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1393B1 - 형틀구석각부들의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형틀구석각부들의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1393B1
KR100191393B1 KR1019960054020A KR19960054020A KR100191393B1 KR 100191393 B1 KR100191393 B1 KR 100191393B1 KR 1019960054020 A KR1019960054020 A KR 1019960054020A KR 19960054020 A KR19960054020 A KR 19960054020A KR 100191393 B1 KR100191393 B1 KR 100191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mold
contact
pair
connection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4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1784A (ko
Inventor
신이찌 노가미
Original Assignee
박준욱
주식회사세양
하야시 도시오미
신이찌 노가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욱, 주식회사세양, 하야시 도시오미, 신이찌 노가미 filed Critical 박준욱
Priority to KR1019960054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1393B1/ko
Publication of KR970001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1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13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2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경험이 적은 작업자라도 신속하고 확실하게 시공할 수 있고, 또한 형틀 패널도 거의 손상되지 않는 형틀구석각부들의 조립장치를 제공한다. 인접하는 2장의 형틀 패널(50)을 소정 각도로 맞댄 상태에서 인접하여 마주 보는 2개의 잔목(52)의 대향면에 각각 당접시키는 두 개의 당접면(a)을 갖춘 본체(1)와, 상기 양 당접면(a)의 기단측에 있어서 본체(1)에 설치한 각 제1연결핀(A)에 그 한쪽 끝이 연결되고, 당접면(a)과의 사이에서 잔목(52)을 끼워 붙이는 협지면(d)을 갖춘 1쌍의 협지부재(2)와, 상기 끼워 붙이기용의 체결기구를 갖춘 구성으로 하였다.
체결기구는 각 제1연결핀(A)의 내측에서 본체(1)에 설치한 제2연결핀(B)에 그 한쪽 끝이 연결되고, 다른쪽 끝에 제3연결핀(C)을 설치한 백업(Backup) 제(3)와 제3연결핀과 협지부재의 중간부위에 설치한 제4연결핀(D)에 그 양끝이 연결되며, 협지부재를 백업재의 회동조작에 연동시키는 체결링크(4)를 갖춘다.

Description

형틀구석각부들의 조립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립장치의 평면도이다.
제2도는 조립장치를 사용하여 각주(角柱) 타설용의 형틀을 구축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제3도는 상기한 바와 같고, 조립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제4도는 상기한 바와 같고, 백업(Backup)재의 사시도 및 종단면도이다.
제5도는 상기한 바와 같고, 협지부재의 사시도이다.
제6도는 상기한 바와 같고, 체결링크의 사시도이다.
제7도는 상기한 바와 같고, 조립장치의 작용을 설명한 평면도이다.
제8도는 상기한 바와 같고, 조립장치가 잔목을 거의 협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제9도는 상기한 바와 같고, 잔목을 완전히 협지한 상태 및 이 협지상태를 확실하게 유지시키는 기계적 구조를 설명한 부분 평면도이다.
제10도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장치를 사용하여 계단부분의 타설용 형틀을 구축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측면도이다.
제11도는 종래의 각주 타설용 형틀의 구축방법을 설명한 부분 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조립장치 1 : 본체
1a : 측벽면 1b : 저면
1c : 톱니모양 요철(凹凸) 1d : 절결부
2 : 협지부재 2A : 횡향부분
2B : 종향부분 2a : 측벽
2b : 저면 2c : 톱니모양 요철(凹凸)
3 : 백업(Backup)재 3a : 측벽
3b : 절결부 3c : 저면
3d : 돌기부 4 : 체결링크
4a : 다리부 5 : 보조볼트
A : 제1연결핀 B : 제2연결핀
C : 제3연결핀 D : 제4연결핀
a : 당접면 b : 핀공
c : 나사공 d : 협지면
e : 축상면 50 : 형틀 패널
51 : 직사가규형판 51a : 밀려나온 부분
52 : 잔목(棧木) 53 : 당목(當木)
60 : 각주(角柱) 70 : 계단부분
본 발명은 합판의 주변부에 보강용 잔목(棧木)을 취착한 형틀 패널을 사용하여 콘크리트제 구조물의 각주(角柱)나 계단부분 등의 타설용 형틀을 조립·분해하는 작업을, 아주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형특구석각부들의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1도는 콘크리트제 구조물의 각주 부분을 타설하는 형틀을 조립할 경우를 예를 들어 종래의 형틀조립공법을 설명하고 있다.
즉, 형틀의 부분 횡단면도로서의 제11도에 있어서, (50)은 형틀 패널로서 직사각형판(51)의 주변부에 잔목(52)을 못을 박아 고정하고, 대향하는 잔목 사이에도 보강 잔목(도시생략)을 적절히 설치하고 있다.
각진 통형상의 형틀을 구성하는 4장의 형틀 패널(50)은 인접하는 1 쌍의 형틀 패널(50), (50)의 한쪽을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쪽의 형틀 패널(50)의 가장자리 끝으로부터 잔목(52)의 높이 치수분 만큼 밀려 나오고, 이 밀려 나온 부분(51a)을 다른쪽의 형틀 패널(50)의 잔목(52)에 못을 박아 고정하고 있다. 53은 면을 만들기 위한 당목, 60은 각주이다.
상기 종래 공법에는 이하에 열거한 것 같이 개선해야 할 몇 개의 큰 결점이 있었다.
(a) 형틀을 조립·분해할 때마다 다수개의 못을 박고, 빼내는 작업을 위해 현저한 노력과 시간을 소비시킨다.
(b) 목제의 형틀 패널이 가능한 한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또한 필요로 하는 조립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정확히 못을 박고 뺄 수 있을 때까지는 상당한 연습을 요한다.
(c) 형틀 패널을 반복사용을 위해 못을 박고 뺄 때마다 손상이 심해지므로 반복 사용에 견디는 회수가 적고, 경제적으로도, 귀중한 삼림보호에도 문제가 있다.
(d) 손상된 형틀 패널을 수리하는데는 상당한 수고와 경비가 든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경험이 적은 작업자라도 신속하고 확실하게 시공할 수 있고, 또한 형틀 패널도 거의 손상되지 않는 형틀구석각부들의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형틀구석각부들의 조립장치는 주변부에 잔목을 취착한 형틀 패널을 사용하여 콘크리트제 구조물의 각주나 계단부분 등을 타설하는 형틀을 조립·분해하는 작업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서, 인접하는 2장의 형틀 패널(50), (50)을 소정각도로 맞붙인 상태에서 인접하여 마주보는 2개의 잔목(52), (52)의 대향면에 각각 당접시키는 두 개의 당접면(a), (a)을 갖춘 본체(1)와, 양 당접면(a), (a) 각각의 기단측 부분에 있어서 상기 본체(1)에 설치한 1쌍의 제1연결핀(A), (A)의 각각에 그 한쪽 끝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당접면(a)과의 사이에서 상기 잔목(52)을 끼워 붙이는 협지면(d)을 갖춘 1쌍의 협지부재(2), (2)와, 상기 끼워 붙이기 위한 토글 기구(Toggle mechanism)에 비슷한 계탈자재한 체결기구를 갖춘 구성으로 하였다.
그리고, 상기 체결기구는 상기 체결기구는 상기 본체(1) 및 1쌍의 협지부재(2), (2)와 상기 1쌍의 제1연결핀(A), (A)으로부터 각각 소정거리를 둔 내측에서 상기 본체(1)에 설치한 1쌍의 제2연결핀(B), (B)의 각각의 그 한쪽 끝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쪽 끝에는 제3연결핀(C)을 설치한 백업재(3)와, 상기 각 제3연결핀(C)과, 상기 각 협지부재(2)의 중간부위에 각각 설치한 제4연결핀(D)에 그 양끝이 연결되어, 상기 협지부재(2)를 상기 백업재(3)의 회동조작에 연동하여 회동시키는 체결링크(4)를 갖춘 구성으로 하면 된다.
또한, 상기 본체(1), 협지부재(2), 백업재(3) 및 체결링크(4)는 각각 채널형상의 형태로 하면 된다.
이하에 본 발명을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각주 부분의 타설용 형틀을 구축할 경우에 적용한 일실시예에 관하여 제1도 내지 제9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처음에 이 형틀의 짜임상태를 제2도에 의해 설명하면, 형틀은 4장의 형틀 패널(50)을 가진 통형상으로 조합시켜 만들어지고 있다.
그리고, 직교상으로 맞붙여진 각 2장의 형틀 패널(50), (50)의 마주 향한 2개의 잔목(52), (52) 끼리를 적절한 간격을 둔 복수개소에서, 본 발명에 의한 조립장치(100)에 의해 계탈자재하게 긴밀하게 연결시키고 있다.
조립장치(100)는 제1도의 평면도, 제3도의 부분적인 분해 사시도 및 제4도 내지 제6도의 각 부분품의 사시도에 나타내고 형태와 구성을 갖추고 있다.
그 개략의 구성은 마주 향한 2개의 잔목(52), (52)의 대향면에 각각 당접시키는 2개의 당접면(a), (a)를 갖춘 본체(1)와, 각 당접면(a)의 각 기단측에 설치한 제1연결핀(A)에 그 한쪽 끝이 회동가능하게 각각 연결되고, 당접면(a)과의 사이에서 잔목(52)을 끼어 붙이는 협지면(d)을 갖춘 1쌍의 협지부재(2), (2)와, 상기 끼워 붙이기 위한 체결기구를 갖추고 있다.
이 실시예의 본체(1)는 제3도에 나타냈듯이 그 양 측벽(도면중에서)면(1a), (1a)의 형상이 거의 이등변 직각삼각형을 한 채널형상으로 구성된다.
평면에서 보아 거의 직각삼각형인 본체(1)의 양 사변부분의 각각은 제2도, 제7도에 나타냈듯이 2장의 형틀 패널(50), (50)의 직교상 맞댄 부위에서 마주 향하는, 2개의 잔목(52), (52)의 각 대향면에 각각 당접시키는 당접면(a)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부위가 된다.
본체(1)의 양 측벽면(1a), (1a)에는 양 당접면(a)의 각각의 기단측 부분에 제1연결핀(A)을 삽입관통시키는 핀공(b)(제3도 참조)을, 본체(1)의 채널 저면(1b)에 근접시켜 관통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양 핀공(b)으로부터 각각 소정 간격을 둔 내측에는 제2연결핀(B)을 삽입관통시키는 핀공(b)을 관통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각 당접면(a)에는 그 선단에 가까운 부위에 톱니모양 요철(凹凸)(1c)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선단부에는 요입(凹入) 원호상의 절결부(1d)(제1도 참조)를 형성하고 있다.
백업재(3)는 제4도에 나타냈듯이, 소정 길이의 채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홈폭은 본체(1)에 접동상태로 외감시킬 수 있는 수치로 설정하고 있다.
백업재(3)의 양 측벽(3a), (3a)의 한쪽 끝에는 제2연결핀(B)을 삽입관통시키는 핀공(b)을, 다른쪽 끝에는 제3연결핀(C)을 삽입관통시키는 핀공(b)을 각각 관통형상으로 설치하고 있다.
또한, 양 측벽(3a), (3a)의 가운데 부분에는 잔목(52)과의 간섭을 피하는 절결부(3b)를 각각 설치하고 있다. 또한 양 측벽(3a), (3a)에는 이하에 설명하는 협지부재(2)와의 사이에 마찰계합력을 발생시키는 돌기부(3d)를 내측을 향하여 형성해 두면 된다.
다음으로, 협지부재(2)는 제5도에 나타냈듯이 소정 길이의 채널재를 하향(도면중에서)의 L형으로 절곡시킨 것 같은 향상을 갖추고 있다. 그 채널폭은 제3도에 나타냈듯이 후술하는 체결링크(4)를 외감시킨 상태에서 채널형상의 백업재(3)의 내측에 접동가능하게 내감시킬 수 있는 치수로 설정하고 있다.
협지부재(2)의 양 측벽(2a), (2a)에는 L형의 횡방향 부분(2A)의 말단 가까이에 제1연결핀(A)을 삽입관통시키는 핀공(b)을 형성하고, 종방향 부분(2B)의 중간 정도에는 제4연결핀(D)을 삽입관통시키는 핀공(b)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종방향 부분(2B)의 채널저면(2b)에 형성한 나사공(c)에는 보조볼트(5)를 나착하고 있고, 그리고 횡방향 부분(2A)은 채널저면을 결여시키고 있다.
종방향 부분(2B)의 양 측벽(2a), (2a)의 정상 가장자리부는 본체(1)의 당접면(a)과의 사이에서 잔목(52)을 협지하는 당접면(d)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부분이다. 이 협지면(d)에는 선단에 가까운 부분에 톱니모양 요철(2c)을 형성하고 있다.
보조볼트(5)는 본체(1)의 당접면(a)과 협지부재(2)의 협지면(d)과의 간격이 잔목(52)의 두께치수보다 좁은 경우에 발생한 간격을 매우는 당목(當木)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체결링크(4)는 제6도에 나타냈듯이 @ 금형구의 형태를 갖추고 있다. 이 @ 형의 양 다리부(4a), (4a)의 기단 가까이에는 제3연결핀(C)을 삽입관통시키는 핀공(b)을, 선단 가까이에는 제4연결핀(D)을 삽입관통시키는 핀공(b)을 각각 관통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양 다리부(4a), (4a)의 간격은 협지부재(2)에 접동가능하게 외감시킬 수 있는 치수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다리부(4a)의 횡폭은 그 다리가 붙어 있는 부분에서 약간 좁히고 있다. 다음에, 조립장치(100)를 사용하여 제2도에 나타낸 형틀을 조립하는 순서를 제7도 내지 제9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직교상으로 맞댄 2장의 형틀 패널(50), (50)을 이 상태에서 착탈자재하게 일체로 연결시키는데는, 본체(1)에 직교상으로 형성된 각 당접면(a)과, 본체(1) 양측의 제1연결핀(A)의 주위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각 협지부재(2)의 협지면(d)과의 사이에서 각 형틀 패널(50)의 잔목(52)을 각각 협지한 상태로 하면 된다. 이 협지작업은 물론 각 잔목(52)마다 개별로 행한다. 이것을 행하는 데는 우선 1쌍의 백업재(3), (3)을 제7도의 상방에 나타냈듯이 각각 제2연결핀(B)의 주위에 잔목(52)에서 떨어진 하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제4연결핀(D), 체결링크(4) 및 제3연결핀(C)을 통하여 백업재(3)에 연결되어 있는 협지부재(2)도 제1연결핀(A)의 주위에 동일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에 따라, 제7도로부터 이해되듯이 각 1쌍의 당접부면(a)과 협지면(d)과의 간격이 부채모양으로 퍼지고, 잔목(52)을 끼워 넣은 상태가 된다. 그래서 한쪽의 백업재(3)를 이번에는 잔목(52)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동시켜가면 협지부재(2)도 이것에 연행되어 동일방향으로 회동되고, 당접면(a)과 협지면(d)과의 사이에서 잔목(52)을 끼워 넣어 간다. 이 끼워 넣기가 최종 단계에 접근한 상태를 제8도에 나타냈다. 이때, 협지부재(2)는 백업재(3)의 채널저면(3c)에 의해 상방(도면중에서)으로부터 억눌리고 있다.
이 상태에서 제2, 제3 및 제4의 각 연결핀(B), (C), (D)의 위치관계는 제8도에 나타냈듯이 연결핀 (B)와 (C)를 묶는 직선(f)-(f)의 하측에 연결핀(D)이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당접면(a)의 톱니모양 요철(1c)과 협지면(d)의 톱니모양 요철(2c)은 잔목(52)에 당접되어 있으나, 파고드는 상태까지는 이르고 있지 않다.
그래서, 백업재(3)를 더욱 강하게 억누르면 제9도에 나타냈듯이 양 톱니모양 요철(1c) 및 (2c)가 잔목(52)의 표리양면으로 파고든 상태로 되고 잔목(52)의 협지조작이 완결된다. 이 상태에서 제4연결핀(D)은 제2 및 제3연결핀(B) 및 (C)를 묶는 직선(f)-(f)의 상측에 이동되어 있다. 다음으로, 다른쪽의 당접면(a)과 다른쪽의 협지부재(2)의 협지면(d)과의 사이에서 협지시키면, 맞대어진 2장의 형틀 패널(50), (50)의 구석각부의 조립작업은 상기의 장황한 설명문과는 달리 극히 간단하고 신속하게 또한 확실하게 완료한다. 형틀의 남은 세 개의 구석각부도 동일하게 순차적으로 조립하면 된다.
형틀의 조립도중에서, 또는 조립을 끝낸 후에 협지부재(2)에 제9도의 화살표로 나타낸 u 방향의 압압력이 미친 경우에는, 체결링크(4)는 제3연결핀(C)의 주위에 화살표로 나타낸 V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그 때문에 이 회동작용력의 반력이 체결링크(4)를 통하여 백업재(3)에 전달된다. 그 결과, 백업재(3)는 제2연결핀(B)의 주위에 화살표로 나타낸 W방향으로 회동되고, 협지부재(2)를 하향으로 억눌러 협지력의 상실을 확실하게 막아준다.
콘크리트의 타설을 끝내고 형틀을 분석할 때에는 백업재(3)를 잔목(52)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회동시키면 협지부재(2)도 이에 수반하여 회동되어, 조립장치(100)에 의한 2개의 잔목(52), (52)의 협지상태를 거의 원터치 조작으로 풀 수 있다.
제10도는 조립장치(100)를 사용하여 철근 콘크리트 건물의 계단부분(70)을 타설하는 형틀을 구축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 계단의 축상면(e)은 수직이 아니고 약간 경사되어 있다. 결국, 형틀 패널(50), (50)을 예각으로 접합시켜야 한다. 그 대처 예로서는 잔목(52)을 약간 얇게 형성하여 접합해야 할 1쌍의 형틀 패널(50), (50)의 대향각을 예각으로 설정한 후에, 이 상태를 보조볼트(5)를 박아넣음으로써 고정시키면 된다.
또는, 본체(1)의 양 당접면(a), (a)의 교차각을 직각 이외의 소용의 교차각으로 설정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세부구조는 적절히 변경하여도 본 발명의 목적은 달성된다. 예를 들면, 토글기구와 비슷한 체결기구는 도시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1쌍의 백업재(3), (3)의 회동조작을 연동적으로 수행시킴과 동시에, 2개의 잔목(52)을 협지한 상태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연동용 링크부재를 본체(1)와 각 백업재(3)와의 사이에서 걸쳐지게 설치해도 된다.
또한 본체(1), 협지부재(2), 백업재(3) 및 체결링크(4)의 형상은 상기와 같은 각각의 역할을 하는 한도에 있어서 적절히 설계변경하여도 좋다. 이상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듯이, 인접하는 형틀 패널끼리를 소정각도로 맞댄 상태에서 형틀을 조합할 경우에, 본 발명에 의한 형틀구석각부들의 조립장치를 사용하면, 못을 박아 고정하는 종래 공법에 비하여 이하에 열거하는 것 같은 실용상 뛰어난 효과를 얻게 된다.
(a) 형틀을 조립·분해할 때마다 못을 박고 빼는 작업을 위해 어쩔 수 없이 현저한 노력과 시간을 낭비하는 부적합함을 해소할 수 있다.
(b) 신속하고 정확하게 못아 소요 조립강도를 얻을 때까지는 상당한 연습을 요하지만, 본 발명 장치를 사용하면 초심자여도 간단하고 확실하게 형틀을 조립할 수 있고, 또한 형틀 패널을 손상시키지 않고 분해할 수 있다.
(c) 따라서, 손상된 형틀 패널을 수리하기 위한 나머지 경비도 줄일 수 있다.
(d) 형틀의 조립·분해를 미숙련자여도 극히 간단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는 데다가, 형틀 패널의 내용회수를 대폭으로 늘림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타설작업에 관계된 경비를 현저히 절감할 수 있다.
(e) 형틀 패널의 반복 사용에 견디는 회수가 늘어나는 만큼 귀중한 삼림자원의 난벌을 막을 수 있다.
(f) 뽑아야 하는 것을 잊은 못에 의해 상처를 입거나, 흩어진 못이 타이어에 구멍을 낼 우려도 없어진다.
(g) 형틀의 조립용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장의 패널을 조합시켜 가설구축물을 쌓거나, 무대세트의 조립시 등에 사용하면, 초심자여도 극히 신속하고 확실하게 조립·분해할 수 있어 시간과 경비를 두드러지게 절감할 수 있다.

Claims (3)

  1. 주변부에 보강용 잔목(棧木)을 취착한 형틀 패널을 사용하여 콘크리트제 구조물의 각주(角柱)나 계단부분 등의 타설하는 형틀을 조립·분해하는 작업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서, 인접하는 2장의 형틀 패널(50), (50)의 소정 각도로 맞댄 상태에서 인접하는 2개의 잔목(52), (52)의 대향면에 각각 당접시키는 2개의 당접면(a), (a)을 갖춘 본체(1)와, 상기 양 당접면(a), (a) 각각의 기단측 부위에서, 상기 본체(1)에 설치한 1쌍의 제1연결핀(A), (A)의 각각에 그 한쪽 끝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당접면(a)과의 사이에서 상기 잔목(52)을 끼워 붙이는 협지면(d)을 갖춘 1쌍의 협지부재(2), (2)와, 상기 끼워 붙이기 위한 토글기구와 비슷한 계탈자재한 체결기구를 갖춤을 특징으로 하는 형틀구석부들의 조립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기구는 상기 본체(1) 및 1쌍의 협지부재(2), (2)와, 상기 1쌍의 제1연결핀(A), (A)으로부터 각각 소정 거리를 둔 내측에서, 상기 본체(1)에 설치된 1쌍의 제2연결핀(B), (B) 각각에 그 한쪽 끝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쪽 끝에는 제3연결핀(C)을 설치한 백업재(3)와, 상기 각 제3연결핀(C)과 상기 각 협지부재(2)의 중간부위에 각각 설치한 제4연결핀(D)에 그 양끝이 연결되고, 상기 협지부재(2)를 상기 백업재(3)의 회동조작에 연동하여 회동시키는 체결링크(4)를 갖춤을 특징으로 하는 형틀구석각부들의 조립장치.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 협지부재(2), 백업재(3) 및 체결링크(4)는 각각 채널형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형틀구석각부들의 조립장치.
KR1019960054020A 1996-11-14 1996-11-14 형틀구석각부들의 조립장치 KR100191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4020A KR100191393B1 (ko) 1996-11-14 1996-11-14 형틀구석각부들의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4020A KR100191393B1 (ko) 1996-11-14 1996-11-14 형틀구석각부들의 조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784A KR970001784A (ko) 1997-01-24
KR100191393B1 true KR100191393B1 (ko) 1999-06-15

Family

ID=19481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4020A KR100191393B1 (ko) 1996-11-14 1996-11-14 형틀구석각부들의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13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640B1 (ko) * 2010-07-07 2012-04-17 서보산업 주식회사 결속구가 구비된 기둥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581B1 (ko) 2018-05-11 2020-01-15 주식회사 동일이앤지 탱크 고정용 밴드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640B1 (ko) * 2010-07-07 2012-04-17 서보산업 주식회사 결속구가 구비된 기둥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784A (ko) 199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40200A (en) Spring clip and molding form utilizing same
JPH10297842A (ja) エレベーターのガイドレール用目板
KR100191393B1 (ko) 형틀구석각부들의 조립장치
KR200200945Y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푸집 장치
JPH09209568A (ja) 型枠隅角部等の組立装置
JPH0743355Y2 (ja) コンクリート型枠およびその締結金具
US5709809A (en) Modular wall form assembly
KR100381681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푸집 장치
US5975790A (en) Clamp for connecting formwork panels together
US5968403A (en) Waler system and clamp for concrete wall forms
JP2614425B2 (ja) コンクリート用組立枠結合金具
KR970005537Y1 (ko)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
JPH04155064A (ja) 床パネルの段差矯正治具
JP2004116135A (ja) 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その組立方法および脱型方法
JP2001159194A (ja) 複合梁と柱の接合構造
KR920004968Y1 (ko) 난간 형틀 지지구
GB2264056A (en) Frame for supporting canvas
JPS6137720Y2 (ko)
JP3056344U (ja) コンクリート型枠対向間隔保持固定用具および締結部材
JPH08226233A (ja) コンクリート用組立枠形成構造
JP2003003566A (ja) 木造建築組立構造およびその組立方法、並びにそれに使用する接続金具
JPH0240192Y2 (ko)
KR960002484Y1 (ko) 거푸집 조임구
JPH0332176Y2 (ko)
JPH022497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