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1783B1 - 인터페이스용 스위치회로 - Google Patents

인터페이스용 스위치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1783B1
KR100191783B1 KR1019960004182A KR19960004182A KR100191783B1 KR 100191783 B1 KR100191783 B1 KR 100191783B1 KR 1019960004182 A KR1019960004182 A KR 1019960004182A KR 19960004182 A KR19960004182 A KR 19960004182A KR 100191783 B1 KR100191783 B1 KR 100191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block
interface
connection node
operating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4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3932A (ko
Inventor
박희중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04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1783B1/ko
Publication of KR970063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3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1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17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008Arrangement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 H03K19/0016Arrangement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using a control or a clock signal, e.g. in order to apply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7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7509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7518Interface arrangements using a combination of bipolar and field effect transistors [BIF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Logic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페이스용 스위치 회로에 관한 것으로, 제 1 동작 전압(Vdd)에 의해 동작하는데 제 1 집적 회로(A)와, 제 2 동작 전압(Vcc)에 의해 동작하고, 접속 노드와, 전원 전압과 상기 접속 노드 사이에 전류 통로가 형성된 제 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접속 노드와 연결된 콜렉터, 상기 접속 노드와 연결된 베이스 및 접지 전압과 연결된 에미터를 가지는 제 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용 스위치 회로(10)에 있어서, 상기 제 1 집적 회로의 상기 출력 신호를 받아들이는 게이트,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와 연결 된 드레인 및 접지 전압과 연결된 소스를 가지는 NMOS 트랜지스터(Q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회로에 의해서 B 블록을 오프시켜 주기 위한 상태에서 전류패스의 형성을 방지하여 누설전류가 흐르는 것이 방지된다.

Description

인터페이스용 스위치회로
제1도는 종래의 서로 다른 동작 전압을 갖는 두 블록을 인터페이스시켜 주기 위한 스위치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용 스위치 회로를 보여주는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ON : 콘트롤러 Q1 : N형 모스 트랜지스터
Q3 : NPN 트랜지스터 Q4 : PNP 트랜지스터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인터페이스용 스위치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서로 다른 동작 전압을 갖는 두 블록을 인터페이스시켜 주기 위한 인터페이스용 스위치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및 그의 문제점]
제1도는 종래의 서로 다른 동작 전압을 갖는 두 블록을 인터페이스시켜 주기 위한 인터페이스용 스위치회로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종래의 인터페이스용 스위치회로는 제1동작 전압(Vdd)을 갖는 A 블록과 제2동작 전압(Vcc)을 갖는 B 블록 및 서로 다른 동작 전압을 갖는 A 블록과 B 블록을 인터페이스시켜 주기 위한 인터페이스용 스위치(10)로 이루어졌다.
A 블록은 B 블록을 콘트롤하기 위한 블록으로서 제1동작 전압(Vdd)을 갖는 콘트롤러(CON)로 구성되고, B 블록은 A 블록의 콘트롤러(CON)에 의해 콘트롤되는 블록으로서 그의 구성요소중 일부분만을 도시한 것이다. 즉, B 블록은 에미터에 제2동작 전압(Vcc)이 인가되는 PNP 트랜지스터(Q4)와 상기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에 콜렉터가 연결된 NPN 트랜지스터(Q3)가 직렬로 연결구성되었다.
그리고 인터페이스용 스위치(10)는 게이트에 A 블록의 콘트롤러(CON)로부터의 출력이 인가되고, 소오스에 각각 전원전압(Vdd) 및 접지전압이 인가되는 P형 모스 트랜지스터(Q2)와 N형 모스 트랜지스터(Q1)로 구성된다.
상기 인터페이스용 스위치회로는 제2동작 전압(Vcc)이 하이상태이고, A 블록의 콘트롤러(CON)로부터 하이상태의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노드(a)가 하이상태이므로 인터페이스용 스위치(10)의 N형 모스 트랜지스터(Q1)가 온되어 인터페이스용 스위치(10)의 출력 즉, 노드(b)는 로우상태로 된다.
로우상태의 인터페이스용 스위치(10)의 출력이 B 블록의 NPN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오프시키고, 이에 따라 PNP 트랜지스터(Q4)도 오프된다. 따라서, B 블록의 동작이 오프된다.
이와는 달리, 제2동작 전압(Vcc)이 하이상태이고, A 블록의 콘트롤러(CON)로부터 로우상태의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노드(a)가 로우상태이므로 인터페이스용 스위치(10)의 P형 모스 트랜지스터(Q2)가 온되어 노드(b)는 하이상태로 된다.
노드(b)가 하이상태이므로, B 블록의 NPN 트랜지스터(Q3)가 온되고, 이에 따라 PNP 트랜지스터(Q4)도 온되어 B 블록은 동작상태로 된다.
한편, 노드(b)의 상태와 관계없이 B 블록의 동작을 오프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 2 동작 전압(Vcc)의 인가단자에 로우상태의 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즉, 제 2 동작전압(Vcc)의 인가단자에 로우상태의 신호가 인가되면, 노드(b)의 로우 및 하이상태에 관계없이 트랜지스터(Q4)가 오프되어 B 블록의 동작은 오프되어진다.
그런, 종래의 인터페이스용 스위치회로는 B 블록의 동작을 오프시키기 위하여 제 2 동작 전압(Vcc)의 인가단자에 로우상태의 신호를 인가하는 경우, A 블록의 콘트롤러(CON)로부터 하이상태의 신호가 출력될 때, 스위치(10)의 P형 모스 트랜지스터(Q2)가 온되어 노드(b)가 하이상태로 되기 때문에 B 블럭의 트랜지스터(Q3)가 온되어 진다.
이에 따라 제1동작 전압(Vdd) → 스위치(10)의 P 형 모스 트랜지스터(Q2) → B 블록의 NPN 트랜지스터(Q3) → Vcc 로 전류패스(current path)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B 블록의 동작을 오프시켜 주기 위한 상태에서 누설전류가 흐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B 블록의 동작을 오프시켜 주기 위한 상태에서 누설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자할 수 있는 서로 다른 동작 전압을 갖는 A 블록과 B 블록을 인터페이스시켜 주기 위한 인터페이스용 스위치회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 1 동작 전압(Vdd)에 의해 동작하는 제 1 집적 회로(A)와, 제 2 동작 전압(Vcc)에 의해 동작하고, 접속 노드와, 전원 전압과 상기 접속 노드 사이에 전류 통로가 형성된 제 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접속 노드와 연결된 콜렉터, 상기 접속 노드와 연결된 베이스 및 접지 전압과 연결된 에미터를 가지는 제 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용 스위치 회로(10)에 있어서, 상기 제 1 집적 회로의 상기 출력 신호를 받아들이는 게이트,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와 연결된 드레인 및 접지 전압과 연결된 소스를 가지는 NMOS 트랜지스터(Q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
서로 다른 동작 전압을 갖는 A 블록과 B 블록을 인터페이스시켜 주기위한 인터페이스용 스위치회로에 있어서, 인터페이스용 스위치를 하나의 N 모스 트랜지스터만으로 구성하여 줌으로써 B 블록을 오프시켜 주기 위한 상태에서 누설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용 스위치 회로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제2도를 참조하면, 상기 인터페이스용 스위치 회로(20)는 제 1 동작 전압(Vdd)에 의해 동작하는 A 블록(제 1 집적 회로)과 제 2 동작 전압(Vcc)에 의해 동작하는 B 블록(제 2 집적 회로) 사이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회로로서, 하나의 N 모스 트랜지스터(Q1)만으로 구성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A 블록은 상기 B 블록을 제어하기 위한 콘드롤러(CON)로 구성된다. 상기 B 블록은 전원 전압과 접속 노드(c) 사이에 전류 통로가 형성된 PNP 트랜지스터(Q4)와, 상기 접속 노드(c)와 연결된 콜렉터, 상기 접속 노드(c)와 연결된 베이스 및 접지 전압과 연결된 에미터를 가지는 NPN 트랜지스터(Q3)로 구성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는 외부로부터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상기 인터페이스용 스위치 회로(20)는 상기 A 블록의 콘트롤러(CON)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 B 블록의 NPN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연결된 드레인 그리고 상기 접지 전압과 연결된 소오스를 갖는 N 모스 트랜지스터(Q1)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용 스위치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동작 전압(Vcc)이 하이상태이고, A 블록의 콘트롤러(CON)로부터 로우상태의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노드(a)가 로우상태이므로 인터페이스용 스위치(20)의 N형 모스 트랜지스터(Q1)가 오프되고, 이에 따라 노드(b)는 하이상태로 된다.
하이상태의 인터페이스용 스위치(20)의 출력이 B 블록의 NPN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온 시키고, 이에 따라 PNP 트랜지스터(Q4)도 온되어 B 블록이 동작을 하게 된다.
제 2 동작 전압(Vcc)이 하이상태이고, A 블록의 콘트롤러(CON)로부터 하이 상태의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노드(a)가 하이상태이므로 인터페이스용 스위치(20)의 N형 모스 트랜지스터(Q1)가 온 되고, 이에 따라 노드(b)는 로우상태로 된다.
로우상태의 인터페이스용 스위치(20)의 출력이 B 블록의 NPN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오프시키고, 이에 따라 PNP 트랜지스터(Q4)고 오프된다.
이와 같이, B 블록의 전원전압(Vcc) 인가단자에 하이상태의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에는 A 블록의 콘트롤러(CON)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종래와 마찬가지로 B 블록의 동작이 온, 오프 된다.
한편, B 블록의 동작을 오프시키기 위하여 제 2 동작 전압(Vcc)의 인가단자에 로우상태의 신호를 인가하고 콘트롤러(CON)로부터 로우상태의 신호가 출력되면, 인터페이스용 스위치(20)의 N 형 모스 트랜지스터(Q1)가 오프되어 B 블록의 동작은 오프 되어 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용 스위치회로는 B 블록의 동작을 오프 시키기 위하여 제 2 동작 전압(Vcc)의 인가단자에 로우상태의 신호를 인가하는 경우, A 블록의 콘트롤러(CON)로부터 로우상태의 신호가 출력될 때, 스위치(10)의 N형 모스 트랜지스터(Q1)가 오프되고 이에 따라 B 블록의 트랜지스터(Q3, Q4)도 오프 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서와 같은 전류패스는 형성되지 않아 B 블록을 오프시켜 주기 위한 상태에서 누설전류는 흐르지 않게 된다.
[발명의 효과]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동작 전압(Vdd)에 의해 동작하는 제 1 집적 회로(A)와, 제 2 동작 전압(Vcc)에 의해 동작하고, 접속 노드와, 전원 전압과 상기 접속 노드 사이에 전류 통로가 형성된 제 1 트랜지스터(Q4)와, 상기 접속 노드와 연결된 콜렉터, 상기 접속 노드와 연결된 베이스 및 접지 전압과 연결된 에미터를 가지는 제 2 트랜지스터(Q3)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용 스위치 회로(10)에 있어서, 인터페이스용 스위치를 하나의 N모스 트랜지스터만으로 구성하여 B 블록을 오프시켜 주기 위한 상태에서 전류패스의 형성을 방지하여 누설전류가 흐르는 것이 방지된다.

Claims (1)

  1. 제 1 동작 전압(Vdd)에 의해 동작하는 제 1집적 회로(A)와, 제 2 동작 전압(Vcc)에 의해 동작하고, 접속 노드와, 전원 전압과 상기 접속 노드 사이에 전류 통로가 형성된 제 1 트랜지스터(Q4)와, 상기 접속 노트와 연결된 콜렉터, 상기 접속 노드와 연결된 베이스 및 접지 전압과 연결된 에미터를 가지는 제 2 트랜지스터(Q3)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용 스위치 회로(10)에 있어서, 상기 제 1 집적 회로의 상기 출력 신호를 받아들이는 게이트,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와 연결된 드레인 및 접지 전압과 연결된 소스를 가지는 NMOS 트랜지스터(Q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회로용 스위치 회로.
KR1019960004182A 1996-02-22 1996-02-22 인터페이스용 스위치회로 KR100191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4182A KR100191783B1 (ko) 1996-02-22 1996-02-22 인터페이스용 스위치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4182A KR100191783B1 (ko) 1996-02-22 1996-02-22 인터페이스용 스위치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3932A KR970063932A (ko) 1997-09-12
KR100191783B1 true KR100191783B1 (ko) 1999-06-15

Family

ID=19451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4182A KR100191783B1 (ko) 1996-02-22 1996-02-22 인터페이스용 스위치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17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125907A1 (de) 2015-12-31 2017-07-06 Lg Display Co., Ltd. Elektronische Vorricht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125907A1 (de) 2015-12-31 2017-07-06 Lg Display Co., Ltd. Elektronische 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3932A (ko) 199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11206A (ko) 대기시 전류저감회로를 가진 반도체 집적회로
KR100301605B1 (ko) 밴드갭 기준 전압 발생 회로
US5608344A (en) Comparator circuit with hysteresis
KR20040086803A (ko) 반도체 집적회로 장치
US5467044A (en) CMOS input circuit with improved supply voltage rejection
US4719367A (en) Schmitt trigger circuit
KR970018596A (ko) 반도체 집적회로 장치
KR930004351B1 (ko) 레벨 변환회로
US5198704A (en) Bi-CMOS output circuit with limited output voltage
US4672241A (en) High voltage isolation circuit for CMOS networks
KR100191783B1 (ko) 인터페이스용 스위치회로
KR940001568A (ko) 레벨 변환 회로
JPH1032481A (ja) 論理回路
US4996446A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reverse bias voltage generator
KR940005508B1 (ko) 출력회로
JP3540401B2 (ja) レベルシフト回路
KR940002861B1 (ko) 히스테리시스회로
JPH03238513A (ja) バイアス回路
US5510744A (en) Control circuit for reducing ground and power bounce from an output driver circuit
KR940027164A (ko) 3개의 전원 공급선을 갖는 출력 회로
KR100221615B1 (ko) 저전력 cmos 디지털 회로
KR100489587B1 (ko) 시간지연회로
US6522164B2 (en) Switching circuit
KR100243263B1 (ko) Rc 오실레이터용 슈미트트리거 회로
EP0651510B1 (en) Input/output stage adapted to operate with low and high volt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