어유니트(103)는 제3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체(2)에 끼우고떼기 하기 위하여 양단부에 구비된 접속부로서의 록핀(130)과, 그의 록핀(130) 각각을 접속하는 와이어(131)와, 와이어(131) 및 록핀(130)의 일부를 피복하는 외피(132)로 이루어져 있다.
록핀(130) 및 와이어(131)는 금속제로 도전성을 갖는다. 양단부의 록핀(130)은 전기적으로도 접속되어 있다. 또, 록핀(130)의 선단부 근방에는 록핀(130)의 광체(2)로부터 빠짐방지를 하는 피걸어맞춤부로서의 걸어맞춤용 오목부(130a)가 형성되어 있다.
록핀(130)을 피복하는 외피(132)의 단부에는 제3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약간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록핀(130)을 광체(2)에 삽입하였을때에 제3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약간 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록핀(130)을 광체(2)에 삽입하였을때에 제3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상부분이 광체(2) 내에 몰입하여 록핀(130)이 외부에 노출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로서, 록핀(130)이 정전기를 대전하고 있는 타물체에 접촉하여 광체(2)내의 전기회로를 파손하여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제30도에 도시하는 회로는 제1도 및 제20도의 회로와 유사하여 있고, 스위치 또는 부착핀 대시에 와이어유니트(103)을 구성하는 록핀(130)이 그 삽입구멍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고, 스위치입력회로 혹은 부착핀입력회로 대신에 와이어유니트 입력회로(24'')가 사용되고 있는 점이 다르다. 그리고, 전원스위치(6)가 ON 조작된 상태에서 와이어 유니트(103)에 절단된 경우나, 센서택(1)이 예를 들면 점포의 출입구의 양측에 설치되는 제1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한쌍의 패널상의 발신기(0)의 설치개소를 통과한 경우에 광체(2)에 수납되어 있는 압전버저(21)가 울리고, LED 램프(20)가 발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와이어유니트(103)와, 광체(2)에 설치된 수신수단(22)과는 도난의 예비행위를 검출하는 검출수단(P)으로서 기능하고, 압전버저(21) 및 LED 램프(20)는 검출수단(P)의 검출정보에 의거하여 경보정보를 출력하는 경보출력수단(Q)로서 기능한다.
기타의 동작은 상술 실시예와 같고, 압전버저가 울리기 시작할때까지의 과정 등이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와이어유니트(103)의 광체(2)에의 부착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와이어유니트(103)는 제32도 내지 제3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유니트(103)의 록핀(130)이 광체(2)의 내벽에 접하여 설치된 잭유니트(4)의 두개의 록핀삽입구멍(140a,140b)에 삽입된 상태에서 광체(2)에 부착된다.
잭유니트(4)에는 록핀삽입구멍(140a)에 삽입된 록핀(130)과 걸어맞춤하여 빠짐방지를 하는 걸어맞춤체로서의 대략 U자상의 록스프링(41)과 록핀삽입구멍(140b)에 삽입된 록핀(130)과 걸어맞춤하여 빠짐방지를 하는 대략 U자상의 걸어맞춤체로서의 록스프링(142)과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잭유니트(4)를 관통하는 상태로 설치된 록핀삽입구멍(140a)에 있어서 광체(2) 내방측단부에는 록핀삽입구멍(140a)내를 록핀(130)의 끼우고 떼기 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로운 세트레버(148)가 설치되어 있다.
록스프링(141,142)은 그들의 굴곡부(141c,142c)에 있어서 잭유니트(4)의 본체에서 돌출하는 스프링걸림용 볼록부(49)에 걸림되어 있다. 양 록스프링(141,142)의 내측에서 서로 이웃하는 단부(141d,142d)는 제30도에 도시하는 각 회로를 일체로 탑재하는 회로기판에 고정되고 와이어유니트 입력회로(24'')에 접속되어 있다.
록스프링(141,142)의 또다른 단부(141b,142b)와 굴곡부(141c,142c)와의 중간부부에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록핀(130)의 걸어맞춤용 오목부(130a)와 걸어맞춤하는 볼록부(141a,142a)가 록핀삽입구멍(140a,140b)에 출퇴가능한 상태에서 설치되어 있다.
록스프링(141,142)은 금속제로 도전성을 갖고, 록핀(130)과 상기의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록스프링(141,142)은 대략 U자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양단부가 근접 또는 이간하는 방향으로 탄성을 갖고, 록스프링(141,142)에 대하여 힘이 가해져 있지 않는 상태에서는 제3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록부(141a,142a)가 록핀삽입구멍(140a,140b)의 거의 중앙부까지 돌입하는 상태로 하고 있다.
따라서, 록핀(130)의 걸어맞춤용 오목부(130a)와 볼록부(141a,142a)가 걸어맞춤할때에는 볼록부(141a,142a)가 록핀삽입구멍(140a,140b)로부터 인퇴하는 방향으로 눌러지므로 록스프링(141,142)은 록핀(130)의 걸어맞춤측에 가압되는 것으로 된다.
세트레버(148)는 제3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쪽면이 개방한 상자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세트레버(148)와 록핀삽입구멍(140a)의 내벽으로 형성되는 공간내에 록핀 삽입구멍(140a)의 내벽에서 돌출하는 상태로 세트레버(148)의 슬라이딩 방향에서의 이동을 규제하는 돌출부(42a)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42a)와 세트레버(148)의 내벽과의 사이에는 세트레버(148)를 록핀(140a)의 입구측 방향으로 복귀가압하는 코일스프링(47a)이 삽입되어 있다.
다른 한편의 록핀삽입구멍(140b)은 안측이 폐쇄되어 있고, 록핀삽입구멍(140b)에는 안측의 단부에 일단을 고정한 코일스프링(47b)이 설치되어 있다. 록핀삽입구멍(140a)의 록핀삽입구멍(140b)과 반대측 개소에는 후술하는 록핀(130)의 걸어맞춤해제용 키(K)를 키삽입구멍(41)이 설치되어 있다.
제1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키삽입구멍(41)에는 제38도에 도시하는 걸어맞춤해제용 키(K')의 키삽입구멍(41)에의 삽입에 동반하여 회전운동 조작되는 피니온기어(43)와, 록핀삽입구멍(140a)이 구비된 세트레버(148)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이동저지스프링(44)이 구비되어 있다.
피니온기어(43)는 그의 기어가 걸어맞춤해제용 키(K')의 삽입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뻗어있는 방향으로 잭유니트(4) 본체측에 회전운동 자유로이 지지되고, 동시에 일부가 키삽입구멍(41)에 돌출하고, 다른 일부가 잭유니트(4)의 외부에 돌출하는 상태로 하고 있다.
피니온기어(43)는 제32도 내지 제36도에 있어서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약간량 이동가능하게 지지하여 있고, 키삽입구멍(41)에 걸어맞춤해제용 키(K')가 삽입되어 있지 않는 상태에서는 키삽입구멍(41) 내방측에 위치하여 후술의 슬라이더(5)의 랙부(5a)와 맞물리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동저지스프링(44)은 미세한 금속봉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하고 있고, 일단부를 키삽입구멍(41)의 일부측에 고정하여 기단측으로 하고, 탄성변형에 의하여 요동 자유롭게 되어 있다. 이동저지스프링(44)의 유단측단부는 제3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트레버(148)의 외면에 형성한 걸어맞춤부(148a)에 대하여 이동저지스프링(44)의 탄성작용에 의하여 누름된다. 이동저지스프링(44)의 기단측단부와 유단측단부의 도중부분은 키삽입구멍(41)을 가로지르는 상태로 하고 있다.
잭유니트(4)의 광체(2) 내방측개소에는 제12도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잭유니트(4)의 피니온기어(43)와 맞물리는 랙부(5a)를 구비한 제39a도 및 제39b도에 도시하는 슬라이더(5)가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더(5)는 그의 기부(5b)가 광체(2)의 내벽에 서리된 도시하지 않는 가이드부와 슬라이딩 이동 자유로이 걸어맞춤하고, 제32도에서 화살표(a)로 표시하는 방향 즉 걸어맞춤해제용 키(K') 끼우고빼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롭다. 또, 랙부(5a)와 기부(5b)와의 사이의 도중부분에서 연출하는 탄성변형 가능한 연출부(5c)의 선단부분을 광체(2) 측에 걸림시키는 구성으로서 연출부(5c)의 탄성작용에 의하여 광체 내방측으로 복귀가압하고 있다. 더욱, 도면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하여 제32도 내지 제36도에서는 슬라이더(5)의 연출부(5c)는 생략하고 있다.
잭유니트(4)의 록핀삽입구멍(140a)의 광체 내방측 개소에는 전원스위치(6)가 설치되어 있다.
전원스위치(6)는 노르말오브타이프의 스위치로, 전원스위치(6)의 피조작부(6a)가 잭유니트(4)의 세트레버(148)에 누름조작되어 오프에서 온으로 이행한다.
다음에, 와이어유니트(103)과 광체(2)와의 걸어맞춤 및 걸어맞춤의 해제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와이어유니트(103)와 광체(2)를 걸어맞춤하는 경우는 제32도에 도시하는 와이어유니트(103)의 양쪽의 록핀(130)의 걸어맞춤이 해제된 상태에서 제3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록핀(130)의 한쪽을 잭유니트(4)의 록핀삽입구멍(140b)에 삽입한다. 록핀(130)은 록핀삽입구멍(140b)에 설치된 코일스프링(47b)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삽입하면, 록핀(130)의 걸어맞춤용 오목부(130a)에 록스프링(142)의 록핀삽입구멍(140b)내로 돌출한 볼록부(142a)가 걸어맞춤하고, 코일스프링(47b)의 가압력에 의하여 록핀(130)이 해제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실히 저지하여 걸어맞춤상태를 유지한다.
록핀(130)의 한편을 잭유니트(4)에 삽입한 상태에서 다른편의 록핀(130)을 상품등에 휘감기게한후, 잭유니트(4)의 록핀삽입구멍(140a)에 삽입한다.
록핀(130)을 록핀삽입구멍(140a)에 삽입하여 가면 록핀(130)의 선단이 세트레버(148)에 맞닿는다. 세트레버(148)을 누르면서 록핀(130)을 더욱 삽입하면, 제3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록핀(130)의 걸어맞춤용 오목부(130a)에 록스프링(141)의 록핀삽입구멍(140a)내에 돌출한 볼록부(141a)가 걸어맞춤한다. 이때, 세트레버(148)의 걸어 맞춤부(148a)는 키삽입구멍(41)로부터 뻗어있는 이동저지스프링(45)의 어느위치까지 이동하여 있고, 제3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148a)로 이동저지스프링(44)의 유단측의 선단부가 걸어맞춤한다.
이 록핀(130)에 의한 세트레버(148)의 누름조작의 결과, 세트레버(148)의 광체(2) 내방측단부(148b)는 전원스위치(6)의 피조작부(6a)를 누름조작하여 제30도에 도시하는 광체(2)내의 각 회로에의 통전을 개시한다.
이 상태에서는 록핀(130)에 대하여 세트레버(148) 내에 삽입되어 있는 코일스프링(47a)에 의하여 로켸핀(130)의 걸어맞춤해제방향으로 가압력이 작용하고 있지만, 상기의 록핀(130)의 걸어맞춤용 오목부(130a)와 록스프링(141)의 볼록부(141a)와의 걸어맞춤 및 이동저지스프링(44)의 유단측의 선단부와 세트레버(148)의 걸어맞춤부(148a)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록핀(130)이 걸어맞춤해제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고 있다.
와이어유니트(103)와 광체(2) 내의 와이어유니트 입력회로(24'')와는 상기와 같이 록핀(130)의 걸어맞춤용 오목부(130a)와 록스프링(141,142)의 볼록부(141a,142a)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다음에, 제34도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와이어유니트(103)와 잭유니트(4)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경우는 잭유니트(4)의 피니온기어(43)에 맞물리는 제1랙부(K3)와 제2랙부(K4)를 양단에 구비한 제38도에 도시하는 걸어맞춤해제용 키(K')를 사용한다.
이들 양 랙부(K3,K4)는 잭유니트(4)의 키삽입구멍(41)에 대한 삽입깊이가 다르고, 제1랙부(K3)의 삽입길이보다 제2랙부(K4)의 삽입깊이가 약간 깊어지도록 그 길이를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제1랙부(K3)을 키삽입구멍(41)에 삽입한 경우와 제2랙부(K4)를 키삽입구멍(41)에 삽입한 경우에서는 피니온기어(43)의 회전량이 다르다.
제1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키삽입구멍(41)에 삽입깊이의 얕은측의 제1랙부(K3)을 삽입하면, 제1랙부(K3)가 피니온기어(3)을 들어올려 슬라이더(5)의 랙부(5a)와 맞물리게 함과 동시에 제1랙부(K3)와 피니온기어(43)가 맞물려서 제1랙부(K3)의 삽입에 동반하여 피니온기어(43)가 회전한다. 이 피니온기어(43)의 회전에 의하여 피니온기어(43)와 맞물리는 랙부(5a)를 구비한 슬라이더(5)가 제35도 및 제12도에 있어서 화살표(b)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 걸어맞춤해제용 키(K')의 제1랙부(K3)가 키삽입구멍(41)에 삽입되면 키삽입구멍(41)을 가로지르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이동저지스프링(34)을 누름하여 이동저지스프링(44)을 키삽입구멍(41)의 벽부에 누른다. 이로서, 이동저지스프링(44)의 유단측의 단부가 요동하여 그 유단측의 단부와 세트레버(148)의 걸어맞춤부(148a)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더욱 제12도에서는, 피니온기어(43)의 위치는 제1랙부(K3)에 의하여 들어올려졌을때의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슬라이더(5)에는 슬라이더(5)의 화살표(b)의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에 동반하여 록스프링(141)의 단부(141b)에 맞닿는 제1누름부(5d)가 구비되어 있다. 제1누름부(5d)가 록스프링(141)의 끝부(141b)를 누르면 제3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록스프링(141)의 볼록부(141a)가 록핀삽입구멍(140a)로부터 인퇴하는 상태로 요동한다. 이리하여 록핀(130)의 걸어맞춤용 오목부(130a)와 록스프링(141)의 볼록부(141a)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것이다.
그 결과, 록핀삽입구멍(140)이 삽입되어 있는 록핀(130)이 세트레버(148)에 삽입되어 있는 코일스프링(47a)의 가압력에 의하여 압출되어 전원스위치(6)는 온상태로부터 오프상태로 이행하여 광체(2)내의 각 회로도의 통전을 정지한다.
이 전원스위치(6)가 온상태에서 오프상태로 이행하는 타이밍은, 록핀(103)의 걸어맞춤용 오목부(130a)와 록스프링(141)의 볼록부(141a)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이간하는 타이밍보다 약간 늦어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걸어맞춤해제용 키(K')의 조작에 의하여 록핀(130)을 록핀삽입구멍(140a)으로부터 빼낼때 일순간에 압전버저(21)가 울리도록 하였으므로, 이 뽑기조작과 동시에 전지(V)의 배터리체크를 행할 수 있다.
록핀삽입구멍(140a)으로부터 록핀(130)을 뽑은 상태에서 와이어유니트(103)의 교환 등 때문에 더욱, 록핀삽입구멍(140b)에 삽입되어 있는 록핀(130)을 뽑는 경우는 걸어맞춤해제용 키(K')의 제2랙부(K4)를 키삽입구멍(41)에 삽입한다.
제2랙부(K4)는 제1랙부(K3)보다도 삽입깊이가 깊으므로, 제2랙부(K4)를 삽입하였을때의 제36도에 있어서 화살표(b)의 방향으로의 슬라이더(5)의 슬라이도 이동량도 제1랙부(K3)를 삽입하였을때와 비교하여 크고, 제1랙부(K3)을 삽입하였을때에는 맞닿지 않았던 슬라이더(5)의 제2누름부(5e)와 록스프링(142)의 단부(142b)가 맞닿는다.
제2누름부(5e)가 록스프링(142)의 단부(142b)를 누르면, 제3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록스프링(142)의 볼록부(142a)가 록핀삽입구멍(140b)에 인퇴하는 상태로 요동한다. 이리하여 록핀(130)의 걸어맞춤용 오목부(130a)와 록스프링(142)의 볼록부(142a)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것이다.
그 결과, 록핀삽입구멍(140b)의 삽입되어 있는 록핀(130)이 코일스프링(47b)의 가압력에 의하여 압출된다.
따라서 광체(2)내의 LED 램프(20), 압전버저(21), 스위칭회로(25), 발진회로(26), 카운터(27), 래치회로(28) 및 버저ㆍLED 드라이버(29)는 경보수단(A)으로서 기능하고, 이들과 전지(V), 전원스위치(6), 와이어유니트 입력회로(24'')를 합하여 광체(2)와 와이어유니트(103)가 일련으로 접속하고 있는가 여부를 검출하고, 비접속시에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출력수단(B)으로서 기능한다.
피니온기어(43) 및 슬라이더(5)는 록핀(130)의 걸어맞춤용 오목부(130a)와 록스프링(141,142)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걸어맞춤해제수단(U)으로서 기능하고, 코일스프링(47a,47b)은 록핀(130)을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밀어내는 압출수단(W)으로서 기능한다.
⑨ 상기 실시예에서는, LED 램프(20)를 점등시켜 압전버저(21)를 울리게 함으로서 경보를 출력하고 있지만 광체(2)에 전파를 송신하는 송신장치를 구비시켜 어느곳인가의 개소에 그의 송신위치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여 경보음 등을 발하는 장치를 구비시킨 구성으로서 광체(2)와 록핀(130)과의 비접속을 검출하였을때의 송신장치로부터 전파를 송신하는 것으로 경보를 출력하도록 하여도 좋다.
⑩ 상기 실시예에서는 와이어유니트(103)에 통전하여 그 통전이 차단되었을대에 광체(2)와 와이어유니트(103)의 비접속을 검출하고 있지만 와이어유니트(103)를 광파이버로 구성하고, 광체(20)로부터 발한 광이 와이어유니트(103)를 경유하여 다시 강체(2) 되돌아 오는가의 여부에 의하여 상기 비접속을 검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⑪ 상기 실시예에서는, 와이어유니트(103)를 부착구로서 하고 있지만, 양단에 록핀(130)의 걸어맞춤용 오목부(130a)와 꼭같은 피걸어맞춤부를 구비한 대략 C의 자상의 철선을 부착구로 하여도 좋다.
⑫ 상기 실시예에서는, 와이어유니트(103)의 양단의 록핀(130)을 각각 별도로 광체(2)로부터 이탈시키고 있지만, 양단의 록핀(130)을 동시에 광체(2)로부터 이탈시켜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제34도의 양단의 록핀(130)이 광체(2)에 삽입된 상태에서 걸어맞춤해제용 키(K')의 제2랙부(K4)를 키삽입구멍(41)에 삽입하면 상기의 동시의 이탈이 가능하다.
⑬ 상기 실시예에서는 록핀(130)은 밀어내는 압출수단(W)을 코일스프링(47a,47b)으로 구성하고 있지만, 그 대신에 코일스프링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슬라이더(5)에 록핀(130)의 선단을 누르는 푸시로드를 형성하여 슬라이더(5)의 슬라이드 이동에 연동하여 록핀(130)이 압출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Claims (17)
- 도난방지대상물(E)에 장치되어 있는 광체(2)에 도난의 예비행위를 검출하는 검출수단(P)과, 그 검출수단(P)의 검출정보에 의거하여 경보를 위한 정보를 출력하는 경보출력수단(Q)이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광체(2) 내에 상기 검출수단(P)의 검출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광체(2) 밖으로 향하여 발광하는 광발생수단(2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체(2)의 각부에 상기 광발생수단(20)으로부터의 광을 방출하는 광창(34)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창(34)에 1개의 상기 광발생수단(20)으로부터의 광을 상기 광창(34)이 접하는 상기 광체(2)의 측면방향으로 분광하는 분광수단(Y)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광수단(Y)이 상기 광창(34)에 형성되고 이 광창(34)이 접하는 상기 광체(2)의 측면(2d,2e) 방향으로 분광하는 경사면(34a,34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P)이 특정개소에 설치된 발신기(0)로부터 발신하는 정보전달용의 매체를 수신하는 상기 광체(2)에 설치된 수신수단(22)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경보출력수단(Q)이 상기 수신수단(22)의 검출정보에 의거하여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출력수단(2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출력수단(21)이 상기 발신기(0)로부터 발신하는 정보전달용의 매체를 발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음출력수단(21)이 압전형 버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체(2) 내에 상기 경보음출력수단(21)에의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V)와 상기 경보음출력수단(21)이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어, 상기 전지(V)의 전극에 접속하는 단자와 상기 경보음출력수단(21)의 전극에 접속하는 단자를 구비한 평탄상의 터미널부(33)가 상기 전지(V)와 상기 경보음출력수단(21)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 제6항 내지 제8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음출력수단(21)이 경보음으로서 간헐음을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 제6항 내지 제9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음출력수단(21)으로부터 출력한 경보음을 상기 광체(2)의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음방출용의 개부(10)가 상기 광체(2)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체(2) 내에 그 광체(2)내의 부품이 상기 개구부(10)로부터 외부로 노출하는 것을 차폐하는 차폐벽(32b)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P)이 상기 광체(2)를 상기 도난방지대상물(E)에 부착하는 부착구(13)와, 이 부착구(13)의 끼우고떼기에 동반하여 ONㆍOFF 하는 검지스위치(3')와, 특정개소에 설치된 발신기(0) 로부터 발신하는 정보전달용의 매체를 수신하는 상기 광체(2)에 설치된 수신수단(2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구(13)가 봉상부(13A)와 그의 일단을 유지하는 머리부(13B)로 이루어지는 부착핀이고, 상기 광체(2)를 상기 도난방지대상물(E)에 부착할때 상기 봉상부(13A)를 상기 도난방지대상물(E)을 통하여 상기 광체(2)에 접속하여 부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P)이 상기 광체(2)를 상기 도난방지대상물(E)에 부착하는 부착구(103)와, 이 부착구(103)의 끼우고떼기에 동반하여 ONㆍOFF 하는 검지스위치(3'')와 특정개소에 설치된 발신기(0)로부터 발신하는 정보전달용의 매체를 수신하는 상기 광체(2)에 설치된 수신수단(2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구(103)가 일련으로 연결되고 동시에 상기 광체(2)에 끼우고떼기되는 접속부(130)을 양단에 구비함과 동시에 이 접속부(130) 각각을 접속하는 와이어(131)와, 이 와이어(131) 및 상기 접속부(130)의 일부를 피복하는 외피(132)를 구비하는 와이어유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 제6항, 제12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수단(22)이 상기 발신기(0)로부터 전파를 수신하는데 동반하여 경보수단(A)을 작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도난방지장치용 공진안테나이고, 코일(L), 콘덴서(C) 및 저항기(R)를 병렬접속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기(0)가 한쌍의 패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진안테나(22)가 한쌍의 상기 발신기(0)의 예상되는 설치간격에 따라 미리 그의 수신 감도를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3-215884 | 1993-08-31 | ||
JP93-215882 | 1993-08-31 | ||
JP21588493A JPH0765259A (ja) | 1993-08-31 | 1993-08-31 | 盗難防止装置用共振アンテナ及びその受信感度調整方法 |
JP5215881A JP2989442B2 (ja) | 1993-08-31 | 1993-08-31 | 盗難防止装置 |
JP93-215881 | 1993-08-31 | ||
JP21588293A JP2949014B2 (ja) | 1993-08-31 | 1993-08-31 | 盗難防止装置 |
PCT/JP1994/001407 WO1995006924A1 (fr) | 1993-08-31 | 1994-08-25 | Dispositif antivo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704763A KR950704763A (ko) | 1995-11-20 |
KR100193460B1 true KR100193460B1 (ko) | 1999-06-15 |
Family
ID=27329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701683A KR100193460B1 (ko) | 1993-08-31 | 1994-08-25 | 도난방지장치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5844484A (ko) |
EP (1) | EP0667602B1 (ko) |
KR (1) | KR100193460B1 (ko) |
CA (1) | CA2147746A1 (ko) |
DE (1) | DE69420946T2 (ko) |
TW (1) | TW255030B (ko) |
WO (1) | WO199500692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A2147746A1 (en) * | 1993-08-31 | 1995-03-09 | Hiroyuki Fujiuchi | Theft preventive apparatus having alarm output |
WO1996004621A1 (fr) * | 1994-07-29 | 1996-02-15 | Kubota Corporation | Appareil d'alarme antivol et recepteur radio |
EP1050860A1 (en) * | 1994-07-29 | 2000-11-08 | Kubota Corporation | Radio wave receiving signaling device |
JP3360558B2 (ja) * | 1997-01-06 | 2002-12-24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圧電型電気音響変換器 |
US6081858A (en) * | 1997-11-26 | 2000-06-27 | Cirrus Logic,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shaping random waveforms |
US6087939A (en) * | 1998-09-22 | 2000-07-11 | Se-Kure Controls, Inc. | Security system |
JP4172670B2 (ja) * | 1999-06-15 | 2008-10-29 |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 電池収納部付きブザー |
US6636354B1 (en) * | 1999-12-29 | 2003-10-21 | Intel Corporation | Microscope device for a computer system |
US7474209B2 (en) * | 2005-01-14 | 2009-01-06 | Checkpoint Systems, Inc. | Cable alarm security device |
US8130100B2 (en) * | 2007-03-30 | 2012-03-06 | Mike Barger | Air conditioner anti-theft |
EP2210245A4 (en) * | 2007-06-11 | 2011-03-23 | Stuart T Seidel | HEARABLE THEFT PROTECTION LABEL |
US9135799B2 (en) | 2013-02-15 | 2015-09-15 | Xfmrs, Inc. | Theft detection in HVAC unit having persistent alarm |
JP6746949B2 (ja) | 2016-02-25 | 2020-08-26 | オムロン株式会社 | ハンドルロック機構、ハンドルロック装置および移動体 |
US10066422B2 (en) * | 2016-12-12 | 2018-09-04 | Xiao Hui Yang | EAS device with wrapping splitter for objects with wrapping |
US9830792B1 (en) * | 2016-12-12 | 2017-11-28 | Xiao Hui Yang | EAS device with installation switch and activating base |
Family Cites Families (2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204627B (de) * | 1963-10-04 | 1965-11-11 | Erwin O Haberfeld | Karteigeraet |
US3253271A (en) * | 1963-12-10 | 1966-05-24 | Jerome G Trupiano | Alarm |
GB1292380A (en) * | 1969-04-02 | 1972-10-11 | Unisearch Ltd | Electronic surveillance systems |
US3995900A (en) * | 1973-12-27 | 1976-12-07 | Sensormatic Electronics Corporation | Reusable security tag |
US4000543A (en) * | 1975-12-02 | 1977-01-04 | Eaton Corporation | Monitor actuating device and reusable fastener therefor |
US4274088A (en) * | 1980-05-27 | 1981-06-16 | Pierson Don H | Portable alarm system |
US4573042A (en) * | 1983-03-14 | 1986-02-25 | Sensormatic Electronics Corporation | 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security system |
JPS61160583A (ja) * | 1985-01-07 | 1986-07-21 | Nippon Denso Co Ltd | ラジアルプランジヤポンプ |
JPH074715Y2 (ja) * | 1985-03-25 | 1995-02-01 | 松下電工株式会社 | 防犯用スイッチ |
JPS62285328A (ja) * | 1986-06-02 | 1987-12-11 | 自動車電機工業株式会社 | 二方向スイツチ |
JPS63195493A (ja) * | 1987-02-09 | 1988-08-12 | 三菱樹脂株式会社 | 管継手 |
AU586356B2 (en) * | 1987-06-03 | 1989-07-06 | Magry Systems Co., Ltd. | Shoplifting preventing device |
JPH0441429Y2 (ko) * | 1987-06-03 | 1992-09-29 | ||
EP0341828B1 (en) * | 1988-04-08 | 1993-06-16 | Esselte Meto International GmbH | Antipilferage tags and their use |
US4962369A (en) * | 1989-02-09 | 1990-10-09 | Marcia Israel | Merchandise security system utilizing RF transmitter |
US5099228A (en) * | 1989-02-09 | 1992-03-24 | Marcia Israel | Electronic anti-theft merchandise tag having means for activating an alarm in response to an attempt to remove the tag from the merchandise |
GB8904730D0 (en) * | 1989-03-02 | 1989-04-12 | Molohon James | Anti-theft device |
JP2667498B2 (ja) * | 1989-03-31 | 1997-10-27 | 和泉電気株式会社 | 商品監視システム、ケースおよび被検出手段の活性化・非活性化方式 |
US4987754A (en) * | 1990-01-12 | 1991-01-29 | Knogo Corporation | Magnetically releasable target lock |
JP3055152B2 (ja) * | 1990-05-15 | 2000-06-26 | 日本電気株式会社 | 動画像信号の符号化・復号化方法およびその装置 |
JP2569635Y2 (ja) * | 1990-06-01 | 1998-04-28 | 松尾産業 株式会社 | 商品盗難防止装置 |
JPH04108286A (ja) * | 1990-08-28 | 1992-04-09 | Toshiba Corp | Y/c分離回路 |
US5191314A (en) * | 1990-08-31 | 1993-03-02 | Pacific West Industries | Combination anti-theft lock and alarm |
EP0667601A4 (en) * | 1993-08-31 | 1996-03-27 | Kubota Kk | SECURITY DEVICE AGAINST THEFT. |
EP0667600B1 (en) * | 1993-08-31 | 1999-10-20 | Kubota Corporation | Antitheft device |
CA2147746A1 (en) * | 1993-08-31 | 1995-03-09 | Hiroyuki Fujiuchi | Theft preventive apparatus having alarm output |
-
1994
- 1994-08-25 CA CA002147746A patent/CA2147746A1/en not_active Abandoned
- 1994-08-25 US US08/432,141 patent/US5844484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4-08-25 DE DE69420946T patent/DE69420946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4-08-25 KR KR1019950701683A patent/KR10019346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4-08-25 EP EP94925005A patent/EP0667602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4-08-25 WO PCT/JP1994/001407 patent/WO1995006924A1/ja active IP Right Grant
- 1994-08-30 TW TW083107962A patent/TW255030B/zh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704763A (ko) | 1995-11-20 |
WO1995006924A1 (fr) | 1995-03-09 |
DE69420946D1 (de) | 1999-11-04 |
DE69420946T2 (de) | 2000-04-20 |
EP0667602A1 (en) | 1995-08-16 |
TW255030B (ko) | 1995-08-21 |
EP0667602A4 (en) | 1996-03-27 |
US5844484A (en) | 1998-12-01 |
EP0667602B1 (en) | 1999-09-29 |
CA2147746A1 (en) | 1995-03-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667600B1 (en) | Antitheft device | |
US5610587A (en) | Theft preventive apparatus having an alarm output device | |
KR100193460B1 (ko) | 도난방지장치 | |
US6020819A (en) | Radio wave receiving signaling device | |
JP3054035B2 (ja) | 盗難防止装置 | |
JP2949015B2 (ja) | 盗難防止装置 | |
JP3081455B2 (ja) | 盗難防止装置 | |
JP3081458B2 (ja) | 盗難防止装置 | |
JP2949014B2 (ja) | 盗難防止装置 | |
JP3095625B2 (ja) | 盗難防止装置 | |
JP3032429B2 (ja) | 電波受信報知装置及び盗難防止装置 | |
JP3081459B2 (ja) | 盗難防止装置 | |
JP3025134B2 (ja) | 盗難防止装置用の検出具 | |
JP3081457B2 (ja) | 盗難防止装置 | |
JP2953916B2 (ja) | 盗難防止用の検出具 | |
JP2960841B2 (ja) | 盗難防止装置 | |
JP2989442B2 (ja) | 盗難防止装置 | |
JP3054036B2 (ja) | 盗難防止装置 | |
JPH0765259A (ja) | 盗難防止装置用共振アンテナ及びその受信感度調整方法 | |
JPH0765256A (ja) | 盗難防止装置 | |
JPH10232983A (ja) | 盗難防止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