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6847B1 - 디지탈신호 기록/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탈신호 기록/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6847B1
KR0156847B1 KR1019910000388A KR910000388A KR0156847B1 KR 0156847 B1 KR0156847 B1 KR 0156847B1 KR 1019910000388 A KR1019910000388 A KR 1019910000388A KR 910000388 A KR910000388 A KR 910000388A KR 0156847 B1 KR0156847 B1 KR 0156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igital
analog
output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0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5330A (ko
Inventor
목철웅
Original Assignee
강진구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진구,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진구
Priority to KR1019910000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6847B1/ko
Publication of KR920015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5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6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6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디지탈신호 기록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래의 디지탈신호를 열화시키어 DSM등의 기록장치에 기록토록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변조된 디지탈신호를 복조하고 아나로그신호로서 변환하여 모니터 신호로서 출력하고, 상기 모니터신호로 출력되는 아나로그신호를 다시 디지탈신호로 변환시키어 본래의 아나로그신호를 다시 디지탈신호로 변환시키어 본래의 신호를 열화시키고, 상기 변환 동작을 통해 본래의 디지탈신호 보다 열화된 디지탈신호를 디지탈 오디오 인터페이스 포맷형태의 신호로 처리하여 DSM에 기록하고 재생도록 한다.

Description

디지탈 신호 기록/재생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신호 기록/재생 장치의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DSM 22 : 바이-페이즈 복조기
24 : DAC 26 : 아나로그 스위치
28 : ADC 30 : DSP
32,34 : 멀티플렉서
본 발명은 디지탈 신호 기록/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탈 신호 입력과 아나로그 신호 입력을 받아들여 선택적으로 기록을 행하고, 그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여 디지탈 신호 출력과 아나로그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디지탈 기록/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디지탈 신호 입력과 아나로그 신호를 입력하여 기록/재생하는 장치로는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DAT(digetal audio tape)나 CD-E(compact diskerasable)등이 있다. 이와 같은 DAT나 CD-E등의 디지탈 신호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아나로그 신호를 입력하여 디지탈 신호로 변환후 변조하여 디지탈 기록 매체(digital storge media : DSM)에 기록하는 경우에는 문제시되고 있지 않으나, 디지탈 신호의 입력을 DSM에 기록하는 경우에는 원음과 동일한 신호를 기록하므로써 기록에 따라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있다.
현재, 디지탈 입력 매체로의 기록에 따른 저작권 문제가 아직 미해결 상태이며, 그 대책으로서 1회 복제만을 허용하는 SCMS(serial copy management system) 방식이 추천되고 있다.
이런 제한 사항이 고려되고 있는 것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탈 신호를 복제한다는 자체가 아나로그 디지탈 변환과정이 생략된 코드 자체의 기록으로써 그 기록을 수행하면 복제본과 원본(master)과의 구분이 사실상 불가능하여 그야말로 완벽한, 신호 열화 없는 복제가 되어 원본에 대한 저작권을 무시하는 결과가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탈 신호와 아나로그 신호를 입력하여 DSM에 기록하는 경우, 디지탈 신호를 기록시 그 디지탈 입력 신호를 강제로 열화시켜 기록 매체에 기록하도록 하는 디지탈 신호 기록/재생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SCMS방식과 별도로 디지탈 입력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경우, 상기 디지탈 신호의 입력을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아나로그 신호의 입력을 디지탈 신호로 변환시켜 디지탈 신호를 기록하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디지탈 신호와 아나로그 신호를 DSM에 기록시 기록 상태를 아나로그 신호로서 모니터링하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신호 기록/재생의 블럭로로서, 디지탈 신호 입력단자(12), 디지탈/아날로그 선택단자(14), 기록/재생신호 입력단자(16), 아나로그 신호 입력단자(18)와, 기록 및 재생 제어 신호에 의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탈 신호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거나,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여 출력하는 DSM(20)과, 디지탈 변조된 신호를 바이-페이즈(bi-phase) 복조하여 PCM 데이타로 출력하는 바이-페이즈 복조기(22)와, 디지탈 신호를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모니터링 신호로서 출력하는 디지탈/아나로그 변환기(digital to analog converter)(이하 DAC라 칭함)(24)과, 상기 디지탈/아나로그 선택 단자(14)로 입력되는 선택신호에 의해 상기 DAC(24)의 출력과 상기 아나로그 신호 입력단자(18)로 입력되는 신호중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아나로그 스위치(26)와, 상기 아나로그 스위치(26)로부터 출력되는 아나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나로그 디지탈 변환기(analog to digital converter)(28)와, 상기 ADC(28)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탈 신호를 디지탈 오디오 인터페이스 포맷(Digital Audio Interface Format)(이하 DAIF라 칭함)의 기록 디지탈 신호로 처리하여 상기DSM(20)에 기록하고, 상기 DSM(20)으로부터 출력되는 DAIF의 형태로 재생 출력되는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재생된 디지탈 신호로 출력함과 동시에 PCM 데이타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지탈 신호 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30)와, 상기 바이-페이즈 복조기(22)의 출력과 상기 ADC(28)의 출력을 상기 디지탈/아나로그 선택단자(14)의 입력에 따라 선택 출력하는 제1멀티플렉서(32)와, 기록/재생 신호 입력단자(16)로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1멀티플렉서(32)의 출력과 DSP(30)로부터 출력되는 PCM데이타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DAC(24)로 출력하는 제2멀티플렉서(34)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제3도의 동작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지금, 디지탈 입력단자(12)와 아나로그 입력단자(18)로 변조된 디지탈 신호와 아나로그 신호가 각각 입력되면, 상기 디지탈 입력단자(12)로 입력되는 디지탈 신호는 복조기(22)에서 바이-페이즈 복조(bi-phase demodulation)되어 변조되기 이전의 PCM(pulse code modulation)의 신호로 출력된다.
이때, 사용자가 아나로그 입력(analog in)을 기록신호로서 선택하는 경우 디지탈/아나로그 선택단자(14)로 입력되는 선택신호
Figure kpo00002
는 논리 로우로 입력된다. 상기 디지탈/아나로그 선택단자(14)로 입력되는 선택신호
Figure kpo00003
는 디지탈 신호 혹은 아나로그 신호의 입력을 선택하는 것으로, 기록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입력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아나로그 신호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로우로 입력되며, 디지탈 신호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하이로 입력된다.
현재, 상기 디지탈/아나로그 선택단자(14)로 입력되는 선택신호
Figure kpo00004
가 로우이므로, 아나로그 스위치(26)는 DAC(24)의 출력과 아나로그 입력단자(18)중 상기 입력단자(18)로 입력되는 아나로그 신호를 선택하여 ADC(28)로 공급한다.
상기 DSP(30)는 디지탈 변조 등의 신호처리를 하여 기록신호로서 DSM(20)에 기록한다. 상기 DSP(30)는 아나로그 입력에 대한 디지탈 신호를 출력하는데 있어 출력 규격은 DAIF에 따라 변조하여 기록신호로서 출력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복조기(22)의 출력단자와 ADC(28)의 출력단자에 입력단자(A)와 (B)와 각각 접속된 제1멀티플렉서(32)는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선택단자(14)로 입력되는 로우의 선택신호
Figure kpo00005
에 응답하여 단자(B)의 신호를 출력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1멀티플렉서(32)의 출력은 전술한 DSP(30)의 출력을 입력단자(B)로 입력하는 제2멀티플렉서(34)의 입력단자(A)로 공급된다.
상기 제2멀티플렉서(34)의 선택신호(SEL)는 현재의 장치모드가 기록모드/재생모드인가를 선택하는 기록/재생신호 입력단자(16)로 입력되는 기록/재생 모드신호
Figure kpo00006
이다. 현재는 기록모드이므로, 제2멀티플렉서(34)의 출력은 입력단자(A)를 선택하여 출력단자(Y)에 접속된 DAC(24)로 출력한다. 따라서, 제2멀티플렉서(34)의 출력은 DAC(24)에서 디지탈/아나로그 변환되어 현재 기록되는 아나로그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monitoring) 신호로서 단자(ANALOG OUT)로 출력된다.
한편, 디지탈 신호 입력단자(12)로 입력되는 디지탈 입력(digital in)을 기록신호로서 기록할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바이-페이즈 복조기(22)에서 변조되기 전의 PCM데이타로 NRZ(non-return zero)복조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바이-페이즈 변조되는 형태는 디지탈 기기들간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DAIF에 준한 것이다.
상기 바이-페이즈 복조기(22)의 출력은 제1멀티플렉서(22)의 입력단자(A)로 공급된다. 이때, 디지탈 신호의 입력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신호
Figure kpo00007
가 논리 하이로 입력되므로, 상기 제1멀티플렉서(32)는 입력단자(A)로 입력되는 PCM데이타를 선택하여 제2멀티플렉서(34)의 입력단자(A)로 공급한다.
상기 제2멀티플렉서(34)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록/재생신호 입력단자(16)로 입력되는 기록/재생 모드신호
Figure kpo00008
에 의해 단자(A)의 입력을 선택하여 DAC(24)에 공급한다. 따라서, 상기 디지탈 입력단자(12)로 입력되는 디지탈 신호를 기록신호로 선택하여 기록하는 경우,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아나로그 출력단자(analog out)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모니터링 신호로서 출력됨과 동시에 아나로그 스위치(26)로 입력된다.
상기 아나로그 스위치(26)는 현재 선택신호
Figure kpo00009
가 논리 하이로서 디지탈 입력단자(12)로 입력되는 신호를 선택하는 경우이므로 DAC(24)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선택하여 ADC(28)로 입력시킨다. 이때, 상기 DAC(28)는 상기 아나로그 스위치(26)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다시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DSP(30)으로 공급한다.
따라서, 상기 디지탈 입력단자(12)로 입력된 디지탈 입력(digital in)은 바이-페이즈 복조, 디지탈 아나로그 변환 및 아나로그 디지탈 변환 과정을 거치게 되어 원 신호에 비해 신호 열화가 발생하게 된다. 신호가 열화되어 DSP(30)로 입력된 디지탈 신호는 DSP(30)내에서 신호 처리된 후 DAIF의 형태로서 DSM(20)에 기록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아날로그 신호가 기록신호로 선택되어 입력되는 경우 제1도에 의한 장치는 단순히 아나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기록 매체인 DSM(20)에 기록하고, 디지탈 신호가 기록신호로 선택되어 입력되는 경우 강제로 기록된 신호를 열화 시켜 DSM(20)에 기록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재생모드의 선택에 의해 상기 DSM(20)으로부터 읽혀진 재생신호는 DSP(30)에서 DAIF에 준한 신호로 바이-페이즈 변조 등의 신호 처리 과정을 거쳐 디지탈 신호 출력단자(digital out)로 출력하는 한편, 순순한 NRZ PCM 데이타는 제2멀티플렉서(34)의 입력단자(B)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2멀티플렉서(34)에 입력된 NRZ PCM 데이타는 단자(16)로 입력되는 논리 로우의 기록/재생 모드신호
Figure kpo00010
에 의해 선택되어 DAC(24)에 입력된다.
따라서, DSP(30)로부터 출력되어 제2멀티플렉서(34)로 입력되는 NRZ PCM 데이타는 DAC(24)에 의해 다시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아나로그 출력단자(analog out)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므로서 DSM(20)으로부터 재생되는 신호는 디지탈 출력단자(digital out) 및 아나로그 출력단자(analog out)로 동시에 출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지탈 신호를 DSM과 같은 기록 매체에 기록시 입력 디지탈 신호를 강제로 열화시키어 기록하고 재생하므로써 SCMS등의 방식을 이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저작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Claims (1)

  1. 디지탈 신호 입력단자(12), 디지탈/아나로그 선택단자(14), 기록/재생신호 입력단자(16), 아나로그 신호 입력단자(18), 아나로그 출력단자 및 디지탈 출력 단자를 구비한 디지탈 신호 기록/재생에 있어서, 기록 및 재생 제어 신호에 의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탈 신호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거나,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여 출력하는 디지탈 기록 매체(20)와, 상기 디지탈 신호 입력단자(12)로 입력되는 디지탈 신호를 바이-페이즈 복조하여 PCM 데이타로 출력하는 바이-페이즈 복조기(22)와, 디지탈 신호를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모니터링 신호로서 출력하는 디지탈/아나로그 변환기(24)와, 상기 디지탈/아나로그 선택단자(14)로 입력되는 선택신호에 의해 상기 디지탈 아나로그 변환기(24)의 출력과 상기 아나로그 신호 입력단자(18)로 입력되는 신호중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아나로그 스위치(26)와, 상기 아나로그 스위치(26)로부터 출력되는 아나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나로그 디지탈 변환기(28)와, 상기 아나로그 디지탈 변환기(28)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탈 신호를 디지탈 오디오 인터페이스 포맷의 기록 디지탈 신호로 처리하여 상기 DSM(20)에 기록하고, 상기 DSM(20)으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탈 오디오 인터페이스 포맷의 형태로 재생 출력되는 신호를 신호처리 하여 재생된 디지탈 신호로 출력함과 동시에 PCM 데이타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지탈 신호 처리기(30)와, 상기 바이-페이즈 복조기(22)의 출력과 상기 아나로그 디지탈 변환기(28)의 출력을 상기 디지탈/아나로그 선택단자(14)의 입력에 따라 선택 출력하는 제1멀티플렉서(32)와, 기록/재생 신호 입력단자(16)로 입력되는 기록/재생 모드신호에 따라 상기 제1멀티플렉서(32)의 출력과 디지탈 신호 처리기(30)로부터 출력되는 PCM 데이타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디지탈 아나로그 변환기(24)로 출력하는 제2멀티플렉서(3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신호 기록/재생 장치.
KR1019910000388A 1991-01-12 1991-01-12 디지탈신호 기록/재생 장치 KR0156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0388A KR0156847B1 (ko) 1991-01-12 1991-01-12 디지탈신호 기록/재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0388A KR0156847B1 (ko) 1991-01-12 1991-01-12 디지탈신호 기록/재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330A KR920015330A (ko) 1992-08-26
KR0156847B1 true KR0156847B1 (ko) 1998-12-15

Family

ID=19309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0388A KR0156847B1 (ko) 1991-01-12 1991-01-12 디지탈신호 기록/재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684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330A (ko) 1992-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77475A (ko) 기록매체, 기록방법, 기록장치, 정보신호를 위한출력제어방법, 기록매체를 위한 재생장치,신호전송밥법과 콘텐츠 데이터
KR100520809B1 (ko) 기록매체로부터 디지탈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
US5574453A (en) Digital audio recording apparatus
JPH0725841Y2 (ja) カセットテープレコーダ
KR100282502B1 (ko) 음성 신호 전송 장치 및 전송 방법(Audio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KR950004703Y1 (ko)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의 자막신호기록 및 재생장치
KR0156847B1 (ko) 디지탈신호 기록/재생 장치
US5295023A (en) Digital signal recording apparatus for analog/digital input
JP2614840B2 (ja) デジタルオーディオ録音再生装置
KR100476490B1 (ko) 오디오 및 비디오 기록 및 재생 장치
JP2991306B2 (ja) 記録装置
JP3006119B2 (ja) 信号記録再生装置
JPS6386156A (ja) デジタル再生装置
JPH04330668A (ja) 記録装置
JP2865769B2 (ja) Pcm信号再生装置および記録再生装置
JPH0337176Y2 (ko)
KR100203242B1 (ko) 자기기록재생시스템의 주파수 보상장치
JP2735624B2 (ja) デイジタル音声記録再生装置
KR850001676B1 (ko) 디지탈 기록 재생장치
JPH0583055A (ja) 信号再処理装置
JPH06309792A (ja) ディジタル記録再生装置
JPS6286581A (ja) デイスク再生装置
JP2001223588A (ja) 送受信装置
JPH05234245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3292679A (ja) 音響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