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1561B1 - 액체용기 - Google Patents

액체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1561B1
KR100191561B1 KR1019940012833A KR19940012833A KR100191561B1 KR 100191561 B1 KR100191561 B1 KR 100191561B1 KR 1019940012833 A KR1019940012833 A KR 1019940012833A KR 19940012833 A KR19940012833 A KR 19940012833A KR 100191561 B1 KR100191561 B1 KR 100191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ischarge port
contents
liquid
out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2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오 야마모토
도오루 다케무라
Original Assignee
하야마 노보루
리소 가가쿠 고교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13770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345135A/ja
Priority claimed from JP137701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219901B2/ja
Application filed by 하야마 노보루, 리소 가가쿠 고교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하야마 노보루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1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15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01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the container being a ba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액체를 수용하는 연체의 내용기가 토출구를 공동으로 하여 강체의 외용기내에 마련된 액체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는 상기 토출구가 존재하는 면과 인접하는 면에 있어서 그 토출구측에서 대략 절반이 상기 외용기에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

Description

액체용기
제1도 (a)본 발명에 의한 액체용기의 실시예 1을 도시하는 사시도.
(b)동용기로부터 내용물이 완전히 꺼내어진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c)동용기에 의한 내용물 꺼내기 전후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2도 (a)본 발명에 의한 액체용기의 실시예 2를 도시하는 도면.
(b)동용기로부터 내용물이 완전히 꺼내어진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c)동용기에 의한 내용물 꺼내기 전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3도 (a)본 발명에 의한 액체용기의 실시예 3을 도시하는 도면.
(b)동용기에 의한 내용물 꺼내기 전후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4도 (a)본 발명에 의한 액체용기의 실시예 4를 도시하는 사시도.
(b)동용기로부터 내용물이 완전히 꺼내어진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c)동용기에 의한 내용물 꺼내기 전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입체용기의 다른 형상을 예시하는 정면도 및 사시도.
제6도 (a)본 발명에 의한 액체용기의 실시예 5를 도시하는 사시도.
(b)동용기로부터 내용물이 완전히 꺼내어진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7도(a)본 발명에 의한 액체용기의 실시예 6을 도시하는 사시도.
(b)동용기로부터 내용물이 완전히 꺼내어진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8도 (a)본 발명에 의한 액체용기의 실시예 7을 도시하는 사시도.
(b)동용기로부터 내용물이 완전히 꺼내어진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9도 (a)본 발명에 의한 액체용기의 실시예 8을 도시하는 도면.
(b)동용기의 일부 확대단면도.
제10도 (a)본 발명에 의한 액체용기의 실시예 9를 도시하는 도면.
(b)동용기의 일부 확대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일한 액체용기의 다른 돌기의 배설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1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액체용기의 돌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다른 실시예.
제13도는 종래의 액체용기의 한가지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발명의 분야]
[산업상의 이용 분야]
본 발명은 액체를 넣는 액체용기에 관하여 특히 내용물로서 점도가 높은 액체에 유효한 액체용기에 관한 것이다.
[관련기술의 설명]
[종래의 기술]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로서, 제13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경질의 종이로 이루어지는 강체의 외용기(50)의 내부에 가요성을 갖는 주머니형체로 이루어지는 연체의 내용기(안주머니)(51)를 설치하여 구성되는 백·인·박스(Bag In Box)형태의 용기(이하, 「BIB 용기」라함)가 알려져 있다.
이 BIB용기에 의하면, 외용기(50)에 의하여 소정의 상자형상을 유지하면서 외부로부터의 충격등으로부터 보호하고, 내용기(51)가 수축함으로서, 내용기(51)의 내용물인 액체(52)가 토출구(53)로부터 꺼내어질 수 있다. 한편, 고점도의 액체, 예를들면 잉크를 내용물로 한 경우에는, BIB 용기의 토출구(53)부분에 흡인노즐을 설치하고, 펌프등으로 흡인함으로써 내용기(51)내의 액체를 꺼내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러나 종래의 BIB용기에서는 내부의 액체(52)를 꺼내는 과정에 있어서, 안주머니(51)가 불규칙하게 변형하고, 제13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안주머니(51)끼리가 밀착하여 안주머니 내(51)에 독립한 공간(54)이 생기고 그 공간(54)내의 액체(52)가 꺼내어지지 않고 잔류하며, 더욱이 그 양이 일정하지 않다고 하는 문제점이 생겼다.
또, 펌프에 의하여 흡인을 행하는 경우에 처음 토출량과 후반의 토출량이 고르지 않아서 최초로부터 최후까지 균일한 토출량으로 안주머니 안의 액체를 꺼내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발명의 요약]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내용기 끼리의 밀착을 방지하고 내용물이 잔류하는 일없이, 최초로부터 최후까지 균일하게 꺼낼 수 있는 액체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1항의 액체용기는 실질적으로 입방체형인 외용기와,
외용기 안에 위치한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입방체형인 내용기와,
액체를 외용기 밖으로 토출하기 위한 내용기내에 형성된 토출구로 구성되며, 외용기는 토출구를 제외한 내용기 전체를 덮고,
토출구측의 절반부는 변형되지 않고, 절반부는 변형 가능하도록 내용기의 일부는 외용기에 접착되어 있으며, 내용기 안의 액체가 토출구를 통하여 방출될 때 상기 변형부분은 비변형부분의 내부를 따라 비변형부분 안으로 파고 들어가도록 된 액체용기에 있어서,
토출구는 내용기의 제1면내에 형성되고, 토출구가 형성된 제1면에 인접한 제2면에 근접한 곳에 위치하며, 토출구측에 대한 내용기상의 면 각각에 상호 대향하며 제1면 및 제2면 모두와 접하는 실질적인 삼각형의 접착 부분이 존재하고, 이들 면의 실질적인 절반 부분이 외용기에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제2항의 액체용기는 제1항의 액체용기에 있어서, 토출구가 형성된 면의 적어도 일부분과 이 면에 인접한 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외용기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더욱, 상기 액체용기에 있어서, 제3항의 액체용기와 같이 내용기의 비접착부분의 면끼리 이루는 모서리부의 곡률반경을, 접착부분의 면끼리 이루는 모서리부의 곡률반경 보다 크게 하더라도 좋다.
[작용]
제1항의 액체용기에서는, 토출구측에 대한 내용기상의 면 각각에 상호 대향하는 실질적인 삼각형의 접착부분이 존재하고, 이들 면의 실질적인 절반 부분이 외용기에 접착되어 있어, 토출구로부터 액체가 꺼내짐에 따라 토출구가 존재하는 면과 대향하는 면측의 변형부분은, 토출구측의 비변형부분내로 파고들어가지만, 액체가 거의 완전히 꺼내질때까지는, 내용기끼리의 밀착이 방지되고, 토출구가 막히는 일없이, 내용물의 유동경로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내용물을 최초에서 최후까지 균일함과 동시에 잔량을 적게하여 꺼낼수 있다.
또 제2항의 액체용기에서는, 토출구가 존재하는 면의 적어도 일부분과 이에 접하는 어느 한면의 적어도 일부분의 두면이 외용기에 접착되어 있으므로, 양쪽의 접착면에 접하는 양측면의 대각부분이 외용기에 의하여 유지되면서, 토출구로부터 액체가 꺼내어짐에 따라, 토출구가 존재하는 면과 대향하는 면측의 변형부분이 토출구측의 비변형부분내를 파고들어가지만, 액체가 거의 완전히 꺼내어 질때까지는 내용기끼리의 밀착이 방지되고, 토출구가 막히는 일없이, 내용물의 유동경로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내용물을 최초에서 최후까지 균일함과 동시에 잔량을 적게 하여 꺼낼 수 있다. 이 경우, 외용기에 대한 내용기의 접착면수 및 접착면적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필요가 있다.
더욱 제3항의 액체용기에 있어서는, 내용기의 비접착부분의 존재하는 변 또는 비접착면끼리의 접하는 변이 아르형상을 이루고 있고, 내용기가 내용물의 유동에 의하여 변형하면, 변형부분이 비변형부분에 파고들어가게 되지만, 비접착부분의 면끼리 이루는 모서리 변의 곡률반경이 접착부분의 면과 이루는 모서리 변의 곡률반경 보다 큰 것으로 인하여 변형부분과 비변형부분과의 사이엔 틈새가 생겨 토출구까지의 내용물의 유동경로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실시예]
제1도(a)는 본 발명에 의한 액체용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1도(b)는 동용기로부터 내용물이 완전히 꺼내어진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1도(c)는 동용기에 의한 내용물 꺼내기 전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 의한 액체용기는 내용기(1)와 외용기(2)를 구비한 BIB용기를 구성하고 있다. 내용기(1)는 정육면체 형상을 이루고, 예를들면 비닐등의 가요성을 갖는 연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 내용기(1)에는 내용물로서 저점도의 액체로부터 예를들면 잉크등의 고점도의 액체까지 용도에 따른 점도의 액체가 수용된다. 또 내용기(1)의 6개의 면중 한면(1a)에는 내용물을 외부로 꺼내기 위한 토출구(3)가 설치되어 있다.
더욱, 내용기(1)의 표면의 일부, 도시의 보기에서는, 토출구(3)가 존재하는 면(1a)에 접하는 주위의 4면(1c,1d,1e,1f)의 일부가 외용기(2)에 접착되어 있다. 거듭 설명하면, 그 접착된 부분의 면(4)은 제1도(a)에 사선으로 도시하는 바와같이, 토출구(3)가 존재하는 면(1a)측의 변에서 면(1c,1d,1e,1f)의 높이의 절반까지에 이르고 있다. 이로써, 내용기(1)는 토출구(3)가 존재하는 면(1a)과 평행인 무게중심 G을 포함하는 평면(E1)을 경계로, 토출구(3)가 존재하는 면(1a)측의 비변형부분(EA)과, 토출구(2)가 존재하는 면(1a)과 대향하는 면(1b)측의 변형부분(EB)과는 상사형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토출구(3)로부터 내용기(1)내의 내용물이 완전히 꺼내어진 상태에서는 제1도(b),(c)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변형부분(EB)이 비변형부분(EA)의 내측을 따라 파고들어간다.
외용기(2)는 토출구(3)를 남기고 내용기(1) 전체를 덮도록 예를들면 종이등의 강성 있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외용기(2)에 대한 내용기(1)의 접착은, 폐기시의 분별이 행해질 수 있도록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는 정도의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액체용기에서는, 토출구(3)에 도시하지 않은 흡인노즐을 부착하고, 펌프등의 흡인력에 의하여 용기에 외력이 부여되면, 비변형부분(EA)을 향하여 변형하고, 용기의 내용물이 감소한 분량 만큼 변형부분(EB)이 풀어져서 불규칙하게 변형한다. 이 풀어짐은 내용물이 절반 꺼내어졌을때 최대로 된다. 그러나, 이상태에서 다시 내용물이 꺼내어지면 변형부분(EB)이 비변형부분(EA)의 내측을 따라 파고들어가서, 이로 인하여, 변형부분(EB)의 상기한 풀어짐은, 이후 내용물이 꺼내어짐에 따라 점차 감소하고, 내용물이 거의 완전히 꺼내어지기까지는 내용기(1) 끼리의 밀착이 방지되고, 토출구(3)가 막히는 일이 없이 내용물의 유동경로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내용물을 최초부터 최후까지 균일함과 동시에 잔량을 적게하여 꺼낼 수 있다. 더욱, 상술한 접착면(4)의 높이를 면(1c,1d,1e,1f)의 높이의 절반보다 약간이라도 크게 설정하면, 변형부분(EB)과 비변형부분(EA)과의 사이에는 틈새 S가 생겨 토출구(3) 부근에 있어서 내용물의 유동경로를 충분히 확보하여 내용물을 잔류하는 일없이 꺼낼 수 있고, 접착면(4)의 정도에 따라 틈새 S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토출구(3)가 존재하는면(1a)은, 내용기(1)에 밀착하여 설치된 외용기(2)에 의하여 유지되어 있으므로 특별한 접착을 필요로 하지 않지만, 접착하면 더욱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다음에, 제2도(a)는 본 발명에 의한 액체용기의 실시예 2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2도(b)는 동용기로부터 내용물이 완전히 꺼내어진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2도(c)는 동용기에 의한 내용물 꺼내기 전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 의한 액체용기는 제1도의 액체용기의 변형예로, 접착부분이 상위하고 있다.
즉, 그 접착면(7)은 제2도(a)에서 사선으로 도시하는 바와같이, 토출구(3)가 존재하는 면(1a)과, 이 면(1a)에 접하는 면(1e)과, 이들 양쪽의 면(1a,1e)에 접하는 면(1d,1f)의 토출구(3) 측의 삼각형 부분이다. 이로써, 토출구(3)가 존재하는 면(1a)과 45도를 이룬 무게중심(G)을 포함하는 대각평면(E2)을 경계로, 토출구(3)가 존재하는 면(1a)측의 비변형부분(EC)과 토출구(3)가 존재하는 면(1a)과 대향하는 면(1b)측의 변형부분(ED)과는 상사형을 이루게 된다.
이 실시예의 액체용기에서는, 내용물이 꺼내어짐에 따라 비접착면측의 변형부분(ED)은 접착면(7) 측의 비변형부분(EC)을 향하여 변형하고, 용기의 내용물이 감소한 분량만큼 변형부분(ED)이 풀어져서 불규칙하게 변형하지만, 내용물이 절반 꺼내어진후는 다시 내용물이 꺼내어짐에 따라 변형부분(ED)이 비변형부분(EC)의 내측을 따라 점점 깊이 파고들어가, 이로써, 변형부분(ED)의 상기 풀어짐은 점점 감소하고, 내용물이 전부 꺼내어질 때까지 내용기(1) 끼리의 밀착이 방지되고, 토출구(3)가 막히는 일없이 내용물의 유동경로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내용물을 최초에서 최후까지 균일함과 동시에 잔량을 적게하여 꺼낼 수 있다.
다음에, 제3도(a)는 본 발명에 의한 액체용기의 실시예 3을 도시하는 도면, 제3도(b)는 동용기에 의한 내용물 꺼내기 전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 의한 액체용기는, 제1도에 도시하는 구성의 액체용기에 대하여, 내용기(1)의 비접착부분의 면끼리의 이루는 모서리부(5)의 곡률반경(이하, 「아르」 라함)을 접착부분의 면과 이루는 모서리부(6)의 아르보다도 크게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토출구(3)로부터 내용물이 꺼내어지는 과정으로, 내용기(1)가 내용물의 유동에 의하여 변형하면 접착면(4)은 변형불능이기 때문에 변형부분(EB)이 접착면(4) 측의 비변형부분(EA)에 파고들어가게 되는데, 비접착면이 존재하는 변의 각부(5)는, 접착면(4)이 존재하는 변의 각부(6) 보다도 큰 아르형상이므로, 각부(5)와 각부(6)와의 사이에 틈새(S)가 생겨, 내용기(1) 끼리의 밀착이 확실히 방지되고, 토출구(3) 까지의 내용물의 유동경로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다음에, 제4도(a)는 본 발명에 의한 액체용기의 실시예 4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4도(b)는 동용기에 있어서 내용물인 완전히 꺼내어진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4도(c)는 동용기에 의한 내용물 꺼내기 전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 의한 액체용기는 제2도의 액체용기의 변형예로, 내용기(1)의 토출구(3)가 존재하는 면(1a)과 그 면(1a)에 접하는 어느한 면(1c,1d,1e,1f의 어느것)과의 두면이 접착면(10)으로서 외용기(2)에 접착된 것이다. 또, 내용기(1)의 비접착면 끼리 이루는 모서리부(8)는 접착면(10)과 이루는 모서리부(9) 보다도 큰 아르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양쪽의 접착면(10)에 접하는 양측의 면(1d,1f)의 대각선부분(L)이 외용기(2)에 의하여 유지되면서 토출구(3)로부터 내용물이 꺼내어짐에 따라, 토출구(3)가 존재하는 면(1a)과 대향하는 면(1b)측의 변형부분(EF)이 토출구(3) 측의 비변형부분(EE)내로 파고들어간다. 이로써, 도면중 사선으로 표시하는 양방의 접착면(10)에 접하는 양측면(1d,1f)을 특별 접착하지 않더라도, 그 면(1d,1f)의 대각선부분(L)을 외용기(2)에 의하여 유지할 수 있고, 외용기(2)에 대한 내용기(1)의 접착면 수 및 접착 면적을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내용물이 꺼내어지는 과정에서, 변형부분(EF)이 접착면(10)측의 비변형부분(EE)에 파고들어가면, 내용기(1)에 있어서 비접착면측의 모서리부(8)와, 접착면(10)측의 모서리부(9)와의 사이에 틈새(S)가 생겨, 제2도의 액체용기와 동일한 모양으로 내용기(1) 끼리의 밀착이 확실히 방지되고, 토출구(3) 까지의 내용물의 유동경로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내용기(1)를 정육면체 형상으로서 설명하였지만, 직육면체를 포함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서도 꼭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또, 상기의 각 실시예에서는 접착면(4,7,10)이 변형하지 않으면 좋으므로 접착면(4,7,10)의 전체면을 외용기에 빈틈없이 접착할 필요는 없고, 적어도 각 접착면(4,7,10)의 각각의 각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점상이나 대상으로 접착하여도 좋다.
제6도(a)는 본 발명에 의한 액체용기의 실시예5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6도(b)는 동용기로부터 내용물이 완전히 꺼내어진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 의한 액체용기는 저점도의 액체로부터 인쇄잉크등의 고점도의 액체까지 용도에 따른 점도의 액체가 수용되는 용기로서 BIB용기의 내용기에 상당하는 용기를 단일체로 사용한 경우의 예이고, 용기(11)전체는, 예를들면, 비닐등의 가요성을 갖는 부재로 정육면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용기(11)는 내용물 꺼내기용의 토출구(12)가 설치된 면(11a)과 이면(11a)에 접하는 각면(11c,11d,11e,11f)의 상기면(11a)으로부터 약 1/2까지를 비변형부분(EA)으로하고, 상기 비변형부분(EA) 이외의 부분을 변형부분(EB)으로 함과 동시에, 비변형부분(EA)의 두께보다도 변형부분(EB)의 두께를 얇게함으로서, 변형부분(EB)의 강성을 비변형부분(EA)의 강성보다도 상대적으로 약하게 구성하고, 내용물이 꺼내어짐에 따라 변형부분(EB)이 비변형부분(EA)의 내측을 따라 휘게하여 파고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면(11a)의 토출구(12)의 주변에는 오목부(13a)와 볼록부(13b)로 이루어지는 반구상의 돌기(13)가 내측에 돌출하여 복수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액체용기에서는 토출구(12)에 도시하지 않는 흡인노즐을 부착하고, 펌프등의 흡인력에 의하여 용기(11)에 외력이 부여되면, 변형부분(EB)이 비변형부분(EA)의 내벽면을 향하여 파고들어가도록 변형하여 토출구(12)로부터 용기(11)내의 내용물이 꺼내어진다.
그리고, 내용물이 꺼내어짐에 따라 변형부분(EB)의 내벽면이 비변형부분(EA)의 내벽면에 가까이가면 토출구(12)의 주변에는 돌기(13)에 의하여 토출구(12)와 연통하는 틈새(S)가 그물코모양으로 생긴다.
이로써, 토출구(12)부분에서의 내벽면끼리의 밀착이 방지되고, 토출구(12)주변에서의 내용물의 유동경로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내용물을 최초로부터 최후까지 균일하게 동시에 잔량을 적게 꺼낼 수 있다. 또, 토출구(12)를 통하여 내용물이 꺼내어질 경우, 돌기(13)가 반구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내용물의 흐름에 대한 저항이 작고, 토출구(12) 까지 내용물을 원활히 유도할 수 있다.
다음에 제7도(a)는 본 발명에 의한 액체용기의 실시예 6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7도(b)는 동용기로 부터 내용물이 완전히 꺼내어진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제6도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제6도와 동일의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 의한 액체용기는 용기(11) 전체가, 예를들면 비닐등의 가요성을 갖는 부재로 정육면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용기(11)는 토출구(12)의 존재하는 면(11a)과 이 면(11a)에 접하는 각면(11c,11d,11e,11f)의 상기면(11a)으로부터 약 1/2까지를 비변형부분(EA)으로하고, 상기 비변형부분(EA) 이외의 부분을 변형부분(EB)으로함과 동시에, 비변형부분(EA)의 두께보다도 변형부분(EB)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변형부분(EB)의 강성을 비변형 부분(EA)의 강성보다도 상대적으로 약하게 구성하고, 내용물이 꺼내어짐에 따라 변형부분(EB)이 비변형부분(EA)의 내측을 따라 휘게하여 파고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비변형부분(EA)전체에는 오목부(13a)와 볼록부(13b)로 이루어지는 반구상의 돌기(13)가 내측으로 돌출하여 복수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6도의 액체용기와 동일하게, 토출구(12)에 도시하지 않은 흡인노즐을 부착하고, 펌프등의 흡인력에 의하여 용기(1)에 외력이 부여되면, 변형부분(EB)이 비변형부분(EA)의 내벽면을 향하여 파고들면서 변형하여 토출구(12)로부터 용기(1)내의 내용물이 꺼내어진다.
또, 내용물이 꺼내어짐에 따라 변형부분(EB)의 내벽면이 비변형부분(EA)의 내벽면에 접근하면, 용기(11)내에는 돌기(13)에 의하여 토출구(12)와 연통하는 틈새(S)가 그물코상으로 생긴다.
이로써, 용기(11)의 내벽면끼리의 밀착이 방지되고, 내용물의 유동경로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다음에, 제8도(a)는 본 발명에 의한 액체용기의 실시예 7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8도(b)는 동용기로부터 내용물이 완전히 꺼내어진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제6도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제6도와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 의한 액체용기는 정육면체 형상의 용기(11)에 대하여, 토출구(12)가 존재라는 면(11a)과, 이 면(11a)에 접하는 하나의 면(11c)에 돌기(13)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면(11a)과 면(11c)의 두께에 대하여 기타의 각면(11b,11d,11e,11f)의 두께를 얇게 하고 있다. 이로서, 상기 면(11a)과 면(11c)을 이등변으로 하는 3각형의 밑면(H2)을 경계로, 면(11b) 측의 변형부분(EB)의 강성을 면(11a) 측의 비변형부분(EA)의 강성보다도 상대적으로 약하게 구성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토출구(12)에 도시하지 않은 흡인노즐을 부착하고, 펌프등의 흡인력에 의하여 용기(11)에 외력이 부여되면, 돌기(13)가 존재하지 않는 변형부분(EB)은 평면(H2)을 경계로 토출구(12)가 존재하는 면(11a)의 대향면(11b)의 내벽면이 토출구(12)가 존재하는 면(11a)의 내벽면을 향하여 파고들어가면서 변형하여 토출구(12)로부터 용기(11)내의 내용물이 꺼내어진다.
그리고 내용물이 꺼내어짐에 따라 면(11e)의 내벽면이 토출구(12)가 존재하는 면(11a)의 내벽면에 접근하더라도, 돌기(13)에 의하여 틈새(S)가 생긴다. 이로서 용기(11)의 내벽면끼리의 밀착이 방지되고, 내용물의 유동경로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다음에, 제9도(a)는 본 발명에 의한 액체용기의 실시예 8을 도시하는 도면, 제9도(b)는 동용기의 일부확대 단면도이고, 제6도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제6도와 동일의 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 의한 액체용기는, 용기(11)에 형성된 돌기(13)의 돌출량 또는 간격(중심간의 거리) 이 토출구(12)에 접근할수록 작아지도록 토출구(12)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돌기(13)가 배설된 것으로, 이 실시예에 의하면, 토출구(12)로부터 내용물이 꺼내어지도, 토출구(12)가 존재하는 면(11a)의 대향면(11b)의 내벽면이, 토출구(12)가 존재하는 면(11a)의 내벽면에 접근하는 과정에 있어서, 토출구(12) 부근에 있어서 내용물의 꺼내는 양이 어느 정도 제한되고, 용기(11)내의 내용물의 감소 정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내용물로서는 토출구(12)로부터 나오기 쉬운 유연한 잉크가 유효하다.
다음에, 제10도(a)는 본 발명에 의한 액체용기의 실시예 9를 도시하는 도면, 제10도(b)는 동용기의 일부확대 단면도이고, 제6도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제6도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 의한 액체용기는, 용기(11)에 형성된 돌기(13)의 돌출량 또는 간격이 토출구(12)에 접근할 수록 크게 되도록 토출구(12)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돌기(13)가 배설된 것으로, 이 실시예에 의하면 토출구(12)로부터 내용물이 꺼내어지고 토출구(12)가 존재하는 면(11a)의 대향면(11b)의 내벽면이 토출구(12)가 존재하는 면(11a)의 내벽면에 접근하는 과정에 있어서, 토출구(12)주변에 충분한 양의 내용물을 확보하여 토출구(12)로부터 많은 내용물을 꺼낼 수 있으며, 내용물로서는 토출구(12)로부터 나오기 어려운 굳은 잉크가 유효하다.
그런데,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용기(11)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바꿈으로서 비변형 부분(EA)의 강성을 변형부분(EB)의 강성보다도 상대적으로 강하게 하고 있지만, 강성에 차이를 갖게하는 방법으로서는, 재질을 선택하는 방법, 강성을 갖게 하고 싶은 부분에 별개 부재(제11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돌기(13)를 교대로 배설한 것이면 더욱 강성이 향상된다)를 점착하는 방법등이 고려된다. 또, 상술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 도시한 돌기(13)의 위치의 변형예로서, 변형부분(EB)이 비변형부분(EA)에 따라서 변형하였을때, 상기 도시의 돌기(13)를 갖는 면과 대향하는 면에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더욱, 상술한 각 실시예의 돌기(13)는 토출구(12)를 향하여 직선적인 틈새(S)가 생길 수 있도록 규칙적으로 형성하면, 내용물의 흐름에 대한 저항이 감소하여 흐름이 원활하게 되고, 펌프에 관련된 부담도 경감할 수 있다.
또,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종래의 BIB용기에서 말하는 내용기만으로 구성된 것이지만, 당연히, BIB 용기와 같이 토출구를 남기고 상술한 구성의 용기를 덮도록 외용기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비변형부분(EA)을 외용기에 고정하면, 비변형부분(EA)의 강성을 변형부분(EB)의 강성보다도 상대적으로 강하게 할 수 있으므로, 비변형부분(EA)과 변형부분(EB)과의 두께의 차를 두거나 재질을 바꿀 필요 없이, 용기(1) 자체는 그 전체를 동일부재로 균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각 실시예에서는 용기를 입방체로서 설명하였지만, 직육면체 그이외의 다각기둥, 원기둥, 구 이외에, 제5도와 같이(E3,E4) 에서 도시한 임의의 하나의 가상평면에 의하여 대략 대칭이 되도록 2분할할 수 있는 입체용기의 어느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상술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 돌기(13)는, 내용물의 흐름에 대한 저항을 최소한으로 억제하기 위하여, 반구상으로 형성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내용물의 점도의 정도에 따라, 예를들면 3각형, 4각형등의 다각형상으로 돌기(3)의 형상을 선택하면, 내용물의 흐름에 대한 저항량을 내용물의 점도의 정도에 따라 바꿀수가 있다. 또, 상술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 돌기(13)는 제12도(a)에 도시한 바와같이 용기(11)를 구성하는 기재(111)에 보조부재(112)를 용착등에 의하여 붙여 맞추어서 각각이 독립하여 밀폐된 반구상의 공동(113)을 형성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고, 제12도(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용기(11)를 구성하는 기재(21)의 두께를 반구상으로 두껍게하여 돌기(13)를 구성하여도 좋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제1항 및 제2항의 액체용기에 의하면, 연체의 내용기 전체가 변형부분과 비변형부분으로 둘로 나누어지고, 토출구로부터 내용물이 꺼내어짐에 따라 변형부분만이 비변형부분의 내측을 따라 점점 깊이 파고들어 가지만, 그 경우에 변형부분의 변형이 비변형부분에 구속되어 내용기끼리의 밀착이 방지되고, 토출구가 막히는 일이 없이, 내용물의 유동경로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흡인펌프의 부하가 감소될 수 있고, 내용물을 최초로부터 최후까지 균일하게 꺼낼 수 있음과 동시에 불측의 잔류가 생기지 않으므로, 예정된 양을 확실히 전부 꺼낼 수 있다.
또, 내용기의 비접착부분의 존재하는 변 또는 비접착면 끼리의 접하는 변을 아르형상으로 함에 의해, 내용기의 변형부분과 비변형부분과의 사이에 충분한 틈새가 생기고, 내용기끼리의 밀착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고, 토출구까지의 내용물의 유동경로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더욱, 각 실시예에서는 용기를 입방체로서 설명하였지만, 직육면체 그 이외의 다각기둥, 원기둥, 구 이외에, 제5도와 같이 E3, E4 로 도시한 임의의 하나의 가상평면에 의하여 대략 대칭으로 되도록 둘로 나눌 수 있는 입체용기(10)의 어느 것에도 적용할 수가 있다.

Claims (3)

  1. 실질적으로 입방체형인 외용기(2); 상기 외용기(2)안에 위치한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입방체형인 내용기(1); 상기 액체를 상기 외용기(2) 밖으로 토출하기 위한 상기 내용기(1)내에 형성된 토출구(3)로 구성되며, 외용기(2)는 토출구(3)를 제외한 내용기(1) 전체를 덮고; 상기 토출구(3) 측의 절반부(EA,EC)는 변형되지 않고, 절반부(EB,ED)는 변형 가능하도록 상기 내용기(1)의 일부는 상기 외용기(2)에 접착되어 있으며, 상기 내용기(1)안의 상기 액체가 상기 토출구(3)를 통하여 방출될 때 상기 변형부분(EB,ED)은 상기 비변형부분(EA,EC)의 내부를 따라 비변형부분(EA,EC) 안으로 파고 들어가도록 된 액체용기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3)는 상기 내용기(1)의 제1면(1a)내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3)가 형성된 제1면(1a)에 인접한 제2면(1e)에 근접한 곳에 위치하며, 상기 토출구(3)측에 대한 내용기(1)상의 면(1d,1f) 각각에 상호 대향하며 제1면 및 제2면(1a,1e) 모두와 접하는 실질적인 삼각형의 접착 부분이 존재하고, 상기 면(1d,1f)의 실질적인 절반 부분이 상기 외용기(2)에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3)가 형성된 상기 면(1a)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면(1a)에 인접한 상기 면(1e)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외용기(2)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1)의 비접착면(1b,1c,1d,1f)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부의 곡률반경이 접착면(1a,1e,1d,1f)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부의 곡률반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
KR1019940012833A 1993-06-08 1994-06-08 액체용기 KR1001915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137701 1993-06-08
JP5137700A JPH06345135A (ja) 1993-06-08 1993-06-08 液体容器
JP13770193A JP3219901B2 (ja) 1993-06-08 1993-06-08 液体容器
JP93-137700 1993-06-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91561B1 true KR100191561B1 (ko) 1999-06-15

Family

ID=26470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2833A KR100191561B1 (ko) 1993-06-08 1994-06-08 액체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636760A (ko)
EP (1) EP0628494B1 (ko)
KR (1) KR100191561B1 (ko)
CN (1) CN1055447C (ko)
DE (1) DE69412705T2 (ko)
TW (1) TW299758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59144B1 (fr) * 1997-02-06 1999-04-23 Olaer Ind Sa Reservoir de pression
GB9813140D0 (en) * 1998-06-19 1998-08-19 Colormatrix Europ Limited Apparatus delivery fluent material
EP1118550A3 (en) * 2000-01-19 2002-10-23 Riso Kagaku Corporation Container for liquid products
JP3789270B2 (ja) * 2000-01-24 2006-06-21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
DE10308619B4 (de) * 2003-02-27 2008-06-26 Ruetz, Stefan Vorrichtung zum Austragen eines Riech- bzw. Duftstoffs
US7021488B2 (en) * 2003-03-31 2006-04-04 Matheson Tri-Gas, Inc. Pressure vessel for compressed gases utilizing a replaceable and flexible liner
WO2009098194A1 (en) * 2008-02-04 2009-08-13 Wisdom Agricultural (Investments) Ltd. Liquid-tight pouch with improved draining properties
US9216885B1 (en) 2009-12-07 2015-12-22 Hydrochem Llc Bladder and engagement device for storage tank
EP2715211A4 (en) * 2011-05-27 2015-05-20 Hutchinson Sa SELF-SEALING LIQUID INCLUSION SYSTEM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FOR
US10918572B2 (en) * 2017-10-27 2021-02-16 Sartorius Stedim North America, Inc. Protecting system for containing a biopharmaceutical fluid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64163A (en) * 1943-01-12 1951-08-14 Leperre Jean Emile Lucien Receptacle with elastic bag insert and system for filling and emptying the same
US3082927A (en) * 1960-07-26 1963-03-26 Hedwin Corp Lined container
FR2081244A1 (ko) * 1970-03-23 1971-12-03 Bouet Bernard
US3949720A (en) * 1974-02-25 1976-04-13 Zipprich Charles F Fuel container systems
US4308973A (en) * 1978-06-30 1982-01-05 The Continental Group, Inc. Compartmented aerosol container
US4185758A (en) * 1978-08-01 1980-01-29 The Continental Group, Inc. Compartmentalized aerosol container
US4364416A (en) * 1981-09-25 1982-12-21 Vsi Corporation Low cost accumulator device
US4763805A (en) * 1984-11-20 1988-08-16 Amoco Corporation Underground tank assembly with internal bladder
US4925055A (en) * 1988-03-04 1990-05-15 Edward S. Robbins, III Container with unitary bladder and associated dispenser cap
US5344038A (en) * 1988-10-14 1994-09-06 The Budd Company Composite fuel tank
US4998990A (en) * 1988-12-20 1991-03-12 The Coca-Cola Company Collapsible bag with evacuation passageway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EP0453172B1 (en) * 1990-04-11 1995-07-12 Dai Nippon Insatsu Kabushiki Kaisha Liquid container and mouth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5447C (zh) 2000-08-16
DE69412705T2 (de) 1999-02-04
CN1099713A (zh) 1995-03-08
DE69412705D1 (de) 1998-10-01
EP0628494A3 (en) 1995-03-22
EP0628494B1 (en) 1998-08-26
US5636760A (en) 1997-06-10
TW299758U (en) 1997-03-01
EP0628494A2 (en) 1994-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1561B1 (ko) 액체용기
US9216604B2 (en) Stackable container systems and methods
KR20080111126A (ko) 파열 펌프를 구비한 밀봉 제품 전달 유닛
CA2276440A1 (en) Thin-whalled synthetic resin laminated body for liquid contai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3219901B2 (ja) 液体容器
US20040016671A1 (en) Moist paper towel package
CA2308634A1 (en) Spacer
CN214397654U (zh) 一种基于凸角成型角法的星形管式凹角锁底结构及其盒坯
JP3766485B2 (ja) 中栓引抜板及び異材質部材組付容器
JPH06345135A (ja) 液体容器
JP2585763Y2 (ja) 粘稠液用のバッグインボックス
JP3350147B2 (ja) 液体容器
JP2006044687A (ja) ポーションカップ、及びそれを用いた分納容器
KR200286095Y1 (ko) 포장박스용 하니콤 보강재
JPH11301693A (ja) 可撓容器
USD405750S (en) Reuseable rocket airplane
CN212797939U (zh) 一种滤芯包装
EP1669097A3 (en) Syringe storage and disposal container
JP5373316B2 (ja) 包装容器
JPH082105Y2 (ja) 容 器
JPH0333288Y2 (ko)
JPH11268772A (ja) 緩衝装置
CN201006800Y (zh) 包装装置
JPS6341355Y2 (ko)
JP2023154973A (ja) ブロック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