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2369B1 - 반도체소자 평탄화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소자 평탄화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2369B1
KR100192369B1 KR1019950052208A KR19950052208A KR100192369B1 KR 100192369 B1 KR100192369 B1 KR 100192369B1 KR 1019950052208 A KR1019950052208 A KR 1019950052208A KR 19950052208 A KR19950052208 A KR 19950052208A KR 100192369 B1 KR100192369 B1 KR 100192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ayer insulating
insulating film
semiconductor device
forming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2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석빈
Original Assignee
구본준
엘지반도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본준, 엘지반도체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본준
Priority to KR1019950052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23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2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2369B1/ko

Links

Landscapes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평탄화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셀부와 셀주변부의 단차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어 고집적소자 제작에 적합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평탄화 형성방법은 반도체 기판의 표면에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과의 단차를 없애기 위한 반도체 소자의 평탄화 형성방법에 있어서, 기판 표면에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을 갖는 제1 층간 절연막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 상기 제1 층간절연막의 노출된 표면위에 제2 층간 절연막과, 상기 제2 층간 절연막위에 제3 층간 절연막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 ; 상기 제3 층간 절연막을 상기 제1 층간 절연막의 낮은 지역 부분위에만 남도록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단계 ; 상기 선택적으로 제거되고 남은 상기 제3 층간 절연막 부분을 상기 제2 층간 절연막의 높이 만큼만 남도록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반도체소자의 평탄화 형성방법
제1a~1c도는 종래 반도체소자의 평탄화 형성공정도
제2a~2f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평탄화 형성공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반도체기판 12 : 제1 층간절연막
13 : 제2 층간절연막 14, 14,a : 제3 층간절연막
15, 15a : 감광막
본 발명은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셀부와 셀주변부의 단차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어 고집적소자의 평탄화 공정시에 적합하도록 한 반도체소자의 평탄화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반도체소자의평탄화 형성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a~1c도는 종래 반도체소자의 평탄화형성 공정도이다.
종래 반도체소자의 평탄화 형성방법은 먼저 제1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표면에 단차(즉,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과의 차이)(△Y)를 갖는 제1 층간 절연막(2)이 형성된 반도체기판(1)을 준비한다. 이어서 상기 제1 층간 절연막(2)의 노출된 표면위에 절연물질을 증착하여 제2 층간 절연막(3)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제2층간 절연막(3)과 상기 제1층간 절연막(2)은 단차(△X)를 갖는다.
그 다음제1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층간 절연막(3) 위에 금속물질을 증착하고, 사진석판술(photolithography) 및 사진식각법에 의해 상기 금속물질 층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제 1 배선막(4)을 형성한다.
이어서 제1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배선막(4)을 포함한 상기 제2 층간 절연막(3)의 노출된 표면위에,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2 배선막과의 격리를 위해 절연물질을 증착하여 제3 층간 절연막(5)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제3층간 절연막(5) 형성시에 셀부와 셀주변부는 단차(△Z)를 갖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종래 반도체소자의 평탄화 형성방법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있다.
종래 반도체소자의평탄화 형성방법에 있어서는 셀부와 셀주변부와의 단차문제를 크게 고려하지 않으므로 인해 평탄화 공정후에도 상기 셀부와 셀주변부에는 단차(△Z)가 형성된다.
따라서 종래의 반도체소자의 평탄화 형성방법은 고집적소자의 평탄화 공정시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셀부와 셀주변부의 단차를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고집적소자 제작에 적합하도록 한 반도체소자의 평탄화 형성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평탄화 형성방법은 반도체 기판의 표면에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과의 단차를 없애기 위한 반도체소자의 평탄화 형성방법에 있어서, 기판표면에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을 갖는 제1 층간 절연막이 형성된 반도체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 상기 제1 층간절연막의 노출된 표면위에 제2 층간 절연막과, 상기 제2 층간 절연막위에 제3 층간 절연막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 ; 상기 제3 층간 절연막을 상기 제1 층간 절연막의 낮은 지역 부분위에만 남도록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단계 ; 상기 선택적으로 제거되고 남은 상기 제3 층간 절연막 부분을 상기 제2 층간 절연막의 높이 만큼만 남도록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a~2f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편탄화형성 공정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평탄화 형성방법은, 먼저 제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표면에 단차를 갖는 제1 층간 절연막(12)이 형성된 반도체기판(11)을 준비한다.
이어서 상기 제1 층간 절연막(12)의 노출된 표면위에 절연물질(예를들면 BPSG 또는 BSG 물질 등)을 증착하여 제2 층간절연막(ILD : Inter Layer Dielectric)(13)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제2층간 절연막(13) 형성시에 상기 제층간절연막(12)의 높은 지역과, 상기 제1층간 절연막(12)의 낮은 지역에 형성된 상기 제2 층간절연막(13)부분은 단차(△Y)를 갖는다.
한편 상기 제1층간 절연막(12)의 높은지역에 형성된 상기 제2 층간절연막(13)과, 상기 제1층간절연막(12)의 낮은지역에 형성된 상기 제2층간절연막(13) 부분은 에 있어서, 표면이 낮은 지역은 주변부를 이루고 표면이 높은 지역은 셀부를 이룬다.
그 다음 제2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층간절연막(13)위에 유동성이 좋은 (flowable)절연물질(예를 들면 BPSG 물질)을 증착하여 제3층간 절연막(14)을 형성하고, 상기 제3 층간 절연막(14)위에 감광막(15)을 도포한다.
이어서, 제2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광 및 현상공정에 의해 상기 감광막(15)을 상기 제1층간 절연막(12)의 낮은지역 상부에만 남도록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일부분(15a)만 남도록 한다.
그다음 제2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거되고 남은 감광막(15a)을 마스크로 사진석판술(photo lithography) 및 사진식각 공정에 의해 상기 제3 층간 절연막(14)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일부분(14a)만 남도록 한다.
이어서 제2e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층간 절연막(14a)을 제외한 상기 감광막(15a)을 제거한다.
그 다음 제2f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층간 절연막(14a)을 상기 제2 층간 절연막(14b) 높이만큼만 남도록 에치백하여 평탄화 공정을 완료한다.
이 때, 셀부와 셀주변부의 단차, 즉 단차(△Y)가 거의 존재하지 않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평탄화 형성방법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평탄화 형성방법에 있어서는 셀부와 주변부와의 단차를 제1 층간 절연막상에 제2 및 제3 층간 절연막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제3 층간절연막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단차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므로서 셀부와 셀주변부와의 단차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평탄화 형성방법은 고집적소자의 평탄화 공정시에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Claims (2)

  1. 반도체 기판의 표면에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과의 단차를 없애기 위한 반도체 소자의 평탄화 형성방법에 있어서, 기판 표면에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을 갖는 제1 층간 절연막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 상기 제1 층간절연막의 노출된 표면위에 제2 층간 절연막과, 상기 제2 층간 절연막위에 유동성이 좋은 제3 층간 절연막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 ; 상기 제3 층간 절연막을 상기 제1 층간 절연막의 낮은 지역 부분위에만 남도록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단계 ; 상기 선택적으로 제거되고 남은 상기 제3 층간 절연막 부분을 상기 제2 층간 절연막의 높이 만큼만 남도록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평탄화 형성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물질은 BPSG, BSG, PSB 중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평탄화 형성방법
KR1019950052208A 1995-12-19 1995-12-19 반도체소자 평탄화 형성방법 KR100192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2208A KR100192369B1 (ko) 1995-12-19 1995-12-19 반도체소자 평탄화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2208A KR100192369B1 (ko) 1995-12-19 1995-12-19 반도체소자 평탄화 형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92369B1 true KR100192369B1 (ko) 1999-06-15

Family

ID=19441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2208A KR100192369B1 (ko) 1995-12-19 1995-12-19 반도체소자 평탄화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236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6569A (en) Dual damascene process for metal layers and organic intermetal layers
US5882999A (en) Process for metallization of an insulation layer
KR20000044928A (ko) 반도체 소자의 트랜치 형성 방법
EP0370935B1 (en) Method of forming conductive lines and studs
US5922516A (en) Bi-layer silylation process
US6174801B1 (en) E-beam direct writing to pattern step profiles of dielectric layers applied to fill poly via with poly line, contact with metal line, and metal via with metal line
US5902133A (en) Method of forming a narrow polysilicon gate with i-line lithography
KR100192369B1 (ko) 반도체소자 평탄화 형성방법
US6242795B1 (en) Metal line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460064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KR100384876B1 (ko) 반도체소자에서의 개선된 듀얼 대머신 공정
US6191041B1 (en) Method of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US6451706B1 (en) Attenuation of reflecting lights by surface treatment
KR0124633B1 (ko) 아이엠디(imd)를 이용한 메탈패턴 형성방법
US5354706A (en) Formation of uniform dimension conductive lines on a semiconductor wafer
KR20030050790A (ko) 반도체 패드 영역 및 퓨즈 영역 형성방법
KR100265991B1 (ko) 반도체 장치의 다층 배선간 연결공정
KR0128834B1 (ko)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KR100248150B1 (ko) 반도체소자의 콘택홀형성방법
KR20030049571A (ko) 듀얼-다마신 공정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형성방법
KR970000693B1 (ko) 반도체 소자의 오버랩 여유 확보방법
KR100265835B1 (ko) 반도체소자의금속배선형성방법
KR20000043099A (ko) 반도체 소자의 도전층 배선 형성 방법
KR100275127B1 (ko) 반도체 소자의 다층 금속 배선 평탄화방법
KR100275940B1 (ko) 반도체장치의층간절연층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