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4968Y1 - 난간 형틀 지지구 - Google Patents

난간 형틀 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4968Y1
KR920004968Y1 KR2019890001726U KR890001726U KR920004968Y1 KR 920004968 Y1 KR920004968 Y1 KR 920004968Y1 KR 2019890001726 U KR2019890001726 U KR 2019890001726U KR 890001726 U KR890001726 U KR 890001726U KR 920004968 Y1 KR920004968 Y1 KR 9200049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umber
mold
hole
str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17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5790U (ko
Inventor
이명기
Original Assignee
이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기 filed Critical 이명기
Priority to KR20198900017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4968Y1/ko
Publication of KR9000157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57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49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9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6Members, e.g. consoles, for attachment to the wall to support girders, beams, or the like carrying forms or moulds for floors, lintels, or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6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or other parts corbelled out of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난간 형틀 지지구
제 1 도는 본 고안의 분리된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조립된 측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구 2 : 접촉면
3 : 못구멍 4 : 체대
5 : 요철홈 6 : 안치홈
7 : 장방형 구멍 8 : 삽지구
9 : 돌출편 11 : 핀
본 고안은 건축을 할 때 콘크리트 형틀을 설치하면서 지지구고 간편하게 고정시키고 콘크리트의 양생후 지지구인 각목을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므로 각목의 손실을 막을 수 있게 된 형성된 난간 형틀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콘크리트 형틀을 설치하며 경사각을 이루도록 지지구를 형틀에 접촉시키며 못을 박어 고정을 하게 되면 각목인 지지구의 길이가 균일하지 않기 때문에 철근 배근을 하면서 지지구가 길게 연장된 부위를 둔탁한 기구로 절단시키거나 분리시키는 경우가 생겨 형틀의 역할을 바르게 할 수 없으므로 콘크리트 양생후에는 난간의 모양이 심하게 굴곡을 이루게 되어 형틀을 정성들여 형성시킨 사람들에게 심적 부담을 주게 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이상과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해 그 구조와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지구(1)의 하단에는 절곡된 접촉면(2)을 형성하며 접촉면(2)에 다수의 못구멍(3)을 뚫어주고 접촉면(2)을 연장한 체대(4)면에 다수의 요철홈(5)을 형성시키고 끝단에는 안치홈(6)을 설치하면서 안치홈(6) 내면에 다수의 장방형구멍(7)을 형성하고 안치홈(6)이나 장방형구멍(7)에 일치되는 삽지구(8)의 돌출편(9)을 다수 형성한 돌출편(9)이 장방형구멍(7)에 관통되면 돌출편(9)면에 구멍(10)으로 핀(11)을 끼워 분리될 수 없게 하되 삽지구(8)의 요홈(12)으로 각목(13)의 끝단면을 끼워 삽지구(8)에서 각목(13)내로 못을 박어 고정된 것이다.
이와같은 지지구(1)는 금형에 의해 P.V.C 수지로 다량 생산을 하여 형틀을 설치하면서 바닥면과 형틀의 상면에 일정한 각으로 지지구(1) 설치시 접촉면(2)에 못질을 하고 안치홈(6)내로 각목(13)의 저부면을 결합시킨 다음 삽지구(8)를 끼워주면서 삽지구(8) 면에 돌출편(9)이 안치홈(6) 내면에 장방형 구멍(7)으로 관통될 때 돌출편(9)의 구멍(10)으로 핀(11)을 끼워 지지구(1)의 각목(13)이 단일체로 되면 각목의 상단면과 형틀의 상단면의 접촉부로 1개의 못을 박어 간단하게 형틀을 지지하도록 되므로 철근 배근을 하는데도 별다른 불편을 느끼지않게 되고 콘크리트를 하여 양생된 다음에는 지지구(1)의 안치홈(6) 내면에 장방형구멍(7) 배면에서 삽지구(8)의 돌출편(9) 구멍(10)에 끼워진 핀(11)을 분리시킨 다음 각목(13)과 함께 삽지구(8)를 분리하면 되는데 이때 형틀과 각목의 상단부에 1개의 못을 박은 부위는 망치로 하부에서 상부로 각목을 치면 쉽게 분리되므로 각목에 판손없이 분리가 용이하여 각목은 반영구적으로 이용하게 되고 또 콘크리트에 매몰된 지지구의 노출된 안치홈(6) 부위 P.V.C 수지로 망치등에 의해 충격을 가하면 쉽게 파손되고 지지구의 매몰 부위는 콘크리트와 함께 남게 되어 콘크리트 표면을 세멘트로 도포시 완전하게 은닉되므로 지지구만 손실이 있고 고가의 각목은 반영구적으로 이용하게 되면서 건축업자에게는 목재 구입시에 자재비 절감을 시킬 수 있고 또 능률적인 작업을 행하고록 개량된 새로운 고안이다.

Claims (1)

  1. 지지구(1)의 절곡된 접촉면(2)에 못구멍(3)을 형성하고 연장된 체대(4)의 요철홈(5)으로 체대 보강을 시킨 끝단에 안치홈(6)과 내면에 장방형구멍(7)으로 끼워질 수 있는 삽지구(8)의 돌출편(9)을 일치시키고 돌출편(9)의 구멍(10)에는 핀(11)을 끼워 삽지구(8)의 각목을 결합하게된 단간 형틀 지지구.
KR2019890001726U 1989-02-20 1989-02-20 난간 형틀 지지구 KR9200049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1726U KR920004968Y1 (ko) 1989-02-20 1989-02-20 난간 형틀 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1726U KR920004968Y1 (ko) 1989-02-20 1989-02-20 난간 형틀 지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5790U KR900015790U (ko) 1990-09-03
KR920004968Y1 true KR920004968Y1 (ko) 1992-07-25

Family

ID=19283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1726U KR920004968Y1 (ko) 1989-02-20 1989-02-20 난간 형틀 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496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5790U (ko) 199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3924B2 (en) Parquet board
US6540201B1 (en) Tilt-up concrete panel forming system
US3909997A (en) Stair construction
KR920004968Y1 (ko) 난간 형틀 지지구
KR101107438B1 (ko) 바닥재 데크보드 고정용 클립유지부재
KR102044164B1 (ko) 데크의 조립구조
US1768547A (en) Spur cap for screed supports
KR200170759Y1 (ko) 계단용 논슬립
KR960008861Y1 (ko) 난간 형틀 지지구
JPH0249303Y2 (ko)
US4775131A (en) Device for assembly of stair forms
KR0131916Y1 (ko) 조립식 천정모서리 마감대
KR860002603Y1 (ko) 자동 흙손
JPH04203141A (ja) 間仕切パネルの設置構造
JPS5834915Y2 (ja) 建物用手摺
KR940003894Y1 (ko) 베란다용 난간
KR100191393B1 (ko) 형틀구석각부들의 조립장치
JPS5828097Y2 (ja) 建築板用接続金具
JPH0738381U (ja) 階段構造
JPH077464Y2 (ja) 踏板拘止用くさび
KR19990038838U (ko) 거푸집설치용 고정못
JPS6345492Y2 (ko)
KR200403838Y1 (ko) 발포성 합성수지 문틀구조
KR850002477Y1 (ko) 연결보강편이 있는 블록플로링
KR820002430Y1 (ko) 난간지주의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