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3268B1 - 디지탈신호재생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탈신호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3268B1
KR100193268B1 KR1019900005086A KR900005086A KR100193268B1 KR 100193268 B1 KR100193268 B1 KR 100193268B1 KR 1019900005086 A KR1019900005086 A KR 1019900005086A KR 900005086 A KR900005086 A KR 900005086A KR 100193268 B1 KR100193268 B1 KR 100193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circuit
signal
reproduction
c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5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8985A (ko
Inventor
다까히도 세끼
하지메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00018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8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3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3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 H04N9/89Time-base error compensation
    • H04N9/896Time-base error compensation using a digital memory with independent write-in and read-out clock generat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지탈신호재생장치
제1도는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의 블록도.
제2도는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의 설명을 위한 타이밍챠트.
제3도는 종래의 디지탈 신호재생장치의 일예의 블록도.
제4도는 종래의 디지탈신호재생장치의 다른 예의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헤드 4 : A/D 콘버터
5 : 클록재생회로 6 : FIFO 레지스터
13 : 디지탈복호회로.
본원 발명은 예를 들면 디지탈 VTR의 재생신호를 복호(復
Figure kpo00002
)하는데 사용함에 적합한 디지탈신호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은 예를 들면 디지탈 VTR의 재생신호를 복호하는데 사용함에 적합한 디지탈신호재생장치에 있어서, 디지탈신호가 기록된 기록매체로부터의 재생신호를 재생비트클록에 의거한 클록으로 A/D 변환하고, 이 A/D 변환된 재생신호를 재생비트클록에 의거한 클록으로 메모리에 기록하고, 메모리의 데이터를 기준클록으로 독출하고, 메모리의 출력을 복호하여 디지탈신호를 얻음으로써, 디지탈복호회로에서 디지탈신호의 처리를 행할 때에 디지탈 신호의 시간축(時間軸)변동성분을 없애두고, 고속소자를 사용하지 않아도 디지탈복호회로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디지탈 VTR에서는 테이프헤드계가 미분특성이기 때문에 재생신호중의 직류성분이 상실된다. 이 때문에, 디지탈 VTR의 재생 RF회로중에는 상실된 직류성분을 부활시켜 디지탈비디오신호를 복호하기 위한 복호회로가 필요하게 된다.
제3도는 종래의 디지탈 VTR의 재생 RF회로의 일예이다. 제3도에 있어서, 테이프(51)에 기록되어 있던 신호가 헤드(52)에서 재생된다. 테이프(51)에는 예를 들면 8비트로 양자화(量子化)된 디지탈비디오 신호가 기록되어 있다. 이 재생신호가 재생앰프(53)를 통해서 아날로그 복호회로(54)에 공급된다.
아날로그복호회로(54)는 재생앰프(53)를 통해서 추출되는 테이트(51)의 재생신호를 복호하여 디지탈비디오신호를 얻는 것이다.
즉, 테이프헤드계가 미분특성이므로 테이프(51)의 재생신호중의 직류성분은 상실된다. 아날로그복호회로(54)에서 재생신호중의 고역성분이 중강된 후, 이 재생신호가 적분된다. 이와 같이 재생신호를 적분함으로써 직류성분이 부활된다. 이 적분된 재생신호가 소정의 스레숄드레벨(threshold level)에서 2치화된다. 이로 인해 재생신호로부터 디지탈비디오신호가 복호된다.
복호회로(54)에서 복호된 디지탈비디오신호가 데이터래치회로(56)에 공급된다.
또, 테이프(51)의 재생신호가 재생앰프(53)를 통해서 클록재생회로(55)에 공급되고, 클록재생회로(55)에서 재생신호의 비트클록 BCKII이 재생된다. 이 재생비트클록 BCKII이 데이터래치회로(56)에 공급되는 동시에 TBC회로(57)에 공급된다.
데이터래치회로(56)에서 복호회로(54)의 출력이 비트클록 BCKII에 동기해서 래치된다. 이 데이터래치회로(56)의 출력이 TBC회로(57)에 공급된다.
TBC회로(57)는 재생신호중에 포함되어 있는 시간축변동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TBC회로(57)에는 클록재생회로(55)로부터의 비트클록 BCKII이공급되는 동시에 기준클록발생회로(59)로부터 기준클록 SCKII이 공급된다.
데이터래치회로(56)의 출력은 재생비트클록 BCKII에 의거한 클록에 의해 TBC회로(57)내의 메모리에 기억된다. 이 메모리에 기억된 디지탈 비디오신호가 기준클록발생회로(59)로부터의 기준클록 SCKII으로 독출된다. 이로써 재생신호중의 시간축변동성분이 제거된다.
TBC회로(57)에서 재생신호중의 시간축변동성분이 제거된다. 이와 동시에 TBC회로(57)에서 재생신호중의 싱클패턴이 검출된다. 이 검출된 싱크패턴을 기초로 직렬데이터가 병렬데이터로 변환된다.
TBC회로(57)의 출력이 신호처리회로(58)에 공급된다. 신호처리회로(58)에는 기준클록발생회로(59)로부터 기준클록 SCKII이 공급된다. 이 기준클록 SCKII에 의해 디지탈신호처리가 행하여진다.
이와같은 종래의 재생 RF회로에서는 복호회로(54)가 아날로그회로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온도특성의 영향을 받기 쉬우며 동작이 안정되지 않는다.
그래서,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앰프(53)를 통해서 추출되는 테이프(51)의 재생신호를 A/D콘버터(60)로 디지탈화하고, 이 디지탈화된 재생신호를 디지탈복호회로(61)에 공급하고, 디지탈신호처리에 의해 재생신호로부터 디지탈비디오신호를 복호하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복호회로(61)를 디지탈신호처리회로로 구성하면 온도특성의 영향을 받지 않고 동작이 안정된 것으로 된다.
그런데, 제4도에 도시한 구성에서는 시간축 변동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재생신호를 그대로 A/D 변환하여 디지탈복호회로(61)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디지탈복호회로(61)로서 고속소자를 사용한 것이 필요해진다.
즉, 재생신호중에는 시간축변동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같이 시간축변동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재생신호를 그대로 A/D변환하여 디지탈복호회로(61)에 공급하도록 한 경우에는 이 시간축변동분을 예상하여 디지탈복호회로(61)을 ECL 등의 고속소자를 사용하여 구성하지 않으면 안된다.
디지탈복호회로(61)를 고속소자를 사용하여 구성하면 회로규모가 커지는 동시에 소비전력이 커진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 디지탈복호회로(61)를 고속소자를 사용하여 구성하면 코스트업된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목적은 디지탈복호회로를 고속소자를 사용하지 않고 실현할 수 있고, 회로규모의 축소나 소비전력의 저감을 도모할수 있는 동시에, 로코스트화를 도모할 수 있는 디지탈신호재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원 발명은 디지탈신호가 기록된 기록매체로부터의 재생신호를 재생비트클록에 의거한 클록으로 A/D 변환하고, 이 A/D 변환된 재생신호를 재생비트클록에 의거한 클록으로 메모리에 기록하고, 이 메모리의 데이터를 기준클록으로 독출하고, 메모리의 출력을 복호하여 디지탈신호를 얻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신호재생장치이다.
디지탈복호회로(13)에서 재생신호를 복호하기 전에 FIFO 레지스터(16)에서 재생신호가 재생비트클록 BCK에 의거하여 기록되고, 기준클록 SCK에 의거하여 독출되며, 재생신호중의 시간축변동성분이 제거된다. 그리고, 디지탈복호회로(13)는 시간축변동성분이 없는 기준클록 SCK에 의거하여 동작된다. 디지탈복호회로(13)가 시간축변동성분이 없는 기준클록 SCK으로 동작하고 있으므로, 디지탈복호회로(13)로서는 고속의 것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이하,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테이프(1)의 기록신호가 헤드(2)로 재생된다. 테이프(1)에는 디지탈비디오신호가 기록되어 있다. 이 재생신호가 재생앰프(3)를 통해서 A/D콘버터(4)에 공급되는 동시에, 클록재생회로(5)에 공급된다. 클록재생회로(5)에서 재생신호의 비트클록 BCK이 재생된다.
클록재생회로(5)에서 재생된 비트클록 BCK이 A/D콘버터(4)에 공급된다. A/D콘버터(4)에서 테이프(1)의 재생신호가 디지탈화된다. A/D콘버터(4)의 출력이 FIFO 레지스터(6)에 공급된다.
FIFO 레지스터(6)에는 클록재생회로(5)로부터의 재생비트클록 BCK이 기록클록으로서 공급되는 동시에, 기준클록발생회로(7)로부터의 기준클록 SCK이 독출클록으로서 공급된다.
또, 입력단자(8)로부터의 헤드전환신호 RFSW를 기초로 FIFO 레지스터(6)의 입력리세트펄스 및 출력리세트펄스가 형성된다. 즉, 입력단자(8)에 헤드전환신호 RFSW가 공급된다.. 이 헤드전환신호 RFSW가 미분회로(10)에 공급되는 동시에, 지연회로(11)를 통해서 미분회로(12)에 공급된다. 미분회로(10)의 출력이 입력리세트펄스로서 FIFO 레지스터(6)에 공급된다.
헤드전환신호 RFSW(제2a도)가 변화된 직후에 미분회로(10)에서 입력리세트펄스(제2b도)가 발생된다. 이 입력리세트펄스에 의해 FIFO레지스터(6)의 입력이 리세트된다. 그리고, A/D 콘버터(4)의 출력이 제2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비트클록 BCK에 동기하여 FIFO레지스터(6)에 순차 기록된다.
헤드전환신호 RFSW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연회로(11)를 통해서 ta만큼 지연된다. 헤드전환신호 RFSW(제2a도)가 변화하고 나서 지연시간 ta경과후, 제2e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리세트펄스가 발생된다. 이 리세트펄스에 의해 FIFO 레지스터(6)의 출력이 리세트된다.
이로 인해, FIFO 레지스터(6)에 기록된 데이터는 제2d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클록발생회로(7)로부터의 기준클록 SCK에 동기하여 순차독출된다. 이 FIFO 레지스터(6)의 출력이 복호회로(13)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FIFO 레지스터(6)에는 재생비트클록 BCK에 동기하여 데이터가 기록되고, 기준클록 SCK에 동기해서 데이터가 독출된다. 이로써 재생신호중의 시간축변동성분이 제거된다.
테이프헤드계가 미분특성이기 때문에 재생신호중의 직류성분은 상실되어 있다. FIFO 레지스터(6)의 출력이 디지탈복호회로(13)에 공급된다. 디지탈복호회로(13)에 의해 재생신호중의 직류성분이 부활된다.
그런데, 디지탈복호회로(13)는 기준클록발생회로(7)로부터의 기준클록 SCK으로 동작된다. 이와 같이, 디지탈복호회로(13)가 시간축변동이 없는 기준클록 SCK으로 동작되므로, 디지탈복호회로(13)로서는 고속소자의 것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디지탈복호회로(13)의 출력이 싱크패턴검출 및 바이트동기회로(14)에 공급된다. 싱크패턴검출 및 바이트동기회로(14)로 검출된 싱크패턴을 기초로 직렬의 재생비디오신호데이터가 병렬데이터로 변환된다.
싱크패턴검출 및 바이트동기회로(14)의 출력이 신호처리회로(15)에 공급된다. 신호처리회로(15)에는 기준클록발생회로(7)로부터 기준클록 SCK이 공급된다. 이 기준클록 SCK을 사용하여 디지탈신호처리가 행하여진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디지탈복호회로(13)에서 재생신호를 복호하기 전에 FIFO 레지스터(6)에 의해 재생신호중의 시간축변동성분이 제거된다.
그리고, 디지탈복호회로(13)는 시간축변동성분이 없는 기준클록 SCK에 의거하여 동작된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에서는 디지탈복호회로(13)가 시간축변동성분이 없는 기준클록 SCK으로 동작하고 있으므로, 디지탈복호회로(13)로서는 고속소자의 것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회로규모를 축소하고, 소비전력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코스트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

  1. 기록매체에 기록된 디지탈 신호를 재생하여 아날로그 재생신호로 출력하는 재생수단; 재생비트클록에 의거한 클록으로 상기 재생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재생신호를 디지탈 재생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수단; 상기 재생비트클록에 의거한 클록으로 상기 A/D 변환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탈 재생신호를 입력받고 기준클록으로 상기 입력된 디지탈 재생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디지탈 재생신호의 시간축변동성분을 제거하는 저장수단 ; 및 상기 기준클록으로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탈 재생를 신호를 복호하여,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디지탈신호가 재생된 디지탈신호를 출력하는 복호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탈신호재생장치.
KR1019900005086A 1989-05-19 1990-04-13 디지탈신호재생장치 KR1001932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9-127,561 1989-05-19
JP1127561A JP2939998B2 (ja) 1989-05-19 1989-05-19 ディジタル信号再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8985A KR900018985A (ko) 1990-12-22
KR100193268B1 true KR100193268B1 (ko) 1999-06-15

Family

ID=14963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5086A KR100193268B1 (ko) 1989-05-19 1990-04-13 디지탈신호재생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162953A (ko)
EP (1) EP0398737B1 (ko)
JP (1) JP2939998B2 (ko)
KR (1) KR100193268B1 (ko)
DE (1) DE6902789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9436A (ja) * 1998-11-02 2000-05-30 Sony Corp ディジタル情報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0010B2 (ja) * 1984-07-17 1996-10-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録画装置
EP0171022A3 (en) * 1984-07-31 1988-02-03 Yamaha Corporation Signal delay device
GB2164780B (en) * 1984-09-17 1988-05-25 Sony Corp Methods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udio signals
JP2513182B2 (ja) * 1986-04-09 1996-07-03 ソニー株式会社 デジタルビデオ信号の記録方法
JPH06101860B2 (ja) * 1986-04-11 1994-12-12 ソニー株式会社 時間軸補正装置
JPS63288569A (ja) * 1987-05-20 1988-11-25 Nec Corp ファクシミリ装置
JPS6462090A (en) * 1987-09-02 1989-03-08 Hitachi Ltd Video signal processor
JP2851633B2 (ja) * 1989-02-06 1999-01-27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光学的情報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162953A (en) 1992-11-10
DE69027891T2 (de) 1996-11-28
KR900018985A (ko) 1990-12-22
DE69027891D1 (de) 1996-08-29
EP0398737A2 (en) 1990-11-22
JPH02306474A (ja) 1990-12-19
JP2939998B2 (ja) 1999-08-25
EP0398737A3 (en) 1992-09-09
EP0398737B1 (en) 1996-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525029T2 (de) Aufzeichnung und wiedergabe von datenreduzierten digitalen videosignalen auf einen longitudinalen aufzeichnungsträger
KR960019085A (ko) 복호회로 및 재생장치
KR100193268B1 (ko) 디지탈신호재생장치
KR100527645B1 (ko) 오디오 재생 장치
JP3083221B2 (ja) ディジタル信号再生装置及びディジタル信号再生方法
KR950000825B1 (ko) 노이즈리덕숀장치
EP0594138B1 (en) Multi-track magnetic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KR920008146B1 (ko) 데이타 재생 장치
David Jr et al. A high-speed data translator for computer simulation of speech and television devices
KR100476490B1 (ko) 오디오 및 비디오 기록 및 재생 장치
US4612508A (en) Modified Miller data demodulator
KR960032308A (ko) 디지탈 신호 기록/재생 장치 및 방법
JPS645178A (en) Magnetic video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ATE78654T1 (de) Vorrichtung zur wiedergabe eines farbkomponentensignales.
JP2973937B2 (ja) 磁気テープ再生信号二値化装置
KR100223567B1 (ko) 디지탈 재생신호의 비동기 샘플링 모드에서의 버퍼 제어 회로
KR0154696B1 (ko) 디지탈 기록 재생 장치의 동기 패턴 기록 및 검출회로
KR0178754B1 (ko) D-vcr의 재생데이타 보정장치
JPS6111988A (ja) 固体化レコ−ダ装置
SU76017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агнитной записи цифровой информации 1 2
SU978189A1 (ru) Устройство магнитной записи и воспроизведени информации
KR0156847B1 (ko) 디지탈신호 기록/재생 장치
JPS63113982A (ja) デジタル信号検出回路
KR0182976B1 (ko) 고속의 시간코드 리드기
SU119193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писи-воспроизведени цифровой информации на магнитном носител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